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734A -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734A
KR20130135734A KR1020130019942A KR20130019942A KR20130135734A KR 20130135734 A KR20130135734 A KR 20130135734A KR 1020130019942 A KR1020130019942 A KR 1020130019942A KR 20130019942 A KR20130019942 A KR 20130019942A KR 20130135734 A KR20130135734 A KR 20130135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er
student
group
student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규
백치현
엄유열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3664A/ko
Priority to US13/894,105 priority patent/US20130309648A1/en
Priority to EP13168456.5A priority patent/EP2667340A1/en
Priority to PCT/KR2013/004462 priority patent/WO2013176476A1/en
Priority to CN2013101920800A priority patent/CN103426132A/zh
Priority to JP2015513900A priority patent/JP2015524104A/ja
Publication of KR2013013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시스템에서, 수업을 생성하고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수업에 참여할 학생을 설정하고, 수업 중 학생 그룹을 구성하고, 학생들의 정보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사관리를 관리하는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생성한 자료를 이용하여, 과제 결과물 및 시험을 제출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출한 과제물 및 시험에 대해 첨삭 지도를 하고. 교사 첨삭 지도한 내용은 서버에 저장이 되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VE LEARNING MANAGEMENT AND EDUCATIONAL MATTERS}
본 발명은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와 컴퓨터 그리고 서버를 이용한 상호피드백이 가능한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스크린을 주 입력 장치로 장착한 휴대용 컴퓨터이며 개인이 직접 갖고 다니며 조작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는 태블릿 PC(Tablet PC)등의 보급으로 인해, 전자책, 전자신문, 전자잡지 등이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다. 특히, 학교 등에서 디지털 교과서가 수업에 이용되고 있다.
전자책 시장이 활성화된다는 것은 디지털 단말기를 통해 사람들이 독서를 많이 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가 널리 확산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분야에도 유러닝(u-Learning) 환경으로 변화해가면서 전자책을 공식적인 교육도구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수업 솔루션 및 학습관리 솔루션은 단방향의 수업 솔루션이거나, 학습 자료를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교사나 학사 관리자 중심의 기능을 주로 제공한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은 교사나 학사 관리자 중심이어서, 수업을 위한 교사-학생간, 그리고 학생들간의 자유로운 수업방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학교 내 모든 구성원에 따른 접근권한이 다른 학사 정보 및 수업에 필요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육 분야에 있어,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교사-학생간 그리고 학생들간의 자유로운 대화형(interaction) 방법을 제공하기 솔루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시스템에서, 수업을 생성하고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수업에 참여할 학생을 설정하고, 수업 중 학생 그룹을 구성하고, 학생들의 정보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사관리를 관리하는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생성한 자료를 이용하여, 과제 결과물 및 시험을 제출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출한 과제물 및 시험에 대해 첨삭 지도를 하고. 교사 첨삭 지도한 내용은 서버에 저장이 되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그룹 활동을 위한 교사기기의 방법은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상기 교사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그룹을 구성하는 조장 및 조원들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의 조장으로부터 그룹 활동의 산출물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 전송 시,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은 상기 그룹의 조장에 조원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으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그룹 활동 중인 멤버의 화면을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그룹의 조장으로부터 수신한 그룹 활동의 산출물에 대한 평가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은, 그룹 인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인원을 기준을 다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과, 학생목록으로부터 학생들을 드래그앤드롭하여 생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은, 그룹 인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인원을 기준을 다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학생들을 랜덤하게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그룹 활동을 위한 조장기기의 동작 방법,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조장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교사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알리는 그룹 화면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원들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그룹활동을 위한 작업을 선택한 후, 조원 수를 기반으로 선택된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작업을 각각의 조원 기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 내용을 각각의 조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작업 내용을 취합하는 과정과,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원들에게 전송할 시, 상기 조장 기기의 화면이 조원들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전달한 후, 수정된 작업 내용을 해당 조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갱신하여,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교사 기기의 작업 내용만을 표시하는 과정 또는,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조원 기기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그룹 활동을 위한 조원 기기의 동작 방법은,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조원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교사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알리는 그룹 화면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조장 기기의 화면을 공유하기 위해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할당된 작업을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작업 내용을 상기 조장 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조장 기기 및 다른 조원 기기들의 작업 내용과 취합된 작업 내용을 상기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구현에 있어서,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 수신 시, 상기 조장 기기의 화면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수정된 작업 내용을 조장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정된 작업 내용을 기반으로,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조원 기기의 작업 내용만을 표시하는 과정 또는,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조원 기기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문제 처리를 위한 교사 기기의 동작 방법은 문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문제 목록을 기반으로, 문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할 것을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교육 과정 시,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해당하는 문제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상기 문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서버에 자동채점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채점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문제 처리를 위한 학생 기기의 동작 방법은, 해당 교육 과정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해당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문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문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교사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해당 기기는 서버 또는 교사 기기 또는 이미 문제 데이터를 수신한 학생 기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견지에 따르면, 문제 처리를 위한 서버 동작 방법은, 교사 기기로부터 문제 목록을 요청 받을 시, 상기 문제 목록을 상기 교사 기기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해당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 할 것을 요청 받는 을 시, 해당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교육 과정 시,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해당하는 문제 데이터를 요청 받을 시, 상기 문제 데이터를 상기 교사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자동채점을 요청 받아 채점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채점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견지에 따르면, 과제물 처리를 위한 교사 기기의 동작 방법은, 과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과제 목록을 기반으로, 특정 학생의 과제를 선택하는 과정과,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 해상도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특정 학생의 과제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된 특정 학생의 과제 내용의 특정 위치 첨삭 내용을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된 첨삭 내용과 함께 상기 첨삭 내용이 상기 과제 내용에 표시될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9 견지에 따르면, 과제물 처리를 위한 서버 동작 방법은 교사 기기로부터 과제 목록을 수신할 시, 상기 교사 기기에 과제 목록을 제공하는 과정과,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요청 받을 시, 상기 교사 기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교사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에 추가된 첨삭 내용과 함께 상기 첨삭 내용이 상기 과제 내용에 표시될 위치 정보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학생으로부터 과제물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학생으로부터 과제물에 대한 피드백 요청을 받을 시, 상기 특정 학생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교사의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상기 특정 학생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0 견지에 따르면, 과제물 처리를 위한 학생 기기의 동작 방법은 과제물을 서버에 제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제물 제출 후, 학생 기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 피드백 요청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교사의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과제 내용에 포함된 첨삭 내용을 비활성 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1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상기 교사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그룹을 구성하는 조장 및 조원들에게 전송하고, 상기 그룹의 조장으로부터 그룹 활동의 산출물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구현에 있어서,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 전송 시,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은 상기 그룹의 조장에 조원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으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그룹 활동 중인 멤버의 화면을 모니터링 하는 명령어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의 조장으로부터 수신한 그룹 활동의 산출물에 대한 평가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그룹 인원을 결정하고, 상기 그룹 인원을 기준을 다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학생목록으로부터 학생들을 드래그앤드롭하여 생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그룹 인원을 결정하고, 상기 그룹 인원을 기준을 다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학생들을 랜덤하게 이동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2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조장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교사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알리는 그룹 화면으로 전환하고,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원들에게 전송하고, 그룹활동을 위한 작업을 선택한 후, 조원 수를 기반으로 선택된 작업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작업을 각각의 조원 기기에게 전송하고, 상기 작업 내용을 각각의 조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작업 내용을 취합하고,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전달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구현에 있어서,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원들에게 전송할 시, 상기 조장 기기의 화면이 조원들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전달한 후, 수정된 작업 내용을 해당 조원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갱신하여,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생성하고, 상기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전달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교사 기기의 작업 내용만을 표시하는 명령어 또는,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조원 기기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3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조원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교사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알리는 그룹 화면으로 전환하고, 조장 기기의 화면을 공유하기 위해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할당된 작업을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작업 내용을 상기 조장 기로 전송하고, 상기 조장 기기 및 다른 조원 기기들의 작업 내용과 취합된 작업 내용을 상기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구현에 있어서,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 수신 시, 상기 조장 기기의 화면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수정된 작업 내용을 조장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정된 작업 내용을 기반으로,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조원 기기의 작업 내용만을 표시하는 명령어 또는,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조원 기기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4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문제 목록을 기반으로, 문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할 것을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해당 교육 과정 시,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해당하는 문제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상기 문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서버에 자동채점을 요청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채점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5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해당 교육 과정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해당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문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한 문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교사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해당 기기는 서버 또는 교사 기기 또는 이미 문제 데이터를 수신한 학생 기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6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로부터 문제 목록을 요청 받을 시, 상기 문제 목록을 상기 교사 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해당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 할 것을 요청 받는 을 시, 해당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하고, 상기 해당 교육 과정 시,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해당하는 문제 데이터를 요청 받을 시, 상기 문제 데이터를 상기 교사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자동채점을 요청 받아 채점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채점 결과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7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과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과제 목록을 기반으로, 특정 학생의 과제를 선택하고,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화면 해상도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특정 학생의 과제 내용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표시된 특정 학생의 과제 내용의 특정 위치 첨삭 내용을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첨삭 내용과 함께 상기 첨삭 내용이 상기 과제 내용에 표시될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8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로부터 과제 목록을 수신할 시, 상기 교사 기기에 과제 목록을 제공하고,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요청 받을 시, 상기 교사 기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교사 기기에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에 추가된 첨삭 내용과 함께 상기 첨삭 내용이 상기 과제 내용에 표시될 위치 정보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제공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학생으로부터 과제물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학생으로부터 과제물에 대한 피드백 요청을 받을 시, 상기 특정 학생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교사의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상기 특정 학생에 제공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9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과제물을 서버에 제출하고, 상기 과제물 제출 후, 학생 기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 피드백 요청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교사의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과제 내용에 포함된 첨삭 내용을 비활성 시켜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의 자유로운 공유와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중심의 수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써,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업에 필요한 자료(교재/교안/시험지 등)를 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학교내 복잡한 학사 정보 등의 손쉬운 관리가 가능하다. 전자 교과서/교안(teaching plan) 등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교재/교안을 대체해 가는 상황 속에서,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솔루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업개설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설강좌의 학생등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의관련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석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제출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학생정보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출석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의 생활태도평가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의 기본 대화형 화면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의 과목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실행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수업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그룹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학생 화면 제어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저장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메모장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화면 제어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열기 및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작업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서 터치 대화형 입력 종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를 위한 런처(launcher) 프로그램의 메뉴 구조,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을 위한 런처(launcher) 프로그램의 메뉴 구조,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
도 36a-36b는 교사의 런처 화면에서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36a-36b는 교사의 런처 화면에서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37a-37c는 교사의 런처 화면에서 "My timetable" 메뉴 실행 후의 My timetable 화면,
도 38a-38b는 교사의 런처 화면에서 "My timetable" 메뉴에서 수업개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39는 My timetable 화면에서 선택된 하나의 강좌의 상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
도 40은 My timetable 내에서 선택된 하나의 강좌를 다른 강좌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41은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복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42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43은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44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에 참여하는 학생을 관리를 위한 화면,
도 45a-45b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에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46은 My timetable 내에서 그룹된 경우의 강좌를 참여하는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47a-47b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참여하는 학생들에 대해 그룹 멤버를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48은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참여하는 학생들에 대해 그룹 멤버를 랜덤하게 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49a-49d는 My timetable 내에서 그룹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0은 My timetable 내에서 그룹 삭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1a-51b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참여하는 학생들에 삭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2는 My timetable 내에서 해당 강좌를 위한 게시판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3은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의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4는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에서 첨부파일을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5a-55b는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에 업로드된 첨부파일을 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6은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에 다수 첨부파일을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7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페이지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8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검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59는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내용을 작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0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내용을 작성한 후 My files로부터 첨부파일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1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내용을 작성 시 Drawing pad를 이용하여 첨부파일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2a-62b는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을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3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해당 게시물을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4a-64b는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다수 게시물을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5는 My timetable 내에서 포럼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6은 My timetable 내에서 포럼을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7a-67b는 My timetable 내 포럼 리스트로부터 다수 게시물을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8은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69는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 상태 종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0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테스트 전의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1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테스트 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2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3a-73b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완료된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4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진행중인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5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진행된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6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중인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7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완료된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8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진행 전 폴링(polling)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79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진행중인 폴링(polling)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0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완료된 폴링(polling)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1a-81b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에서 강좌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2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에서 강좌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3a-83b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에서 강좌를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4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 목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5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6a-86b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contents library로부터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7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My files로부터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8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9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시 이미 동일한 의미의 파일이 있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90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다수 콘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90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다수 콘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91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2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출석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3은 과제할당 상태 종류를 도시하고 있다.
도 94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레포트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5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진행 전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6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진행된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7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8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완료된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9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새로운 레포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0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새로운 레포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101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 목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2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진행 전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3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테스트 전의 퀴즈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4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테스트 전의 퀴즈 삭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5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테스트 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6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7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S-펜을 이용하여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8a-108c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완료된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9a-109c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0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를 퀴즈뱅크에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1a-111c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 삭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2a-112b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폴(poll)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3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진행 전 폴(poll)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4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폴(poll)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5는 퀴즈 및 폴에 의한 학생 답변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6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개인 박스에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7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콘텐츠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8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9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0a-120b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복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1a-121b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잘라내기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1a-121b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2는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3a-123b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등급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4는 contents library 내의 퀴즈 뱅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5는 contents library 내의 퀴즈 뱅크에 퀴즈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6a-126d는 contents library 내의 퀴즈 뱅크에 퀴즈 종류를 프리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7은 My students 내의 일반 학생 정보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8a-128b은 My students 내의 학생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0은 My students 내의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1은 My students 내의 지정되지 않은 목록으로부터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2는 My students 내의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3은 My students 내의 학생 출결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4a-134b는 My students 내의 학생 출결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5는 My students 내의 학생 출결 날짜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6은 My students 내의 모든 학생을 출석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7은 My students 내의 성적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8은 My students 내의 성적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9는 My students 내의 성적 페이지를 오른쪽/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0은 My students 내의 학급 내의 학생에 대한 성적 결과를 그래프로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1은 My students 내의 임의의 하나의 학생에 대한 성적 결과를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2는 My students 내의 생활태도평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3은 My students 내의 생활태도평가 의 날짜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4는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5는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 정보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6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 정보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7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출결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8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출결 히스토리 페이지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9는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성적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0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생활태도평가 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1a-151c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생활태도평가 를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2a-152c은 학생의 My Timetalbe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3은 학생의 강좌에 대한 설명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4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같은 학급의 학생 목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5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6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 생성/검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7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포럼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8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9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 제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0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1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한 주에 대한 개략적인 스케줄을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2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3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레포트 제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4a-164b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퀴즈 및 폴(poll)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5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마감된 퀴즈 및 폴(poll)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6은 학생의 contents library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7은 학생 자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8은 학생 자신의 출결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9는 학생 자신의 성적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0은 학생 자신의 생활태도평가 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1 내지 도 172는 런처 프로그램을 액세스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3 내지 도 174는 런처 프로그램을 액세스한 후 초기화면을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5는 런처 화면에서 게시판과 알림판 그리고 쪽지 수신여부를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6은 런처 화면에서의 알림판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7은 런처 화면에서의 게시판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8은 런처 화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9a-179c은 런처 화면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업로드 실행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0은 런처 화면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운로드, 편집, 수업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1은 런처 화면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한 오버뷰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2는 런처 화면의 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3은 메시지 응답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4a-184b는 메시지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5는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6a-186b는 메시지 삭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7은 IMS를 위한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이다.
도 188a-188b는 IMS를 위한 교사 런처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9는 IMS를 위한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이다.
도 191-192는 IMS를 위한 학생 런처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3은 강좌를 시작하기 전의 런처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3a-193c는 IMS를 위한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이다.
