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187B1 - 문풀유동 소파장치 - Google Patents

문풀유동 소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187B1
KR101556187B1 KR1020140061030A KR20140061030A KR101556187B1 KR 101556187 B1 KR101556187 B1 KR 101556187B1 KR 1020140061030 A KR1020140061030 A KR 1020140061030A KR 20140061030 A KR20140061030 A KR 20140061030A KR 101556187 B1 KR101556187 B1 KR 101556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luid
unit
splash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삼권
이성욱
김주성
이동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문풀유동 소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는, 데크(Deck)와 해저 사이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문풀(Moonpool)의 일측에 형성된 리세스 월(Recess Wall)의 저벽을 형성하는 리세스 바톰(Recess bottom);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Splash)를 저감하도록, 리세스 바톰에 마련되어 유체를 분사하여 문풀에 전달되는 유체 에너지를 차단하는 커튼효과를 발생시키는 스플래시 커튼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문풀유동 소파장치{WAVE ABSORBING APPARATUS OF MOONPOOL}
본 발명은, 문풀유동 소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Slpash)를 저감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면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특정 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Platform)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있으며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드릴십(Drillship),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Vessels) 등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군소 유전 개발을 위해서는,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의 특성상, 이런 드릴십이나 FPSO 등은 예인선 없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드릴십, 드릴리그 등과 같은 해상구조물에는 드릴링(Drilling) 작업을 위한 각종 장비가 통과하기 위한 문풀(moonpool)이 설치된다.
문풀은, 해상 구조물의 상부갑판과 바닥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의 직육면체 혹은 원통 형상의 구조물이다.
최근에는, 해상 구조물의 크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문풀의 크기 역시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풀은, 시추선의 용도 측면에서는 필수 불가결한 구조이지만, 선박의 정박 및 항해 안정성이나 항해 성능의 측면에서는 매우 불리한 구조이다.
특히, 문풀 내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와 선체 외부 해수의 상대적인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슬로싱(Sloshing) 현상으로 인해 항해 시에 저항 증가, 속도 저하, 소요 마력 증가, 연료 소모 증가, 선체의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문풀 내부 유체의 유동으로 인한 선체 내로 오버플로잉(Overflowing) 현상이 발생하여 선박의 갑판인 데크(Deck) 위로 넘치는 스플래시(Splash)가 발생된다.
그런데, 스플래시는 데크 주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 및 작업 능률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4068호(2009.04.07.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를 저감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풀(Moonpool)의 일측에 형성된 리세스 월(Recess Wall)의 저벽을 형성하는 리세스 바톰(Recess bottom); 및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Splash)를 저감하도록, 상기 리세스 바톰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문풀에 전달되는 유체 에너지를 차단하는 커튼효과를 발생시키는 스플래시 커튼모듈을 포함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플래시 커튼모듈은, 상기 리세스 바톰에 형성되어 선체의 운동에 따라 상기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하는 플로우덕트유닛; 및 상기 플로우덕트유닛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는 임펠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우덕트유닛은, 상기 리세스 바톰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리세스 문풀 주위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는 절곡덕트유닛일 수 있다.
상기 절곡덕트유닛은, 상기 선체가 하강시에는 선저로 유입되어 가중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해 상기 유체를 분사하도록 '「'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리세스 바톰을 관통하며, 상기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시에는 상기 임펠러유닛을 구동시켜 상기 유체를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임펠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우덕트유닛은, 상기 리세스 바톰의 하단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도록 사선으로 배치되는 사선 직결덕트유닛일 수 있다.
상기 사선 직결덕트유닛은, 상기 선체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도록 '/' 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리세스 바톰을 관통하며, 상기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시에는 상기 임펠러유닛을 구동시켜 상기 유체를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임펠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월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대 이동가능하게 상기 리세스 월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파판을 갖는 스플래시 저감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플래시 저감모듈은, 상기 소파판을 상기 리세스 월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을 상대 이동시키며 시추시 유입되는 유동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소파판을 회동시키는 소파판 회동유닛일 수 있다.
