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861B1 -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861B1
KR102230861B1 KR1020200030760A KR20200030760A KR102230861B1 KR 102230861 B1 KR102230861 B1 KR 102230861B1 KR 1020200030760 A KR1020200030760 A KR 1020200030760A KR 20200030760 A KR20200030760 A KR 20200030760A KR 102230861 B1 KR102230861 B1 KR 102230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
items
user
item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058A (ko
Inventor
유은경
김보민
김준환
정찬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0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 그 제어방법, 서버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진행할 복수의 수업과정을 나타내는 항목과,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을 상기 복수의 수업과정의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업과정과, 상기 수업과정에 지정된 상기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교안컨텐츠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디지털 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USER DEVICE, SERVER,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PARING AND REPRODUCING CONTENTS FOR DIGITAL LESS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학습 컨텐츠에 기반한 스마트 교육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수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수업 중 학습 컨텐츠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소요하는 시간과 노력이 막대하여 효율적인 스마트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다. 수업 중 학습 컨텐츠와, 사용자단말기를 활용한 수업이 매끄럽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수업 전 다방면으로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학생에 비해 디지털 기기 학습 능력 및 사용 능력이 낮은 교사들을 위한 손쉬운 수업 준비 도구는 미미하다. 또한, 수업 진행 중 수업 환경 제어 시 소요되는 어려움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디지털 학습 컨텐츠 및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한 손쉬운 수업 컨텐츠 및 교안(이하, 통칭하여 '교안컨텐츠'라고도 함)의 마련과, 매끄러운 수업 진행을 미리 준비하기 위한 교사용 지원도구가 필요하다.
종래, 수업 모형에서 설계한 다수의 컨텐츠를 순서대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로 연동하여 재생하는 기술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서는, 스마트 교육 방식에 기반한 수업 준비를 위한 교안컨텐츠 설계 시 교사가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가 반영되어 있지 않고, 공유된 학습 관련 정보를 활용하는 소셜 기능이나 교실 환경 내 디스플레이 이외의 기기를 연동하는 내용이 미흡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4787호(2010.04.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5615호(2011.03.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2636호(2010.04.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디지털 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진행할 복수의 수업과정을 나타내는 항목과,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을 상기 복수의 수업과정의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업과정과, 상기 수업과정에 지정된 상기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교안컨텐츠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업과정의 항목은, 상기 수업과정의 테이블의 일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을 상기 테이블의 지정할 수업과정의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교안컨텐츠의 주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주제에 대응하는 복수의 템플릿의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템플릿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템플릿을 서버나, 다른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I는, 상기 각 수업과정에 대하여 선택 가능한 주변기기 또는 환경에 관한 복수의 설정을 나타내는 항목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설정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선택된 항목의 설정에 따라 상기 주변기기 또는 환경에 관한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설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교안구성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교안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교안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교안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교안컨텐츠에 대하여 작성 또는 편집한 내용을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작성 역할이 주어진 상기 수업과정 또는 상기 수업활동의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진행할 복수의 수업과정을 나타내는 항목과,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을 상기 복수의 수업과정의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지정하여, 상기 수업과정과, 상기 수업과정에 지정된 상기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교안컨텐츠를 작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업과정의 항목은, 상기 수업과정의 테이블의 일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을 상기 테이블의 지정할 수업과정의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교안컨텐츠의 주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제에 대응하는 복수의 템플릿의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템플릿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는, 서버나, 다른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템플릿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I는, 상기 각 수업과정에 대하여 선택 가능한 주변기기 또는 환경에 관한 복수의 설정을 나타내는 항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설정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항목의 설정에 따라 상기 주변기기 또는 환경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설정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교안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교안컨텐츠의 수업과정에 지정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교안구성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2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또는 상기 제2사용자에게 부여된 특정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에 대한 작성 역할의 정보를 상기 제1사용자 또는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주변기기 또는 환경설정의 정보를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기기 또는 환경설정이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주변기기 또는 환경설정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주변기기의 제어 또는 환경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디지털 수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교안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교안컨텐츠의 작성이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는, 제1사용자의 교안컨텐츠의 수업과정에 지정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교안구성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2사용자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사용자의 교안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사용자의 교안컨텐츠를 작성하는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수업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주변기기의 제어 또는 환경설정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주변기기의 제어 또는 환경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의 주변기기 또는 환경설정이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주변기기 또는 환경설정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진행할 복수의 수업과정을 나타내는 항목과,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된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을 상기 복수의 수업과정의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업과정과, 상기 수업과정에 지정된 상기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교안컨텐츠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디지털 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사용자(교사 혹은 학생)들이 공유한 교안, 학습자료, 기기/환경설정 등의 수업 준비 관련 정보를 교안 작성에 사용하고, 공유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수업 진행 단계 별로 다양한 학습활동과 연계된 수업자료를 배치하거나, 시간을 배치하고, 학생 개인 별/ 집단 별 수업자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제 교실 환경 내의 디스플레이는 물론, 오디오 시스템, 카메라, 조명 시스템 등 다양한 기기의 환경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와, 저장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안컨텐츠의 작성을 위한 G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템플릿을 나타내는 G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활동 지정을 위한 G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료 지정을 위한 G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기/환경 설정을 위한 G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학생 별 교안컨텐츠의 설정을 위한 G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15 내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를 사용하는 상황의 예시하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업 환경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업 환경을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가 표시하는 GUI 간 전환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21 내지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가 표시하는 GUI의 예들을 도시하며,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가 표시하는 GUI 간 전환의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37 내지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교안컨텐츠(lesson content)'는, 사용자(교사 및 학생)가 수업의 진행에 이용할 컨텐츠이다.
'수업활동(activity)'은 수업의 각 과정(이하, '수업과정'이라고도 함)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것으로서, 교사나 학생이 수업에 참여하는 다양한 형태의 활동이다.
'수업자료(material)'는 각 수업과정에 지정된 수업활동에 이용할 컨텐츠이다. 교안컨텐츠는 복수의 수업활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업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교안템플릿'은, 새로운 교안컨텐츠의 작성에 이용되는 미리 마련된 교안컨텐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은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디지털 수업(이하, 간략히 '수업'이라 함)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은 서버(2), 사용자단말기(1, 3 및 4) 및 주변기기(6; 이하, 간략히 '기기'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 사용자단말기(1, 3 및 4) 및 주변기기(6)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서버(2), 사용자단말기(1, 3 및 4) 및 주변기기(6)는 교안컨텐츠를 이용한 수업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동하여 동작한다. 서버(2)는 수업이 진행되는 교실 내에 마련되거나, 혹은 교실 외의 장소에 마련될 수 있다. 서버(2)는, 예컨대, 인터넷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스마트패드, 태블릿PC, 노트PC, 데스크탑PC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주변기기(6)는 교실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기기를 포함하며, 예컨대, PC, 비디오기기, 스크린, 오디오기기, 조명기기, 공조기기, 차광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수업을 준비하는 사용자, 예컨대, 교사는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여 자신의 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이하, 간략히 '컨텐츠'라고도 함)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다양한 기능의 GUI를 제공함으로써, 교사가 보다 편리하게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생들도 사용자단말기(1, 3 또는 4)를 이용하여, 교사가 작성한 교안컨텐츠를 활용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교안컨텐츠를 작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서버(2)에 요청하고, 서버(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체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교사는 사용자단말기(1)에 의해 제공되는 GUI(181)를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 진행 중에 설정에 따라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서버(2)를 통하여 수업의 진행에 필요한 수업자료(182)를 가져오거나,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GUI(181)를 이용하여, 수업을 계획하는 시점에서 수업자료(182)와, 각 수업 진행 순서에 따라 활용할 교실 내의 각종 주변기기(6)를 미리 설정하여 둘 수 있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는 물론, 수업자료(182)와, 교실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주변기기(6)의 정보를 저장한다. 서버(2)는 사용자의 계정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계정에 사용자가 설정하는 주변기기(6)나, 교실환경을 등록할 수 있다.