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404A -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404A
KR20130134404A KR1020120057877A KR20120057877A KR20130134404A KR 20130134404 A KR20130134404 A KR 20130134404A KR 1020120057877 A KR1020120057877 A KR 1020120057877A KR 20120057877 A KR20120057877 A KR 20120057877A KR 20130134404 A KR20130134404 A KR 20130134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ent
graphic image
graphic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725B1 (ko
Inventor
안윤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72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행 중인 차량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가까워질수록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3D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입체적 돌출감이 점차 커지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CONTENTS GRAPHIC IMAGE IN NAVIGATION}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돌출감을 증대시켜서 운전자의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내비게이션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차량 등 운송 장치의 주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 항법 시스템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여 지구상에 떠있는 GPS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게 된다.
또한,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등의 기록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 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차량의 위치를 알려주고(Location),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Routing) 산출된 경로에 따라 차량이 주행하도록 안내하는(Guidance) 등 각종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비게이션에는 도 1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가 저장되어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는 변곡점 그래픽 이미지(1a)와 경고용 그래픽 이미지(1b)를 포함한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변곡점 그래픽 이미지(1a)는 사거리, 고가도로, 터널, 로터리 등에서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방향을 알려주는 화살표 그래픽 이미지이고, 상기 경고용 그래픽 이지미(1b)는 속도제한, 과속단속, 낙석주의 등에 대한 이미지로서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이다.
따라서,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콘텐츠 상황(변곡점 발생상황 또는 운전자에 경고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운전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확인하면서 운전을 하게 된다.
일례로,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좌회전이라는 변곡점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변곡점 그래픽 이미지(1a) 중 좌회전을 알려주는 화살표의 그래픽 이미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좌회전 화살표를 보고 변곡점 상황 발생지점에서 차량을 좌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내비게이션은 수백 미터 이전부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가 변화가 없는 똑같은 그래픽 이미지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바, 이럴 경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에서 운전자가 적절히 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수백 미터 이전부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가 똑같은 그래픽 이미지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TBT(Turn by Turn) 내비게이션, 2D(Two Dimension) 내비게이션, 3D(Three Dimension) 내비게이션 등 모든 종류의 내비게이션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7094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 중인 차량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돌출감을 증대시킴으로써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에서의 운전자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에서 운전자가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는, GPS신호를 기반으로 주행 중인 차량의 현 위치에서 다음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검출부;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서로 합성하고 영상 합성시 상기 거리검출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근거해서 입체적 돌출감을 제어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한 완성영상을 3D 구현이 가능한 패널부재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하는 3D 구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각각 취득해서 상기 영상처리부로 제공하는 영상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를 상기 영상취득부로 제공하는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처리부는 차량의 현 위치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의 남은거리가 줄어들수록 완성영상의 입체적 돌출감이 증대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는 사거리, 고가도로, 터널, 로터리와 같은 분기점에서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방향을 알려줄 수 있도록 화살표 그래픽 이미지로 된 변곡점 그래픽 이미지; 및 속도제한, 과속단속, 낙석주의와 같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경고용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방법은 내비게이션이 온(ON)된 상태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콘텐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콘텐트 상황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를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로부터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단계; 차량의 현 위치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의 남은거리가 설정된 소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서로 합성해서 입체적 돌출감이 있는 완성영상을 구하되, 상기 남은거리가 줄어들수록 입체적 돌출감은 증대되도록 완성영상을 구하는 영상처리단계; 및 상기 완성영상을 3D 구현이 가능한 패널부재를 이용해서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는 3D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성영상의 입체적 돌출감은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서로 합성할 때에 합성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의 합성간격이 좁으면 상기 완성영상의 입체적 돌출감은 작아지고, 상기 합성간격이 넓으면 상기 완성영상의 입체적 돌출감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의 남은거리가 설정된 소정거리 이상이면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를 입체적 돌출감이 없는 2D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중인 차량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까지의 남은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3D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입체적 돌출감이 점차 커지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운전자는 보다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내비게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보관하는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10); 내비게이션이 온(ON)된 상황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콘텐츠 상황(변곡점 발생상황 또는 운전자에 경고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상기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1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각각 카메라로 찍어서 취득하는 영상취득부(20); GPS신호를 기반으로 주행 중인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거리(L1)를 계산하는 거리검출부(30);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서로 합성하고 영상(61,62) 합성시 상기 거리검출부(3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근거해서 입체적 돌출감을 제어하는 영상처리부(40); 및 상기 영상처리부(40)에서 처리한 완성영상(63)을 3D 구현이 가능한 패널부재(64)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하는 3D 구현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줄어들수록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이 증대되게 제어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는 사거리, 고가도로, 터널, 로터리와 같은 분기점에서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방향을 알려줄 수 있도록 화살표 그래픽 이미지로 된 변곡점 그래픽 이미지(1a); 및 속도제한, 과속단속, 낙석주의와 같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경고용 그래픽 이미지(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방법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이 온(ON)된 상태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콘텐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콘텐트 상황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10)로부터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단계;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설정된 소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서로 합성해서 입체적 돌출감이 있는 완성영상(63)을 구하되, 상기 남은거리(L1)가 줄어들수록 입체적 돌출감은 증대되도록 완성영상(63)을 구하는 영상처리단계; 및 상기 완성영상(63)을 3D 구현이 가능한 패널부재(64)를 이용해서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는 3D 구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서로 합성할 때에 합성간격(L2)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의 합성간격(L2)이 좁으면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작아지고, 상기 합성간격(L2)이 넓으면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설정된 소정거리 이상이면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입체적 돌출감이 없는 2D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10)에는 변곡점 그래픽 이미지(1a)와 경고용 그래픽 이미지(1b)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가 보관되어 있다.
