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991A -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991A
KR20130131991A KR1020120056004A KR20120056004A KR20130131991A KR 20130131991 A KR20130131991 A KR 20130131991A KR 1020120056004 A KR1020120056004 A KR 1020120056004A KR 20120056004 A KR20120056004 A KR 20120056004A KR 20130131991 A KR20130131991 A KR 20130131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bar
bar tail
continuous casting
winch
winch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찬
서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5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1991A/ko
Publication of KR2013013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01Moulds provided with a feed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주조장치로서, 상기 주편의 이송 경로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부와, 상기 주편의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조절부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조절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윈치후크가 안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윈치후크 가이드 및 상기 검지부와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주편을 주조하는 더미바(dummy bar)의 사행(斜行)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편을 주조하는 더미바(dummy bar)의 사행(斜行)을 억제할 수 있는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에서의 주조작업은 주형 내로 용강을 주입하여 행해진다. 주조작업에 의해 주형 내에 형성되는 주편은 주형 하부에 만곡부를 형성하며 구비되는 주조부를 따라 이송되는데, 주편이 자중에 의해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편과 더미바(dummy bar)를 연결한 상태에서 주조부에 설치된 복수의 핀치롤러를 이용하여 더미바를 이송시킴으로써 주조부로부터 인출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더미바를 이용한 연속주조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조부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대기위치와 더미바 삽입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더미바 카(10)가 구비된다. 레일(12)의 전단인 더미바 삽입위치에는 주형(30)이 배치되고, 후단인 대기위치에는 윈치장치(50)가 배치된다.
윈치장치(50)는 윈치모터(56), 윈치드럼(54), 윈치 와이어(57) 윈치후크(59) 및 윈치장치 프레임(52)을 포함한다. 윈치드럼(54)은 윈치모터(56)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윈치드럼(54)에는 윈치 와이어(57)가 감겨있고 윈치 와이어(57)의 끝에는 윈치후크(59)가 고정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더미바(20)는 더미바 헤드(dummy bar head, 22), 더미바 바디(dummy bar body, 24), 더미바 테일(26, dummy bar tail)이 링크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미바 헤드(22)에는 용강이 수용되는 공동부가 형성되고, 더미바 테일(26)은 윈치장치(50)의 윈치후크(59)에 걸릴 수 있도록 양쪽 측면에 핀(28)이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조작업을 위해 더미바(20)를 장착한 더미바 카(10)가 대기위치로부터 더미바 삽입위치로 이동하여 더미바 테일(26)을 주형(30)을 통해 주형(30) 하부에 위치되어 만곡부를 가진 주조부(40)로 삽입한다. 더미바(20)가 주형(30) 내에 삽입되면 더미바 헤드(22)의 상면은 주형(3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아래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더미바(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주형(30)과 더미바 헤드(22)의 모서리 틈 사이를 실런트(sealant)로 밀봉함으로써 실링작업이 끝나게 된다. 또한, 주조부(40)의 후단에는 더미바 헤드 분리장치(60)와 다수의 주편 이송롤러(44)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 상부에는 더미바(20)를 권상시키는 윈치장치(50)가 마련되어 있다.
더미바(20)가 주형(30)을 통해 주조부(40)로 삽입될 때, 윈치후크(59)는 하강하여 주편 이송롤러(44) 사이에 설치된 윈치후크 가이드(70)에 안착됨으로써 주조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래들(미도시) 내의 용강이 래들 하부에 설치된 쉬라우드 노즐(미도시)을 통해 턴디시(1)로 출강되고, 턴디시(1) 내로 출강된 용강이 턴디시(1) 하부에 마련된 침지노즐을 통해 주형(30) 내로 주입된다. 이때, 용강의 주조에 의해 주형(30) 내에 위치한 더미바 헤드(22)의 공동부에 공급된 용강이 응고되어 더미바 헤드(22)와 주편이 결합된다. 이후 주편의 자중 및 주조부(40)에 설치된 핀치롤러들(42)의 구동을 통해 더미바(20)가 밀리면서 더미바 테일(26)이 윈치후크 가이드(70)에 안착된 윈치후크(59)에 도착하게 된다.