도 19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5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students tab/Thumbnail view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students tab/Group view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8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Note toolba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9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Note toolbar->detail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0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New note->whiteboard, Mini memo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1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Full view mod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2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note toolba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3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Detail view/Student's Screen share mod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Private teaching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5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서 Open/Close lis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6 내지 도 20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서 Full view mod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9 내지 도 210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서 Scroll area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1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Contents viewe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2a-212c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zoom in/ou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3 내지 도 21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Open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8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New note->whitteboard, mini memo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9 내지 도 223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creen share->course tab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24 내지 도 228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메시지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29 내지 도 23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폴(poll) 및 퀴즈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35 내지 도 23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Open new fil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38 내지 도 239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Send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0 내지 도 240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tudent list->detail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1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tudent list->attendance check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2 내지 도 243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tudent list->Assign as presente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 Note->Text inpu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5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 Note->Handwriting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 Note->Redo/Undo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tart group activity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8 내지 도 25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그룹생성/편집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5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assign as presente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58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Lock/Unlock Screen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59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Lock/Unlock inpu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0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Screen shar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1 내지 도 262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Private teaching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3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Auto launch -Launch URL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Auto launch -Launch app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5 내지 도 26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Auto lauch -lauch Time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8 내지 도 270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Manage student-Mange lis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71 내지 도 275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Manage student-Lock Screen/Unlock Screen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7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Manage student-Edit lock sentenc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77 내지 281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Manage student-Lock input/Unlock inpu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2는 Manage student의 lock screen/lock input 메뉴를 정의한 도면이다.
도 283 내지 도 284은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more menu->save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5a 내지 285b는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more menu->close cours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6a 내지 도 286b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이다.
도 287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default view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8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Group tab/Group lis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9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Group tab/Contents lis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0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screen share mod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1 내지 도 295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New note>mimi-memo/Full not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6a 내지 296b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Quiz/Poll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7 내지 298은 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message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9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Open new fil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0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Send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1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save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2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의 student/Group tab에서 start group activity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3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의 student/Group tab에서 start group activity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4는 그룹 리더에 의해 screen share가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5는 End group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6 내지 도 316은 그룹 리더에 의해 화면의 이미지가 분할하여 공동작업하여 공동작업이 끝난 후에 공동 작업한 데이터가 취합되어 하나의 작업을 끝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17은 특정학생 화면을 공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18 내지 319은 external launching를 시작시 screen shar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활동을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활동을 위한 교사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활동을 위한 그룹 조장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활동을 위한 그룹 조원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교사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학생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물 처리를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물 처리를 처리하기 위한 교사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물 처리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물 처리를 처리하기 위한 학생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학교 내에 메인 서버를 중심으로 학사 및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일괄 관리하고, 각 교실 내 여러 대의 디바이스(PC, Tablet등)가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 후 각 교실 내 독자적인 수업을 개설하여 교사-학생 간 상호 피드백이 가능한 수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교사-학생 간의 피드백 외에도 학생들간 자유로운 대화(interaction)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교사가 사용하는 단말기(110)와 애플리케이션, 학생이 사용하는 단말기(120)와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학교 내 비치되는 서버(100)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이들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장치(Wi-Fi) 혹은 이동통신망(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방식,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으로 구성된다. 교사의 경우, 교사용 PC 애플리케이션도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치 간 통신은 Wi-Fi 통신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유선랜으로 연결가능하다. 한편, Wi-Fi Direct 및 WI-Fi Display 기술을 기반으로, 학생들간 혹은 교사-학생들간 P2P(peer to peer)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동작이 구분된다.
첫째 학습관리 및 학생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각 디바이스(교사 디바이스(110), 학생 디바이스(120))를 가지는 교사, 학생, 관리자는 학교 내 메인 서버(100)에 로그인 방식으로 접근하여, 각 권한에 맞는 정보를 조회/생성/수정/삭제할 수 있다.
교사(110)는 수업 전 자신의 수업을 생성하고 수업에 필요한 자료(교재/교안/시험지 등)를 서버에 업로드한다. 수업에 참여할 학생을 설정할 수 있으며, 수업 중 학생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자신의 학생들의 정보뿐 아니라 학생들의 시험 점수/생활 항목/시간표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수업시간에는 설정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학생(120)은 자신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교사(110)가 생성한 자료(교재/교안/시험지 등)를 볼 수 있으며, 과제의 결과물 등을 제출할 수 있다.
또한 교사(110)는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물 및 시험에 대해서 첨삭 지도를 할 수 있다. 교사 첨삭 지도한 내용은 서버에 저장이 되며 학생은 교사로부터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는데, 이 내용은 콘텐츠(content)와 동기화되어 관리된다. 즉, 학생(120)이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콘텐츠를 스크롤할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에 첨삭 내용을 받아볼 수 있으며, 그 위에 자신이 필기한 내용을 추가할 수도 있다.
학습자료 및 제출된 과제들은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학생(120)과 교사(110)는 언제 어디서나 자료 조회 및 갱신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 학교라는 물리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진 학습에서 시간 및 물리적인 공간 제약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교사(110)가 작성한 자료들은 다른 교사들과 공유를 함으로써 교안 및 교재 작성에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다른 교사들과의 소통을 통해 작성된 콘텐츠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대화형 수업지원에 관한 것으로, 교사(110)는 네트워크상에 수업을 개설할 수 있으며, 각 학생(120)은 개설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수업에 참여를 하게 되면, 교사(110)는 교사 자신의 화면을 학생(120)에 공유할 수 있으며, 실시간 판서(writing on the blackboard)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교사(110)는 각 학생(120)들의 화면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학생의 디바이스(120)를 원격제어(입력 통제, 화면 잠금, 애플리케이션 실행 통제 등)를 할 수 있다. 원격컨트롤과 원격제어의 범위는 학생 디바이스(120)에서 통제 가능한 모든 기능에 대해 해당한다.
그룹활동을 지원하는 도구를 제공하여 학생들 간의 대화형 수업도 지원한다. 학생들(120)은 교사(110)의 통제하에 각 그룹별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파일공유, 화면공유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그룹활동을 할 수 있으며 결과물을 공유하고 발표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룹생성은 교사를 통해서 할 수 있으며 각 그룹별로 조장이 지정되어 조장의 단말을 중심으로 각 그룹원들의 단말들이 서브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된 그룹 내에서 서로 파일공유 및 화면공유, 협업 등의 그룹활동이 가능하다. 그룹활동에서 생성된 자료들을 학습관리시스템에서 자동 저장되어 관리된다. 구현에 따라, 그룹생성은 교사에 의해 지정된 그룹 조장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간 시험 진행 및 폴 기능(혹은 투표 기능)은 미리 작성된 내용으로도 가능하고, 즉석에서 즉흥적으로 작성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학생과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들 간, 그룹 간에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메시지 전송시 문자 타이핑 데이터뿐만 아니라 교재화면에 첨삭한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다.
학생이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서버에 있는 자료를 전송받을 시,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1:N방식이 아닌 이미 다운로드받은 학생 단말로부터의 재전송 기능도 백그라운드 서비스로 제공한다.
수업시간에 참여시, 자신이 등록된 현재 진행중인 수업에 자동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학습관리시스템은 학사일정을 기반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현재 자신(교사/학생)의 시간표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수업으로 이동된다.
상기 학습관리, 학생관리, 대화형 수업지원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 도 2 내지 하기 도 29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3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와 관련한 흐름도이고, 도 14 내지 도 29는 교사-학생간 및 학생들간 대화형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하 IMS(Interactive Management System)라 칭함)과 관련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업개설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200단계에서 로그-인을 통해 서버에 접속을 하고, 202단계에서 접속 후 초기화면에서 교사의 시간표와 등록된 수업을 확인할 수 있는 My timetable를 디스플레이한다. 204단계에서 수업개설을 설정하고 206단계에서 수업개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수업 개설 시 해당 교사의 주일 스케줄에서 여유 시간을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교사는 빈 시간을 기반으로 수업을 생성할 수 있어 자신의 스케줄 관리를 할 수 있다.
이후, 수업개설 후에 개설된 수업에 대해서 교사는 개설된 수업을 편집할 수 있다(208 단계). 예를 들어, 교육과정을 복사하거나 삭제하거나 혹은 교육과정을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설강좌의 학생등록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300단계에서 학생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302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학생 목록을 이용하여 개설강좌에 참여할 학생들을 선택한다.
교사 디바이스는 304단계에서 이미 다른 강좌에 이미 등록된 학생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306단계에서 다른 강좌에 이미 등록된 학생들은 그 강좌의 학생 목록에서 삭제한다.
교사 디바이스는 308단계에서 개설된 강좌에 참여할 학생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에 교사 디바이스는 개설된 강좌에 참여할 학생들에 대해서 그룹 멤버 설정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310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400단계에서 과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402단계에서 과제 리스트로부터 해당 과제를 선택한다.
그리고, 404단계에서 과제에 대한 진행 정보를 출력하고 406단계에서 평가정보 확인을 위한 학생을 선택하고, 그리고 408단계에서 해당 학생 평가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교사 디바이스는 과제를 추가/삭제/편집할 수 있다(410단계). 또한, 진행중인 과제에 대해 평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412단계). 그리고, 과제제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414단계). 예를 들어, 교사는 학생이 제출한 과제물에 대해서 Text, 펜 제스쳐(Pen Gesture) 등을 통해서 첨삭이 가능하다. 첨삭한 데이터는 학생 과제와 동기되어 학습관리 시스템에 자동 저장되어 관리된다.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의관련 스케줄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500단계에서 교사의 해당 강의 시간표를 확인할 수 있는 스케줄 정보를 출력하고 502단계에서 스케줄 설정 상태를 표시하고 504단계에서 강의 스케줄(이동/삭제/추가)을 편집하고 506단계에서 스케줄 설정 상태를 변경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석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600단계에서 출석관리 모드로 진입하여 602단계에서 멤버 리스트를 출력한다. 그리고 604단계에서 출석관리를 위한 멤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강의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을 선택할 수도 있고, 교사가 멤버리스트에서 하나하나 선택할 수 있다. 606단계에서 선택된 멤버와 출석상태를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제출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700단계에서 과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702단계에서 리스트에 포함된 과제를 선택한다. 그리고, 704단계에서 과제제출 기능을 설정하고, 706단계에서 과제제출 기능을 활성화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학생정보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800단계에서 수업에 포함된 학생정보를 표시하고, 검색기능 시(802단계), 검색어와 관련된 학생정보를 표한다(804단계). 그룹생성기능 시(806단계), 수업에 포함되는 학생에 대한 그룹을 생성한다(808단계). 학생추가기능 시(810단계), 수업에 학생을 추가한다(812단계). 학생삭제기능 시(814단계), 수업에 학생을 삭제한다(816단계). 정렬기능 시(818단계), 정렬조건에 따라 학생정보를 표시한다(820단계). 메시지전송 기능 시(822단계), 선택된 학생 정보를 고려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824단계). 학생선택 시(826단계), 선택된 학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828단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출석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900단계에서 출석메뉴 선택시, 902단계에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출석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904단계에서 출석정보 변경시, 906단계에서 수업에 포함되는 학생들의 출석정보를 변경한다. 즉, 담당 학급의 전체 학생의 출결 확인이 표시되며, 담당 교사만 출결 변경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 수업 참석 시 기준으로 출석/결석/지각/조퇴 상태를 받아오고 최종 반영은 담임 교사가 한다.
그리고, 910단계에서 날짜검색 시, 912단계에서 해당 날짜에 대한 학생들의 출석정보를 표시하고, 914단계에서 학생선택 시, 916단계에서 선택된 학생의 출석정보를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성적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1000단계에서, 성적메뉴 선택시, 1002단계에서, 수업에 포함되는 학생들의 성적을 표시한다. 1004단계에서, 과목선택 시, 선택된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성적을 표시한다(1006단계). 1008단계에서 결과검색 시, 학생들의 성적을 그래프로 표시한다(1010단계). 1012단계에서 학생선택 시, 선택된 학생의 성적을 표시한다(1012단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의 생활태도평가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1100단계에서 생활태도 평가 메뉴 선택시, 1102단계에서 수업에 포함되는 학생들의 생활태도평가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1104단계에서 생활태도평가 정보 변경시, 수업에 포함되는 학생들의 생활태도평가 정보를 변경한다(1106단계). 1108단계에서 날짜검색 시, 해당 날짜에 대한 학생들의 생활태도평가 정보를 표시한다(1110단계). 1112단계에서 학생선택 시, 선택된 학생의 생활태도평가 정보를 출력한다(1114단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의 기본 대화형 화면을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학생 디바이스는 1200단계에서 스마트 스쿨 선택시, 스마트 스쿨 서비스 화면을 표시한다(1202단계).
스마트 스쿨 서비스 화면에서 시간표 선택시(1204단계), 개인 시간표를 표시한다(1206단계). 그리고 스마트 스쿨 서비스 화면에서 내 정보 메뉴 선택시(1208단계), 학생정보를 표시한다(1210단계). 스마트 스쿨 서비스 화면에서 과목정보 선택시(1212단계), 과목정보를 표시한다(1214단계). 스마트 스쿨 서비스 화면에서 메시지 메뉴선택시(1216단계), 송수신 메시지 정보를 표시한다(1218단계). 스마트 스쿨 서비스 화면에서 콘텐츠 라이브러리 메뉴선택시(1220단계), 선생님이 공개한 콘텐츠를 표시한다(1222단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의 과목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학생 디바이스는 1300단계에서 과목정보 선택시, 해당 과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1302단계).
학생메뉴 선택시(1304단계), 해당 과목을 청취하는 학생정보를 표시한다(1306단계). 그리고 게시판 선택시(1308단계), 게시판에 개시된 정보를 표시한다(1310단계). 포럼 선택시(1312단계), 포럼 정보를 표시한다(1314단계). 출석메뉴 선택시(1316단계), 해당 과목의 학생들에 대한 출석정보를 표시한다(1318단계). 스케줄 선택시(1320단계), 스케줄정보를 표시한다(1322단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실행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1400단계에서 수업화면에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파일이 선택될 시, 1402단계에서 선택된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선택된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을 시, 선택된 파일을 교사의 수업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1404단계).
선택된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필요할 시, 선택된 파일을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한다(1406단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수업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1500단계에서 교사의 수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note 선택시(1502단계), 텍스트 및 사용자의 수기를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한다(1504단계). quiz&poll 선택시(1506단계), 교사는 설문 및 퀴즈를 생성하고 학생들이 답하면 결과를 확인한다(1508단계). screen share 선택시(1510단계), 교사의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을 공유하여 학생의 화면에 표시한다(1512단계). 즉, 교사의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은 학생들의 디바이스로 전달되어 표시된다. 메시지 수신시(1514단계),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1516단계). new note 선택시(1518단계), whiteboard 혹은 mini-memo 선택을 한다(1520단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수업진행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1600단계에서 교사의 수업화면을 표시하고 학생이름 중복시 학번을 추가로 표시한다.
학생 선택시(1602단계), 상세보기를 표시한다(1604단계). 예를 들어, 상단에 선택된 학생이름과 현재 수업중인 교재화면을 표시한다.
출석 확인 선택시(1606단계), 교사의 수업에 참여한 학생 수 및 결석한 학생수를 표시한다(1608단계).
assign presenter 선택시(1610단계), 현재 수업 중인 내용에 대해 발표할 학생을 지정한다(1612단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그룹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1700단계에서 교사 수업화면을 표시하고, 그룹시작시(1700단계), 기정의된 그룹단위로 활동한다(1702단계). 그리고, 그룹이 종료되면(1704단계) 그룹단위 활동을 종료한다(1708단계).
한편, New group 선택시(1710단계), 교사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그룹으로 지정한다(1712단계). 그리고 그룹편집 선택시(1714단계), 기 지정된 그룹을 편집한다(1716단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그룹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교사의 수업화면을 표시한다(1800단계).
auto launch시(1802단계), 메뉴표시를 한다(1804단계).
