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547B1 -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547B1
KR102357547B1 KR1020190174375A KR20190174375A KR102357547B1 KR 102357547 B1 KR102357547 B1 KR 102357547B1 KR 1020190174375 A KR1020190174375 A KR 1020190174375A KR 20190174375 A KR20190174375 A KR 20190174375A KR 102357547 B1 KR102357547 B1 KR 10235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ver
support
opening
fixing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938A (ko
Inventor
이주창
최진우
정종원
Original Assignee
이주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창 filed Critical 이주창
Priority to KR102019017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5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45Tools for positioning or removing cov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9/005Lifting devices for manhol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대폭 향상시킨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서 맨홀 덮개를 개방하거나 개폐하기 위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 덮개를 상승시키는 승강부재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힌지부재를 매개로 직렬로 연결되고 사이에 상기 승강부재가 설치된 제1 및 2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2 지지부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말단에 각각 이동휠이 장착된 제1 및 2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manhole cover for easy storage and movement}
본 발명은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 공동구의 지상 출입구에 설치되는 맨홀 틀과, 그 상부에 안착되어 안전하게 차량이나 보행자가 밟고 지나갈 수 있도록 커버하는 맨홀 덮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맨홀은 대부분 야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맨홀 틀과 맨홀 덮개 사이의 틈에는 이물질이 쉽게 흡착되고 더구나 빗물 등에 의해 쉽게 부식되거나 일부가 고착되어 맨홀 덮개의 개폐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맨홀 덮개 및 맨홀 틀을 설치하거나 철거할 경우의 작업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조정용 부재에 거치하여 맨홀 덮개의 구멍에 인장력이 강한 로프를 삽입한 후 적당한 매듭을 형성한 다음, 크레인이나 기타 동력기계를 이용하여 들어올리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방법은 로프를 맨홀 덮개에 끼우거나 철거하기 위해서는 쇠파이프 등의 지렛대를 활용하여 지표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이격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로프를 이용하여 덮개 틀을 들어 올렸을 경우에 좌우로 움직이는 이동반경이 크기 때문에 적어도 2인 이상의 작업 인부에 의해 손으로 고정하여야 작업 등이 필요하고, 이 경우 로프가 풀리거나 절단되면 맨홀 덮개틀이 낙하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7973호(공고일자 : 2019년 10월 29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성 및 이동성을 대폭 향상시킨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면에서 맨홀 덮개를 개방하거나 개폐하기 위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 덮개를 상승시키는 승강부재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힌지부재를 매개로 직렬로 연결되고 사이에 상기 승강부재가 설치된 제1 및 2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2 지지부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말단에 각각 이동휠이 장착된 제1 및 2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2 지지부의 말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된 인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2 다리부의 선단에는 상기 인입홈 내에 위치되는 볼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볼트부재에는 고정 핸들이 나사체결되어 상기 인입홈에 상기 볼트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핸들을 조이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2 다리부를 상기 제1 및 2 지지부에서 수직한 상태로 고정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2 지지부에는 제1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2 다리부에는 제2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브라켓에는 고정축을 매개로 레버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는 상기 레버부의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를 일측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고정홈에 상기 레버부의 고정축이 인입되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다리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가 마름모 형상의 링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승강부와 상기 제2 승강부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선회축이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승강부가 상기 제2 승강부로부터 상승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맨홀 덮개에 연결되는 체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부재는, 체인, 상기 체인의 말단에 각각 설치된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에 와이어를 매개로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맨홀 덮개에 형성된 장착공에 대응하며 상기 장착공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를 간편하게 절첩시켜 휴대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설치 장소로 이동이 간편하며, 지지체에 승강부재를 쉽게 안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맨홀 덮개의 장착공에 간편하게 체인부재를 연결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승강부재와 지지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지지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지지체를 휴대용으로 절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지지체의 다리부를 절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지지체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지지체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지지체의 다리부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체인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사용 상태도, 및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의 지지체의 다리부에 대한 절첩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는 지지체(500), 승강부재(600), 및 체인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승강부재(600)는 체인부재(80)를 통해 맨홀 덮개(100)를 인상(lifting)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지지체(500)는 승강부재(600)를 지지하며 맨홀 덮개(10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상승된 위치로 유지시키며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체인부재(80)는 맨홀 덮개(100)를 연결하여 승강부재(600)를 통해 인상시키기 위한 연결용 구성요소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승강부재(600)는 하부에 시트부가 구비되는데, 이 시트부는 평판형의 제1 시트(66)와 제1 시트(66)의 양측에서 직각으로 각각 설치된 제2 시트(6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트부는 도 1과 같이 지지체(500)의 지지부 상에 간편하게 안착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탈거(분리)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시트부의 상부에는 제1 승강부(62)와 제2 승강부(63)가 마름모 형상의 링크 구조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부에 제1 승강부(62)가 위치하고 하부에 제2 승강부(63)가 배치된다. 이때 제1 승강부(62)와 제2 승강부(63) 사이에는 선회축(61)이 연결되는데, 선회축(6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회축(61)의 일단에 공구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2 승강부(63)에서 제1 승강부(62)를 상승시킬 수 있다(일반적인 나사잭(screw jack)의 원리임).
