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582A -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582A
KR20130128582A KR1020120052400A KR20120052400A KR20130128582A KR 20130128582 A KR20130128582 A KR 20130128582A KR 1020120052400 A KR1020120052400 A KR 1020120052400A KR 20120052400 A KR20120052400 A KR 20120052400A KR 20130128582 A KR20130128582 A KR 20130128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lubricant
crane
spring
moving shaft
lubrican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2012005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8582A/ko
Publication of KR2013012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3/00Mechanical arrangements for cleaning lubricating equipment; Special racks or the like for use in draining lubricant from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차륜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 크레인 차륜 플랜지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크레인 본체 하부에 형성되는 부착대에 케이싱 2부재에 형성된 체결부를 볼트로 결합하여 설치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는 케이싱 2부재에 태엽 스프링 고정부가 절개되어 태엽 스프링을 고정 결합하되, 스프링의 내측으로 베어링이 삽입되며, 그 베어링 내부에는 한 쌍의 스냅링 체결홈이 형성된 이동축을 삽입하여 스랩링을 체결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케이싱 2부재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이동축을 삽입하고, 상기 이동축의 타측은 케이싱 1부재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한 후 케이싱 2부재에 케이싱 1부재를 부착하여 구성된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는 크레인 본체 하부에 한 쌍을 설치하되 각각 엑스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이동축을 후미로 당긴 후 투입구에 복수개의 고체 윤활제를 차례로 투입한 후 이동축에서 손가락을 떼면 태엽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고체 윤활제가 차륜 플랜지에 밀착되어 크레인 이동시 차륜 플랜지에 윤활제를 도유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 플랜지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에 의하여 언제나 적정한 윤활작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크레인의 차륜 플랜지의 이상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차륜 플랜지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Solid lubricant supply}
본 발명은 크레인 차륜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장소가 분진 및 고열이 상존하는 열악한 환경조건 일지라도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나 적정한 윤활작용이 지속적으로 유지 되도록 하여 크레인의 차륜 플랜지의 이상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차륜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는 일반적인 천정 크레인의 차륜 및 종래의 도유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산업현장에서는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대형 천정 크레인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천정 크레인의 본체(1)는 본체(1) 하부의 차륜(4)에 의하여 이동된다.
상기 차륜(4)은 레일(2)의 상부에서 이동되는데, 차륜(4)이 레일(2)에서 이탈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차륜(4)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플랜지(3) 때문이다.
한편, 차륜(4)을 구동하기 위하여 모터(62)가 본체(1)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레일(2)과 차륜 플랜지(3) 사이에는 마찰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마찰로 인하여 레일(2)과 차륜 플랜지(3)는 마모가 일어나게 된다.
결국, 플랜지(3)가 마모되어 차륜(4)이 레일(2)의 상부에서 이탈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차륜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유기(5)가 이용되고 있는데 도유기의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차륜 플랜지(3)의 오일급유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오일탱크(6)에 저장된 오일은 도유기 오일 호스(7)를 통하여 회동 가능한 오일링(10)에 공급된다.
한편, 오일 링(10)은 차륜 플랜지(3)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차륜 플랜지(3)에 오일은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오일을 공급하므로서, 차륜 프랜지(3)의 마모를 방지하여 차륜(4)의 사용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탈선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오일링 조정 볼트(9)가 설치되어 공급되는 오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장치를 본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도유기 고정판(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중기 본체(1)의 저부 양측 단부에는 그 양측으로 착설된 레일(2)을 따라 복수개의 차륜(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형 기중기는 자중 750톤과 하중 450 톤 합하여 일천톤 이상의 큰 부하를 차륜(4)과 레일(2)에서 모두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륜(4)이 레일(2)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차륜 플랜지(3)가 설치되어 있는데, 기중기의 총 하중이 한쪽 방향으로 치우칠 때 마다 레일 측면(2)과 차륜 내측은 심한 마찰과 마모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륜 플랜지 윤활장치는 필수적으로 설치 및 정상 작동, 관리가 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제강공정의 용선 용강을 취급하는 기중기는 매우 방대하며 고열 분진 등 취약한 환경조건에서 운반되는 설비이다.
