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893A - 화상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893A
KR20130127893A KR1020120094415A KR20120094415A KR20130127893A KR 20130127893 A KR20130127893 A KR 20130127893A KR 1020120094415 A KR1020120094415 A KR 1020120094415A KR 20120094415 A KR20120094415 A KR 20120094415A KR 20130127893 A KR20130127893 A KR 2013012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unit
image information
notification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637B1 (ko
Inventor
마사유키 아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정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정션
Publication of KR2013012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07F17/26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for the use of a photocopier or print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불안을 느끼지 않고 촬영한 화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상촬영장치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장치와 서버장치를 갖는 화상촬영 시스템이며, 촬영장치는 단말장치의 이용자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단말장치의 이용자로부터 통지처정보를 취득하는 통지처정보 취득부와, 통지처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통지처정보 및 촬영된 화상정보를 서버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고, 서버장치는 통지처정보 및 화상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저장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로 화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정보를 송신하는 다운로드정보 송신부와, 다운로드정보를 수신하면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를 갖는 화상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촬영 시스템{IMAGE CAPTURING SYSTEM}
본 발명은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을 서버로 전송하고, 단말장치에 화상을 다운로드하여 입수하는 화상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화상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정보를 서버가 단말장치로 향하여 송신하고, 화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상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게임센터 등에 있어서, 사진 시일기, 프린트 시일기나 스티커 사진기 등으로 알려져 있는 화상촬영 인쇄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화상촬영 인쇄장치는 이용자를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에 대하여 이용자가 소위 「낙서」등으로 수식(修飾)을 행하고, 수식된 화상을 인쇄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때 이용자는 촬영, 수식(修飾) 및 인쇄에 대한 대가에 상당하는 경화(동전)나 지폐를 화상촬영 인쇄장치의 투입구에 투입하여 대가의 징수가 행해진다.
최근, 인쇄하는 기능에 덧붙여서 화상촬영 인쇄장치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서버에 전송하고, 이용자가 서버에 액세스하고, 서버로부터 화상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촬영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촬영 시스템에서는 촬영된 화상이 서버에 전송될 때 이용자가 설정한 패스워드 혹은 생년월일과 휴대전화번호의 조합 등의 이용자 고유의 정보가 화상촬영 인쇄장치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용자는 서버에 액세스할 경우에 화상촬영 인쇄장치에 입력한 패스워드나 이용자 고유의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서버에 있어서 패스워드나 이용자 고유의 정보의 일치가 확인된 후에 촬영된 화상을 이용자가 갖는 단말장치에 다운로드하여 입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촬영 인쇄장치에 입력한 패스워드나 이용자 고유의 정보를 이용자가 잊어버리면 화상을 다운로드할 수 없게 되는데다가, 타인에게 패스워드나 이용자 고유의 정보가 추측되면 타인에게 화상이 다운로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화상촬영 인쇄장치의 이용에 불안을 느껴 화상촬영 인쇄장치의 이용이 증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가 불안을 느끼지 않고 촬영한 화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상촬영장치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촬영장치와 서버장치를 갖는 화상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촬영장치는 단말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단말장치의 이용자로부터 통지처정보를 취득하는 통지처정보 취득부와, 통지처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통지처정보 및 촬영된 화상정보를 상기 서버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서버장치는 촬영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저장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로 화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정보를 송신하는 다운로드정보 송신부와, 다운로드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다운로드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는 이용자의 통지처정보를 화상촬영장치에 입력하고, 화상촬영장치는 입력된 통지처정보와 화상을 서버에 송신하므로, 서버는 송신된 통지처정보를 이용하여 그 이용자에게만 다운로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패스워드를 이용자가 잊어버리면 화상을 다운로드할 수 없게 되거나 타인에게 화상이 다운로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촬영 시스템의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촬영부의 기능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경화상부분의 특정 및 수식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 화상보유부의 기능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제 1 화상정보와 제 2 화상정보의 각종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 화상수식부의 기능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통지처정보 취득부의 기능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송신부의 기능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의 기능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 화상정보 수신부의 기능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 화상저장부의 기능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 다운로드정보 송신부의 기능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 다운로드부의 기능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의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기능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촬영 시스템의 처리의 시퀀스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변형을 해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식(修飾)은 변경 또는 장식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수식(修飾)은 예를 들어 축소(shrink), 확대(enlarge), 회전(turn) 등 사진의 변경(a modification of a photo)을 의미하거나 다른 이미지들 등을 사용한 사진의 장식(decoration of a photo with some other images and so on)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촬영 시스템의 기능블록도를 나타낸다. 화상촬영 시스템(100)은 촬영장치(101), 서버장치(102) 및 단말장치(103)를 갖는다. 촬영장치(101)와 서버장치(102)는 제 1 통신망에 의해 접속되고, 또한 서버장치(102)와 단말장치(103)는 제 2 통신망에 의해 접속된다. 제 1 통신망은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공중통신망이거나 전용선에 의한 통신망이다. 또한, 촬영장치(101)의 설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통신망으로서 휴대전화용 통신망이 이용되어도 된다. 제 2 통신망도 제 1 통신망과 동일한 인터넷 등의 통신망이어도 된다. 단말장치(103)가 휴대전화 등이면 제 2 통신망은 휴대전화용 통신망, 공중무선LAN을 이용한 통신망 등이어도 된다.