내비게이션이 온(ON)된 상황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콘텐츠 상황(변곡점 발생상황 또는 운전자에 경고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영상취득부(20)는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상기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10)로부터 취득하게 되고, 또한 취득한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각각 양안카메라로 찍어서 취득하게 된다.
이때, 거리검출부(30)는 GPS신호를 기반으로 주행 중인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를 계산하게 되는 바, 상기 남은거리(L1)가 설정된 소정거리 이상이면 영상취득부(20)에서 취득한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는 입체적 돌출감이 없는 2D로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일예로 설정된 소정거리 500M이고 남은거리(L1)가 500M 이상이면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는 2D로서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며, 운전자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디스플레이 상황을 보고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 거리(L1)가 많이 남아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차량이 계속 주행함에 따라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설정된 소정거리 이하로 들어오게 되면, 영상처리부(40)는 영상취득부(20)에서 취득한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도 4의 (B)와 같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잘라서 다수개의 픽셀로 만들고, 도 4의 (C)와 같이 좌안영상(61)의 픽셀사이로 우안영상(62)의 픽섹을 각각 1개씩 삽입시켜서 상기 영상(61,62)을 서로 합성시키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도 4의 (D)와 같이 입체적 돌출감이 있는 완성영상(63)을 구하게 된다.
여기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줄어들수록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더욱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상기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서로 합성할 때에 합성간격(L2)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의 합성간격(L2)이 좁으면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작아지고, 상기 합성간격(L2)이 넓으면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에 따라 최종적인 완성영상(63)이 구해지면, 상기 완성영상(63)은 3D 패널부재(64)를 구비한 3D 구현부(50)에 의해 운전자에게 3D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바, 운전자는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을 보고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예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설정된 소정거리 500M이고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400M < L1 < 500M이면 운전자에게 3D로 디스플레이 되는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레벨1(돌출감1)이 된다.
그리고, 차량의 계속적인 주행으로 남은거리(L1)가 300M < L1 < 400M가 되면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레벨2(돌출감2)가 되고, 200M < L1 < 300M가 되면 입체적 돌출감은 레벨3(돌출감3)이 되며, 100M < L1 < 200M가 되면 입체적 돌출감은 레벨4(돌출감4)가 되고, 0M < L1 < 100M가 되면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레벨5(돌출감5)가 된다.
여기서,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이 큰 순서는 돌출감5(레벨5) > 돌출감4(레벨4) > 돌출감3(레벨3) > 돌출감2(레벨2) > 돌출감1(레벨1) 이다.
도 6에 도시된 미설명 도면번호 D1은 운전자이고, N은 내비게이션이다.