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와 통신하면서, 사용자가 작성한 수업 진행 내용에 따라 주변기기(6)가 제어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를 사용하는 상황의 일례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수업 전에, 미리 수업계획을 고려하여 사용자단말기(1)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활용하여 교안컨텐츠(151)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교안컨텐츠(151)의 작성 시, 수업 진행 상황에 대응하여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의 설정을 미리 해 둘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를 사용하는 다른 상황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수업 중에, 미리 작성해둔 교안컨텐츠(161)를 보면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교안컨텐츠(161)에 미리 설정해둔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의 설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를 사용하는 다른 상황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수업 진행 중에도, 사용자단말기(1)에서 제공되는 제어 GUI(171)을 이용하여,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거나, 혹은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가 원하는 교안컨텐츠(151)를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과, 정보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가 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의 주제를 정할 수 있게 하고, 정해진 주제에 대응하는 교안템플릿(이하, 간략히 '템플릿'이라고도 함)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템플릿을 이용하여 각 수업과정 별로 다양한 수업활동을 지정할 수 있게 하고, 각 수업과정에 지정된 수업활동에 원하는 수업자료를 할당하여 교안컨텐츠(151)를 작성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교안컨텐츠(151)를 작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5)를 통하여 연결된 서버(2)나, 다른 사용자단말기(3)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거나, 주변에 연결된 다른 사용자단말기(4)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사인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여 로그인하여 교안컨텐츠(151)를 작성을 위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를 통해 다른 교사나 학생들과 공유하고 있는 학년, 과목, 주제 별 컨텐츠(교안, 활동, 자료, 기기/환경 설정 등)를 브라우징할 수 있고, 키워드 검색을 통해 해당 내용의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 결과들 중에서 관심 있는 교안이나, 자료를 북마크할 수 있고, 그 교안이나 자료는 개인 별 수업관련 정보('내 라이브러리(My Library)')로서 저장된다. 교사는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여 자신이 작성한 교안템플릿이나, 수업 관련 컨텐츠를 다른 교사에게 추천할 수 있으며, 이 때 다른 교사의 사용자단말기(3, 4)에서는 해당 교안템플릿 등을 보여줄 때 추천한 교사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교사는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교안탬플릿 혹은 동료 교사들과 공유한 교안템플릿 중에서 수업주제에 적합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한 템플릿에 맞춰 내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활동과, 자료를 끌어와 순서대로 배치한다. 또한, 사용자는 수업 활동이나, 자료에 맞게 수업 중 연동할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에는 대표적인 활동 별로 최적화된 주변기기(6)나, 환경의 설정이 미리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에 의해 제공되는 수업할 교실, 교실 내 주변기기(6), 주변기기(6)를 통해 실행 가능한 기능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완성된 교안컨텐츠(151)는 내 라이브러리에 저장되고, 사용자단말기(1)는 교안컨텐츠(151)를 사용자가 수업 중에 이용할 다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는 통신부(11), 저장부(12), 디스플레이부(13), 입력수신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사용자단말기(1)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부(11)는,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5)를 통하여 서버(2)와 통신하거나, 다른 사용자단말기(3)와 통신할 수 있다. 혹은, 통신부(11)는, USB 등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으로 인접하여 연결되는 다른 사용자단말기(4)와 통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교안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서버(2), 다른 사용자단말기(3, 4) 또는 주변기기(6)와 주고 받을 수 있다.
저장부(12)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로서, 교안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교안컨텐츠의 작성을 위한 GUI를 보여준다. 입력수신부(14)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수신부(14)는 키보드로 텍스트 등의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으로서 수신하거나,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디바이스로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부(13) 상의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사용자단말기(1)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5)는 사용자가 디지털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각 구성을 제어한다. 제어부(15)는 이와 같은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임시로 로딩되는 램과 같은 메모리와, 메모리에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 가능한 코드의 형태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5)와, 저장부(12)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는 교안 작성/편집 모듈(151), 수업 정보 관리 모듈(152) 및 학생 정보 관리 모듈(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는, 교안컨텐츠(121) 및 교안템플릿(126)을 저장할 수 있다.
교안컨텐츠(12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교안 작성/편집 모듈(151)에 의해 작성하여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안컨텐츠(121)는, 수업과정과, 각 수업과정에 어떠한 수업활동, 수업자료, 기기/환경 설정 등이 지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교안구성정보(1211)를 포함할 수 있다. 교안구성정보(1211)는, 수업과정 정보(1212), 수업활동 정보(1213), 수업자료 정보(1214), 기기/환경 설정 정보(1215) 및 학생 정보(1216)를 포함할 수 있다. 교안구성정보(1211)는 수업을 이루는 과정으로서 시간적으로 진행되는 복수의 수업과정에 관한 정보이다. 수업활동 정보(1213)는 각 수업과정 별로 수행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 내용에 관한 정보이다. 수업자료 정보(1214)는 각 수업과정의 수업활동에 이용되는 수업자료에 관한 정보이다. 기기/환경 설정 정보(1215)는 학습 시 이용되는 주변기기(6)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컨대, 학교 별, 교실 별 이용되는 주변기기(6)의 리스트와, 해당 학교/기기 별 실행 가능한 기능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정보(1215)는, 수업 진행 중에 이용되는 다양한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의 제어를 위하여, 예컨대 디스플레이 설정정보, 오디오 설정정보, 조명기기 설정정보, 공조기기 설정정보, 시큐리티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학생 정보(1216)는 교사가 가르치는 학생의 기본정보와, 학생의 학습 수준, 역량, 이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안템플릿(126)은 사용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미리 마련된 교안컨텐츠이거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서버(2)나 다른 사용자단말기(3, 4)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교안템플릿(126)은 교안컨텐츠(121)와 유사한 교안구성정보로서, 수업과정 정보, 수업활동 정보, 수업자료 정보, 기기/환경 설정 정보 및 학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교안템플릿(126)에 포함된 수업구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교안컨텐츠(121)를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교안 작성/편집 모듈(151)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반적으로 교안컨텐츠(121)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수업 정보 관리 모듈(152)은 교안 작성/편집 모듈(151)과 연동하여 수업과정 정보(1212), 수업활동 정보(1213), 수업자료 정보(1214) 및 기기/환경 설정 정보(1215)를 관리한다. 예컨대, 수업 정보 관리 모듈(152)은 사용자가 실행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추천 알고리즘에 추천된 교안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수업 정보 관리 모듈(152)은 각 정보의 추가 또는 삭제를 할 수 있다. 학생 정보 관리 모듈(153)은 학생 정보(125)를 관리한다.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5)와, 저장부(12)의 구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와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작 S41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교안컨텐츠의 작성 시, 복수의 수업과정의 항목과,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GUI(도 9의 부호 91, 도 10의 부호 101 또는 도 24의 부호 240 참조)를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12)는, GUI(91 등)를 표시하기 위한 교안작성 GUI정보(127)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단말기(1)는, 동작 S41 수행 전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작성하고자 하는 교안컨텐츠의 주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기(1)는 선택된 주제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제공하며, 예컨대, 저장부(12)에 저장된 교안템플릿(126)에 포함된 각 수업과정 별로 지정 가능한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42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된 복수의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동작 S43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의 항목을 복수의 수업과정의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지정한다. 사용자단말기(1)는 각 수정과정에 대하여 동작 S42 및 S43을 반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44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각 수업과정과, 해당 수업과정에 지정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1211)를 저장하여 교안컨텐츠를 작성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기기나, 수업 환경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다. 먼저, 동작 S191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주변기기(6) 및 환경설정에 대한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동작 S191에서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으면, 동작 S192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입력한 정보대로 주변기기(6) 및 환경설정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만일, 동작 S191에서 사용자의 수동 입력이 있지 않으면, 동작 S193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수업의 진행 단계(수업과정)를 판단한다. 만일, 동작 S193에서, 수업과정이 판단되지 않으면, 동작 S196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가에게 수업의 진행 단계를 수동으로 입력할 것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동작 S197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로부터 수업 진행 단계의 입력을 수신한다. 만일, 동작 S193에서 수업과정이 판단되거나, 동작 S197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업 진행 단계의 입력이 수신되면, 동작 S194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해당 수업과정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6) 및 환경설정이 있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동작 S195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6) 및 환경 설정에 따라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동작 S198에서, 사용자단말기(1)는 수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아직 수업이 완료되지 아니하였으면, 동작 S191로 돌아가고, 수업이 완료되었으면 동작을 종료한다.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가 작성하고자 하는 교안컨텐츠의 주제에 관하여, 다른 교사나 학생들과 공유하고 있는 정보, 예컨대, 학년, 과목, 세부 주제별 컨텐츠(교안, 활동, 자료, 기기/환경 설정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입력 수신부(14)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텍스트 등에 기초하여 교안컨텐츠의 주제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주제 검색창(도시 안됨)을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텍스트 등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주제 검색창을 통하여 입력되는 텍스트 등을 키워드로 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거나, 서버(2)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주제의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주제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교안컨텐츠의 작성을 위한 GUI(51)의 일례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GUI(51)에 나타난 주제의 검색 결과(52)를 이용하여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교안컨텐츠의 검색 주제는 '에너지 보존(conservation of energy)'이며, 검색 결과(52)는 '에너지 보존(conservation of energy)'의 주제와 관련된 교안컨텐츠나 수업자료로서, 1) 일반(general) 2) 융합(steam) 및 3) 학생 (students')으로 분류된 컨텐츠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교안컨텐츠는 본 실시예의 공유되는 교안컨텐츠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공유되는 교안컨텐츠는 이와 같은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할 도 37 내지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370, 380 및 390)가 표시하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도 가능하다.