메뉴표시에서 launch URL선택 시(1806단계), 교사가 입력한 URL에 해당하는 화면을 모든 학생 화면에 표시한다(1808단계).
메뉴표시에서 launch APP 시(1810단계),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교사가 선택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모든 학생 화면에 표시한다(1812단계).
메뉴표시에서 timer시(1814단계), 모든 학생 화면에 timer를 표시한다(1816단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의 학생 화면 제어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9를 참조하면, 교사의 수업화면에 학생 탭에서 선택된 학생의 상세보기를 표시한다(1900단계).
상세보기에서 assign as presenter선택 시(1902단계), 선택된 학생이 발표를 진행한다(1904단계). 그리고 발표가 종료될 시(1908단계), 학생의 발표를 종료한다(1910단계).
상세보기에서 lock&unlock screen선택 시(1906단계), 학생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1912단계).
상세보기에서 lock&unlock input선택 시(1914단계), 학생 화면 입력을 제어한다(1916단계).
상세보기에서 screen share선택 시(1918단계), 전제 학생에게 선택된 학생의 화면을 공유한다(1920단계).
상세보기에서 private teaching선택 시(1922단계), 선택된 학생 디바이스를 교사가 원격 제어한다(1924단계). 그리고 private teaching 종료시(1926단계), 원격제어를 종료한다(1928단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런처(launcher) 화면에서 "students" 메뉴를 선택한다(20000단계).
교사 디바이스는 2002단계에서 "students" 메뉴에서 섬네일(thumbnail) 형태로 학생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2004단계에서 lock screen 부메뉴 선택한다. 적어도 하나의 학생을 결정한 후, 잠금 메뉴 선택한다(2006단계). 이후,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된 학생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2014단계).
한편, 교사 디바이스에 의해 잠금 설정 혹은 잠금 해제 선택시, 잠금 설정 혹은 잠금 해제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학생 디바이스로 전송되어(2008단계), 학생 디바이스는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 설정 혹은 잠금 해제상태를 유지하고(2010단계) 잠금 설정 혹은 잠금 해제 스크린을 교사 디바이스에 전송한다(2012단계). 교사 디바이스에서는 2012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된 학생 목록을 표시한다(2014단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1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런처(launcher) 화면에서 "students" 메뉴를 선택한다(2100단계).
교사 디바이스는 2102단계에서 "students" 메뉴에서 섬네일(thumbnail) 형태로 학생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2104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목록 관리(Manage app list) 부메뉴 선택한다.
이후, 2106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한 후, 수정메뉴를 선택한다. 2108단계에서 수정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한다.
한편, 교사 디바이스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목록 수정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학생 디바이스에 전달되어, 학생 디바이스에서도 수정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한다(2110단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저장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2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런처(launcher) 화면에서 "contents" 메뉴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2200단계).
이후, 수업 종료 메뉴를 선택할 시(2202단계), 콘텐츠 저장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한다(2204단계).
콘텐츠 저장 팝업창에서 저장할 시(2206단계), 콘텐츠 저장 메뉴 디스플레이한다(2208단계).
콘텐츠 저장 메뉴에서 저장시(2212단계) 콘텐츠를 저장하고(2214단계) 취소시 2200단계로 진행한다.
콘텐츠 저장 팝업창에서 종료할 시(2206단계), 디폴트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2210단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메모장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3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런처(launcher) 화면에서 "contents" 메뉴에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2300단계). 메모 메뉴 선택시(2302단계), 메모장을 디스플레이한다(2304단계). 이후, 메모를 입력하고(2306단계), 메모저장시(2308단계), 메모저장 후 메모장 종료한다(2310단계). 그리고 메모종료시(2308단계), 메모저장 취소 후 메모장 종료한다(2312단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화면 제어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4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런처(launcher) 화면에서 "Course" 메뉴를 선택한다(2400단계).
이후, 2402단계에서 "Course" 메뉴에서 퀴즈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퀴즈 기능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학생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후, 학생 디바이스는 2404단계에서 퀴즈화면을 표시하고 2406단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한 보기를 선택하여 문제풀이를 한다. 그리고, 문제풀이 전송 메뉴를 선택하여(2408단계) 문제풀이 결과를 교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2410단계).
이후, 교사 디바이스는 2412단계에서 각각의 해당 학생에게 수집된 정보를 문제별로 수집하고, 2414단계에서 문제별로 수집된 보기의 누적 데이터를 학생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학생 디바이스는 2418단계에서 문제별로 수집된 보기의 누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2418단계).
그리고, 교사 디바이스는 2416단계에서 퀴즈 종료 메뉴를 선택하여 2420단계에서 퀴즈 기능을 종료한다. 그리고 교사 디바이스의 퀴즈 종료 메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학생 디바이스로 전송되면 학생 디바이스도 퀴즈 기능을 종료한다(2420단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관리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5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의 런처 화면에서 students 메뉴-메시지 부메뉴 혹은 학생 디바이스의 런처 화면에서 메시지 메뉴를 선택한다(2500단계).
이후, 2502단계에서 메시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2504단계에서 메시지 입력해서 전송하고, 2506단계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2508단계에서 메시지를 선택한 후 삭제 메뉴를 선택한다. 삭제시(2510단계) 선택된 메시지를 삭제하고(2512단계), 삭제취소시(2510단계) 2502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화면 디스플레이한다. 즉, 송?수신 메시지는 자동으로 학습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열기 및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6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2600단계에서 런처 화면에서 "Course" 메뉴를 선택하고 "contents list" 부메뉴를 선택한다.
이후, 새 콘텐츠 열기를 선택할 시(2602단계) 2604단계로 진행하여 콘텐츠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2606단계에서 콘텐츠 목록에서 해당 콘텐츠를 선택하고 2608단계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콘텐츠 전송하기를 선택할 시(2602단계) 2610단계로 진행하여 콘텐츠 목록 및 교사/학생들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2612단계에서 전송할 콘텐츠 및 콘텐츠를 수신할 대상을 선택한다(2612단계). 이후 2614단계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7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2700단계에서 런처 화면에서 "Students" 메뉴를 선택하고 2702단계에서 "Group" 부메뉴를 선택한다.
"Group" 부메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학생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그룹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2706단계). 여기서, 그룹 멤버 리스트들이 오픈되고 그룹 멤버들은 그룹 리더 학생 디바이스에 연결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그룹 리더 디바이스는 2704단계에서 작업할 이미지 업로드한다. 그리고 그룹 리더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화면은 공유되어 그룹 다른 학생 디바이스들에게도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2708단계). 이때 그룹 내의 학생 각각에 분할된 이미지가 할당되어 그룹 내 학생은 각각 자신에게 할당된 작업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입력한다(2710단계). 이후, 그룹 내 학생 디바이스들은 각각 데이터 전송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교사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다시 말해, 그룹 리더가 자신의 단말에서 이미지를 그룹원들 수만큼 분할하고 각 그룹원들을 할당하면, 각 그룹원들은 그룹리더가 분할/할당한 이미지만 편집하여 그룹원 및 교사에게 전송한다.
이후, 그룹 리더 디바이스는 입력된 데이터를 수집하고(2714단계), 수집된 통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2716단계). 한편, 그룹 리더 디바이스는 수집된 통합 데이터를 그룹 다른 학생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그룹 다른 학생 디바이스는 수신된 통합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8을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2800단계에서 런처 화면에서 "course" 메뉴를 선택하고 2802단계에서 "screen share" 부메뉴를 선택한다.
이때, "screen share" 부메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학생 디바이스에 전송되면 학생 디바이스는 교사 디바이스의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자신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2804단계). 즉, Screen share시 교사 디바이스의 콘텐츠 영역이 공유되어, 교사는 모든 기능 사용가능하고, 학생은 Screen share mode로 진입하여 일부 기능만 사용 가능하다.
이후, 교사 디바이스가 2806단계에서 screen share 기능을 종료할 시, 2808단계에서 콘텐츠 공유 기능을 종료한다. 한편, screen share 기능 종료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학생 디바이스에 전송되면, 학생 디바이스는 2810단계에서 콘텐츠 저장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작업을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9를 참조하면, 교사 디바이스는 2900단계에서 런처 화면에서 "Students" 메뉴를 선택하고 2902단계에서 "Group" 부메뉴를 선택한다.
그룹활동 시작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학생 디바이스로 전달되어, 2906단계에서 그룹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2904단계에서 공동 작업 메뉴 실행을 할 시, 공동 작업 메뉴 실행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학생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학생 디바이스는 2908단계에서 공동 작업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학생 디바이스는 2910단계에서 데이터입력을 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교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후, 교사 디바이스는 2912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자신의 화면에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한편 2916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학생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학생 디바이스 화면에도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0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휴대용 전자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전자장치는 제어기(3000), 스피커/마이크로폰(3010), 카메라(3020), GPS 수신기(3030), RF 처리기(3040), 센서모듈(3050), 터치스크린(3060), 터치스크린 제어기(3065), 외부 메모리(30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기(3000)는, 인터페이스(300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002, 3003) 그리고 내부 메모리(300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기(300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인터페이스(30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3002), 통신 프로세서(3003), 내부 메모리(3004)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300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장치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 프로세서(3003)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3002, 3003)는 외부 메모리(3070) 혹은 내부 메모리(3004)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3002, 3003)는 외부 메모리(3070) 또는 내부 메모리(300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3002)가 상기 도 2 내지 상기 도 29에 기술된 과정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3001)는 전자장치의 터치 스크린 제어기(3065) 및 외부 메모리(3070)에 연결시킨다.
센서모듈(3050)은 인터페이스(3001)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 및 광 센서가 인터페이스(3001)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인터페이스(3001)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3020)는 인터페이스(3001)를 통해 센서모듈(3050)과 결합하여,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F 처리기(3040)는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통신 프로세서(3003)의 제어하에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프로세서(3003)로 제공하거나 통신 프로세서(3003)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 프로세서(3003)는 다양한 통신방식에 기저대역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방식은,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방식,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통신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방식,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방식, WiMax 통신방식 또는/및 Bluetooth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마이크로폰(3010)은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스피커/마이크로폰(3010)은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이 외부포트를 통해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3065)는 터치 스크린(306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06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3065)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 스크린(306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3060)은 전자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306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장치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 전자장치가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할 때, 스크린을 통해서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은 또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306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GPS 수신기(303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위치, 속도, 시간 등의 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위성과 GPS 수신기간 거리는 빛의 속도와 신호도달 시간을 곱하면 계산되며, 3개 위성의 정확한 위치와 거리를 구하여 공지된 삼각측량의 원리로 전자장치의 위치를 측정한다.
외부 메모리(3070) 혹은 내부 메모리(3004)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3070) 혹은 내부 메모리(3004)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및 MPEG 모듈,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인 시스템 동작(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RF 처리기(304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구조로 구성된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터치스크린(306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짓(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3070, 3004)는 위에서 기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모듈(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명령어는, 상기 도 2 내지 도 29항에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서 터치 대화형 입력 종류를 나타내는 표이다.
상기 도 31를 참조하면, 터치 대화형 입력은 “Tag”, “Touch&Hold”, “Double Tap”, “Panning”, “Drag&Drop”, “Pinch zoom out”, 그리고 “Pinch zoom in”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 대화형 입력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터치 대화형 입력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를 위한 런처(launcher) 프로그램의 메뉴 구조이다.
상기 도 3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위한 런처(launcher)의 주 메뉴는 Board, Notice, My info, Start Class, My timetable, Contents library, My Students, Message 등이 있다.Board 및 Notice의 부메뉴는 view/write 기능이 있고, start class는 교사-학생간 사이의 대화형 수업 및 학생간 대화형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부 메뉴가 있고, Message의 부메뉴는 메시지생성, 메시지 전송, 메시지 수신 부메뉴 기능(create message, send box-delete, receive box-reply, delete,)이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을 위한 런처(launcher) 프로그램의 메뉴 구조이다.
상기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위한 학생 런처(launcher)의 주 메뉴는 Board, Notice, My info, Start Class, My timetable, Contents library, Message 등이 있다.Board 및 Notice의 부메뉴는 view/write 기능이 있고, start class는 교사-학생간 사이의 대화형 수업 및 학생간 대화형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부 메뉴가 있고, Message의 부메뉴는 메시지생성, 메시지 전송, 메시지 수신 부메뉴 기능(create message, send box-delete, receive box-reply, delete,)이 있다. 학생 런처(launcher) 프로그램과 교사 런처(launcher) 프로그램과 유사하지만, 다만 학생 런처(launcher) 프로그램에는 주메뉴에 “My Students”기능이 필요 없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이다.
상기 도 3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위한 교사 런처(launcher)의 주 메뉴 중 수업생성/편집 및 교사의 스케줄을 관리를 위한 “My timetable”, 수업관련 콘텐츠 관리를 위한 “Contents library”, 그리고 학생관리를 위한 “My students”에 대한 기능을 세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My timetable”의 부메뉴는 교사 스케줄 관련 내용을 보여주는 view result, 수업을 개설하기 위한 create course가 있다. 그리고, view result의 부메뉴는 create course, overview, students, board, forum, assignments, schedule이 있고, schedule의 부메뉴는 overview, contents, report, Quiz, Poll이 있다.
그리고, “Contents library” 의 부메뉴는 Contents 와 Quiz band가 있다. 여기서, contents의 부메뉴는 search, file upload, file download, view(category)가 있고, Quiz band의 부메뉴는 search, create, view(category)가 있다.
“My students”의 부메뉴는 Overview, Attendance history, Grade History, Prize/Demerit가 있다. Overview의 부메뉴는 send message가 있고, Attendance history의 부메뉴는 view, register attendance info가 있다. 여기서, , register attendance info의 부메뉴는 All, A student가 있다.
교사 런처(launcher)의 부메뉴에 상세한 내용은 이하 도 36 내지 도 15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이다.
상기 도 3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위한 학생 런처(launcher)의 주 메뉴 중 수업 및 학생의 스케줄을 관리를 위한 “My timetable”, 수업관련 콘텐츠 관리를 위한 “Contents library”, 그리고 학생자신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My info”에 대한 기능을 세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My timetable”의 부메뉴는 학생 스케줄 관련 내용을 보여주는 overview, 수업참여를 위한 students, board, forum, assignments, schedule이 있고, schedule의 부메뉴는 overview, contents, report, Quiz, Poll이 있다.
그리고, “Contents library” 의 부메뉴는 Contents 와 Quiz band가 있다. 여기서, contents 및 Quiz band의 부메뉴는 search, view(category)가 있다.
“My info”의 부메뉴는 Overview, Attendance history, Grade History, Prize/Demerit가 있다.
학생 런처(launcher)의 부메뉴에 상세한 내용은 이하 도 152 내지 도 187을 참조하기로 한다.도 36a-36b는 교사의 런처 화면에서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6a-36b는 교사의 런처 화면에서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7a-37c는 교사의 런처 화면에서 "My timetable" 메뉴 실행 후의 My timetable 화면이다.도 37a 에서 "My timetable"에서 교사는 교사 자신의 시간표와 등록해 놓은 수업을 확인 할 수 있다. 대화형 캘린더(interaction calendar)와 비슷한 형태로 제공되며, Calendar에 등록된 교사의 일정과 같이 표시된다. “Today”는 현재 날짜로 이동하고 “Create”는 새로운 강좌 생성하고, “ Timetable”은 교사의 시간표를 보여주고 바로 추가가능하고, 등록된 수업을 선택하면 해당 수업의 detail view로 진입하고, 수업 요일((ex)월~금,월~토) 일과 시간은 admin이 설정하고, admin이 설정하는 working 요일에 따라서 표시되는 요일의 개수가 달라진다. “Message”는 쪽지함으로 진입가능하고 New message가 있을 경우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그 외 Today focus, Select focus, Course info(Course name + classroom display) 기능이 있다. Course info 은 classroom 정보는 있을 경우만 표시된다. 도시 하지 않았지만, 추가로, 해당 스케줄 캘린더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도 37b에서처럼, 월간(Month) 캘린더 영역 Drag & Flicking시 월 이동 가능하고, 날짜 포커스와 좌측 week view는 사용자가 선택하기 이전엔 이전의 날짜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Drag & Flicking 한 이후에 날짜 하루를 선택한 경우 해당 날짜에 포커스가 이동되고 Week view도 업데이트된다.