촬영장치(101)는 이용자의 화상을 촬영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에 대하여 수식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촬영장치(101)는 이용자로부터 통지처정보(通知先情報)를 취득하고, 취득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서버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촬영장치(101)는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에 대하여 ID를 생성하고, 이 ID도 취득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서버에 송신할 때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촬영장치(101)가 화상정보의 인쇄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정보를 인쇄할 때에 생성한 ID도 인자(印字)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이용자가 통지처정보를 잘못 입력한 경우나, 통지처의 전자메일 어드레스 등을 변경한 경우라도 인자(印字)된 ID를 이용하여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통지처정보는 촬영한 화상을 단말장치(103)에 다운로드하기 위한 정보의 통지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통지처정보로서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3)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통지처정보로서는 이용자의 메일 어드레스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SNS(Social Network System)에서의 이용자의 식별정보(ID), 스마트 폰용 통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ID, 휴대전화 등에서의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전화번호 등도 예로 들 수 있다. 통지처정보는 서버장치(102)가 이용자에 대하여 메시지를, 소위 PUSH 송신하기 위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다시 말하면, 통지처정보는 서버장치(102)로부터 이용자를 향해서 일방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정보이다. 다시 말하면 통지처정보는 서버장치(102)가 다운로드정보를 일방적으로 송신하는 수신처(宛先)를 나타낼 수도 있다. 특히, 통지처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자가 서버장치(102)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장치(102)는 촬영장치(101)로부터 통지처정보와 함께 송신된 화상정보를 수신하고, 화상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이때, 서버장치는 통지처정보와 관련지어 화상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해도 된다. 또한, 단말장치(103)로부터 화상정보의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고, 저장된 화상정보를 송신한다.
단말장치(103)는 통지처정보를 서버장치(10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통신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3)는 통지처정보를 촬영장치(101)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3)가 갖는 화면에 통지처정보를 문자열이나 바코드 형식으로 표시하고, 촬영장치(101)가 표시된 통지처정보를 촬영하여 취득해도 된다. 또한, 단말장치(103)의 이용자가 촬영장치(101)에 구비된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이나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통지처정보를 입력해도 된다.
단말장치(103)는 서버장치(102)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에 기억한다. 또한, 단말장치(103)는 필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정보에 수식 등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촬영장치(101), 서버장치(102) 및 단말장치(103)의 구성 및 처리의 플로우차트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촬영장치(101)의 기능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장치(101)는 촬영부(201), 화상보유부(202), 통지처정보 취득부(204) 및 송신부(205)를 갖는다. 혹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장치(101)는 또한 화상수식부(203)를 갖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영부(201)와 통지처정보 취득부(204)는 촬영부(201)의 카메라부를 공유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촬영부(201)는 화상을 촬영하고, 화상정보를 생성한다. 화상은 촬영장치(101)의 이용자의 화상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촬영부(201)는 CCD 소자 등의 촬상소자를 갖는 카메라에 의해, 광학계에 입사한 화상을 화상정보로 변환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정보로부터 배경 부분을 특정하고, 이용자의 화상부분과 배경 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색의 커튼 등을 이용하여 배경색이 소정의 색이 되도록 하고, 커튼 등과 카메라 사이에 이용자가 위치하여 촬영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배경 부분을 제외한 화상의 화상정보를 이하에서는 메인 화상정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은 촬영부(201)의 기능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촬영부(201)는 카메라부(301)을 갖는다. 카메라부(301)는 상술한 광학계와 촬상소자를 갖는 카메라에 의해 구성된다. 광학계에 의해 촬상소자 상에 상을 결상(結像)시키고, 촬상소자에 의해 결상 상태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정보를 얻는다. 또한, 촬영부(201)는 배경특정부(30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배경특정부(302)는 얻어진 화상정보 중, 배경 영역을 특정한다. 이로 인하여 촬영장치(101)의 이용자 등의 사람을 촬영한 화상의 부분인 메인 화상과, 배경 부분의 화상을 구별할 수 있다. 배경 부분의 특정은 커튼 등의 소정의 색의 부분을 구함으로써 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정보의 바깥가장자리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소정의 색이 연속하는 경우, 배경 부분의 화상이라고 하여 배경 부분을 특정한다.
