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407A -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407A
KR20130132407A KR1020137005692A KR20137005692A KR20130132407A KR 20130132407 A KR20130132407 A KR 20130132407A KR 1020137005692 A KR1020137005692 A KR 1020137005692A KR 20137005692 A KR20137005692 A KR 20137005692A KR 20130132407 A KR20130132407 A KR 20130132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rrier tape
main body
guid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데 나가오
노부히로 나카이
유타카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3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캐리어 테이프 장착 작업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하여, 작업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가이드부(30)는 픽업 위치에서 캐리어 테이프(15)를 안내하며, 본체부(5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가이드부(30)는, 캐리어 테이프(15)를 그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하며, 본체부(5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하부 부재(31)와, 캐리어 테이프(15)를 상측으로부터 하향 압박하고, 피봇 지지 핀(33)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하부 부재(31)에 대해 개폐 가능한 상부 부재(32)와, 하부 부재(31)에서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에 위치 결정 핀(37)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15)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TAPE FEEDER AND METHOD OF MOUNTING TAPE ONTO TAPE FEEDER}
본 발명은, 부품 실장 장치에 장착되며, 캐리어 테이프에 유지된 전자 부품을 부품 반송 기구에 의한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 및 이 테이프 피더에 캐리어 테이프를 장착하는 테이프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 장치에 있어서의 전자 부품의 공급 장치로서 테이프 피더가 알려져 있다. 이 테이프 피더는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간헐적으로 이송함으로써, 부품 탑재 기구의 반송 헤드에 의한 픽업 위치에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픽업 위치 근방에서, 캐리어 테이프는 테이프 피더의 본체부 내에 설치된 테이프 주행로를 따라 상측이 커버 부재에 의해 덮어져서 안내된 상태로 테이프 이송 기구를 통해 피치 이송된다. 전자 부품은 픽업 위치에서, 커버 부재에 설치된 부품 추출용 개구부를 통해 부품 탑재 기구의 반송 헤드에 의해 픽업된다.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공급 릴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된다.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를 장착할 경우, 공급 릴로부터 인출된 캐리어 테이프를 테이프 장착부로부터 삽입하여, 픽업 위치에 두고 커버 부재의 하면측에 세팅하는 테이프 장착 작업이 행해진다. 이 테이프 장착 작업은, 테이프 이송 기구를 구성하는 스프로켓의 이송 핀에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을 정확하게 체결시킨 상태에서, 리테이너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를 상측으로부터 테이프 주행로에 대해 압박하여 본체부에 셋업해야 하는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장착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서, 픽업 위치 근방에서 캐리어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가이드를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피더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구성에 따르면, 테이프 가이드를 본체부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테이프 가이드에 캐리어 테이프를 셋업할 수 있어, 테이프 장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JP-B-4370058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과 같이, 테이프 가이드를 본체부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캐리어 테이프를 셋업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캐리어 테이프를 위치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난점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로켓의 이송 핀을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에 정확하게 체결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자가 이송 구멍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이송 구멍의 위치를 이송 핀의 위치와 일치시키는 시각적 작업을 통해 캐리어 테이프를 위치 결정한다. 이 위치 결정은 테이프 가이드에 이미 장착된 상태의 캐리어 테이프에 대해 행해져야 한다. 그러므로, 테이프 피더를 본체부에 장착함에 있어서 위치 결정을 확인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고, 캐리어 테이프 장착 작업에 시간과 수고가 필요하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 장착 작업에 있어서 위치 결정을 쉽게 하여, 작업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하여, 반송 헤드의 픽업 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주행로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스프로켓의 이송 핀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감합시킨 상태로 상기 스프로켓을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정해진 피치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와,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본체부 상의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정해진 범위에서 안내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측을 안내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하부 부재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측으로부터 하향 압박하여 그 상면을 안내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를 상기 하부 부재에 대해 개폐하는 개폐 기구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에 위치 결정 핀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포함한다.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하여 반송 헤드의 픽업 위치에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캐리어 테이프를 장착하는 테이프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피더는,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주행로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스프로켓의 이송 핀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감합시킨 상태로 상기 스프로켓을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정해진 피치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와,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본체부 상의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정해진 범위에서 안내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측을 안내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하부 부재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측으로부터 하향 압박하여 그 상면을 안내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를 상기 하부 부재에 대해 개폐하는 개폐 기구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에 위치 결정 핀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테이프 장착 방법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가이드부로 도입하는 테이프 도입 단계와,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에 상기 위치 결정 핀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위치 결정 단계 후에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게 장착하는 가이드부 고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를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정해진 범위에서 안내하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부는,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측을 안내하며, 본체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하부 부재와,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측으로부터 하향 압박하여 그 상면을 안내하는 상부 부재와, 상부 부재를 하부 부재에 대해 개폐하는 개폐 기구와, 가이드부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에 위치 결정 핀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와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포함한다. 그 결과, 캐리어 테이프 장착 작업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하여, 작업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실장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가이드부를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기판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부품 실장 장치(1)는 기판에 반도체 칩 등의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도 2는 도 1에서의 A-A 단면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1a)의 중앙에는 X 방향(기판 반송 방향)으로 기판 반송 기구(2)가 배치되어 있다. 기판 반송 기구(2)는 상류측으로부터 반입된 기판(3)을 반송하고, 부품 실장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 설정된 실장 스테이지에 그 기판(3)을 위치 결정한다. 기판 반송 기구(2)의 양측에는, 부품 공급부(4)가 배치되고, 각각의 부품 공급부(4)에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5)가 병설되어 있다. 테이프 피더(5)는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후술하는 반송 헤드의 흡착 노즐에 의해 픽업이 이루어지는 픽업 위치에 전자 부품을 공급한다.
