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621A - 이륜자동차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자동차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621A
KR20130128621A KR1020120052475A KR20120052475A KR20130128621A KR 20130128621 A KR20130128621 A KR 20130128621A KR 1020120052475 A KR1020120052475 A KR 1020120052475A KR 20120052475 A KR20120052475 A KR 20120052475A KR 20130128621 A KR20130128621 A KR 20130128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ing
base
wheeled vehicl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규
Original Assignee
(주)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우 filed Critical (주)창우
Priority to KR102012005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8621A/ko
Publication of KR2013012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자동차(two wheel drive)를 상승시켜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후륜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리어포크(스윙홈)의 일측부를 지지하여 전륜 및 사이드 스탠드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3점 지지하여 자립하는 이륜자동차의 후륜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륜자동차의 적어도 일측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륜자동차의 전륜 및 사이드 스탠드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3점 지지하여 자립하는 이륜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개구부를 갖는 박스형 제1 수납공간이 마련된 기초부와,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하측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측부에 힌지체결되어 비전개시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인입되어 수납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기초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립하는 제1 지지부와, 하측부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부에 힌지체결되어 비전개시에는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인입되어 수납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제2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립하여 상측부가 상기 이륜자동차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하고, 1단 및 2단으로 선택적으로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지지하고자 하는 이륜자동차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륜자동차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WO WHEEL DRIVE}
본 발명은 이륜자동차(two wheel drive)를 상승시켜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후륜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리어포크(스윙홈)의 일측부를 지지하여 전륜 및 사이드 스탠드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3점 지지하여 자립하는 이륜자동차의 후륜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자동차(two wheel drive)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전달부재에 따라 체인구동방식 또는 벨트구동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륜자동차는 구동력 전달부재로서 필수적으로 체인 또는 벨트를 구비하기 때문에 안전한 주행을 위해서는 이들을 주기적으로 점검(세척, 윤활)하거나 고장시 이들을 정비(수리, 교체) 하기 위하여 후륜을 상승시킨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륜자동차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고 상승시킨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장치들로는 일본등록특허 제3,974,990호(등록일 : 2007.06.22), 미국등록특허 제4,986,557호(등록일 : 1991.01.22), 미국등록특허 제5,067,739호(등록일 : 1991. 11.26),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0호(등록일 : 2000.08.07) 등에 제안된 바 있다.
먼저 일본등록특허 제3,974,990호에서는 제조가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비용이 저렴한 이륜차의 사이드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등록특허에서 개시된 사이드 스탠드는 조작대의 타단부에 의해 접지부의 외측단 가장자리에 둥근 모양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부품의 증가없이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스탠드 봉부가 차체에 부가되어 있는 구조로서, 별도로 휴대가 어렵다.
미국등록특허 제4,986,557호에서는 지지체 위치 사이에 오토바이 프레임에 선회되고 움직일 수 있는 타입의 오토바이 측면 또는 킥 스탠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에서는 오토바이가 선회될 때 슬리브에 대한 슬라이드 봉을 수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봉으로 슬리브의 폐쇄 단과 슬라이드 봉의 위쪽 말단 사이의 구멍에 배치되고 맞물릴 수 있는 압축 스프링 수단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 등록특허는 지지로드가 스프링 하중에 의한 전개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구조가 다소 복잡할 뿐만 아니라 중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067,739호에서는 오토바이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2단으로 확장 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등록특허에서는 원통형의 교차 챔버를 가진 2대향면에 수직적으로 배치된 2-원통형 측면챔버로, 'H' 형태의 튜블러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동성 튜브 및 슈즌 2-원통형 측면챔버가 각각의 확장가능한 지지체로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이 미국등록특허 또한 위에서 기술한 선행기술들과 마찬가지로 구조가 다소 복잡할 뿐만 아니라 휴대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0호에서는 오토바이를 정비하거나 수리할 때에 오토바이 전체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오토바이 정비용 리프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에는 작동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받침대가 승강되도록 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 간편하게 오토바이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등록실용신안은 사륜자동차(four wheel drive)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프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서 휴대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고가이며, 특히 사륜자동차와 이륜자동차 범용으로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사륜자동차의 중량을 고려하여 부피와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륜자동차, 특히 산악용인 경우 주행 환경이 좋지 않아 현장에서 이륜자동차에 대해 점검 및 정비가 행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휴대성이 요구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JP 10-3974990 B2, 2007. 