도 4는 배경특정부(302)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상정보(401)가 카메라부(301)에 의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라고 하자. 이때, 배경특정부(302)는 배경 부분의 화상(403)을 특정한다. 이로 인하여, 배경 부분(403)과 메인 화상의 부분(402)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메인 화상의 부분화상(406)을 제외한 배경의 부분화상(405)의 화상정보(404)(배경화상정보)와, 배경의 부분화상(409)을 제외한 메인 화상의 부분화상(408)의 화상정보(407)(메인 화상정보)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있어서, 사선 부분(해칭 부분)은, 예를 들면 투명한 색의 부분이며, 다른 화상을 아래의 레이어에 겹친 경우, 사선 부분에는 아래의 레이어 화상의 부분이 표시된다.
화상보유부(202)는 촬영부(201)에 의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를 보유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 소자에 일시적으로 기억하여 화상정보를 보유한다. 또한, 화상보유부(202)는 다음에 설명하는 화상수식부(203)에 의한 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보유부(202)는 촬영부(201)에 의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가 보유되는 영역과 화상수식부(203)에 의한 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다른 영역으로 하여 화상정보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메인 화상정보가 보유되는 영역과 배경화상정보가 보유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으로 하여 화상정보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화상보유부(202)의 기능블록도를 나타낸다. 화상보유부(202)는 메인 화상정보 보유부(501)를 갖는다. 또한, 화상보유부(202)는 배경화상정보 보유부(502)를 갖고 있어도 된다. 화상보유부(202)가 배경화상정보 보유부(502)를 갖는 경우에는, 촬영부(201)는 배경특정부(302)를 갖는다. 이 경우, 촬영부(201)에 의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에 대하여 배경특정부(302)에 의해 배경 부분의 화상이 특정된다. 이로 인하여, 메인 화상정보가 보유되는 영역과 배경화상정보가 보유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으로 하여 화상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 화상정보가 보유되는 영역과 배경화상정보가 보유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으로 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화상보유부(202)에 보유되는 화상정보의 각종 형태를 나타낸다. 제 1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화상정보를 촬영된 화상의 화상정보, 즉 촬영부(20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의 화상정보로 하고, 제 2 화상정보를 수식(修飾)된 화상의 화상정보로 한다.
여기에, 후술하는 화상수식부(203)에 의한 수식이 도 4의 화상정보(410)와 같이 배경화상정보에 대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면, 수식된 화상의 화상정보는 화상정보(410)와 화상정보(407)를 합성한 화상정보(413)가 된다. 촬영된 화상과의 화상정보와 수식된 화상의 화상정보의 차분을 계산하면 메인 화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 메인 화상정보를 얻을 수 있으면, 수식된 화상의 화상정보 상의 레이어에 메인 화상정보를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수식의 일부가 메인 화상 상에 표시되어 메인 화상이 보기 어렵게 되는 일이 없어진다.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화상정보를 메인 화상정보로 하고, 제 2 화상정보를 수식된 화상의 화상정보로 한다. 예를 들면, 제 1 화상정보를 화상정보(407)로 하고, 제 2 화상정보를 화상정보(413)로 한다.
