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498A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498A
KR20130133498A KR1020120056793A KR20120056793A KR20130133498A KR 20130133498 A KR20130133498 A KR 20130133498A KR 1020120056793 A KR1020120056793 A KR 1020120056793A KR 20120056793 A KR20120056793 A KR 20120056793A KR 20130133498 A KR20130133498 A KR 20130133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witch
mcu
main mcu
voltag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663B1 (ko
Inventor
변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5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663B1/ko
Priority to DE102013008960A priority patent/DE102013008960A1/de
Priority to US13/904,608 priority patent/US9048713B2/en
Priority to CN201310263264.1A priority patent/CN103448790B/zh
Publication of KR2013013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스위치의 고착과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의 안전 스위치 오프를 동시에 판정하여 재방전과 충전시간이 불가피하게 되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와, 조향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모터 사이에서 상기 모터로의 전압공급을 단속하는 안전스위치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안전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MCU와, 상기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MCU는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안전스위치의 전후단 전압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전후단간의 전위차가 없으면 상기 안전스위치의 고착 및 상기 서브 MCU의 안전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INITIAL DRIVING}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안전스위치의 고착과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의 안전 스위치 오프를 동시에 판정하여 재방전과 충전시간이 불가피하게 되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에 대한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이러한 스티어링 시스템으로는 유압 펌프의 유압을 사용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HPS)이 있으며, 1990년대 이후부터는 전기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LECTRIC Power Steering: EPS)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술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파워(POWER)를 보조해 주는 동력원인 유압 펌프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조향 휠의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에너지를 소모하는데 비해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조향 휠이 회전하여 토크가 발생하면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는 모터가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핸들의 조타력을 전자 제어로 적절히 변화시켜, 주차 또는 저속시에는 조타력을 가볍게 해주고, 고속 시에는 조타력을 무겁게 하여 고속 주행 안정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의 안전 스위치 오프를 체크하기 위해, 메인 MCU에서 안전 스위치에 온 구동신호를 인가한 후 서브 MCU의 안전스위치 구동신호를 오프할 경우 체크후 재방전, 충전시간이 추가로 소요되게 되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업체측에서 요구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모터와 전원을 연결하는 안전스위치 온시, 안전스위치의 전후단 전위차가 발생하여 안전스위치의 내구성 및 스파크(spark) 발생에 의한 주변회로가 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스위치의 고착과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의 안전 스위치 오프를 동시에 판정하여 재방전과 충전시간이 불가피하게 되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와, 조향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모터 사이에서 상기 모터로의 전압공급을 단속하는 안전스위치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안전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MCU와, 상기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MCU는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안전스위치의 전후단 전압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전후단간의 전위차가 없으면 상기 안전스위치의 고착 및 상기 서브 MCU의 안전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회로와,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전압을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MCU는 상기 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방전된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충전된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MCU는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전압이 상기 충전기준전압까지 충전되면 상기 서브 MCU에 상기 안전스위치를 온 시키기 위한 온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안전스위치는 상기 메인 MCU와 상기 서브 MCU에서 인가된 온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게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상기 모터에 공급되도록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와, 조향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모터 사이에서 상기 모터로의 전압공급을 단속하는 안전스위치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안전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MCU와, 상기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의 전후단 전압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전후단의 전위차가 없으면 상기 안전스위치의 고착 및 상기 서브 MCU의 안전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은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해 방전회로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방전된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은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 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회로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충전된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은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에 상기 안전스위치를 온 시키기 위한 온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전스위치는 상기 메인 MCU와 상기 서브 MCU에서 인가된 온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게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상기 모터에 공급되도록 스위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스위치의 고착과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의 안전 스위치 오프를 동시에 판정하여 재방전과 재충전이 불가피하게 되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스위치의 후단전압을 충전시키도록 충전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안전스위치의 전후단 전위차를 줄일 수 있어, 입력시 전류 방지를 통한 안전 스위치의 내구성 향상 및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스위치의 후단전압을 방전시키도록 방전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안전스위치의 고착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메인 MCU, 서브 MCU, 안전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1)은 메인 MCU(Micro Control Unit)(11)와, 메인 MCU(11)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12)와, 조향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5)와, 전원공급부, 즉 배터리(16)의 전원을 모터(15)에 공급/차단되도록 하는 안전 스위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MCU(11)는 운전자의 조향 의도와 자동차의 주행상황 등을 파악하여 탑재된 각종 로직을 이용하여 모터(15)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터(15)는 메인 MCU(11)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조향 보조 동력을 발생시킨다.
