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804A -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804A
KR20130132804A KR1020137012259A KR20137012259A KR20130132804A KR 20130132804 A KR20130132804 A KR 20130132804A KR 1020137012259 A KR1020137012259 A KR 1020137012259A KR 20137012259 A KR20137012259 A KR 20137012259A KR 20130132804 A KR20130132804 A KR 20130132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terminal
input
suppl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노리 와시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3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223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adapted to be supplied by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H02J13/00009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using pulsed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의 개별적인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출력 단자(51, 52)는, 입력 단자(41, 42)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접속된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한다. IC 칩(325)은,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 단자(41, 42)에 교류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 단자(41, 42)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전력 정보를 입력 단자(41, 42)를 통해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한다. 고주파 신호 필터로서의 고역 통과 필터(323)는, 입력 단자(41, 42)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IC 칩(325)에 입력시킴과 함께, 입력 단자(41, 42)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보다 낮은 주파수의 교류 전력이 IC 칩(325)에 입력되는 것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POWER RELAY DEVICE, POWER RELAY METHOD,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 전력의 개별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특히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룸쉐어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친구들 등이 하나의 방을 공동으로 임차하여 사용한다. 또한, 각 개인은, 전기 스탠드, 에어 컨디셔너 등, 전력으로 작동하는 각종 기기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 각 개인이 사용한 기기의 소비 전력량이 달라도, 그 방 전체의 전기 요금을 인원수로 나눈 동일한 금액을 부담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에 대하여 기구를 측정 장착하고, 그 측정 기구에 의해, 전력선이 공급하는 전력을 계측하여 표시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따라서, 방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개인이, 이러한 측정 기구로 스스로 사용하는 기기의 전력을 측정하고, 그것을 집계하여, 각 개인이 소비한 양에 따라서 전기 요금을 부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041호 공보
그러나, 각 개인이 사용한 전력을 계측하여 메모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계측을 행하지 않아도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원이 그러한 계측을 행한다고 볼 수는 없다. 즉, 정확하면서도 또한 간단하게 소비 전력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비 전력의 개별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력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력을, 접속된,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기억 소자를 구비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이다.
상기 기억 소자는, 전자 태그로 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를 상기 기억 소자에 입력시킴과 함께,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력이 상기 기억 소자에 입력되는 것을 저지하는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출력 단자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가 상기 출력 단자에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는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소자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주파 신호에 의해 발생한 전압을 상기 기억 소자에 공급하는 전압 발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발생부는, 코일 또는 트랜스포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정보는, 식별 정보와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정보는, 사양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또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와, 기억 소자를 구비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중계 방법이며, 상기 입력 단자는, 전력을 입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력을, 접속된,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중계해서 출력하고, 상기 기억 소자는,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전력 중계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다시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해서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력의 계측된 결과를 이력 정보로서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기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과금 처리를 위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력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과금 처리를 위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로부터 또한 과금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금 정보로서, 신용 카드 번호 또는 전자 화폐 정보 또는 유저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력을, 접속된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 또는 상기 기기에 구비된 기억 소자에 기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전압의 상기 출력 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전압 전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전환부는, 상기 출력 전력으로서, 접속된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 또는 상기 기기에 구비된 기억 소자에 기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전압의 교류 전력 및 직류 전력의 한쪽을 전환해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또한, 출력 단자와, 스위치와,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출력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다시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공급하는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와,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는, 상기 출력 전력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접속되어 있는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출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상기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기억 소자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또한,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공급하는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와,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서는, 출력 단자가,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하고, 스위치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고, 통신부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고,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고,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서는, 입력 단자가, 상기 출력 전력을 입력하고,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출력 단자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접속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고, 기억 소자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상기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상기 입력 단자는, 전력을 입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력을, 접속된,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고, 상기 기억 소자는,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출력 단자는, 출력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다시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서는, 출력 단자가,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하고, 스위치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고, 통신부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고,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고,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서는, 입력 단자가, 상기 출력 전력을 입력하고,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출력 단자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접속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고, 기억 소자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상기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측면에 의하면, 소비 전력의 개별 관리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력 게이트웨이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전압 전환부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리더 라이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컨트롤러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전력 플러그 어댑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IC칩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전압 발생부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전압 발생부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홈 서버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전력 게이트웨이의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의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인증에 기초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전력 정보를 기억하는 경우의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리더 라이터 기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퍼스널 컴퓨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퍼스널 컴퓨터의 기억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리더 라이터 기기의 기억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의 원리적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1)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1)은, 외부 전원(11), 전력 게이트웨이(12), 전력 플러그 어댑터(13-1, 13-2), 기기(14-1, 14-2) 및 홈 서버(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1, 13-2) 및 기기(14-1, 14-2)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 간단히 전력 플러그 어댑터(13) 또는 기기(14)라고 기재한다. 다른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외부 전원(11)은, 예를 들어 50Hz 또는 60Hz의 상용 교류 전력을 전력선(71, 72)을 통해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출력한다. 물론 주파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전원(11)은 발전기, 배터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력 게이트웨이(12)는, 외부 전력(11)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이 실시 형태의 경우, 교류 전력으로 함)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콘센트를 형성하는 출력 단자(31)로부터 출력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단자(31)로서, 한 쌍의 출력 단자(31-1, 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1개의 콘센트와, 다른 한 쌍의 출력 단자(31-11, 3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른 1개의 콘센트의, 총 2개의 콘센트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콘센트의 수는 1개나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전력 게이트웨이(12)의 한 쌍의 출력 단자(31-1, 32-1)에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1)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한 쌍의 입력 단자(41-1, 42-1)가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력 게이트웨이(12)의 다른 한 쌍의 출력 단자(31-11, 32-11)에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2)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한 쌍의 입력 단자(41-11, 42-11)가 접속되어 있다.
전력 중계 단말기로서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1)는, 전력 게이트웨이(12)로부터 공급된 출력 전압을, 그대로 중계하여, 1개의 콘센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출력 단자(51-1, 52-1)로부터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전력 중계 단말기로서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2)는, 전력 게이트웨이(12)로부터 공급된 출력 전압을, 그대로 중계하여, 1개의 콘센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출력 단자(51-11, 52-11)로부터 출력한다.
전력 게이트웨이(12)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1, 13-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거나 기억시킨다. 전력 게이트웨이(12)는, 또한 출력 단자(51-1, 52-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14-1)에 기억되어 있는 출력 정보를 전력 플러그 어댑터(13-1)를 중계하여 판독하거나 기억시켜도 된다. 또한 전력 게이트웨이(12)의 출력 단자(31-1, 32-1)에 기기(14-1)의 입력 단자(61-1, 62-1)를 접속하여, 기기(14-1)에 내장된 기억 소자에 기록되어 있는 출력 정보를 판독하거나 기억시켜도 된다. 마찬가지로, 전력 게이트웨이(12)는, 또한 출력 단자(51-11, 52-1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14-2)에 기억되어 있는 출력 정보를 전력 플러그 어댑터(13-2)를 중계하여 판독하거나 기억시켜도 된다. 또한 전력 게이트웨이(12)의 출력 단자(31-11, 32-11)에 기기(14-2)의 입력 단자(61-11, 62-11)를 접속하여, 기기(14-2)에 내장된 기억 소자에 기록되어 있는 출력 정보를 판독하거나 기억시켜도 된다.
