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591A - 창호의 자동 mc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의 자동 mc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591A
KR20130134591A KR1020120058208A KR20120058208A KR20130134591A KR 20130134591 A KR20130134591 A KR 20130134591A KR 1020120058208 A KR1020120058208 A KR 1020120058208A KR 20120058208 A KR20120058208 A KR 20120058208A KR 20130134591 A KR20130134591 A KR 2013013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indow
position fixing
screws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559B1 (ko
Inventor
안영환
윤중식
구자건
노용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5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5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08Fittings for doors and window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짝과 이 창짝에 조립되어 폐문시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서 기밀을 유지시키는 MC에 자동으로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감지부에서 감지된 창짝과 MC의 규격에 따라 나사의 체결 위치를 선정하고, 개수를 자동으로 결정하며 나사 체결기를 이동시키며 나사를 박는 것으로, 작업 속도가 빠르고, 작업 인력의 감소시키며 그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호용 자동 MC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부 작업대의 상면에 상기 창짝 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의 상부에 다시 상부 작업대가 구비된 테이블;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스크류를 구비하고, 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멈춤판이 승, 하강하며 상기 창짝 프레임을 위치 정지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전동 드라이버가 상기 MC에 나사를 박아 창짝 프레임에 MC를 고정시키는 나사 체결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창호의 자동 MC 조립장치{automatic MC assembly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호용 자동 MC(middle cover, 바람막이)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짝과 이 창짝에 조립되어 폐문시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서 기밀을 유지시키는 MC에 자동으로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부에서 감지된 창짝과 MC의 규격에 따라 나사의 체결 위치를 선정하고, 개수를 자동으로 결정하며 나사 체결기를 이동시키며 나사를 박는 것으로, 작업 속도가 빠르고, 작업 인력의 감소시키며 그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호용 자동 MC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등의 각종 건축 구조물에는 자연 채광 기능과, 실내에서 실외를 관망할 수 있는 기능 그리고 실내를 환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창호가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그 구조에 따라 여닫이, 미닫이, 미서기 방식으로 분류되며, 이중 미서기 방식은 수직 및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바닥 창틀 상면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창틀과, 이 창틀의 내측으로 끼워져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하나의 창짝이 다른 창짝과 겹쳐지면서 개, 폐문되는 창짝들로 구성되며, 이들 창짝과 창짝, 창짝과 창틀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여 열었을 때에는 실외의 쾌적한 공기와 햇볕을 누릴 수 있게 하고, 닫았을 때에는 소음, 오염된 공기, 차가운 바람을 차단하며, 겨울철에는 실내의 더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통상 창짝과 창짝, 창틀과 창짝 사이의 기밀 유지는 필링 나사, 엠씨(MC, middle cover) 혹은 하드웨어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MC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창짝의 단부에 설치되어 창짝이 닫혔을 때 서로 겹쳐지면서 기밀을 유지하고, 방음,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면에서 종래의 MC는 "┌" 형상으로, 일면은 창짝의 측단부에, 다른 일면은 창짝의 후면 혹은 정면에 맞대어져 나사 즉 나사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물론 창짝 측단부에 맞대어지는 면에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어 창짝의 측면에 구비된 홈에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MC는 조립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전 MC는 작업자가 창짝을 테이블에 올려놓은 다음 MC를 맞대어 나사를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속도 및 능률이 떨어지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MC의 조립 위치가 일측 창짝에는 MC의 일면이 정면에 위치하고, 다른 창짝은 후면에 위치하여 창짝을 닫았을 때 서로 겹쳐져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조립 과정에서 창짝에 따라 작업자가 창짝을 일일이 확인하고, 경우에 따라서 창짝을 뒤집으며 작업을 하는 불편이 있었다. 뒤집어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밀성, 수밀성, 방음 향상을 위해 창짝에 조립되는 MC와 창짝의 규격을 감지하여 이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나사의 체결 위치 및 개수를 결정하고,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속도는 물론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MC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짝의 이송 및 고정, 나사 체결 그리고 이송 적재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불량이 없고 인건비 등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MC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창짝 부재에 일단에 끼워진 MC를 고정 조립하는 조립장치로써, 하부 작업대의 상면에 상기 창짝 부재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부 작업대가 구비된 테이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프레임 