제 3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화상정보를 수식된 화상정보로 하고, 제 2 화상정보를 수식된 배경화상의 화상정보로 한다. 예를 들면, 제 1 화상정보를 화상정보(413)로 하고, 제 2 화상정보를 화상정보(410)로 한다. 화상정보(413)로부터 화상정보(410)의 차분을 계산하면 메인 화상정보(407)를 얻을 수 있다.
제 4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화상정보를 메인 화상정보로 하고, 제 2 화상정보를 수식된 배경화상의 화상정보로 한다. 예를 들면, 제 1 화상정보를 화상정보(407)로 하고, 제 2 화상정보를 화상정보(410)로 한다.
이어서, 촬영장치(101)가 화상수식부(203)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화상수식부(203)는 촬영부(201)에 의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의 배경부분의 배경화상정보에 대하여 수식을 가한다.
수식(修飾)은 디스플레이에 화상정보를 표시하고, 전자 펜이나 마우스 등에 의한 조작이나, 혹은 표시부분이 터치 패널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에 사람의 손가락이 닿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의한 조작에 의해, 선을 배경부분에 덧붙여 쓰거나, 소정의 부분화상을 선택하여 배치하거나, 스탬프를 밀거나 하여 행해진다. 배경부분에 수식이 가해짐으로써 도 4의 화상정보(413)의 화살표(412)와 같이, 메인 화상의 아래에 수식이 가해져 있는 것처럼 보이고, 메인 화상의 인물을 장식할 수 있다.
한편, 촬영장치(101)는 (1) 상술한 바와 같이 배경부분에 수식을 가하고 메인 화상에는 수식을 가하지 않는 제 1 모드와, (2) 배경부분에 수식을 가하고, 또한 메인 화상에도 수식을 가할 수 있는 제 2 모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촬영장치(101)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촬영장치(101)가 가위바위보 등의 게임을 이용자와 행하여, 이용자가 이겼을 경우에 이용자가 모드를 선택하고, 이용자가 패배했을 경우에는 촬영장치(101)가 난수 등을 생성하여 모드를 선택해도 된다.
도 7은 화상수식부(203)의 기능블록도를 나타낸다. 화상수식부(203)는 조작검출부(701), 화상표시부(702) 및 조작실행부(703)를 갖는다. 화상표시부(702)는 촬영부(201)에 의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과 그 제어회로와 필요하다면 제어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조작검출부(701)는 표시된 화상정보에 대한 조작을 검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펜, 마우스, 터치패널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에 의한 조작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선의 묘화, 부분화상의 선택, 부분화상의 배치, 조작 취소 등의 조작을 검출한다. 조작실행부(703)는 화상보유부(202)에 보유된 화상정보에 대하여 조작검출부(701)에 의해 검출된 조작을 가한다. 조작실행부(703)에 의해 조작이 가해진 화상정보는 화상표시부(702)에도 표시된다.
통지처정보 취득부(204)는 이용자로부터 통지처정보를 취득한다. 이 통지처정보는 서버장치(102)로 송신되는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취득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장치(103)의 이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통지처정보 취득부(204)의 기능블록도를 나타낸다. 통지처정보 취득부(204)는 통지처정보 판독부(801)와 통지처정보 송신부(802)를 갖는다. 통지처정보 판독부(801)는 통지처정보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3)가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통지처정보를 송신할 때에는 적외선 등을 수신하고, 통지처정보를 복호하고 판독한다. 또한, 단말장치(103)가 그 디스플레이에 통지처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촬영부의 카메라부(301)를 이용하여 그 표시를 촬영하고, 문자인식이나 바코드의 복호 등을 행하여 통지처정보를 판독해도 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단말장치(103)가 촬영장치(101)에 통지처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촬영장치(101)가 화상수식부(203)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전자 펜이나 마우스, 터치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입력되는 통지처정보를 판독해도 된다.
또한, 촬영장치(101)가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에 URL 등을 나타내는 바코드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여기에서, URL 등은 통지처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웹페이지나 통지처정보 송신처(예를 들면, 전자메일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촬영장치(101)가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바코드 정보를 단말장치(103)가 갖는 카메라로 촬영하고, 복호를 행하고, 단말장치(103)가 그 URL 등이 나타내는 웹페이지 등에 액세스를 행하고, 통지처정보를 단말장치(103)를 조작함으로써 설정해도 된다.
