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263A - 머드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머드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263A
KR20130136263A KR1020120059942A KR20120059942A KR20130136263A KR 20130136263 A KR20130136263 A KR 20130136263A KR 1020120059942 A KR1020120059942 A KR 1020120059942A KR 20120059942 A KR20120059942 A KR 20120059942A KR 20130136263 A KR20130136263 A KR 2013013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transport path
deck
storage device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경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6263A/ko
Publication of KR2013013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 E21B21/063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by separating components
    • E21B21/065Separating solids from drill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의 석유, 가스 등을 시추하는 선체에 마련되며, 해저에서 유입한 머드를 수용하는 복수의 머드탱크; 상기 선체의 갑판 저면에 마련되며, 머드가 상기 복수의 머드탱크로 이송되는 머드이송로; 및 상기 머드이송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머드탱크로의 머드 이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머드차단부를 포함하는 머드저장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시추된 머드가 이동하는 이동로를 갑판 저면에 제공함으로써 이동로의 교환, 세척 등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이동로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시추한 머드를 저장하는 탱크에 저장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밸브, 제어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탱크에 저장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머드저장장치{STORAGE DEVICE OF MUD}
본 발명은 머드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머드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머드 이동의 제어가 용이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추선은 해저의 석유,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선박이다. 이때, 시추선이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해서는 해양의 머드를 먼저 시추해야 한다.
즉, 석유나 가스 등은 해저 지하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머드를 제거한 뒤에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머드를 먼저 시추하고, 시추한 머드를 재사용 하기 위해 분리하여 머드탱크에 저장한 뒤 석유, 가스 등을 시추 시 재사용 하는 방식으로 시추작업이 수행된다.
그런데, 앞서 시추하는 머드에는 해양 부유물, 간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머드는 머드탱크로 머드를 이송시키는 파이프 내에 달라붙어 파이프의 막힘 현상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선박 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머드가 파이프에 달라붙어 파이프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도 파이프를 세척하거나 교환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추한 머드를 이송시키는 장치에 개폐 장치도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시추된 머드가 이동하는 이동로를 필요시 쉽게 개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추한 머드를 저장하는 탱크에 저장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밸브, 제어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탱크에 저장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머드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저의 석유, 가스 등을 시추하는 선체에 마련되며, 해저에서 유입한 머드를 수용하는 복수의 머드탱크; 상기 선체의 갑판 저면에 마련되며, 머드가 상기 복수의 머드탱크로 이송되는 머드이송로; 및 상기 머드이송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머드탱크로의 머드 이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머드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시추된 머드가 이동하는 이동로를 갑판 저면에 제공함으로써 이동로의 교환, 세척 등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이동로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시추한 머드를 저장하는 탱크에 저장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밸브, 제어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 탱크에 저장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갑판에는, 상기 갑판 상면에서 저면 방향으로 상기 머드차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홀; 및 상기 머드이송로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머드차단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머드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머드의 이동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는 상기 끼움홀에 끼워진 머드차단부가 머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머드차단부가 견고하게 머드 차단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머드이송로는 바닥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머드이송로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모서리 부분에 머드가 머드탱크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머드가 머드이송로에 붙어 머드이송로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 머드차단부는 갑판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갑판 상에서 머드차단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재는 갑판에서 머드차단부의 설치 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머드차단부의 손잡이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드저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시추된 머드가 이동하는 이동로인 머드이송로를 갑판 저면에 제공하여 머드이송로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머드가 이동하는 동안 머드이송로가 막히는 현상이나 부유물에 의한 이송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머드이송로가 갑판 저면에 제공됨에 따라 시추된 머드에 포함된 부유물이 머드이송로에 남아 머드이송로의 세척이나 교환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셋째, 머드차단부에 의하여 머드를 수용하는 머드탱크로의 머드 이송을 갑판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머드이송로에 머드차단부를 끼워 머드의 이송을 차단함으로써, 별도로 밸브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머드탱크에 저장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드저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머드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머드이송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머드차단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드저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머드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머드이송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머드차단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머드저장장치(100)는 머드탱크(120), 머드이송로(140) 및 머드차단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머드탱크(120)는 해저의 석유, 가스 등을 시추하는 선체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해저에서 유입한 머드를 수용한다. 상기 머드탱크(120)는 머드를 머드탱크(12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흡입부재(미도시)와 석유나 가스가 시추된 후에 머드를 바다로 재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머드탱크(120)는 복수개 마련되어 다량의 머드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머드탱크(120)의 구성 및 형상 등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머드이송로(140)는 선체 갑판(110) 저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단부는 해저와 연결되고, 타 단부는 머드탱크(120)와 연결되어 해저에서 시추하는 머드가 머드탱크(120)로 이송되는 이동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머드이송로(140)가 갑판(110) 저면에 마련되면, 머드이송로(140) 상면에는 갑판(110)과 동일 재질 또는 유사 재질의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머드가 이송될 때, 갑판(110) 표면으로 머드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갑판(110)과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형성되어 선체 갑판(110)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머드차단부(160)는 머드이송로(140)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머드탱크(120)로의 머드 이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머드차단부(160)는 머드이송로(140) 중심에 머드이송로(140)가 형성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을 따라 끼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머드차단부(160)가 머드이송로(140) 중심에 마련됨에 따라 머드이송로(140)를 따라 이송하는 머드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머드탱크(120)가 마련되었다고 가정한 뒤에 첫번째 머드탱크(120)에 머드가 충분히 수용되었다고 판단되면 첫번째 머드탱크(120)와 연결된 머드이송로(140)에 머드차단부(160)를 설치하여 첫번째 머드탱크(120)로 더 이상의 머드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머드차단부(160)에 의하여 머드탱크(120)에 유입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밸브 등이 설치되지 않아도 머드탱크(120)로 유입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머드차단부(160)를 머드이송로(140)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머드이송로(140)와 대향되는 갑판(110) 상면에는 끼움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끼움홀(142)은 머드차단부(160)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어 머드차단부(160)가 머드이송로(140)를 따라 이동하는 머드 이송력에 의해 머드차단부(16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홀(142)은 머드이송로(140)를 따라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끼움홀(142)에는 필요한 개수만큼의 머드차단부(160)를 끼움 결합하여 머드 이송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머드이송로(140) 내벽에는 머드의 이동에 따라 머드차단부(160)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14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44)는 머드이송로(140)를 따라 이송되는 머드의 이동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44)에 의하여 머드차단부(160)가 끼움홀(142)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머드의 이송력에 머드차단부(160)가 머드이송로(140)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44)는 머드차단부(160) 상부 각 모서리와 면접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부재(144)는 끼움홀(142)이 형성된 단면에서 머드이송로(14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44)의 형상은 설명의 편의상 판형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판형 이외에도 머드차단부(160)가 머드의 이송력에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4)는 머드차단부(160)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끼움홀(142)이 형성된 단면에서 머드이송로(14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머드이송로(140)의 바닥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머드이송로(140)의 바닥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머드가 달라붙는 모서리 영역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머드가 머드탱크(12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머드가 머드이송로(140)에 달라붙어 머드이송로(140)를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머드차단부(160)는 갑판(110) 상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갑판(110) 상에서 머드차단부(160)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162)를 더 포함한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표시부재(162)는 머드차단부(1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홀(142)에서 갑판(110) 상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어느 위치에서 머드를 차단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시켜줄 수 있다. 또한, 표시부재(162)는 머드차단부(160)의 손잡이로도 사용되어 끼움홀(142)에 머드차단부(160)를 끼움 결합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끼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머드저장장치(100)에 따르면, 해저에서 시추된 머드가 이동하는 머드이송로(140)를 따라 갑판(110) 저면에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머드이송로(140)를 육안으로 확인하고자 할 때 갑판(110)을 뜯어 머드이송로(14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머드가 이동하는 동안 머드이송로(140)가 막히거나 부유물이 쌓여 세척, 교환이 필요할 때 적절하게 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머드이송로(140)가 형성된 갑판(110)에 끼움홀(142)을 형성하고, 끼움홀(142)에 머드이송로(140)의 단면과 일치하는 머드차단부(160)를 끼움 결합하여 머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머드차단부(160)에 의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머드의 이동을 차단하게 되어 머드 시추 작업에 필요한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밸브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머드탱크(120)에 저장되는 머드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머드저장장치 120: 머드탱크
140: 머드이송로 142: 끼움홀
144: 고정부재 160: 머드차단부