베이스(1a)의 상면에 있어서 양단에는 Y축 테이블(6A, 6B)이 배치되고, Y축 테이블(6A, 6B) 사이에는 2개의 X축 테이블(7A, 7B)이 연장되어 있다. Y축 테이블(6A)을 구동함으로써, X축 테이블(7A)이 Y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고, Y축 테이블(6B)을 구동함으로써, X축 테이블(7B)이 Y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각 X축 테이블(7A, 7B)에는, 반송 헤드(8) 및 반송 헤드(8)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기판 인식 카메라(9)가 장착되어 있다.
Y축 테이블(6A), X축 테이블(7A), Y축 테이블(6B), 및 X축 테이블(7B)을 각각 조합하여 구동함으로써 반송 헤드(8)가 수평 이동한다. 전자 부품은 각각의 부품 공급부(4)로부터 흡착 노즐(8a)(도 2 참조)에 의해 픽업되어, 기판 반송 기구(2)에 의해 위치 결정된 기판(3) 상에 실장된다. Y축 테이블(6A), X축 테이블(7A), Y축 테이블(6B), 및 X축 테이블(7B)는 반송 헤드(8)를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 기구를 구성한다.
반송 헤드(8)와 함께 기판(3) 상에서 이동하는 기판 인식 카메라(9)가 기판(3)을 촬상하여 인식한다. 부품 공급부(4)로부터 기판 반송 기구(2)에 이르는 경로에는, 부품 인식 카메라(10)가 배치된다. 부품 공급부(4)로부터 전자 부품을 추출한 반송 헤드(8)는 실장 스테이지에 위치 결정된 기판(3)으로 이동할 때에, 흡착 노즐(8a)에 의해 유지된 각 전자 부품을 부품 인식 카메라(10) 위에서 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로, 부품 인식 카메라(10)가 흡착 노즐(8a)에 의해 유지된 전자 부품을 촬상한다. 그리고, 촬상 결과가 인식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서 인식 처리됨으로써, 흡착 노즐(8a)에 의해 유지된 전자 부품의 위치가 인식되고, 또한 전자 부품의 종류가 식별된다. 노즐 유지부(11)는 복수 종류의 흡착 노즐(8a)을 정해진 자세로 수납하고, 반송 헤드(8)는 노즐 유지부(11)에 액세스하여 노즐 교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반송 헤드(8)에서의 대상이 되는 전자 부품의 종류에 따라 노즐 교환을 실행한다.