사용자단말기(1)는 소정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한 주제에 대응하는 교안이나 자료를 GUI(51)를 통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컨대, 동료 교사가 자신이 작성한 교안컨텐츠이나, 수업자료를 추천한 경우, 사용자단말기(1)는 검색 결과(52)에 대하여 각 컨텐츠를 추천한 사용자와, 추천 이유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GUI(51)에서 검색 결과(52)를 다른 교사가 공유한 컨텐츠(521)와, 추천하는 컨텐츠(522)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검색 결과(52)를 유형 별로 표시하거나, 각 자료의 내용을 썸네일의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GUI(51)는 복수의 교안컨텐츠나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항목(5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 결과(52)를 브라우징하면서 검색 결과(52) 중에서 관심 있는 교안컨텐츠 혹은 수업자료의 항목(54)을 선택하면, 선택된 교안컨텐츠 등이 내 라이브러리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검색 결과(52)를 자신의 교안컨텐츠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관심 있는 교안컨텐츠 혹은 수업자료의 항목(54)을 선택하고, 이를 드래그 앤 드롭의 방식으로 내 라이브러리의 교안 영역(5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관적이고 편리한 방법으로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가 교안컨텐츠를 용이하게 작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템플릿을 제공한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교안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GUI(61, 71, 81)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61)의 좌측에는 수업과정의 항목(62)이 배치되며, 내 라이브러리의 항목(63)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업과정의 항목(62)은 테이블의 일 영역의 형태로 마련되며, 주제(621)와, 세로 축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수업과정에 관한 필드(622)를 포함한다. 또한, 수업과정의 항목(62)은 가로 축으로 나열되는 수업활동(activities), 시간(time), 수업자료(materials) 및 기기/환경설정(device setting)에 관한 필드(623)를 포함한다. 내 라이브러리의 항목(63)은 복수의 탭(631)을 포함한다. 복수의 탭(631)은 예컨대, 수업계획(lesson plan), 수업활동(activities), 수업자료(materials) 및 기기/환경설정(device setting)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탭(631)을 이용하여 교안컨텐츠의 수업계획, 수업활동, 수업자료 및 기기/환경설정을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업계획의 탭(631)을 선택하여, 복수의 템플릿 중에서 원하는 어느 하나의 템플릿을 정할 수 있다. 템플릿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업과정의 항목(72)에 구체적인 수업활동 등이 아직 지정되지 아니하고 비어 있는 형태의 것(제1템플릿)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자신 혹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수업과정의 항목(82)에 구체적인 수업활동 등이 이미 지정된 형태의 것(제2템플릿)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제1템플릿 및 제2템플릿에 각각 기초한 수업과정의 항목(72, 82)은 우측 내 라이브러리의 템플릿 선택 항목(73 혹은 83)을 각각 선택하면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적하는 수업 내용을 고려하여, 비어 있는 제1템플릿에 의한 수업과정의 항목(72)을 채워서 교안컨텐츠를 작성하거나, 이미 완성된 제2템플릿에 의한 수업과정의 항목(82)을 편집하여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템플릿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수업활동의 탭(631)을 선택하여, 각 수업과정 별로 원하는 수업활동을 지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업활동의 지정을 위한 GUI(91)의 일례를 도시한다. 수업활동의 탭(631)이 선택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수업과정 별로 지정될 수 있는 수업활동을 나타내는 항목(92)을 표시한다. 수업활동은, 예컨대, 전체 동영상 보기, 개별학습, 협력학습, 학습게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우측의 내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수업활동의 항목(9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수업활동의 항목(92)을 좌측의 테이블에 마련된 복수의 수업과정의 영역(93) 중 어느 하나에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우측의 수업활동의 항목(92)을 드래그 앤 드롭의 방식으로 좌측의 테이블의 원하는 수업과정의 영역(93)으로 이동시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좌측 테이블에서 어느 하나의 수업과정에 대응하는 수업활동의 영역(93)을 먼저 선택하고, 다음으로 해당 수업과정(93)에 지정할 수업활동의 항목(92)을 선택할 수도 있다. 수업활동의 지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단말기(1)는 좌측 테이블의 수업과정의 영역(93) 상에 지정된 수업활동(92)의 정보(예컨대, 썸네일)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수업과정(93)뿐만 아니라, 나머지 다른 수업과정에 대하여도 원하는 수업활동을 각각 지정할 수 있다. 수업활동, 수업자료 및 기기/환경 설정은 각각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둘 이상을 한번에 지정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예컨대 수업활동에 수업활동명, 수업자료 및 기기/환경 설정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업활동의 항목(92)을 수업과정의 영역(93)으로 이동시켜 지정하면, 해당 수업활동에 포함된 수업활동명, 수업자료 및 기기/환경 설정의 정보도 동시에 함께 지정될 수도 있다. 수업활동 등의 지정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4에 도시된 GUI(240)를 이용하여 수업활동 등의 지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수업자료의 탭(631)을 선택하여 각 수업과정에 대하여 수업 시 이용할 자료를 지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업자료의 지정을 위한 GUI(101)의 일례를 도시한다. 수업자료의 탭(631)이 선택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수업과정 및/또는 수업활동 별로 지정될 수 있는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항목(103)을 표시한다. 수업자료는, 예컨대, 컨텐츠의 유형 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을 나타내는 썸네일(편의상 도시 생략함)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우측의 내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수업자료의 항목(1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수업자료의 항목(103)을 좌측의 테이블에 마련된 복수의 수업과정의 영역(102) 중 어느 하나에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우측의 수업자료의 항목(103)을 드래그 앤 드롭의 방식으로 좌측 테이블의 수업과정의 영역(102)으로 이동시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좌측 테이블에서 어느 하나의 수업과정의 영역(102)을 먼저 선택하고, 다음으로 해당 수업과정(102)에 지정할 수업자료의 항목(103)을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수업과정(102)뿐만 아니라, 나머지 다른 수업과정에 대하여도 원하는 수업자료를 각각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기/환경 설정의 탭(631)을 선택하여 각 수업과정에 대하여 수업 시 이용되는 주변기기(6) 또는 환경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기/환경 설정을 위한 GUI(111)의 일례를 도시한다. 기기/환경 설정의 탭(631)이 선택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수업과정, 수업활동 및/또는 수업자료 별로 지정될 수 있는 기기/환경 설정을 나타내는 항목(113)을 표시한다. 기기/환경 설정은, 예컨대, 미리 마련된 설정과, 장소 별 기기 설정 등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기기/환경 설정은, 구체적으로, '슬라이드쇼', '비디오 보기' 등의 각 경우에 적합하도록 이용되는 주변기기(6)와, 그 환경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우측의 내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기/환경 설정의 항목(1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기/환경 설정의 항목(113)을 좌측의 테이블에 마련된 복수의 수업과정의 영역(112) 중 어느 하나에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우측의 기기/환경 설정의 항목(113)을 드래그 앤 드롭의 방식으로 좌측 테이블의 수업과정의 영역(112)으로 이동시켜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좌측 테이블에서 어느 하나의 수업과정의 영역(112)을 먼저 선택하고, 다음으로 해당 수업과정(112)에 지정할 기기/환경 설정의 항목(113)을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수업과정(102)뿐만 아니라, 나머지 다른 수업과정에 대하여도 원하는 기기/환경 설정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업에 참여할 학생 별로 교안컨텐츠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학생 별 교안컨텐츠의 설정을 위한 GUI(120)의 일례를 도시한다. 학생 별 교안컨텐츠의 설정이 선택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복수의 학생의 항목(1201)을 표시한다. 사용자단말기(1)는 어느 하나의 학생의 항목(1202)이 선택되면, 해당 학생의 상세정보(1203)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학생의 상세정보(1203)를 이용하여 학생 별로 교안컨텐츠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완성된 교안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공유 요청에 따라 완성된 교안컨텐츠나, 그 관련 정보를, 서버(2)나, 다른 사용자단말기(3, 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3, 4)를 이용하여 해당 주제로 검색한 경우, 사용자단말기(1)의 사용자가 작성한 교안컨텐츠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 해당 교안컨텐츠나, 그 관련정보를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사용자단말기(3, 4)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는 다른 교사나, 학생의 사용자단말기(3, 4)로부터 공유된 교안컨텐츠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작성된 교안컨텐츠는 수업 시 이용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에 저장된 교안컨텐츠(121)를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는 교안컨텐츠(121)를 다른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교안컨텐츠(121)에 포함된 교안구성정보(1211)를 참조하여, 각 수업과정에 대응하는 수업활동 및 수업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는 교안컨텐츠(121)의 실행 시, 'Intro'의 'Icebreaking'의 수업과정에, '전체동영상보기'의 수업활동이 지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는 '전체동영상보기'의 수업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수업자료(예컨대, 전체동영상 파일 등)가 있음을 알려준다.