Claims (5)

  1. 해저의 석유, 가스 등을 시추하는 선체에 마련되며, 해저에서 유입한 머드를 수용하는 복수의 머드탱크;
    상기 선체의 갑판 저면에 마련되며, 머드가 상기 복수의 머드탱크로 이송되는 머드이송로; 및
    상기 머드이송로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머드탱크로의 머드 이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머드차단부를 포함하는 머드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이송로와 대향되는 상기 갑판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홀; 및
    상기 끼움홀이 형성된 상기 머드이송로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머드차단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마련된 머드저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머드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머드의 이동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머드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이송로는 바닥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머드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차단부는, 상기 갑판 상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갑판 상에서 상기 머드차단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머드저장장치.
KR1020120059942A 2012-06-04 2012-06-04 머드저장장치 KR20130136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42A KR20130136263A (ko) 2012-06-04 2012-06-04 머드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42A KR20130136263A (ko) 2012-06-04 2012-06-04 머드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63A true KR20130136263A (ko) 2013-12-12

Family

ID=4998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42A KR20130136263A (ko) 2012-06-04 2012-06-04 머드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62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532B1 (ko) * 2014-05-16 2015-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드릴링 절단물 처리시스템
KR20160028112A (ko) *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160028113A (ko) *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532B1 (ko) * 2014-05-16 2015-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드릴링 절단물 처리시스템
KR20160028112A (ko) *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160028113A (ko) *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713B1 (ko) 선박용 천공기를 겸한 잔존유 제거 장치
KR20130136263A (ko) 머드저장장치
KR101026182B1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JP3723852B2 (ja) 水底土砂排除装置、及び水底土砂の排除方法
KR100951941B1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101026183B1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110094366A (ko)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장치
KR20090072061A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EP3841270A1 (en) A method of supplying injection fluid to a subsea facility
KR101680341B1 (ko) 머드 저장용 탱크
KR101516288B1 (ko) 해저 구조체 내부의 기름 분리 선박 및 그 제어 방법
KR101276127B1 (ko) 해양구조물 용 기름 제거 장치
EA007211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с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одной поперечной секции танков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JP2012229530A (ja) 海上油分離装置
US20150307164A1 (en) Recessed barge design
JP5718259B2 (ja) ビルジタンク
KR101556103B1 (ko)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KR101540331B1 (ko) 원유 이송 장치 및 시스템
KR200478223Y1 (ko) 해양구조물의 오픈 드레인 시스템
KR20180080545A (ko) 문풀을 이용한 해수활용시스템
KR200466432Y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컴비네이션 탱크
KR101665442B1 (ko) 시추 구조물의 드레인 처리 시스템
JP2009243063A (ja) 油回収装置及び油回収方法
JP2008259938A (ja) 貯槽の洗浄方法及び貯槽の洗浄装置
KR101556187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