KR20130138076A - 카카오용 콘칭 장치 - Google Patents

카카오용 콘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076A
KR20130138076A KR1020120137157A KR20120137157A KR20130138076A KR 20130138076 A KR20130138076 A KR 20130138076A KR 1020120137157 A KR1020120137157 A KR 1020120137157A KR 20120137157 A KR20120137157 A KR 20120137157A KR 20130138076 A KR20130138076 A KR 20130138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cao
drum
oil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504B1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Publication of KR2013013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003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or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1/0026Mixing; Roller milling for preparing chocolate
    • A23G1/0036Co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10Mixing apparatus; Roller mills for preparing chocolate
    • A23G1/12Chocolate-refining mills, i.e. roll ref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16Circular conches, i.e. rollers being displaced on a closed or circular rolling circ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여 미분화함은 물론 미분화 과정 중 분쇄된 카카온 분말을 가열하여 카카오에 함유된 단백질의 산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 카카오 배유가 투입되며, 카카오 배유가 회전에 의해 이동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배유 수용부; 및 배유 수용부에 의해 이동하는 카카오 배유를 배유 수용부와의 마찰을 통해 분쇄함과 동시에 교반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배유 분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카오용 콘칭 장치{CONCHING DEVICE FOR CACAO}
본 발명은 카카오용 콘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여 미분화 함은 물론 미분화 과정 중 분쇄된 카카온 분말을 가열하여 카카오에 함유된 단백질의 산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콜릿은 미세하게 분쇄된 고형분(finely milled solids)과, 쵸콜렛액(chocolate liquor), 설탕, 유분(milk crumb or powder)의 혼합물이며, 이들은 모두 코코아 버터나 대용 지방질(substitute fat)에 현탁(suspend)되거나 분산(disperse)되며, 이러한 대용 지방질은 정상 처리 온도에서 액성(liquor)을 유지하는 매질이다.
통상 초콜릿은 배합(Mixing) 공정과, 미세화(Refining) 공정과, 콘칭(Conching) 공정과, 예비고화(Tempering) 공정과, 충진(Depositing) 및 엔로빙(Enrobing) 공정과, 냉각(Cooling) 공정과, 숙성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먼저, 배합 공정에서는 코코아 가루와 백설탕과 분유 등의 분말 원료들을 배합 장치 내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액상 원료를 넣어 후속의 미세화 공정에 알맞은 상태가 될 때까지 섞는다.
미세화 공정에서는 배합된 초콜릿 입자를 다단 롤러 또는 밀(mill)을 이용하여 14㎛ 내지 16㎛ 이하의 입도로 되게 미세하게 간다.
콘칭 공정에서는 미세화된 초콜릿 매스를 콘체(Conche)라고 일컬어지는 콘칭 장치 내에서 유화제와 함께 장시간 계속적으로 휘저음으로써 초콜릿 매스가 순차적으로 가온되어 수분과 휘발성 산들이 대부분 제거됨과 동시에 분산되고 분쇄 수단에 의해 초콜릿 후레이크 덩어리가 분쇄되어 완전한 액상의 초콜릿이 형성되게 한다.
예비고화 공정에서는 초콜릿(궁극적으로는 코코아버터)이 안정하게 굳을 수 있도록 사전에 온도를 조작하여 가장 안정한 형태의 시드(Seeds, β형 결정)를 적당량(3% 내지 8%) 만들어주어 후속의 냉각 및 숙성 공정들을 통해 전체 코코아 버터를 β형 결정으로 만들어준다.
충진 및 엔로빙 공정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성형틀을 사용하며 성형틀과 동일한 크기의 노즐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작은 구멍이나 틈을 통해 초콜릿을 충진시키고 진동을 이용하여 초콜릿 내의 공기방울을 제거시킨다.
냉각 공정에서는 소정의 형태로 성형된 초콜릿이 냉각 터널을 거치면서 완만한 냉각으로 5℃까지 도달된 후 어느 정도 5℃를 유지하다가 다시 천천히 실온(15℃정도)까지 올라가게 된다.
숙성 단계에서는 냉각을 거쳐 포장된 초콜릿을 18℃, RH 50% 이하 되는 창고에 7~10일 정도 숙성 시켜 조직이 더욱 안정한 형태로 되게 함으로써 유통 중에 블루밍(blooming) 등의 현상을 최소화시킨다.