진입부에 설치된 바코드 인식기로 구성되어 창짝 프레임의 규격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스크류를 구비하고, 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멈춤판이 승, 하강하며 상기 창짝 프레임을 위치 정지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전동 드라이버가 상기 MC에 나사를 박아 창짝 프레임에 MC를 고정하는 나사 체결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부 혹은 하부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기 중 하나를 결정하고, 나사의 체결 위치 및 개수를 결정하여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상, 하부 위치 고정부 및 상, 하부 나사 체결기 그리고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부; 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창짝 부재의 운반 및 MC 고정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인력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조립 장치는 좌, 우 창짝에 따라 고정 위치가 달라지는 것과 상관없이 MC의 고정이 가능하고, 자동으로 이동하며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며, 정확한 위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불량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의 확대도,
ㄷ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4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를 이용한 MC조립 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의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의 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를 이용한 MC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자동 조립장치(10)는 MC 즉 바람막이에 나사를 박아 창짝 부재에 고정하는 장치이나, 반드시 MC 조립에 국한될 필요는 없이 다른 용도 및 다른 기계 기구 장치와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장치(10)는 이송 컨베이어(160)가 구비된 작업 테이블(100)과, 상기 이송 컨베이어(160)를 따라 이동하는 창짝 프레임을 정지시키는 위치 고정부(200)와 상기 창짝 부재의 규격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하되 정해진 위치에 나사를 체결하는 나사 체결부(300)와, 상기 나사 체결부를 이동시켜 정해진 위치에서 나사가 체결되도록 하는 전동부(400)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기 MC와 창짝 규격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500)와, 상기 감지부(500)의 신호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60)와 위치 고정부(200), 나사 체결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도시된 MC는 하나의 실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 및 모양으로 이루어진 MC에도 적용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MC의 구조에 있어서도, "ㄱ" 혹은 "ㄴ" 형상으로 구성되어 좌창짝 및 우창짝 각각에 조립되며 본 발명에서 상, 하부 각각에 나사 체결부를 두어 어떠한 경우에도 조립이 가능한 구성이다.
작업 테이블(100)
상기 작업 테이블(10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를 지지하며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부 작업대(120)와 하부 작업대(140)가 쌓인 구성이다.
상기 하부 작업대(140)의 상면에는 창짝 부재(W)를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160)를 구비하되, 이 이송 컨베이어는 모터(162)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각 롤러의 일단에 벨트 풀리 혹은 스프로킷 등의 전동 부재(164)를 구비하고, 이들 전동 부재에 벨트 혹은 체인 등의 감아걸기부재(166)를 감아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작업대(120)는 하부 작업대에 얹혀지는 형식으로 각각에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기 등이 설치된다.
위치 고정부(200)(202)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부 작업대(120)에 설치되는 상부 위치 고정부(200)와 하부 작업대(140)에 설치되는 하부 위치 고정부(202)로 구성된다.
상기 상, 하부 위치 고정부(200)(202)는 이송 컨베이어(160)를 따라 이동하는 창짝 프레임(F)의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창짝 프레임(F)의 이송을 정지시키고, 이를 고정하여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은 한 쌍의 실린더(240)(242))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된 멈춤판(220)(2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 하부측 실린더는 각각 혹은 동시에 동작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전동부의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를 따라 이동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동부(400)는 상기 하부 작업대(14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420)와 이 구동 모터(420)와 직결되어 회전하고, 하부 작업대(14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원동 스크류(440)와, 상부 작업대(120)를 가로질러 설치된 종동 스크류(460)로 구성되며, 상기 원동 스크류(440)와 종동 스크류(460) 각각에는 타이밍 벨트(402)가 감아져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풀리(442)(462)가 설치된 구성이다. 물론 체인 전동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부(400)는 구동 모터(420)가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원동 스크류(440)가 회전하고, 타이밍 벨트(402)로 연결된 종동 스크류(460)가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들 스크류(440)(460)가 회전할 때 이에 설치된 상, 하부 위치 고정부(200)(202)의 실린더(220)(222)가 이동하며, 창짝 프레임(F)의 나사 체결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의 예는 각 스크류(440)(460)에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부가 설치되어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이나, 위치 고정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실린더 각각을 별도로 이동시키는 방법도 있다.
