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763B1 -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763B1
KR101905763B1 KR1020160173908A KR20160173908A KR101905763B1 KR 101905763 B1 KR101905763 B1 KR 101905763B1 KR 1020160173908 A KR1020160173908 A KR 1020160173908A KR 20160173908 A KR20160173908 A KR 20160173908A KR 101905763 B1 KR101905763 B1 KR 101905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topper
dummy bar
disposed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097A (ko
Inventor
배수열
이옥재
윤춘섭
최서원
오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 B22D11/081Start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 B22D11/085Means for storing or introducing the starter bars in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스토퍼가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레일; 및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정상적인 더미바의 상차작업의 수행시 더미바의 상차위치를 조절하여 상차 작업의 연속성 및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Apparatus for changing the loading position of dummy bar}
본 발명은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더미바를 상차하는 더미바 카의 상차위치를 조절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브 생산을 위한 연속주조공정은 잉곳 케이스의 주조, 형발, 균열, 분괴 압연을 생략하고 직접 용강을 몰드에 주입하여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라브, 블룸, 빌레트(billet) 등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특히, 연주공정에서 주조작업은 몰드 내로 용강을 주입하여 행해지는데, 주조작업에 의해 몰드 내에 형성된 주편은 스스로 몰드 하부에 형성된 만곡부를 가진 주조부를 따라 그 끝단까지 이송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더미바를 이용하여 주편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더미바를 만곡부를 가진 주조부로부터 인발시켜 주편을 주조부로부터 인출시키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더미바는 더미바 헤드, 더미바 몸체, 더미바 꼬리가 링크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37462호(2013.04.16)인 '몰드 보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주조 장치'가 있다.
도 1은 연주공정에서 주조작업을 위해 종래의 더미바 꼬리를 몰드내로 삽입한 주조설비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더미바가 몰드를 통해 주조부내로 삽입완료된 후 실링이 된 주조설비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주조설비에 있어서 더미바 카(10)는 수평하게 설치된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20)은 더미바 카(1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두 개가 상호 이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20)의 일측인 전단에는 몰드(30)가 위치되어 있고, 타측인 후단에는 윈치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몰드(30)의 하부에는 만곡부를 갖춘 주조부(50)가 배치되고, 상기 주조부(50)에는 다수의 핀치롤러(51)가 설치되어 있어서 주편 또는 더미바(60)의 이송을 돕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미바(60)는 더미바 헤드(61), 더미바 몸체(62), 더미바 꼬리(63)가 링크식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더미바 꼬리(63)는 윈치장치(40)의 윈치후크(41)에 걸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주조작업을 위해 상기 더미바(60)를 상차된 더미바 카(10)가 상차위치(A)에서 삽입위치(B)로 이동하여 상기 더미바 꼬리(63)를 상기 몰드(30)를 통해 주조부(50)로 삽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바 헤드(61)의 상면은 몰드(3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더미바(60)의 삽입이 완료되면 몰드(30)와 더미바 헤드(61)의 모서리 틈 사이를 실런트(sealant)로 밀봉함으로서 실링작업이 끝나게 된다.
한편, 주조부(50)의 후단에는 더미바 헤드 분리장치(70)와 다수의 주편 이송롤러(71)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상기 더미바(60)를 인상시키는 윈치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치장치(40)는 윈치후크(41), 윈치모터(42), 윈치드럼(43), 윈치 와이어(44) 및 윈치장치 프레임(45)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윈치드럼(43)은 윈치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윈치드럼(43)에는 윈치 와이어(44)가 감겨있고, 윈치 와이어(44)의 끝에는 윈치후크(41)가 고정되어 있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미바(60)가 상기 몰드(30)를 통해 상기 주조부(50)로 삽입될 때, 윈치후크(41)는 하강하여 윈치후크 가이드(46)에 안착됨으로서 주조준비가 완료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80)내의 용강이 래들(80)의 하부에 설치된 쉬라우드 노즐(81)을 통해 턴디시(82)로 출강되고, 턴디시(82) 내로 출강된 용강이 턴디시(82) 하부에 마련된 침지노즐(83)을 통해 몰드(30)내로 주조된다. 이때, 몰드(30) 내로 주조된 용강에 의해 형성된 주편이 주조부(50)내에 삽입되어 있는 더미바(60)를 상기 주편의 자중으로 밀게되면 더미바 꼬리(63)가 윈치후크 가이드(46)에 안착된 윈치후크(41)에 도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강의 주조에 의해 상기 몰드(30)내에 위치한 더미바 헤드(61)의 주편공동부에 공급된 용강이 응고되어 상기 더미바 헤드(61)와 주편을 결합시키는 주편 연결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상기 더미바 헤드(61)와 주편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윈치후크 가이드(46)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더미바 꼬리(63)가 상기 윈치후크 가이드(46)에 도착한 것이 감지되면 윈치장치(40)의 윈치모터(42)가 구동하게 된다. 윈치모터(42)의 구동에 의해 윈치드럼(43)이 회전하면 더미바(60)는 더미바 꼬리(63)에 윈치후크(41)가 결합되어 상승함으로서 더미바(60)에 결합되어 있는 주편을 인출시키게 된다.