위와 같은 초코릿 제조 공정 중 콘칭 공정에 사용하는 콘칭장치는 내부에 코코아 분말이 두입된 상태에서 교반용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콘칭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초코릿 제조에 사용하는 코코아 가루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카카오콩을 가볍게 배소하여 냉각 후 조쇄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카카오 배유(Cacao Nibs)를 얻는다. 이것에 알칼리용액(보통은 탄산칼륨수용액)을 가해 가열반응 후 건조·배소하여 파쇄한다. 이것은("Cacao Mass"라고도 함) 50~55%의 코코아버터를 함유하는데 이것을 착유한 프레스 케이크(Press Cake)를 분쇄하여 코코아 가루(Cocoa Powder)를 얻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코릿 콘칭장치로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93671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카오 원두 복음장치는 용량이 커 카카오 생두를 소량으로 로스팅할 수 없으며, 로스팅시 발생되는 카카오 생두의 피가 카카오 생두와 함께 배출되어 카카오 생두를 깨끗하게 로스팅할 수 없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카카오 배유를 분쇄함과 동시에 가열 교반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카카오 배유의 가공을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여 미분화 함은 물론 미분화 과정 중 분쇄된 카카온 분말을 가열하여 카카오에 함유된 단백질의 산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카카오 배유가 투입되며, 카카오 배유가 회전에 의해 이동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배유 수용부; 및 배유 수용부에 의해 이동하는 카카오 배유를 배유 수용부와의 마찰을 통해 분쇄함과 동시에 교반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배유 분쇄부를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유 수용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설치되어 카카오 배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유 분쇄부가 접촉하도록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카카오 배유가 투입되는 드럼부재; 및 드럼부재가 탈착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드럼부재를 회전하는 드럼 구동부로 이루어진 배유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하는 턴 테이블 부재; 및 턴 테이블 부재가 회전하도록 감속기를 통해 턴 테이블 부재와 연결되는 모터부재로 이루어진 드럼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부재에 자성체를 구비하고, 드럼 구동부에 전자석 부재를 구비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부재와 전자석 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대; 지지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 및 연결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유 수용부와 접촉하도록 배유 수용부의 내부 위치하는 중량체의 분쇄롤 부재로 이루어진 배유 분쇄부를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유 수용부의 외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전류 인가에 따라 가열하는 히터봉 부재; 및 히터봉 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방열핀 부재로 이루어진 가열부는를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구비되는 거치대; 및 거치대에 탈착되며, 카카오 배유가 투입되는 배유 수용부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온도센서로 이루어진 온도 감지부를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배유 수용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본체을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이 베어링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를 양측면에 각각 구비하며, 프레임이 상기 회전축 부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 부재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배유 수용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배유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유 수용부에 투입되는 상기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는 중량체의 분쇄롤 부재; 및 상기 분쇄롤 부재가 상기 배유 수용부에 접촉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분쇄롤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로 이루어진 배유 분쇄부를 포함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에 의하면, 드럼부재의 회전과 드럼부재의 내부에 접촉하는 중량체의 분쇄롤 부재를 이용하여 카카오 배유를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되는 가열부를 이용한 드럼부재의 가열을 통해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면서 가열하므로, 카카오 분말의 단백질 산화를 촉진하고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재와 턴 테이블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유 분쇄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유 분쇄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100)는 본체(110), 카카오 배유가 투입되는 배유 수용부(120), 이 배유 수용부(120)와 쌍을 이루어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는 배유 분쇄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콘칭 장치(100)는 분쇄되는 카카오 배유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40) 및 분쇄되는 카카오 배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콘칭 장치(100)는 배유 수용부(120)에서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여 미분화 함은 물론 미분화 과정 중 분쇄된 카카온 분말을 가열함으로써, 카카오에 함유된 단백질의 산화를 촉진시켜 카카오의 맛과 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110)는 전면에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고, 배유 수용부(120), 배유 분쇄부(130), 가열부(140) 및 온도 감지부(150)가 설치된다. 이때, 본체(110)는 배유 수용부(120)에 카카오 배유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배유 수용부(120)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하도록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유 수용부(120)는 배유 분쇄부(130)가 접촉하도록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부재(121) 및 이 드럼부재(1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구동부(123)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유 수용부(120)는 드럼부재(121)의 회전을 통해 카카오 배유를 배유 분쇄부(130)와 드럼부재(121) 사이로 이동시켜 카카오 배유가 중량체인 배유 분쇄부(130)에 의해 분쇄도록 한다.