즉, 첨부된 도 2와 같이 하부 작업대(140)의 전, 후방측 그리고, 상부측 작업대(120)의 전, 후방측 각각에 스크류(440)(440a), (460)(460a)를 구비하여 도면과 같이 각 실린더를 설치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되, 전, 후방을 구분하여 구동 모터를 별도로 설치하여 구동시키는 것이다.
위치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첨부된 도 5와 같이 일측에 수직, 수평으로 2개의 실린더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실시 예는 상, 하부 위치 고정부 모두에 적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하부 위치 고정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수직 실린더(242a)의 로드가 상, 하 이동하며 수평 실린더(242b)를 이동시키고, 수평 실린더(242b)의 로드가 이동하여 멈춤판(222)이 창짝 프레임(F)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
나사 체결기 (300)(302)
상기 나사 체결기 또한 위치 고정부와 마찬가지로 원동 스크류(440)와 종동 스크류(460) 각각에 설치되며, 이 상, 하부 나사 체결기(300)(302) 각각은 호퍼(미도시)로부터 비트(340)(342)에 공급된 나사를 이와 연결된 전동 드라이버(320)(322)를 회전시켜 MC에 나사를 강제로 박아 창짝 프레임(F)에 고정되도록 하되,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며, 정해진 위치에 나사를 체결한다.
감지부 (500) 및 제어부(600)
상기 감지부(500)는 창짝 프레임(F)이 진입하는 이송 컨베이어(160)의 진입부에 설치되어 창짝 프레임을 감지한다.
이 감지부(500)는 광센서 혹은 바코드 인식기 혹은 별도의 감지 수단으로 구성되며, 창짝 프레임(F)에는 규격을 표시하는 바코드 혹은 다른 인식표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500)에서 창짝 프레임의 규격이 입력되면, 제어부(600)는 이송부(160)와, 위치 고정부, 나사 체결기 및 전동부를 제어하며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0a는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이다.
다음은 본 발명 조립 장치에 따른 조립 과정이다.
작업자가 장치의 스위치를 ON시켜 장치를 가동하면, 먼저 이송 모터(162)가 가동하여 하부 작업대(140)에 설치된 이송 컨베이어(160)가 회전한다. 이송 컨베이어가 회전 그 상면에 올려진 창짝 프레임이 이동하고, 감지부(500)는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600)에 입력한다.
이때 창짝 프레임에는 MC가 끼워진 상태로, 나사가 체결되는 면이 도면과 같이 상면 혹은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제어부(600)에 감지부(50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600)는 기 설정된 데이터와 감지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여 나사의 체결 개수와 위치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600)는 창짝 프레임이 우측 창짝인가, 좌측 창짝인가를 판단하여 상부 혹은 하부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기를 동작시킬 것인가를 결정하고, 창짝의 규격에 따라 몇 개의 나사를 어느 정도 간격으로 박아 고정할 것인가를 판단한다.
상부 혹은 하부가 결정되면, 제어부(600)는 먼저 이송 컨베이어(160)의 회동을 정지시키고, 위치 고정부를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창짝이 우측 창짝 프레임인 경우 제어부(600)는 상부 위치 고정부(200)의 실린더(240)를 동작시켜 멈춤판(220)이 창짝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물론, 제어부(600)는 구동부(400)의 구동 모터(420)를 동작시켜 원동 스크류(440) 그리고 상부 위치 고정부(200)가 설치된 종동 스크류(460)를 회전시켜 창짝 프레임이 멈추어진 위치까지 위치 고정부를 이동시킨 다음 실린더를 동작시킨다.