또한 제1 승강부(62)의 상부에는 체인(81)이 안착되는 받이부(64)가 설치된다. 즉 이 받이부(64)에는 체인(81)이 가러질러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체인(8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받이부(64)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반면 양측은 체인(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측벽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맨홀 덮개의 승강시 이탈방지을 방지함).
도 2를 참조하면, 지지체(500; 도 1)는 지지부(30)와 지지부(30)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10,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0)는 제1 지지부(31)와 제2 지지부(32)로 구성되고, 이들 지지부(31,32)들은 힌지부재(35)를 통해 90도로 절첩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힌지부재(35)에는 제1 연결부(33)와 제2 연결부(34)가 각각 설치되어 절첩구조의 강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다리부(10)와 제2 다리부(20)의 말단에는 이동휠(50a,50b; 5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동휠(50)이 장착됨으로써 맨홀 덮개(100)를 부상시킨 상태에서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중량의 맨홀 덮개(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500)는 제1 지지부(31)와 제2 지지부(32)가 힌지부재(35)를 통해 절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다리부(10)와 제2 다리부(20)도 마찬가지로 지지부(30)에 대해 직각으로 절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지지체(500)는 휴대와 이동이 간편하도록 컴팩트한 부피로 절첩될 수 있어 휴대성과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500)의 절첩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다리부(10)와 제2 다리부(20)는 각각 지지부(30)에서 선회되어 절첩이 이루어진다.
즉 도 5와 같이 예를 들어 제2 다리부(20)가 지지부(30)에 대해 직각으로 세워진 경우(즉 멘홀 덮개를 개폐하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다리부(20)의 상단에 볼트부재(41a)에 체결된 제1 고정핸들(41)이 제1 지지부(31)에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0)의 인입홈(42h)에 위치된 볼트부재(41a)에서 제1 고정핸들(41)을 조인상태(하강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를 통해 제2 다리부(20)가 지지부(30)에서 절첩(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다리부(10)도 이와 동일하게 제2 고정핸들(42)을 통해 지지부(3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6과 같이 양측의 고정핸들(41,42)을 조여서 다리부(10,20)가 각각 지지부(30)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 및 유지된다.
