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11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111A
KR20130129111A KR1020130052353A KR20130052353A KR20130129111A KR 20130129111 A KR20130129111 A KR 20130129111A KR 1020130052353 A KR1020130052353 A KR 1020130052353A KR 20130052353 A KR20130052353 A KR 20130052353A KR 20130129111 A KR20130129111 A KR 20130129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nnector
plug
hous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6810B1 (ko
Inventor
다카유키 니시무라
히로아키 오비카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과 잠금부 사이의 결합 강도 및 잠금 강도 모두 보장할 수 있고 피치 감소 및 소형화에 대처할 수 있는 잠금 기구를 가지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 (1) 는 플러그측 하우징 (5),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전기 접속되도록 된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및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를 포함한다.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각각은, 평판의 평면의 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 (3) 와 잠금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되고 평판형 형상을 가지는 잠금판 (19), 및 잠금판 (19)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닝부 (21A, 21B)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출원은 2012 년 5 월 18 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114841 호에 기초하고 또한 이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일본 특허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의 표면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기판 커넥터 (기판 대 기판 커넥터) 가 종래에 사용되었다.
기판 커넥터는 한 쌍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의 접촉 부재들이 서로 접촉하여서, 그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안으로 삽입된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각각 절연 하우징 및 이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전도성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게다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이 하우징을 보강하고 커넥터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 (잠금) 하기 위한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잠금 기구는, 커넥터 중 하나가 잠금 후크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커넥터는 후크부와 맞물림을 위한 리세스를 가지도록 그리고 후크부를 리세스안으로 삽입함으로써 잠금이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6 에 나타난 것처럼, JP-A-2009-259675 (특허 문헌 1) 에서, 판형 보강 금속 피팅 (4) 이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2) 에 고정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6) 에 고정된 보강 금속 피팅 (8) 의 리세스가공된 맞물림부 (81) 로 보강 금속 피팅 (4) 의 후크 형상의 맞물림부 (42) 를 삽입함으로써, 보강 금속 피팅 (4) 과 보강 금속 피팅 (8) 이 함께 고정된다.
특허 문헌 1 에서, 보강 금속 피팅 (4) 의 단부면이 잠금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보강 금속 피팅 (4) 의 고정부 (40) 를 커넥터 하우징 (2) 안으로 압입 끼워맞춤으로써 보강 금속 피팅 (4) 은 커넥터 하우징 (2) 에 고정된다.
JP-A-2004-55464 (특허 문헌 2) 에서, 잠금부의 단부면이 잠금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잠금부의 일부를 하우징안으로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판형 잠금부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JP-A-2008~53119 (특허 문헌 3) 에서, 잠금 금속 피팅은 용접에 의해 보강 금속 피팅에 고정된다.
하지만, 특허 문헌 1 에 기술한 대로 잠금 부재가 이 하우징안으로 압입 끼워맞춤된 구조에서, 잠금 부재와 이 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메이팅 잠금 부재가 간극으로 들어가 이 하우징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 에 기술한 대로 잠금 부재의 단부면이 잠금 방향으로 배향된 채 잠금 부재가 이 하우징안으로 압입 끼워맞춤된 구조에서, 잠금 방향과 압입 끼워맞춤 방향이 동일하므로, 잠금 부재와 이 하우징 사이에 결합 강도 (joining strength) 가 충분히 보장될 수 없어서,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잠금을 해제할 때 잠금이 완전히 해제되지 않는다면 잠금 부재가 이 하우징에서 제거될 수도 있는 가능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2 에 기술한 대로 잠금부의 단부면이 잠금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잠금부를 인서트 몰딩하는 방법에서, 잠금부의 잠금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잠금량이 충분히 보장될 수 없어서, 잠금이 쉽게 해제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3 에 기술한 대로 용접에 의한 고정 방법은, 감소하는 피치와 증가하는 소형화로, 현재 기판 커넥터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고려해 만들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과 잠금부 사이의 결합 강도 및 잠금 강도 모두 보장할 수 있고 피치 감소 및 소형화에 대처할 수 있는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예시적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다른 커넥터에 전기 접속되도록 된 접촉자, 및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다른 커넥터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평판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평판 평면의 법선 방향이 상기 다른 커넥터와 잠금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된 잠금판, 및 상기 잠금판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닝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양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적어도 상부면에서 개방되고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홈부 (groove portion)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판이 상기 홈부의 상기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리테이닝부는, 상기 잠금판의 대향한 측부들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안으로 인서트 몰딩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부는 상기 잠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보강부는, 