차륜의 플랜지(3)는 차륜이 레일(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차륜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 내측과 레일의 측면이 접촉, 마찰되므로 차륜 플랜지 도유기(5)를 설치하여 급유를 하고 있으나, 윤활제가 액체인 관계로 현장에서 발생된 분진과 오일이 적절이 혼합이 됨은 물론, 현장의 열기에 의해 고착되어 오일링(9)의 모세관이 막히는 문제점과 오일링의 접촉면이 마모되어 오일링의 회전불량에 따른 급유불량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제강공장과 같이 분진과 고열이 상존하는 작업환경 속에서는 액체윤활제 공급장치인 차륜 플랜지 도유기(5)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현재 설치된 기기는 대부분 기능을 잃고 차륜 플랜지(3)부에 윤활유 공급이 되지 않아 편 마모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장소가 분진 및 고열이 상존하는 열악한 환경조건 일지라도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나 적정한 윤활작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크레인의 차륜 플랜지의 이상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차륜 플랜지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 크레인의 본체 하부에는 마주하여 쌍을 이루어 차륜의 외측에 형성된 플랜지와 레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크레인 본체 하부에 형성되는 부착대에 케이싱 2부재에 형성된 체결부를 볼트로 결합하여 설치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는 케이싱 2부재에 태엽 스프링 고정부가 절개되어 태엽 스프링을 고정 결합하되, 스프링의 내측으로 베어링이 삽입되며, 그 베어링 내부에는 한 쌍의 스냅링 체결홈이 형성된 이동축을 삽입하여 스랩링을 체결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케이싱 2부재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이동축을 삽입하고, 상기 이동축의 타측은 케이싱 1부재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한 후 케이싱 2부재에 케이싱 1부재를 부착하여 구성된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는 크레인 본체 하부에 한 쌍을 설치하되 각각 엑스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이동축을 후미로 당긴 후 투입구에 복수개의 고체 윤활제를 차례로 투입한 후 이동축에서 손가락을 떼면 태엽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고체 윤활제가 차륜 플랜지에 밀착되어 크레인 이동시 차륜 플랜지에 윤활제를 도유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의 차륜 플랜지에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제공하여 작업현장의 분진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주행 차륜의 플랜지 마모부에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차륜의 플랜지 마모를 방지하게 되고, 차륜의 플랜지 마모로 인한 설비의 정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크레인 진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주행 차륜이 레일의 상부에서 이탈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정 크레인의 차륜 및 종래의 도유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차륜 프랜지부 오일급유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상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상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상세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상세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상세분리 사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 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상부측에서 본 사시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를 나타낸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 이고, 도 9 및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상세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천정 크레인의 본체(1) 하부에는 마주하여 쌍을 이루어 차륜(4)의 외측에 형성된 플랜지(3)와 레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3)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100)를 제공한다.
첨부한 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크레인 본체(1) 하부에 형성되는 부착대(110)에 케이싱 2부재(20)에 형성된 체결부(12)를 볼트(111)로 결합하여 고체윤활 공급장치(100)가 설치 된다.
상기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100)는 크레인 본체(1) 하부에 한 쌍을 형성하되 각각 엑스자 형상이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100)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캐이싱 1부재(10)에는 장공의 가이드 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이싱 2부재(20)에는 장공의 가이드 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는 투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 측면에는 태엽 스프링(33)의 고정부(23)가 절개되어 있다.
상기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면, 일측 끝 단부의 결합부에는 디긋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태엽 스프링(33)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케이싱 2부재(20)에 스프링 고정부(23)가 절개되어 태엽 스프링(33)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 태엽 스프링(33)은 그 내경의 내측으로 베어링(32)이 삽입되며, 그 베어링(32) 내경 내부에는 한 쌍의 스냅링(35) 체결홈(31)이 형성된 이동축(30)을 삽입하여 스랩링(35)을 체결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케이싱 2부재(20)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21)에 이동축(30)의 일측을 삽입하고, 그 이동축(30)의 타측은 케이싱 1부재(10)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1)에 삽입한 후 케이싱 2부재(20)에 케이싱 1부재(10)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 2부재(20)에 케이싱 1부재(10)를 부착하여 구성된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100)는 케이싱 2부재(20)에 형성된 투입구(22)에 고체 윤활제(50)를 복수개 투입하되 투입시 이동축(30)을 후미로 이동시킨 후 고체 윤활제(50)를 투입하게 된다.
이때 태엽 스프링(33)의 인장력이 고체 윤활제(50)를 차륜(4)의 플랜지(3)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하게 된다.