부품 공급부(4)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 공급부(4)에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5)를 장착하기 위한 피더 베이스(4a)가 각각 설치된다. 테이프 피더(5)는 피더를 장착하기 위한 캐리지(12)에 의해 부품 공급부(4)에 배치되고, 캐리지(12)에는, 캐리어 테이프(15)를 각각 권취 상태로 수납한 테이프 릴(14)을 유지하기 위한 릴 유지부(13)가 장착된다. 릴 유지부(13)에는 테이프 릴(14)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롤러가 장착되고, 부품 공급부(4)에 배치된 테이프 릴(14)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테이프 릴(14) 각각으로부터 캐리어 테이프(15)가 인출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테이프 피더(5)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피더(5)는 피더 본체부(5a)와, 그 피더 본체부(5a)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장착부(5b)를 포함한다. 피더 본체부(5a)의 하면에 피더 베이스(4a)를 따라 테이프 피더(5)를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부(5b)에 설치된 커넥터(5c)가 피더 베이스(4a)에 감합된다. 이에 따라, 테이프 피더(5)는 부품 공급부(4)에 고정되고, 테이프 피더(5)는 부품 실장 장치(1)의 제어 장치(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테이프 릴(14)로부터 인출되어 피더 본체부(5a) 내에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15)를 안내하는 테이프 주행로(5d)가 피더 본체부(5a)의 후단부로부터 그 선단부까지 연속해서 연장되어 있다. 캐리어 테이프(15)에는, 전자 부품(16)을 각각 수납하여 유지하는 부품 포켓(15a)과, 캐리어 테이프(15)를 피치 이송하기 위한 이송 구멍(15c)이 정해진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부품 포켓(15a)의 각 하면측에는 엠보스부(15b)가 하향 돌출된다. 본체부(5a)에는, 캐리어 테이프(15)를 피치 이송하기 위한 테이프 피더(17)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피더(17)는 테이프 주행로(5d)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20)을 회전 구동하는 이송 모터(19)와, 이송 모터(19)를 제어하는 피더 컨트롤러(18)를 포함한다. 각 테이프 피더(5)가 피더 베이스(4a)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더 컨트롤러(18)가 제어 장치(21)에 접속된다.
스프로켓(20)에는, 이송 구멍(15c)에 감합되는 이송 핀(20a)(도 8 참조)이 정해진 피치로 설치되고, 이 이송 핀이 이송 구멍(15c)에 감합된 상태로, 이송 모터(19)를 구동함으로써, 회전 샤프트(19a)와 결합된 베벨 기어(25)를 통해 스프로켓(20)이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캐리어 테이프(15)는 하류측(도 3에서 우측)으로 피치 이송된다. 스프로켓(20) 및 이송 모터(19)는 본체부(5a)에 설치된 스프로켓(20)의 이송 핀(20a)을 이송 구멍(15c)과 체결시킨 상태로 스프로켓(20)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캐리어 테이프(15)를 정해진 피치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를 구성한다.
스프로켓(20)의 근방은 각각의 부품 포켓(15a) 내의 전자 부품(16)을, 반송 헤드(8)의 흡착 노즐(8a)에 의해 흡착하여 추출하는 픽업 위치를 구성한다. 전술한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테이프 주행로(5d)를 따라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15)는 본체부(5a) 상의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정해진 범위, 즉 캐리어 테이프(15)를 흡착 노즐(8a)에 의해 픽업 위치로 안내하여 이송 구멍(15c)을 이송 핀(20a)에 정확하게 체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범위에서, 후술하는 가이드부(30)에 의해 안내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5a)의 선단부(테이프 이송 방향의 하류측)의 정해진 범위에는, 가이드부(3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 장착부(22)가 형성된다. 가이드부(30)는 하부 부재(31) 및 상부 부재(32)에 의해 구성된다. 하부 부재(31)에 설치된 하류측 장착부(31a) 및 상류측 장착부(31b)는 각각 하류측 감합부(23) 및 상류측 걸림부(24)에 각각 고정되게 체결된다. 그 결과, 가이드부(30)가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되고, 역순의 조작을 행하면 가이드부(30)가 가이드 장착부(22)로부터 떼어진다.
이하, 도 5∼도 8을 참조하여, 가이드부(30)를 구성하는 각부 및 이들 각부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30)는 하부 부재(31) 및 상부 부재(32)에 의해 구성된다. 하부 부재(31)는 A-A 단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31)의 본체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세로형 부재의 상면에 홈부(31g)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하부 부재(31)는 홈부(31g)의 양측에 있는 테이프 지지부(31e, 31f)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5)를 그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캐리어 테이프(15)가 하부 부재(31)에 배치된 상태에서, 엠보스부(15b)가 홈부(31g)에 감합된다. 이송 구멍(15c)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는 테이프 지지부(31e)에 의해 지지되고, 그 반대측의 단부는 테이프 지지부(31f)에 의해 지지되어 테이프 이송을 안내한다. 엠보스부(15b)가 없는 평판형의 종이 테이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캐리어 테이프(15)가 테이프 지지부(31e, 31f)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 부재(31)의 하류측(도 5에서 우측)의 선단부에는 하류측 장착부(31a)가 하향 연장되고, 하류측 장착부(31a)의 하단부에는 감입부(31c)가 하류측 감합부(23)의 감입 오목부(23a)(도 8 참조)에 감합되게 설치된다. 하부 부재(31)의 상류측(도 5에서 좌측)에는 상류측 장착부(31b)가 연장된다. 하부 부재(31)의 선단부에는, 피걸림부(31d)가 상류측 걸림부(24)의 걸림 부재(24a)와 체결되게 설치된다. 가이드부(30)를 각 테이프 피더(5)의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할 경우, 감입부(31c)가 하류측 감합부(23)의 감입 오목부(23a)에 감합된 상태에서, 피걸림부(31d)가 걸림 부재(24a)와 체결된다.