드럼부재(121)는 상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드럼 구동부(123)에 탈착된다. 또한, 드럼부재(121)는 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되며, 드럼 구동부(123)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면에 자성체(121a)가 볼트, 나사, 용접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된다.
드럼 구동부(123)는 드럼부재(1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드럼부재(121)가 안착하는 턴 테이블 부재(123a)와, 이 턴 테이블 부재(123a)를 회전하는 모터부재(123b)를 포함한다.
턴 테이블 부재(123a)의 하면에는 감속기(123d)를 통해 모터부재(123b)에 연결되도록 하면에 회전축 부재(123e)가 구비된다. 더하여, 턴 테이블 부재(123a)는 드럼부재(121)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면에 자성체(121a)가 삽입되는 안착홈부(123f)가 형성된다.
또한, 턴 테이블 부재(123a)는 드럼부재(121)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전자석 부재(123c)를 더 구비한다. 전자석 부재(123c)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드럼부재(121)의 자성체(121a)를 턴 테이블 부재(123a)에 고정시킨다.
더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턴 테이블 부재(123a)는 자성체(121a)를 용이하고 안정되게 결합하도록 상부 플레이트 부재와 하부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 부재와 하부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자성체(121a)가 위치하고, 상부 플레이트 부재와 하부 플레이트 부재가 볼트나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배유 수용부(120)는 드럼부재(121)의 자성체(121c)와 턴 테이블 부재(123a)의 전자석 부재(123c)를 통해 드럼부재(121)를 턴 테이블 부재(123a)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성체(121a)가 턴 테이블 부재(123a)의 안착홈부(123f)에 삽입되어 드럼무재(121)와 턴 테이블 부재(123a)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다.
더하여, 배유 수용부(120)는 턴 테이블 부재(123a)와 드럼부재(121)가 결합된 상태에서 턴 테이블 부재(123a)를 회전할 때 드럼부재(121)와 턴 테이블 부재(123a)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슬립방지부재(125)를 더 포함한다.
슬립방지부재(125)는 자성체(121a)에 형성되는 고정핀 부재(125a)와 상기 턴 테이블 부재(123a)에 형성되어 고정핀 부재(125a)에 삽입되는 결합홈부(125b)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유 수용부(120)는 배유 분쇄부(130)와 쌍을 이루어 드럼부재(121)에 투입된 카카오 배유를 분쇄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유 분쇄부(130)는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부재(121)의 회전을 통해 이동하는 카카오 배유를 드럼부재(121)의 마찰을 통해 분쇄함과 동시에 분쇄된 배유 분말이 접촉되어 교반되도록 본체(1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배유 분쇄부(130)는 본체(110)에 결합되는 지지대(131), 드럼부재(121)와 접촉하도록 드럼부재(121)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쇄롤 부재(135) 및 지지대(131)와 분쇄롤 부재(135)를 연결하는 연결대(135)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유 분쇄부(130)는 분쇄롤 부재(135)가 연결대(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드럼부재(121)의 회전을 통해 분쇄롤 부재(135)가 회전하면서 카카오 배유를 분쇄한다.
지지대(131)는 하단부가 본체(110)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단에 연결대(135)가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대(131)는 연결대(135)가 볼트부재(137)를 통해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상단면에 볼트부재(137)가 체결되는 체결홈(131a)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고정홈부(131b)가 형성된다.
분쇄롤 부재(133)는 드럼부재(12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연결대(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럼부재(121)의 바닥면에 접촉한다. 즉, 분쇄롤 부재(133)가 드럼부재(121)에 접촉되어 드럼부재(121)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카카오 배유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분쇄롤 부재(133)는 카카오 배유의 분쇄가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중량체에 의해 형성되며 연결대(135)에 복수개 구비된다.