그리고, 윈치후크 가이드(70)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더미바 테일(26)이 윈치후크 가이드(70)에 도착한 것이 감지되면 윈치장치(50)의 윈치모터(56)가 구동하게 된다. 윈치모터(56)의 구동에 의해 윈치드럼(54)이 회전하면 더미바 테일(26)에 윈치후크(59)가 결합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윈치후크 가이드(70)의 후방에 구비되는 검지부(80)에서 더미바 헤드(22)가 검지되면 더미바 헤드 분리장치(110)가 작동하여 주편을 더미바 헤드(22)로부터 분리하고, 이에 주편은 주조부(40)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바 테일(26)이 윈치후크 가이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경로의 중심을 따라 이송되지 않고 사행함으로써 더미바 테일(26)과 윈치후크(59) 간에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직접 윈치후크(59)를 이동시켜 더미바 테일(26)과 윈치후크(59)를 결합시키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미바 테일(26)과 윈치후크(59)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더미바(20)와 윈치후크(59)가 결합되지 않아 주조가 중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더미바 테일(26)과 윈치후크(59)가 제대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미바(20)를 권상시키는 경우, 더미바(20)가 지상 설비로 추락하여 대형 설비 장애 및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JP 1993-237607 A KR 1061701 B KR 2009-0044930 A
본 발명은 더미바 테일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미바 테일과 윈치후크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발생을 억제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속주조장치는,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주조장치로서, 상기 주편의 이송 경로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부와, 상기 주편의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조절부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조절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윈치후크가 안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윈치후크 가이드 및 상기 검지부와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으로 더미바 테일의 진입을 검지하는 제1검지부와, 상기 윈치후크 가이드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후크 가이드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진입을 검지하는 제2검지부 및 상기 윈치후크 가이드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후크의 권상을 검지하는 제3검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검지부는 상기 조절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2검지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를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드의 타단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로드와 더미바 테일 간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속주조방법은,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주조방법으로서, 윈치후크를 하강시켜 윈치후크 가이드에 안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주편이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따라 더미바를 이송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송경로에 설치된 더미바 테일 센터링장치로 더미바 테일의 진입을 검지하는 과정과, 상기 더미바 테일 센터링장치에 구비되는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중심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바 테일의 진입이 검지되면, 상기 더미바 테일이 일정 거리 이송된 후 상기 조절부를 구동하여 상기 더미바 테일의 중심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더미바 테일의 중심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조절부의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양측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의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더미바 테일이 사행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로드가 상기 더미바 테일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더미바 테일이 이송경로의 중심으로 이동한다.
상기 더미바 테일의 중심을 조절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더미바 테일을 상기 윈치후크에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윈치후크를 권상시키는 과정과, 상기 윈치후크가 권상되면 상기 조절부를 구동하여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상기 로드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은, 더미바 테일의 사행을 방지하여 더미바 테일과 윈치후크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더미바 테일과 윈치후크 간의 결합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더미바 테일과 윈치후크 간의 결합 실패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더미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속주조장치에서 더미바 헤드와 윈치후크의 결합 불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센터링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연속주조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연속주조장치는 제강공정에서 정련된 용강(molten steel)이 담기는 래들(ladle, 10)과, 래들(10)에 연결되는 주입노즐을 통해 용강을 공급받고, 이를 일시 저장하는 턴디쉬(tundish, 20)와, 턴디쉬(20)에 일시 저장된 용강을 전달받아 일정한 형상으로 초기 응고시키는 주형(30) 및 주형(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미응고된 주편을 냉각시키면서 이송하고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핀치롤러(42)가 설치되는 주조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주조부(40)의 상부에는 레일(12)이 수평하게 설치되고, 레일(12) 상에는 더미바 카(10)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레일(12)의 전단에는 주형이 배치되고, 후단에는 윈치장치(50)가 배치되어, 더미바 카(10)가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면서 더미바를 윈치장치(50)에서 주형으로 이송한다. 