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462A -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8462A KR20140108462A KR1020130022104A KR20130022104A KR20140108462A KR 20140108462 A KR20140108462 A KR 20140108462A KR 1020130022104 A KR1020130022104 A KR 1020130022104A KR 20130022104 A KR20130022104 A KR 20130022104A KR 20140108462 A KR20140108462 A KR 201401084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aching
- learning
- window
- providing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9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 교육 환경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수학습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와, 요청받은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교수학습 자료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 창(display window)에 표시하고,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평가 창을 통해, 제공한 평가도(valuation level)를 확인하고, 평가도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안 제작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교안 제작 요청이면, 요청된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안 제작 창을 통해, 제작된 교안을 저장하고, 저장된 교안에 대한 공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저장된 교안이 공개이면, 교안을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교육 환경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사는 가르치고자 하는 학생에게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다양한 형태의 교육 자료들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자료들은 교사가 직접 책, 잡지, 신문 등과 같은 종이 매체들로부터, 필요한 자료들을 잘라서 붙이는 편집 과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그리고, 제작된 교육 자료들은, 교사가 직접 관리하여, 학생을 가르치기 위한 학습 자료로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기술 및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교사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교육 자료를 편집하여 CD와 DVD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멀티미디어 자료들은 학교의 교실에 비치된 컴퓨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통해, 학생들의 교육용 자료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교사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주관적인 경험과 지식에 의하여 교육 자료를 수집 및 제작하므로, 교육 자료의 제작 시간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교육 자료의 내용이 협소하고,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도 1은 기존의 교수학습 서비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사는 컴퓨터(1)로 네트워크(network)(4)에 접속하여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 및 편집하여 교육용 자료를 제작하고, 제작된 교육용 자료를 프로젝터(2)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린(3) 상에 확대 재생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교수학습 서비스는, 교사가 교육용 자료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할애되고, 교육용 자료의 내용이 부실하고 협소하여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다양하고 풍부한 내용을 갖는 교육용 자료들을 쉽고 간편하게 수집 및 편집할 수 있고, 교사들이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용 자료들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고 방대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들을 쉽고 간편하게 수집 및 편집하여 학습 효과가 우수한 교안들을 제작할 수 있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교안 활용 도구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및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사들이 제작한 다양한 교안들을 저장 및 공개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를 높이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수학습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와, 요청받은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교수학습 자료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 창(display window)에 표시하고,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평가 창을 통해, 제공한 평가도(valuation level)를 확인하고, 평가도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안 제작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교안 제작 요청이면, 요청된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안 제작 창을 통해, 제작된 교안을 저장하고, 저장된 교안에 대한 공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저장된 교안이 공개이면, 교안을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은, 교안, 교과서, 백과사전, 동영상, 사진, 그림, 만화, 도안,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은, 교안 그룹,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각 그룹 내에 포함된 교수학습 자료들은 평가도에 따라, 표시 배열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이어, 교안 그룹 및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내에 포함된 교수학습 자료들은,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한 그룹에 중복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슈 키워드 그룹은, 다수의 키워드들로 1차 분류되고, 1차 분류된 각 키워드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활용자료, 백과사전자료, 평가자료, 참고자료, 외부링크자료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이슈 키워드 그룹에서, 1차 분류되는 다수의 키워드들은, 사용 빈도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창(display window)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 그의 연관 자료 배열 창, 및 그의 등록 정보 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평가 창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선호 여부를 표시하는 제 1 빈도수 버튼,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scrap) 여부를 표시하는 제 2 빈도수 버튼,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를 문자로 표현하기 위한 평가 메시지 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 정보 창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제목, 교과분류 영역, 출처, 종류, 등록일, 연관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표시 창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를 전체 또는 일부 확대하는 확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창의 확대 기능은, 교수학습 자료의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으로 근접 이동하는 제 1 표시 방법과, 교수학습 자료의 일부 영역에서 기타 일부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근접 이동하는 제 2 표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표시 창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경 컬러 조정 기능, 필기 기능, 가림막 기능, 중요 표시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도(valuation level)는,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선호 여부, 스크랩(scrap) 여부, 평가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평가도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평가 창을 통해,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을 요청하면, 스크랩 요청된 교수학습 자료는 사용자 자료실로 자동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현재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와 이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표시 배열 순서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작된 교안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교안에 대한 수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저장된 교안이 수정 가능이면, 교안 주변에 수정 가능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는,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과서를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교과서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교과서가 선택되면, 선택된 교과서의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이 입력되면, 다수의 교안 표시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선택된 교안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안 제작 창은 교안의 공개 설정 및 교안의 수정 가능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웹 접속을 허용하는 웹 서버와,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하는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와,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하는 창을 제공하는 표시 창 제공 서버와,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교안 제작을 위한 창을 제공하는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와,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하는 교수학습 자료들과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웹 서버의 요청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 표시 창 제공 서버 및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를 제어하여,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고, 제작된 교안의 공개 여부에 따라, 교안을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과 함께 웹 서버에 제공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그룹,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 1 분류부와,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과 자료 그룹, 교안 제작 자료 그룹, 나의 자료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 2 분류부를 포함하고,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들을 분류하는 분류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분류부는, 교과 자료 그룹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초등, 중등, 고등 교과 레벨에 따라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각 교과 레벨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과목별로 2차 분류하며, 2차 분류된 각 과목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과서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 활용 자료, 평가 자료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분류부는, 교안 제작 자료 그룹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멀티미디어, 개념어, 인명별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멀티미디어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테마별 또는 교과 과목별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이어, 제 2 분류부는, 나의 자료 그룹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작된 교안 자료, 스크랩된 자료, 공개한 자료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다음, 제 1 분류부는, 이슈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키워드별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각 키워드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활용자료, 백과사전자료, 평가자료, 참고자료, 외부링크자료별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는,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들의 표시 배열 순서를 재배치할 수 있다.