상기 홈부의 상기 개방된 측면으로부터 상기 개방된 측면에 대향하는 면을 향하여 돌출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보강부는 오목한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홈부의 상기 개방된 측면 측에서, 상기 잠금판의 단부면은 상기 잠금판의 적어도 정면 측에 챔퍼가공부 (chamfered portion)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를 연결 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단자부는 상기 잠금판에 제공된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 대상에 연결되도록 된 전방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하우징안으로 인서트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단자부는 상기 리테이닝부를 통하여 상기 잠금판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대상은 예를 들어 기판 또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 (FPC)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과 잠금부 사이의 결합 강도 및 잠금 강도를 모두 보장할 수 있고 피치 감소 및 소형화에 대처할 수 있는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커넥터 유닛 (100) 을 사용해 플렉시블 (flexible) 인쇄 회로 (201) 와 리지드 (rigid) 기판 (203) 이 함께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화살표 A 에서 본 도면 (측면도) 이다.
도 3 은 도 1 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 (201)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리지드 기판 (203)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플러그 커넥터 (1)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평면도 (상면도) 이다.
도 7 은 리셉터클 커넥터 (3)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평면도 (상면도) 이다.
도 9 는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가 함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B-B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 은 플러그측 잠금부 (5A)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는 플러그측 잠금부 (5A) 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 은 플러그측 잠금부 (5A) 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 는 플러그측 잠금부 (5A) 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 는 플러그 커넥터 (1) 를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 은 플러그 커넥터 (1) 를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D-D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지만,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는 그것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 있다.
도 18 은 도 16 의 E-E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지만,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는 그것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 있다.
도 19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측 잠금부 (5A')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 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측 잠금부 (5A")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1A)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는 플러그 커넥터 (1A) 의 플러그측 잠금부 (51A)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1B)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 는 플러그 커넥터 (1B) 의 플러그측 잠금부 (52A)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측 잠금부 (53A)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잠금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 (100) 및 커넥터 유닛 (100) 을 형성하는 커넥터들이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본원에서, 커넥터 유닛 (100) 은 기판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결합으로 예시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난 것처럼, 커넥터 유닛 (100) 은 예를 들어 플렉시블 인쇄 회로 (FPC; 201) 와 리지드 기판 (203) 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기판 커넥터이다. 이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커넥터 유닛 (100) 은 플렉시블 인쇄 회로 (201) 에 제공된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 (1), 및 리지드 기판 (203) 에 제공되고 플러그 커넥터 (1) 에 연결되도록 된 다른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 (3) 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 (1) 는 평면도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플러그측 하우징 (5), 플러그측 하우징 (5) 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피치로 배열된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및 플러그측 하우징 (5) 의 4 개의 모서리에 제공되고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 (3) 는 평면도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두꺼운 판형의 리셉터클측 하우징 (9), 리셉터클측 하우징 (9) 에 의해 유지되고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에 연결되도록 된 리셉터클측 접촉자 (11A, 11B), 및 리셉터클측 하우징 (9) 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제공되고 잠금시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와 맞물리도록 된 한 쌍의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를 포함한다.
다음에, 플러그 커넥터 (1) 의 구조가 도 5, 도 6, 및 도 9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측 하우징 (5) 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기다란 판형 메이팅측 피팅부 (15A, 15B) 및 메이팅측 피팅부 (15A, 15B) 의 단부 부분들 사이에서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 (15C, 15D) 를 포함한다. 메이팅측 피팅부 (15A, 15B) 와 연결부 (15C, 15D) 는 평면도에서 중공의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도 5 및 도 6 에서, 메이팅측 피팅부 (15A, 15B) 는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에 대응하고 반면에 연결부 (15C, 15D) 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변에 대응한다.