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수업자료를 제공(예컨대, 전체동영상 재생)하여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교안컨텐츠(121)는 해당 수업자료(1217) 자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혹은 교안구성정보(1211)가 해당 수업자료를 가져올 수 있는 수업자료 정보(1214; 예컨대, 수업자료가 업로드된 서버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 수업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다른 기기의 연결 정보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단말기(1)는 수업자료 정보(1214)를 참조하여, 예컨대, 인터넷 사이트 주소의 서버를 액세스하여, 서버로부터 해당 수업자료를 전송 받아서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수업자료를 제공함에 있어서, 주변기기(6)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위하여 동영상 파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프로젝터 등)와, 동영상 파일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앰프나,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다. 혹은, 수업이 진행되는 교실의 조명장치, 프로젝터 용 스크린, 차광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는, 교안컨텐츠(121)의 작성 시 설정되어 저장된 기기/환경 설정 정보(124)에 따라 주변기기(6)가 설정된 바와 같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기/환경 설정은,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밝기/색상, 스피커의 음량, 주변 조명의 밝기, 프로젝터 스크린의 승강, 차광 장치의 개폐 등일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수업 시 이용되는 주변기기(6)가 연결된 때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저장된 기기/환경 설정에 따라 해당 설정 정보를 연결된 주변기기(6)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교사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전에 수업과정 별로 수업활동, 수업자료, 수업 환경 등을 미리 준비 및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업 중에는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간이한 입력만으로 이미 설정된 내용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교안컨텐츠는 다른 교사와 학생들의 사용자단말기에 편리하게 공유될 수 있으므로, 이를 다운받고 설치하는 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는 여러 사용자가 협력하여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 별로 여러 사용자에게 작성 역할을 나누거나, 혹은 한 사용자가 1차적으로 작성을 하면, 나머지 사용자가 리뷰 및 수정해 줄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서버(2)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여러 사용자가 교안컨텐츠의 협력하여 작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단말기(1)는 제1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여 교안컨텐츠를 작성 또는 편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서버(2)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는 다른 사용자단말기(3)의 제2사용자가 동일한 교안컨텐츠를 작성 또는 편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서버(2)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단말기(1)는 서버(2)로부터 수신된 교안구성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단말기(3)의 제2사용자가 교안컨텐츠에 대하여 작성 또는 편집한 내용을 알려준다. 사용자단말기(1)는 특정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에 제1사용자에게 작성 역할이 주어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는 GUI(91)에서 제1사용자에게 작성 역할이 주어진 특정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의 항목만을 활성화시켜, 제1사용자가 해당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만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단말기(1)는 제1사용자에게 주어진 특정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의 정보를 서버(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단말기(1)는 제1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에 대한 작성 역할을 제1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기(1)는 특정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에 대한 작성 역할이 제1사용자에게 부여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서버(2)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교안컨텐츠에 대하여 여러 사용자가 협력하여 작성 또는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인 교안컨텐츠의 작성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2)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의 작성, 관리 및 수업 진행 제어를 위하여 사용자단말기(1, 3, 4) 및 주변기기(6)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 관련 서비스로서, 교사와, 학생의 인적 사항과, 교사가 관리하는 학급의 수업 진행/출결 사항, 교사의 과제 관련 업무 상태에 관한 사항, 교사의 평가 관련 업무 상태에 관한 사항, 교사나 학생들의 포럼, 이슈 논의 등의 정보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교안컨텐츠를 작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에 의해 수업의 진행에 필요한 수업자료(182)를 가져와서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는 수업 진행 중에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에 따라 주변기기(6)나, 교실 환경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교사나, 학생의 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교사가 사용자단말기(1)를 이용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서버(2)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서버(2)는 로그인한 교사가 기 등록된 교사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 등록된 교사이면, 사용자단말기(1)에게 이를 알려주어 해당 교사가 교안컨텐츠를 작성을 계속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 혹은 자동으로 해당 교사의 기존 작성된 교안컨텐츠나, 해당 교사에게 추천할 만한 교안컨텐츠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2)는 이를 위하여 복수의 교사의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이들이 작성한 교안컨텐츠의 정보를 업로드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교안컨텐츠의 정보를 다른 교사의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한다. 서버(2)는 복수의 교사의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업로드된 교안컨텐츠의 대하여, 그 공유 권한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서버(2)는 업로드된 어느 교안컨텐츠에 대하여, 공유 권한이 있는 교사에게만 해당 교안컨텐츠의 열람 및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에 따라 교안컨텐츠의 특정 주제에 대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의 해당 주제에 대하여 저장부(22)를 검색할 수도 있고, 또는 인터넷이나 다른 기기에 검색을 요청하여 그 결과를 얻어올 수도 있다. 서버(2)는 검색의 효율성을 위하여, 저장부(22)에 저장되는 교안컨텐츠의 정보를 주제나,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 작성 시,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 혹은 자동으로, 해당 교사의 해당 학기에 진행할 과목별 수업 리스트, 조회 중인 수업에 대한 기본 정보, 조회 중인 수업에 대해 작성된 단원 계획 목록, 선택된 Unit에 대해 작성된 수업과정 별 수업 계획 목록, 가장 최근에 작성된 교안컨텐츠의 항목 등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의 작성 시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 혹은 자동으로, 수업에 이용되는 교수 학습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는 복수의 종류의 교수 학습법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단말기(1)에 해당 교안컨텐츠의 주제 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교수 학습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에서 어느 하나의 교수 학습법이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교수 학습법에 대응하는 수업활동이나, 수업자료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에서 교안컨텐츠의 작성 시, 교사가 어느 수업과정을 선택하면, 해당 수업과정에 대응하는 수업활동이나, 수업자료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에서 이루어지는 교안컨텐츠의 매 작성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22)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2)는 사용자단말기(1)에서 이루어지는 교안컨텐츠의 매 작성 결과를 해당 교사 개인 별로 관리할 수 있다(사용자단말기(1)의 My Library에 대응).
서버(2)는 교안컨텐츠의 작성 시, 수업의 팀 구성, 클래스 등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는 수업을 수강하는 클래스의 리스트와, 클래스 별 인원수, 팀 구성을 위한 그룹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수업 과정 별로 수업 계획에 필요한 설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교안컨텐츠의 작성 시,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에 따라, 주변기기(6)나, 환경 설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는 수업 진행 중에, 교안컨텐츠의 설정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의 요청에 따라, 주변기기(6)나, 환경 설정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는 해당 수업과정, 수업활동 등이나, 사용자단말기(1)의 속성에 기초하여, 특정 주변기기(6)나, 환경 설정을 사용자단말기(1)에 추천할 수 있다. 서버(2)는 해당 수업에 대여 가능한 주변기기(6)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복수의 교사들 간의 커뮤니티인 포럼(Teacher Foru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포럼 서비스와 관련하여, 교사가 등록한 컨텐츠의 목록, 교사가 등록한 토론의 목록, 컨텐츠 추천 정보(Best/Recommended/New Banner), 카테고리 별 최신 컨텐츠 등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는 상기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복수의 교사의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교안컨텐츠에 대한 열람, 업로드, 다운로드, 리뷰, 인용, 추천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2)가 제공하는 포럼 서비스에 관한 GUI는 도 37참조하여 후술한다.