더하여, 분쇄롤 부재(133)는 카카오 배유의 분쇄 효과가 더욱 향상되도록 외면에 분쇄홈부(133a)가 형성된다. 또한, 분쇄롤 부재(133)는 베어링을 통해 연결대(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앙부에 연결대(135)가 삽입되는 결합구멍(133b)이 형성된다.
연결대(135)는 지지대(131)와 분쇄롤 부재(133)를 연결하도록 지지대(131)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대(135)는 지지대(131)에 결합되는 수평바(135a), 이 수평바(135a)와 결합되는 수직바(135b) 및 복수의 분쇄롤 부재(133)를 설치하기 위한 분쇄롤 결합봉(135c)을 포함한다.
수평바(135a)는 일단부에 지지대(131)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볼트부재(137)를 통해 지지대(131)에 고정된다. 이때, 수평바(135a)는 볼트부재(137)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지지대(131)의 고정홈부(131b)에 삽입되는 볼트가 체결된다.
또한, 수평바(135a)는 타단부에 수직바(135b)가 삽입되어 볼트(B)를 통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수직바(135b)는 상단부가 수평바(135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부에 분쇄롤 결합봉(135c)이 결합된다.
분쇄롤 결합봉(135c)은 중앙부가 수직바(135b)에 삽입되어 용접을 통해 수직바(135b)와 결합되고, 양단부에 분쇄롤 부재(1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분쇄롤 부재(133)에 의해 분쇄되는 카카오 분말은 가열부(140)를 통해 가열된 상태에서 분쇄됨으로 인하여 단백질 산화가 촉진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40)는 드럼부재(121)를 가열할 수 있도록 드럼부재(1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열부(140)는 드럼부재(1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드럼부재(121)와 이결되게 구비되는 히터봉 부재(141) 및 이 히터봉 부재(141)에 결합되는 방열핀 부재(143)를 포함한다.
히터봉 부재(141)는 전류의 인가에 따라 가열된다. 방열핀 부재(143)는 본체(110)에 고정되며, 히터봉 부재(141)의 열을 효과적으로 확산시켜 드럼부재(121)의 가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콘칭 장치(100)는 온도 감지부(150)를 통해 드럼부재(121)에서 가열되는 배유 분말의 온도를 감지하여 배유 분말의 온도를 40℃ 내지 60℃로 유지한다. 즉, 콘칭 장치(100)는 온도 감지부(150)에서 감지하는 배유 분말 온도에 따라 가열부(140)를 온/오프 또는 가열부(140)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배유 분말 온도를 제어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온도 감지부(150)는 본체(110)에 구비되는 거치대(151) 및 이 거치대(151)에 설치되어 배유 분말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온도센서(153)를 포함한다.
거치대(151)는 적외선 온도센서(153)를 드럼부재(121)의 상측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결합되는 수직봉(151a), 이 수직봉(151a)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봉(151b) 및 적외선 온도센서(153)가 탈착되는 홀더(151c)를 구비한다.
이러한, 거치대(151)는 수평봉(151b)이 수직봉(1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홀더(151c)에 적외선 온도센서(153)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구멍(151d)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드럼부재(121)에 카카오 배유를 투입하고, 드럼 구동부(123)의 전자석 부재(123c)를 작동하여 드럼부재(121)를 턴 테이블 부재(123a)에 안정되게 고정한 상태에서 턴 테이블 부재(123a)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드럼부재(121)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부재(121)에 투입된 카카오 배유가 분쇄롤 부재(133)와 드럼부재(121) 사이로 유입되면서 중량체인 분쇄롤 부재(133)에 의해 분쇄된다.
그리고 카카오 배유가 일정 입도 이하로 분쇄되면 가열부(140)를 작동하여 드럼부재(121)를 가열하여 카카오 분말의 온도를 50℃ ~ 60℃로 유지시키면서 지속적으로 분쇄 작업을 진행한다. 이로 인하여, 카카오 분말에 함유된 카카오 단백질의 산화가 촉진되어 카카오 분말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설명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 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카오용 콘칭 장치(100)는 콘칭 공정이 완료된 드럼부재(121)의 초콜릿을 드럼부재(121)의 분리 없이 드럼부재(121)에서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의해 드럼부재(121)가 회전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본체(110)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설치되는 프레임(111)과, 이 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배유 수용부(120)가 설치되는 하우징(113)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110)는 하우징(113)이 프레임(111)에서 회전함에 따라 콘칭이 완료된 초콜릿을 배유 수용부(120)에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111)은 하우징(113)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이격되게 설치된다.