한편 도 10a 및 10b를 참조하고 제2 다리부(20)를 예로 들어 절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2 다리부(20)에는 제2 브라켓(43)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지지부(31)에는 제1 브라켓(31a)이 형성된다. 이들 제1 브라켓(31a)과 제2 브라켓(43)은 고정축(43b)을 통해 서로 선회가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이들 브라켓(31a,43)들은 고정축(43b)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제2 다리부(20)는 제1 지지부(31)에서 선회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2 다리부(20)가 제1 지지부(3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2 다리부(20)가 다시 접히는 것을 방지(특히 맨홀 덮게의 부상 작업하는 경우)하기 위해 제2 브라켓(43)에는 고정홈(43h)이 형성된다. 이 고정홈(43h)은 제2 브라켓(43)의 양측 가장자리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1 브라켓(31a)에는 고정축(45)을 통해 연결된 레버부(44)가 설치된다. 이때 제1 브라켓(31a)에는 장공의 형태로 이동공(31h)이 형성되고 이 이동공(31h)에는 고정축(45)의 양단이 연결된다. 또한 고정축(45)에는 복수의 스프링(S1)의 일단이 장착되고, 스프링(S1)의 타단은 제2 브라켓(43)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S1)은 고정축(45)을 끌어 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제2 브라켓(43)의 고정홈(43h)에 맞게 고정축(45)이 위치되는 경우, 고정홈(43h)으로 고정축(45)이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레버부(44)의 고정축(45)이 고정홈(43h)에 인입된 상태는 제2 다리부(20)가 제1 지지부(31)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일단 고정축(45)이 고정홈(43h)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제2 다리부(20)는 제1 지지부(31)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휴대를 위해 지지체(500)를 절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레버부(44)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10a을 기준으로 반시계반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부(44)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돌기(44a)가 제1 브라켓(31a)의 측면의 외주에 지지되고, 이 지지점을 기준으로 고정축(45)은 고정홈(43h)에서 이탈될 수 있다. 즉 절첩시에는 레버부(44)를 회전시키고 지지돌기(44a)를 기점으로 고정축(45)이 선회됨으로써 고정홈(43h)에서 고정축(45)이 이탈될 수 있다. 즉 이 상태에서는 제2 다리부(20)가 제1 지지부(31)와 나란한 상태로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다리부(20)의 절첩이 완료되면 고정축(45)은 제2 브라켓(43)의 안착홈(43a)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다리부(2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다리부(10)도 마찬가지의 원리로 절첩되거나 고정유지될 수 있다.
한편 체인부재(80)는 도 8과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체인(81)과, 이 체인(8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클램프(82a,82b)를 포함한다. 이때 클램프(82a,82b)에는 별도의 와이어(84a,84b)가 연결되고, 와이어(84a,84b)의 말단은 고정단(85a,85b)을 통해 고정부재(83a,83b)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83a,83b)에는 고정홈(83h)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83h)에 와이어(84a,84b)가 권취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고정부재(83a,83b)는 원기둥의 막대형태을 가지며, 맨홀 덮개(100)의 장착공(110)을 통과하기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즉 고정부재(83a,83b)를 맨홀 덮개(100)의 양측의 장착공(110)에 끼워 넣는 것으로 간편하게 체인부재(80)를 맨홀 덮개(100)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로서 체인부재(80)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작업시 간편하게 맨홀 덮개(100)를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승강부재(600)를 통해 맨홀 덮개(100)를 용이하게 부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는 사용시 지지체(500)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지지체(500)의 지지부(30) 상에 승강부재(600)의 시트부를 안착시키고 체인부재(80)를 받이부(64)에 걸어서 맨홀 덮개(100)의 인상 작업을 준비할 수 있다.
이후 고정부재(83a,83b)를 맨홀 덮개(100)의 장착공(110)에 삽입시킨 다음 공구를 이용하여 승강부재(600)의 선회축(6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승강부재(600)를 부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이부(64)에 걸려진 체인부재(80)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체인부재(80)의 고정부재(84a,84b)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맨홀 덮개(100)를 맨홀 틀에서 부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 상태로 작업자는 지지체(50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어 맨홀 덮개(100)의 개방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9와 같이 맨홀 덮개(100)는 지지체(500) 상에서 일정 높이 부상된 상태(개방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 상태로 작업자는 지지체(500)의 이송휠(50)을 통해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맨홀 덮개(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지지체(500)에 맨홀 덮개(100)가 메달린 상태로 인접한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맨홀 덮개(100)를 다시 폐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상태(지지체(500)에 맨홀 덮개(100)가 지지된 상태)로 다시 지지체(500)를 해당 맨홀 틀로 간편하게 이동시키고, 승강부재(600)를 하강시킴으로써 중량의 맨홀 덮개(10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맨홀 덮개(100)를 지지체(500)에 부상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이 상태로 다시 멘홀 덮개(100)를 간편하게 폐쇄시키 수 있어 맨홀 덮개(100)의 개폐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 다리부