상기 소파판 회동유닛은, 상기 소파판을 상기 리세스 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 상기 소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파판을 상기 리세스 월에 대해 접근 및 이격시키는 신장봉; 및 상기 신장봉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추시 유입되는 유동의 흐름에 따라 상기 스플래시 저감모듈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제어패널(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문풀 내에 슬로싱(Sloshing) 유동이 상기 문풀 제원에 따라 미리 계산된 공진 유동 주기에만 상기 스플래시 저감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 되는 스플래시를 저감시키는 문풀유동 소파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해양구조물의 문풀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해양구조물의 문풀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플래시 저감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플래시 저감모듈의 동작과 소파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선체가 하강 및 상승시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선체가 전진 및 후진 운동시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선체가 하강 및 상승시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선체가 전진 및 후진 운동시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해양구조물의 문풀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해양구조물의 문풀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스플래시 저감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스플래시 저감모듈의 동작과 소파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구조물(1)은, 선체 중앙에서 시추 파이프를 해저 바닥으로 내려보내기 위한 문풀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풀은, 해양구조물(1)의 상부갑판과 바닥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의 직육면체 혹은 원통 형상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해양구조물(1)은, 선박의 주요부분 및 상부에 있는 구조물을 총칭하는 선체(20)와, 후술할 문풀유동 소파장치(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해양구조물(1)은 자항능력을 가지는 시추용 선박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문풀이 형성된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이라면 어떤 것이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석유, 가스 시추 및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드릴십과 특수 지원선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1)에는 드릴링(Drilling)을 위한 문풀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파도가 치는 환경에서 해양 구조물(1)의 운동에 의해 문풀 내에 슬로싱 모드(Sloshing mode) 및 펌핑 모드(Pumping mode)에 의해서 내부의 유체 유동이 데크 위로 넘치는 스플래시가 발생되며, 이것은 주위에서 작업하는 승무원에게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풀의 유동에 의한 스플래시(Splash)를 저감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는, 리세스 바톰(100)과, 스플래시 커튼모듈(300)과,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을 포함한다.
먼저, 리세스 바톰(Recess bottom, 100)은, 데크(Deck)와 해저 사이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문풀(Moonpool)의 일측에 형성된 리세스 월(Recess Wall)의 저벽을 형성한다.
여기서 리세스 월은, 선박의 갑판을 의미하는 데크(Deck)와 해저 사이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문풀(Moonpool)의 일측에 형성되어, 문풀 주위의 벽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해서 만든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이다.
다음으로, 스플래시 커튼모듈(300)은,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Splash)를 저감하도록, 리세스 바톰(100)에 마련되어 유체를 분사하여 문풀에 전달되는 유체 에너지를 차단하는 커튼효과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란, 일반적으로 해수를 의미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담수나 기타 다른 조성을 가지는 유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스플래시 커튼모듈(300)은, 플로우덕트유닛(310)과, 임펠러유닛(330)을 포함한다.
우선, 플로우덕트유닛(310)은, 리세스 바톰(100)에 형성되어 선체(20)의 운동에 따라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플로우덕트유닛(310)은, 리세스 바톰(10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개구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리세스 바톰(100)의 상단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플로우덕트유닛(310)이 'ㄴ'자로 절곡되어 리세스 바톰(100) 의 상부의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한다.
이 경우 플로우덕트유닛(310)은, 선체(20)의 상승 및 하강 운동에 따라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하여 리세스 문풀 주위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절곡되어 마련된다.
즉, 플로우덕트유닛(310)은, 리세스 바톰(100) 주위로 유동하는 유체를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여 문풀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차단하며, 이러한 효과를 커튼효과(Curtain effect)라 지칭한다.
이러한 커튼효과에 의해 유동의 흐름이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므로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은, 리세스 월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대 이동가능하게 리세스 월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파판(515)을 갖는다.
여기서,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은,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를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소파판(515)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의 공극을 가지는 그레이팅 플레이트(Grating plate,격자판)으로 마련되어 접촉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 플레이트는, 옥외 배수구의 뚜껑 등에 쓰이는 격자 모양의 철물, 주철제로 만들어진 격자판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극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이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촉하는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파판(515)은, 상호 중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소파판(515)이며, 복수의 소파판(515)은 공극의 크기가 상호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소파판(515)은 하나의 소파판(515)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파판(515)의 외면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의 다공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은, 소파판(515)을 리세스 월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을 상대 이동시키며 시추시 유입되는 유동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소파판(515)을 회동시키는 소파판 회동유닛(5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소파판(515)의 상대이동 동작 형태로는 슬라이딩, 회동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파판 회동유닛(510)은, 시추시 유입되는 유동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소파판(515)을 회동시키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고, 예를 들어 힌지, 모터, 기어, 벨트, 체인을 갖는 기구 등으로 슬라이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소파판 회동유닛(510)은, 힌지축(511)과, 신장봉(513)과, 구동부(517)를 포함한다.
힌지축(511)은, 소파판(515)을 리세스 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힌지(Hinge)축은, 구조물의 지지축의 일종으로, 휨 모멘트에 대해서 회전은 자유지만 수평 및 연직 이동은 고정되는 지지축을 말한다.
신장봉(513)은, 소파판(515)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파판(515)을 리세스 월에 대해 접근 및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신장봉(513)은, 구동부(51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소파판(515)을 밀게 된다.