서버(2)는 통신부(21), 저장부(22) 및 제어부(23)를 포함한다. 통신부(21)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1, 3) 및 주변기기(6)와 통신한다. 저장부(22)는 교안컨텐츠의 작성, 관리 및 주변기기/환경 제어를 위한 데이터와,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2)는 복수의 사용자의 인적 사항에 관한 사용자정보(22),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고 있는 교안컨텐츠에 관한 교안컨텐츠정보(222) 및 주변기기(6)와, 교실 환경의 제어를 위한 주변기기/환경설정정보(2221)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22)는 각 사용자의 이름, ID, 공유된 교안컨텐츠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안컨텐츠정보(222)는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고 있는 교안컨텐츠의 제목, ID, 교안구성정보, 공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 협력 작성의 경우 각 사용자의 작성 역할에 관한 정보, 컨텐츠의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관리를 위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3)는 사용자단말기(1, 3)에서 제1사용자에 의해 교안컨텐츠가 작성되면, 제1사용자의 공유 (업로드) 요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 3)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와, 작성된 교안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3)는 제2사용자의 공유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기 공유된 교안컨텐츠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 3)로 전송한다. 제어부(23)는 제2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저장된 교안컨텐츠정보(222)를 소정 주제로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사용자단말기(1, 3)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2)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23)는 여러 사용자로부터 협력 작성의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중개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1)의 제1사용자와, 사용자단말기(3)의 제2사용자가 교안컨텐츠를 협력하여 작성하는 경우, 제어부(23)는 사용자단말기(1)의 제1사용자가 작성 또는 편집한 교안구성정보를 사용자단말기(1)로부터 수신하고(동작 S141), 수신된 교안구성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 전달한다(동작 S142). 한편, 사용자단말기(3)의 제2사용자가 작성 또는 편집한 교안구성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단말기(1)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3)는 교안컨텐츠정보(222)를 참조하여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특정 수업과정 또는 수업활동에 대한 작성 역할이 각각 부여된 경우.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에게 각각 부여된 작성 역할의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 및 사용자단말기(3)로 각각 전송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 간 전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는 단계적으로 GUI(201 내지 204)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는 'Zone', 'Service', 'Unit' 및 'Component'의 4단계로 GUI(201 내지 204)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단계의 GUI(201 내지 203) 간을 상호 전환하거나, Component 단계의 GUI(204)를 생성 또는 소멸할 수 있다. 각 단계의 GUI(201 내지 204) 간의 전환, 생성 또는 소멸은, 사용자가 GUI(201 내지 204)에 포함된 어느 항목을 선택하거나, 혹은 미리 정해진 키입력이 있으면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Zone 단계의 GUI(201)의 어느 Zone을 선택하면, 해당 Zone의 Service에 대응하는 GUI(201)가 표시된다. GUI(202)의 어느 Unit을 선택하면 대응하는 GUI(203)가 표시된다. GUI(203)에서 어느 항목을 선택하면 대응하는 Component 단계의 GUI(204)가 팝업되어 표시된다. 예컨대, Teacher Zone의 GUI(201)에서 Lesson Designer의 GUI(202)로 전환될 수 있고, Lesson Designer의 GUI(202)에서 Create Lesson Plan_Teacher, Lesson Plan Settings 또는 Teacher Forum의 GUI(203)로 전환될 수 있고, 그 역의 전환도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Zone 단계의 GUI의 일례를 도시한다. GUI(210)은 교사용 Zone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다. GUI(210)는 각 Zone (211 내지 218)을 구성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보여준다. 각 Zone (211 내지 218)의 서비스는, 교사가 학기 별로 진행하는 수업시간표를 나타내는 Time Table (211), 해당일의 스케줄 리스트 제공하는 Schedule List (212), Teacher Zone에 관련된 최신 알림 사항을 제공하는 Notice (213), 새 교안 작성 및 작성 중인 교안을 제공하는 Lesson Designer (214), 교사가 관리하는 학급의 출결, 질문 정보 등을 제공하는 Student Monitoring (215), 교사의 과제 관련 업무 상태 정보 및 바로 가기를 제공하는 Assignment Manager (216), 교사의 평가 관련 업무 상태 정보 및 바로 가기를 제공하는 Assessment Manager (217), 포럼, 이슈 논의 등의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Teacher Forum (218)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Lesson Designer 서비스(214)의 경우, 교사가 서비스 앱을 실행하거나,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 했을 때의 첫 화면으로서, 교안 작성 기능의 진입 경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항목(219)을 선택하여 신규로 교안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Service 단계의 GUI의 일례를 도시한다. GUI(220)은 교사용 Lesson Designer 서비스의 첫 화면을 나타낸다. GUI(220)는 해당 Lesson Designer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는 Unit (223 내지 226)의 정보를 나타낸다. Lesson Designer 서비스는, 교사가 해당 학기에 진행할 과목별 수업 리스트를 나타내는 Semester List (223), 조회 중인 수업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 Subject Basic Information (224), 조회 중인 수업에 대해 작성된 단원 계획 목록을 제공하는 Unit Plan List (225) 및 선택된 Unit에 대해 작성된 수업과정 별 수업 계획 목록을 제공하는 Lesson Plan List (226)를 포함할 수 있다. Unit Plan List (225) 및 Lesson Plan List (226)는 가장 최근에 작성된 항목에 포커스 되어 있으며, 좌/우로 스크롤 가능하다. 사용자는 항목(227)을 선택하여 신규로 수업 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교안컨텐츠 작성 최초 화면을 나타내는 GUI의 일례를 도시한다. GUI(230)은 교안컨텐츠가 작성되기 전인 빈 템플릿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항목(231)을 이용하여 원하는 교수 학습법을 선택할 수 있다. GUI(230)은 선택된 교수 학습법에 따라 템플릿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GUI(230)은 해당 교수 학습법에 관련된 수업활동과, 수업자료의 정보(232)를 보여준다. 예컨대, 'Collaborative learning(협력학습)'의 항목이 선택되면, 대표적인 협력적 활동이 추가되고, 팀 구성 설정이 포함된 Default Template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항목(233)을 선택하면, My Library 리스트(234)가 팝업으로 표시될 수 있다. My Library 리스트(234)는 Component 단계의 GUI이다. My Library 리스트(234)에는 해당 교수 학습법의 컨텐츠(235)가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다. 후술할 Teacher Forum에 다른 사용자의 교안컨텐츠, 수업활동 등의 컨텐츠가 업로드되는 경우, 업로드된 컨텐츠의 정보가 GUI(2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교안컨텐츠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GUI의 일례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My Library (241)의 Activities Tab의 수업활동의 컨텐츠(242)를 드래그하여 GUI(240)에 마련된 수업활동의 영역(243) 중 원하는 어느 영역에 드롭하면, 사용자단말기(1)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수업활동 정보(1213)를 참조하여 해당 영역(243)을 대응하는 정보(예컨대, 수업활동명, 시간, 수업자료 및 설정값 등)로 채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교안컨텐츠 작성 화면을 나타내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250)은 기기/환경 설정을 위한 항목(251)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항목(251)을 선택하면 관련된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설정 화면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수업활동 정보(1213)에 지정된 설정과는 다르게, 기기/환경 설정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그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값이 재설정될 수 있다. 첫째, 팀 구성을 달리하는 경우, 후술하는 Lesson Plan Settings에서 제공되는 Team Making의 Auto/Manual에서 재설정할 수 있다. 둘째, 수업 장소가 수업활동 정보(1213)에 설정된 곳과 달라서 기기/환경 설정을 다시 수행하는 경우, 후술하는 Device Settings의 Environment Setting 화면에서 '설정된 기기의 종류와 같거나 유사한 기기'로 추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일례를 도시한다. GUI(260)은 교사가 수업 전 수업과정 별로 수업 계획을 작성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GUI(260)은 Title Bar(261)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Title Bar(261)의 'Cancel' 항목(262) 선택 시, 화면 진입 후 사용자가 입력, 수정한 내용은 저장되지 않고, 진입 전 화면으로 이동된다. 사용자가 Title Bar(261)의 'Done' 항목(263) 선택 시, 화면 진입 후 입력, 수정된 사항이 저장된 후 이전 화면으로 이동된다. GUI(260)은 작성 중인 Lesson Plan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Write Lesson Plan 영역(264)을 포함한다. 기기/환경 설정이 수행되면, 설정이 적용된 항목(265)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270)은 특정 수업과정의 상세한 수업 계획을 작성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GUI(270)은 작성 중인 수업에 관하여, 진행하는 활동, 소요시간, 관련 자료, 설정 정보 등을 제공하는 활동정보 영역(271)을 포함한다. 또한, GUI(270)의 활동정보 영역(271)에는, 해당 과정에 새로운 수업활동을 추가하기 위한 Add Activity Button (272), File을 첨부할 수 있도록 하는 Add Material Button (273)이 포함될 수 있다. GUI(270)는 기기/환경 설정을 위한 Settings 영역(2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ettings 영역(274)에는 사용자가 수업활동 별로 팀, 주변기기(6) 혹은 교실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275)이 포함된다. Team 버튼 선택 시, Team Making Set_Make Teams Component로 이동하여 팀 구성이 가능하다. Device 버튼 선택 시, Team Making Set_Device Settings Component로 이동하여 모드 별로 기기 설정이 가능하다. Envorinment 버튼 선택 시, Team Making Set_Device Settings: Light, Blinder, Window Component로 이동하여 교실 내 환경 설정이 가능하다. 활동정보 영역(271)에는, 해당 수업활동을 삭제할 수 있는 Delete Activity Button (276)이 포함될 수 있다. File Name (277) 선택 시, 파일 형태의 수업자료가 팝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팝업된 GUI의 삭제 버튼 선택 시 해당 수업자료는 삭제되고, 섬네일 선택 시 해당 수업자료의 미리보기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280)은 해당 교안컨텐츠를 사용할 클래스 별로 팀, 기기 및 환경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GUI(280)은 수업을 수강하는 클래스의 리스트와, 클래스 별 인원수를 나타내는 Class List (281) 및 수업 과정 별로 수업 계획에 필요한 설정을 각 카테고리(팀, 기기 및 환경) 별로 제공하는 Settings Tab (28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항목(283)을 선택하여 My Library를 열 수 있으며, 이 경우, GUI(280)은 좌측으로 밀리면서 My Library의 Component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290)은 클래스 별로 수업 계획 중에 학생 및 팀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GUI(290)은 해당 학급 학생들의 팀 구성을 위한 영역(291)을 포함한다. 