전력 플러그 어댑터(13-1)의 출력 단자(51-1, 52-1)에는, 기기(14-1)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입력 단자(61-1, 62-1)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14-1)에는, 전력선(81-1, 82-1)을 통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1)에 의해 중계된 출력 전력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2)의 출력 단자(51-11, 52-11)에는, 기기(14-2)의 플러그를 구성하는 입력 단자(61-11, 62-11)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14-2)에는, 전력선(81-11, 82-11)을 통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2)에 의해 중계된 출력 전력이 공급된다.
공급된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14-1, 14-2)는, 공급된 출력 전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전기 스탠드이면 조명을 행하고, 퍼스널 컴퓨터이면, 인터넷을 통해 각종 사이트에 액세스하거나, 문장을 작성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홈 서버(15)는, 전력 게이트웨이(12)와 Bluetooth(등록 상표) 그 밖의 규격의 무선으로 통신하여, 과금 정보를 유지하거나, 과금 처리를 행한다. 물론 통신은, IEEE 802.11, IEEE 802.15, 그 밖의 규격으로 행해도 되고, 유선에 의한 통신이어도 된다.
[전력 게이트웨이의 구성]
도 2는, 전력 게이트웨이(12)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의 전력 게이트웨이(12)는, 전력 공급부(103), 스위치(104-1, 104-2), 전력 계측부(105-1, 105-2), 전압 전환부(106-1, 106-2), 저역 통과 필터(107-1, 107-2), 고역 통과 필터(108-1, 108-2), 리더 라이터(109), 컨트롤러(110), 안테나(112)를 갖는 통신부(111), 및 디스플레이(1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입력 단자인 단자(101, 102)에는, 전력선(71, 72)이 각각 접속되고, 외부 전원(11)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이 입력된다. 전력 공급부(103)는, 단자(101, 102)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력을 후단에 출력함과 함께, 전력 게이트웨이(12) 내의 각 부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즉, 전력 공급부(103)는, 전력 계측부(105), 전압 전환부(106), 리더 라이터(109), 컨트롤러(110), 통신부(111), 디스플레이(113)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컨트롤러(110)에 의해 스위칭이 제어되는 스위치(104-1, 104-2)는, 온으로 되어 있을 때, 전력 공급부(103)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력을, 각각 대응하는 전력선의 전력 계측부(105-1, 105-2)에 출력하고, 오프로 되어 있을 때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 전력 계측부(105-1, 105-2)는, 각각 대응하는 전력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측하고, 계측 결과를 컨트롤러(110)에 출력한다.
전압 전환부(106-1, 106-2)는, 각각 전력 계측부(105-1, 105-2)를 통해 입력된 교류 전력으로부터, 소정의 전압의 교류 전력 또는 직류 전력을 생성하여, 출력 전력으로서 출력한다.
저역 통과 필터(107-1)는, 그 전력선의 전압 전환부(106-1)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전력을, 출력 단자(31-1, 32-1)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저역 통과 필터(107-2)는, 그 전력선의 전압 전환부(106-2)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전력을, 출력 단자(31-11, 32-11)에 출력한다. 저역 통과 필터(107)는, 전압 전환부(107)로부터 출력된 낮은 주파수의 출력 전력을 출력 단자(31, 32)에 출력함과 함께, 리더 라이터(109)로부터 출력된, 출력 전력보다 주파수가 높은 고주파 신호가 전압 전환부(106)에 입력되어, 전압 전환부(106)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저역 통과 필터(107-1)는, 한쪽 전력선에 삽입된 코일(131-11), 다른 쪽의 전력선에 삽입된 코일(132-11) 및 한 쌍의 전력선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133-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저역 통과 필터(107-2)는, 한쪽 전력선에 삽입된 코일(131-21), 다른 쪽의 전력선에 삽입된 코일(132-21) 및 한 쌍의 전력선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133-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역 통과 필터(107)의 구성은 그 이외의 구성이라도 된다.
출력 단자(31-1, 32-1)는, 고역 통과 필터(108-1)를 통해 리더 라이터(109)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출력 단자(31-11, 32-11)는, 고역 통과 필터(108-2)를 통해 리더 라이터(109)에 접속되어 있다. 고역 통과 필터(108)는, 리더 라이터(109)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를 출력 단자(31, 32)에 출력함과 함께, 전압 전환부(106)로부터 출력된 낮은 주파수의 출력 전압이 리더 라이터(109)에 입력되어, 리더 라이터(109)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고역 통과 필터(108-1)는, 리더 라이터(109)와 한쪽 전력선의 사이에 삽입된 콘덴서(151-11)와, 리더 라이터(109)와 다른 쪽의 전력선의 사이에 삽입된 콘덴서(152-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역 통과 필터(108-2)는, 리더 라이터(109)와 한쪽 전력선의 사이에 삽입된 콘덴서(151-21)와, 리더 라이터(109)와 다른 쪽의 전력선의 사이에 삽입된 콘덴서(152-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론, 고역 통과 필터(108)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더 라이터(109)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와 통신한다. 컨트롤러(110)는 리더 라이터(109)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113)에는 컨트롤러(110)에 의해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통신부(111)는 안테나(112)를 통해 무선으로 홈 서버(15)와 통신한다. 리더 라이터(109)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전환 스위치를 갖고, 시계열에 따라 고역 통과 필터(108-1과 108-2)에 대한 접속을 교대로 행하여, 어느 타이밍에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정보를 판독했는지에 따라, 출력 단자(31-1, 32-1) 또는 출력 단자(31-11, 32-11)의 어느 쪽에 전력 플러그 어댑터(13)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시계열에 따라 접속을 전환하는 것 이외의 방법으로, 출력 단자(31-1, 32-1) 또는 출력 단자(31-11, 32-11)의 어느 쪽에 전력 플러그 어댑터(13)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전압 전환부]
도 3은, 전압 전환부(106)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압 전환부(106)는, 스위치(203), 전압 변환부(204-1 내지 204-4) 및 출력부(205)를 갖고 있다. 스위치(203)의 단자(231, 232)에는, 단자(201, 202)를 통해, 전력 계측부(105)로부터의 교류 전력이 입력된다. 단자(231)는 접점(241-1 내지 241-4)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단자(232)는 접점(242-1 내지 242-4)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된다. 단자(231, 232)의 전환은, 컨트롤러(110)에 의해 동시에 행해진다. 이 전환에 의해, 전압 변환부(204-1 내지 204-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교류 전력이 입력된다.