도 5, 도 6,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난 것처럼, 플러그측 하우징 (5) 은 홈부들 (17A, 17B, 17C, 17D) 을 포함하는데 이 홈부는 연결부 (15C, 15D) 에 형성되고 그것의 상부면 및 부분적으로 그것의 측면에서 개방된다.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는 각각 홈부들 (17A, 17B, 17C, 17D) 의 상부면에 제공된다.
본원에서, 홈부들 (17A, 17B, 17C, 17D) 이 형성되도록 각각의 메이팅측 피팅부 (15A, 15B) 의 양쪽 외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도 11 내지 도 14 에 나타난 것처럼, 플러그측 잠금부 (5A) 는 홈부 (17A) 의 상부면에 제공된 평판형 잠금판 (19), 및 잠금판 (19) 으로부터 연장되고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리테이닝부 (21A, 21B) 를 포함한다.
평판의 평면의 법선 방향이 플러그 커넥터 (1) 및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잠금 방향 (H) 으로 배향되도록 잠금판 (19) 은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된다.
한편, 리테이닝부 (21A, 21B) 각각은 판형 형상을 가지고 잠금판 (19) 의 대향한 측단부면들 (대향한 측부들) 로부터 아래로 구부러진다.
플러그측 잠금부 (5A) 는 잠금 방향 (H) 과 교차하는 방향 (도 11 의 방향 (I)) 으로,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대해, 리테이닝부 (21A, 21B) 의 내측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잠금판 보강부 (23A, 23B) 를 더 포함한다. 즉, 잠금판 보강부 (23A, 23B) 는 홈부들 (17A, 17B, 17C, 17D) 의 개방 측면으로부터 개방 측면에 대향하는 면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리테이닝부 (21A, 21B) 와 잠금판 보강부 (23A, 23B) 는 일반적으로 L-형상을 형성한다. 잠금판 보강부들 (23A, 23B)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면 충분하고, 즉 둘 다 형성할 필요가 없다.
플러그측 잠금부 (5A) 는 잠금판 (19) 을 연결 대상으로서 플렉시블 인쇄 회로 (201) 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 (25) 를 더 포함한다. 단자부 (25) 는 잠금판 (19) 의 후방 단부면, 즉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대한 내측 단부면으로부터 아래로 구부러지고, 플러그측 하우징 (5) 안으로 인서트 몰딩된 판형 중간부 (27), 및 잠금판 (19) 에 대향하도록 중간부 (27) 의 단부면으로부터 구부러지고 납땜 등에 의해 플렉시블 인쇄 회로 (201) 에 연결되도록 된 판형 전방 단부 부분 (29) 을 포함한다 (도 14 참조). 이런 식으로, 플러그측 잠금부 (5A) 는 잠금판 (19) 의 3 개의 측면에서 인서트 몰딩되므로, 하우징과 잠금부 사이의 결합 강도 및 잠금 강도가 더 증가한다.
도 13 에 나타난 것처럼, 홈부 (17A) 의 개방 측면측에서, 잠금판 (19) 의 단부면은 적어도 정면측에서 (도 13 에서는, 정면 및 배면측 모두에서) 챔퍼가공부 (30) 가 형성된다.
플러그측 잠금부들 (5B, 5C, 5D) 의 구조는 플러그측 잠금부 (5A) 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잠금판 보강부들 (23A, 23B) 이 리테이닝부들 (21A, 21B) 에 각각 제공되지만, 그 보강부들 중 단 하나만 대응하는 리테이닝부 (21A, 21B)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플러그측 잠금부들 (5A, 5B, 5C, 5D) 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음에,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구조는 도 7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 에 나타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리셉터클측 하우징 (9) 은 리셉터클측 접촉자 (11A, 11B) 의 피치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측벽부들 (31A, 31B), 및 서로 마주보고 제 1 측벽부들 (31A, 31B) 의 단부 부분 사이에서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 2 측벽부들 (31C, 31D) 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제 1 측벽부 (31A, 31B) 는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에 대응하고, 제 2 측벽부 (31C, 31D) 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변에 대응한다.