메인 MCU(11)와 서브 MCU(12)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서브 MCU(12)는 메인 MCU(11)와의 통신을 통해 메인 MCU(11)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메인 MCU(11)에 서브 MCU(12)의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서브 MCU(12)는 메인 MCU(11)와의 통신을 통해 메인 MCU(11)의 자체 고장 발생시 안전 스위치(14)에 오프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메인 MCU(11)의 자체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안전 스위치(14)는 메인 MCU(11)와 서브 MCU(12) 사이의 게이트(13)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13)는 AND 게이트이다.
메인 MCU(11)와 서브 MCU(12) 모두에서 온 구동신호, 예를 들면 '1'이 게이트(13)에 들어오면 안전 스위치(14)는 온(on)으로 스위칭되고, 메인 MCU(11)와 서브 MCU(12) 중 어느 하나라도 오프 구동신호, 예를 들면 '0'이 게이트(13)에 들어오면 안전스위치(14)는 오프(off)로 스위칭된다.
메인 MCU(11)는 초기 구동시 안전스위치(14)에 온 구동신호를 인가한 후, 안전스위치(14)의 전후단 전압을 각각 수신하여 전후단의 전위차가 없으면 안전스위치(12)의 고착 및 서브 MCU(12)의 안전 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한다. 이때 메인 MCU(11)는 안전스위치(14)의 전단과 제 1 라인(L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안전스위치(14)의 후단과 제 2 라인(L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라인(L1, L2)을 통하여 수신된 아날로그 형태의 전단과 후단 전압을 메인 MCU(11)는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한다.
특히 메인 MCU(11)는 그라운드(17), 스위치(18) 등으로 구성된 방전회로를 구동시켜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방전시키고,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수신하여 방전기준전압에 도달되면 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그라운드(17)와 안전스위치(14)의 후단을 연결하는 스위치(18)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안전스위치(14)의 고착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MCU(11)는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방전시킨 후 안전스위치(14)의 고착과 서브 MCU(12)의 안전 스위치 오프를 동시에 판정한 다음, 충전회로를 구동시켜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충전시킴에 따라, 재방전, 충전시간을 추가로 필요했던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비해 훨씬 초기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메인 MCU(11)는 배터리(16)와 스위치(18) 등으로 구성된 충전회로(미도시)를 구동시켜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충전시키고,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수신하여 충전기준전압에 도달되면 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배터리(16)와 안전스위치(14)의 후단을 연결하는 스위치(18)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메인 MCU(11)와 서브 MUC(12)에서 모두 온 구동신호가 들어오면 안전스위치(14)의 전후단 전위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메인 MCU(11)는 충전회로 구동시 배터리(16)와 안전스위치(14)의 후단을 연결하는 스위치(18)를 온시키도록 하고,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면 해당 스위치(18)를 오프시키도록 한다. 또한 메인 MCU(11)는 방전회로 구동시 그라운드(17)와 안전스위치(14)의 후단을 연결하는 스위치(18)를 온시키도록 하고,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하면 해당 스위치(18)를 오프시키도록 한다. 이때 충전 및 방전회로의 충전 및 방전속도는 회로 설계시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3은 메인 MCU, 서브 MCU, 안전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MCU(11)는 초기 구동시 방전회로를 구동시키도록 그라운드(17)와 안전스위치(14) 사이의 스위치(18)를 온(on)시킨다(S11). 따라서 메인 MCU(11)는 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안전 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방전시킨다.
다음 메인 MCU(11)는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수신하여 수신된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 예를 들면 0V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상기 S13 단계의 판단결과,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이 아닌 경우 상술된 S11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방전회로를 구동시킨다.
상기 S13 단계의 판단결과,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인 경우 메인 MCU(11)는 방전회로를 오프시키도록 그라운드(17)와 안전스위치(14) 사이의 스위치(18)를 오프시킨다(S13).
다음 메인 MCU(11)는 안전스위치(14)에 온 구동신호를 제공한다(S15).
다음 메인 MCU(11)는 안전스위치(14)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수신한다(S17).
다음 메인 MCU(11)는 수신된 안전스위치(14)의 전단과 후단 전압간의 전위차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
상기 S19 단계의 판단결과, 안전스위치(14)의 전단과 후단 전압간의 전위차가 있으면 메인 MCU(11)는 메인 MCU(11), 서브 MCU(12), 안전스위치(14)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임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제공한다(S20).