또한, 가이드부(30)를 각 테이프 피더(5)의 가이드 장착부(22)로부터 떼어낼 경우에, 걸림 부재(24a)와의 피걸림부(31d)의 체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감입부(31c)를 감입 오목부(23a)로부터 이탈시킨다. 따라서, 하부 부재(31)에 설치된 감입부(31c) 및 피걸림부(31d)는 하부 부재(31)를 본체부(5a)에 대해 착탈시키는 착탈 기구를 구성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이드부(30)의 구성에 있어서, 하부 부재(31)는 캐리어 테이프(15)의 하면측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본체부(5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착탈 기구를 구비한다.
상부 부재(32)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B-B 단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부재(32)는 하향 개구된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의 단면, 즉 수평 상면부(32a)의 양측으로부터 측면부(32b)가 하향 연장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세로형 부재를 주체로 포함한다. 상부 부재(32)의 하류측의 선단부에는, 측면부(32b)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피봇 지지 판(32c), 및 상면부(32a)로부터 하향 만곡하여 피봇 지지 판(32c)의 상측을 덮는 상측 커버부(32d)가 설치된다. 피봇 지지 판(32c)에는 각각 샤프트 구멍(32e)이 형성된다. 상부 부재(32)를 하부 부재(31)와 체결시킬 때에, 하류측 장착부(31a)에 형성된 피봇 샤프트 구멍(31h)에 감합되는 피봇 지지 핀(33)을 샤프트 구멍(32e)을 통해 삽입시켜, 상부 부재(32)를 피봇 지지 핀(33)에 의해 피봇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부 부재(32)는 하부 부재(31)에 개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하류측 장착부(31a)에 형성된 피봇 샤프트 구멍(31h), 피봇 지지 판(32c)에 형성된 샤프트 구멍(32e), 및 피봇 지지 핀(33)은 상부 부재(32)를 하부 부재(31)에 대해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구성한다. 즉, 이 개폐 기구는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하부 부재(31)의 하류측에 마련된 피봇 지지 점[피봇 샤프트 구멍(31h)에 감합되는 피봇 지지 핀(33)]에 대해 상부 부재(32)를 회동시켜, 상부 부재(32)를 하부 부재(31)에 대해 개폐한다.
상부 부재(32)를 하부 부재(31)에 대해 폐쇄한 상태, 즉 피봇 지지 핀(33)에 대해 상부 부재(32)를 회동시켜 하부 부재(31)의 상측을 덮은 상태[도 6의 (b) 참조]에서는, 상부 부재(32)의 측면부(32b)가 테이프 지지부(31e, 31f)의 측면에 위치하여 캐리어 테이프(15)의 폭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상면부(32a)가 하부 부재(31) 상에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면에 위치하여 캐리어 테이프(15)를 상측으로부터 압박하고, 그 상면을 안내한다[도 6의 (b)의 C-C 단면 참조]. 즉, 상부 부재(32)는 캐리어 테이프(15)의 폭 방향을 안내하며 이 캐리어 테이프(15)를 상측으로부터 압박하여 그 상면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부 부재(32)의 상류측에 있어서, 측면부(32b)로부터 굴곡부(32f)가 하향 만곡되어 연장되어 있고, 2개의 굴곡부(32f) 사이의 공간은 상향이 개구되어 캐리어 테이프(15)를 거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테이프 삽입구(32g)를 형성한다. 캐리어 테이프(15)가 가이드부(30)에 셋업될 때에, 캐리어 테이프(15)의 선단부(15e)[도 9의 (a) 참조]는 테이프 삽입구(32g)로부터 삽입되어, 상부 부재(32)의 내측에 설치된 도입 부재(32j)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5)를 안내하면서, 상부 부재(32) 내에서 하류측으로 안내된다. 즉, 테이프 삽입구(32g)는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부 부재(32)의 상류측에 형성되며, 이 상부 부재(32)에 캐리어 테이프(15)를 안내하는 테이프 도입부를 구성한다.