하우징(113)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배유 수용부(120)의 드럼부재(121)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40)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13)은 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단부에 회전축 부재(115)를 구비하고, 회전축 부재(115)가 베어링을 통해 프레임(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113)은 회전축 부재(115)를 프레임(111)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1)에 구비되는 작동부(117)에 의해 회전된다.
작동부(117)는 회전축 부재(115)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 부재(115)와 연결되어 회전축 부재(115)를 회전시키도록 프레임(111)에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부(117)는 회전축 부재(115)와 연결되도록 프레임(111)에 설치되는 기어박스(117a)와, 이 기어 박스(117a)에 설치되는 작동 손잡이(117b)로 이루어진다.
기어박스(117a)는 작동 손잡이(117b)와 회전축 부재(115)를 웜과 웜휠, 또는 베벨기어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연결한다.
배유 분쇄부(130)는 일단부가 하우징(113)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131)와, 드럼부재(121)의 내부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드럼부재(121)의 내부에 위치하며, 드럼부재(121)에 투입되는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는 중량체의 분쇄롤 부재(133) 및 이 분쇄롤 부재(133)와 지지대(131)를 연결하는 연결대(135)를 포함한다.
지지대(131)는 일단부가 하우징(113)에 힌지 결합되고, 다단부가 하우징(113)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대(131)는 중앙부에 연결대(135)가 결합된다.
연결대(135)는 상단부가 지지대(131)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분쇄롤 부재(13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쇄롤 부재(133)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대(131)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33a)를 통해 지지대(131)에서 회전하게 된다.
더하여, 배유 분쇄부(130)는 콘칭되는 초콜릿이 보다 효과적으로 배합될 수 있도록 연결대(135)에 배합 판 부재(137)가 결합된다.
한편, 하우징(113)은 일측 상단에 지지대(131)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 브래킷(113a)이 구비되고 타측 상단에 지지대(131)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걸림훅(113b)이 구비된다.
또한, 배유 수용부(120)는 드럼부재(12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부재(123b)가 하우징(113)의 하부에 결합되고, 이 모터부재(123b)가 하우징(113)의 하면에 결합되는 감속기(123d)와 이 감속기(123d)에 연결되도록 드럼부재(121)에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123e)를 통해 드럼부재(121)와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콘칭 장치 110 : 본체
120 : 배유 수용부 121 : 드럼부재
121a : 자성체 123 : 드럼 구동부
123a : 턴 테이블 부재 123b : 모터부재
123c : 전자석 부재 125 : 슬립방지부재
130 : 배유 분쇄부 131 : 지지대
133 : 분쇄롤 부재 135 : 연결대
140 : 가열부 141 : 히터봉 부재
143 : 방열핀 부재 150 : 온도 감지부
151 : 거치대 153 : 적외선 온도센서

Claims (13)

  1. 본체(110);
    내부에 카카오 배유가 투입되며, 상기 카카오 배유가 회전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유 수용부(120); 및
    상기 배유 수용부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카카오 배유를 상기 배유 수용부와의 마찰을 통해 분쇄함과 동시에 교반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배유 분쇄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유 수용부를 가열하는 가열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카오 배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유 수용부는,
    상기 배유 분쇄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카카오 배유가 투입되는 드럼부재(121); 및
    상기 드럼부재가 탈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부재를 회전하는 드럼 구동부(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구동부는,
    상기 드럼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하는 턴 테이블 부재(123a); 및
    상기 턴 테이블 부재가 회전하도록 감속기를 통해 상기 턴 테이블 부재와 연결되는 모터부재(123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유 수용부는
    상기 드럼부재에 자성체(121a)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 구동부에 전자석 부재(123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유 수용부는 상기 드럼부재와 상기 전자석 부재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재(1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유 분쇄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지지대(131);
    상기 배유 수용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배유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유 수용부에 투입되는 상기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는 중량체의 분쇄롤 부재(133); 및
    상기 분쇄롤 부재가 상기 배유 수용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분쇄롤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대(1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배유 수용부의 외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전류 인가에 따라 가열하는 히터봉 부재(141); 및
    상기 히터봉 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방열핀 부재(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구비되는 거치대(151); 및
    상기 거치대에 탈착되며, 상기 카카오 배유가 투입되는 상기 배유 수용부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온도센서(15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11);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배유 수용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어링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115)를 양측면에 각각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 부재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 부재를 회전시키는 작동부(1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유 분쇄부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131);
    상기 배유 수용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배유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유 수용부에 투입되는 상기 카카오 배유를 분쇄하는 중량체의 분쇄롤 부재(133); 및
    상기 분쇄롤 부재가 상기 배유 수용부에 접촉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하단부에 상기 분쇄롤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1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카오용 콘칭 장치.