통지처정보 송신부(802)는 통지처정보 판독부(801)가 판독한 통지처정보를 송신부(205)로 송신한다.
송신부(205)는 촬영부(201)에 의한 촬영에 의해 얻어지고, 화상보유부(202)에 보유된 화상정보를 통지처정보 취득부(204)에 의해 취득된 통지처정보와 함께 송신한다. 한편, 송신부(205)는 촬영부(201)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에 덧붙여서 화상수식부(203)에 의해 수식된 화상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이로 인하여, 차분을 계산함으로써 메인 화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화상수식부(203)에 의해 수식된 화상정보와 촬영부(201)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가 송신부(205)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의 제 1 화상정보와 제 2 화상정보를 통지처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화상수식부(203)에 의해 수식된 화상정보와 메인 화상정보를 분리할 수 있는 형태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0은 촬영장치(101)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의 일례이다. 스텝 S1001의 처리로서, 촬영부(201)에 의해 화상을 촬영하여 화상정보를 얻는다.스텝 S1002의 처리로서, 화상보유부(202)에 의해 스텝 S1001에서 얻어진 화상정보를 저장하고 보유한다. 또한, 촬영장치(101)가 화상수식부(203)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화상수식부(203)에 의해 스텝 S1002에서 보유된 화상정보의 수식을 행할 수도 있다. 스텝 S1003의 처리로서, 통지처정보 취득부(204)에 의해 통지처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004에 의해 송신부(205)에 의해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송신한다.한편, 스텝 S1001 및 S1002과 스텝 S1003의 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촬영장치(101)를 CPU, 메모리, 2차 기억장치 및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상호 버스에 의해 접속한 계산기에 도 10의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킴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촬영부(201)에 의한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정보는 2차 기억장치에 기억된다. 그리고, 촬영장치(101)가 화상수식부(203)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화상수식부(203)의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 실행하고, 메모리를 작업영역으로서 이용하여 화상정보에 대한 수식을 행한다. 또한, 통지처정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3)와의 통신 등을 행하여 취득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가 송신된다.
물론, 촬영장치(101)는 전용의 LSI 등을 조합하여 하드웨어만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장치(101)는 상술한 각 부를 각각 구성하는 등의 복수의 계산기를 조합하여 연동시킴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은 서버장치(102)의 기능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서버장치(102)는 화상정보 수신부(1101), 화상저장부(1102), 다운로드정보 송신부(1103) 및 다운로드부(1104)를 갖는다.
화상정보 수신부(1101)는 촬영장치(101)로부터 송신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수신한다.
도 12는 화상정보 수신부(1101)의 기능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상정보 수신부(1101)는 통지처정보가 있는 화상정보 수신부(1201), 통지처정보 분리부 (1202) 및 화상정보 분리부(1203)를 갖는다.
통지처정보가 있는 화상정보 수신부(1201)는 촬영장치(101)로부터 송신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수신하고, 통지처정보 분리부(1202)와 화상정보 분리부(1203)에 수신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면, 통지처정보가 있는 화상정보 수신부(1201)는 수신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서버장치(102)가 갖는 메모리의 소정 어드레스에 수신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저장하고, 소정 어드레스를 통지처정보 분리부(1202)와 화상정보 분리부(1203)에 전달한다.
통지처정보 분리부(1202)는 통지처정보가 있는 화상정보 수신부(1201)가 수신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로부터 통지처정보를 분리하여 화상저장부(1102)에 전달한다.
화상정보 분리부(1203)는 통지처정보가 있는 화상정보 수신부(1201)가 수신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로부터 화상정보를 분리한다. 분리된 화상정보는 화상저장부(1102)에 전달된다.
화상저장부(1102)는 화상정보 수신부(1101)로부터 전달되는 화상정보를 서버장치(102)의 기억장치나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단말장치(103)로부터 화상정보의 다운로드 요구가 있으면, 저장된 화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화상정보를 판독하기도 한다.
도 13은 화상저장부(1102)의 기능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화상저장부(1102)는 테이블(1301), 등록부(1302), 화상정보 기억부(1303) 및 화상취득부(1304)를 갖는다.