굴곡부(32f)의 하단부에는 체결용 걸림 핀(32i)이 설치된다.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해 폐쇄된 상태에서, 굴곡부(32f)는 상류측 장착부(31b)의 하류측에 형성된 체결용 오목부(31k)에 감합된다. 상류측 장착부(31b)에는, 압축 스프링(35)에 의해서 하류측 수평 방향으로 압박된 핀형의 걸림 부재(34)가 체결용 오목부(31k) 내에 돌출되게 장착된다.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해 폐쇄된 상태에서는, 걸림 부재(34)가 걸림 핀(32i)과 체결되어, 상부 부재(32)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부 부재(32)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그립 링(32h)이 설치되고, 상부 부재(32)의 개폐 조작 시에 작업자가 그립 링(32h)을 잡고 밀어 내리고 인상(pull-up) 조작을 한다.
본체부(5a)에의 장착 상태에서 스프로켓(20)과 간섭하는 테이프 지지부(31e)의 범위에는 스프로켓(20)의 형상에 따라 피난부(31i)가 설치된다. 또한, 테이프 지지부(31e)에는 후술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내장하기 위한 노치부(31j)가 형성된다. 노치부(31j)는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결하고, 슬렌더 부재(slender member)의 일단부로부터 상향 굴곡된 핀 부착부(36a)를 갖는 위치 결정 부재(36)가 수납되는 범위에서 형성된다. 위치 결정 부재(36)는 피봇 지지 핀(38)에 의해 하부 부재(31)에 피봇 지지되고, 피봇 지지 핀(38)의 일측은 테이프 지지부(31e)의 측면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39)에 의해 지지된다. 도 5 이외의 도면에는 지지 브래킷(39)이 생략되어 있다. 핀 부착부(36a)의 상면에는, 캐리어 테이프(15)에서의 이송 구멍(15c)의 피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한 쌍의 위치 결정 핀(37)이 설치되고, 위치 결정 핀(37)은 노치부(31j)를 통해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에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의 (a)∼(c)와 도 7을 참조하여, 하부 부재(31)에 대해 상부 부재(32)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가이드부(30)의 구성 및 각부의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의 (a)는 상부 부재(32)의 평면도이며, 상면부(32a)에는 제1 개구부(40), 제2 개구부(41), 및 제3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40)는 하부 부재(31)에 있어서 노치부(31j)의 개구 위치, 즉 핀 부착부(36a)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37)이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상면부(32a)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그리고 위치 결정 핀(37)의 위치를 상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형성된 개구부이다.
제2 개구부(41)는 가이드부(30)가 본체부(5a)에 셋업된 상태에서, 스프로켓(20)의 이송 핀(20a)과 상면부(32a)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제3 개구부(42)는 캐리어 테이프(15)에 의해 유지된 전자 부품(16)을 흡착 노즐(8a)에 의해 픽업하기 위한 개구부이며, 부품 포켓(15a)이 간헐적으로 정지하는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테이프(15)의 셋업 시에, 상부 부재(32)의 상류측에 형성된 테이프 삽입구(32g)로부터 상부 부재(32)에 캐리어 테이프(15)의 선단부(15e)가 삽입된다. 이 때, 상부 부재(32)는 하향 개구되고 그 상면이 폐쇄되어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선단부(15e)가 어느 위치로 삽입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테이프(15)가 상부 부재(32)에 셋업될 때, 그 내부를 제2 개구부(41)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캐리어 테이프(15)의 선단부(15e)가 스프로켓(20)의 이송 핀(20a)과의 핀 체결 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개구부(41)가, 캐리어 테이프(15)가 핀 체결 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시각으로 확인하기 위해 상부 부재(32)에 형성된 확인용 개구부로서 기능한다. 물론, 이 기능을 갖는 확인용 개구부를 제2 개구부(41)와 별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의 (b)는 상부 부재(32)를 피봇 지지 핀(33)에 대해 회동시켜 하부 부재(31)에 대해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굴곡부(32f)에 설치된 걸림 핀(32i)이 걸림 부재(34)와 체결되어 상부 부재(32)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위치 결정 부재(36)는 압박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피봇 지지 핀(38)에 대해 반시계 방향(화살표 a)으로 압박되고, 위치 결정 핀(37)은 노치부(31j)를 통해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가이드부(30)를 본체부(5a)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부 부재(32)로 안내되어 그 가이드부(30)와 하부 부재(31) 사이에 끼워진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에는, 항상 고정 위치에 있는 위치 결정 핀(37)이 감합되어,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30)와 캐리어 테이프(15)의 상대 위치를 결정한다. 이 위치 결정 상태에서, 위치 결정 핀(37)의 위치는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이 스프로켓(20)의 이송 핀(20a)과 정확하게 체결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 핀(37)에 의해서 캐리어 테이프(15)가 위치 결정된 상태의 가이드부(30)가 가이드 장착부(22)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그 결과, 다른 위치 조정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캐리어 테이프(15)는 스프로켓(20)의 이송 핀(20a)이 이송 구멍(15c)과 체결되는 위치에 세팅된다.