KR1020120137157A 2012-06-08 2012-11-29 카카오용 콘칭 장치 KR101426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48 2012-06-08
KR20120061748 2012-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76A true KR20130138076A (ko) 2013-12-18
KR101426504B1 KR101426504B1 (ko) 2014-08-06

Family

ID=4998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157A KR101426504B1 (ko) 2012-06-08 2012-11-29 카카오용 콘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3400A (ja) * 2015-01-16 2018-02-08 ココテッラ カンパニーCocoTerra Company チョコレート加工システム及び方法
US11470853B2 (en) 2019-03-15 2022-10-18 CocoTerra Company Interface and application for designing a chocolate-making experie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628504A (zh) * 2015-02-12 2016-08-16 臺大精巧股份有限公司 精磨機
KR102007389B1 (ko) * 2018-04-30 2019-08-0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카카오 콘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220A (en) 1992-04-03 1993-04-06 Mars, Incorporated Chocolate conching
KR100593671B1 (ko) * 2005-01-11 2006-06-30 삼광식품공업 주식회사 콘칭 장치
DK2106845T3 (da) 2008-04-04 2012-01-16 Royal Duyvis Wiener Bv Apparat til fremstilling af chokolad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3400A (ja) * 2015-01-16 2018-02-08 ココテッラ カンパニーCocoTerra Company チョコレート加工システム及び方法
US10463057B2 (en) 2015-01-16 2019-11-05 CocoTerra Company Chocolat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2020103310A (ja) * 2015-01-16 2020-07-09 ココテッラ カンパニーCocoTerra Company チョコレート加工システム及び方法
US11464241B2 (en) 2015-01-16 2022-10-11 CocoTerra Company Chocolat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11470853B2 (en) 2019-03-15 2022-10-18 CocoTerra Company Interface and application for designing a chocolate-making exper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504B1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504B1 (ko) 카카오용 콘칭 장치
CN107377112A (zh) 一种饲料生产破碎装置
CN108142969A (zh) 一种饲料生产用粉碎搅拌一体化设备
US11944108B2 (en) Chocolate machine
PT2106845E (pt) Dispositivo para produzir chocolate
OA12947A (en) Dispersible cocoa products.
KR101426503B1 (ko) 카카오 가공 장치
GB1568270A (en) Method of making chocolate and chocolate flavoured compounds
CN1867263B (zh) 制备水合油性基食品的方法
KR100901447B1 (ko) 분쇄용 로터 및 이를 구비한 콘칭 장치
KR100593671B1 (ko) 콘칭 장치
CN204837939U (zh) 一种混合饲料用粉碎机
KR20140049968A (ko) 당액으로 고형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고형물
CN107824323A (zh) 一种高效的中草药破壁粉碎机
JP5295039B2 (ja) 自動製パン機
CN208389892U (zh) 一种用于奶牛饲料搅拌机上的防溢装置
JPH11169079A (ja) カカオマス、ココアパウダー懸濁液及びそれらの処理方法
CN217069078U (zh) 一种代可可脂巧克力高效精磨装置
KR102007389B1 (ko) 카카오 콘칭장치
KR100738858B1 (ko) 분쇄부가 개선된 콘칭 장치
JP5981576B2 (ja) 混練方法および混練装置
KR100789959B1 (ko) 가정용 비누 제조장치
KR200425406Y1 (ko) 분쇄부가 개선된 콘칭 장치
CN209379131U (zh) 一种用于制作猪饲料的玉米芯粉碎装置
CN209752782U (zh) 一种分析化学用物料捣碎混合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