테이블(1301)은 화상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지만, 도 13에서는 통지처정보와 제 1 화상정보 및 제 2 화상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할 수 있는 경우의 테이블(1301)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통지처정보로서의 a@b.kr과, 제 1 화상정보를 저장한 파일명으로서의 012345.jpg와 제 2 화상정보를 저장한 파일명으로서의 678910.jpg를 한 행에 저장한다. 이로 인하여, 012345.jpg에 저장된 화상정보 및 678910.jpg에 저장된 화상정보가 a@b.kr이라는 통지처정보와 관련지어진다.
등록부(1302)는 화상정보 수신부(1101)로부터 전달되는 화상정보를 테이블(1301)에 등록한다. 또한, 등록된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정보를 생성하고, 화상정보 수신부(1101)로부터 전달된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에 송신 가능하게 한다.
다운로드정보는, 예를 들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파일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파일명은 화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의 이름이다. 그러한 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저장부(1102)나 서버장치(102)의 내부나 서버장치(102)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기억장치에 배치되어 있다.통지처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PUSH 송신할 수 있는 통지처를 나타내므로, 단말장치(103)의 이용자가 서버장치(102)에 액세스를 행하지 않아도 일방적으로 다운로드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장치(103)의 이용자에게 이용자 등록 작업을 행하게 할 필요가 없다.
다운로드정보에는 화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의 이름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통지처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통지처정보는 암호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 인하여 다운로드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한 단말장치(103)를 인증할 수 있다.
화상저장부(1102)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처정보와 관련지어 화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통지처정보가 다운로드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면, 다운로드정보에 포함되는 통지처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정보를 모두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하여, 통지처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정보의 일람을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서버장치(102)에서 생성하고, 단말장치에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서버장치(102)는 다운로드정보를 수신하면 다운로드정보에 포함되는 통지처정보를 구하고, 테이블(1301)에서 통지처와 관련지어져 있는 화상정보의 파일명을 취득하고, 취득된 파일명을 클릭 가능하게 표시하는 웹페이지나, 취득된 파일명으로 나타내는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웹페이지에 있어서 화상정보마다 다운로드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중복해서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정보가 누출되거나 하여 타인이 다운로드했을 경우에, 정보의 누출이 있었던 것을 검출할 수 있어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다.
화상정보 기억부(1303)는 화상정보 수신부(1101)로부터 전달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고, 파일명을 부여한다. 등록부(1302)는 화상정보를 화상정보 기억부(1303)에 의해 저장하고, 각각의 파일명을 얻어 테이블(1301)에 통지처정보에 관련지어 저장한다. 또한, 등록부(1302)는 파일명을 얻어 등록된 화상정보를 특정하여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정보를 생성한다.
화상취득부(1304)는 다운로드정보가 주어지면 그 다운로드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정보의 유무를 판단하여, 화상정보가 있으면 그 화상정보를 취득한다. 취득된 화상정보는 다운로드부(1104)로 전달된다.
다운로드정보 송신부(1103)는 등록부(1302)가 송신 가능으로 한 다운로드정보를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로 송신한다. 통지처정보를 다운로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만 사용함으로써 타인에게 통지처정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화상정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다운로드정보 송신부(1103)의 기능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다운로드정보 송신부(1103)는 다운로드정보 취득부(1401) 및 다운로드정보 통지부(1402)를 갖는다. 다운로드정보 취득부(1401)는 등록부(1302)가 화상저장부(1102)에 화상정보를 저장하면, 등록부(1302)로부터 그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에 그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정보를 취득한다. 다운로드정보 통지부(1402)는 다운로드정보를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로 송신한다.
도 15는 다운로드부(1104)의 기능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다운로드부(1104)는 다운로드요구 수신부(1501), 화상정보 취득부(1502) 및 취득화상정보 송신부(1503)를 갖는다. 다운로드요구 수신부(1501)는 단말장치로부터 다운로드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고, 화상정보 취득부(1502)에 화상정보를 취득시킨다. 화상정보 취득부(1502)는 화상취득부(1304) 등에 의해 화상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화상정보 송신부(1503)는 화상정보 취득부(1502)가 취득한 화상정보를 단말장치(103)로 송신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장치(102)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의 (A)는 촬영장치(101)로부터 송신되는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 16의 (B)는 단말장치(103)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스텝 S1601의 처리에 있어서, 화상정보 수신부(1101)에 의해 통지처정보가 있는 화상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1602의 처리에 있어서, 통지처정보가 있는 화상정보로부터 분리, 합성되는 통지처정보, 화상정보를 화상저장부(1102)에 저장한다.스텝 S1603의 처리에 있어서, 다운로드정보를 취득하고,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로 다운로드정보를 송신한다.