도 6의 (c)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핀 부착부(36a)의 반대측의 단부(36b)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감합 해제를 위한 외력(F)을 작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이 외력(F)에 의해, 위치 결정 부재(36)는 압박력에 대항하여 피봇 지지 핀(38)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핀 부착부(36a)는 위치 결정 핀(37)과 함께 하강하고(화살표 b), 샤프트 구멍(32e)의 상면에서 후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5a)의 가이드 장착부(22)에는, 반대측 단부(36b)에 대응하는 위치에 판 스프링 부재(26)(도 8 참조)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0)를 본체부(5a)의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한 상태에서, 판 스프링 부재(26)는 위치 결정 부재(36)에 상향의 외력을 작용하여[도 6의 (c) 참조], 위치 결정 핀(37)이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 핀(37)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5)의 피치 이송이 방해되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피봇 지지 핀(38)에 의해서 피봇 지지된 위치 결정 부재(36) 및 핀 부착부(36a)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37)은, 가이드부(30)에서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에 위치 결정 핀(37)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이 캐리어 테이프(15)와 가이드부(30) 간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기구는 위치 결정 핀(37)을 하부 부재(31)에 설치함으로써 구성되고, 이 하부 부재(31)를 본체부(5a)의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한 상태에서, 위치 결정 핀(37)을 이송 구멍(15c)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감합 해제 기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합 해제 기구로서, 판 스프링 부재(26)가 위치 결정 부재(36)에 회동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감합 해제 기구는, 핀 부착부(36a)를 하강시키도록 위치 결정 부재(36)가 동작한다면, 압축 스프링 등의 다른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가 하부 부재(31)에 설치된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위치 결정 기구는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15)와 가이드부(30)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상부 부재(3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그립 링(32h)이 인상됨으로써(화살표), 피봇 지지 핀(33)에 대해 상부 부재(32)가 회동하여, 가이드부(3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15)의 세팅은 이 상태에서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 핀(37)이 노치부(31j)를 통해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캐리어 테이프(15)가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상부 부재(32)로 안내된 캐리어 테이프(15)는, 상부 부재(32)를 폐쇄하여 이송 구멍(15c)에 위치 결정 핀(37)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30)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도 8은 하부 부재(31)와 상부 부재(32)가 폐쇄된 상태의 가이드부(30)를 본체부(5a)의 가이드 장착부(22)에 장착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 장착 작업에서는, 하류측 장착부(31a)가 하류측 감합부(23)에 대해 위치 결정되고, 상류측 장착부(31b)가 상류측 걸림부(24)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먼저 하류측 장착부(31a)가 하강하고(화살표 d), 감입부(31c)가 감입 오목부(23a)에 감합되며, 상류측 장착부(31b)가 하강하고(화살표 e), 피걸림부(31d)가 걸림 부재(24a)에 의해 체결된다. 이 경우, 하류측 장착부(31a)와 상류측 장착부(31b)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을 하류측 감합부(23)와 상류측 걸림부(24)에 설치하여, 하류측 장착부(31a)와 상류측 장착부(31b)에 형성된 감합 구멍에 각각 감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 장착부(22)에 설치된 판 스프링 부재(26)는 위치 결정 부재(36)의 반대측 단부(36b)에 대해 하측에서 접촉하여 위치 결정 핀(37)의 감합 해제를 위한 외력을 반대측 단부(36b)에 작용시킨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 핀(37)은 테이프 지지부(31e)의 상면에서 후퇴한다.
다음에, 도 9의 (a)∼(c), 도 10의 (a)와 (b)를 참조하여, 테이프 피더(5)에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15)를 장착하는 테이프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부(30)를 본체부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테이프 삽입구(32g)로부터 상부 부재(32)에 캐리어 테이프(15)를 도입한다(테이프 도입 공정). 이 작업은,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부(32f)가 체결용 오목부(31k)로부터 인출되고,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해 회동하여(화살표 f), 가이드부(30)를 개방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이 때, 테이프 삽입구(32g)로부터 캐리어 테이프(15)의 선단부(15e)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15)가 스프로켓(20)에 의한 핀 체결 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상면부(32a)에 형성된 확인용 개구부인 제2 개구부(41)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한다(테이프 확인 공정).