전압 변환부(204-1)는, 입력된 교류 전력(또는 직류 전력이어도 된다. 이하 마찬가지임)을 100V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압 변환부(204-2)는, 입력된 교류 전력을, 200V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압 변환부(204-3)는, 입력된 교류 전력을, 12V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압 변환부(204-4)는, 입력된 교류 전력을, 5V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변환하는 전압과 그 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부(205)는, 전압 변환부(204-1 내지 204-4)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력 또는 직류 전력을, 출력 단자(206, 207)로부터 저역 통과 필터(107)에 출력 전력으로서 출력한다. 전압의 전환은, 컨트롤러(110)에 의해 제어된다.
[리더 라이터(109)의 구성]
도 4는 리더 라이터(109)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통신부로서의 리더 라이터(109)는 구동부(281)와 코일(282)을 갖고 있다. 구동부(281)는, 생성부(291), 변조부(292), 송신부(293), 복조부(294) 및 수신부(295)의 기능 블록을 갖고 있다.
생성부(291)는 커맨드를 생성한다. 변조부(292)는 반송파를 커맨드로 변조하고, 고주파 신호로서 출력한다. 반송파로는, 예를 들어 주파수가 13.56MHz인 고주파 신호(RF 신호라고도 함)가 사용된다. 고주파 신호로는, 13.56MHz 외에, 130kHz 내지 135kHz, 433MHz, 900MHz대, 2.45GHz 등, 임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신부(293)는 고주파 신호, 그 밖의 신호를 출력한다.
복조부(294)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의 부하 변조에 의한 고주파 신호의 반사파를 복조한다. 수신부(295)는 각종 신호를 수신한다.
리더 라이터(109)의 코일(282)은 본래,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IC 칩(325)의 코일(481)과 전자 결합하여, 리더 라이터(109)와 IC 칩(325)의 사이에서 고주파 신호를 수수하기 위한 것이다. 즉, 리더 라이터(109)는, IC 칩(325)의 규격에 대응하여 정보를 기입하고, 판독하기 위해 준비된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선을 통해 고주파 신호가 수수되므로, 코일(282)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에 의해, 코일(282)이 주위에 불필요한 전자파를 방사해버리거나, 노이즈를 받아 오동작해 버릴 우려가 적어진다.
[컨트롤러의 구성]
도 5는, 컨트롤러(110)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MPU(Micro Processor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부로서의 컨트롤러(110)는, 송신부(301), 수신부(302), 판정부(303) 및 처리부(304)의 기능 블록을 갖고 있다.
송신부(301)는, 리더 라이터(109)에 커맨드를 송신한다. 수신부(302)는 리더 라이터(109)가 송신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판정부(303)는 각종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처리부(304)는 리더 라이터(109)를 통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전력 플러그 어댑터]
도 6은,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는, 입력 단자(41, 42), 저역 통과 필터(322, 323), 트랜스포머(324), IC 칩(325), 출력 단자(51, 52)를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단자(41, 42)를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와 일체적으로, 그 선단이 돌출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러나, 입력 단자(41, 42)를 전력선 플러그(321)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전력선 플러그(321)를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와 긴 전력선(326, 327)으로 접속하여, 전력선 플러그(321)를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전력 게이트웨이(12)의 출력 단자(31, 32)에 접속되는 입력 단자(41, 42)로부터 공급된 전력 게이트웨이(12)로부터의 출력 전력은, 저역 통과 필터(322)를 통해 출력 단자(51, 52)로부터 출력된다. 즉,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는, 전력 게이트웨이(12)로부터의 출력 전력을 기기(14)에 중계하여 출력한다. 입력 단자(41, 42)에는, 전력선(326, 327)을 통해 고역 통과 필터(323)가 접속되고, 고역 통과 필터(323)에는 또한, 트랜스포머(324)의 한쪽의 코일(391)이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포머(324)의 다른 쪽의 코일(392)에는 IC 칩(325)이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저역 통과 필터(322)는, 한쪽 전력선(326)에 삽입된 코일(361), 다른 쪽의 전력선(327)에 삽입된 코일(362) 및 한 쌍의 전력선(326, 327)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3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저역 통과 필터(322)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고역 통과 필터(323)는, 한쪽 전력선(326)에 접속된 콘덴서(371)와, 다른 쪽의 전력선(327)에 접속된 콘덴서(3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물론, 고역 통과 필터(323)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역 통과 필터(322)는, 입력 단자(41, 42)로부터 입력된 낮은 주파수의 출력 전력을 출력 단자(51, 52)에 출력함과 함께, 입력 단자(41, 42)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출력 단자(51, 52)에 입력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 기억 소자를 내장한 기기(14)를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접속하여,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를 중계해서 전력 게이트웨이(12)가 기기(14)의 기억 소자의 정보를 판독 기입할 경우에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 내를 고주파 신호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서, 저역 통과 필터(322)는 설치하지 않는다.
고역 통과 필터(323)는, 입력 단자(41, 42)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트랜스포머(324)를 통해 IC 칩(325)에 공급함과 함께, 입력 단자(41, 42)로부터 입력된 낮은 주파수의 출력 전력이 트랜스포머(324)를 통해 IC 칩(325)에 입력하는 것을 방지한다.
[IC 칩(325)]
도 7은, IC 칩(325)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IC 칩(325)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스포머(324)는 전압 발생부(401)를 구성하고 있다.
즉, 코일(391)에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의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면, 전자 결합하고 있는 코일(392)에 전압이 유기되어, 전압 공급 점(483, 484)에 공급된다. 즉,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전압 발생부(401)(공진부(471)를 생략하지 않을 경우, 공진부(471)와 전압 발생부(401) 양쪽)에 의해 전압이 발생되므로, 확실하게 전압을 발생할 수 있다.
기억 소자로서의 IC 칩(325)은, 각종 규격에 기초하는 IC 칩, 태그 등의 전자 태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ifare, FeliCa,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두 상표) 등의 규격은 물론, 이들 규격에 기초하지 않는 독자적인 구성의 전자 태그를 준비할 수도 있다. 기억 소자는, 고주파 신호에 의해, 적어도 내부에 기억하는 정보를 판독해서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공급된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브 타입과 액티브 타입 중 어느 것이든 좋다.
도 7의 IC 칩(325)은, 공진부(471), 검파부(472), 부하 변조부(473), 전압 레귤레이터(474), 전원부(475), 데이터 수신부(476), 클록 생성부(477) 및 신호 처리부(47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공진부(471)는,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인덕턴스가 L11인 코일(481)과, 용량이 C11인 콘덴서(482)의 병렬 공진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일(481)과 콘덴서(482)의 한쪽의 접속점은, 플러스의 전압 공급점(483)이며, 다른 쪽의 접속점은 마이너스의 전압 공급점(484)이다. 인덕턴스(L11)와 용량(C11)의 값은, 공진 주파수가 13.56MHz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코일(481)을 갖는 공진부(471)는, 본래, 도 4에 도시되는 리더 라이터(109)의 안테나로서 기능하는 코일(282)로부터의 주파수가 13.56MHz인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유도에 의해 교류의 유기 전압을 발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단,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주파수가 13.56MHz인 고주파 신호는, 리더 라이터(109)의 코일(282)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전력선(326, 327), 고역 통과 필터(323), 트랜스포머(324)를 통해 전력 게이트웨이(12)로부터 공급된다. 따라서, 공진부(471), 적어도 그 코일(481)은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근의 금속의 영향 등에 의한 오동작이 억제된다. 이 경우 고주파 신호는, 검파부(72)에 직접 입력된다. 공진부(471)를 생략하지 않을 경우에는, 공진부(471)는 주파수가 13.56MHz인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면 이것에 공진하여, 전압 공급점(483, 484)으로부터 전압을 발생한다.