그리고 구동부(517)는, 신장봉(513)의 리세스 월에 대한 접근 및 이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517)는 유압실린더로 구현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고, 예를 들어 모터, 솔레노이드, 링크 구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패널(Panel,미도시)은, 시추작업을 담당하는 드릴링 플로어(Drilling floor)에 마련된다.
제어패널(미도시)은, 시추시 유입되는 유동의 흐름에 따라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어패널(미도시)은, 문풀 내에 슬로싱(Sloshing) 유동이 문풀 제원에 따라 미리 계산된 공진 유동 주기에만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문풀 내의 리세스 월에 소파판(515)으로 구성된 문풀유동 소파장치(10)를 이용한다면, 소파판(515)에 의해서 리세스 월로 유입되는 유동방향과 반대의 에너지를 생성하여 이를 소파 에너지로 활용하여 스플래시를 저감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래시 커튼모듈(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플로우덕트유닛(310)이 'ㄴ'자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리세스 바톰(100)의 상부의 유체의 유동을 플로우덕트유닛(310)이 흡입 및 배출한다.
그리고 임펠러유닛(330)은, 플로우덕트유닛(310)이 흡입한 유체를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한다.
이렇게 유체를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여 유동의 흐름이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며 문풀 주위로 전달되는 에너지가 차단되어 유동의 흐름이 안정화 되므로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왼쪽에 위치한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을 예로 들어, 도 5에 도시된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의 소파판 회동유닛(510)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유동하는 유체가 문풀의 리세스 월을 향해 접근하는 경우, 유체가 리세스 월의 바닥면부터 상부 높이까지 다양한 높이로 유동하여 접촉하게 된다.
이때, 문풀 내에 슬로싱 유동이, 문풀 제원에 따라 미리 계산된 공진 주기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패널(미도시)이 스플래시 이동모듈의 구동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만약, 리세스 월의 소파판(515)과 동일한 높이로 유동하는 유체가 들어오게 된다면, 유동하는 유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보내기 위해 소파판(515)을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로 동작되는 구동부(517)는, 신장봉(513)을 밀거나 당기어 리세스 월에 대해 접근 및 이격시키게 된다.
그러면, 힌지축(511)은, 소파판(515)을 리세스 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힌지축(511)을 중심으로 소파판(515)이 회동하게 된다.
그래서, 소파판(515)이 시추시 유입되는 유동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유동방향과 반대의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소파 에너지로 활용하여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를 저감하게 된다.
도 6은 선체가 하강 및 상승시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선체가 전진 및 후진 운동시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a)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문풀유동 소파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a)에서는, 절곡덕트유닛(311)이, '「'자 형상을 가지며 리세스 바톰(1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절곡덕트유닛(311)은, 선체(20)가 하강시에는 선저로 유입되어 가중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문풀의 측벽부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절곡덕트유닛(311)은, 임펠러유닛(33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선체(20)가 전진 또는 후진시에는 임펠러유닛(330)을 구동시켜 유체를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a)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문풀유동 소파장치(10)의 스플래시 저감모듈(500)과 본 실시예의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의 동작은 상호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스플래시 커튼모듈(300a)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가 하강시에는, 선저로 유입되어 가중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절곡덕트유닛(311)으로 유체가 유입된다.
그래서 임펠러유닛(330)은, 자유롭게 회전되며 수압차에 의해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커튼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가 상승시에는, 수압에 의한 관내 유동 흐름이 없으므로 절곡덕트유닛(311)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경우에는 스플래시 커튼모듈(300a)은 동작하지 않으며 문풀의 중심부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의 흐름이 일어나게 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가 전진 운동시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임펠러유닛(330)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래서 임펠러유닛(330)을 강제로 회전시켜 유체를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는 커튼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가 후진 운동시에도, 도 7의 (a)와동작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선체가 하강 및 상승시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선체가 전진 및 후진 운동시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b)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문풀유동 소파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b)에서는, 플로우덕트유닛(310)은, 사선 직결덕트유닛(313)으로 구성된다.
사선 직결덕트유닛(313)은, 리세스 바톰(100)의 하단부에 개구가 형성된다.
사선 직결덕트유닛(313)은,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하여 리세스 문풀에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사선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사선 직결덕트유닛(313)은, 선체(20)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하도록 '/' 자 형상을 가지며 리세스 바톰(1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사선 직결덕트유닛(313)은, 임펠러유닛(33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선체(20)가 전진 또는 후진시에는 임펠러유닛(330)을 구동시켜 유체를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b)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문풀유동 소파장치(10)의 스플래시 저감모듈(500)과 본 실시예의 스플래시 저감모듈(500)의 동작은 상호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스플래시 커튼모듈(300b)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가 하강시에는, 선저로 유입되어 가중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사선 직결덕트유닛(313)으로 유체가 유입된다.