윈치장치(50)는 레일(12)의 후단에 설치되는 윈치장치 프레임(52)과, 윈치와이어(57)와, 윈치와이어(57)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윈치모터(56) 및 윈치드럼과, 윈치와이어(57)의 단부에 구비되는 윈치후크(59)를 포함한다. 이때, 윈치후크(59)는 더미바를 안정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이 나란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더미바는 더미바 헤드(dummy bar head, 132), 더미바 바디(dummy bar body, 134), 더미바 테일(26, dummy bar tail)이 링크식으로 연결된다. 더미바는 주형 내에 더미바 테일(26)부터 삽입되어, 더미바가 주형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더미바 테일(26)이 주편의 진행방향의 최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더미바 헤드는 주편의 진행방향의 최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용강이 주형 내에 공급되면 용강이 더미바 헤드의 주편 공동부에 삽입되어 응고됨으로써 주편과 더미바 헤드가 결합된다. 이어서 용강이 주형 내로 연속해서 공급되면 핀치롤러(42)의 회전을 통해 주편은 더미바와 함께 주조부(40)를 따라 이송된다. 더미바 테일(26)에는 양쪽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28)이 구비되어, 윈치장치(50)의 윈치후크(59)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센터링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편이 이송되는 주조부(40)에는 더미바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더미바 센터링장치가 설치된다. 더미바 센터링장치는 더미바 테일(26)의 사행을 방지하여 더미바 테일(26)에 구비되는 핀(28)이 윈치후크(59)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더미바 센터링 장치는 더미바 테일(26)의 중심을 조절하는 조절부(200)와, 더미바 테일(26)과 윈치후크(59)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윈치후크 가이드(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더미바 센터링장치는 윈치장치(50)의 하부에 주편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주편 이송롤러(44) 상부에서 주편 이송롤러(44)의 좌우방향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더미바 테일(26)의 이송을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부와, 프레임(10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부(200)와, 프레임(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윈치후크(59)가 안착되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된 윈치후크 가이드(1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주편의 이송에 방해되지 않도록 주편의 폭 보다 넓은 간격을 유지하며 이송경로 상에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된다.
윈치후크 가이드(120)는 프레임(100)의 단부 상부에 윈치후크(59)가 더미바 테일(26)과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윈치후크(59)가 하강하면서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홈(122)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22)은 윈치후크(59)의 위치를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윈치후크 가이드(120)는 주편이 이송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주편의 두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조절부(200)는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프레임(100) 사이로 이송되는 더미바 테일(26)의 양쪽 측면을 가압한다. 조절부(200)는 프레임(100)에 이송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로드(210)와, 로드(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드(21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로드(210)는 이송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로드(210)의 타측에는 이송되는 더미바 테일(26)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더미바 테일(26)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23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롤러(230)는 더미바 테일(26)이 이송됨에 따라 더미바 테일(26)의 측면과 접촉하여 회전한다. 구동부(220)는 로드(2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롤러(230)를 더미바 테일(26)의 측면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더미바 테일(26)의 측면으로부터 제거한다. 이때, 롤러(230)가 더미바 테일(26)의 측면에 접촉했을 때 롤러(230) 사이의 간격은 더미바 테일(26)의 폭정도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미바 테일(26)의 측면으로부터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더미바 바디(24), 더미바 헤드(22) 및 주편이 이송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검지부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더미바 테일(26)이 프레임(100) 내로의 진입 여부를 검지하는 제1검지부(310)와, 윈치후크 가이드(120)에 구비되어 더미바 테일(26)이 윈치후크 가이드(120)로의 진입 여부를 검지하는 제2검지부(320) 및 윈치후크(59)의 권상 여부를 검지하는 제3검지부(330)를 포함한다.
제1검지부(310)는 더미바 테일(26)의 프레임(100) 내로 진입 여부를 검지한다. 제1검지부(310)는 조절부(2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통상 더미바 테일(26)은 단부에서 더미바 바디 측으로 갈수록 폭이 단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검지부(310)가 조절부(200)의 후방에 배치된 경우, 제1검지부(310)를 통해 더미바 테일(26)의 단부를 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검지부(310)를 통해 더미바 테일(26)의 단부를 검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한 후, 즉, 더미바 테일(26)에서 가장 넓은 폭을 갖는 부분이 조절부(200)에 도달할 때 구동부(220)를 동작시켜 로드(2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좋다. 반면에, 제1검지부(310)가 조절부(200)의 전방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1검지부(310)를 통해 더미바 테일(26)의 단부를 검지함과 동시에 구동부(220)를 동작시켜 로드(210)를 이동시키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제1검지부(310)와 로드(210) 사이의 거리는 더미바 테일(26)의 단부에서 더미바 테일(26)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이 시작되는 영역까지의 길이와 비슷한 것이 좋다.