검파부(472)는,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다이오드(49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이오드(491)는, 그 애노드가 플러스의 전압 공급점(483)에 접속되고, 그 캐소드가, 부하 변조부(473)의 저항(411)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491)는, 전압 공급점(483, 484)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직류의 전압으로 정류하고, 리더 라이터(109)로부터 송신되어 온 고주파 신호(반송파)가 포함하는 신호를 복조한다. 저항(411)과 함께 부하 변조부(473)를 구성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412)의 일단부는 저항(411)의 타단부와 접속되고, FET(412)의 타단부는 접지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로서의 FET(412)는, p 채널이나 n채널이어도 된다. 또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항(411)은 다른 임피던스 소자로 해도 된다.
전압 레귤레이터(474)는, 다이오드(491)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 정전압화하여, 전원부(475)에 공급한다. 전원부(475)는, IC 칩(325)을 구동하는 전압을 발생하여, 데이터 수신부(476), 클록 생성부(477), 신호 처리부(478) 등에 공급한다.
데이터 수신부(476)는, 다이오드(491)로부터 출력된 반파 정류 전압으로부터 저주파 성분을 추출(진폭 복조)하여 증폭하고, 고레벨과 저레벨의 2치화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처리부(478)에 공급한다. 클록 생성부(477)는, 공진부(471)의 전압 공급점(483)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 신호로부터 직사각형의 클록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처리부(478)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478)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 신호를 판독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478)는, 내장하는 기억부(431)에 기억되어 있는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고레벨과 저레벨의 2치화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FET(412)의 게이트에 출력한다. FET(412)는 응답 신호에 의해 온 또는 오프로 된다. 이에 의해 전압 공급점(483, 484)에서 본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부하 변조가 행해진다. 또한, 전력 정보에는, 적어도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양 정보, 이력 정보, 과금 정보, 유저 정보 등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각 유저는 1개씩 자기 자신 전용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를 소지한다. 따라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IC 칩(325)에 기억되어 있는 전력 정보는, 각 유저에 고유한 정보이다.
[전압 발생부(401)(1)]
도 8은, 다른 전압 발생부(501)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전압 발생부(401)는, 인덕턴스가 L21인 코일(50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일(501)은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전압을 발생하여, 전압 공급점(483, 484)에 공급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7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그 설명은 반복되므로 생략한다. 즉, 이 실시 형태의 경우에도, 전압 발생부(401)(공진부(471)를 생략하지 않을 경우, 공진부(471)와 전압 발생부(401) 양쪽)에 의해 전압이 발생되므로, 확실하게 전압을 발생할 수 있다.
[전압 발생부(401)(2)]
도 9는, 또 다른 전압 발생부(401)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압 발생부(401)가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압 공급점(483, 484)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가 검파부(472)에 직접 입력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7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그 설명은 반복되므로 생략한다.
[홈 서버(15)]
도 10은, 홈 서버(15)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홈 서버(15)는, 관리부(501)와, 안테나(503)를 갖는 통신부(50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관리부(501)는, 전력 정보를 기억하고 관리한다. 통신부(502)는, 안테나(503)를 통해 전력 게이트웨이(12)의 통신부(111)와 통신한다.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의 인증 처리]
도 11은, 전력 게이트웨이(12)의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12는 그에 대응하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어서, 도 1의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1)에서 행해지는 인증 처리에 대해서, 이 도 11과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인증 처리는,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전력 플러그 어댑터(13)가 장착되었을 때, 또는 유저가 처리의 개시를 명령했을 때 실행된다.
도 11의 스텝 S11에서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의해, ID 판독의 커맨드를 생성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IC 칩(325)이 갖는 신호 처리부(478)의 기억부(431)에는, 자신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로서의 ID(Identifier)가 기억되어 있다. 전력 게이트웨이(12)의 컨트롤러(110)의 송신부(301)는, 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리더 라이터(109)에 송신한다.
스텝 S12에서 리더 라이터(109)는, 컨트롤러(11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응하고, 고주파 신호로서의 고주파 신호를 변조한다. 즉, 리더 라이터(109)의 수신부(295)는, 컨트롤러(110)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신한다. 생성부(291)는, 컨트롤러(11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응하는 IC 칩(325)에 대한 커맨드를 생성한다. 변조부(292)는, 고주파 신호로서의 13.56MHz의 주파수의 반송파를, 생성된 커맨드에 대응하여 진폭 변조한다. 또는 ASK 변조 또는 FSK 변조이어도 된다. 스텝 S13에서 송신부(293)는, 고주파 신호를 출력한다.
리더 라이터(109)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는, 고역 통과 필터(108)를 통과하여 전력선에 전달되고, 출력 단자(31)로부터 출력된다. 이때, 저역 통과 필터(107)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므로, 고주파 신호는 전압 전환부(106)에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공급부(103)로부터의 주파수가 낮은 교류 전력으로 작동하는 전압 전환부(106)가 고장나는 것이 방지된다. 저역 통과 필터(107)는 또한, 고주파 노이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전력선에 전압 전환부(106)로부터 출력된 낮은 주파수의 교류 전류가 흐르고 있을 경우에는, 고주파 신호가 교류 전류에 중첩된다.
전력 게이트웨이(12)의 출력 단자(31)로부터 출력된 고주파 신호는, 출력 단자(31)에 접속되어 있는 입력 단자(41)로부터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입력되어, 전력선(326, 327)에 전달된다. 또한 이 고주파 신호는 고역 통과 필터(323)를 통해 트랜스포머(324)에 입력된다. 트랜스포머(324)는,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IC 칩(325)에 입력한다.
도 12의 스텝 S41에서 IC 칩(325)은 고주파 신호를 수신한다. 즉, 전압 공급점(483, 484)에는, 전압 발생부(401)에서 발생된 유기 전압이 공급된다. 공진부(471)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고주파 신호의 반송파의 주파수는 공진부(471)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므로, 공진부(471)는 고주파 신호에 공진하고, 전압 공급점(483, 484)에는 공진 전압이 유기된다.
스텝 S42에서 다이오드(491)는 입력된 고주파 전압을 검파한다. 즉, 교류의 고주파 전압은 정류되어, 직류(보다 정확하게는 맥류)의 전압이 생성된다. 스텝 S43에서 전압 레귤레이터(474)는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여 정전압화한다. 스텝 S44에서 전원부(475)는, 정전압화된 전압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생성한다. 생성된 구동 전압은, 데이터 수신부(476), 클록 생성부(477), 신호 처리부(478) 등에 공급된다.