도 38a-38b는 교사의 런처 화면에서 "My timetable" 메뉴에서 수업개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38a-38b을 참조하면, 교사는 "My timetable"에서 “Create”를 실행한 후, 과목제목(Course name), 학 기별 기간(Semester), 학년 설정(Grade), range 값, 강의실 설정 및 해당 강의실 목록(Class), 과목선택 및 학년 별 과목 목록(Subject), 해당 교사의 시간표만 확인가능하고 빈 시간대에 설정 (Timetable), 과목개요 (Overview)등을 입력한다.
도 39는 My timetable 화면에서 선택된 하나의 강좌의 상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40은 My timetable 내에서 선택된 하나의 강좌를 다른 강좌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1은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복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상기 도 41을 참조하면, 선택된 하나의 강좌를 복사하여 새로운 course를 생성한다. 이때, 학생정보, board 정보를 제외한 모든 데이터가 복사될 수 있다. Course name / Overview / Semester / Grade 는 동일하게 복사되고, 사용자 편집이 가능하다. 그리고 Time table을 default 상태로 제공되고 새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Forum , Contents, Assignment는 복사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2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3은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4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에 참여하는 학생을 관리를 위한 화면이다.
도 45a-45b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에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6은 My timetable 내에서 그룹된 경우의 강좌를 참여하는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7a-47b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참여하는 학생들에 대해 그룹 멤버를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8은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참여하는 학생들에 대해 그룹 멤버를 랜덤하게 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9a-49d는 My timetable 내에서 그룹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49b는 그룹 멤버 선태 후 drag&drop시 스위치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0은 My timetable 내에서 그룹 삭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1a-51b는 My timetable 내에서 강좌를 참여하는 학생들에 삭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2는 My timetable 내에서 해당 강좌를 위한 게시판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52를 참조하면, 게시판은 강좌에 속해있는 학생 및 교사가 글을 올리고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한 화면에서 좌우로 flicking시 다음 게시물로 이동된다.
게시판에는 검색의 범위 - 게시물의 제목, 작성자, 내용을 검색하는 Search, 게시물을 추가하는 Create, 모든 게시물 삭제하는 Delete, 파일첨부를 위한 Attachment, 코멘트 개수 표기를 위한 Comment, 작성자 이름(Name), 작성한 date and time info(Date)이 표시되며 새로운 게시물은 상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today 게시물은 time 정보만 표기 , 과거 게시물은 Date 정보만 표기한다. Edit / Delete는 본인이 쓴 게시 글 수정 / 삭제 가능하다. Comment는 Comment 영역 ? Comment 없을 시 comment input box영역만 제공한다. 교사는 모든 코멘트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Comment input box는 해당 게시 글에 Comment 작성가능하고 Delete comment는 본인이 쓴 comment 삭제 가능하다.
도 53은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의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4는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에서 첨부파일을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5a-55b는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에 업로드된 첨부파일을 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6은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에 다수 첨부파일을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7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페이지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8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검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9는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내용을 작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59를 참조하면, Attachment 는 Drawing pad: mini S memo ( email attach에 기 적용 됨), My files : My files에 있는 파일들을 첨부, Picture : 갤러리 사진만, Capture picture : camera photo 모드로 진입, Audio : My files에서 audio files directory로 진입, Video : 갤러리 비디오파일만, Capture video : camera video 모드로 진입, S Note : S note 로 연결된다. Insert는 본문 영역에 파일을 추가하는 기능으로써 Drawing pad : mini S memo ( email attach에 기 적용 됨), Picture : 갤러리 사진만, S Note : S note 로 연결된다.
도 60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내용을 작성한 후 My files로부터 첨부파일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1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내용을 작성 시 Drawing pad를 이용하여 첨부파일을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2a-62b는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을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3은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해당 게시물을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4a-64b는 My timetable 내 게시판에서 다수 게시물을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5는 My timetable 내에서 포럼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65를 참조하면, 교사는 수업생성과 별도로 포럼을 생성한다.
Create은 Forum방 추가이고, Delete는 Forum 방 삭제 가능, 선택 시 좌측에 체크박스 생성하고, Forum list는 학생들이 올린 Forum 글을 목록으로 제공한다. Comment input box는 해당 Forum에 Comment 작성한다. Delete comments는 학생 의견 을 삭제한다. Edit comments는 자신이 올린 의견을 편집한다.도 66은 My timetable 내에서 포럼을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7a-67b는 My timetable 내 포럼 리스트로부터 다수 게시물을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8은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68은 수업단위로 생성하고 제출되는 report, quiz, poll을 목록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Group은 Week 1 / Lecture단위로 Assignment Group Menu 만들기가 가능하다. assignment type icon는 assignment별로 Icon이 제공된다. Student view는 학생 view 차단, 학생 view 가능함으로 구분된다. Submitted는 제출한 학생 수 제공된다. Date는 Assignment를 실행된 날짜이다.
도 69는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 상태 종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0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테스트 전의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1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테스트 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2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3a-73b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완료된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4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진행중인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5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진행된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6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중인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7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완료된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8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진행 전 폴링(polling)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79는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진행중인 폴링(polling)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80은 My timetable 내 과제(Assignments)에서 평가완료된 폴링(polling)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81a-81b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에서 강좌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timetable 내 스케줄에서 강좌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교사의 해당 수업 시간표를 확인 할 수 있다. 국가에 따라서 display되는 요일은 가변이다( 월~금 / 월~ 토 등등). Add는 차시 추가 기능이고, Edit는 차시 Move / delete 기능이고, Timetable은 해당 Course에 대한 시간표 제공하고, One occurrence은 하나의 차시만 변경하고, All occurrence는 각 주차에 동일 시간대의 수업을 함께 변경한다.
도 82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에서 강좌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83a-83b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에서 강좌를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84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 목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84를 참조하면,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 목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강좌에 관련되어 교사가 등록해 놓은 자료들 목록으로 보여준다.
Upload는 Device나 Library에 존재하는 Contents를 Add하는 기능이고, Download는 Device에 multiple download하는 기능이고, List view by는 List view 형태로 display하는 기능이고, Delete는 등록된 다수 Contents를 삭제하는 기능이고, contents는 Thumbnail view로 보여지고 선택 시 overlay 되면서 크게 보이고 바로 실행 가능하다.
Sort by는 Type, Size, Time, Name등으로 정렬되는 방법이고, Students view option는 학생 접근권한 설정이고, Sort by는 Contents를 name, data updated(최근 upload contents), Size로 정렬하는 방법이고, Preview는 image preview 지원한다.
도 85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86a-86b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contents library로부터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87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My files로부터 업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88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89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시 이미 동일한 의미의 파일이 있는 경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0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다수 콘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0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다수 콘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1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에 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2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출석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3은 과제할당 상태 종류를 도시하고 있다.
도 94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레포트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레포트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업 단위로 제공되는 레포트를 관리한다.
즉, 상기 도 94는 Report Tab 진입 default 화면이고, 최 상단의 진행중인 Report만 학생 목록을 디스플레이 한다.
Student view는 학생들에게 공개여부 선택가능하고, Open는 설정한 날짜가 이전에 바로 Open하는 기능이고 또한 해당 Start 일자 자동 변경된다. Close: 설정된 완료날짜 이전, Close 하는 기능이고 해당 Finish일자 자동 변경된다. Complete는 평가 후 ‘평가완료’ 버튼을 눌러야만 평가가 최종 완료된다. Status icon는 변경되고 수정 불가능하다. Start-due는 설정된 일정에 맞추어 자동 시작/종료 된다. 설정된 일정이 없는 경우 표시되지 않는다. Grouped / Ungrouped reports는 그룹 activities의 산출물과 개인 report 구별하여 관리한다.
도 95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진행 전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6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진행된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7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8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완료된 레포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99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새로운 레포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0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새로운 레포트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101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 목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 목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업 단위로 제공되는 퀴즈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도 101은 Quiz Tap 진입 후 첫 화면으로써 최 상단의 진행중인 Quiz만 학생 목록을 표시한다.
도 102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진행 전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3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테스트 전의 퀴즈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4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테스트 전의 퀴즈 삭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5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테스트 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6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7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S-펜을 이용하여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S-펜을 이용하여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학생이 적은 답 제공하고(Note), Tool 선택 시 학생에게 참석지도 가능한 툴을 제공한다.
또한, Note 기능을 선택할 시 1. Share note (on/off toggle), 2. Pointer, 3. Input text, 4. Pen : Use pen input in the content area, 5. Eraser, 6. Undo, 7. Redo, 8. Close note toolbar를 제공한다.
도 108a-108c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완료된 퀴즈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9a-109c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0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를 퀴즈뱅크에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1a-111c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퀴즈 삭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2a-112b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폴(poll)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3은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진행 전 폴(poll)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4는 My timetable 내 스케줄(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평가중인 폴(poll)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5는 퀴즈 및 폴에 의한 학생 답변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6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개인 박스에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개인 박스에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업 관련된 contents를 DB에 등록해서 개인적으로 관리한다. 여기서, Contents Tap&Hold 시 다른 category로 Move 가능하고, Category Tap&Holde시 Move 가능하다.
1. Upload: Device에 존재하는 Contents를 Add가능 ( Upload file type 제한 없음)하고, 2. Download : Device에 multiple download가능하고, 3. List view by : List view 형태로 display하고, 4. Edit: 등록 해놓은 contents를 Copy, Cut ,Delete 지원하고, 5. Search : DB 검색지원하고, 6. My box : 내 contents 저장 공간 , 교사가 category를 관리한다. 7. Public Box는 전체 선생님이 접근 가능한 Contents 저장 공간이다. 8. Category는 각 과목별 각 학년별 분류 저장한다. 9. Set course : Contents를 course에 배치하고, 10. Contents는 Thumbnail view 로 보여지고 선택 시 overlay 되면서 크게 보이고 바로 실행 가능하고, 11. Sort by는 Type, Size, Time, Name을 기준으로 정렬하고, 12. Sort by : Contents name, data updated, Size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Preview는 image preview를 지원한다.
도 117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콘텐츠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8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9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0a-120b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복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1a-121b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잘라내기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1a-121b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2는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3a-123b은 contents library 내의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관하는 개인 박스에서 등급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4는 contents library 내의 퀴즈 뱅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contents library 내의 퀴즈 뱅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Quiz를 My Box와 Public Box로 구분하여 관리, 생성, Course에 assign할 수 있다. Contents Drag & drop 시 다른 category로 Move / Copy 가능하다.
1. Quiz items : Quiz items는 컨텐츠 영역 상단에 정렬되고, 2. Question items : Question items는 Quiz items 영역 아래 상단에 정렬되고, 3. Create : Quiz 생성 가능하고, 4. Edit mode : 등록 해놓은 contents를 Copy, Cut ,Delete multiple를 지원하고, 5.Set course : Contents를 course에 배치하고, 6. Category :각 과목별 각 학년별 각 chapter별 분류 저장한다.
도 125는 contents library 내의 퀴즈 뱅크에 퀴즈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6a-126d는 contents library 내의 퀴즈 뱅크에 퀴즈 종류를 프리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27은 My students 내의 일반 학생 정보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students 내의 일반 학생 정보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학생의 전반적인 정보 확인 가능하다. 1.Move to other class : 과목선생님,과목+담임선생님일 경우는 dropdown 메뉴가 생성되며, 다른 classroom 학생의 정보 확인 가능하다. 2. Search : 담당하는 학생 전체 DB 검색지원을 하고, 3. Group : Group 생성 관리하고, 4. Add : 학생을 추가하고, 5. Delete : 학생을 삭제하고, 6. Sort by : ID, Name, Group, Attendance, Prize, Demerit을 기준으로 정렬하고, 7. Student info : ID ,학생 사진, 이름, 출결상태, 상 벌점을 표시하고, 8. Attendance info 학기당 누적된 출결 정보를 표시하고, 9. Message : 해당 학생에게 쪽지 전달 가능하다.
도 128a-128b은 My students 내의 학생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0은 My students 내의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1은 My students 내의 지정되지 않은 목록으로부터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2는 My students 내의 학생을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3은 My students 내의 학생 출결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students 내의 학생 출결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담당 학급의 전체 학생의 출결 확인 및 담임만 출결 변경이 가능하고, 첫 수업의 참석 시(IMS-> start class) 기준으로 출석, 결석,지각,조퇴의 상태를 받아오고 최종 반영은 교사가 한다,
1. All attend : 전체 학생 일괄 출석 처리되고, 2. Apply : 출결 사항을 최종 반영되고, 3. Student info : ID ,학생 사진, 이름, 출결상태 표시되고, 4. Attendance status : 출결석 상태 표시 변경 가능하고, 5. Move to date : Calendar 팝업 제공, 날짜 선택되고, 6. 출석상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조회시점까지 모든 수업 출석하면 --> 출석, 조회시점까지 선행 수업에 결석, 지각 발생 후 후행 수업에 출석하면 --> 지각, 조회시점까지 선행수업 출석 후 후행 수업에 결석, 조퇴 발생하면 --> 조퇴, 조회시점까지 모두 결석하면 --> 결석으로 처리된다.하지만, 본 발명에서 출석상태 정의는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도 134a-134b는 My students 내의 학생 출결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5는 My students 내의 학생 출결 날짜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6은 My students 내의 모든 학생을 출석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7은 My students 내의 성적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students 내의 성적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담당 학급의 전체 학생의 각 퀴즈의 성적 조회 가능하다.
1.Subject : 전체학생의 과목이 목록으로 표시되고, 담임 선생님의 경우 default는 ABC순 첫 번째 과목이 되고 과목 교사인 경우 default는 내 과목이 된다.
2. Quiz : 선택한 과목의 퀴즈 선택가능하고, 3. 최근 퀴즈가 오른쪽에 위치하고, 4. Edit : 담임 선생님, 과목 선생님 모두 본인 과목의 점수 만 edit 가능하고, 5. Printer : 프린터 연결해서 출력 가능하고, 6. Export Excel : excel 파일로 저장 가능하다.
도 138은 My students 내의 성적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39는 My students 내의 성적 페이지를 오른쪽/왼쪽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0은 My students 내의 학급 내의 학생에 대한 성적 결과를 그래프로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1은 My students 내의 임의의 하나의 학생에 대한 성적 결과를 보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2는 My students 내의 생활태도평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3은 My students 내의 생활태도평가 의 날짜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4는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학생 한 명의 detail view를 제공한다. 1. Edit : 학생정보 수정 (담임만 가능)가능하고, 2. Delete : 학생을 삭제하고, 2. message : 해당 학생에게 바로 메시지를 작성가능하고, 3. Email address : 선택할 경우 Email composer 화면으로 전화되면서 바로 email 작성이 가능하다.
도 145는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 정보를 편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6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 정보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7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출결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출결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학생 한 명의 출결현황 조회를 제공한다.
1. View by : List view / Calendar view이고, 2. Print, 3. Excel export, 4. Select Semester : Semester 1 / Semester 2, 5. Info & Filtering Button of ‘All days / Absence / Late / Early leave’: 1학기 중 지금까지 등교한 일 수로 계산, 선택 시 해당 리스트가 Filtering되어 보여진다. 6. Status icon : Absence / Tardy / Early leave, 7. Closed : 출결마감, 8. Info : Calendar view에서는 정보만 표시하고, 9. Select month : 한 학기의 month만 표시하고, 10. Detail view & Change attendance : Tap 시 팝업창을 표시한다.