상기 더미바 헤드 분리장치(70)의 작동으로 상기 주편 연결부와 더미바 헤드(61)가 분리되면 상기 주편 이송롤러(71)가 구동되어 주편을 이송하고 더미바(60)는 윈치장치(40)의 윈치홀(47)을 통해 상승됨으로서 더미바(60)와 주편의 분리가 완료된다.
그러나, 주편 인발 횟수의 증가와 생산횟수 증가로 인해 장치의 피로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업 중 비정상적인 더미바의 상차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데, 더미바(60)의 인발 중 윈치후크(41)가 더미바 꼬리(63)를 픽업(Pick-up)하지 못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크레인(90)에 비상용 픽업후크(91)를 체결하여 더미바(60)를 권상하게 된다. 이때, 더미바 헤드(61)와 주편을 분리한 후 설비의 외측으로 더미바(60)를 옮기게 된다.
그리고, 주조가 완료되면 천정크레인(90)을 이용하여 주편 이송롤러(71)에 더미바(60)를 안착시킨 후 더미바(60)를 후진시킨다. 그리고 나서, 윈치장치(40)를 통해 상술 된 바와 같이 더미바 카(10)에 더미바(40)를 상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의 경우 시간 소요가 과다되어 상차 작업의 연속성 및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정상적인 더미바의 상차작업의 수행시 더미바의 상차위치를 조절하여 상차 작업의 연속성 및 신속성을 보장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제1 스토퍼가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레일; 및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레일은 상기 제1 레일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대기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비상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비상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더미바 카의 휠은 상기 제1 스토퍼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레일의 상면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홀에 결합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3 레일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는 상기 제3 레일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래크;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래크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피니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피니언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는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더미바 카의 휠은 상기 제2 스토퍼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는 비정상적인 더미바의 상차작업의 수행시 더미바의 상차위치를 조절하여 상차 작업의 연속성 및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는 제2 스토퍼의 이동을 이용하여 더미바 카의 배치위치(이동범위)를 제어함으로써, 신속하게 더미바의 상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연주공정에서 주조작업을 위해 더미바 꼬리를 몰드내로 삽입한 주조설비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더미바가 몰드를 통해 주조부내로 삽입완료된 후 실링이 된 주조설비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주조가 완료된 후 더미바와 주편을 분리하는 주조설비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조업 중 비정상적인 운행을 하는 더미바를 권상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의 대기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의 비상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C-C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는 더미바 카(10)가 이동한 후 멈추는 지정위치를 조정하여 더미바(60)의 상차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비정상적 상태가 발생된 더미바(60)를 천정크레인(90)을 이용하여 더미바 카(10)에 상차할 때,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는 더미바 카(10)가 이동할 수 있는 지정위치를 제어하여 상차 작업의 연속성 및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더미바 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컨베이어 후크(11)와 휠(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미바 카(10)는 레일(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레일(20)은 제1 레일(21)과 제2 레일(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일(21)은 제2 레일(2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있는바, 제1 레일(21)과 제2 레일(22) 사이에는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의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는 제3 레일(100) 및 제3 레일(1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토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레일(100)은 제1 레일(21)과 제2 레일(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레일(1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21) 및 제2 레일(22)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레일(100)은, 윈치장치(40)에 의해 더미바(60)가 권상될 때, 더미바(6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레일(100)은 윈치홀(47)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 레일(100)의 상면(110)은 제1 레일(21) 및 제2 레일(22) 각각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일(21)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바 카(10)의 휠(12)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제1 스토퍼(21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레일(100)의 상면(110)에는 복수 개의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1)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200)는 제3 레일(1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제3 레일(1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스토퍼부(200)는 본체(210) 및 본체(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스토퍼(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200)는 대기위치와 비상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위치는 제1 레일(21)과 제2 레일(22) 사이에 제2 스토퍼(220)가 배치되는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비상위치는 제2 스토퍼(220)가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이탈하여 배치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상위치는 스토퍼부(200)의 제2 스토퍼(220)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체(210)는 제3 레일(1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제3 레일(100)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211)는 본체(210)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211)는 제3 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300)는 본체(2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홀(1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는 플랜지(211)를 관통하여 상기 홀(1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210)가 상기 대기위치 또는 상기 비상위치로 이동한 후, 고정부재(300)를 통해 본체(210)는 제3 레일(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스토퍼(220)는 본체(210)의 상부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토퍼(220)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더미바 카(10)의 휠(12)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스토퍼부(2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7은 상기 스토퍼부(200)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상기 스토퍼부(200)가 상기 비상위치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200)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더미바 카(10)의 휠(12)은 제2 스토퍼(220)에 의해 지지된다. 그에 따라, 더미바 카(10)는 제2 스토퍼(220)에 의해 제1 레일(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을 뿐 제2 레일(22)을 따라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연속주조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윈치장치(40)에 의해 더미바(60)는 일정 높이 상승하여 더미바 카(10)의 체인 컨베이어 후크(11)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더미바 카(10)의 회전장치(도시안함)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도시안함)가 회전함에 따라, 체인 컨베이어 후크(11)에 걸린 더미바(60)는 더미바 카(10)의 상부에 상차된다. 