이어, 표시 창 제공 서버는, 교수학습 자료가 표시된 표시 창을 제공하고,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 그의 연관 자료 배열 창, 및 그의 등록 정보 창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창 제공 서버는, 평가 창 내에,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선호 여부를 표시하는 제 1 빈도수 버튼,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scrap) 여부를 표시하는 제 2 빈도수 버튼,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를 문자로 표현하기 위한 평가 메시지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표시 창 제공 서버는, 등록 정보 창 내에,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제목, 교과분류 영역, 출처, 종류, 등록일, 연관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창 제공 서버는, 교수학습 자료가 표시된 표시 창을 제공하고,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를 전체 또는 일부 확대하는 확대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창의 확대 기능 버튼은, 교수학습 자료의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으로 근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부 확대 표시하는 제 1 표시 버튼과, 교수학습 자료의 일부 영역에서 기타 일부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근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부 확대 표시하는 제 2 표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표시 창 제공 서버는, 교수학습 자료가 표시된 표시 창을 제공하고,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경 컬러 조정 기능 버튼, 필기 기능 버튼, 가림막 기능 버튼, 중요 표시 기능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는,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과서를 표시하는 교과서 표시 창 제공부와, 교과서의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에 대한 입력 창을 제공하는 입력 창 제공부와, 교안 표시 방식에 따라, 분류된 다수의 선택 버튼을 제공하는 선택 버튼 제공부와,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교안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교안 제작 창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는, 교안의 공개 설정 및 교안의 수정 가능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제어 서버는, 표시 창 제공 서버로부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스크랩 요청된 교수학습 자료를 자동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는, 표시 창 제공 서버로부터, 현재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현재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와 이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여, 결정된 순서값을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순서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어 서버는, 제작된 교안에 대한 수정 여부를 확인하고, 제작된 교안이 수정 가능이면, 교안 주변에 수정 가능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고 방대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들을 쉽고 간편하게 수집 및 편집하여 학습 효과가 우수한 교안들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안을 제작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교안 활용 도구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및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사들이 제작한 다양한 교안들을 저장 및 공개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를 높이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교수학습 서비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류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4는 분류 서버에 의해 분류된 그룹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그룹별로 분류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하나의 테마 그룹이 소그룹으로 재분류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교과서에 연관된 자료들을 분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교과 자료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7의 열린 지식 샘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7의 나의 교실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2의 표시 창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표시 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하는 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교수학습 자료를 전체 확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2의 교수학습 자료를 일부 확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2의 표시 창에 제공되는 표시 기능 버튼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2의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17a 내지 도 17e는 도 16의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를 통해,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도 2의 제어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은 도 19의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중,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21은 도 19의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중,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류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4는 분류 서버에 의해 분류된 그룹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그룹별로 분류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하나의 테마 그룹이 소그룹으로 재분류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교과서에 연관된 자료들을 분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교과 자료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7의 열린 지식 샘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7의 나의 교실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2의 표시 창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표시 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하는 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교수학습 자료를 전체 확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2의 교수학습 자료를 일부 확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2의 표시 창에 제공되는 표시 기능 버튼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2의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17a 내지 도 17e는 도 16의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를 통해,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도 2의 제어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은 도 19의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중,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21은 도 19의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중,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절전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0)들과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300)은 네트워크(network)(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PC,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교수학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교사들이 대상일 수 있다.
이때, 교수학습 서비스는 스마트 교육 환경에 대한 양질의 교수학습 서비스로서, 교사들이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수업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들 중, 제 1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 1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 중의 어느 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기(110)는 교사의 학급에 소속되는 학생들의 제 1 학생 단말기(112)들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 1 프로젝터(114)에 연결되어, 수업 내용을 제 1 스크린(116)에 확대 투사할 수도 있다.
이어, 사용자 단말기(100)들 중, 제 2 사용자 단말기(120)는 제 2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 중의 어느 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기(120)는 교사의 학급에 소속되는 학생들의 제 2 학생 단말기(122)들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사용자 단말기(120)는 제 2 프로젝터(124)에 연결되어, 수업 내용을 제 2 스크린(126)에 확대 투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3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우리 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의 학교 및 학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단말기에 연결되어, 다양한 교수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300)은, 웹 서버(310),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320), 표시 창 제공 서버(330),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340), 데이터베이스(360), 제어 서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300)은, 분류 서버(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서버(web server)(3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웹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웹 서버(310)는, 온라인 상에서 교수학습 서비스를 위한 웹 사이트를 운영하도록 구축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100)의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그리고,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320)는,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은, 교안, 교과서, 백과사전, 동영상, 사진, 그림, 만화, 도안,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은, 교안 그룹,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각 그룹 내에 포함된 교수학습 자료들은, 평가도에 따라, 표시 배열 순서가 결정될 수 있는데, 교수학습 자료들은, 결정된 표시 배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가 재배치될 수 있다.
