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769A - 윈드스크린 인스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윈드스크린 인스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769A
KR20130125769A KR1020137012251A KR20137012251A KR20130125769A KR 20130125769 A KR20130125769 A KR 20130125769A KR 1020137012251 A KR1020137012251 A KR 1020137012251A KR 20137012251 A KR20137012251 A KR 20137012251A KR 20130125769 A KR20130125769 A KR 20130125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ount
windscreen
assembly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590B1 (ko
Inventor
윌리엄 핀크
크리스토퍼 데이비스
Original Assignee
벨론 헝가리 케이에프티. 주그 브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론 헝가리 케이에프티. 주그 브랜치 filed Critical 벨론 헝가리 케이에프티. 주그 브랜치
Publication of KR2013012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22Means for attaching lifting, supporting, or manoeuvring devices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 B25B11/007Vacuum work holders portable, e.g. handh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5Mounting of windows using positioning means during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6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 Y10T29/53974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having means to permit support movement while work is there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7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means to relatively position plural work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91Work gripper, anvil, o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윈드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장치로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상기 윈드 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16)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2)를 포함한다. 마운트 어셈블리(3)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2)를 서포트하기 위해 구비된다. 마운트 어셈블리(3)는 서포트 암(16)과 체결되는 마운트 구조(11)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그 길이 방향으로 마운트 구조(11)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암은 운반을 위해 한 부분보다 많은 부분으로 분해될 수 있고, 앵커 디바이스와 분해된 암 파트는 운반을 위해 서로 부착되는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윈드스크린 인스톨 장치 및 방법{WINDSCREEN INSTALLATION APP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인스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일 기술자가 윈드스크린을 제어, 예를 들어 윈드스크린 어퍼쳐 내에 위치시키거나 차량의 프레임을 오픈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다양한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EP 1826044, EP 1923243, US7610666 및 DE202007016885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는 특히 자동차용, 예를 들어 단일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재배치가 필요한 윈드스크린을 가진 차량을 대할 때 적합하다. 그러한 상황에서, 이동 및 조립이 편리하고, 또한 단일 기술자에 의해 쉽게 사용 가능한 장치는 중요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작업장 혹은 차고에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EP 1826044, EP 1923243 및 US7610666에 개시된 배치들에 있어서,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 앵커는 피벗 구조를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에 마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윈드스크린 고정 구조는 암을 가지고, 이는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 앵커 상에서 피벗 구조의 피벗 핀으로 일 끝단에서 체결하고, 또한 윈드쉴드에 고정하기 위해서 앵커를 운반하기 위해 배열된다. 윈드스크린은 상기 기술자에 의해 포지셔닝을 위해 조정될 수 있고, 한쪽은 상기 기술자에 의해 서포트되고 다른 쪽은 사이드 글라스 앵커의 피벗 핀 상에 마운트된 암에 의해 서포터된다. 상기 앵커들은 일반적으로 선행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펌프 작동 흡착 디바이스이다. EP 1826044와 EP 1923243에서, 윈드스크린 고정 구조의 암은 연장 가능하도록 늘였다 줄였다할 수 있다. US7610666에서, 윈드스크린 앵커들은 암을 포함하는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선행문헌들에 기재된 사항은 구조의 복잡성, 무게 및 또한 사용 연한 동안 손상의 가능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개선된 배치를 갖는 신규 구조를 제안한다.
첫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상기 윈드 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서포트하는 마운트 어셈블리, 여기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암과 체결되는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그 길이 방향으로 마운트 구조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윈드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체 서포트 암은 마운트 구조에서 그 전체로, 그리고 서포트 암의 길이 방향으로 통째로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상기 윈드 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서포트하는 마운트 어셈블리, 여기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암과 체결되는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마운트 구조에서 그 전체로, 그리고 서포트 암의 길이 방향으로 통째로 움직일 수 있는,
윈드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마운트 구조와 서포트 암 사이의 체결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는 체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트 암은 길이 방향으로 지나서 또는 마운트 구조 사이로 슬라이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운트 구조와 서포트 암 사이의 체결을 통해 상기 암은 마운트 구조와의 슬라이딩 체결 위치 내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마운트 구조와의 체결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암이 높아지거나 올려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트 구조는 상기 서포트 암이 슬라이딩 체결로 위치된 구조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상단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열은 상기 마운트 구조가 서포트 암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상기 마운트 구조는 마주보는 직립 면들 또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서포트 암의 마주보는 면들을 가이드하고 유지하기 위한 측면 요소를 갖는 요크 또는 새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마운트 구조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암이 마운트 구조와의 연결 영역에서 회전 또는 피벗 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마운트 구조는 이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탑재된다.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서포트 암은 마운트 구조와의 접촉 영역에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서포트 암이 상기 마운트 구조와 체결할 때 그 길이방향의 축에 대해 쉽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원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서포트 암은 연장된 로드이다. 상기 서포트 암은 보다 바람직하게 암의 반대편 끝에서 떨어져 있는 서포트 암의 길이에 따라 마운트 구조의 한 지점과 체결한다.