상기 S19 단계의 판단결과, 안전스위치(14)의 전단과 후단 전압간의 전위차가 없으면 메인 MCU(11)는 전위차가 있는 경우 안전스위치(14)의 고착 및 서브 MCU의 안전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한다(S21).
이후 메인 MCU(11)는 충전회로를 구동시키도록 배터리(16)와 안전스위치(14)의 후단을 연결하는 스위치(14)를 온시키도록 한다(S23).
다음 메인 MCU(11)는 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수신하여 수신된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 예를 들면 13V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5).
상기 S25 단계의 판단결과,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이 아닌 경우 상술된 S23 단계로 프로세스를 이동하여 충전회로를 구동시킨다. 단, 일정시간동안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충전회로의 고장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25 단계의 판단결과,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인 경우 메인 MCU(11)는 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배터리(16)와 안전스위치(14)의 후단을 연결하는 스위치(14)를 오프시키도록 한다(S27).
다음 메인 MCU(11)는 서브 MCU(12)에 안전스위치 온 구동신호를 제공한다(S29).
다음 메인 MCU(11)는 게이트(13)에 모두 온 구동신호가 제공되어 배터리(16)에서 공급된 전압이 모터(15)에 인가됨에 따라 운전자의 조향정도에 맞춰 조향보조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S31).
도 3의 타이밍도를 참조하면, 먼저 메인 MCU(11)는 방전회로를 구동시킨다. 도 3의 (a)는 방전구간을 나타내며, 메인 MCU(11), 서브 MCU(12) 및 안전스위치(14)는 오프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메인 MCU(11)는 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방전회로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안전스위치 온 구동신호를 게이트(13)에 인가한다. 안전스위치 온 구동신호를 인가후에 메인 MCU(11)는 안전스위치(14)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을 수신하여 전후단 전압간의 전위차가 없는지를 판단하여 전위차가 없으면 안전스위치(14)의 고착 및 서브 MCU(12)의 안전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한다. 도 3의 (b)는 안전스위치(14)의 고착 및 서브 MCU(12)의 안전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하는 구간을 나타내며, 메인 MCU(11)는 온 상태, 서브 MCU(12)와 안전스위치(14)는 오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안전스위치(14)의 고착 및 서브 MCU(12)의 안전 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로 판정한 후 메인 MCU(11)는 충전회로를 구동시킨다. 이후 메인 MCU(11)는 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충전회로의 고장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즉, 도 3의 (c)는 충전회로의 고장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구간으로, 일정시간동안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충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되지 않으면 충전회로에 고장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다음 메인 MCU(11)는 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충전회로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서브 MCU(12)의 안전스위치를 온시키도록 하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향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도 3의 (d)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향제어구간으로, 메인 MCU(11), 서브 MCU(12) 및 안전 스위치(14) 모두 온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방전 및 충전시간을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비해 초기 구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안전스위치(14)의 후단전압을 충전시켜 안전스위치(14)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전위차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11 : 메인 MCU
12 : 서브 MCU 13 : 게이트
14 : 안전스위치 15 : 모터
16 : 배터리 17 : 그라운드
18 : 스위치

Claims (7)

  1. 전원공급부와, 조향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모터 사이에서 상기 모터로의 전압공급을 단속하는 안전스위치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안전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MCU와, 상기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MCU는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안전스위치의 전후단 전압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전후단간의 전위차가 없으면 상기 안전스위치의 고착 및 상기 서브 MCU의 안전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회로와,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전압을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MCU는 상기 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방전된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충전된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MCU는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전압이 상기 충전기준전압까지 충전되면 상기 서브 MCU에 상기 안전스위치를 온 시키기 위한 온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안전스위치는 상기 메인 MCU와 상기 서브 MCU에서 인가된 온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게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상기 모터에 공급되도록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4. 전원공급부와, 조향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모터 사이에서 상기 모터로의 전압공급을 단속하는 안전스위치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안전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MCU와, 상기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의 전후단 전압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전후단의 전위차가 없으면 상기 안전스위치의 고착 및 상기 서브 MCU의 안전스위치 오프 기능의 고장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해 방전회로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방전된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후단전압이 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에 온(on)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안전스위치의 후단 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회로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에 