도 7 에 나타난 것처럼, 리셉터클측 하우징 (9) 의 상부면에서, 플러그 커넥터 (1) 의 메이팅측 피팅부 (15A, 15B) 가 삽입되는 홈부 (33A, 33B) 는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을 따라 형성되고, 리셉터클측 접촉자 (11A, 11B) 는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피치로 배열되고 홈부 (33A, 33B) 위에 놓여있다.
홈부 (33A, 33B) 의 단부 부분은 직사각형 형상의 단변을 따라 형성된 연결 홈 (35A, 35B) 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블록형 볼록부 (37) 는 홈부 (33A, 33B) 사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서 평면도 형상은 전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측 하우징 (5) 의 중공의 직사각형 형상에 대응한다.
또한, 판형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는 제 2 측벽부 (31C, 31D) 에 제공된다.
도 8 에 나타난 것처럼,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각각은 평면도에서 C 형상을 가지는 판형 부재이고 C 형상의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의 양 단부 부분이 연결 홈 (35A, 35B) 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된다.
C 형상의 판형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의 양 단부 부분이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의 잠금판 (19) 과 맞물리도록 된 돌기 (43A, 43B) 를 포함한다 (도 10 참조). 마찬가지로, C 형상의 판형 리셉터클측 잠금부 (41B) 의 양 단부 부분은 플러그측 잠금부 (5C, 5D) 의 잠금판 (19) 과 맞물리도록 된 돌기 (43C, 43D) 를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를 형성하는 각각의 부재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에, 커넥터 유닛 (100) 에서 플러그 커넥터 (1) 를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결합하는 프로세스가 도 15 내지 도 18 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5 및 도 17 에 나타난 것처럼, 평면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홈부 (33A, 33B) 의 위치 및 평면에서 플러그 커넥터 (1) 의 메이팅측 피팅부 (15A, 15B) 의 위치는 서로 일치하고 그 후 메이팅측 피팅부 (15A, 15B) 는 홈부 (33A, 33B) 안으로 삽입된다 (도 5 및 도 7 참조).
이 경우에,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의 잠금판 (19) 과 플러그측 잠금부 (5C, 5D) 의 잠금판 (19) 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C 형상의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의 양 단부 부분과 접촉하여서,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를 누른다.
그러므로, C 형상의 양 단부 부분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가 탄성 변형되는 동안, 돌기 (43A, 43B) 및 돌기 (43C, 43D) 는 잠금판 (19) 의 챔퍼가공부 (30) 에 의해 가이드되며 타고 이동하여 홈부 (17A, 17B) 및 홈부 (17C, 17D) 에 도달한다.
도 16 및 도 18 에 나타난 것처럼, 돌기 (43A, 43B) 및 돌기 (43C, 43D) 가 홈부 (17A, 17B) 및 홈부 (17C, 17D) 에 도달했을 때, 잠금이 완료되도록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는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는 방향 (C 형상의 양 단부 부분이 폐쇄되는 방향) 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리셉터클측 접촉자 (11A, 11B) 와 접촉하게 되어서 함께 탄성 연결된다.
본원에서, 잠금판 (19) 에 제공된 리테이닝부 (21A, 21B) 가 인서트 몰딩되므로, 잠금판 (19) 과 플러그측 하우징 (5)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1) 를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결합할 때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가 잠금판 (19) 과 플러그측 하우징 (5) 사이로 들어가서 플러그측 하우징 (5) 을 손상시킬 가능성은 없다. 또한, 리테이닝부 (21A, 21B) 와 플러그측 하우징 (5) 사이의 결합 강도는 또한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잠금판 보강부 (23A, 23B) 는 잠금 방향 (H) 과 교차하도록 리테이닝부 (21A, 21B) 에 제공되므로, 플러그 커넥터 (1) 를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할 때 각각의 잠금판 (19) 에 인가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테이닝부 (21A, 21B) 의 변형을 방지하여서 하우징과 잠금부 사이의 결합 강도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평면의 법선 방향이 잠금 방향 (H) 으로 배향되도록 각각의 잠금판 (19) 이 제공되므로, 즉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가 잠금판 (19) 의 두께 방향으로 잠금되므로, 리셉터클측 잠금부 (41A, 41B) 와 잠금판 (19) 의 맞물림 양 (잠금량) 을 증가시켜서 단부면이 잠금 방향 (H) 으로 배향되는 구조와 비교해 잠금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판 (19) 에 제공된 리테이닝부 (21A, 21B) 가 인서트 몰딩되므로, 용접과 같은 결합은 별도로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1) 의 피치 감소 및 소형화에 대처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 (1) 는,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잠금판 (19) 사이의 결합 강도 및 잠금 강도 양자를 보장할 수 있고 피치 감소 및 소형화에 대처할 수 있는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를 구비한다.