팀 구성을 위한 영역(291)에는 팀 구성 여부에 따라 활성화가 온/오프되는 Team Icon(292)이 포함된다. 또한, 팀 구성을 위한 영역(291)에는, 팀 구성의 방식(Grade / Name / Random / Manually)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293), 팀 구성원을 재배치할 수 있는 Refresh button (294), Group Title (295), 그룹 인원수 (296), 그룹 인원들의 모습을 나타내는 Thumbnail image (297), 신규 그룹을 생성하여 팀 구성원을 자동으로 재배치할 수 있는 Create Group 항목 (298)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00)은 클래스 별로 수업 계획 중에 학생 및 팀을 수동으로 구성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GUI(300)은 해당 학급 학생들의 팀 구성을 위한 영역(301)을 포함한다. 팀 구성을 위한 영역(301)에는 이미 팀으로 구성되어 있는 학생의 Thumbnail image (302)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이미 팀으로 구성되어 있는 학생의 Thumbnail image (302)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다른 팀으로 이동 가능하다. 사용자는 Create Group 항목(303)을 선택하여 신규 Group을 생성할 수 있다. 팀 구성을 위한 영역(301)에는 아직 팀으로 구성되어 있는 않은 학생들을 나타내는 Student List (304)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Student List (304)에 있는 학생들의 Thumbnail image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기존 생성된 팀 또는 신규 생성된 팀으로 배치 가능하다. 팀으로 배치된 학생은 리스트에서 삭제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10)은 해당 수업 진행에 필요한 주변기기(6)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GUI(310)은 해당 과목의 학급 리스트(311)를 포함한다. 학급 리스트(311)에는 대여 가능한 주변기기(6)를 나타내는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Rent Device Button (312)이 포함될 수 있다. GUI(310)은 해당 과목의 주변기기(6)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Device Settings Tab (313)을 포함한다. Device Settings Tab (313)에는, 기기 설정 여부에 따라 활성화가 On/Off되는 Device Ion (314), Class Manager의 Environment Control Component에서 추가된 모드가 제공되는 Preset list (315), On 선택 시, 모든 주변기기(6)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Select All Button (316), Check/Uncheck에 따라 해당 주변기기(6)의 사용 설정이 가능한 Check Box (317), 주변기기(6)에 이상이 있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Breakdown Icon (318)이 포함될 수 있다. GUI(310)은, 공유받은 교안컨텐츠의 수업활동 정보에 등록된 기기 설정과 다른 경우, 수업 장소 내에 기 설정과 같거나 유사한 주변기기(6)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아이콘과 함께 리스트에 표시하는 영역(3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GUI(310)의 하단에 재설정 관련 내용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이를 참고하여 기기 설정을 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20)은 해당 수업 진행에 필요한 교실 내 환경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GUI(320)은 해당 수업활동의 진행 시 교실 내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Environment Tab (321)을 포함한다. Environment Tab (321)에는, 환경 설정 여부에 따라 활성화가 On/Off되는 Environment Icon (322), 환경 설정이 가능한 주변기기(6)를 나타내는 Mode List (323), 선택 시, 선택된 모드의 적용 가능한 위치(장소)를 모두 ON시키는 Select All Button (324), Check/Uncheck에 따라 해당 위치(장소)의 환경 설정이 가능한 Check Box (325)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30)은 My Library(331)가 팝업되어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My Library(331)는 교사가 작성하거나 별도로 저장한 파일 형태의 컨텐츠들이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제공되는 Category Tab (332)을 포함한다. Category Tab (332)에는, File Thumbnail, File Name, File Type, 등록자 이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File List (333)가 포함될 수 있다. 각 카테고리의 파일들은 드래그 앤 드롭으로 Lesson Plan (334)의 각 필드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업 준비 시, My Library(331)를 이용하여 필요한 수업자료를 편리하게 끌어와 활용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40)는 교안컨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기본 템플릿에서 우측에 마련된 항목(341)을 눌러 한 개의 수업활동 라인(342)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삭제한다. 사용자는, 수업활동 라인(342)에 대하여, 수업활동의 이름을 입력하고, My Library를 이용하여 필요한 수업자료의 지정 및 기기/환경 설정을 완료하여 교안컨텐츠를 생성, 저장할 수 있다. GUI(340)는 기본 수업 정보를 입력하는 영역(3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50)는 교안컨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My Library (351)를 열어서, My Library (351)에서 제공되는 수업자료(352)를 드래그하여, Lesson Plan의 원하는 수업과정 혹은 수업활동의 영역(353)에 드롭할 수 있으며, 이 때, 선택된 수업과정 혹은 수업활동만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삭제된다. 그 외의 교안컨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방법은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 간 전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1)는 단계적으로 GUI(361 내지 363)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Zone 단계의 GUI(361)와, Unit단계의 GUI(362) 간을 상호 전환하거나, Component 단계의 GUI(363)를 생성 또는 소멸할 수 있다. 예컨대, Teacher Zone의 GUI(361)에서 Teacher Forum의 GUI(362)로 전환될 수 있고, 그 역의 전환도 가능하다. 또한, Teacher Forum의 GUI(362)에서 Component 단계의 GUI(363)가 팝업으로 표시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70)는 Teacher Forum의 첫 화면을 나타낸다. GUI(370)은 도 21에 도시된 GUI(210)의 Teacher Forum (218)을 선택하면 표시될 수 있다. GUI(370)는 교사가 등록한 컨텐츠의 목록인 Content List (371) 및 교사가 등록한 토론의 목록인 Issue Discussion List (372)를 포함할 수 있다. Content List (371)는 Best/Recommended/New Banner와 카테고리 별 최신 컨텐츠 제공할 수 있다. Content List (371) 및 Issue Discussion List (372)는 목록이 길어질 경우 상/하 스크롤될 수 있다. Teacher Forum의 GUI(370)를 이용하면, 교사 간 수업 컨텐츠 및 수업 진행 노하우가 공유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80)는 Teacher Forum의 컨텐츠 리스트의 화면을 나타낸다. GUI(380)는 Title Bar (381), Banner (382) 및 Content List (383)를 포함할 수 있다. Title Bar (381)는 Content Full List로 이동하는 See All (3811) 및 Content Upload Component를 호출할 수 있는 Upload Button (3812)를 포함할 수 있다. Banner (382)는 페이지를 나타내는 Page Indicator (3821), Content View - Detail Component로 이동할 수 있는 Content Thumbnail (3822), 해당 컨텐츠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Best, Recommended & New Contents Badge (3823), 컨텐츠의 수(3824), 컨텐츠의 타이틀(3825), 등급을 나타내는 Star Rating (3826) 및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Best, Recommended & New Tab (3827)을 포함할 수 있다. Banner (382)는 Forum의 전체 컨텐츠 중에서 Best / Recommended / New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항목만을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각 tab (3827) 선택 시,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Content List (383)는 해당 카테고리의 Content Full List로 이동할 수 있는 See All (3831), Content View­Detail Component로 이동할 수 있는 Content Thumbnail (3832), 컨텐츠의 수(3833) 및 컨텐츠의 타이틀(38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390)는 Teacher Forum의 컨텐츠 리스트 전체 보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GUI(390)는 Title (391), Contents Category List (392) 및 All Contents List (393)를 포함할 수 있다. Title (391)은, 선택 시, 업로드할 파일을 지정한 후 Content Upload Component로 이동할 수 있는 Upload Button (3911)를 포함할 수 있다. Contents Category List (392)는 모든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All (3921), Lesson Plans (3922), 해당 컨텐츠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Learning Activities (3923), Teaching Materials (3924), Classroom Settings (3925) 및 Templates (3926)을 포함할 수 있다. All Contents List (393)는 선택된 카테고리의 전체 컨텐츠 목록으로서, 컨텐츠 리스트의 정렬 기준(Date, 평점, 참조 횟수 등)을 선택할 수 있는 Sort by (3931), 해당 컨텐츠 상세보기로 이동할 수 있는 Content Thumbnail (3932), 해당 컨텐츠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Best, Recommended & New Contents Badge (3933), 컨텐츠의 수(3934), 컨텐츠의 타이틀(3935) 및 등급을 나타내는 Star Rating (39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400)는 Teacher Forum의 컨텐츠 상세 보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GUI(400)는 Title (401), 컨텐츠의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 Contents Summary Info (402) 및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Content Detail View (403)를 포함할 수 있다. Title (401)은 해당 컨텐츠를 My Library에 저장하는 Save to My Library (4011)를 포함할 수 있다. Contents Summary Info (402)의 정보는, 컨텐츠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Contents Thumbnail (4011), 등급을 나타내는 Star Rating (4012), 인용된 회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citation (4013),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Content Type (4014), 교사의 이름을 나타내는 Teacher Name (4015), 게시한 날짜를 나타내는 Posting Date (4016), 주제의 이름과, 학년을 나타내는 Subject Name & Year (4017) 및 기타 설명인 Description (40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410)는 Teacher Forum의 컨텐츠 상세 보기(Activity)의 화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GUI(410)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교안컨텐츠와는 달리, 컨텐츠 타입에 Activity(411)로 표시되고, 상세 정보 영역에도 1개의 수업활동(412)만이 표시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420)는 Teacher Forum의 컨텐츠에 대한 동료 교사 리뷰 보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GUI(420)는 Teacher Forum의 컨텐츠에 대한 동료 교사의 리뷰 목록을 나타내는 