즉,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320)는, 제어 서버(360)의 제어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들의 표시 배열 순서를 재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순위가 높은 교수학습 자료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자료이므로,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바로 볼 수 있는 위치로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교안 그룹 및 상기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내에 포함된 교수학습 자료들은,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한 그룹에 중복 포함되어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교수학습 자료들을 다양한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이유는,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쉽고 편리하게 자료들을 서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교수학습 자료들은, 생성되는 분류 그룹의 용도에 따라, 여러 분류 그룹에 중복되어 제공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한 분류 그룹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분류 그룹들 중, 일부 분류 그룹은 다시 소그룹으로 더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슈 키워드(issue keyword) 그룹은, 다수의 키워드들로 1차 분류되고, 1차 분류된 각 키워드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활용자료, 백과사전자료, 평가자료, 참고자료, 외부링크자료로 2차 분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슈 키워드 그룹에서, 1차 분류되는 다수의 키워드들은, 사용 빈도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대한 교수학습 자료들은, 분류 서버(350)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데, 분류 서버(350)는, 제 1 분류부와 제 2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분류부는,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그룹,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분류부는,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과 자료 그룹, 교안 제작 자료 그룹, 나의 자료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분류부는, 이슈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키워드별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각 키워드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활용자료, 백과사전자료, 평가자료, 참고자료, 외부링크자료별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분류부는, 교과 자료 그룹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초등, 중등, 고등 교과 레벨에 따라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각 교과 레벨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과목별로 2차 분류하며, 2차 분류된 각 과목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과서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 활용 자료, 평가 자료로 분류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분류부는, 교안 제작 자료 그룹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멀티미디어, 개념어, 인명별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멀티미디어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테마별 또는 교과 과목별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분류부는, 나의 자료 그룹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작된 교안 자료, 스크랩된 자료, 공개한 자료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처럼, 분류 서버(350)의 교수학습 자료의 분류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보다 다양한 그룹별이나 테마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분류 서버(350)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수준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분류 서버(350)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학년별, 나이별, 교육수준별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분류 서버(350)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개인별 정보를 분석하여, 교수 학습 자료들을 수준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류 서버(350)가,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 중, 소정의 제 1 교수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분석할 경우, 만일, 제 1 교수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대부분 중학교 1학년 교사들이라면, 제 1 교수학습 자료를 중학교 1학년의 수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분류 서버(350)는,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 중, 소정의 제 2 교수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분석할 경우, 만일, 제 2 교수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대부분 고등학교 2학년 교사들이라면, 제 2 교수학습 자료를 고등학교 2학년의 수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분류 서버(350)는,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 중, 소정의 제 3 교수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분석할 경우, 만일, 제 3 교수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대부분 20대의 나이를 갖는 사용자들라면, 제 3 교수학습 자료를 20대의 수준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분류 서버(350)는,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 중, 소정의 제 4 교수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분석할 경우, 만일, 제 4 교수학습 자료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대부분 대학을 이수한 사용자들라면, 제 4 교수학습 자료를 대학 이수자의 수준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류 방식은, 사용자들의 직업, 나이, 교육수준 등을 분석하여, 교수학습 자료들을 학년별, 나이별, 교육수준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표시 창 제공 서버(330)는,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하는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창 제공 서버(330)는, 교수학습 자료가 표시된 표시 창을 제공하는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 그의 연관 자료 배열 창, 및 그의 등록 정보 창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표시 창 제공 서버(330)는, 평가 창 내에,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선호 여부를 표시하는 제 1 빈도수 버튼,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scrap) 여부를 표시하는 제 2 빈도수 버튼,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를 문자로 표현하기 위한 평가 메시지 창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표시 창 제공 서버(330)가, 평가 창을 제공하는 이유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현재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를 직접 분석하고 평가할 뿐만 아니라, 스크랩을 통해 재수정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의 내용이 풍부해지고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표시 창 제공 서버(330)는, 등록 정보 창 내에,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제목, 교과분류 영역, 출처, 종류, 등록일, 연관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표시 창 제공 서버(330)는, 교수학습 자료가 표시된 표시 창을 제공할 때,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를 전체 또는 일부 확대하는 확대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 창의 확대 기능 버튼은, 교수학습 자료의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으로 근접 이동하는 제 1 표시 버튼과, 교수학습 자료의 일부 영역에서 기타 일부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근접 이동하는 제 2 표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표시 창 제공 서버(330)는, 교수학습 자료가 표시된 표시 창을 제공할 때,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경 컬러 조정 기능 버튼, 필기 기능 버튼, 가림막 기능 버튼, 중요 표시 기능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340)는,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교안 제작을 위한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340)는, 교과서 표시 창 제공부, 입력 창 제공부, 선택 버튼 제공부, 교안 제작 창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과서 표시 창 제공부는,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과서를 표시할 수 있고, 입력 창 제공부는, 교과서의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에 대한 입력 창을 제공하며, 선택 버튼 제공부는, 교안 표시 방식에 따라, 분류된 다수의 선택 버튼을 제공하고, 교안 제작 창 제공부는,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교안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340)는, 교안의 공개 설정 및 교안의 수정 가능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 아이콘을 제공하는 이유는, 자체 제작한 교안을 공개하여 다른 서비스 이용자들과 공유하고, 공유된 교안을 평가 및 수정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 및 교안의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데이터베이스(360)는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하는 교수학습 자료들과,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370)는, 웹 서버(310)의 요청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320), 표시 창 제공 서버(330),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340) 및 분류부(350)를 제어하여,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고, 제작된 교안의 공개 여부에 따라, 교안을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과 함께 웹 서버(3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서버(370)는, 표시 창 제공 서버(330)로부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스크랩 요청된 교수학습 자료를 자동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3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서버(370)는, 제어부, 비교부, 순서 결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는, 표시 창 제공 서버(330)로부터, 현재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비교부는 현재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와 이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순서 결정부는, 비교결과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여, 결정된 순서값을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320)는, 결정된 순서값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를 배치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들의 표시 배열 순서가 전체적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교수학습 자료들의 표시 배열 순서를 재배치하는 이유는, 우선 순위가 높은 교수학습 자료들이, 서비스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자료이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바로 볼 수 있는 위치로 배치하기 위함이다.