06. 22 US 10-4986557 B2, 1991. 01. 22 US 10-5067739 B2, 1991. 11. 26 KR 20-0200150 Y1, 2000. 08. 07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중량과 부피가 작아 휴대가 용이한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비교적 설치가 용이한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용이한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전개된 상태에서 자립이 가능한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이륜자동차를 지지하여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동안 이륜자동차의 지지력을 극대화하는 한편, 이륜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지면과 맞닿는 받침부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이륜자동차의 적어도 일측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륜자동차의 전륜 및 사이드 스탠드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3점 지지하여 자립하는 이륜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개구부를 갖는 박스형 제1 수납공간이 마련된 기초부와,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하측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측부에 힌지체결되어 비전개시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인입되어 수납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기초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립하는 제1 지지부와, 하측부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부에 힌지체결되어 비전개시에는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인입되어 수납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제2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립하여 상측부가 상기 이륜자동차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경우 상기 제1 지지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측부가 상기 이륜자동차의 일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지지부는 하측부가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 일부 삽입되어 전개 후, 외력 제공시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삽입된 하측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측부에 걸려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지지부의 제2 개구부는 전개시 상기 기초부의 제1 개구부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지지부는 상측부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지지부는 하측부가 상기 제2 수납공간으로 일부 삽입되고,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삽입된 하측부에 상기 제1 지지부와 힌지체결되는 장방형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지지부는 하측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측부를 통해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 일정 깊이 삽입하여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구멍과 상기 기초부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구멍이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벽 사이에 원통형 너트를 위치시킨 후 나사를 통해 상기 기초부와 힌지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지지부는 상측면에 걸림부가 체결되고, 상기 걸림부는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측면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일측부로부터 상방으로 둔각으로 접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상면이 길이방향으로 접혀진 부위까지 하방으로 예각으로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상면이 폭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상면에 미끄럼방지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초부의 하측부에 힌지체결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간의 양측벽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의 공간에 수납되고 상방으로 꺾여진 양측벽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기초부의 하측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양측벽에는 상기 너트가 삽입되면 상기 너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돌출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체결부가 상기 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를 상기 받침부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내부로 인입시켜 상기 받침부와 상기 브라켓을 상기 돌출체결부를 통해 상기 기초부와 힌지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은 양측벽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U' 형상을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벽 중 일측벽에는 일측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꺾임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하고, 1단 및 2단으로 선택적으로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지지하고자 하는 이륜자동차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지지부의 상측면에 체결된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의 상면을 지지하고자 하는 이륜자동차의 일측부 형상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륜자동차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지지부의 하측부에 형성된 장방형 구멍을 통해 제1 지지부와 힌지체결함으로써 제2 지지부가 상기 제1 지지부 내에서 회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이륜자동차 지지시 하중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 내부에 수납된 브라켓에 꺾임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하중에 취약부분인 기초부와 받침부 간의 체결부위에서 발생되는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부의 상면에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륜자동차 지지시 이륜자동차의 일측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의 전개 및 비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가 1단에서 2단으로 전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의 사용례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1은 1단 지지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2단 지지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10)는 