Teacher Review List (421)를 포함할 수 있다. Teacher Review List (421)의 정보는, 리뷰 회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Reviews (422), 리뷰한 교사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Profile Image (423), 리뷰를 게시한 교사의 이름을 나타내는 User Name (424), 리뷰를 게시한 일시를 나타내는 Posting Time (425) 및 리뷰 내용을 나타내는 Comment (4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430)는 Teacher Forum의 컨텐츠에 대한 관련 컨텐츠 리스트 보기의 화면을 나타낸다. GUI(430)는 Teacher Forum의 컨텐츠에 대한 관련 컨텐츠의 목록을 나타내는 Related Content List (431)를 포함할 수 있다. Related Content List (431)의 정보는, 관련 컨텐츠의 개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Related Contents (432), 선택 시 해당 컨텐츠의 상세보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Content Thumbnail (433), 해당 컨텐츠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Best, Recommended & New Contents Badge (434), 해당 컨텐츠에 대한 리뷰의 회수를 나타내는 Number of Comment (435), 해당 컨텐츠의 제목을 나타내는 Content Title (436) 및 해당 컨텐츠의 등급을 나타내는 Star Rating (4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가 표시하는 GUI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GUI(440)는 Teacher Forum에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GUI(440)는 Title (441), 업로드할 컨텐츠의 기본 정보를 나타내는 Upload Category & Title (442) 및 업로드할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Content Detail (443)를 포함할 수 있다. Title (441)은 'Cancel' 및 'Done' 항목을 포함하는 Menu Button (4411)을 포함할 수 있다. 'Cancel' 항목 선택 시 화면 진입 후 작성된 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진입 전 화면으로 이동한다. 'Done' 항목 선택 시 작성된 사항을 Teacher Forum에 등록한다. Upload Category & Title (442)은 업로드할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Select Category (4421)를 포함할 수 있다. 업로드할 컨텐츠의 카테고리는 그 파일의 타입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Upload Category & Title (442)은 업로드할 컨텐츠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Title Input Field (4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ontent Detail (443)의 정보는, 업로드할 컨텐츠의 섬네일 이미지와, 파일 이름을 나타내는 File Info (4431) 및 업로드할 컨텐츠의 상세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상세정보필드(4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정보필드(4432)는 업로드할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도 있다. 상세정보필드(4432)는 업로드될 컨텐츠의 교수 학습법을 나타내는 정보(443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의 업로드 시 교수 학습법(4433)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3, 4: 사용자단말기
2: 서버
6: 주변기기
11: 통신부
12: 저장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입력수신부
15: 제어부

Claims (24)

  1.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탭과; 복수의 수업활동을 나타내는 제1항목들, 복수의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제2항목들, 또는 상기 수업활동들, 상기 수업자료들, 또는 수업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지정될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을 나타내는 설정항목들과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을 나타내는 기기항목들로 구분된 제3항목들을 표시하는 제1영역과; 교실에서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진행할 복수의 수업과정에 대응하는 제4항목들을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탭 중에서 상기 복수의 수업활동에 대응하는 제1탭, 상기 복수의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제2탭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에 대응하는 제3탭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제4항목을 표시하는 제2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GUI의 제1영역에 상기 제1항목들, 상기 제2항목들 또는 상기 제3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제4항목을 표시하는 제2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제1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항목 중 하나, 상기 제2항목 중 하나 또는 상기 제3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항목 중 하나, 상기 제2항목 중 하나 또는 상기 제3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복수의 제1항목, 상기 복수의 제2항목 또는 상기 복수의 제3항목을 표시하는 제1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수업활동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수업활동의 하나의 항목, 상기 복수의 수업자료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수업자료의 항목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항목을,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4항목의 첫째 항목, 둘째 항목 또는 셋째 항목에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4항목의 첫째 항목, 둘째 항목 또는 셋째 항목과, 상기 복수의 수업과정 중 하나의 수업과정에 지정된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 상기 선택된 수업자료,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교안컨텐츠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기기의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를 상기 주변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항목의 첫째, 둘째, 및 셋째 항목은, 상기 GUI의 테이블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활동의 항목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의 항목을 상기 테이블의 지정될 수업과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업자료의 항목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수업자료의 항목을 상기 테이블의 지정될 다른 수업과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기기의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을 상기 테이블의 지정될 또 다른 수업과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교안컨텐츠의 주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주제에 대응하는 복수의 템플릿의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제3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템플릿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을 서버나, 다른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3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항목의 설정에 따라 상기 주변기기들 중에서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안구성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교안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교안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교안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교안컨텐츠에 대하여 작성 또는 편집한 내용을 상기 제1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작성 역할이 주어진 상기 수업과정 또는 상기 수업활동의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수업을 위한 교안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복수의 탭과; 복수의 수업활동을 나타내는 제1항목들, 복수의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제2항목들, 또는 상기 수업활동들, 상기 수업자료들, 또는 수업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지정될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을 나타내는 설정항목들과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을 나타내는 기기항목들로 구분된 제3항목들을 표시하는 제1영역과; 교실에서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진행할 복수의 수업과정에 대응하는 제4항목들을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탭 중에서 상기 복수의 수업활동에 대응하는 제1탭, 상기 복수의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제2탭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에 대응하는 제3탭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제4항목을 표시하는 제2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GUI의 제1영역에 상기 제1항목들, 상기 제2항목들 또는 상기 제3항목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제4항목을 표시하는 제2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제1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항목 중 하나, 상기 제2항목 중 하나 또는 상기 제3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항목 중 하나, 상기 제2항목 중 하나 또는 상기 제3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복수의 제1항목, 상기 복수의 제2항목 또는 상기 복수의 제3항목을 표시하는 제1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수업활동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수업활동의 하나의 항목, 상기 복수의 수업자료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수업자료의 항목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항목을,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4항목의 첫째 항목, 둘째 항목 또는 셋째 항목에 지정하고,
    상기 제4항목의 첫째 항목, 둘째 항목 또는 셋째 항목과, 상기 복수의 수업과정 중 하나의 수업과정에 지정된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 상기 선택된 수업자료,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교안컨텐츠를 작성하고,
    상기 주변기기의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를 상기 주변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항목의 첫째, 둘째, 및 셋째 항목은, 상기 GUI의 테이블의 영역들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의 항목을 상기 테이블의 지정될 수업과정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선택된 수업자료의 항목을 상기 테이블의 지정될 다른 수업과정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변기기의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을 상기 테이블의 지정될 또 다른 수업과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교안컨텐츠의 주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제에 대응하는 복수의 템플릿의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제3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템플릿의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서버나, 다른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템플릿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3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3항목 중 하나의 설정에 따라 상기 주변기기를 설정하는 사용자단말기.