그에 따라, 상술된 바와 같이, 더미바 카(10)는 상차위치(A)에서 삽입위치(B)로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200)가 상기 비상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더미바 카(10)의 휠(12)은 제1 스토퍼(21a)에 의해 지지된다. 그에 따라, 더미바 카(10)는 제2 레일(22)을 따라 제1 스토퍼(21a)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더미바(60)에 문제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더미바(60)의 상차작업이 수행시, 비정상적 상태가 발생된 더미바(60)를 천정크레인(90)을 이용하여 상기 더미바(60)를 체인 컨베이어 후크(11)에 걸리게 한다. 그에 따라, 상술 된 바와 같이, 더미바(60)는 더미바 카(10)의 상부에 상차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a)를 살펴보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a)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a)는 제1 레일(21)과 제2 레일(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a)는 제3 레일(100a), 제3 레일(100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토퍼부(200), 구동부(400) 및 피니언(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a)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a)의 제3 레일(100a)은 제1 레일(21)과 제2 레일(22)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110)에는 복수 개의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레일(100a)의 측면을 따라 래크(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스토퍼부(200)의 본체(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400)는 래크(120)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피니언(5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210)는 제3 레일(10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본체(210)는 래크(120)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피니언(5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와 상기 비상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400)로는 스텝 모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a)가 상기 대기위치 또는 상기 비상위치로 이동한 후, 고정부재(300)에 의해 스토퍼부(200)는 제3 레일(100a)에 고정될 수 있다.
종합해보면, 연속주조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 1a)의 스토퍼부(200)는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하여 연속주조공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게 한다.
그러나, 더미바(60)에 문제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더미바(60)의 상차작업이 수행시, 상기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1, 1a)의 스토퍼부(200)는 상기 비상위치에 위치하여 신속하게 더미바(60)를 더미바 카(10)에 상차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a :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10 : 더미바 카 20 : 레일
21 : 제1 레일 21a : 제1 스토퍼
22 : 제2 레일
40 : 윈치장치 60 : 더미바
90 : 천정크레인
100, 100a : 제3 레일 120 : 래크
200 : 스토퍼부 210 : 본체
220 : 제2 스토퍼
300 : 고정부재
400 : 구동부
500 : 피니언

Claims (7)

  1. 더미바가 상차되는 더미바 카가 멈추는 지정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더미바의 상차위치를 조절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제1 스토퍼가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레일과 제2 레일 사이에 일 영역이 배치되는 제3 레일; 및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더미바 카의 휠은 상기 스토퍼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스토퍼 또는 상기 제2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어 멈추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레일은 상기 제1 레일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상기 제2 스토퍼가 위치하는 대기위치와 상기 대기위치에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상기 제2 스토퍼가 위치하는 비상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비상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더미바 카의 휠은 상기 제1 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스토퍼에 지지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레일의 상면에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홀에 결합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3 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레일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래크;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래크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피니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피니언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는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더미바 카의 휠은 상기 제2 스토퍼에 지지되는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KR1020160173908A 2016-12-19 2016-12-19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KR101905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08A KR101905763B1 (ko) 2016-12-19 2016-12-19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08A KR101905763B1 (ko) 2016-12-19 2016-12-19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97A KR20180071097A (ko) 2018-06-27
KR101905763B1 true KR101905763B1 (ko) 2018-10-10

Family

ID=6278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08A KR101905763B1 (ko) 2016-12-19 2016-12-19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7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758B1 (ko) * 2014-12-17 2016-04-18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의 경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758B1 (ko) * 2014-12-17 2016-04-18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의 경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97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5966A (ko) 캐스팅 롤의 신속한 준비 및 교체를 위한 스트립 캐스팅 장치
CN101870050A (zh) 焊机的上料架
KR101435460B1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KR101905763B1 (ko) 더미바 상차위치 조절장치
JP2018065168A (ja) 注湯装置
JP6164527B2 (ja) 枠付き上下鋳型の枠合せ装置及び枠合せ方法
KR20140069502A (ko) 연속 주조 설비의 롤 정렬상태 및 갭 측정장치
KR101974100B1 (ko) 크롭이송장치
KR101553145B1 (ko) 슬라브 제거장치
KR101792094B1 (ko) 연속 주조기 및 그 사용 방법
KR101726072B1 (ko) 스트립 유도 장치
KR20130131991A (ko)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101484629B1 (ko) 연속주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101932647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알루미늄 주조용 철망필터 공급장치
KR20120020372A (ko) 철근 이송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3461951A (en) Lowering trough assembly for use with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3794888B2 (ja) 連続鋳造材の切断方法
KR102143117B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KR100408674B1 (ko) 슬라브 크롭 적재장치
KR101751287B1 (ko)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편 절단 방법
KR102388090B1 (ko)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
CN117733123B (zh) 连续卸料装置、系统及方法
JP2015098034A (ja) 連続鋳造設備用連結金物投入装置および連結金物投入方法
JP5929517B2 (ja) 連続鋳造設備用連結金物投入装置
KR20190073901A (ko) 더미바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