도 148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출결 히스토리 페이지를 이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49는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성적 히스토리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0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생활태도평가 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생활태도평가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학생 한명의 상/벌점을 확인. 내가 준 점수에 대해서만 수정 가능하다. 1. View by : List view / Graph view, 2. Sort by : Today / Week 1 / 1month / Semester / 별로 검색 가능, 3. Total : 선택한 날짜별로 total score를 표시하고, 4. Category : 학교관리자가 지정한 카테고리, 5. Score : +20 / -20 으로 표시되고, 6. Reason : score를 준 이유를 교사가 작성하고, 7. Teacher : 점수를 준 교사, 8. File : 객관적인 이유를 위해 첨부되는 파일이고, 9. 내가 부여한 점수에 대해서는 별도 컬러로 표시되고, 10. Semester : Semester 1 / Semester 2, 11. Select Month : 한 학기에 속하는 Month 표시하고, 12. Prize / Demerit items list : 학교마다 정한 카테고리 list & score, 13. Attach file : 관련 파일 첨부이다.
도 151a-151c은 My students 내에서 나의 학급 내 임의의 학생에 대한 생활태도평가 를 추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2a-152c은 학생의 My Timetalbe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학생의 My Timetalbe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교사가 강의를 생성하여 학생 등록 시 학생들은 course 조합으로 자신의 시간표를 확인 할 수 있다. 1. subject : 선택 시 각 Course의 Detail정보 화면으로 이동하고, 2. assignment : 각 Lecture의 유효한 assignment가 있을 시, icon으로 표시하고 icon선택 시 Assignment화면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Assignment : 현재 일자/시간이 assign의 start/due time이내 인 경우 유효한 assign으로 하고, 교사가 임의로 assign 기간이 종료한 경우, 유효하지 않은 assign으로 한다. 3. Teacher name : 코스별 선생님 정보이고, 4. Class room : 이동수업이 있을 경우에만 표기한다.
도 153은 학생의 강좌에 대한 설명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4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같은 학급의 학생 목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같은 학급의 학생 목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른 학생의 상세 정보 보기 불가능하다. 1. Students : 해당 수업에 Group단위로 학생들을 볼 수 있고, 같은 반 학생들에게 메시지 보내기 가능하다. 2. group set list : 해당 수업에 여러 개의 그룹 set 확인할 수 있다.
도 155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강좌에 속해있는 학생 및 교사가 글을 올리고 확인할 수 있다. Detail view 에서 좌우flicking하여 게시물 간 이동 가능하다.
1. Search : 검색의 범위 - 게시물의 제목, 작성자, 내용이고, 2. Create: 게시물 추가 기능이고, 3. Attachment : 첨부파일 표기하고, 4. Comment : Comment 개수 표기하고, 5. Name : 작성자 이름이고, 6. Date : - 작성 date and time info로써 새로운 게시물이 상단에 위치하고 today 게시물은 time 정보만 표기 , 과거 게시물은 Date 정보만 표기한다. 7.Comment : Comment 영역 ? Comment 없을 시 comment input box영역만 제공하고, 본인이 작성한 comment에만 Delete버튼을 제공한다. 8.Comment input box : 해당 게시글에 Comment 작성가능하고, 9.Edit : 본인이 작성한 게시글 수정 가능하고, 10. Delete : 학생 본인이 작성한 게시물 삭제 가능하다.
도 156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 생성/검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My timetable 내에서 게시판 생성/검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게시물의 생성 - 텍스트 입력/파일 첨부하는 페이지이다. 게시물의 제목/작성자/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1. Attach files: 파일 첨부 가능하고, 2. Insert : description영역에 Drawing pad, Picture, s Note을 이용하여 이미지 추가하고, 3. Search range: 조회할 수 있는 항목 제공(모두/게시물의 제목/ 작성자/내용)하고, 4. Search box : 텍스트 입력 가능하다.
도 157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포럼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58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수업단위로 생성하고 제출되는 Assignment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이다. Title선택 시 Assignment의 진행상태에 따른 Pop up제공한다.
진행중인 assignment 의 시작은, Quiz? ims 에서 제공하여 자동으로 시작, Report ? ‘submit’버튼선택 시 report 내용확인 및 제출 할 수 있는 pop up제공하고, Lecture의 ‘report’ 참조한다. 평가를 기다리는 Assignment에서, Quiz ? list선택 시 해당 Quiz내용 확인 pop up제공하고, Report ? 제출한 report 내용 확인 pop up제공한다. 평가 완료된 Assignment에서 Quiz & Poll? ‘Result’버튼 선택 시 점수 /정답 확인pop up 제공하고, report? ‘Result’버튼 선택 시 점수 및 선생님comment확인할 수 있는pop up제공한다.
1. Group : Week 1 / Lecture단위로 Assignment Group Menu 제공하고, 2. Assignment notice icon : 진행 안된 Assignment, 진행중인 Assignment, 평가를 기다리는 Assignment, 평가 완료된 Assignment로 구분된다. 4. Date : 제출 시간 및 날짜를 제공한다.
도 159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 제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도 160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에서 과제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1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한 주에 대한 개략적인 스케줄을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2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강좌와 관련된 콘텐츠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3은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레포트 제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레포트 제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1. Report status icon(진행 안된 report, 진행중인 report, 평가를 기다리는 report, 평가 완료된 report)를 제공하고, 2. Submit : 제출하지 않은 Report제출 가능하고 3. Not assigned reports : 학생 개개인의 report 제출 공간 4. Grouped reports : Group activities 산출물 제출공간 5.Result : 평가 완료된 report의 점수 및 교사 comment확인 pop up제공한다.
도 164a-164b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퀴즈 및 폴(poll)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5는 학생의 My timetable 내 schedule에서 마감된 퀴즈 및 폴(poll)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6은 학생의 contents library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학생의 contents library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교사의 Public box에서 교사가 공개한 file만 제공되어 열람 가능한 페이지이다.
1. Public box: 전체 선생님이 접근 가능한 Contents 저장 공간 (Category관리는 관리자만 가능)의 category제공하고, 2. Thumbnail view : 교사가 공개한 file 제공 영역이고, 3. Download : Library에 있는 파일선택하여 학생 tab에 저장 가능하다.
도 167은 학생 자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68은 학생 자신의 출결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학생 자신의 출결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학생 한 명의 출결현황 조회한다.
3. Select Semester : Semester 1 / Semester 2, 4. Info & Filtering Button of ‘All days / Absent /Late/ Leave early’: 1학기 중 지금까지 등료한 일 수로 계산, 선택 시 해당 리스트가 Filtering되어 표시되고, 5. Status icon : Absent / Tardy / Leave early, 6. Closed : 출결마감, 7. Info : Calendar view에서는 정보만 표시하고, 8. Select month : 한 학기의 month만 표시하고, 9. Detail view & Change attendance : Tap 시 팝업창을 표시한다.
도 169는 학생 자신의 성적 히스토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0은 학생 자신의 생활태도평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학생 자신의 생활태도평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특정 학생 한명의 상/벌점을 확인. 내가 준 점수에 대해서만 수정 가능하다.
1. View by : List view / Graph view, 2. Sort by : Today / Week 1 / 1month / Semester / 별로 검색 가능, 3. Total : 선택한 날짜별로 total score를 표시하고, 4. Category : 학교관리자가 지정한 카테고리이고, 5. Score : +20 / -20 으로 표시되고, 6. Reason : score를 준 이유를 교사가 작성하고, 7. Teacher : 점수를 준 교사이고, 8. File : 객관적인 이유를 위해 첨부되는 파일이고, 9. Attached file : 상/벌과 관련된 첨부 파일이고, 10. Semester : Semester 1 / Semester 2, 11. Select Month : 한 학기에 속하는 Month 표시하고, 12. Total score of Prize / Demerit이고, 13. Detail list for Prize / Demerit이다.
도 171 내지 도 172는 런처 프로그램을 액세스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3 내지 도 174는 런처 프로그램을 액세스한 후 초기화면을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5는 런처 화면에서 게시판과 알림판 그리고 쪽지 수신여부를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6은 런처 화면에서의 알림판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6은 런처 화면에서의 알림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생님 및 관리자가 글을 올리고 선생님/관리자/학생들이 확인할 수 있다.
1. Search : 검색의 범위 - 게시물의 제목, 작성자, 내용, 2. Create: 게시물 추가
3. Delete : 선생님 본인이 쓴 게시물 삭제 가능하고, 4. Attachment : 첨부파일 표기, 5. Name : 작성자 이름이고, 6. Date : - 작성 date and time info로서, 새로운 게시물이 상단에 위치하고, today 게시물은 time 정보만 표기 , 과거 게시물은 Date 정보만 표기한다. 7.Detail view : 작성자/ 작성 일자 /제목/내용 제공한다.
도 177은 런처 화면에서의 게시판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7은 런처 화면에서의 게시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교사 및 관리자가 글을 올리고 확인할 수 있다.
1. Search : 검색의 범위 - 게시물의 제목, 작성자, 내용, 2. Create: 게시물 추가, 3. Delete : 선생님 본인이 쓴 게시물 삭제 가능, 4. Attachment : 첨부파일 표기, 5. Comment : Comment 개수 표기, 6. Name : 작성자 이름, 7. Date : - 작성 date and time info로써, 새로운 게시물이 상단에 위치하고, today 게시물은 time 정보만 표기 , 과거 게시물은 Date 정보만 표기한다.
도 178은 런처 화면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79a-179c은 런처 화면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업로드 실행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0은 런처 화면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운로드, 편집, 수업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1은 런처 화면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세한 오버뷰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2는 런처 화면의 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3은 메시지 응답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4a-184b는 메시지 생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5는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6a-186b는 메시지 삭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7은 교사 런처 프로그램을 위한 메뉴 구조이다.
상기 도 18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위한 교사 런처(launcher)의 주 메뉴는 Notice, Board, Course, Start Course, My Students, Library, Apps, Message, Help 등이 있다. Notice 및 Board의 부메뉴는 View/Write가 있고, Course의 부메뉴는 My timetable이 있고, Start Course의 부메뉴는 IMS를 지원하기 위한 이하 도 도 193a-193c의 부메뉴가 있고, Message 의 부메뉴는 메시지생성, 메시지 전송, 메시지 수신 부메뉴 기능(create message, send box-delete, receive box-reply, delete,)이 있다.
도 188a-188b는 IMS를 위한 교사 런처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89는 학생 런처 프로그램을 위한 메뉴 구조이다.
상기 도 18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위한 학생 런처(launcher)의 주 메뉴는 Notice, Board, Course, Join Course, My info, Library, Apps, Message, Help 등이 있다. Notice 및 Board의 부메뉴는 View/Write가 있고, Course의 부메뉴는 My timetable이 있고, Join Course의 부메뉴는 IMS를 지원하기 위한 이하 도 286a 내지 도 286b 부메뉴가 있고, Message 의 부메뉴는 메시지생성, 메시지 전송, 메시지 수신 부메뉴 기능(create message, send box-delete, receive box-reply, delete,)이 있다.
도 191-192는 IMS를 위한 학생 런처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3은 강좌를 시작하기 전의 런처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3a-193c는 IMS를 위한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이다.
상기 도 193a-193c를 참조하면, 상기 도 187의 교사 런처 프로그램의 Course 메뉴는 Contents viewer, Contest list, Students list, Note, Whiteboard, Quiz&Poll, Screen share, Message, Save contents, Close course, Setting, Help등의 부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Contents viewer의 부메뉴는 Full view, Open new file, Send contents등의 부메뉴를 포함한다. Students list의 부메뉴는 Attendance check, Assign as presenter 부메뉴를 포함한다.
, 상기 도 187의 교사 런처 프로그램의 My Students 메뉴는 학생들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Thumbnail 형식을 보여주는 부메뉴, 그리고 Group를 포함하고, Thumbnail 형식을 보여주는 부메뉴는 Detail view, Auto launch, Mange student, View by, Message, Close course, Settings, Help을 포함한다. Detail view는 Lock, Screen share, Private teaching을 포함하고, Auto launch는 Launch URL, Launch app to all, Timer를 포함하고, Mange student는 Mange app list, Lock screen, Edit lock sentence를 포함하고, 그리고 View by는 Thumbnail view, Group view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 187의 교사 런처 프로그램의 My Students-Group 부메뉴는 Start/End group, New group, 그룹의 Thumbnail를 포함한다.
도 19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5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students tab/Thumbnail view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students tab/Group view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197를 참조하면, 기정의된 절차에 따라 해당 과목에 등록된 학생들이 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4명의 학생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해당 과목을 청강하는 학생들이 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화면에는, App icon(Back) + Course (tab) l Students (tab)을 나타내고 있는 Title(①), 그룹 시작 또는 그룹 종료를 토글시키는 Start group/ End group(②), 그룹을 생성하거나 편집하는 New group/ Edit group(③), Launch URL/Launch app/Launch timer를 실행하는 Auto launch (④), Manage app list/ Lock screen/ Edit lock sentence/ Lock Input를 실행하는 Manage student(⑤), Thumbnail view과 Group view를 토글시키는 View by(⑥), 메시지 페이지를 참조하는 Message(⑦), Close course/ Setting / Help 메뉴를 나타내는 More menu (⑧)가 나타낸다. 여기서, Start group 실행하면, 학생들의 화면이 그룹 활성화 모드(Group activity mode)로 변경된다. 그리고, IMS상에서 새로 그룹 생성(New group) 후에는 그룹 편집(Edit group)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교사는 해당 수업에서만 신규로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New group(③) 메뉴를 통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창에는 그룹 이름(⑨), 각 그룹의 이름 (⑩), 각 그룹의 해당 학생의 탭 화면(⑪), 그리고 상태 정보를 갖는 학생 이름(⑫)이 나타낸다.
도 198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Note toolba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99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Note toolbar->detail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0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New note->whiteboard, Mini memo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1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Full view mod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2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note toolba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3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Detail view/Student's Screen share mod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203을 참조하면, Student's detail view에서 Screen share을 실행하면 특정학생 화면 공유하게 된다. 공유된 화면에서, 타이틀 영역에< Screen share/ student's name 표시되고(①), 공유중인 학생의 화면에 교사가 판서하는 기능 제공하는 Note toolbar가 표시되고(②), Share screen버튼은 End share로 변경되어 표시되고(③), 특정 학생의 화면이 표시된다(④). 여기서, 특정학생 화면 공유 시, 해당 학생 기기의 하면 전체가 공유된다.
도 20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Private teaching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5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서 Open/Close lis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6 내지 도 20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서 Full view mod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09 내지 도 210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서 Scroll area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1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Contents viewe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2a-212c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zoom in/ou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3 내지 도 21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Open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8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New note->whiteboard, mini memo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19 내지 도 223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creen share->course tab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219을 참조하면, course tab에서 screen share을 실행하면, All Student, Select student, Large screen이 표시되고 screen share는 End share로 변경된다. 이때, 공유되는 교사의 화면은 전체 화면이 캡쳐 되지 않으며, 콘텐츠 뷰(contents viewer) 영역만이 공유된다.
상기 도 220을 참조하면, screen share의 Large screen 부메뉴가 선택될 시, 선택된 학생들에게 교사의 화면 전체가 공유된다.
상기 도 221을 참조하면, screen share의 Large screen 부메뉴가 선택될 시, 이용가능한 학생 기기들을 검색하여 검색된 학생 기기 목록을 표시하고 연결 후에 교사의 전체 화면이 선택된 학생 기기들로 전송된다.
상기 도 222을 참조하면, screen share의 Select student 부메뉴가 선택될 시, 강의에 등록된 학생 목록이 표시되고, group tab을 선택하면 그룹별로 학생 목록이 표시된다.