전술한 대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 (1) 는 플러그측 하우징 (5),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전기 접속되도록 된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및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를 포함한다.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각각은, 평판의 평면의 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 (3) 와 잠금 방향 (H) 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되고 평판형 형상을 가지는 잠금판 (19), 및 잠금판 (19)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닝부 (21A, 21B) 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1) 는,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잠금판 (19) 사이의 결합 강도 및 잠금 강도 양자를 보장할 수 있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피치 감소 및 소형화에 대처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및 제 2 변형예가 도 19 및 도 20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및 제 2 변형예는, 잠금판 보강부 (23A, 23B) 가 각각 리테이닝부 (21A, 21B) 의 면에서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서,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그 부분들을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1C; 미도시) 에서, 플러그측 잠금부 (5A', 5A") 의 잠금판 보강부 (23A', 23B', 23A", 23B") 는 리테이닝부 (21A', 21B', 21A", 21B") 의 즉 단부면이 아닌 면에 제공되고, 도 19 에서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도 20 에서는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이런 식으로, 잠금판 보강부 (23A', 23B', 23A", 23B") 가 잠금 방향 (H) 과 교차하는 방향 (도 19 및 도 20 의 방향 (J)) 으로 형성되는 한, 그것의 위치는 제 1 실시형태의 위치로 제한되지 않고 그것의 형상은 오목한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플러그측 잠금부 (5B', 5C', 5D', 5B", 5C", 5D") 는 플러그측 잠금부 (5A', 5A") 와 형상이 동일하므로,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므로,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전술한 대로,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또는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 (1C) 는 플러그측 하우징 (5),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전기 접속되도록 된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및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5A", 5B", 5C", 5D") 를 포함한다. 플러그측 잠금부 (5A', 5B', 5C', 5D', 5A", 5B", 5C", 5D") 는 각각 평판의 평면의 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 (3) 와 잠금 방향 (H) 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되고 평판형 형상을 가지는 잠금판 (19), 및 잠금판 (19)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닝부 (21A', 21B', 21A", 21B") 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도 21 및 도 22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2 실시형태는, 단자부 (25A) 가 리테이닝부 (21A) 를 통하여 잠금판 (19) 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서,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그 부분들을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 에 나타난 것처럼,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1A) 에서, 플러그측 잠금부 (51A) 의 단자부 (25A) 는 잠금판 (19) 에 직접 제공되지 않고, 리테이닝부 (21A), 즉 리테이닝부들 (21A, 21B) 중 하나를 통하여 잠금판 (19) 에 제공된다.
이런 식으로, 단자부 (25A) 는 반드시 잠금판 (19) 에 직접 제공되지는 않는다.
플러그측 잠금부 (51B, 51C, 51D) 는 플러그측 잠금부 (51A) 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므로,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플러그측 잠금부들 (51A, 51B, 51C, 51D) 중에서, 플러그측 잠금부들 (51A, 51D) 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플러그측 잠금부들 (51B, 51C) 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플러그측 잠금부 (51A, 51D) 의 단자부 (25A, 25D) 는 각각 리테이닝부 (21A) 를 통하여 잠금판 (19)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잠금부 (51B, 51C) 의 단자부 (25B, 25C) 는 각각 리테이닝부 (21B) 를 통하여 잠금판 (19) 에 제공된다.