상기 원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서포트 암은 암의 끝부분이 상기 마운트 구조를 지나 슬라이딩하는 것을 막도록 정지시킨다. 상기 정지는 슬라이딩하는 이동 중 극한 지점에서 상기 마운트 구조와 체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정지는 구형의 정지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는 연장 서포트 암 상에서 고정된 탑재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서포트 암은 끝단과 끝단이 체결되도록 배열된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배열에서,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는 차량 앵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마운트 어셈블리가 차량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배열에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사이드 글래스 앵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마운트 어셈블리가 차량의 사이드 글라스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는 석션 디바이스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이드 글라스 앵커 디바이스는 석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계에서 알려진 대로 펌프 액추에이트 석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는 암 부분을 포함하며, 첫번째 끝단은 마운트 구조를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되고, 두번째 끝단은 마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회전되는 마운트에 연결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부착을 위한 차량 앵커 디바이스 및 상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암을 포함하고, 여기서 연장 암은 상기 암이 다른 탑재 형상들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앵커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윈드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마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다른 탑재 형태들에 대해서 상기 암이 부착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된 마운트 어셈블리가 바람직하다. 볼트 또는 다른 기계적 수단을 고정하는 브레이크 핸들이 상기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다른 탑재 형태들에서, 상기 암은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암은 직립 화전 축에 대해 피벗 또는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 상기 차량 앵커 디바이스는 마운트 어셈블리가 차량 사이드 글라스에 부착되도록 하는 사이드 글라스 앵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상기 차량 앵커 디바이스는 석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운트는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와 조합되어 사용되고; 여기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암과 체결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그 길이 방향으로 마운트 구조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구조는 회전 가능하고 피벗될 수 있는 마운팅 상에서 앵커 디바이스로 서포트되고 마운트 구조는 내려간 위치와 올라간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차량 앵커 디바이스, 및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서포트 암과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고, 여기서 마운트 구조는 회전 가능하고 피벗될 수 있는 마운팅 상에서 앵커 디바이스로 서포트되고, 이를 통해 마운트 구조는 내려간 위치와 올라간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윈드스크린을 제어,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의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장 암은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고, 마운팅의 회전 축은 실질적으로 상기 암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조정되거나 병렬이다.
유리하게는 연장 암은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으로부터 마운트 구조로 연장되고, 마운트 구조는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은, 일련의 연속적이고 회전 가능하게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인덱스-와이즈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열은 원하는 위치에서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을 마운트 구조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마운팅 측에 사이드와 직렬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와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서포트 암은 운반을 위해 하나보다 많은 부분으로 분해-가능하고, 앵커 디바이스와 분해된 암 파트는 운반을 위해 서로 부착되는 수단을 구비한,
윈드스크린을 제어,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용도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넣어진 형상에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에 부착된 분해된 로드 암 파트와 잔존하는 고정된 암 파트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넣어진 형상에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에 부착된 분해된 암 파트와 잔존하는 고정된 암 파트는 실질적으로 나란한 관계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두 개의 암 파트들은 상호 보완적인 끝단 연결부가 구비되어 서로 연결 가능하고, 분해-가능한 로드 암 파트의 끝단 연결은 앵커 디바이스에 구비된 상호 보완적인 연결부와의 연결에 사용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위치에 셋팅하는 단계,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는 윈드스크린에 부착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고;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서포트하는 마운트 어셈블리를 위치에 셋팅하는 단계, 여기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암을 체결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고;