이륜자동차를 상승시켜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되는 이륜자동차의 지지 프레임(후륜이 지지되는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리어포크(스윙홈)(5)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1단(도 1참조)에서 2단(도 2참조)으로 전개시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리어포크(5)는 차체와 후륜(1)을 연결해주는 부분으로서 서스펜션과 연동해서 움직이는 장치로서, 차체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경사도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차체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높아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길이방향으로 메인 샤프트 너트(6)에 의해 후륜(1)에 체결되는 일단부가 지면으로부터 가장 낮고, 이와 반대측인 타단부가 가장 높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0)는 리어포크(5)의 높이 또는 리어포크(5)를 지지하는 위치에 따라 1단 또는 2단으로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보통, 리어포크(5)의 높이(지면으로부터)와 차체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어지는 경사도는 이륜자동차의 모델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리어포크(5)를 지지하는 위치는 리어포크(5)의 일단부(차체의 후방)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1단으로 전개시켜 지지하고, 리어포크(5)의 타단부(차체의 전방)로 갈수록 지면으로부터 높아지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2단으로 전개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0)를 사용하여 이륜자동차를 지지할 때, 지지장치(10)가 지지하는 위치는 이륜자동차를 지지하는 목적, 예를 들면 이륜자동차의 점검 또는 정비하고자 하는 부품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점검 또는 정비하고자 하는 부품의 위치에 따라 점검 또는 정비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는 위치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륜자동차의 부품들 중에서 체인(2)을 점검(또는 정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지지장치(10)를 2단으로 전개시켜 메인 샤프트 너트(6)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리어포크(5)의 일측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후륜(1)을 점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지지장치(10)를 1단으로 전개시켜 메인 샤프트 너트(6) 또는 리어포크(5)의 일단부에 체결된 후크볼트(3)를 지지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장치(10)가 지지하는 위치는 이륜자동차를 지지하는 목적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1단 또는 2단 전개시 지지장치(10)가 지지하는 이륜자동차의 지지면의 구조(또는 형상) 또한 달라질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0)는 1단 또는 2단 전개시에 이륜자동차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구조 또한 다르다. 지지장치(10)의 지지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의 (a)와 같이 지지장치(10)를 1단으로 전개하고, 전개된 제1 지지부의 종단부(이륜자동차를 지지하는 부위)를 후크볼트(3)에 끼운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제1 지지부와 기초부가 결합되는 부위가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제1 지지부는 후방으로 꺾임과 동시에 기초부의 걸림턱에 지지되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및 사이드 스탠드(4)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3점 지지하여 자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륜자동차의 후륜(1)은 지면으로부터 상승 지지된다.
도 1과 마찬가지로, 도 2의 (a)와 같이 지지장치(10)를 2단으로 전개, 즉 제1 및 제2 지지부를 전개하고, 전개된 제2 지지부의 종단부(이륜자동차를 지지하는 부위)를 리어포크(5)의 일측부에 끼운 상태에서 제1 지지부와 기초부가 결합된 부위를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제1 지지부와 기초부가 결합되는 부위가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제1 지지부는 후방으로 꺾임과 동시에 기초부의 걸림턱에 지지되어 (b)와 같이 전륜 및 사이드 스탠드(4)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3점 지지하여 자립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륜자동차의 후륜(1)은 지면으로부터 상승 지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10)는 기초부(11),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를 포함한다. 또한 받침부(14)를 더 포함한다.
기초부(11)는 제1 지지부(12)의 전개 또는 비전개시 회동을 통해 그 내부에 수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면이 개방된 제1 개구부를 갖는 박스형 제1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일례로 기초부(11)는 일면이 개방된 장방형 사각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개방된 제1 개구부를 통해 제1 지지부(12)가 인입되어 수납되거나 인출되어 전개된다.
제1 지지부(12)는 하측부가 기초부(11)의 상측부에 힌지체결되어 비전개시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인입되어 수납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기초부(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립한다. 이를 위해, 제1 지지부(12)는 비전개시 기초부(11)에 전체가 수납되도록 기초부(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그 형상은 기초부(11)와 유사하게 일면이 개방된 장방형 사각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면에 마련된 제2 개구부는 제1 지지부(12)가 기초부(11) 내부에 수납된 상태(비전개 상태)에서는 기초부(11)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개방되어 있고, 제1 지지부(12)가 기초부(11)로부터 인출되어 기초부(11)와 나란한 방향으로 완전 전개된 상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 지지부(12)는 기초부(11)에 힌지체결되어 회동하고, 이러한 회동동작을 통해 전개 또는 비전개된다. 즉, 제1 지지부(12)는 기초부(11)와 힌지체결되어 관절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기초부(11)의 상측부(제1 지지부가 결합되는 측부)에는 제1 수납공간의 좌우측을 감싸는 양측벽에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구멍(aperture)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대응하여 제1 지지부(12)의 하측부(기초부에 결합되는 측부)에는 기초부(11)와 마찬가지로 양측벽에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12)의 하측부는 기초부(11)의 상측부를 통해 제1 수납공간으로 일정 깊이 삽입된다. 이때, 제1 지지부(12)의 하측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12)에 형성된 구멍과 기초부(11)에 형성된 구멍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제1 지지부(12)의 양측벽 사이에 상기 구멍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봉 형상을 갖는 원통형 너트(21)를 위치시킨 후 나사(22)를 기초부(11)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시켜 제1 지지부(12)의 하측부를 기초부(11)의 상측부에 힌지체결한다.