스텝 S45에서 클록 생성부(477)는, 입력된 고주파 전압으로부터 직사각형의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클록 신호는 신호 처리부(478)에 공급된다. 스텝 S46에서 데이터 수신부(476)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다이오드(491)에 의해 정류된 신호로부터, 고주파 전압(즉 반송파)에 포함되는 신호 성분(즉 진폭 성분)이 추출되어, 증폭된다. 이에 의해 고레벨과 저레벨의 2치화된 데이터 신호가 생성되어, 신호 처리부(478)에 공급된다.
스텝 S47에서 신호 처리부(478)는 커맨드를 실행한다. 즉, 신호 처리부(478)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 신호로부터 커맨드를 판독하고, 판독한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지금의 경우, 기억부(431)에 기억되어 있는 ID가 판독되어, 응답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 응답 데이터도 2치화되어 있다.
스텝 S48에서 신호 처리부(478)는, 응답 데이터에 대응하여 부하 변조를 행한다. 즉, 스텝 S47의 처리에서 생성된 응답 데이터에 대응하여 FET(412)가 온 또는 오프로 된다. FET(412)가 온으로 된 상태와, 오프로 된 상태에서는, 전압 공급점(483, 484)에서 본 임피던스가 상이하다. 이 임피던스의 변화가, 고주파 신호의 반사파에 반영되어, 트랜스포머(324), 고역 통과 필터(323), 전력선(326, 327), 입력 단자(41, 42)를 통해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전달된다.
출력 단자(31)로부터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입력된 반사파는, 고역 통과 필터(108)를 통해 리더 라이터(109)에 입력된다. 도 11의 스텝 S14에서 리더 라이터(109)의 수신부(295)는, 고주파 신호의 부하 변조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파의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조부(294)는,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복조한다. 이에 의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ID가 판독되게 된다. 송신부(293)는, 수신, 복조한 ID를 컨트롤러(110)에 송신한다. 컨트롤러(110)의 수신부(302)는, 리더 라이터(109)로부터의 ID를 수신한다.
스텝 S15에서 컨트롤러(110)의 판정부(303)는, 판독된 ID가 등록된 ID인지를 판정한다. 즉,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는 소정의 ID가 미리 할당되어 있고, 판정부(303)는 이 할당한 ID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판독된 ID가 등록되어 있는 ID와 일치하는지가 판정된다.
판독된 ID가 등록되어 있는 ID와 일치하는 경우, 즉 전력 플러그 어댑터(13)가 인증되었을 때, 스텝 S16에서 처리부(304)는, 정규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로서의 처리를 행한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처리부(304)는, ID를 판독한 출력 단자(31)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전력선의 스위치(104)를 온으로 한다. 또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IC 칩(325)에 전력 정보로서 사양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이 사양 정보를 판독시킨다. 처리부(304)는, 이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허용되어 있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이 출력되도록, 전압 전환부(106)의 스위치(203)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가 100V의 교류 전압의 출력을 허용하고 있을 경우, 전압 전환부(106)의 전압 변환부(204-1)가 선택되도록, 스위치(203)가 전환된다. 또한, 사양 정보는, 기기(14)의 기억 소자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예를 들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출력 단자(51, 52)에 기기(14)로서 조명용의 전기 스탠드가 접속되었을 경우, 거기에 100V의 교류 전력이 공급되므로, 유저는 그 전기 스탠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있어서, 전력 공급부(103)가 외부 전원(11)으로부터 입력한 교류 전력을 스위치(104), 전력 계측부(105), 전압 전환부(106)에 공급한다. 전압 전환부(106)의 전압 변환부(204-1)에 의해 생성된 100V의 출력 전력은, 저역 통과 필터(107)를 통해 출력 단자(31)로부터 출력된다.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서는, 입력 단자(41, 42)로부터 입력된 출력 전력이, 전력선(326, 327), 저역 통과 필터(322)를 통해 출력 단자(51)에 중계된다. 출력 단자(51, 52)에는 전기 스탠드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전기 스탠드에 출력 전력이 공급된다.
유저가 전기 스탠드를 사용한 경우, 거기에서 전력이 소비된다. 전기 스탠드가 접속되어 있는 전력선의 전력 계측부(105)는, 그 소비 전력을 계측하고, 계측 결과를 컨트롤러(110)에 송신한다. 컨트롤러(110)의 수신부(302)가 이 계측 결과를 수신하면, 이 계측 결과를 일시 정보에 대응시켜서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이 이력 정보는 IC 칩(325)에 송신되어, 기억부(431)에 전력 정보로서 기억된다. 이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가 실행된다. 과금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반해, 스텝 S15에서, 판독된 ID가 등록되어 있는 ID와 일치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 S17에서 처리부(304)는, 부정한 전력 플러그 어댑터로서의 처리를 행한다.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접속된 것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 이외의 전자 기기일 경우, 접속된 것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이어도, 과금 처리에 필요한 과금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지급이 일정 기간 이상 지연되어 있는 유저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인 경우에도, 부정한 전력 플러그 어댑터로서의 처리가 행해진다.
부정한 전력 플러그 어댑터로서의 처리로서, 예를 들어 처리부(304)는, 스위치(104)를 오프로 하여,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금지한다. 또한 처리부(304)는, 디스플레이(113)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시킨다. 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접속된 것은 전력 플러그 어댑터가 아닙니다. 전력 플러그 어댑터로 교환해 주십시오.", "과금 처리에 필요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로 할 수 있다. 유저는, 이 메시지에 따라서, 접속하는 기기를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 교환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과금에 필요한 정보를 유저가 소지하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기억시킨다.
도 13은, 인증에 기초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유저는, 기기(14)를 사용하고자 할 때,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자신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를 접속한다. 그리고 유저는, 또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사용하는 기기(14)를 접속한다. 도 13에서는, 기기(14)로서 전기 스탠드(14-11)가 접속되어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의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가 인증되었을 경우, 도 11의 스텝 S16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전력 게이트웨이(12)로부터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유저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전기 스탠드(14-11)를 접속하고,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 전기 스탠드(14-11)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한 전력량에 따라, 그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유저에 대하여 전력 요금의 과금 처리가 행해진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의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 도 11의 스텝 S17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이 경우에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전기 스탠드(14-11)를 접속해도,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는 출력 전력을 중계,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는, 전기 스탠드(14-11)를 사용할 수 없다. 이에 의해, 부정한 전력의 이용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예를 들어 동일한 생활 공간을 공유하는 복수의 유저는, 각각 전용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를 소지하여, 자신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를 통해 기기(14)를 사용한다. 그 결과, 그 생활 공간에서 소비된 전력량을, 유저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력 정보의 기억]
유저는 자기 자신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자기 자신의 전력 정보를 기억시킨다. 도 14는, 전력 정보를 기억할 경우의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전력 정보 기억 시스템(501)은, 퍼스널 컴퓨터(511)와 리더 라이터 기기(5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리더 라이터 기기(512)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513)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511)에 접속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511)는, 본체(551), 키보드(552) 및 디스플레이(5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저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전력 정보를 기억시킬 경우, 그 플러그를 구성하는 입력 단자(41, 42)를, 리더 라이터 기기(512)의 콘센트를 구성하는 단자(521, 522)에 접속한다.