즉, 서비스 이용자들은, 교수학습 자료를 직접 분석하고 평가할 뿐만 아니라, 스크랩을 통해 재수정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완성도가 높아진 자료들은, 서비스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자료이므로, 우선 순위가 높아져,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바로 볼 수 있는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370)는, 제작된 교안에 대한 수정 여부를 확인하고, 제작된 교안이 수정 가능이면, 교안 주변에 수정 가능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3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320)는, 교안 주변에 수정 가능 메시지를 표시하여, 해당 교안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들은 해당 교안을 스크랩하고, 스크랜된 교안을 수정 및 보완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고 방대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들을 쉽고 간편하게 수집 및 편집하여 학습 효과가 우수한 교안들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안을 제작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교안 활용 도구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및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사들이 제작한 다양한 교안들을 저장 및 공개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를 높이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분류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분류 서버에 의해 분류된 그룹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서버(350)는, 제 1 분류부(342)와 제 2 분류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분류부(342)는,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그룹(401),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403),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405), 인기 자료 그룹(407), 이슈 키워드 그룹(409) 등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 2 분류부(344)는,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과 자료 그룹(501), 교안 제작 자료 그룹(503), 나의 자료 그룹(505)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교수학습 자료들은, 교안, 교과서, 백과사전, 동영상, 사진, 그림, 만화, 도안,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교수학습 자료의 수와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교수학습 자료들은, 생성되는 분류 그룹의 용도에 따라, 여러 분류 그룹에 중복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한 분류 그룹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분류 그룹들 중, 일부 분류 그룹은 다시 소그룹으로 더 분류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 1 분류부(342)는, 이슈 키워드 그룹(409)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키워드별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각 키워드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활용자료, 백과사전자료, 평가자료, 참고자료, 외부링크자료별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분류부(344)는, 교과 자료 그룹(501)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초등, 중등, 고등 교과 레벨에 따라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각 교과 레벨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과목별로 2차 분류하며, 2차 분류된 각 과목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과서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 활용 자료, 평가 자료로 분류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분류부(344)는, 교안 제작 자료 그룹(503)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멀티미디어, 개념어, 인명별로 1차 분류하고, 1차 분류된 멀티미디어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테마별 또는 교과 과목별로 2차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분류부(344)는, 나의 자료 그룹(505)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작된 교안 자료, 스크랩된 자료, 공개한 자료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처럼, 분류 서버(350)의 교수학습 자료의 분류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보다 다양한 그룹별이나 테마별로 분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그룹별로 분류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테마 그룹별로 분류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이고, 도 5b는 평가 그룹별로 분류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2 실시예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그룹(410)은, 베스트 교안, 멀티미디어 자료, 최신 업데이트, 인기 자료 순위, 및 이슈 키워드라는 테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분류 그룹(410)으로부터, 베스트 교안이라는 테마를 선택하면, 베스트 교안이란 테마에 연관되는 교수학습 자료(420)들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교수학습 자료(420)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고순위 교수학습 자료(422)는, 첫 번째로 배치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저순위 교수학습 자료(424)는 마지막 번째에 배치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교수학습 자료의 순위는, 교수학습 자료들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들의 평가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순위 교수학습 자료(422)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선호도나 스크랩 횟수가 높은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고순위 교수학습 자료(422)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바로 볼 수 있는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그룹(430)은, 인기도에 따른 핫(hot), 선호도에 따른 굿(good), 스크랩 횟수에 따른 콕, 시간에 따른 최신이라는 테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분류 그룹(430)으로부터, 선호도에 따른 굿이라는 테마를 선택하면, 굿이란 테마에 연관되는 교수학습 자료(440)들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교수학습 자료(440)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고순위 교수학습 자료(442)는, 첫 번째로 배치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저순위 교수학습 자료(444)는 마지막 번째에 배치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교수학습 자료의 순위는, 교수학습 자료들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들의 평가도 중에서 선호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순위 교수학습 자료(442)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고순위 교수학습 자료(442)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바로 볼 수 있는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수학습 자료들은 다양한 테마별로 분류될 수 있고,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들의 평가도에 따라, 표시 배열 순서가 재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하고 방대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쉽고 편리하게 서치(search) 및 스크랩(scrap)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하나의 테마 그룹이 소그룹으로 재분류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의 이슈 키워드 그룹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그룹은, 일 예로, 베스트 교안, 멀티미디어 자료, 최신 업데이트, 인기 자료 순위, 및 이슈 키워드라는 테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서비스 이용자가 분류 그룹으로부터, 이슈 키워드(411)라는 테마를 선택하면, 이슈 키워드(411)라는 테마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은, 키워드별로 1차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는 야구, 독서, 여행, 문화 등일 수 있다.