상기 도 223을 참조하면, screen share의 Select student 부메뉴가 선택하여, 강의에 등록된 학생 목록 중 전체 학생을 선택한 후 Share를 실행하면, 교사의 전체화면이 아닌 contents viewer 영역만이 공유된다.
도 224 내지 도 228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메시지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29 내지 도 23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폴(poll) 및 퀴즈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229를 참조하면,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Quiz & poll를 실행하면, 강좌에 기등록된 Quiz list(예: Quiz 1, 2, 3)가 표시된다. 이후, Quiz & poll의 Create new 부메뉴를 실행하면, 문제답안 선택 유형(예: 다수의 정답 선택 혹은 O/X 퀴즈)을 나타내는 Type, 시간제한을 나타내는 Quiz time limit, 문제를 입력하는 창을 나타내는 Question, 해당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입력하는 Answers가 나타낸다.
상기 도 230를 참조하면, Quiz & poll의 Create new 부메뉴를 실행할 때, Type, Quiz time limit, Question, Answers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Answers 입력시 +는 객관식 오답 및 정답을 추가하고 ?는 객관식 오답 및 정답을 삭제한다. 모든 입력이 완료된 후에는 “Done” 부메뉴를 실행하여 생성한 quiz 또는 poll를 저장한다.
상기 도 231를 참조하면,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Quiz & poll를 실행하면, 강좌에 기등록된 Quiz list(예: Quiz 1, 2, 3) 및 추가된 instant poll 1이 표시된다. 이후, Quiz & poll의 Start 부메뉴를 실행하면, Start는 Finish 부메뉴로 변경되고(①), 학생별 완료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좌측 영역에 학생 목록이 표시된다(②). 예를 들어, 학생이 퀴즈를 풀고 있는 중인지 완료하였는지를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그리고, 전체 퀴즈 완료 현황을 % 형태로 표시한다.상기 도 232를 참조하면, instant poll 1에 대해서 Quiz & poll의 View result 부메뉴를 실행할 때, instant poll 1의 결과화면이 출력되면서 Share screen 및 close 부메뉴가 나타난다. 여기서, Share screen 부메뉴가 실행되면 결과화면이 학생들에게 공유되고 close 부메뉴가 실행될 시 결과화면을 닫고 이전 화면 또는 디폴트 화면으로 이동한다.
상기 도 233를 참조하면, Quiz & poll 실행 후, 학생 목록 중 특정 학생(예: Amy)를 선택하면 특정 학생이 푼 퀴즈 결과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Amy 학생을 선택할 시, Amy 학생이 푼 Instant poll 1 표시한다. 그리고, Quiz & poll의 Finish 부메뉴를 실행하면, instant poll 1을 종료할지를 문의한다. 이후, OK 버튼이 실행되면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으로 이동한다.
상기 도 234를 참조하면,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Quiz & poll를 실행하면, 강좌에 기등록된 Quiz list(예: Quiz 1, 2, 3)가 표시된다. 이후, Quiz & poll의 Start 부메뉴를 실행하면, Quiz가 번호 순서대로 실행된다. 먼저 Quiz 1이 시작된다. Quiz의 Finish/view results 등의 흐름은 도 232 및 도 233의 instant poll과 동일하다.
도 235 내지 도 23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Open new fil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38 내지 도 239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Send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0 내지 도 240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tudent list->detail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1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tudent list->attendance check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2 내지 도 243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tudent list->Assign as presente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 Note->Text inpu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5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 Note->Handwriting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 Note->Redo/Undo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Start group activity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247을 참조하면, 교사의 기기에서 Start group activity 메뉴가 실행될 때, 교사의 화면과 해당 그룹의 학생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97의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 있는 students tab/Group view에서, Start Group이 실행되면, Start group 메뉴는 End group 메뉴로 변경된다. 그리고 교사의 기기에 1:N으로 묶어있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묶어지고 조장의 기기에 1:N으로 묶어진다. 다시 말해, 해당 그룹의 조장 및 조원들이 표시된다.
도 248 내지 도 25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그룹생성/편집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48a을 참조하면,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 있는 students tab/Group view에서, New group이 실행되면, 그룹 멤버 수를 결정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그룹 멤버 수가 4인 경우 그룹별로 4명의 미결정된 멤버들이 표시되고, 이후 좌측 영역의 학생 목록에서 해당 학생을 드래그앤드롭하여 해당 그룹으로 등록시킨다. 예를 들어, 학생 목록 중 Babe 학생을 선택하여 group 1로 이동시킨다. 이때, 그룹에 추가된 Babe 학생은 학생 목록에 표시되지 않는다.
도 248b을 참조하면, 상기 도 248a에서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 있는 students tab/Group view에서, New group이 실행하여 그룹별도 멤버들을 결정한 후에, 기결정된 그룹에서 해당 멤버를 드래그앤드롭으로 제거하면, 해당 멤버를 그룹에서 등록이 취소되며 학생 목록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group 1의 Amy를 드래그앤드롭으로 좌측 영역으로 이동시킬 경우, Amy 학생은 group 1에서 제거되고 좌측 영역의 학생 목록에 표시된다.
한편, 그룹 생성 시 그룹원 중 첫 번째 학생이 자동으로 조장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 교사가 변경 가능하다.
상기 도 249a 내지 249b을 참조하면,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 있는 students tab/Group view에서, New group이 실행되면, 그룹 멤버 수를 결정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그룹 멤버 수를 4명으로 결정한 후 랜덤하게 결정되는 경우 그룹별로 랜덤하게 4명의 학생들이 자동으로 등록된다.
도 250를 참조하면, 그룹간 멤버를 드래그앤드롭으로 교환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group 1의 Amy 학생을 선택한 후, group 2의 Babe 학생으로 드래그앤드롭하면 group 1의 Amy 학생과 group 2의 Babe 학생은 스위칭된다.
도 251를 참조하면 그룹 멤버 수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남는 인원은 마지막 그룹부터 각각 한 명씩 추가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26명의 학생들이 그룹 당 4명으로 결정되는 경우, Group 1 내지 Group 4은 4명의 멤버들로 구성되고, Group 5 내지 Group6은 5명의 멤버들로 구성된다. 이때, 5명의 멤버들로 구성된 그룹에서 해당 멤버를 드래그앤드롭으로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앤드롭은 상기 도 250의 멤버 스위치 개념이 아닌 멤버 이동 개념이다.
도 252a 내지 도 25b를 참조하면, 상기 도 251에서 처리된 방식과 다르게 그룹 맨하단에 생성된 그룹과 동일한 크기로 “Tap to add new group” 버튼 제공하여,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Tap to add new group” 버튼을 실행한 후, 좌측 영역의 학생 목록으로부터 해당 학생을 드래그앤드롭으로 멤버를 추가한다. 한편 그룹에 할당되지 않은 학생은 Not assigned로 묶인다.
도 253를 참조하면, 그룹 생성 조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 있는 students tab/Edit group 메뉴를 실행한 후 해당 그룹에서 원하는 조장을 선택한다. 이때 조장임을 가리키는 별모양의 아이콘 색깔이 변경된다.
도 254를 참조하면, 해당 그룹을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 있는 students tab/Edit group 메뉴를 실행한 후, 해당 그룹의 삭제버튼을 실행시킨 다음 group 1를 삭제할지를 문의하는 창에서 OK 버튼을 누르면 group 1이 삭제된다.
도 255를 참조하면, 그룹 활동 시작 후에 그룹 활동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students tab/End group 메뉴를 실행하면 그룹 활동이 종료된다.
도 25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assign as presente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58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Lock/Unlock Screen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59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Lock/Unlock inpu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0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Screen shar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1 내지 도 262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Detail view-Private teaching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3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Auto launch -Launch URL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4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Auto launch -Launch app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5 내지 도 267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Auto launch -launch Timer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68 내지 도 270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Manage student-Mange lis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71 내지 도 275는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Manage student-Lock Screen/Unlock Screen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76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Manage student-Edit lock sentenc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77 내지 281은 교사를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students에 Manage student-Lock input/Unlock inpu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2는 Manage student의 lock screen/lock input 메뉴를 정의한 도면이다.
도 283 내지 도 284은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more menu->save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5a 내지 285b는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contents에서 more menu->close cours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6a 내지 도 286b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이다.
상기 도 286a 내지 도 286b를 참조하면, 상기 도 189의 학생 런처 프로그램의 Course 메뉴는 Contents viewer, Today’s contents, Note, New note, Message, Save course contents, Exit course, Settings, Help등의 부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Contents viewer의 부메뉴는 Full view, Open new file, Send contents등의 부메뉴를 포함한다. Today’s contents의 부메뉴는 Open new file, Send contents 부메뉴를 포함한다. 상기 도 187의 교사 런처 프로그램의 Group (도시하지 않음) 부메뉴는 Group list, contents list, Note, New note, Screen share, Message, Save course contents, Exit course, Help, Settings을 포함하고 Group list는 Start collaboration를 포함하고, contents list는 Internet, Open new file, 그리고 Send contents를 포함한다.
도 287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Course tab/default view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8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Group tab/Group lis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89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Group tab/Contents list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0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screen share mod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1 내지 도 295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New note>mimi-memo/Full not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6a 내지 296b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Quiz/Poll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7 내지 298은 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message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99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Open new fil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0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Send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1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에서 save contents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2는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의 student/Group tab에서 start group activity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302를 참조하면, 그룹 활동 시작 시, 그룹영역에 그룹 멤버 목록이 표시되며, 그룹 멤버들이 조장의 기기에 연결된다. 그리고, 조장이 “Screen share” 버튼을 누르면 조장의 화면이 공유된다. 한편, 공유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컨텐츠 영역에 컨텐츠를 오픈해서 볼 수 있다.
콘텐츠 영역에, 콘텐츠 목록이 표시되며, 학생이 수업 중에 찾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저장되어 자동으로 콘텐츠 목록에 보여진다. 또는, 학생이 미리 다운받은 자료는 Open new file을 통해 오픈가능하며, 이 파일 또한 콘텐츠 목록에 등록된다. 구현에 따라, 교사가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보낸 컨텐츠도 목록에 표시된다. 추가로, 인터넷 검색 바로 가기 버튼이 제공된다.
도 303은 학생을 위한 메뉴 구조의 student/Group tab에서 start group activity 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303을 참조하면, 교사가 그룹 활동 시작 지시를 하기 전에 학생이 Group tab에 접근한 경우, 기본적인 정보(예: 그룹 멤버 목록)는 확인가능하며, 컨텐츠 영역에 안내문구 “Group activity is not started yet”가 표시된다. 조장의 경우, Screen share button 비활성화된다.
도 304는 그룹 리더에 의해 screen share가 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304을 참조하면, 그룹의 조장이 작업할 Open new file한 후, Screen share 실행할 시, 화면공유, 페이지넘기기/판서공유등이 가능하다. 그룹 멤버들은 Screen share mode로 진입한다. 기본적으로 조장에게만 일반적 쓰기 권한이 있다. 구현에 따라, 그룹 활동 중에 그룹 멤버 전체가 일반적 쓰기 권한을 가지거나, 조장이 그룹 멤버 1명에게 권한을 줄 수도 있다.
도 305는 End group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305을 참조하면, 그룹 활동 종료시, 학생의 화면자체는 그대로 유지되고, 조장의 경우 Screen share 버튼이 비활성화된다. 한편, 화면 공유 중이었다면 공유상태 해제된다. 작업 중이던 파일이 있을 경우, 종료 시점에 자동 저장된다. 그리고, 조장 중심으로 연결되었던 그룹 멤버들은 다시 교사를 중심으로 연결된다.
도 306 내지 도 316은 그룹 리더에 의해 화면의 이미지가 분할하여 공동 작업하여 공동작업이 끝난 후에 공동 작업한 데이터가 취합되어 하나의 작업을 끝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06을 참조하면, 조장이 협업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Start collaboration” 누르고 나면, 콘텐츠 영역이 1/N로 분할된다. 특정 이미지를 오픈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분할하거나 빈 화면이 분할된 상태에서 밑그림을 그려서 할당할 수 있다. 즉, 조장이 “Start collaboration”을 실행하면 협업 활동 시작되며, 화면이 멤버 수 만큼 분할된다. 그리고 분할된 각 이미지에 번호가 표시된다. 또한, 분할선이 표시된다.
“Random assign”은 분할된 각 이미지를 랜덤하게 멤버들에게 자동 할당한다. “Confirm assign”은 모든 멤버에게 이미지가 1차적으로 할당 되고 나면 활성화된다. 선택 시 할당된 이미지가 각 멤버에게 전달된다. “Start collaboration”는 협업 작업 시작 선택 후 End collaboration으로 변경된다. “End share”는 Start share가 실행되면 Start share가 End share로 변경되며, 협업이 시작되면 조장의 화면이 공유상태로 전환된다.
도 307을 참조하면, 분할된 이미지를 할당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조장이 멤버들에게 해당 이미지를 선택한 후 drag & drop하여 직접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이미지 1를 선택한 후, 멤버 Alex로 드래그앤드롭하면 이미지 1은 Alex에 할당되며 할당됨을 표시하는 아이콘의 색깔이 변경된다. “Random assign” 버튼 선택 시 자동으로 이미지가 멤버들에게 할당된다. 모든 이미지가 할당되고 나면 Confirm assign 버튼이 활성화된다.
도 308을 참조하면, 할당 작업이 끝나면, 조장은 할당된 이미지로 개인작업 시작이 가능하다. 자기자신에게 이미지가 할당되면 My view<->Group view 토글(toggle) 버튼이 생성된다. “Reassign images”는 할당을 다시 하고자 할 때 선택된다. 자기작업이 완료되면 Complete my work 버튼을 선택한다.
도 309을 참조하면, 조장은 submit to teacher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 및 멤버들이 작업한 내용들을 취합하여 교사에게 제출한다. 이때 멤버들의 제출상태 여부가 표시된다. Group view를 누르면 멤버들이 작업한 내용들이 취합되어 표시되고 My view는 자신이 작업한 내용들이 표시된다.
도 310을 참조하면, End Collaboration 버튼이 실행되면 협업 이전 상태로 전환되고, 화면에는 마지막에 보고 있던 협업결과물 표시된다.
도 311을 참조하면, 조장의 화면이 멤버들에게 공유된 후에, 그룹의 멤버가 조장으로부터 협업을 할당 받아 작업을 하고 이후 작업이 완료되면 조장에게 작업 내용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조장 Alex는 멤버에게 이미지 1를 할당하면 멤버 Benjamin은 작업을 수행하여 조장 Alex에 작업 내용을 전송한다. 이때, 멤버가 작업을 완료하고 그룹 조장에게 제출한 경우 완료상태로 변경된다.
도 312을 참조하면, 멤버가 조장으로부터 협업을 할당 받아 작업을 수행한 후 조장에게 제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모든 멤버들이 그들의 작업 내용을 조장에게 전송한 후, 조장에 의해 취합된 화면은 조원들에 공유되어 멤버도 Group view 및 My view가 가능하다.
도 313을 참조하면, Group view 및 My view 토글 버튼 생성을 도시하고 있다.이미지가 할당되고 나면 조장에게 Group view 버튼이 생성되고, 모든 멤버들에게는 조장에게 작업 내용을 제출하면 Group view 버튼이 생성된다. Group view 버튼이 선택 시, 전체 이미지가 표시되고 더불어 멤버들에게 조장의 화면이 공유된다. 그리고 My view 버튼 선택 시, 자신의 이미자가 표시된다.
한편, 조원에서, My view 버튼 선택되면 작업 내용을 조장에게 제출한 이후에 다시 수정해서 보내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My view로 돌아가서 추가 작업한 후 다시 조장에게 전송하면 조장의 화면은 업데이트된다.
또한, 만약 일부 멤버들만 작업 내용을 제출한 경우, Group view 상태에서 제출한 멤버에 해당하는 부분은 완성된 이미지로 제출하지 멤버에 해당하는 부분은 초기 이미지로 표시된다.