[리더 라이터 기기]
도 15는, 리더 라이터 기기(512)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리더 라이터 기기(512)는, 내부에 리더 라이터(633) 외에, 고역 통과 필터(631) 및 트랜스포머(632)를 갖고 있다. 트랜스포머(632)는, 그 한쪽의 코일(661)이 리더 라이터(633)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코일(662)이 고역 통과 필터(631)를 구성하는 콘덴서(651, 652)를 통해 단자(521, 5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더 라이터(633)는, USB 커넥터(634)에 의해 리더 라이터 기기(512)가 접속된다. 또한, 도 15의 구성의 경우, 리더 라이터(633)에 AC 100V가 걸리는 일은 없기 때문에, 고역 통과 필터(631)는 생략할 수 있다.
리더 라이터(633)의 기능적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리더 라이터(109)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도 4를 리더 라이터(633)의 기능적 구성으로서도 적절히 인용한다.
[퍼스널 컴퓨터의 기능적 구성]
도 16은, 퍼스널 컴퓨터(511)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퍼스널 컴퓨터(511)는, 송신부(751), 수신부(752), 판정부(753), 접수부(754) 및 표시부(755)를 갖고 있다.
송신부(751)는 각종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752)는 각종 신호를 수신한다. 판정부(753)는 각종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접수부(754)는, 키보드(552), 도시하지 않은 마우스 등으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부(755)는, 디스플레이(553)에 각종 정보를 표시시킨다.
[기억 처리]
도 17은, 퍼스널 컴퓨터(511)의 기억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18은, 리더 라이터 기기(512)의 기억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이들 도를 참조하여, 전력 정보 기억 시스템(501)의 기억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처리는, 유저에 의해 처리의 개시가 지시되었을 때, 또는 리더 라이터 기기(512)를 퍼스널 컴퓨터(511)의 본체(551)에 접속했을 때 개시된다.
도 17의 스텝 S101에서 퍼스널 컴퓨터(511)의 송신부(751)는, 리더 라이터 기기(512)에 대하여 ID를 판독하는 명령을 송신한다. 이 명령은, USB 케이블(513)을 통해 리더 라이터 기기(512)에 송신된다.
도 18의 스텝 S131에서 리더 라이터 기기(512)의 리더 라이터(633)에서는, 수신부(295)가 ID의 판독 명령을 수신한다. 스텝 S132에서 ID를 판독하고,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의 처리는,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즉, 생성부(291)에 의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수용되어 있는 IC 칩(325)으로부터 ID를 판독하는 커맨드가 생성되고, 그 고주파 신호에 의한 커맨드가 송신부(293)에 의해 송신된다. 이 커맨드는, 트랜스포머(632), 고역 통과 필터(631), 단자(521, 522)로부터,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입력된다.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서는, 그 커맨드가 입력 단자(41, 42)로부터 전력선(326, 327), 고역 통과 필터(323), 트랜스포머(324)를 통해 IC 칩(325)에 입력된다.
IC 칩(325) 내에서, 신호 처리부(478)는 입력된 커맨드를 실행한다. 즉, 기억부(431)에 기억되어 있는 ID가 판독되고, 부하 변조를 행함으로써 송신된다.
이 판독 신호는, 트랜스포머(324), 고역 통과 필터(323), 전력선(326, 327), 입력 단자(41, 42)를 통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 출력된다.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단자(521, 522)로부터 리더 라이터 기기(512)에 입력된다. 이 신호는 고역 통과 필터(631), 트랜스포머(632)를 통해 리더 라이터(633)에 입력된다. 리더 라이터(633)의 수신부(295)가 이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부(293)가 이 신호를 퍼스널 컴퓨터(511)에 출력한다.
퍼스널 컴퓨터(511)의 수신부(752)는 USB 케이블(513)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한다. 즉, 이에 의해, 도 17의 스텝 S102에서 ID를 수신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03에서 판정부(753)는 ID를 인증한다. 그리고, 판정부(753)는, ID가 인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전력 플러그 어댑터(13)가, 이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1)에서 사용 가능한 적절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ID가 인증되었을 경우, 즉, 리더 라이터 기기(51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적정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일 경우, 스텝 S104에서 접수부(754)는 신용 카드 번호를 접수한다. 즉, 유저는, 자신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를 통해 소비한 전력을 신용 카드로 지불하는 경우, 키보드(552)를 조작하여, 자신의 신용 카드 번호를 입력한다. 접수부(754)는, 입력된 신용 카드 번호를 접수한다. 또는, 유저는 유저명, 연락처 등의 유저 정보를 입력하여,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유저 등록을 행해도 된다. 즉,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소속을 명확히 하고, 누가 얼마만큼 전력을 사용하였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상대에게 적절한 금액의 전기 요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는, 신용 카드 번호나 유저명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정보에 의해 유저 등록을 행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신용 카드 번호에 의해 유저 등록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스텝 S105에서 송신부(751)는, 신용 카드 번호를 송신한다. 즉, 입력된 신용 카드 번호가, USB 케이블(513)을 통해 리더 라이터 기기(512)의 리더 라이터(633)에 입력된다.
스텝 S103에서 ID가 인증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표시부(755)는 에러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553)에, 예를 들어 "이 전력 어댑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등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도 18의 스텝 S133에서 리더 라이터(633)의 수신부(295)는, 퍼스널 컴퓨터(511)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용 카드 번호를 수신한다. 스텝 S134에서 신용 카드 번호를 기억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리더 라이터(633)의 생성부(291)는, 수신된 신용 카드 번호를 IC 칩(325)에 기억시키는 커맨드를 생성한다. 송신부(293)는, 변조부(292)에서 변조된 커맨드를 신용 카드 번호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고주파 신호에 의한 커맨드는,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IC 칩(325)에 입력된다. IC 칩(325)의 신호 처리부(478)는, 이 신용 카드 번호의 기억의 커맨드를 수신하면, 기억부(431)에 신용 카드 번호를 기억시킨다. 또한, 신용 카드 번호는, 과금 정보로서 기능하지만, 식별 정보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유저 정보도 과금 정보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저는, 자신 전용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과금 정보로서의 신용 카드 번호를 기억시킨다. 또한,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는 프리페이드(prepaid)의 전자 화폐 정보 등의 과금 정보 외에, 그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의해 공급하는 전압 등의 사양 정보, 자기를 식별하는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 등도, 유저에 의해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ID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는 유저에 의해 기억시킬 수도 있지만,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제조업체가 미리 기억시켜 둘 수도 있다.