이어, 다시 서비스 이용자가, 다수의 키워드 중에서, 야구라는 키워드를 선택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구라는 키워드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은, 스마트교안, 멀티미디어, 이미지, 수업활용자료, 지시샘, 평가자료, 참고자료, 외부링크자료라는 테마 그룹(413)별로 2차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가 2차 분류된 이미지라는 테마를 선택하면, 야구에 관련된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교과서에 연관된 자료들을 분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의 제 2 분류부의 분류 방법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 중에서, 교과서에 연관된 자료는, 교과 자료, 열린 지식샘, 나의 교실이라는 테마를 포함하는 분류 그룹(414)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교과 자료라는 테마에는, 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교과서에 관련된 자료들이 포함되고, 열린 지식샘이라는 테마에는, 교안 제작에 관련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들이 포함되며, 나의 교실이라는 테마에는, 서비스 이용자가 자체 제작한 교안들 및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스크랩한 자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교과 자료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과 자료라는 테마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은, 중등, 고등 교과 레벨에 따라 1차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1차 분류된 각 교과 레벨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은, 과목별로 2차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등 교과 레벨에는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한문 등의 과목들을 포함하고, 고등 교과 레벨에는 고등 국어, 문학, 독서와 문법, 사회, 한국사 등의 과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중등 교과 레벨의 국어를 선택하면, 학년, 학기, 개정판별로 국어 교과서의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개정판의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선택하면, 해당 국어 교과서에 관련된 교과서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 활용 자료, 평가 자료 등으로 분류된 메인 자료 그룹(415)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가, 메인 자료 그룹(415)으로부터, 교과서 자료를 선택하면, 해당 교과서의 각 단원에 따른, 교과서 이미지, 플래시자료, 교과서지문, 수업자료, 수업지도안, 지도서, 평가 자료 등으로 분류된 서브 자료 그룹(416)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열린 지식 샘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지식 샘이라는 테마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은, 멀티미디어, 개념어, 인명, 테마 지식별로 1차 분류된 메인 자료 그룹(417)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가, 메인 자료 그룹(417)으로부터 멀티미디어를 선택하면, 1차 분류된 멀티미디어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은, 테마 자료 또는 교과 자료로 2차 분류될 수 있다.
이어, 서비스 이용자가, 멀티미디어의 테마 자료를 선택하면, 2차 분류된 테마 자료들은 식물, 동물, 인체, 우주 등의 서브 자료 그룹(418)으로 자료들이 3차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관련된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나의 교실에 포함되는 자료들의 분류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의 교실이라는 테마에 포함되는 교수학습 자료들은, 나의 교안 자료, 내 콕 자료, 내 업 자료 등의 메인 자료 그룹(419)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나의 교안 자료는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제작한 교안들을 포함하고, 내 콕 자료는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스크랩한 자료들을 포함하며, 내 업 자료는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공개한 교안 및 기타 자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 자료의 분류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보다 다양한 그룹별이나 테마별로 분류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2의 표시 창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표시 창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하는 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창 제공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 창(display window)(610)에는, 교수학습 자료(612)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612) 주변에는, 교수학습 자료(612)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620), 그의 연관 자료 배열 창(630), 및 그의 등록 정보 창(640)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평가 창(620) 내에는,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선호 여부를 표시하는 제 1 빈도수 버튼(622),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scrap) 여부를 표시하는 제 2 빈도수 버튼(624),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를 문자로 표현하기 위한 평가 메시지 창(626)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만일, 서비스 이용자가, 표시 창(610) 내에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612)를 선호하여, 제 1 빈도수 버튼(622)를 선택하면, 교수학습 자료(612)는 선호도가 1단계 상승하는 평가 점수를 받고, 해당 평가 점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가, 표시 창(610) 내에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612)를 스크랩하기 위해, 제 2 빈도수 버튼(624)를 선택하면, 교수학습 자료(612)는 데이터베이스에 자동 저장되며, 스크랩 횟수가 1단계 상승하는 평가 점수를 받고, 해당 평가 점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 서비스 이용자가, 표시 창(610) 내에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612)에 대한 평가를 평가 메시지 창(626) 내에 문자로 입력하면, 교수학습 자료(612)는 메시지 횟수가 1단계 상승하는 평가 점수를 받고, 해당 평가 점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는, 제 1 빈도수 버튼(622), 제 2 빈도수 버튼(624), 평가 메시지 창(626)을 중복 이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하나만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는, 평가 창(620)을 이용하여, 현재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612)를 직접 분석하고 평가할 뿐만 아니라, 스크랩을 통해 재수정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612)의 내용이 풍부해지고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창(610)의 일측에는 표시 창(610)에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612)와 연관된 자료들이 배열되는 연관 자료 배열 창(63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창(610)의 일측에, 교수학습 자료(612)의 관련 자료들을 배치하는 이유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교수학습 자료(612)를 서치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줌으로써,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어, 표시 창(610)의 하측에는 등록 정보 창(640)이 배치될 수 있는데, 등록 정보 창(640)에는,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612)에 대한 제목, 교과분류 영역, 출처, 종류, 등록일, 연관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표시 창(610)의 하측에, 등록 정보 창(640)을 배치하는 이유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교수학습 자료(612)에 대한 정보를 알려 줌으로써,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교수학습 자료를 전체 확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창 제공 서버(도 2의 330)는, 교수학습 자료(612)가 표시된 표시 창(610)을 제공할 때,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612)를 전체 또는 일부 확대하는 확대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확대 기능 버튼은 표시 창(610)에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612) 자체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확대 기능 버튼은 교수학습 자료(612)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3a와 같이, 표시 창(610) 내에 눈에 관련된 교수학습 자료(612)가 표시될 경우, 서비스 이용자가 교수학습 자료(612)를 선택하면, 교수학습 자료(612)는, 도 13b와 같이, 전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비스 이용자가 교수학습 자료(612)를 선택하면, 교수학습 자료(612)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영역만 일부 확대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확대 기능 버튼은 교수학습 자료(612) 자체일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가 교사일 경우, 교사는 표시 창(610)의 확대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확대 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및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2의 교수학습 자료를 일부 확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창 제공 서버(도 2의 330)는, 교수학습 자료(612)가 표시된 표시 창을 제공할 때,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612)를 일부 또는 전체 확대하는 확대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대 기능 버튼은 표시 창(610)에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612) 자체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확대 기능 버튼은 교수학습 자료(612)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4a와 같이, 표시 창에 배치되는 확대 기능 버튼(700)은, 교수학습 자료(612)의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으로 근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부 확대 표시하는 제 1 표시 버튼(701)과, 교수학습 자료(612)의 일부 영역에서 기타 일부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근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부 확대 표시하는 제 2 표시 버튼(703)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만일, 도 14b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제 1 표시 버튼(701)를 선택하면, 교수학습 자료(612)는,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으로 근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부 영역을 확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4c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제 2 표시 버튼(703)를 선택하면, 교수학습 자료(612)는, 일부 영역에서 기타 일부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근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부 영역을 확대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612)가, 전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는 확대 기능 버튼이 추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가 교사일 경우, 교사는 표시 창(610)의 확대 기능 버튼(700)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확대 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및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2의 표시 창에 제공되는 표시 기능 버튼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창 제공 서버(도 2의 330)는,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하는 표시 창의 주변에, 다양한 표시 기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기능 버튼은 제 1, 제 2 표시 버튼(701, 703)을 포함하는 확대 기능 버튼(700), 배경 컬러 조정 기능 버튼(710), 필기 기능 버튼(720), 가림막 기능 버튼(730), 중요 표시 기능 버튼(7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확대 기능 버튼(700)의 제 1 표시 버튼(701)은, 교수학습 자료의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으로 근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부 확대 표시하는 버튼이고, 확대 기능 버튼(700)의 제 2 표시 버튼(703)은, 교수학습 자료의 일부 영역에서 기타 일부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근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일부 확대 표시하는 버튼일 수 있다.