스텝 S1604의 처리로서, 다운로드요구 수신부(1501)에 의해 단말장치(103)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한다. 스텝 S1605의 처리로서, 화상저장부(1102)에 의해, 다운로드 요구에 의해 요구되고 있는 화상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606의 처리로서, 다운로드부(1104)에 의해 화상정보를 단말장치(103)로 회신한다.
서버장치(102)는 CPU, 메모리, 2차 기억장치 및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상호 버스에 의해 접속한 계산기에 도 16의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킴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에 저장하고, 통지처정보 및 화상정보로 분리한다. 이어서, 화상정보를 2차 기억장치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정보를 취득하고,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로 다운로드정보를 송수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송신한다. 송수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장치(103)로부터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화상정보를 취득하고, 송수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화상정보를 단말장치(103)에 회신한다.
도 17은 단말장치(103)의 기능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단말장치(103)는 다운로드 개시부(1701), 다운로드요구 송신부(1702), 화상정보 수신부(1703) 및 화상메모리(1704)를 갖는다. 단말장치(103)는 단말수식부(1705)를 가질 수도 있다.
다운로드 개시부(1701)는 다운로드정보를 수신하고, 화상정보를 단말장치(103)에 다운로드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정보가 전자 메일에 포함되는 URL로서 단말장치(103)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는, 그 전자 메일을 표시하여 URL을 클릭 가능하게 한다. URL이 클릭되면, 다운로드요구 송신부(1702)가 그 URL을 다운로드 요구로서 서버장치(102)에 송신하고, 화상정보 수신부(1703)가 서버장치(102)로부터 회신되는 화상정보를 수신한다. 화상메모리(1704)는 서버장치(102)로부터 수신된 화상정보를 수신한다.
단말수식부(1705)는 서버장치(102)로부터 수신되어 화상메모리(1704)에 기억된 화상정보를 단말장치(103)측에서 수식하고, 촬영장치(101)의 화상수식부(203)와 동등 혹은 일부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즉, 단말수식부(1705)에 의해 서버장치(102)로부터 수신된 화상정보에 대하여 수식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메인 화상의 아래에 백색의 레이어가 배치되고, 백색의 레이어에 대하여 수식이 행해진다. 이로 인하여, 촬영장치(101)에서 행한 수식과는 다른 수식을 단말장치(103)에서 실행할 수 있다. 즉, 수식은 배경에 대하여 행해지는 것처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단말장치(103)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의 일례이다. 스텝 S1801의 처리로서, 다운로드 개시부(1701)에 의해 다운로드 명령을 취득한다.다운로드 명령은 이용자가 URL을 클릭하거나 하여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1802의 처리로서, 다운로드요구 송신부(1702)에 의해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1803의 처리로서, 화상정보 수신부(1703)에 의해 화상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1804의 처리로서, 스텝 S1803에서 수신된 화상정보를 화상 메모리에 기억한다.
단말장치(103)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단말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단말장치(103)가 휴대 단말에 의해 실현될 경우에는 단말수식부(1705)는 단말장치(103)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촬영 시스템의 처리의 시퀸스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텝 S1901에서, 단말장치(103)에서 촬영장치(101)로 통지처정보가 송신된다. 스텝 S1902에서, 통지처정보, 화상정보가 촬영장치(101)에서 서버장치(102)로 송신된다. 스텝 S1903에서, 서버장치(102)에서 단말장치(103)로 다운로드정보가 송신된다. 스텝 S1904에서, 단말장치(103)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송신된다. 스텝 S1905에서, 다운로드정보의 송신에 따라 서버장치(102)에서 단말장치(103)로 화상정보가 송신되고, 단말장치(103)로 다운로드된다.