위치 고정부(200)의 실린더(240)는 각각이 별개로 혹은 동시에 승강 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5의 실시 예와 같은 예는 수직 실린더와 수평 실린더를 동작시켜 프레임을 압압하여 고정한다.
프레임 고정 후, 제어부(600)는 나사 체결기(300)를 동작시켜 나사를 박는다. 1차 나사가 체결되면 제어부는 다시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기를 상부 혹은 하부로 동작시키고, 이송 컨베이어를 동작시켜 프레임을 일정 거리 만큼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부는 다시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기를 동작시켜 나사를 박아 MC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다.
10 : 조립 장치 100 : 테이블
200, 202: 상하부 위치 고정부 300, 302 : 나사 체결기
400 : 구동부 500 : 감지부
600 : 제어부

Claims (12)

  1. 창짝 프레임의 일단에 끼워진 MC를 고정 조립하는 조립장치로써,
    하부 작업대의 상면에 상기 창짝 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의 상부에 다시 상부 작업대가 구비된 테이블;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스크류를 구비하고, 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멈춤판이 승, 하강하며 상기 창짝 프레임을 위치 정지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전동 드라이버가 상기 MC에 나사를 박아 창짝 프레임에 MC를 고정하는 나사 체결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부 및 하부 작업대가 적층 구성되고, 하부 작업대의 상면에 이송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창짝 부재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하부 작업대에 설치된 구동 모터와 직결되는 원동 스크류가 하부 작업대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이 원동 스크류와 타이밍 벨트 혹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스크류가 상부 작업대를 가로질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원동 스크류와 종동 스크류 각각에 설치되는 상, 하부 위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이들 위치 고정부는 한 쌍의 실린더로 구성되며, 각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멈춤판을 구비하여 이 멈춤판이 승, 하강하며 창짝 부재를 정지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위치 고정부는 각각이 한 쌍의 실린더로 구성되고, 이들 실린더는 각각 혹은 동시에 승, 하강하여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원동 스크류와 종동 스크류 각각에 설치되는 상, 하부 위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이들 위치 고정부는 나사 체결기를 중심으로 일측에 로드에 멈춤판이 구비된 실린더를 구비하고, 대향측에 수직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수평 실린더를 구비하여, 이 수평 실린더의 로드에 구비된 멈춤판이 이동하며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나사 체결부는 전동 드라이버가 호퍼에서 비트에 공급된 나사를 회전시켜 체결하되, 실린더와 연결되어 승, 하강하며 나사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각 롤러에 체인 혹은 타이밍 벨트가 감아지는 풀리 혹은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이중 어느 하나의 풀리 혹은 스프로킷은 이송 모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진입부에 창짝 프레임의 규격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광센서 혹은 바코드 인식기 중 하나로 구성되어 창짝 프레임을 인식하여 그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부 혹은 하부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기 중 하나를 결정하고, 나사의 체결 위치 및 개수를 결정하여 상기 상, 하부 위치 고정부와 상, 하부 나사 체결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12. 창짝 부재에 일단에 끼워진 MC를 고정 조립하는 조립장치로써,
    하부 작업대의 상면에 상기 창짝 부재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의 상부에 상부 작업대가 구비된 테이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프레임 진입부에 설치된 바코드 인식기로 구성되어 창짝 프레임의 규격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스크류를 구비하고, 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멈춤판이 승, 하강하며 상기 창짝 프레임을 위치 정지시키는 위치 고정부;
    상기 상, 하부 작업대 각각에 설치된 스크류에 설치되어 이동하고, 전동 드라이버가 상기 MC에 나사를 박아 창짝 프레임에 MC를 고정시키는 나사 체결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부 혹은 하부 위치 고정부와 나사 체결기 중 하나를 결정하고, 나사의 체결 위치 및 개수를 결정하여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상, 하부 위치 고정부 및 상, 하부 나사 체결기 그리고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MC 조립 장치.