제2검지부(320)는 윈치후크 가이드(120)에 구비되어 더미바 테일(26)의 진입 여부를 검지한다. 제2검지부(320)는 윈치후크 가이드(120)에서 가이드홈(122)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1검지부(310)와 마찬가지로 제2검지부(320)가 가이드홈(122)의 후방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2검지부(320)를 통해 더미바 테일(26)의 단부를 검지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더미바 테일(26)의 양측면에 형성된 핀(28)이 윈치후크(59)가 안착되어 있는 가이드홈(122)에 도착하면, 핀(28)이 윈치후크(59)에 결합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제2검지부(320)가 가이드홈(122)의 전방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2검지부(320)를 통해 더미바 테일(26)의 단부가 검지되면, 더미바 테일(26)의 양측면에 형성된 핀(28)이 윈치후크(59)에 결합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검지부(320)와 가이드홈(122) 사이의 거리는 더미바 테일(26)의 단부와 핀(28)까지의 거리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검지부(330)는 윈치후크(59)가 더미바 테일(26)의 양쪽에 형성된 핀(28)에 결합된 이후 권상 여부를 검지한다.
제1, 제2 및 제3검지부(310, 320, 330)는 레이저 센서, 자기센서,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내지 제3검지부(310, 320, 330)에서 전달된 검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조절부(200) 및 윈치모터(5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서로 연관지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더미바 테일(26)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1검지부(310)는 조절부(200) 전방에 위치하고, 제2검지부(320)는 가이드홈(122) 전방에 위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더미바 카(10)에 장착되어 있는 더미바를 주형 내부에 삽입하여 더미바 헤드를 주형 하부에 배치시킨다. 이어서 제강공정에서 정련된 용강(molten steel)을 주형에 공급하여 주편의 연속주조를 개시한다(S100). 더미바는 주편의 자중 및 핀치롤러(42)의 회전에 의해 주조부(4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더미바에 결합된 주편도 주조부(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S104). 이때, 윈치후크(59)는 더미바를 권상하기 위하여 윈치장치 프레임(52)으로부터 하강하여 윈치후크 가이드(120)에 안착되어 있다(S102). 여기에서 윈치후크(59)를 윈치후크 가이드(120)에 안착시키는 단계는 주편의 연속주조 개시 전이나 후에 수행되거나, 연속주조의 개시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더미바 테일(26)이 더미바 테일 센터링장치에 이르게 되어 더미바 테일 센터링 장치의 프레임(100) 사이로 진입하며, 제1검지부(310)가 더미바 테일(26)의 진입을 검지(S106, 도 8의 (a))하여 검지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에서는 제1검지부(310)에서 전달된 검지 결과에 따라 조절부(200)의 구동부(220)를 동작시켜 구동부(220)에 연결된 로드(210)를 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수평이동시켜 더미바 테일(26)의 이동 방향을 조절한다(S108, 도 8의 (b)). 더미바 테일(26)은 로드(2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즉 롤러(2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더미바 테일(26)이 이송 경로의 중심을 벗어나 사행하는 경우, 더미바 테일(26)의 사행 방향에 위치하는 롤러(230)는 더미바 테일(26)을 이송경로의 중심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고,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롤러(230)는 더미바 테일(26)이 이송경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더미바 테일(26)의 사행 방향에 위치하는 로드(210)만 독립적으로 이동시켜 더미바 테일(26)을 이송경로의 중심쪽으로 밀어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더미바 테일(26)은 사행이 억제되어 이송방향을 중심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어서 더미바 테일(26)이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윈치후크 가이드(120)에 도달하면 제2검지부(320)가 더미바 테일(26)의 진입을 검지하여 제어부에 검지 결과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2검지부(320)에서 더미바 테일(26)이 검지(S109)되면, 윈치후크 가이드(120)에 미리 안착되어 있던 윈치후크(59)에 더미바 테일(26)의 핀(28)이 삽입되어 더미바 테일(26)과 윈치후크(59)가 상호 결합된 것이다(도 8의 (c)).