100 : 화상촬영 시스템 101 : 촬영장치
102 : 서버장치 103 : 단말장치

Claims (5)

  1. 촬영장치와 서버장치를 갖는 화상촬영 시스템이며,
    상기 촬영장치는,
    단말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단말장치의 이용자로부터 통지처정보를 취득하는 통지처정보 취득부와,
    상기 통지처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통지처정보 및 상기 촬영된 화상정보를 상기 서버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고,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지처정보와 화상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저장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통지처정보가 나타내는 통지처로 상기 화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정보를 송신하는 다운로드정보 송신부와,
    다운로드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다운로드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를 갖는 화상촬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처정보는 상기 서버장치가 다운로드정보를 일방적으로 송신하는 수신처(宛先)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촬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처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촬영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처정보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서버장치가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촬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처정보는 상기 단말장치가 갖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통지처정보를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함으로써 상기 통지처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촬영 시스템.
KR1020120094415A 2012-05-15 2012-08-28 화상촬영 시스템 KR101365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1738A JP2013239028A (ja) 2012-05-15 2012-05-15 画像撮影システム
JPJP-P-2012-111738 2012-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893A true KR20130127893A (ko) 2013-11-25
KR101365637B1 KR101365637B1 (ko) 2014-02-20

Family

ID=4965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415A KR101365637B1 (ko) 2012-05-15 2012-08-28 화상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3239028A (ko)
KR (1) KR101365637B1 (ko)
CN (1) CN103428420A (ko)
MY (1) MY158527A (ko)
TW (1) TW2013468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6561A (zh) * 2014-03-20 2014-07-09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图像数据获取装置及其控制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185A (ja) * 2001-02-14 2002-10-31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画像記録方法および画像記録システム
JP3516074B2 (ja) * 2001-06-08 2004-04-05 オムロン株式会社 写真シール自動販売方法、及び写真シール自動販売装置
JP2004015428A (ja) * 2002-06-06 2004-0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影装置、撮影方法、携帯端末画像合成データ処理装置、携帯端末画像合成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配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画像合成データ処理サーバ、データ配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2004088726A (ja) * 2002-06-26 2004-03-18 Casio Comput Co Ltd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5144742A (ja) * 2003-11-12 2005-06-09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ト端末装置
JP3856810B2 (ja) * 2005-04-06 2006-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4569578B2 (ja) * 2007-01-31 2010-10-27 フリュー株式会社 画像転送システム、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画像保存サーバ、画像転送方法、および画像転送プログラム
JP2008305334A (ja) * 2007-06-11 2008-12-18 Kitamura:Kk 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画像プリン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52410B2 (ja) * 2007-07-04 2012-06-13 フリュー株式会社 アドレス送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メール送信システム、アドレス送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JP4674251B2 (ja) * 2008-10-28 2011-04-20 株式会社ウィルコム フォトサービスシステム、フォトサービス方法、写真注文端末装置
JP5526349B2 (ja) * 2010-09-07 2014-06-18 株式会社メイクソフトウェア 画像提供サーバ、および写真シール作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637B1 (ko) 2014-02-20
MY158527A (en) 2016-10-14
TW201346827A (zh) 2013-11-16
JP2013239028A (ja) 2013-11-28
CN103428420A (zh)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3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CN104618622B (zh) 一种通过移动终端将用户帐号与图像形成设备绑定的方法及系统
US8914479B2 (en) Image-processing system and image-processing method
CN102594896B (zh) 电子相片共享方法及系统
JP5553721B2 (ja) 表示装置、開示制御装置、開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64211B2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document processing method, document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ansmitting docu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rule selected on the basis of position information
JPWO2006030521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08897996B (zh) 标识信息关联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30208007A1 (en) Position-related information registration apparatus, position-related information registration system, position-related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WO2013016908A1 (zh) 结合地理位置信息和验证信息的电子名片传递方法及系统
JP2006236066A (ja) 会員認証システムとサーバ、携帯端末、情報確認端末、会員認証方法と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21026285A (ja) 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213216A (ja) 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サーバー、アルバム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23880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JP2017090988A (ja) 写真画像抽出装置、写真画像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65637B1 (ko) 화상촬영 시스템
JP2007334629A (ja) Idカード発行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170779A (ja) 画像形成装置、携帯端末、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6187133A (ja) 画像撮影システム
JP5872244B2 (ja) 画像撮影システム、画像撮影システムの動作方法、撮影装置、撮影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02607B2 (ja) サービス提供支援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可搬型のコンピュータ、サービス提供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975219B2 (ja) 端末制御システム、端末制御方法、制御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529937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5213337A (ja) 撮影装置、撮影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88028A (ja) 個人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