이어, 배경 컬러 조정 기능 버튼(710)은 교수학습 자료가 표시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배경 컬러를 조정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를 명확하고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양한 교안 활용 도구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및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2의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340)는, 교과서 표시 창 제공부(331), 입력 창 제공부(332), 선택 버튼 제공부(333), 교안 제작 창 제공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과서 표시 창 제공부(331)는,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과서를 표시하는 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창 제공부(332)는, 교과서의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에 대한 입력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 선택 버튼 제공부(333)는, 교안 표시 방식에 따라, 분류된 다수의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교안 제작 창 제공부(334)는,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교안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340)는, 교안의 공개 설정 및 교안의 수정 가능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서비스 이용자가 자체 제작한 교안을 타 이용자에게 공개하고, 수정 가능하도록 허락함으로써, 해당하는 교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사들이 제작한 다양한 교안들을 저장 및 공개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를 높이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e는 도 16의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를 통해,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a와 같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16의 340)의 교과서 표시 창 제공부(도 16의 331)는, 교과서 표시 창(800)를 제공하고, 교과서 표시 창(800)에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다수의 교과서(801)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 도 17b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다수의 교과서(801)들 중, 영어 과목의 교과서(801)를 선택하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16의 340)의 입력 창 제공부(도 16의 332)는, 영어 과목의 단원 정보, 하위 단원 정보, 교안의 제목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803)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17c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 창에 정보를 입력하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16의 340)의 선택 버튼 제공부(도 16의 333)는, 교안 표시 방식에 따른 다수의 선택 버튼(805)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 버튼(805)는, 교안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표시하는 슬라이드 뷰 버튼, 교안을 포인트 방식으로 표시하는 포인트 뷰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도 17d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슬라이드 뷰 버튼을 선택하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16의 340)의 교안 제작 창 제공부(도 16의 334)는, 슬라이드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806)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교안 제작 창 제공부(도 16의 334)는, 교안 제작을 위한 도구 버튼(812)을 제공할 수 있고, 제작된 교안을 수정, 공개, 미리보기, 저장 등과 같은 기능 아이콘(810)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능 아이콘(810)은, 제작된 교안을 수정하는 수정 아이콘(811), 제작된 교안을 공개 및 수정을 허락하는 설정 아이콘(812), 제작된 교안을 미리보는 미리보기 아이콘(813), 제작된 교안을 저장하는 저장 아이콘(8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17e와 같이, 서비스 이용자가 포인트 뷰 버튼을 선택하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16의 340)의 교안 제작 창 제공부(도 16의 334)는, 포인트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807)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교안 제작 창 제공부(도 16의 334)는, 교안 제작을 위한 도구 버튼(812)을 제공할 수 있고, 제작된 교안을 수정, 공개, 미리보기, 저장 등과 같은 기능 아이콘(810)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능 아이콘(810)은, 제작된 교안을 수정하는 수정 아이콘(811), 제작된 교안을 공개 및 수정을 허락하는 설정 아이콘(812), 제작된 교안을 미리보는 미리보기 아이콘(813), 제작된 교안을 저장하는 저장 아이콘(8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안 제작을 쉽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이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다양한 교안들을 저장 및 공개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를 높이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8은 도 2의 제어 서버를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서버(370)는, 제어부(362), 비교부(364), 순서 결정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62)는, 현재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부(364)는, 현재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와 이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비교할 수 있다.
이어, 순서 결정부(366)는,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여, 결정된 순서값을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370)는, 표시 창 제공 서버로부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스크랩 요청된 교수학습 자료를 자동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370)는, 제작된 교안에 대한 수정 여부를 확인하고, 제작된 교안이 수정 가능이면, 교안 주변에 수정 가능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서버(370)는, 웹 서버,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 표시 창 제공 서버,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 분류 서버를 제어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방대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고, 교안 제작이 용이하도록, 교안 제작 창 및 교안 제작 도구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작된 교안의 완성도를 높이도록, 교안을 타인에게 공개 및 수정 가능하게 하고, 타인으로부터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도 2의 300)의 웹 서버(도 2의 310)는 교수학습 서비스를 위한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도 2의 100)로부터 웹 접속의 허용을 요청받으면, 사용자 단말기(도 2의 100)의 인증 과정을 거쳐,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웹 접속을 허용한다.