20: 제2 다리부
30: 지지부
31: 제1 지지부
31a: 제1 브라켓
31h: 이동공
32: 제2 지지부
33: 제1 연결부
34: 제2 연결부
35: 힌지부재
41: 제1 고정핸들
42: 제2 고정핸들
43: 제2 브라켓
43a: 안착홈
43b: 고정축
43h: 고정홈
44: 레버부
44a: 지지돌기
45: 고정축
42h: 인입홈
50: 이동휠
50a: 제1 이동휠
50b: 제2 이동휠
61: 선회축
62: 제1 승강부
63: 제2 승강부
64: 받이부
65,66: 시트부
80: 체인부재
81: 체인
82a,82b: 클램프
84a,84b: 와이어
83a,83b: 고정부재
100: 맨홀 덮개
110: 장착공
500: 지지체
600: 승강부재

Claims (5)

  1. 지면에서 맨홀 덮개를 개방하거나 개폐하기 위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 덮개를 상승시키는 승강부재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체 상에 안착되기 위한 평판형의 제1 시트와, 상기 제1 시트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체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힌지부재를 매개로 직렬로 연결되고 사이에 상기 승강부재가 설치된 제1 및 2 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 각각 절첩가능하게 설치되고 말단에 각각 이동휠이 장착된 제1 및 2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2 지지부의 말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된 인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2 다리부의 선단에는 상기 인입홈 내에 위치되는 볼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볼트부재에는 고정 핸들이 나사체결되어 상기 인입홈에 상기 볼트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핸들을 조이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2 다리부가 상기 제1 및 2 지지부에서 수직한 상태로 고정유지되며,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맨홀 덮개에 연결되는 체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부재는, 클램프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맨홀 덮개에 형성된 장착공에 삽입가능한 크기의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지지부에는 제1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2 다리부에는 제2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브라켓에는 고정축을 매개로 레버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는 상기 레버부의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를 일측방향으로 선회시켜 상기 고정홈에 상기 레버부의 고정축이 인입되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다리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가 마름모 형상의 링크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승강부와 상기 제2 승강부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선회축이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승강부가 상기 제2 승강부로부터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5. 삭제
KR1020190174375A 2019-12-24 2019-12-24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KR102357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75A KR102357547B1 (ko) 2019-12-24 2019-12-24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75A KR102357547B1 (ko) 2019-12-24 2019-12-24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38A KR20210081938A (ko) 2021-07-02
KR102357547B1 true KR102357547B1 (ko) 2022-02-04

Family

ID=7689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375A KR102357547B1 (ko) 2019-12-24 2019-12-24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01Y1 (ko) * 2021-11-24 2023-08-30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위 측정함 개폐공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591Y1 (ko) * 2003-03-05 2003-06-18 신소진 맨홀뚜껑 개폐 장비
KR101715922B1 (ko) * 2016-07-26 2017-03-22 매그스위치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 맨홀커버 리프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156A (ko) * 2008-02-14 2009-08-19 유수원 작업대용 발판의 다리부재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591Y1 (ko) * 2003-03-05 2003-06-18 신소진 맨홀뚜껑 개폐 장비
KR101715922B1 (ko) * 2016-07-26 2017-03-22 매그스위치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 맨홀커버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38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063A (en) Spa cover lifting device
KR102357547B1 (ko)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KR102037973B1 (ko) 맨홀덮개 분리장치
KR102264497B1 (ko) 맨홀 덮개의 개폐장치
KR101132845B1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US6361100B1 (en) Tarp retraction system
EP2878228A1 (en) Easel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KR101033695B1 (ko) 깃발 게양대
JP4505433B2 (ja) 作業用足場
US20030226587A1 (en) Canopy side frame adjustment unit
KR200365480Y1 (ko) 차량견인장치
JP6961196B2 (ja) 朝顔ユニット
JP2016125194A (ja) 仮設囲い
JP3887278B2 (ja) 先端に電気機材を取付けた可倒式支柱
US20200062563A1 (en) Vehicle Hard Top Lift
US6017018A (en) Lift-a-top plus
CN208870493U (zh) 电力安装硬质安全围栏
CN2816856Y (zh) 便携式地拉幕
KR20120062487A (ko) 스페어 타이어 클램프 장치
KR20140138478A (ko) 수로관 운반장치
JP4592502B2 (ja) 巻取装置
CN215625804U (zh) 放线架及钢筋加工设备
JP3224812U (ja) 防水シート式浸水防止用設備
JP2011080340A (ja) 支柱立て起し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