KR1020120058208A 2012-05-31 2012-05-31 창호의 자동 바람막이 조립장치 KR10140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208A KR101402559B1 (ko) 2012-05-31 2012-05-31 창호의 자동 바람막이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208A KR101402559B1 (ko) 2012-05-31 2012-05-31 창호의 자동 바람막이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591A true KR20130134591A (ko) 2013-12-10
KR101402559B1 KR101402559B1 (ko) 2014-05-30

Family

ID=4998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208A KR101402559B1 (ko) 2012-05-31 2012-05-31 창호의 자동 바람막이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5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8616A (zh) * 2016-11-29 2017-02-08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螺丝枪固定治具
CN106826165A (zh) * 2017-02-23 2017-06-13 佛山市格来德小家电有限公司 水壶壶身与上连接器自动装配机
CN108262604A (zh) * 2018-03-21 2018-07-10 无锡巨创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拆螺丝机
CN108687509A (zh) * 2018-05-31 2018-10-23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键盘装配装置及其加工工艺
CN109761001A (zh) * 2018-12-19 2019-05-17 闽南理工学院 一种基于机器视觉的机器人智能快速搬运装置
CN114083278A (zh) * 2021-11-30 2022-02-25 魏军华 一种驱动器控制板的自动化装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3963B2 (ja) 1993-07-22 2002-06-17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パネル圧締装置
KR970061386A (ko) * 1996-02-29 1997-09-12 성재갑 창호바퀴 자동조립장치
KR19990054891A (ko) * 1997-12-26 1999-07-15 오상수 스텝 컨베이어
KR100529296B1 (ko) * 2002-09-25 2005-11-22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시스템 창호의 복합 가공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8616A (zh) * 2016-11-29 2017-02-08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螺丝枪固定治具
CN106826165A (zh) * 2017-02-23 2017-06-13 佛山市格来德小家电有限公司 水壶壶身与上连接器自动装配机
CN108262604A (zh) * 2018-03-21 2018-07-10 无锡巨创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拆螺丝机
CN108262604B (zh) * 2018-03-21 2023-10-27 无锡巨创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拆螺丝机
CN108687509A (zh) * 2018-05-31 2018-10-23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键盘装配装置及其加工工艺
CN109761001A (zh) * 2018-12-19 2019-05-17 闽南理工学院 一种基于机器视觉的机器人智能快速搬运装置
CN109761001B (zh) * 2018-12-19 2020-06-19 闽南理工学院 一种基于机器视觉的机器人智能快速搬运装置
CN114083278A (zh) * 2021-11-30 2022-02-25 魏军华 一种驱动器控制板的自动化装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559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591A (ko) 창호의 자동 mc 조립장치
JP5939556B2 (ja) クレセントブラケットの自動取付装置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KR101377300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N104358488A (zh) 节能智能窗
CN114029394B (zh) 一种彩铝门窗的生产工艺
CN111220099B (zh) 一种汽车机械用盘盖类零件平整度检测装置
KR101402545B1 (ko) 창호용 필링피스 자동 조립장치
KR20180033049A (ko) 자동개폐형 가림막
CN211515022U (zh) 一种电子元器件点胶装置
CN211407028U (zh) 一种一体化玻璃温室大棚的温度控制系统
PL363635A1 (en) Window or door
CN206329210U (zh) 一种自动开窗器
CN220748317U (zh) 煤矿井下风窗
ATE463633T1 (de) Dachfenster, insbesondere wohndachfenster, mit rolladen
CN220181452U (zh) 一种门窗运输设备
JP2000199379A (ja) サッシ戸組立装置
KR101469409B1 (ko) 개폐 상태 감지가 용이한 스위치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CN211477005U (zh) 一种工件检测系统
CN218016962U (zh) 一种不规则船用防火门逃生门与通风栅安装装配竖立机构
ATE441765T1 (de) Schiebedach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zum íffnen und schliessen
KR20220104599A (ko) 자동 중문 구동 장치
EP2154327B1 (en) Gate of an improved type
CN208251891U (zh) 一种数据中心冷通道自动门
EP1378625A3 (de) Vorrichtung zur Abdeckung eines Fen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