[과금 처리]
과금 처리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있어서, 컨트롤러(110)의 처리부(304)는, IC 칩(325)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의 소비 전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신용 카드 번호와 함께 판독시킨다. 송신부(301)는, 판독된 이력 정보와 신용 카드 번호를 통신부(111)에 출력한다. 통신부(111)는, 안테나(112)를 통해 이력 정보와 신용 카드 번호를 홈 서버(15)에 송신한다. 홈 서버(15)의 통신부(502)는, 안테나(503)를 통해 전력 게이트웨이(12)의 통신부(111)로부터의 이력 정보와 신용 카드 번호를 수신한다.
홈 서버(15)의 관리부(501)는, 전력 게이트웨이(12)로부터 수신한 이력 정보와 신용 카드 번호에 대응하여 과금 처리를 행한다. 즉, 관리부(501)는, 도시하지 않은 인터넷, IP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접속된 과금 서버와 통신을 행하여, 과거의 소비 전력량만큼의 사용 요금의 유저의 은행 계좌로부터의 인출을 요구한다. 신용 회사의 서버는 이 요구에 따라서 인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 과금 처리는, 그때 그때마다 행해도 되고, 전회의 과금 처리로부터 일정한 일수(예를 들어 1주일 또는 1개월)가 경과한 후, 처음으로 사용을 개시할 때에, 통합해서 행해도 된다. 또한, 신용 카드 번호는, 과금 처리 때마다 유저에게 입력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유저의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기억되어 있는 이력 정보를, 예를 들어 주 또는 월 1회로 집계하여, 그 집계 결과에 기초해서 대표자가 각 개인에게 수금하여, 통합해서 전력 사용 요금을 지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과금 정보로서, 프리페이드의 전자 화폐 정보가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10)는 소비 전력량만큼의 금액을, 기억되어 있는 프리페이드의 전자 화폐로부터 판독하여, 감액하는 갱신 처리를 그때 그때마다 행한다. 즉, 유저가 전기 스탠드의 조명을 끄는 등, 전력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종료할 때마다 행해진다. 이에 의해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에는, 현재의 금액이 잔존한다.
지급이 일정 기간 이상 지체되어 있을 경우, 전력 회사는 홈 서버(15)에 사용 금지의 커맨드를 송신한다. 홈 서버(15)는, 이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그 유저의 ID를 전력 게이트웨이(12)에 송신한다. 컨트롤러(110)의 판정부(303)는 이 ID를 기억하고, 상술한 도 11의 스텝 S15의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다.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변형예]
도 19는,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고역 통과 필터(323)와 IC 칩(325) 이외에, 자기 헤드(801)를 갖고 있다. 자기 헤드(801)는, 코어(811)와, 코어(811)에 감겨있는 코일(812)을 갖고 있다. 코일(812)의 양단은, 각각 고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는 콘덴서(371, 372)를 통해 IC 칩(325)에 접속되어 있다.
코어(811)는, 거의 원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시, 전력선(81, 82) 중 한쪽이, 원환 내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도 19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선(81)이 원환 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력선(81)에 고주파 신호가 흐를 때, 코어(801)에 유기 전압이 발생하고, 그것이 코일(812)에 의해 검출되어 IC 칩(325)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력 플러그 어댑터(13)와 전력 게이트웨이(12)의 사이에서 전력선(81, 82)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12 : 전력 게이트웨이
13 : 전력 플러그 어댑터 14 : 전자 기기
15 : 홈 서버 325 : IC 칩

Claims (19)

  1. 전력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력을, 접속된,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기억 소자
    를 구비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소자는, 전자 태그인, 전력 중계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를 상기 기억 소자에 입력시킴과 함께,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력이 상기 기억 소자에 입력되는 것을 저지하는 필터를 더 구비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출력 단자에 공급함과 함께,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가 상기 출력 단자에 공급되는 것을 저지하는 필터를 더 구비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소자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주파 신호에 의해 발생한 전압을 상기 기억 소자에 공급하는 전압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부는, 코일 또는 트랜스포머에 의해 구성되는, 전력 중계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정보는, 식별 정보와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정보는, 사양 정보 또는 과금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
  9.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와, 기억 소자를 구비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중계 방법이며,
    상기 입력 단자는, 전력을 입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력을, 접속된,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고,
    상기 기억 소자는,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전력 중계 방법.
  10.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다시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력의 계측된 결과를 이력 정보로서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기억시키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금 처리를 위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력 정보를 판독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금 처리를 위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로부터 또한 과금 정보를 판독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금 정보로서, 신용 카드 번호 또는 전자 화폐 정보 또는 유저 정보를 판독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력을, 접속된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 또는 상기 기기에 구비된 기억 소자에 기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전압의 상기 출력 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전압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환부는, 상기 출력 전력으로서, 접속된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 또는 상기 기기에 구비된 기억 소자에 기록된 사양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전압의 교류 전력 및 직류 전력의 한쪽을 전환해서 출력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7. 출력 단자와,
    스위치와,
    통신부와,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출력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다시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18.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공급하는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와,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는,
    상기 출력 전력이 입력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접속되어 있는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출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상기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기억 소자
    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19. 전력으로 작동하는 기기에 공급하는 출력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와,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전력 중계 단말기
    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의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서는,
    출력 단자가,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하고,
    스위치가,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할 때 및 차단할 때 스위칭하고,
    통신부가,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와, 상기 출력 단자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전력 정보를 판독하고,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전력 정보에 의해,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다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는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출력 전력을 출력시킴과 함께,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 공급한 상기 출력 전력을 계측하고,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인 것을 인증하지 못했을 때,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력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시키고,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에서는,
    입력 단자가, 상기 출력 전력을 입력하고,
    상기 전력 중계 단말기의 출력 단자가,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출력 전력을, 접속된 상기 기기에 중계하여 출력하고,
    기억 소자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인증을 받아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출력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고주파 신호를 부하 변조함으로써, 기억하고 있는 상기 전력 정보를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KR1020137012259A 2010-11-22 2011-11-14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KR201301328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9735A JP5900944B2 (ja) 2010-11-22 2010-11-22 電力中継端末、電力中継方法、電力供給制御装置、電力供給制御方法、および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
JPJP-P-2010-259735 2010-11-22
PCT/JP2011/076174 WO2012070417A1 (ja) 2010-11-22 2011-11-14 電力中継装置、電力中継方法、電力供給制御装置、電力供給制御方法、および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804A true KR20130132804A (ko) 2013-12-05