제1 지지부(12)와 기초부(11) 간의 힌지체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체결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때 기초부(11)의 양측벽의 내측면과 제1 지지부(12)의 양측벽의 외측면 사이에 평면 와셔(23)와 웨이브 와셔(24)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브 와셔(24)는 제1 지지부(12)가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서 자체 하중에 의해 수납방향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지지부(12) 전개 후 자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지지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13)가 수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면이 개방된 제2 개구부를 갖는 박스형 제2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1 지지부(12)는 기초부(11)와 마찬가지로 일면이 개방된 장방형 사각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제2 지지부(13)가 인입되어 수납되거나 인출되어 전개된다.
제1 지지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륜자동차의 일측부가 지면으로부터 비교적 낮아 제1 지지부(12)를 이용하여 1단으로만 이륜자동차를 지지하고자 하는 경우, 즉, 제2 지지부(13)가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직접 이륜자동차의 일측부, 예를 들면 후크볼트(3)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지지부(12)의 상측부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는 상측부 단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V' 또는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12)는 하측부가 기초부(11)의 제1 수납공간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로 기초부(11)의 상측부와 힌지체결되기 때문에 제1 지지부(12) 전개 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b)와 같이 제1 지지부(12)와 기초부(11) 간의 힌지체결 부위, 즉 관절부위에 외력을 가하면, 기초부(11)의 제1 수납공간에 삽입된 제1 지지부(12)의 하측부가 기초부(11)의 상측부에 걸려 회동이 제한되어 더 이상 꺾이지 않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이륜자동차의 일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즉, 제1 지지부(12)는 기초부(11)에 의해 기초부(11)를 기준으로 180~200°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 지지부(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의 2단 전개시 직접 이륜자동차의 일측부, 예를 들면 리어포크(5)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지지부(13)는 하측부가 제1 지지부(12)의 상측부에 힌지체결되어 비전개시에는 제1 지지부(12)의 제2 수납공간에 인입되어 수납되고, 전개시에는 제1 지지부(12)의 제2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제1 지지부(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립한다.
제2 지지부(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전개시 제1 지지부(12)에 전체가 수납되도록 제1 지지부(1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그 형상은 제1 지지부(12)와 유사하게 일면이 개방된 장방형 사각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13)의 일면에 마련된 제3 개구부는 제2 지지부(13)가 제1 지지부(12)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비전개 상태)에서는 제1 지지부(12)의 제2 개구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개방되고, 제2 지지부(13)가 제1 지지부(12)로부터 인출되어 제1 지지부(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완전하게 전개된 상태에서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2 지지부(13)의 하측부에는 제1 지지부(12)의 상측부와 힌지체결하기 위하여 장방형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대응하여 제1 지지부(12)의 상측부에는 양측벽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부(13)의 하측부는 제1 지지부(12)의 상측부를 통해 제2 수납공간으로 일부가 삽입되어 제2 지지부(13)의 장방형 구멍(13-1)이 제1 지지부(12)에 형성된 구멍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런 상태에서 나사(25)를 통해 힌지체결된다.
제2 지지부(13)는 하측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2)와 힌지체결되기 위하여 장방형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장방형 구멍(13-1)은 제2 지지부(13)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한편, 2단 전개시 제2 지지부(13)가 이륜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하여 이륜자동차의 일측부, 예를 들면 리어포크(5, 도 2참조)에 지지되는 경우 이륜자동차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3)의 상측면에는 이륜자동차의 일측부, 예를 들면 리어포크(5)를 걸쳐서 지지되기 위한 걸림부(15)가 체결될 수 있다. 걸림부(15)는 리어포크(5)가 안정적으로 걸쳐서 지지되기 위해 리어포크(5)의 형상에 대응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걸림부(15)는 적어도 일측부가 제2 지지부(13)의 상측면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일측부로부터 상방(제2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 각도로 접혀진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1 각도는 타측부가 일측부로부터 접히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둔각으로 대략 90°이상, 바람직하게는 91°~ 110°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로 결정한다.
걸림부(15)의 상면(리어포크와 직접 접하는 면)은 리어포크(5)의 형상에 대응하여 리어포크(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제2 지지부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일측부에서 접히는 부위까지 하방으로 제2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각도는 제2 지지부(13)의 길이방향으로 일면과 걸림부(15)의 상면 간의 각도로서, 예각으로 대략 70~89° 범위, 바람직하게는 80°로 결정한다.