이와 같이 더미바 테일(26)과 윈치후크(59)가 결합되면(S110), 제어부에서는 윈치모터(56)를 구동하여 윈치 와이어(57)를 권취하여 윈치후크(59)를 상승시킨다(S112, 도 8의 (d)). 이때, 윈치후크 가이드(120)에 설치되어 있는 제3검지부(330)가 윈치후크(59)의 상승을 검지(S114)하여 검지결과를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는 조절부(200)의 구동부(220)를 동작시켜 로드(210)를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수평이동시켜 롤러(230)를 더미바 테일(26)의 측면으로부터 제거한다(S116). 이에 더미바 테일(26)에 연결된 더미바 바디(24), 더미바 헤드(22) 및 주편이 자유롭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로드(210) 및 롤러(230)가 이송경로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이어서 이송되는 고온의 주편으로부터의 열손상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더미바 헤드(22)로부터 주편을 분리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윈치후크(59)에 결합되어 권상된 더미바를 레일(12) 상에 구비된 더미바 카(10)에 탑재하고, 다음 주조를 위해 더미바 카(10)를 주형(30)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0 : 윈치장치 59 : 윈치후크
100 : 프레임 120 : 윈치장치 가이드
200 : 조절부 210 : 로드
220 : 구동수단 230 : 롤러
310 : 제1검지부 320 : 제2검지부
330 : 제3검지부

Claims (11)

  1.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주조장치로서,
    상기 주편의 이송 경로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부와,
    상기 주편의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조절부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조절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윈치후크가 안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윈치후크 가이드 및
    상기 검지부와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으로 더미바 테일의 진입을 검지하는 제1검지부와,
    상기 윈치후크 가이드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후크 가이드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진입을 검지하는 제2검지부 및
    상기 윈치후크 가이드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후크의 권상을 검지하는 제3검지부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검지부는 상기 조절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연속주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검지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연속주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를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타단에는 롤러가 구비되는 연속주조장치.
  7.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주조방법으로서,
    윈치후크를 하강시켜 윈치후크 가이드에 안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주편이 이송되는 이송경로를 따라 더미바를 이송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송경로에 설치된 더미바 테일 센터링장치로 더미바 테일의 진입을 검지하는 과정과,
    상기 더미바 테일 센터링장치에 구비되는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중심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연속주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진입이 검지되면, 상기 더미바 테일이 일정 거리 이송된 후 상기 조절부를 구동하여 상기 더미바 테일의 중심을 조절하는 연속주조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중심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조절부의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양측면에 접촉시키는 연속주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더미바 테일이 사행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로드가 상기 더미바 테일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더미바 테일이 이송경로의 중심으로 이동하는 연속주조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더미바 테일의 중심을 조절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더미바 테일을 상기 윈치후크에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윈치후크를 권상시키는 과정과,
    상기 윈치후크가 권상되면 상기 조절부를 구동하여 상기 이송경로 상에서 상기 로드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연속주조방법.
KR1020120056004A 2012-05-25 2012-05-25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20130131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04A KR20130131991A (ko) 2012-05-25 2012-05-25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04A KR20130131991A (ko) 2012-05-25 2012-05-25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991A true KR20130131991A (ko) 2013-12-04

Family

ID=4998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004A KR20130131991A (ko) 2012-05-25 2012-05-25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19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2129A (zh) * 2014-09-30 2016-04-27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连铸机引锭杆安全提升控制装置及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2129A (zh) * 2014-09-30 2016-04-27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连铸机引锭杆安全提升控制装置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399813B2 (ja) 鋳型鋳造設備
JP6164527B2 (ja) 枠付き上下鋳型の枠合せ装置及び枠合せ方法
KR20130131991A (ko)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101974100B1 (ko) 크롭이송장치
KR101746981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KR20140069502A (ko) 연속 주조 설비의 롤 정렬상태 및 갭 측정장치
KR101553145B1 (ko) 슬라브 제거장치
KR101484629B1 (ko)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100491008B1 (ko) 더미바 분리장치
KR101905763B1 (ko)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KR20110010492A (ko) 슬라브용 스카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408797B2 (ja) 注湯設備
KR101399861B1 (ko) 압연기용 치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047657B2 (ja) 連続鋳造機及びその使用方法
JP6172036B2 (ja) 物品受け取り装置
KR101997735B1 (ko) 후크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위치 조절방법
KR100408674B1 (ko) 슬라브 크롭 적재장치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20190073901A (ko) 더미바 분리장치
KR102143117B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JP3794888B2 (ja) 連続鋳造材の切断方法
KR101751287B1 (ko)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 절단 방법
KR20130059878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8640A (ko) 연속주조설비의 더미바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