따라 충전된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후단전압이 충전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 MCU에 의해 상기 메인 MCU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브 MCU에 상기 안전스위치를 온 시키기 위한 온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안전스위치는 상기 메인 MCU와 상기 서브 MCU에서 인가된 온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게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상기 모터에 공급되도록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KR1020120056793A 2012-05-29 2012-05-2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KR10145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93A KR101457663B1 (ko) 2012-05-29 2012-05-2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DE102013008960A DE102013008960A1 (de) 2012-05-29 2013-05-27 Elektrisches Servolenkungssystem und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s anfänglichen Ansteuerns davon
US13/904,608 US9048713B2 (en) 2012-05-29 2013-05-29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initial driving thereof
CN201310263264.1A CN103448790B (zh) 2012-05-29 2013-05-29 电动助力转向系统和用于检查其初始驱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793A KR101457663B1 (ko) 2012-05-29 2012-05-2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498A true KR20130133498A (ko) 2013-12-09
KR101457663B1 KR101457663B1 (ko) 2014-11-07

Family

ID=4957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793A KR101457663B1 (ko) 2012-05-29 2012-05-29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48713B2 (ko)
KR (1) KR101457663B1 (ko)
CN (1) CN103448790B (ko)
DE (1) DE102013008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3440B4 (de) * 2010-08-04 2013-10-24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icherheitsabschaltung einer elektromechanischen Servolenkung
CN106154070B (zh) * 2015-03-30 2019-09-27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基于电气量特征的抽水蓄能机组运行工况校验方法及装置
EP3244221B1 (de) * 2016-05-11 2021-08-04 TRUMPF Schweiz AG Überwachungsanordnung zur überwachung eines sicherheitsgebers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sicherheitsgebers
CN112714724B (zh) * 2018-09-19 2023-06-06 汉拿万都株式会社 制动设备及其控制方法
CN109324501A (zh) * 2018-09-20 2019-02-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双mcu的电池管理系统及其多冗余故障重构方法
CN111190407A (zh) * 2019-12-26 2020-05-22 中国家用电器研究院 基于软件自检在halt试验中快速激发并定位故障的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142B2 (ja) * 1997-09-19 2006-11-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機駆動装置
JP4029522B2 (ja) * 1999-07-02 2008-01-09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2004084655A (ja) * 2002-06-28 2004-03-18 Denso Corp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2008094128A (ja) * 2006-10-06 2008-04-24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132919A (ja) * 2006-11-29 2008-06-12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CN101308383B (zh) * 2008-07-08 2010-08-18 同济大学 一种电动助力转向控制方法和系统
JP5444992B2 (ja) * 2009-09-24 2014-03-1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201901171U (zh) * 2010-09-28 2011-07-20 上海航天汽车机电股份有限公司 双微处理器共同控制继电器的电动助力转向控制系统
KR20120056793A (ko) 2010-11-25 2012-06-04 쳉-쿤 첸 일방향 래칫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20906A1 (en) 2013-12-05
CN103448790B (zh) 2016-02-24
CN103448790A (zh) 2013-12-18
KR101457663B1 (ko) 2014-11-07
US9048713B2 (en) 2015-06-02
DE102013008960A1 (de)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663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초기 구동 체크 방법
KR101241226B1 (ko) 친환경 차량의 메인 릴레이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US9446790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EP2226237A1 (en) Electrically driven power steering device
CN109789870B (zh) 车辆用的后备装置
EP2261100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016277A1 (ja) 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および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EP2226236B1 (en) Electrically driven power steering device
JP2010239850A (ja) 充電システム、充電器、電動車両、および停電発生時の充電終了方法
CN102484389B (zh) 驱动用于起动内燃机的辅助机构的电路
US8803462B2 (en) Motor drive unit
WO2017203807A1 (ja) ブレーキシステムおよび電動ブレーキ駆動装置
WO2012144069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60004116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모터 제어 장치
JP6343881B2 (ja) 車両制御装置
JP513597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モータ制御装置
KR20120061437A (ko) Mdps의 릴레이 고장 감지장치
JP2009060695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警報装置
KR20110080757A (ko) 엠디피에스의 페일세이프 회로
KR10151979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기 소손시 제어 방법
KR20220053738A (ko) 모터 구동 회로를 이용한 차량의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09017660A (ja) 電源装置
CN104104306A (zh) 电动机控制装置、以及包括电动机控制装置的电动动力转向装置
KR101557230B1 (ko) 분류기를 이용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동작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2020020478A (ja) 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および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