계속해서,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에 위치 결정 핀(7)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15)와 가이드부(30)의 상대 위치를 조정한다(위치 결정 공정). 즉,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 구멍(15c)의 위치가 위치 결정 핀(37)에 일치하도록 캐리어 테이프(15)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상부 부재(32)를 하부 부재(31)에 대해 폐쇄함으로써, 이송 구멍(15c)에 위치 결정 핀(37)을 감합시킨다. 이에 따라, 도 9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부재(31)와 상부 부재(32)를 함께 일체화한 상태의 가이드부(30)에,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15)가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세팅된다. 본체부(5a)에의 캐리어 테이프(15)의 장착은 이 상태에서 행해진다.
즉,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5)를 세팅하는 위치 결정 공정 후의 가이드부(30)는 본체부(5a)의 가이드 장착부(22)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장착된다(가이드부 고정 공정). 이 가이드부 고정 공정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류측 장착부(31a)가 하류측 감합부(23)에 대해 위치 결정되고, 상류측 장착부(31b)가 상류측 걸림부(24)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먼저 하류측 장착부(31a)가 하강하고(화살표 g), 계속해서 상류측 장착부(31b)가 하강한다(화살표 h). 도 10의 (b)는 이런 식으로 가이드부 고정 공정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하류측 감합부(23)에서는 감입부(31c)가 감입 오목부(23a)에 감합되고, 상류측 걸림부(24)에서는 피걸림부(31d)가 걸림 부재(24a)와 체결됨으로써, 가이드부(30)가 가이드 장착부(2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판 스프링 부재(26)가 핀 부착부(36a)에 대해 접촉하여 위치 결정 핀(37)이 하향 후퇴하고,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으로부터 이탈되어 위치 결정이 해제되며, 캐리어 테이프(15)가 이송된다. 동시에, 스프로켓(20)에서는 이송 핀(20a)이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과 체결되어 테이프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피더(5)는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15)를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정해진 범위에서 안내하여, 본체부(5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0)는, 캐리어 테이프(15)의 하면측을 안내하며, 본체부(5a)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하부 부재(31)와, 캐리어 테이프(15)의 폭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15)를 상측으로부터 하향 압박하여 그 상면을 안내하는 상부 부재(32)와, 상부 부재(32)를 하부 부재(31)에 대해 개폐하는 개폐 기구와, 가이드부(30)에서 캐리어 테이프(15)의 이송 구멍(15c)에 위치 결정 핀(37)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15)와 가이드부(30)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피더(5)에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15)를 장착하는 테이프 장착 작업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하여, 작업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외에,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부 부재(32)의 상류측에, 상부 부재(32)로 캐리어 테이프(15)를 안내하는 테이프 도입부로서의 테이프 삽입구(32g)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부재(32)가 하부 부재(31)에 대해 개방되는 작업성이 양호한 상태에서, 테이프 도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부재(32)에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15)가 스프로켓(20) 근방의 핀 체결 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용 개구부로서의 제2 개구부(41)를 형성함으로써, 테이프 도입 작업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0년 10월 14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31238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테이프 피더 및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 방법은, 캐리어 테이프 장착 작업에 있어서 위치 결정을 쉽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으며, 테이프 피더로부터 전자 부품을 추출하여 기판에 실장하는 부품 실장 분야에서 유용하다.
1: 부품 실장 장치 3: 기판
4: 부품 공급부 5: 테이프 피더
5a: 본체부 5d: 테이프 주행로
8: 반송 헤드 15: 캐리어 테이프
15a: 부품 포켓 15c: 이송 구멍
16: 전자 부품 17: 테이프 피더
19: 이송 모터 20: 스프로켓
20a: 이송 핀 22: 가이드 장착부
23: 하류측 감합부 24: 상류측 걸림부
30: 가이드부 31: 하부 부재
31a: 하류측 장착부 31b: 상류측 장착부
31c: 감입부 31d: 피걸림부
31e: 테이프 지지부 32: 상부 부재
32a: 상면부 32b: 측면부
32c: 피봇 지지 판 32g: 테이프 삽입구
33: 피봇 지지 핀 34: 걸림 부재
36: 위치 결정 부재 37: 위치 결정 핀
38: 피봇 지지 핀 40: 제1 개구부
41: 제2 개구부 42: 제3 개구부

Claims (5)

  1.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하여, 반송 헤드의 픽업 위치에 상기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주행로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스프로켓의 이송 핀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감합시킨 상태로 상기 스프로켓을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정해진 피치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와,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본체부 상의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정해진 범위에서 안내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측을 안내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하부 부재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측으로부터 하향 압박하여 그 상면을 안내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를 상기 하부 부재에 대해 개폐하는 개폐 기구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에 위치 결정 핀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
    를 포함하는 것인 테이프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는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의 하류측에 마련된 피봇 지지 점에 대해 상기 상부 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상부 부재를 상기 하부 부재에 대해 개폐하는 것인 테이프 피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위치 결정 핀을 상기 하부 부재에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며, 상기 하부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결정 핀을 상기 이송 구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감합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인 테이프 피더.