  17.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교안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교안컨텐츠의 수업과정에 지정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장소들에 따른 복수의 주변기기의 설정들을 나타내는 기기항목들로 구분된 항목들을 포함한 GUI로부터 수업과정, 상기 수업활동 또는 상기 수업자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지정된 주변기기 설정 또는 기기환경 설정을 포함하는, 교실에 제공되는 상기 수업과정에 관한 복수의 주변기기 또는 기기환경에 관련된 설정을 포함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수신하고,
    제2사용자의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된 교안구성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사용자에 의해 수정된 교안구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실의 상기 복수의 주변기기는 상기 수업과정이 상기 교실 내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설정들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GUI에 표시되는 복수의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교과활동 중 상기 제1사용자의 교과활동에 주어진 역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GUI에 표시되는 복수의 항목에 중 상기 복수의 교과활동의 항목만 활성화시키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변기기 또는 기기환경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사용자의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기기 또는 상기 기기환경 설정이 상기 제2사용자의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사용자의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제2주변기기 또는 제2기기환경 설정을 추천하는 서버.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의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주변기기를 제어하거나 기기환경의 설정을 수행하는 서버.
  21.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디지털 수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교안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교안컨텐츠의 작성이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는, 교실에 제공되는 제1사용자의 교안컨텐츠의 수업과정에 지정된 수업활동 또는 수업자료에 대응하고, 복수의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장소들에 따른 복수의 주변기기의 설정들을 나타내는 기기항목들로 구분된 GUI로부터 수업과정, 상기 수업활동 또는 상기 수업자료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지정된 주변기기 설정 또는 기기환경 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수업과정에 관한 교실의 복수의 주변기기 또는 기기환경에 관련된 설정을 포함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의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교안구성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 중 제2사용자의 제2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정된 교안구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사용자의 상기 교안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사용자의 교안컨텐츠를 작성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GUI에 표시되는 복수의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교과활동 중 상기 제1사용자의 교과활동에 주어진 역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GUI에 표시되는 복수의 항목에 중 상기 복수의 교과활동의 항목만 활성화시키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사용자의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를 제어하거나 기기환경 설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의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기기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사용자의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의 주변기기 또는 기기환경 설정이 상기 제2사용자의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사용자의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에 대응하는 제2주변기기 또는 제2기기환경 설정을 추천하는 시스템.
  24. 복수의 탭과; 복수의 수업활동을 나타내는 제1항목들, 복수의 수업자료를 나타내는 제2항목들, 또는 상기 수업활동들, 상기 수업자료들, 또는 수업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각 지정될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을 나타내는 설정항목들과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들을 나타내는 기기항목들로 구분된 제3항목들을 표시하는 제1영역과; 교실에서 교안컨텐츠를 이용하여 진행할 복수의 수업과정에 대응하는 제4항목들을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탭 중에서 상기 복수의 수업활동에 대응하는 제1탭, 상기 복수의 수업자료에 대응하는 제2탭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에 대응하는 제3탭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제4항목을 표시하는 제2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GUI의 제1영역에 상기 제1항목들, 상기 제2항목들 또는 상기 제3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제4항목을 표시하는 제2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제1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항목 중 하나, 상기 제2항목 중 하나 또는 상기 제3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1항목 중 하나, 상기 제2항목 중 하나 또는 상기 제3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탭과 상기 복수의 제1항목, 상기 복수의 제2항목 또는 상기 복수의 제3항목을 표시하는 제1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수업활동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수업활동의 하나의 항목, 상기 복수의 수업자료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수업자료의 항목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항목을,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4항목의 첫째 항목, 둘째 항목 또는 셋째 항목에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4항목의 첫째 항목, 둘째 항목 또는 셋째 항목과, 상기 복수의 수업과정 중 하나의 수업과정에 지정된 상기 선택된 수업활동, 상기 선택된 수업자료,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주변기기의 설정들과 상기 장소들에 따른 주변기기의 설정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교안구성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교안컨텐츠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기기의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를 상기 주변기기에 전송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200030760A 2020-03-12 2020-03-12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KR10223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60A KR102230861B1 (ko) 2020-03-12 2020-03-12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60A KR102230861B1 (ko) 2020-03-12 2020-03-12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908A Division KR20150007044A (ko) 2013-07-10 2013-07-10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58A KR20200032058A (ko) 2020-03-25
KR102230861B1 true KR102230861B1 (ko) 2021-03-24

Family

ID=7000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760A KR102230861B1 (ko) 2020-03-12 2020-03-12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92B1 (ko) * 2021-09-01 2023-10-12 주식회사 지새움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CN115422347B (zh) * 2022-07-25 2024-03-22 海南科技职业大学 一种基于知识图谱的中文课程教案生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2272A (ja) * 2004-05-20 2005-12-02 Kajima Corp ビル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JP2012168827A (ja) 2011-02-16 2012-09-06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5733A1 (en) 2007-08-01 2009-02-05 Shmuel Meitar Device,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KR20100034787A (ko) 2008-09-25 2010-04-0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교사용 영어 수업 보조 시스템 및 영어 수업 보조를 위한 서버 시스템
KR20110025615A (ko) 2009-09-04 2011-03-10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관리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2272A (ja) * 2004-05-20 2005-12-02 Kajima Corp ビル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JP2012168827A (ja) 2011-02-16 2012-09-06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58A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2455B2 (en) User device, server,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paring and reproducing contents for digital less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91749B2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managing activities linked to multimedia content
US201602539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instruction
US20150242977A1 (en) Electronic system, method and device operable to facilitate education
US20130031208A1 (e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teractive Content
US8751408B2 (en) Managem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and user portfolios
US20170046966A1 (en) Connect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20140053110A1 (en) Methods for Arrang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Strategic Organization Hierarchy
KR20130133664A (ko)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403086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Interactive Training and Reinforcement Programs
US11238747B2 (en) On-demand learning system
KR102230861B1 (ko)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US201400306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Electronic Textbook Authoring, Instructional Material Generation, Coursework Distribution, and Feedback-Based Content Adaptation
US20110200978A1 (en) Online instructional dialog books
KR20140107769A (ko)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57906A (ko) 컨텐츠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서버와,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KR101330715B1 (ko) 맞춤형 교수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방법
Rice Blackboard essentials for teachers
Zhang Teaching with Google Classroom: Save time and stay organized while delivering online and in-person classes
Kernbach et al. Digital knowledge mapping
Arnold et al. Bringing the library to the students: Using technology to deliver instruction and resources for research
KR20140108462A (ko)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Nagao et al. Tools and evaluation methods for discussion and presentation skills training
KR100674512B1 (ko) 교육매개방법 및 교육매개시스템
Dewey Teaching Remotely: Analyzing the Instructional Use of Google Class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