그래서 임펠러유닛(330)은, 자유롭게 회전되며 수압차에 의해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커튼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가 상승시에는, 수압에 의한 관내 유동 흐름이 없으므로 절곡덕트유닛(311)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플래시 커튼모듈(300b)은 동작하지 않고 문풀의 중심부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의 흐름이 일어나게 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가 전진 운동시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임펠러유닛(330)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래서 임펠러유닛(330)을 강제로 회전시켜 유체를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는 커튼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가 후진 운동시에도, 도 9의 (a)와동작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풀유동 소파장치(10, 10a, 10b)를 이용하게 된다면, 시추시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리세스 바톰 300 : 스플래시 커튼모듈
310 : 플로우덕트유닛 310 : 임펠러유닛
500 : 스플래시 저감모듈 510 : 소파판 회동유닛
10 : 문풀유동 소파장치 20 : 선체
1 : 해양구조물

Claims (11)

  1. 문풀(Moonpool)의 일측에 형성된 리세스 월(Recess Wall)의 저벽을 형성하는 리세스 바톰(Recess bottom);
    유체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플래시(Splash)를 저감하도록, 상기 리세스 바톰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문풀에 전달되는 유체 에너지를 차단하는 커튼효과를 발생시키는 스플래시 커튼모듈; 및
    상기 리세스 월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이 상대 이동가능하게 상기 리세스 월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파판을 갖는 스플래시 저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플래시 저감모듈은,
    상기 소파판을 상기 리세스 월에 대해 적어도 일부분을 상대 이동시키며 시추시 유입되는 유동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소파판을 회동시키는 소파판 회동유닛인 문풀유동 소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래시 커튼모듈은,
    상기 리세스 바톰에 형성되어 선체의 운동에 따라 상기 유체를 흡입 및 배출하는 플로우덕트유닛; 및
    상기 플로우덕트유닛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는 임펠러유닛을 포함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덕트유닛은,
    상기 리세스 바톰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문풀 주위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는 절곡덕트유닛인 문풀유동 소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덕트유닛은,
    상기 선체가 하강시에는 선저로 유입되어 가중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해 상기 유체를 분사하도록 '「'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리세스 바톰을 관통하며,
    상기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시에는 상기 임펠러유닛을 구동시켜 상기 유체를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임펠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덕트유닛은,
    상기 리세스 바톰의 하단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도록 사선으로 배치되는 사선 직결덕트유닛인 문풀유동 소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직결덕트유닛은,
    상기 선체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도록 '/' 자 형상을 가지되 상기 리세스 바톰을 관통하며,
    상기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시에는 상기 임펠러유닛을 구동시켜 상기 유체를 상기 문풀의 측벽부를 향하여 분사하도록 상기 임펠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파판 회동유닛은,
    상기 소파판을 상기 리세스 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
    상기 소파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파판을 상기 리세스 월에 대해 접근 및 이격시키는 신장봉; 및
    상기 신장봉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시추시 유입되는 유동의 흐름에 따라 상기 스플래시 저감모듈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제어패널(panel)을 더 포함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문풀 내에 슬로싱(Sloshing) 유동이 상기 문풀 제원에 따라 미리 계산된 공진 유동 주기에만 상기 스플래시 저감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문풀유동 소파장치.
KR1020140061030A 2014-05-21 2014-05-21 문풀유동 소파장치 KR101556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030A KR101556187B1 (ko) 2014-05-21 2014-05-21 문풀유동 소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030A KR101556187B1 (ko) 2014-05-21 2014-05-21 문풀유동 소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187B1 true KR101556187B1 (ko) 2015-09-30

Family

ID=5424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030A KR101556187B1 (ko) 2014-05-21 2014-05-21 문풀유동 소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18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5319B2 (ja) 浮遊式海洋構造物
KR102046438B1 (ko) 선박의 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선박의 계류 장치
KR101487513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20120035989A (ko) 시추선
KR101556187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20120001055U (ko) 시추선을 위한 트롤리 레일의 리세스 타입 구조
KR101684369B1 (ko) 해양 구조물
KR101571305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NO339679B1 (no) Beskyttet moonpool
KR102055401B1 (ko) 세미 리그선의 가설 발라스트 장치
KR101491672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101102808B1 (ko) 라이저 인장 장치
KR200426887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KR101607875B1 (ko) 선박
KR101167924B1 (ko) 선박의 문풀부 저항 감소구조
WO2014173456A1 (en) Turret mooring
KR101635157B1 (ko) 플로팅 도크
KR20130005034A (ko) 문풀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2632396B1 (ko) 문풀 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466055B1 (ko) 슬로싱 저감 장치
KR20170025822A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1567889B1 (ko) 해양 구조물
KR101374172B1 (ko) 해양 구조물의 해수 배출 장치
KR20170024256A (ko) 극지 해양구조물의 적층 얼음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극지 해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