  4. 캐리어 테이프를 피치 이송하여 반송 헤드의 픽업 위치에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캐리어 테이프를 장착하는 테이프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피더는,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안내하는 테이프 주행로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스프로켓의 이송 핀을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형성된 이송 구멍에 체결시킨 상태로 상기 스프로켓을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정해진 피치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 기구와, 상기 테이프 이송 기구에 의해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본체부 상의 픽업 위치를 포함하는 정해진 범위에서 안내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면측을 안내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하부 부재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폭 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측으로부터 하향 압박하여 그 상면을 안내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를 상기 하부 부재에 대해 개폐하는 개폐 기구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에 위치 결정 핀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테이프 장착 방법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가이드부로 도입하는 테이프 도입 단계와,
    도입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구멍에 상기 위치 결정 핀을 감합시킴으로써 테이프 이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위치 결정 단계 후에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게 장착하는 가이드부 고정 단계
    를 포함하는 테이프 장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핀은 상기 하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 고정 단계에서 상기 하부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핀이 상기 이송 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인 테이프 장착 방법.
KR1020137005692A 2010-10-14 2011-08-22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KR20130132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1238A JP5423642B2 (ja) 2010-10-14 2010-10-14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JP-P-2010-231238 2010-10-14
PCT/JP2011/004648 WO2012049797A1 (ja) 2010-10-14 2011-08-22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407A true KR20130132407A (ko) 2013-12-04

Family

ID=4593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692A KR20130132407A (ko) 2010-10-14 2011-08-22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61371A1 (ko)
JP (1) JP5423642B2 (ko)
KR (1) KR20130132407A (ko)
CN (1) CN103098576B (ko)
DE (1) DE112011103462T5 (ko)
WO (1) WO2012049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1595B (zh) * 2012-08-06 2018-02-13 韩华泰科株式会社 载带送进装置、芯片安装系统以及芯片安装方法
US10212868B2 (en) 2014-05-30 2019-02-19 Fuji Corporation Feeder
JP6467632B2 (ja) * 2015-04-27 2019-0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実装装置
EP3313160B1 (en) * 2015-06-18 2024-02-28 FUJI Corporation Feeder
JP6630914B2 (ja) * 2015-07-29 2020-0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システムおよび部品供給方法
IL242937A (en) * 2015-12-03 2016-12-29 Sky-Line Cranes & Tech Ltd Balanced transmitter feeding equipment
IT201700075065A1 (it) * 2017-07-04 2019-01-04 Manz Italy Srl Apparato per produrre dispositivi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EP3644701A1 (en) 2018-10-23 2020-04-29 Mycronic AB Holder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3816A (nl) * 1983-11-05 1985-06-03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toevoeren van in band verpakte electronische onderdelen naar een opneempositie.
US4943342A (en) * 1988-08-29 1990-07-24 Golemon Valia S Component feeding device for circuit board mounting apparatus
JP2820481B2 (ja) * 1990-02-09 199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KR100646909B1 (ko) 1998-12-22 2006-11-23 마이데이터 오토메이션 아베 부품 장착 머신의 테잎 가이드 및 테잎 매거진
JP4479616B2 (ja) * 2005-07-13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2007150145A (ja) * 2005-11-30 2007-06-14 Juki Corp 部品供給装置
JP4321610B2 (ja) * 2007-03-09 2009-08-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
JP2010165897A (ja) * 2009-01-16 2010-07-29 Panasonic Corp テープフィーダ
JP5298080B2 (ja) 2010-07-08 2013-09-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変倍光学系
JP5445484B2 (ja) * 2011-02-08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1371A1 (en) 2013-06-27
WO2012049797A1 (ja) 2012-04-19
DE112011103462T5 (de) 2013-08-08
CN103098576B (zh) 2015-09-30
JP5423642B2 (ja) 2014-02-19
CN103098576A (zh) 2013-05-08
JP2012084769A (ja)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2407A (ko)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KR20130132409A (ko)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US8764935B2 (en) Tape feeder and a tape installing method in the tape feeder
JP5459239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5445484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5370407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20130132408A (ko) 테이프 피더와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WO2012124005A1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5510354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テープ装着方法
JP2013065748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ならびに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トップテープ送り方法
KR101103779B1 (ko) 테이프 피더
JP6912595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5445478B2 (ja) テープフィーダ
WO2020003424A1 (ja) 部品供給装置
JP4893659B2 (ja) テープ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