따라서, 차량이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을 향해 계속해서 주행을 함에 따라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입체적 돌출감이 계속 커지게 되는 바, 운전자는 3D로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입체적 돌출감이 계속 커지게 되는 것을 볼 수 있게 됨에 따라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주행 중인 차량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가까워질수록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3D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입체적 돌출감을 점차 커지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운전자는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주행경로를 벗어나는 불필요한 추가주행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TBT(Turn by Turn) 내비게이션이나 또는 일반적인 3D(Three Dimension) 내비게이션 등에 모두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 1a - 변곡점 그래픽 이미지
1b - 경고용 그래픽 이미지 10 -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
20 - 영상취득부 30 - 거리검출부
40 - 영상처리부 50 - 3D 구현부
61 - 좌안영상 62 - 우안영상
63 - 완성영상 64 - 패널부재

Claims (9)

  1. GPS신호를 기반으로 주행 중인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다음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거리(L1)를 계산하는 거리검출부(30);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서로 합성하고 영상(61,62) 합성시 상기 거리검출부(3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근거해서 입체적 돌출감을 제어하는 영상처리부(40); 및
    상기 영상처리부(40)에서 처리한 완성영상(63)을 3D 구현이 가능한 패널부재(64)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하는 3D 구현부(50);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각각 취득해서 상기 영상처리부(40)로 제공하는 영상취득부(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상기 영상취득부(20)로 제공하는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줄어들수록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이 증대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는 사거리, 고가도로, 터널, 로터리와 같은 분기점에서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방향을 알려줄 수 있도록 화살표 그래픽 이미지로 된 변곡점 그래픽 이미지(1a); 및
    속도제한, 과속단속, 낙석주의와 같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경고용 그래픽 이미지(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6. 내비게이션이 온(ON)된 상태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에 콘텐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콘텐트 상황에 해당하는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그래픽 이미지 저장부(10)로부터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단계;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설정된 소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서로 합성해서 입체적 돌출감이 있는 완성영상(63)을 구하되, 상기 남은거리(L1)가 줄어들수록 입체적 돌출감은 증대되도록 완성영상(63)을 구하는 영상처리단계; 및
    상기 완성영상(63)을 3D 구현이 가능한 패널부재(64)를 이용해서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는 3D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의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을 서로 합성할 때에 합성간격(L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좌안영상(61)과 우안영상(62)의 합성간격(L2)이 좁으면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작아지고, 상기 합성간격(L2)이 넓으면 상기 완성영상(63)의 입체적 돌출감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 위치(M1)에서 콘텐츠 상황 발생지점(P1)까지의 남은거리(L1)가 설정된 소정거리 이상이면 상기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1)를 입체적 돌출감이 없는 2D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방법.
KR1020120057877A 2012-05-31 2012-05-31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7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77A KR101371725B1 (ko) 2012-05-31 2012-05-31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77A KR101371725B1 (ko) 2012-05-31 2012-05-31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404A true KR20130134404A (ko) 2013-12-10
KR101371725B1 KR101371725B1 (ko) 2014-03-07

Family

ID=4998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877A KR101371725B1 (ko) 2012-05-31 2012-05-31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7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3708A (zh) * 2014-06-17 2019-02-12 星克跃尔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4467299A (zh) * 2019-10-07 2022-05-10 金泰克斯公司 用于摄像头监测系统的3d显示系统
US11543256B2 (en) 2014-06-17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156A (ja) 2000-09-19 2002-03-27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渋滞表示方法
JP2003232638A (ja) 2002-02-13 2003-08-22 Sony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00084855A (ko) * 2009-01-19 2010-07-28 (주)엠앤소프트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로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3708A (zh) * 2014-06-17 2019-02-12 星克跃尔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10061319A (ko) * 2014-06-17 2021-05-27 팅크웨어(주)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9323708B (zh) * 2014-06-17 2022-04-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1543256B2 (en) 2014-06-17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467299A (zh) * 2019-10-07 2022-05-10 金泰克斯公司 用于摄像头监测系统的3d显示系统
CN114467299B (zh) * 2019-10-07 2024-01-23 金泰克斯公司 用于摄像头监测系统的3d显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725B1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671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20100045704A1 (en) Method for changing dynamic display mode and apparatus thereof in car navigation system
CN110920604A (zh) 辅助驾驶方法、辅助驾驶系统、计算设备及存储介质
JP5298904B2 (ja) 車両用走行情報提供装置
US20130124083A1 (en)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EP2272056B1 (en) Method for providing lane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2047302A (zh) 在三维路径导航系统中改变视角的设备与方法
CN108139223A (zh) 车辆用显示装置
JP6253349B2 (ja) 走行支援装置および走行支援方法
JP490877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214115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9423267B2 (en) Navigation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4489447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立体地図表示方法
JP200801475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371725B1 (ko) 내비게이션용 콘텐츠 그래픽 이미지의 3차원 표시장치 및 방법
JP4249037B2 (ja) 周辺車両表示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車両表示方法
JPWO2017013792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5065614A (ja) 情報表示制御装置
US8229667B2 (en)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sky in navig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JP452908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255000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画像表示方法
US20140354668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ap According to the Guiding of a Navigation System
CN102288196B (zh) 导航装置
JP506628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4217079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