전술한 대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 (1A) 는 플러그측 하우징 (5),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전기 접속되도록 된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및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플러그측 잠금부 (51A, 51B, 51C, 51D) 를 포함한다. 플러그측 잠금부 (51A, 51B, 51C, 51D) 각각은, 평판의 평면의 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 (3) 와 잠금 방향 (H) 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되고 평판형 형상을 가지는 잠금판 (19), 및 잠금판 (19)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닝부 (21A, 21B) 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도 23 및 도 24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3 실시형태는, 잠금판 보강부 (23A, 23B) 가 리테이닝부 (21A, 21B) 에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3 실시형태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서,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그 부분들을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난 것처럼,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1B) 에서, 플러그측 잠금부 (52A) 의 리테이닝부 (21A, 21B) 는 잠금판 보강부 (23A, 23B) 를 가지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잠금판 (19) 이 단지 리테이닝부 (21A, 21B) 및 단자부 (25) 에 의해서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단단히 리테이닝될 수 있는 한, 잠금판 보강부 (23A, 23B) 는 반드시 제공되지는 않는다.
플러그측 잠금부 (52B, 52C, 52D) 가 플러그측 잠금부 (52A) 와 형상이 동일하므로,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구조가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므로,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전술한 대로,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 (1B) 는 플러그측 하우징 (5),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전기 접속되도록 된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및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플러그측 잠금부 (52A, 52B, 52C, 52D) 를 포함한다. 플러그측 잠금부 (52A, 52B, 52C, 52D) 각각은 평판의 평면의 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 (3) 와 잠금 방향 (H) 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되고 평판형 형상을 가지는 잠금판 (19), 및 잠금판 (19)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닝부 (21A, 21B) 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도 25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4 실시형태는, 잠금판 보강부 (23A, 23B) 와 단자부 (25) 가 잠금판 (19) 에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4 실시형태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품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서,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그 부분들을 설명한다.
도 25 에 나타난 것처럼,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1D; 미도시) 에서, 플러그측 잠금부 (53A) 의 잠금판 (19) 은 잠금판 보강부 (23A, 23B) 또는 단자부 (25) 를 구비하지 않고, 단지 리테이닝부 (21A, 21B) 만 구비한다.
이런 식으로, 잠금판 (19) 이 단지 리테이닝부 (21A, 21B) 에 의해서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단단히 리테이닝될 수 있는 한, 잠금판 보강부 (23A, 23B) 및 단자부 (25) 는 반드시 제공되지는 않는다.
플러그측 잠금부 (53B, 53C, 53D) 는 플러그측 잠금부 (53A) 와 형상이 동일하므로 그리고 플러그측 하우징 (5) 및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므로,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전술한 대로,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 (1D) 는 플러그측 하우징 (5),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3) 에 전기 접속되도록 된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및 플러그측 하우징 (5)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접촉자 (7A, 7B) 와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플러그측 잠금부 (53A, 53B, 53C, 53D) 를 포함한다. 플러그측 잠금부 (53A, 53B, 53C, 53D) 각각은 평판의 평면의 법선 방향이 리셉터클 커넥터 (3) 와 잠금 방향 (H) 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되고 평판형 형상을 가지는 잠금판 (19), 및 잠금판 (19) 에 제공되고 플러그측 하우징 (5) 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닝부 (21A, 21B) 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잠금판 (19) 은 평판형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잠금판 (19) 은 상부면 측 또는 하부면 측에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잠금부는 잠금판 (19) 에 제공된 리테이닝부 (21A, 21B) 를 하우징안으로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하우징에 리테이닝된다. 하지만, 잠금부는 리테이닝부 (21A, 21B) 를 하우징안으로 압입 끼워맞춤함으로써 하우징에 리테이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를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그 변경 또는 개선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10)

  1. 커넥터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다른 커넥터에 전기 접속되도록 된 접촉자; 및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다른 커넥터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평판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평판의 평면의 법선 방향이 상기 다른 커넥터와 잠금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공된 잠금판; 및
    상기 잠금판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닝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적어도 상부면에서 개방되고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홈부 (groove portion)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판이 상기 홈부의 상기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리테이닝부는, 상기 잠금판의 대향한 측부들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안으로 인서트 몰딩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는 상기 잠금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홈부의 상기 개방된 측면으로부터 상기 개방된 측면에 대향하는 면을 향하여 돌출한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오목한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개방된 측면 측에서, 상기 잠금판의 단부면은 상기 잠금판의 적어도 정면 측에 챔퍼가공부 (chamfered portion) 를 포함하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부를 연결 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잠금판에 제공된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 대상에 연결되도록 된 전방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하우징안으로 인서트 몰딩되는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리테이닝부를 통하여 상기 잠금판에 제공되는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은 기판 또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 (FPC) 인 커넥터.