걸림부(15)는 도 2에 도시된 (c)와 같이 리어포크(5)가 후륜측에서 전륜측으로 갈수록 일정 각도로 상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대응하여 상면이 폭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어포크(5)는 걸림부(15)의 폭방향으로 걸쳐서 지지되기 때문에 리어포크(5)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는 리어포크(5)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걸림부(15)의 상면 또한 폭방향으로 경사도를 갖도록 설계하며, 이를 통해 리어포크(5)와 걸림부(15) 간의 지지면이 상호 안정적으로 밀착된다.
걸림부(15)의 상면에는 걸림부(15)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미끄럼방지부재(16)가 체결되어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부재(16)는 걸림부(15)가 비교적 미끄러운 금속재질로 제2 지지부(13)의 상측면에 용접체결됨에 따라 리어포크(5)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리어포크(5)가 걸림부(15)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재(16)는 완충성을 갖도록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초부(11)의 하측부에는 기초부(11)를 받치는 받침부(14)가 힌지체결되어 있다. 기초부(11)의 하측부에는 받침부(14)와의 힌지체결을 위해 돌출체결부(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돌출체결부(11-1)와 브라켓(26)을 통해 받침부(14)에 체결된다.
돌출체결부(11-1)는 내부에 봉 형상을 갖는 원통형 너트(27)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있고, 양측벽에는 너트(27)가 공간에 삽입되면 너트(27)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26)은 대략 'U'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방으로 꺾여진 양측벽에는 돌출체결부(11-1)의 구멍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27)는 돌출체결부(11-1)의 공간에 삽입된다. 이때, 너트(27)는 돌출체결부(11-1)의 양측벽에 형성된 구멍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아울러, 브라켓(26)은 받침부(14)의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26)의 양측벽에 형성된 구멍과 받침부(14)의 양측벽에 형성된 구멍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런 상태에서 돌출체결부(11-1)의 양측벽을 브라켓(26)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평면 와셔(28)을 개재한 상태에서 나사(29)를 받침부(14)의 양측벽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 내부로 인입시켜 받침부(14)와 브라켓(26)을 돌출체결부(11-1)를 통해 기초부(11)의 하측부에 힌지체결한다.
받침부(14)는 휴대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브라켓(26)이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브라켓(26)은 양측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부에는 이륜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받침부(14)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꺾임방지돌기(26-1)가 형성되어 있다.
이륜자동차의 후륜을 상승시켜 지지하는 과정에서 강한 하중이 기초부(11)를 통해 받침부(14)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하중에 취약한 기초부(11)와 받침부(14) 간의 체결부위, 즉 관절부위에 꺾임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기초부(11)의 돌출체결부(11-1)가 꺾임방지돌기(26-1)에 걸쳐 지지됨에 따라 기초부(11)와 받침부(14) 간의 체결부위에서의 꺾임 현상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의 전개 및 비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휴대하기 위해 접은 상태이고, (b)는 제1 지지부를 전개시켜 1단으로 구성한 상태이고, (c)는 제1 및 제2 지지부를 전개시켜 2단으로 구성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자동차 지지장치가 1단에서 2단으로 전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제2 지지부(13)가 제1 지지부(12)의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①에서 ⑥ 순으로 순차적으로 제2 지지부(13)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제1 지지부(12)와 제2 지지부(13) 간의 힌지체결을 구현하는 나사(25)는 제2 지지부(13)의 하측부 양측벽에 형성된 장방형 구멍(13-1) 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여 제2 지지부(13)가 제1 지지부(12)로부터 전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후륜 2 : 체인
3 : 후크볼트 4 : 사이드 스탠드
5 : 리어포크 10 : 지지장치
11 : 기초부 12 : 제1 지지부
13 : 제2 지지부 14 : 받침부
15 : 걸림부 16 : 미끄럼방지부재
11-1 : 돌출체결부 21, 27 : 너트
22, 25, 29 : 나사 23, 28 : 평면 와셔
24 : 웨이브 와셔

Claims (14)

  1. 이륜자동차의 적어도 일측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륜자동차의 전륜 및 사이드 스탠드와 함께 지면에 대하여 3점 지지하여 자립하는 이륜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개구부를 갖는 박스형 제1 수납공간이 마련된 기초부;
    제2 개구부를 갖는 제2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하측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측부에 힌지체결되어 비전개시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인입되어 수납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기초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립하는 제1 지지부; 및
    하측부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측부에 힌지체결되어 비전개시에는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인입되어 수납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제2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립하여 상측부가 상기 이륜자동차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경우,