도 314을 참조하면, 그룹의 멤버들이 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조장의 화면이 공유되는 상태에서, 멤버들의 다른 작업을 모드 차단해야 하므로 멤버들은 Screen share mode로 진입한다. 도 314은 전체 작업 내용이 취합된 후의 조장의 화면 및 조장의 화면이 공유된 조원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15a 내지 도 315b을 참조하면, 화면 분할 예를 도시하고 있다.
멤버가 홀수인 경우, 세로폭을 2등분한 후(예: 상단 3, 하단 2로 분할), 상단 가로폭은 (N+1)/2로 분할하고 하단 가로폭은 (N-1)/2로 균등분할된다. 구현에 따라, 세로폭은 M등분될 수 있고, 분할된 세로폭은 각각 해당 비율로 분할된다.
멤버가 짝수인 경우, 세로폭 및 가로폭은 균등분할된다.
멤버가 2명인 경우, 3명인 경우, 4명의 경우의 화면분할을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멤버가 홀수인 경우에, 분할된 이미지 해상도가 다를 경우, 각 멤버 화면에 여백이 생기게 된다.
도 316 내지 도 317은 특정학생 화면을 공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18 내지 319은 external launching를 시작시 screen share를 실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활동을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0을 참조하면, 교사의 제1 기기는 다수의 학생들을 새 그룹으로 구성하거나 필요 시 기존에 그룹이 생성되어 있을 시 그룹을 편집(그룹의 학생 추가 혹은 삭제)한다(32001단계). 도 248a 내지 도 255는 그룹 생성 및 그룹 편집을 도시하고 있다.
이후, 제1 기기는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그룹의 조장 및 조원들에게 전송한다(32002단계). 상기 도 320에서 하나의 조장 및 조원을 도시하고 있지만, 구현에 따라, 다수의 그룹 및 다수의 조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기기는 그룹 활동 중인 학생들(그룹의 조장 및 조원들)에 대해 화면 모니터링을 시작한다. 다시 말해, 제1 기기는 다수의 학생 중 한 학생을 선택하여 선택된 학생의 화면을 모니터링 한다(32003단계). 구현에 따라, 제1 기기에서 화면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다수의 학생들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한편, 조장의 제2 기기 및 조원의 제3 기기는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시, 그룹 화면으로 전환한다(32004단계). 이때, 제1 기기에 1:N으로 묶여있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묶여진다. 즉, 조장의 제2 기기에 조원들의 제3 기기가 1:N으로 묶여진다. 그리고, 조장의 화면에서는 자신을 포함한 조원들의 리스트와 함께,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고, 조장의 화면은 조원들의 화면에 공유되어 표시된다(32005단계). 다만, 조원들의 화면에는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룹 활동 시작을 위한 도시하고 있는 도 247을 참조한다.
다른 구현에 따라서, 그룹내의 모든 학생 또는 그룹 내의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이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제2 기기는 공동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이벤트를 제3 기기에 전송한다(32006단계). 이때 조원들은 필요 시 조장이 공동 작업을 위한 콘텐츠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전송할 수 있다(32007단계). 의견 수렴은 메시지나 쪽지 전송 또는 게시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2 기기는 조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동작업을 할 콘텐츠를 선택하고 분할하고 조원들에게 할당한다(32008단계). 공동작업을 위한 콘텐츠는 이미지 또는 과제물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제2 기기는 조원에게 할당된 콘텐츠를 제3 기기에 전송한다(32009단계).
이후, 제2 기기 및 제3 기기는 할당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32009단계). 예를 들어, 할당된 콘텐츠가 전체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를 경우 이미지에 대해 작업을 수행한다. 만약 할당된 콘텐츠가 전체 과제물의 일부가 할당된 경우, 과제물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제3 기기는 할당된 콘텐츠에 대해 작업한 내용을 제2 기기로 전달한다(32011단계). 구현에 따라, 제3 기기는 작업이 수행된 콘텐츠를 제2 기기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후, 제2 기기는 자신의 작업 내용 및 조원들로부터의 작업된 내용을 취합하여 결과파일 또는 산출물을 생성하고(32012단계), 그 결과파일 또는 산출물을 제3 기기로 전달한다(32013단계).
이후, 제3 기기는 그 결과파일 또는 산출물에 대해 수정사항이 있는 시, 수정된 작업 내용을 제2 기기로 전달한다(32014단계). 이때 수정사항은 자신에 할당된 콘텐츠에 대해 수정사항이거나 다른 조원에 할당된 콘텐츠에 대한 수정사항일 수 있다. 구현에 있어서, 수정된 작업 내용이 제3 기기에서 제2 기기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수정사항에 대한 코멘트가 제3 기기에서 제2 기기로 전달되어 제2 기기에서 수정될 수 있다.
이후, 제2 기기는 제3 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작업내용을 취합하여 결과파일을 갱신한다(32015단계).
이후, 제2 기기는 최종 산출물 또는 최종 결과파일을 제1 기기 및 제3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달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그룹 활동의 실시 예는 도 302 내지 315b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활동을 위한 교사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싱기 도 321를 참조하면, 교사의 기기는 32100단계에서 다수의 학생들을 새 그룹으로 구성하거나 필요 시 기존에 그룹이 생성되어 있을 시 그룹을 편집(그룹의 학생 추가 혹은 삭제)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102단계에서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그룹의 조장 및 조원들에게 전송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104단계에서 그룹 활동 중인 학생들(그룹의 조장 및 조원들)에 대해 화면 모니터링을 시작한다. 다시 말해, 교사의 기기는 다수의 학생 중 한 학생을 선택하여 선택된 학생의 화면을 모니터링 한다. 구현에 따라, 제1 기기에서 화면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다수의 학생들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106단계에서 최종 산출물 또는 최종 결과파일을 조장의 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108단계에서 조장이 제출한 최종 산출물에 대해 평가결과를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3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활동을 위한 그룹 조장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2를 참조하면, 조장의 기기는 32200단계에서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교사의 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조장의 기기는 32202단계에서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시, 그룹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때, 제1 기기에 1:N으로 묶여있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묶여진다. 즉, 조장의 기에 조원들의 기기가 1:N으로 묶여진다. 그리고, 조장의 화면에서는 자신을 포함한 조원들의 리스트와 함께,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고, 조장의 화면은 조원들의 화면에 공유되어 표시된다. 다만, 조원들의 화면에는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룹 활동 시작을 위한 도시하고 있는 도 247을 참조한다. 다른 구현에 따라서, 그룹내의 모든 학생 또는 그룹 내의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이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조장의 기기는 32204단계에서 공동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이벤트를 조원의 기기에 전송한다. 이때 조원들은 필요 시 조장이 공동 작업을 위한 콘텐츠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전송할 수 있다. 의견 수렴은 메시지나 쪽지 전송 또는 게시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조장의 기기는 32206단계에서 조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동작업을 할 콘텐츠를 선택하고 분할하고 조원들에게 할당한다. 공동작업을 위한 콘텐츠는 이미지 또는 과제물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조장의 기기는 32208단계에서 할당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할당된 콘텐츠가 전체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를 경우 이미지에 대해 작업을 수행한다. 만약 할당된 콘텐츠가 전체 과제물의 일부가 할당된 경우, 과제물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조장의 기기는 32210단계에서 자신의 작업 내용 및 조원들로부터의 작업된 내용을 취합하여 결과파일 또는 산출물을 생성하고, 32212단계에서 그 결과파일 또는 산출물을 조원의 기기로 전달한다.
이후, 조장의 기기는 32214단계에서 그 결과파일 또는 산출물에 대해 수정사항이 있는 시, 32216단계에서 수정된 작업 내용을 조원의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결과파일을 갱신한다.
이후, 조장의 기기는 32218단계에서 최종 산출물 또는 최종 결과파일을 교사의 기기 및 조원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달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3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활동을 위한 그룹 조원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3를 참조하면, 조원의 기기는 32300단계에서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교사의 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02단계에서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시, 그룹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때, 제1 기기에 1:N으로 묶여있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묶여진다. 즉, 조장의 기기에 조원들의 기기가 1:N으로 묶여진다. 그리고, 조장의 화면에서는 자신을 포함한 조원들의 리스트와 함께,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고, 조장의 화면은 조원들의 화면에 공유되어 표시된다. 다만, 조원들의 화면에는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룹 활동 시작을 위한 도시하고 있는 도 247을 참조한다.
다른 구현에 따라서, 그룹내의 모든 학생 또는 그룹 내의 적어도 둘 이상의 학생이 공동 작업 시작을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04단계에서 공동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이벤트를 조장의 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06단계에서 조장의 화면을 공유한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08단계에서 조장이 공동 작업을 위한 콘텐츠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이 있을 시, 32310단계로 진행하여 조장의 기기로 의견을 전송한다. 의견 수렴은 메시지나 쪽지 전송 또는 게시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12단계에서 공동작업을 할 콘텐츠를 조장으로부터 수신한다. 공동작업을 위한 콘텐츠는 이미지 또는 과제물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14단계에서 할당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할당된 콘텐츠가 전체 이미지의 일부 이미지를 경우 이미지에 대해 작업을 수행한다. 만약 할당된 콘텐츠가 전체 과제물의 일부가 할당된 경우, 과제물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16단계에서 할당된 콘텐츠에 대해 작업한 내용을 조장의 기기로 전달한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18단계에서 그 결과파일 또는 산출물에 대해 수정사항이 있는 시, 32320단계로 진행하여 작업 내용을 수정하여 조장의 기기로 전달한다.
이후, 조원의 기기는 32322단계에서 최종 산출물 또는 최종 결과파일을 조장의 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3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4를 참조하면, 교사의 제1 기기는 서버에 퀴즈 목록을 요청(32400단계)하고, 퀴즈 목록을 서버로부터 수신한다(32401단계).
이후, 제1 기기는 퀴즈 목록으로부터 퀴즈를 선택하여 선택된 퀴즈를 해당 강의에 추가할 것을 서버에 요청한다(32402단계),
이후, 서버는 제1 기기에 의해 선택된 퀴즈를 해당 강의에 추가한다(32403단계).
이후, 제1 기기는 해당 강의시간에, 상기 해당 강의의 퀴즈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한다(32404단계). 이때 서버는 제1 기기의 해당 강의의 퀴즈 데이터 요청에 대해 퀴즈 데이터를 상기 제1 기기에 제공한다(32405단계).
이후, 제1 기기는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퀴즈 데이터를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의 제2 기기로 전달한다(32406단계).
이후,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퀴즈 데이터를 참조하여, 퀴즈를 푼다(32407단계).
이후, 제2 기기는 퀴즈를 푼 결과를 제1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32408단계).
이후, 제1 기기는 학생이 푼 퀴즈에 대해 자동채점을 서버에 요청한다(32410단계). 그때 서버는 제1 기기의 자동채점 요청에 따라 퀴즈채점을 수행한다(32413단계). 다른 구현에 있어서, 교사가 직접 학생의 퀴즈결과에 대해 채점을 매기고 그 채점결과를 교사의 첨삭 내용과 함께 서버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제1 기기 및 제2 기기는 퀴즈제출 현황을 표시한다(32412단계). 예를 들어, 학생들이 퀴즈 데이터를 제출하는 중인지 퀴즈 데이터 제출 후 평가 전인지 평가완료인지를 나타낸다.
이후, 제1 기기는 서버에 학생의 퀴즈결과 데이터를 요청한다(32414단계). 그때 서버는 퀴즈결과 데이터를 제1 기기에 제공한다(32416단계).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68 내지 도 80은 과제 제출 현황과 관련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93 내지 도 115는 레포트 제출 현황과 관련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229 내지 도 234는 교사가 수업중 즉석 여론 조사(instant poll)를 수행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교사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5를 참조하면, 교사의 기기는 32500단계에서 서버에 퀴즈 목록을 요청하여, 퀴즈 목록을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502단계에서 퀴즈 목록으로부터 퀴즈를 선택하여 선택된 퀴즈를 해당 강의에 추가할 것을 서버에 요청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504단계에서 해당 강의시간일 시, 32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해당 강의의 퀴즈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508단계에서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퀴즈 데이터를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의 기기로 전달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510단계에서 퀴즈를 푼 결과를 학생의 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512단계에서 학생이 푼 퀴즈에 대해 자동채점을 서버에 요청한다. 다른 구현에 있어서, 교사가 직접 학생의 퀴즈결과에 대해 채점을 매기고 그 채점결과를 서버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514단계에서 퀴즈제출 현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퀴즈 데이터를 제출하는 중인지 퀴즈 데이터 제출 후 평가 전인지 평가완료인지를 나타낸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516단계에서 서버에 학생의 퀴즈결과 데이터를 요청하여, 퀴즈결과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3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학생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6를 참조하면, 학생의 기기는 32600단계에서 교사의 기기로부터 퀴즈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후, 학생의 기기는 32602단계에서 수신한 퀴즈 데이터를 참조하여, 퀴즈를 푼다.
이후, 학생의 기기는 32602단계에서 퀴즈를 푼 결과를 교사의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도 3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퀴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7을 참조하면, 서버는 32700단계에서 교사의 기기로부터 퀴즈 목록 요청을 수신할 시, 퀴즈 목록을 교사의 기기에 제공한다.
이후, 서버는 32702단계에서 교사의 기기의 요청에 따라, 교사에 의해 선택된 퀴즈를 해당 강의에 추가한다.
이후, 서버는 32704단계에서 해당 강의시간인지를 판단하여, 32706단계에서 교사의 해당 강의의 퀴즈 데이터 요청에 대해 퀴즈 데이터를 교사의 기기에 제공한다.
이후, 서버는 32708단계에서 퀴즈를 푼 결과를 학생의 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서버는 32710단계에서 교사의 기기로부터 학생이 푼 퀴즈에 대해 자동채점을 요청 받을 시, 32712단계로 진행하여 자동채점 요청에 따라 퀴즈채점을 수행한다. 다른 구현에 있어서, 교사가 직접 학생의 퀴즈결과에 대해 채점을 매기고 그 채점결과를 서버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서버는 32714단계에서 교사의 퀴즈결과 데이터 요청시 퀴즈결과 데이터를 교사의 기기에 전달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32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물 처리를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8를 참조하면, 학생의 제2 기기는 서버로 해당 과제물을 제출한다(32800단계).
한편, 교사의 제1 기기는 과제물 제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32801단계), 서버로부터 과제물 제출 목록을 수신한다(32802단계).
이후, 제1 기기는 과제물 제출 목록으로부터 과제물 출력 화면 해상도와 같이 특정 학생의 과제물을 서버에 요청한다(32803단계). 제1 기기는 화면 해상도를 제공함으로써 교사가 과제물에 위에 첨삭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화면의 해상도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과제물 내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제1 기기는 출력할 화면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구현에 따라, 제1 기기가 별도로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제공하지 않으면, 서버는 디폴트 해상도를 기준으로 학생의 과제물을 제공한다.
이후, 서버는 제1 기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을 부분으로 나눠서 제공한다(32804단계). 즉, 서버는 제1 기기의 해상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과제물 내용만을 제공한다.
이후, 제1 기기는 전송된 과제물의 특정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입력된 첨삭 내용을 추가한다(32805단계).
이후, 제1 기기는 첨삭 내용 및 첨삭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서버에 제공한다(32806단계).
한편, 제1 기기는 화면 스크롤을 통해 과제물 내용을 검색할 시, 스크롤을 통해 이동한 거리만큼의 내용을 서버에 재요청한다(32807단계). 다른 구현에 있어서, 화면 스크롤 대신 페이지 단위로 과제물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에 대응하는 과제물 내용을 서버에 전송한다(32808단계).
구현에 있어서, 제1 기기가 서버로부터 전체 과제물에 내용을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경우, 서버에 과제물 내용을 재요청할 필요없다.