KR1020130052353A 2012-05-18 2013-05-09 커넥터 KR101536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4841A JP5732430B2 (ja) 2012-05-18 2012-05-18 コネクタ
JPJP-P-2012-114841 2012-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111A true KR20130129111A (ko) 2013-11-27
KR101536810B1 KR101536810B1 (ko) 2015-07-14

Family

ID=4951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353A KR101536810B1 (ko) 2012-05-18 2013-05-09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77371B2 (ko)
JP (1) JP5732430B2 (ko)
KR (1) KR101536810B1 (ko)
DE (1) DE102013209219B4 (ko)
FI (1) FI125307B (ko)
TW (1) TWI55800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60B1 (ko) 2015-07-27 2017-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글리보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정장 또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3082A (ko) * 2019-04-25 2023-03-30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USD1007437S1 (en) 2020-02-13 2023-12-12 Molex, Llc Electric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847610B2 (en) * 2014-01-1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service disconnect position indicator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1638447S (ko) * 2018-12-28 2019-08-05
USD941246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USD941245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306A (ja) *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4000935B2 (ja) * 2002-07-23 2007-10-31 松下電工株式会社 低背型コネクタ
DE60335052D1 (de) 2002-07-23 2010-12-30 Panasonic Elec Works Co Ltd Steckverbinder mit niedrigem Profil
JP2008053119A (ja) 2006-08-25 2008-03-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基板間接続コネクタ
JP5583330B2 (ja) 2008-04-18 2014-09-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の係合力の調整方法
JP4849145B2 (ja) * 2009-03-24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ソケットとヘッダの嵌合状態を保持する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523776B2 (ja) 2009-09-08 2014-06-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4954253B2 (ja) 2009-09-11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523781B2 (ja) * 2009-09-17 2014-06-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および係合解除治具
JP2012114841A (ja) 2010-11-26 2012-06-14 Sumitomo Electric Ind Ltd 発音装置及び車両存在報知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60B1 (ko) 2015-07-27 2017-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글리보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정장 또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3082A (ko) * 2019-04-25 2023-03-30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KR20230043804A (ko) * 2019-04-25 2023-03-31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US11721921B2 (en) 2019-04-25 2023-08-08 Molex, Llc Connector
KR20230147022A (ko) * 2019-04-25 2023-10-20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US11978973B2 (en) 2019-04-25 2024-05-07 Molex, Llc Connector
USD1007437S1 (en) 2020-02-13 2023-12-12 Molex, Llc Electr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09219A1 (de) 2013-11-21
JP5732430B2 (ja) 2015-06-10
US20130309895A1 (en) 2013-11-21
JP2013243018A (ja) 2013-12-05
TWI558002B (zh) 2016-11-11
FI125307B (en) 2015-08-31
US9577371B2 (en) 2017-02-21
TW201405949A (zh) 2014-02-01
FI20135493A (fi) 2013-11-19
KR101536810B1 (ko) 2015-07-14
DE102013209219B4 (de) 2016-06-02
CN103427233A (zh)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810B1 (ko) 커넥터
US9543675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TWI384691B (zh) Electrical connector
TWI740115B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
JP7445703B2 (ja) コネクタ
TWI734968B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
KR20130124353A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JP2012243600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523776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4220400B2 (ja) コネクタ
JP5440679B1 (ja) 電気コネクタ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5995196B2 (ja) 電気接続箱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33536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6720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6207618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部
JP7403614B2 (ja) コネクタ
JP2019114355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2014132586A (ja) コネクタ
JP2023115112A (ja) コネクタ
CN113809604A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2000294313A (ja) コネクタの装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