    상기 제1 지지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상측부가 상기 이륜자동차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하측부가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 일부 삽입되어 전개 후, 외력 제공시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삽입된 하측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측부에 걸려 회동이 제한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제2 개구부는 전개시 상기 기초부의 제1 개구부와 서로 대향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측부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형성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하측부가 상기 제2 수납공간으로 일부 삽입되고, 상기 제2 수납공간에 삽입된 하측부에 상기 제1 지지부와 힌지체결되는 장방형 구멍이 형성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하측부가 상기 기초부의 상측부를 통해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 일정 깊이 삽입하여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구멍과 상기 기초부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구멍이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벽 사이에 원통형 너트를 위치시킨 후 나사를 통해 상기 기초부와 힌지체결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측면에 걸림부가 체결되고, 상기 걸림부는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제2 지지부의 상측면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일측부로부터 상방으로 둔각으로 접혀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면이 길이방향으로 접혀진 부위까지 하방으로 예각으로 경사진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면이 폭방향으로 경사진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면에 미끄럼방지부재가 체결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의 하측부에 힌지체결된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간의 양측벽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공간에 수납되고 상방으로 꺾여진 양측벽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기초부의 하측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양측벽에는 상기 너트가 삽입되면 상기 너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돌출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체결부가 상기 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를 상기 받침부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내부로 인입시켜 상기 받침부와 상기 브라켓을 상기 돌출체결부를 통해 상기 기초부와 힌지체결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양측벽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U' 형상을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벽 중 일측벽에는 일측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꺾임방지돌기가 형성된 장치.
KR1020120052475A 2012-05-17 2012-05-17 이륜자동차 지지장치 KR20130128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75A KR20130128621A (ko) 2012-05-17 2012-05-17 이륜자동차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75A KR20130128621A (ko) 2012-05-17 2012-05-17 이륜자동차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621A true KR20130128621A (ko) 2013-11-27

Family

ID=4985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475A KR20130128621A (ko) 2012-05-17 2012-05-17 이륜자동차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86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3353A (zh) * 2016-07-19 2016-11-2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试验用一体式防倾支架
DE102018126992A1 (de) * 2018-10-29 2020-04-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ützvorrichtung für ein Neigefahrzeu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3353A (zh) * 2016-07-19 2016-11-2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试验用一体式防倾支架
DE102018126992A1 (de) * 2018-10-29 2020-04-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ützvorrichtung für ein Neige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1864B2 (ja) 自立式手動昇降スクリーン
US7690408B2 (en) Workbench for power tool
US9321471B1 (en) Adjustable and collapsible hand truck with lifting apparatus
JP4255384B2 (ja) 姿勢応答解放付き係止入れ子部材
US6857991B2 (en) Auxiliary folding device for a treadmill
KR20130128621A (ko) 이륜자동차 지지장치
JP2011174362A (ja) 二段式駐輪装置
EP3492340A1 (en) Trolley
JP2007283963A (ja) 車両用シート
NO20121459A1 (no) Løfteanordning for container og fremgangsmåte ved bruk av samme
KR200484143Y1 (ko) 가스충전장비 이동장치
CN107405768A (zh) 具有可自动展开的腿部的工具架
CN112696592A (zh) 支架
KR102357547B1 (ko)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JP5015875B2 (ja) 特装車両
JP2011173476A (ja) 二段式駐輪装置
CN205327116U (zh) 一种重物运输车
JP4607750B2 (ja) 跳ね上げ式駐輪装置
KR19990067820A (ko) 휠돌리
JP6461701B2 (ja) 投光器
JP2010137712A (ja) 荷受台昇降装置
JP2006346267A (ja) 昇降着脱装置および壁面設置物昇降着脱装置
CN220212389U (zh) 具有较好稳定性的吊柜支撑架
KR20090062408A (ko) 휴대하고 이동하기 용이한 절첩식 이동 카트
JP3795179B2 (ja) テーブル天板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