Family

ID=4614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259A KR20130132804A (ko) 2010-11-22 2011-11-14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35504A1 (ko)
EP (1) EP2645531A4 (ko)
JP (1) JP5900944B2 (ko)
KR (1) KR20130132804A (ko)
CN (2) CN202475038U (ko)
TW (1) TW201230584A (ko)
WO (1) WO2012070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0944B2 (ja) * 2010-11-22 2016-04-06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中継端末、電力中継方法、電力供給制御装置、電力供給制御方法、および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
DE102012211916A1 (de) * 2012-07-09 2014-01-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Daten über einen elektrischen Leiter eines Stromnetzes
EP2980950A4 (en) * 2013-03-28 2016-12-28 Chugoku Electric Power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US20160049787A1 (en) * 2014-08-18 2016-02-18 Jogtek Corp. Power socket apparatus with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
CN106560979B (zh) * 2015-10-02 2021-03-3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无线电力传输系统
CN112994040B (zh) * 2021-02-26 2022-06-1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韶关供电局 一种变压器电压调节方法及变压器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405B1 (en) * 1992-10-22 2001-08-28 Norweb Plc Hybrid electricity and telecommunications distribution network
JP3649374B2 (ja) * 1998-11-30 2005-05-18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カード状記憶媒体
JP3820943B2 (ja) * 2001-09-05 2006-09-1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アダプタ、電子機器の管理装置及び該電子機器に給電を行うコンセント
US7049939B2 (en) * 2002-07-31 2006-05-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wer line carrier system
US7594114B2 (en) * 2002-09-16 2009-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niversal appliance communication controller
JP2004112664A (ja) * 2002-09-20 2004-04-08 Renesas Technology Corp ハウスコード設定装置
GB2416097B (en) * 2004-07-05 2007-10-31 Schlumberger Holdings A data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ly for downhole applications
JP2006094655A (ja) * 2004-09-24 2006-04-06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機
WO2006064872A1 (ja) * 2004-12-17 2006-06-22 Ibm Japan, Ltd. 通信中継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80384A (ja) * 2004-12-24 2006-07-06 Toshiba Corp 通信ユニット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2006244818A (ja) * 2005-03-02 2006-09-14 Brother Ind Ltd 電源プラグ、電源コンセント、タグ管理装置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4849972B2 (ja) * 2005-09-15 2012-0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画像取得装置、動画取得装置、及びその設定方法
JP4708145B2 (ja) * 2005-10-05 2011-06-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線通信装置
US7554320B2 (en) * 2005-10-28 2009-06-30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broadband internet access
US20080279199A1 (en) * 2005-11-29 2008-11-13 Dong Young Park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in the System
TWI289386B (en) * 2005-12-30 2007-11-01 Ind Tech Res Inst AC/D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FI118865B (fi) * 2006-05-19 2008-04-15 Valtion Teknillinen Menetelmä ja laitteisto kiinteistön valvontaa varten
JP4859636B2 (ja) * 2006-11-20 2012-01-25 中国電力株式会社 電力使用量管理システム、電力使用量管理方法
JP5274769B2 (ja) * 2006-12-25 2013-08-28 株式会社東芝 機器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
US20080177678A1 (en) * 2007-01-24 2008-07-24 Paul Di Martini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a utility and its customer locations
JP2008219073A (ja) * 2007-02-28 2008-09-18 Nec Corp 電力通信信号を通すための電源アダプタ
JP5164245B2 (ja) * 2007-03-29 2013-03-21 大阪瓦斯株式会社 電力中継装置、電力機器、及び、電力中継方法
US20080283118A1 (en) * 2007-05-17 2008-11-20 Larankelo, Inc. Photovoltaic ac inverter mount and interconnect
CN101919150B (zh) * 2007-09-18 2013-12-18 菲莱贝克能源公司 从局部能源产生具有低谐波畸变的交流功率的电流波形结构
JP2009135631A (ja) * 2007-11-29 2009-06-18 Sony Corp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KR20090070213A (ko) * 2007-12-27 2009-07-01 세메스 주식회사 원격 제어 전력 분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비의전력 분배 시스템
WO2009108900A2 (en) * 2008-02-27 2009-09-03 Demi Ener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usage
JP2010017041A (ja) 2008-07-06 2010-01-21 Kyokko Denki Kk 電力供給装置
US20100082464A1 (en) * 2008-10-01 2010-04-01 Keefe Robert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Consumption and Discharging of Power of Electric Vehicles
US20100111199A1 (en) * 2008-11-06 2010-05-06 Manu Sharma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Power Lines
JP4668315B2 (ja) * 2008-12-02 2011-04-13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89768B1 (ko) * 2008-12-22 2012-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다중 가변 출력 직류전원 공급장치 및 방법
CN102369491B (zh) * 2009-04-10 2014-08-13 欧姆龙株式会社 动作信息输出装置、动作信息输出装置的控制方法、监视装置、监视装置的控制方法以及控制程序
WO2010141859A1 (en) * 2009-06-05 2010-12-09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mart grid over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JP5432628B2 (ja) * 2009-08-06 2014-03-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線通信装置、通信機能付き電源回路、電気機器及び制御監視システム
US20110071694A1 (en) * 2009-09-21 2011-03-24 Richard James Mammon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in a residential or commercial building via a wall socket
EP2510608B1 (en) * 2009-12-07 2016-03-02 Sigma Designs Israel S.D.I Ltd. Enhanced power supply unit for powerline networks
KR101587066B1 (ko) * 2010-08-05 2016-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통신 방법
RU2585658C2 (ru) * 2010-08-24 2016-06-1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JP5498347B2 (ja) * 2010-10-20 2014-05-21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Plc/電源ハイブリッド装置および通信機能付き装置
JP5900944B2 (ja) * 2010-11-22 2016-04-06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中継端末、電力中継方法、電力供給制御装置、電力供給制御方法、および電力供給制御システム
US20120066023A1 (en) * 2011-02-22 2012-03-15 Xia Mingyao Green Energy Database Including Verifiable Information for Implementing a National Level Green Energy Policy
US8364326B2 (en) * 2011-02-22 2013-01-29 Asoka Usa Corporation Set of sensor units for communication enabled for streaming media delivery with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 usage of connected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0944B2 (ja) 2016-04-06
JP2012114985A (ja) 2012-06-14
US20130235504A1 (en) 2013-09-12
EP2645531A1 (en) 2013-10-02
EP2645531A4 (en) 2016-12-14
TW201230584A (en) 2012-07-16
CN102545394B (zh) 2016-02-17
CN102545394A (zh) 2012-07-04
CN202475038U (zh) 2012-10-03
WO2012070417A1 (ja)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4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voidance of wireless charging cross connection
US9608300B2 (en) Battery devic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CN105379054B (zh) 用于实现通用后盖无线充电解决方案的系统和方法
RU25856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KR20130132804A (ko) 전력 중계 장치, 전력 중계 방법, 전력 공급 제어 장치,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전력 공급 제어 시스템
JP5924050B2 (ja) 給電装置、受電装置、給電方法、受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94047B2 (ja) 給電装置、受電装置、課金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036098A1 (en) Management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CN105006895A (zh) 电力系统
CN103368275A (zh) 电力供给设备、电力接收设备、状态管理方法以及程序
CN117748763A (zh) 无线充电装置和接收器装置
JP2012198035A (ja) 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CN106296886A (zh) 由nfc无线供电的电子锁系统
EP293393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0226277A (zh) 供电设备及其控制方法
US943184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