이어, 웹 서버(도 2의 310)는 사용자 단말기(도 2의 100)로부터 교수학습 서비스 요청받는다.(S20)
그리고, 교수학습자료 제공 서버(도 2의 320)는, 요청받은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다.(S30)
여기서,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은, 교안, 교과서, 백과사전, 동영상, 사진, 그림, 만화, 도안,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은, 교안 그룹,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 등으로 분류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각 그룹 내에 포함된 교수학습 자료들은 평가도에 따라, 표시 배열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평가도(valuation level)는,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선호 여부, 스크랩(scrap) 여부, 평가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안 그룹 및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내에 포함된 교수학습 자료들은,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한 그룹에 중복 포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이슈 키워드 그룹은, 다수의 키워드들로 1차 분류되고, 1차 분류된 각 키워드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이미지 자료, 수업활용자료, 백과사전자료, 평가자료, 참고자료, 외부링크자료로 2차 분류되어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슈 키워드 그룹에서, 1차 분류되는 다수의 키워드들은, 사용 빈도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음, 표시 창 제공 서버(도 2의 330)는, 사용자 단말기(도 2의 100)로부터 제공된 교수학습 자료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 창(display window)에 표시하고,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상기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을 제공할 수 있다.(S40)
여기서, 표시 창(display window)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 그의 연관 자료 배열 창, 및 그의 등록 정보 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잇다.
그리고, 평가 창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선호 여부를 표시하는 제 1 빈도수 버튼,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scrap) 여부를 표시하는 제 2 빈도수 버튼,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를 문자로 표현하기 위한 평가 메시지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 정보 창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제목, 교과분류 영역, 출처, 종류, 등록일, 연관 태그(ta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표시 창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를 전체 또는 일부 확대하는 확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창의 확대 기능은, 교수학습 자료의 전체 영역에서 일부 영역으로 근접 이동하는 제 1 표시 방법과, 교수학습 자료의 일부 영역에서 기타 일부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근접 이동하는 제 2 표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창은,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의 배경 컬러 조정 기능, 필기 기능, 가림막 기능, 중요 표시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사용자 단말기(도 2의 100)가, 평가 창을 통해, 제공한 평가도(valuation level)를 확인하고, 평가도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S50)
여기서, 평가도(valuation level)는,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선호 여부, 스크랩(scrap) 여부, 평가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평가도를 확인할 때, 사용자 단말기(도 2의 100)가, 평가 창을 통해,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을 요청하면, 스크랩 요청된 교수학습 자료가 데이터베이스 중, 사용자 자료실로 자동 저장되도록, 표시 창 제공 서버(도 2의 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결정된 표시 배열 순서를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도 2의 320)로 전송하면,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도 2의 320)는, 결정된 표시 배열 순서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를 재배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사용자 단말기(도 2의 100)로부터 교안 제작 요청 여부를 확인한다.(S60)
확인 결과, 교안 제작 요청이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2의 340)는 요청된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할 수 있다.(S70)
여기서, 교안 제작 창은 교안의 공개 설정 및 교안의 수정 가능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2의 340)는, 사용자 단말기(도 2의 100)로부터, 교안 제작 창을 통해, 제작된 교안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80)
이어,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저장된 교안에 대한 공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0)
확인 결과, 저장된 교안이 공개이면,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도 2의 320)는, 교안을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S110)
또한,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저장된 교안에 대한 수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0)
확인 결과, 저장된 교안이 수정 가능이면,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도 2의 320)는, 교안 주변에 수정 가능 메시지를 표시하고, 교안을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S110)
도 20은 도 19의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중,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현재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확인할 수 있다.(S51)
이어,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현재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와 이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비교할 수 있다.(S53)
그리고,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S55)
다음, 제어 서버(도 2의 370)는, 결정된 표시 배열 순서에 따라,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를 재배치하도록,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도 2의 320)를 제어할 수 있다.(S57)
이와 같이, 교수학습 자료들은, 평가도에 따라, 표시 배열 순서가 결정될 수 있는데, 교수학습 자료들은, 결정된 표시 배열 순서에 따라, 우선 순위가 재배치될 수 있다.
즉,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도 2의 320)는, 제어 서버(도 2의 360)의 제어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들의 표시 배열 순서를 재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순위가 높은 교수학습 자료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자료이므로,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바로 볼 수 있는 위치로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9의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중,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2의 340)는,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과서를 표시할 수 있다.(S71)
그리고,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2의 340)는, 표시된 교과서의 선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3)
이어,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2의 340)는, 교과서가 선택되면, 선택된 교과서의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의 입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5)
다음,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2의 340)는,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이 입력되면, 다수의 교안 표시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77)
그리고,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도 2의 340)는, 선택된 교안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할 수 있다.(S79)
여기서, 교안 제작 창은 교안의 공개 설정 및 교안의 수정 가능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 아이콘을 제공하는 이유는, 자체 제작한 교안을 공개하여 다른 서비스 이용자들과 공유하고, 공유된 교안을 평가 및 수정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 및 교안의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고 방대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함으로써, 교수학습 자료들을 쉽고 간편하게 수집 및 편집하여 학습 효과가 우수한 교안들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안을 제작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교안 활용 도구들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및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사들이 제작한 다양한 교안들을 저장 및 공개함으로써, 교안의 완성도를 높이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네트워크
300 :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310 : 웹 서버
320 :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 330 : 표시 창 제공 서버
340 :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 350 : 분류 서버
360 : 데이터베이스 370 : 제어 서버
300 :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310 : 웹 서버
320 :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 330 : 표시 창 제공 서버
340 :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 350 : 분류 서버
360 : 데이터베이스 370 : 제어 서버
Claims (15)