이후, 제1 기기는 재요청한 과제물 내용을 서버로부터 수신하고(32809단계), 최종 첨삭 내용과 첨삭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서버에 제공한다(32810단계). 서버는 첨삭내용의 위치를 고려하여, 과제물에 첨삭내용을 추가하여 관리한다.
다른 구현에 따라, 과제물 내용과 과제물 내용 위에 표시된 첨삭내용이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관리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기기는 과제물 제출 후에, 제2 기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 피드백을 요청한다(32811단계). 다시 말해, 제2 기기는 자신의 해상도 정보와 함께 과제물 피드백을 요청한다.
이후, 서버는 제2 기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첨삭내용을 포함하는 과제물을 제2 기기로 제공한다(32812단계). 구현에 따라, 제2 기기가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지 않는 경우, 서버는 디폴트 해상도에 따라 첨삭내용이 포함된 과제물을 제2 기기로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에 따라, 제2 기기는 해상도에 상관없이, 첨삭내용을 포함하는 과제물을 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자신의 해상도에 따라 첨삭내용 및 과제물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제2 기기는 과제물에 표시된 첨삭내용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32813단계).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3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물 처리를 처리하기 위한 교사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29를 참조하면, 교사의 기기는 32900단계에서 과제물 제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서버로부터 과제물 제출 목록을 수신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902단계에서 과제물 제출 목록으로부터 과제물 출력 화면 해상도와 같이 특정 학생의 과제물을 서버에 요청한다. 교사의 기기는 화면 해상도를 제공함으로써 교사가 과제물에 위에 첨삭하는 위치를 서버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화면의 해상도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는 과제물 내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제1 기기는 출력할 화면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구현에 따라, 제1 기기가 별도로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제공하지 않으면, 서버는 디폴트 해상도를 기준으로 학생의 과제물을 제공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904단계에서 자신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을 부분적으로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즉, 서버는 교사의 기기의 해상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과제물 내용만을 제공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906단계에서 전송된 과제물의 특정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입력된 첨삭 내용을 추가한다.
이후, 교사의 기기는 32908단계에서 첨삭 내용 및 첨삭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서버에 제공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3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물 처리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30를 참조하면, 서버는 33000단계에서 학생의 기기로부터 해당 과제물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후, 서버는 33002단계에서 교사의 기기로부터 과제물 제출 목록 요청 받을 시 교사의 기기에 과제물 제출 목록을 제공한다.
이후, 서버는 33004단계에서 과제물 제출 목록으로부터 과제물 출력 화면 해상도와 같이 특정 학생의 과제물을 요청 받을 시. 교사의 기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을 부분으로 나눠서 제공한다. 즉, 서버는 교사의 기기의 해상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과제물 내용만을 제공한다.
이후, 서버는 33006단계에서 첨삭 내용 및 첨삭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를 수신한다.
이후, 서버는 33008단계에서 특정 학생의 과제물에 대한 첨삭내용을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이후, 서버는 33010단계에서 학생으로부터 과제물 피드백 요청이 있을 시, 33012단계에서 학생의 기기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첨삭내용을 포함하는 과제물을 학생의 기기로 제공한다. 구현에 따라, 학생의 기기가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지 않는 경우, 서버는 디폴트 해상도에 따라 첨삭내용이 포함된 과제물을 제2 기기로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에 따라, 제2 기기는 해상도에 상관없이, 첨삭내용을 포함하는 과제물을 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자신의 해상도에 따라 첨삭내용 및 과제물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3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제물 처리를 처리하기 위한 학생의 기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31를 참조하면, 학생의 기기는 33100단계에서 서버로 해당 과제물을 제출한다.
이후, 학생의 기기는 33102단계에서 과제물 제출 후에, 자신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 피드백을 요청한다. 다시 말해, 학생의 기기는 자신의 해상도 정보와 함께 과제물 피드백을 요청한다.
이후, 학생의 기기는 33104단계에서 서버로부터 해상도를 고려하여 첨삭내용을 포함하는 과제물을 수신한다. 구현에 따라, 학생의 기기가 자신의 해상도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지 않는 경우, 서버는 디폴트 해상도에 따라 첨삭내용이 포함된 과제물을 학생의 기기로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에 따라, 학생의 기기는 해상도에 상관없이, 첨삭내용을 포함하는 과제물을 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자신의 해상도에 따라 첨삭내용 및 과제물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학생의 기기는 33106단계에서 과제물에 표시된 첨삭내용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서버
110: 교사 디바이스
120: 학생 디바이스

Claims (66)

  1.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시스템에서,
    수업을 생성하고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수업에 참여할 학생을 설정하고, 수업 중 학생 그룹을 구성하고, 학생들의 정보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사관리를 관리하는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생성한 자료를 이용하여, 과제 결과물 및 시험을 제출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출한 과제물 및 시험에 대해 첨삭 지도를 하고. 교사 첨삭 지도한 내용은 서버에 저장이 되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첨삭 지도를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콘텐츠를 스크롤할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에 첨삭 내용을 받아볼 수 있으며, 그 위에 자신이 필기한 내용을 추가할 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은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공유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화면을 감시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원격제어하여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그룹활동을 지원하는 도구를 제공하여 학생들 간의 대화형 수업도 지원하고, 학생들은 교사의 통제하에 각 그룹별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파일공유, 화면공유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그룹활동을 할 수 있으며 결과물을 공유하고 발표할 수 있고,
    실시간 시험 진행 및 폴 기능은 미리 작성된 내용으로도 가능하고,
    학생과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들 간, 그룹 간에도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고,
    메시지 전송시 문자 타이핑 데이터뿐만 아니라 교재화면에 첨삭한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고,
    수업시간에 참여시, 자신이 등록된 현재 진행중인 수업에 자동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
  5.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상기 교사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그룹을 구성하는 조장 및 조원들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의 조장으로부터 그룹 활동의 산출물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그룹 활동을 위한 교사기기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 전송 시,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은 상기 그룹의 조장에 조원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으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활동 중인 멤버의 화면을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조장으로부터 수신한 그룹 활동의 산출물에 대한 평가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은,
    그룹 인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인원을 기준을 다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과,
    학생목록으로부터 학생들을 드래그앤드롭하여 생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은,
    그룹 인원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인원을 기준을 다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학생들을 랜덤하게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2.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조장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교사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알리는 그룹 화면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원들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그룹활동을 위한 작업을 선택한 후, 조원 수를 기반으로 선택된 작업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작업을 각각의 조원 기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 내용을 각각의 조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작업 내용을 취합하는 과정과,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그룹 활동을 위한 조장기기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원들에게 전송할 시, 상기 조장 기기의 화면이 조원들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전달한 후, 수정된 작업 내용을 해당 조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갱신하여,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 기기의 작업 내용만을 표시하는 과정 또는,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조원 기기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조원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교사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알리는 그룹 화면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조장 기기의 화면을 공유하기 위해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할당된 작업을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작업 내용을 상기 조장 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조장 기기 및 다른 조원 기기들의 작업 내용과 취합된 작업 내용을 상기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그룹 활동을 위한 조원 기기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 수신 시, 상기 조장 기기의 화면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수정된 작업 내용을 조장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정된 작업 내용을 기반으로,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원 기기의 작업 내용만을 표시하는 과정 또는,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조원 기기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문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문제 목록을 기반으로, 문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할 것을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교육 과정 시,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해당하는 문제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상기 문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제 처리를 위한 교사 기기의 동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서버에 자동채점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채점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3. 해당 교육 과정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해당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문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문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교사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제 처리를 위한 학생 기기의 동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기기는 서버 또는 교사 기기 또는 이미 문제 데이터를 수신한 학생 기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교사 기기로부터 문제 목록을 요청 받을 시, 상기 문제 목록을 상기 교사 기기에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해당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 할 것을 요청 받는 을 시, 해당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교육 과정 시,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해당하는 문제 데이터를 요청 받을 시, 상기 문제 데이터를 상기 교사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제 처리를 위한 서버 동작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자동채점을 요청 받아 채점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채점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8. 과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과제 목록을 기반으로, 특정 학생의 과제를 선택하는 과정과,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 해상도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특정 학생의 과제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제물 처리를 위한 교사 기기의 동작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특정 학생의 과제 내용의 특정 위치 첨삭 내용을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된 첨삭 내용과 함께 상기 첨삭 내용이 상기 과제 내용에 표시될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0. 교사 기기로부터 과제 목록을 수신할 시, 상기 교사 기기에 과제 목록을 제공하는 과정과,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요청 받을 시, 상기 교사 기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교사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제물 처리를 위한 서버 동작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에 추가된 첨삭 내용과 함께 상기 첨삭 내용이 상기 과제 내용에 표시될 위치 정보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학생으로부터 과제물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학생으로부터 과제물에 대한 피드백 요청을 받을 시, 상기 특정 학생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교사의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상기 특정 학생에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4. 과제물을 서버에 제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제물 제출 후, 학생 기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 피드백 요청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교사의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제물 처리를 위한 학생 기기의 동작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 내용에 포함된 첨삭 내용을 비활성 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상기 교사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그룹을 구성하는 조장 및 조원들에게 전송하고,
    상기 그룹의 조장으로부터 그룹 활동의 산출물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 전송 시,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은 상기 그룹의 조장에 조원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으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활동 중인 멤버의 화면을 모니터링 하는 명령어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조장으로부터 수신한 그룹 활동의 산출물에 대한 평가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그룹 인원을 결정하고,
    상기 그룹 인원을 기준을 다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학생목록으로부터 학생들을 드래그앤드롭하여 생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그룹 인원을 결정하고,
    상기 그룹 인원을 기준을 다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다수의 그룹으로 학생들을 랜덤하게 이동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조장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교사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알리는 그룹 화면으로 전환하고,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원들에게 전송하고,
    그룹활동을 위한 작업을 선택한 후, 조원 수를 기반으로 선택된 작업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작업을 각각의 조원 기기에게 전송하고,
    상기 작업 내용을 각각의 조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작업 내용을 취합하고,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전달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4. 제44항에 있어서,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원들에게 전송할 시, 상기 조장 기기의 화면이 조원들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전달한 후, 수정된 작업 내용을 해당 조원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취합된 작업 내용을 갱신하여,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생성하고,
    상기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각각의 조원 기기에 전달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 기기의 작업 내용만을 표시하는 명령어 또는,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조원 기기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7.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에 다수의 학생들이 그룹 단위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조원 기기가, 그룹 활동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교사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그룹 활동 시작을 알리는 그룹 화면으로 전환하고,
    조장 기기의 화면을 공유하기 위해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를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할당된 작업을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작업 내용을 상기 조장 기로 전송하고,
    상기 조장 기기 및 다른 조원 기기들의 작업 내용과 취합된 작업 내용을 상기 조장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협업 시작을 지시하는 명령 이벤트 수신 시, 상기 조장 기기의 화면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수정된 작업 내용을 조장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정된 작업 내용을 기반으로, 그룹활동의 최종 산출물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조원 기기의 작업 내용만을 표시하는 명령어 또는,
    상기 교사 기기 및 상기 조원 기기들로부터 취합된 작업 내용을 모두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문제 목록을 기반으로, 문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할 것을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해당 교육 과정 시,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해당하는 문제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상기 문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서버에 자동채점을 요청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학생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채점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해당 교육 과정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해당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문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한 문제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교사 기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기기는 서버 또는 교사 기기 또는 이미 문제 데이터를 수신한 학생 기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로부터 문제 목록을 요청 받을 시, 상기 문제 목록을 상기 교사 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해당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 할 것을 요청 받는 을 시, 해당 문제들을 해당 교육 과정에 추가하고,
    상기 해당 교육 과정 시,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해당하는 문제 데이터를 요청 받을 시, 상기 문제 데이터를 상기 교사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자동채점을 요청 받아 채점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방법.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교육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 후,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채점 결과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과제 목록을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과제 목록을 기반으로, 특정 학생의 과제를 선택하고,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화면 해상도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특정 학생의 과제 내용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특정 학생의 과제 내용의 특정 위치 첨삭 내용을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첨삭 내용과 함께 상기 첨삭 내용이 상기 과제 내용에 표시될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교사 기기로부터 과제 목록을 수신할 시, 상기 교사 기기에 과제 목록을 제공하고,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요청 받을 시, 상기 교사 기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를 상기 교사 기기에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학생의 과제에 추가된 첨삭 내용과 함께 상기 첨삭 내용이 상기 과제 내용에 표시될 위치 정보를 상기 교사 기기로부터 제공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학생으로부터 과제물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학생으로부터 과제물에 대한 피드백 요청을 받을 시, 상기 특정 학생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교사의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상기 특정 학생에 제공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과제물을 서버에 제출하고,
    상기 과제물 제출 후, 학생 기기의 화면 해상도를 고려하여 과제물 피드백 요청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교사의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첨삭 내용을 포함하는 과제 내용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 내용에 포함된 첨삭 내용을 비활성 시켜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19942A 2012-05-21 2013-02-25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30135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142A KR20130133664A (ko) 2012-05-21 2013-04-11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3/894,105 US20130309648A1 (en) 2012-05-21 2013-05-14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ve class support and education management
EP13168456.5A EP2667340A1 (en) 2012-05-21 2013-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eacher and student devices for a group activity
PCT/KR2013/004462 WO2013176476A1 (en) 2012-05-21 2013-05-21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ve class support and education management
CN2013101920800A CN103426132A (zh) 2012-05-21 2013-05-21 用于交互式班级支持和教育管理的方法、设备和系统
JP2015513900A JP2015524104A (ja) 2012-05-21 2013-05-21 対話型授業支援及び学事管理のための方法、装置並びに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3900 2012-05-21
KR1020120053900 2012-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734A true KR20130135734A (ko) 2013-12-11

Family

ID=4998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942A KR20130135734A (ko) 2012-05-21 2013-02-25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5524104A (ko)
KR (1) KR201301357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9093B2 (ja) * 2016-03-10 2020-07-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グループ学習支援システム
CN109089056A (zh) * 2018-08-10 2018-12-25 南京腾优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教学交互设备
CN111917560B (zh) * 2019-05-07 2023-08-18 钉钉控股(开曼)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设备
CN110930821A (zh) * 2019-12-12 2020-03-27 武汉天喻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学习空间的信息化教学效果评选方法及系统
JP7410725B2 (ja) * 2020-01-07 2024-01-10 株式会社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46158B2 (ja) 2020-05-27 2024-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7903B2 (ja) * 2012-03-27 2016-12-21 富士通株式会社 グループ作業支援方法、グループ作業支援プログラム、グループ作業支援サーバ及びグループ作業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24104A (ja)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2812A1 (en) Online classroom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udent activity
KR20130133664A (ko)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99238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講義選択受付方法
US103735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education-based data while using calendar tools
US2013030964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active class support and education management
US201301914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anagement
KR20130135734A (ko)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1018312A (ja) 聴講者がプレゼンテ−ションコンテンツにアクセスでき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6120433B2 (ja) グループ討議システム
US20160240092A1 (en) Study system and display method
Nursyahrina et al. The use of Google Classroom in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t senior high school level
John Canvas LMS course design: Create and deliver interactive online courses on the Canvas learning management system
Stoykova Interactive environments for training in the higher education
KR20140005493U (ko) 출석체크 및 팀활동을 가능하게 한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JP2013232123A (ja) 電子会議システム、端末、およびファイル提供サーバ
JP4713926B2 (ja) 電子機器および共有データ管理方法
LaBorie Producing virtual training, meetings, and webinars: master the technology to engage participants
JP2016126067A (ja) 教習情報管理サーバ、及び教習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6709435B1 (ja) タイムテーブル自動作成システム
KR101713982B1 (ko) 학습 프로그램용 포스트잇 운영 시스템
JP6562853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
KR20130124694A (ko) 실습형 강의를 위한 강의 보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13232124A (ja) 電子会議システム
Vedantham et al. iPads in the classroom pilot project
WO2015017364A2 (en) Interactive learning and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