상기 고체 윤활제(50)는 일측에 삽입체(52)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삽입구(51)가 형성되어 삽입구(51)에 삽입체(5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100)에 고체 윤활제(50)를 투입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이동축(30)을 후미로 당겨서 이동 시킨 후 투입구(22)에 복수개의 고체 윤활제(50)를 차례로 투입한 후 이동축(30)에서 손을 떼면 태엽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고체 윤활제(50)가 차륜(4) 플랜지(3)에 밀착되어 크레인 이동시 차륜(4) 플랜지(3)에 고체 윤활제(50)를 도유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캐이싱 1부재 11,21: 가이드 홈
12: 체결부 20: 캐이싱 2부재
22: 투입구 23: 고정부
30: 이동축 31: 체결홈
32: 베어링 33: 스프링
50: 고체 윤활제 51: 삽입구
52: 삽입체 100: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110: 부착대 111: 볼트

Claims (3)

  1. 천정 크레인의 본체(1) 하부의 차륜(4)에 외측에 마주하여 쌍을 이루어 형성된 플랜지(3)에 윤활제를 도유 함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100)와:
    상기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100)에 투입되어 플랜지(3)에 밀착되는 고체 윤활제(50)를 특징으로 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가이드 홈(11)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12)를 구비한 캐이싱 1부재(10)와: 장공의 가이드 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는 투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 측면에는 태엽 스프링(33)의 고정부(23)가 절개되어 있는 캐이싱 2부재(20)와: 일측 끝 단부의 결합부에는 디긋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태엽 스프링(33)과: 태엽 스프링(33) 내경에 삽입되어 체결홈(31)에 스냅링(35)이 체결되는 이동축(30)과;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1,21)에 이동축(30)을 삽입하고, 케이싱 2부재(20)에 케이싱 1부재(10)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3. 상기 2항에 있어서, 태엽 스프링(33) 내경에 삽입되는 베어링(32)과; 베어링(32)의 내경에 삽입되는 이동축(30)이 삽입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KR1020120052400A 2012-05-17 2012-05-17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KR20130128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00A KR20130128582A (ko) 2012-05-17 2012-05-17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00A KR20130128582A (ko) 2012-05-17 2012-05-17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582A true KR20130128582A (ko) 2013-11-27

Family

ID=4985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400A KR20130128582A (ko) 2012-05-17 2012-05-17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85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1543A (zh) * 2018-06-29 2018-09-21 无锡新宏泰电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蜗轮蜗杆组件的润滑装置
CN113048382A (zh) * 2021-03-17 2021-06-29 安徽春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欧式双主梁起重机的导轨养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1543A (zh) * 2018-06-29 2018-09-21 无锡新宏泰电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蜗轮蜗杆组件的润滑装置
CN108561543B (zh) * 2018-06-29 2024-03-19 无锡新宏泰电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蜗轮蜗杆组件的润滑装置
CN113048382A (zh) * 2021-03-17 2021-06-29 安徽春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欧式双主梁起重机的导轨养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13766U (zh) 一种自润滑输送链
CN104379270A (zh) 用于轧制设备的喷射装置以及用于将该系统从轧机架移除/将该系统插入轧机架中的方法
CN103332569B (zh) 齿轮、齿条升降机啮合传动机构
KR20130128582A (ko)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CN202338116U (zh) 滚轮组件、轨道滑移装置和混凝土喷射机械手
KR101309731B1 (ko) 크레인 차륜용 고체 윤활제 공급장치
CN102328808A (zh) 线摩擦制动带式输送机
RU2605130C1 (ru) Буксовая накладка боковой рамы вагонной тележки
CN114439911B (zh) 大轴重冶金车辆走行驱动减速机的润滑和密封系统
US10309583B2 (en) Support mechanism for a construction machine
CN204473712U (zh) 一种滑撬积放输送链
CN205500591U (zh) 一种天车轨道卡
CN203030642U (zh) 一辊出口滚动导卫总成
US4964344A (en) Side link pusher dog with lubrication passage
US5893330A (en) Suspension apparatus
CN202783476U (zh) 四驱履带行走装置防堆齿的张紧机构
KR20040013649A (ko) 천정 크레인 차륜이 접하는 레일 측면의 도유 장치
CN204978926U (zh) 用于履带架的夹轨装置、履带架及旋挖钻机
CN218325880U (zh) 一种开放式炼胶机的高强双排链联轴器传动装置
CN204702142U (zh) 分段式轴向定位横移小车
CN219766776U (zh) 一种组合式渣车
RU161616U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тержневого гребнесмазывателя на буксе колесной пары тепловоза
CN216896703U (zh) 一种无极绳绞车钢丝绳的涂油装置
CN217814607U (zh) 基于十字导轨的联轴器
CN213169930U (zh) 一种芯棒循环步进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