-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 교수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수학습 서비스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청받은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공된 교수학습 자료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 창(display window)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상기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평가 창을 통해, 제공한 평가도(valuation level)를 확인하고, 상기 평가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교안 제작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교안 제작 요청이면, 상기 요청된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안 제작 창을 통해, 제작된 교안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교안에 대한 공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장된 교안이 공개이면, 상기 교안을 상기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창(display window)은, 상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상기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 그의 연관 자료 배열 창, 및 그의 등록 정보 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도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평가 창을 통해, 상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을 요청하면, 상기 스크랩 요청된 교수학습 자료는 상기 사용자 자료실로 자동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와 이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표시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교안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교안에 대한 수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교안이 수정 가능이면, 상기 교안 주변에 수정 가능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과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교과서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교과서가 선택되면, 선택된 교과서의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이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교안 표시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교안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 교수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웹 접속을 허용하는 웹 서버;
상기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하는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공하는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
상기 교수학습 자료를 표시하는 창을 제공하는 표시 창 제공 서버;
상기 교수학습 서비스에 대한 교안 제작을 위한 창을 제공하는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
상기 다수의 교안들을 포함하는 교수학습 자료들과, 상기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웹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 표시 창 제공 서버 및 상기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를 제어하여, 상기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에 따라, 상기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제작된 교안의 공개 여부에 따라, 상기 교안을 상기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과 함께 상기 웹 서버에 제공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안 그룹, 멀티미디어 자료 그룹, 최신 업데이팅 자료 그룹, 인기 자료 그룹, 이슈 키워드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 1 분류부와,
상기 다수의 교수학습 자료들을, 교과 자료 그룹, 교안 제작 자료 그룹, 나의 자료 그룹으로 분류하는 제 2 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교수학습 자료들을 분류하는 분류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는, 상기 제어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교수학습 자료들의 표시 배열 순서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창 제공 서버는,
상기 교수학습 자료가 표시된 표시 창을 제공하고,
상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 주변에, 상기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 창(valuation window), 그의 연관 자료 배열 창, 및 그의 등록 정보 창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는,
상기 교안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과서를 표시하는 교과서 표시 창 제공부;
상기 교과서의 단원 정보 및 교안 제목에 대한 입력 창을 제공하는 입력 창 제공부;
상기 교안 표시 방식에 따라, 분류된 다수의 선택 버튼을 제공하는 선택 버튼 제공부;
상기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교안 표시 방식에 따른 교안 제작 창을 제공하는 교안 제작 창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안 제작 창 제공 서버는,
상기 교안의 공개 설정 및 상기 교안의 수정 가능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표시 창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표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스크랩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크랩 요청된 교수학습 자료를 자동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표시 창 제공 서버로부터, 현재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현재 표시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와 이전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평가도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표시 배열 순서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순서값을 상기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순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제작된 교안에 대한 수정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작된 교안이 수정 가능이면, 상기 교안 주변에 수정 가능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교수학습 자료 제공 서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104A KR20140108462A (ko) | 2013-02-28 | 2013-02-28 |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104A KR20140108462A (ko) | 2013-02-28 | 2013-02-28 |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8462A true KR20140108462A (ko) | 2014-09-11 |
Family
ID=5175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2104A KR20140108462A (ko) | 2013-02-28 | 2013-02-28 |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0846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0981B1 (ko) * | 2019-09-18 | 2020-10-28 | 정우리 | 신문기사 및 자기주도표현폼을 이용한 창의력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N114627700A (zh) * | 2022-03-14 | 2022-06-14 | 厦门悦讯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自主备课及多教师协同备课系统 |
-
2013
- 2013-02-28 KR KR1020130022104A patent/KR2014010846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0981B1 (ko) * | 2019-09-18 | 2020-10-28 | 정우리 | 신문기사 및 자기주도표현폼을 이용한 창의력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N114627700A (zh) * | 2022-03-14 | 2022-06-14 | 厦门悦讯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自主备课及多教师协同备课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organ et al. | Digital demand and digital deficit: conceptualising digital literacy and gauging proficiency among higher education students | |
Beaudouin-Lafon et al. | Generative theories of interaction | |
US20140120516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Delivering, Using, and Leverag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 |
KR101619748B1 (ko) | 온톨로지 기반의 스마트 학습 또는 수업 공유 시스템 | |
Harris et al. | System leaders and system leadership: Exploring the contemporary evidence base | |
JP2010535351A (ja) | 適応的な指導及び学習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 |
US20160117301A1 (en) | Annot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 |
John | Canvas LMS course design: Create and deliver interactive online courses on the Canvas learning management system | |
Rashid et al. | A Student Learning Style Auto-Detection Model i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 |
KR101330715B1 (ko) | 맞춤형 교수 학습 설계 지원 서비스 방법 |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 ACRL standards: Information literacy compen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 |
Clapp et al. | Innovation in the academy: Creating an online information literacy course | |
CN110610443A (zh) | 自动批改学生作业的方法 | |
KR20140108462A (ko) | 온라인 교수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
KR100835234B1 (ko) |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및 온라인 학습 제공 시스템 | |
US20120190000A1 (en) | Learning Asset Technology Integration Support Tool | |
KR20130049433A (ko) | 등급별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맞춤형 원격 교육 시스템 및 방법 | |
Weedon et al. | Embodied genres, typified performances, and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 |
Ayers | From governance to competitiveness: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community college discourse of local | |
KR20200032058A (ko) |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 |
JP2004126401A (ja) | 履歴情報活用型教育方法及び履歴情報活用型教育システム | |
Anastasakis | An activity theory investigation of tool-use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 |
KR20140134075A (ko) | 학습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Hoang et al. | Using a stakeholder engagement approach to inform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o promote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 schools | |
Kušen et al. | In search of an open-source LMS solution for higher education using a criterion-based approa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