서포트 암의 길이를 따른 하나의 지점에서, 상기 암의 마주보는 끝단들 사이의 간격에서, 서포트 암을 마운트 구조와 체결하는 단계,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그 길이 방향으로 마운트 구조를 통해 슬라이딩될 수 있고, 윈드스크린을 차량 윈드스크린 개구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을 인스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튼튼하며, 또한 알려진 선행에 개시된 배열보다 가볍고 더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관점에서, 제한된 이동 위치에서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다른 장치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5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둘로 분리된 서포트 암을 가진 윈드스크린 서포트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에 배열된 서포트 암의 두 부분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도 7의 연결을 보여주는 모식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앵커 디바이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모식적인 확대도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넣어진 상태에서의 두-부분으로 된 서포트 로드 배열을 보여줌);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넣어진 상태에서 두-부분으로 된 서포트 로드 배열을 보여줌);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앵커 디바이스의 또 다른 예에 대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3 및 14는 다른 배열들을 나타낸 도 12의 장치에 대한 상세도들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윈드스크린 인스톨 장치(1)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2)와 사이드 윈도우 마운트 어셈블리(3)가 서로 협력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도식화된 일 예는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EP 192324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에 마운트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윈도우 마운트 어셈블리(3)는 EP 1923243(특히 상기 문헌의 도 11)에 개시된 배치와 일반적으로 유사하고, 피벗 허브(7)에 의해 연결 암(5)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운트된 스윙 암(4)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암(5)은 브라켓(8)을 포함하며, 이는 펌프 작동 흡착 디바이스(9)에 연결되고, 펌프가 작동될 때,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에 그립되어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3)가 마운트된다. 상기 브라켓(5)은 고정 포지션에서 이완되어 아래 방향으로 피벗될 수 있고, 필요할 때, 상기 윈도우스크린은 차량의 윈도우 어페처에 최종적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장비는 선행문헌인 EP 192324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3)는 EP 1923243에 개시된 배열과는 실질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피벗 로드(혹은 US7610666에 개시된 핀) 대신에 개선된 마운트 구조(11)를 제공하며, 이는 U-형태 마운트 구조를 가지고(요크, 롤락 또는 새들 구조로 기재될 수 있음) 마주보는 업스탠딩 면들(11a, 11b) 및 상방향 개구 영역(11c)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트 구조(11)는 스윙 암(4)에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파(12)에 회전 가능하도록 탑재되며, 이를 통해 상기 마운트 구조(11)는 스파(12)에 의해 규정되는 직립 혹은 수직 축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2)는, 상기 디바이스(9)와 유사한 펌프 동작 진공 흡착 디바이스(14)를 포함하며, 이는 브라켓(15)에 의해서 연장 리기드 서포트 암 로드(16)에 마운트된다. 흡착 디바이스(14)로부터 떨어진 상기 서포트 암 로드(16)의 끝단에는 구형의 멈춤 부재(17)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는 길이를 따라 도중에 고정 조인트(18)에서 연결되도록 배열된 두-파트 구조이다.
상기 도면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암 로드(16)는 마운트 구조(11) 내부로 내려갈 수 있으며, 이는 상단 개구 영역(11c)을 통해서 업스탠딩 면들(11a, 11b) 사이로 수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서포트 암 로드(16)는 로드(16)의 대향하는 끝단들 사이에서 마운트 구조(11)와 체결되고, 이를 통해 상기 로드(16)는 U-형태의 마운트 구조(11)의 기저부와 접촉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리이딩될 수 있으며, 그 동안 서포트 구조(11)에 의해 서포트된다. 상기 서포트 암 로드(16)는, 몸체, 구조 전체로서, 마운트 구조(11)를 통과하여 지나면서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도 2의 화살표 A)으로 움직인다. 상기 마운트 구조(11)는 또한 스파(12)에 대해서 그것의 회전 가능한 마운팅(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도 2에서 화살표 B) 추가적으로 상기 로드(16)은 또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이기 때문에 마운트 구조(11) 상에 위치한 그 자체의 축에서 회전할 수 있다(도 2의 화살표 C). 도 2에서, 상기 장치는, 구형의 멈춤 부재(17)가 마운트 구조(11)의 측면과 가까이 접촉하는, 일 방향에서 그것의 제한된 위치까지 연장된 연장 서포트 암 로드(16)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구형의 멈춤 부재(17)은 연장된 서포트 암(16)이 마운트 구조(11)와의 체결을 벗어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운트 구조는 회전 및 서포트 암이 슬라이딩하는 움직임을 받칠 수 있도록 탑재된 풀리 휠 또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상황에서 마운트 구조 상에서 직접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용도에 따라서, 사이드 윈도운 마운트 어셈블리(3)는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에 탑재되며, 그리고 윈도운 앵커 어셈블리(2)는 상기 윈드스크린에 탑재되고, 이는 선행 문헌 EP 1826044, EP 1923243 및 또한 US 7610666에 개시된 내용과 유사한 방법이다.
이는 한 명의 기술자가 서포트 암 로드(16)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마운트 구조(11)의 업스탠딩 면들(11a, 11b) 사이로 수납되는 위치로 내리도록 작동시킬 때에 필요하다.
선행 문헌 EP 1826044, EP 1923243 및 US 7610666에 개시된 배치에 위하며, 상기 기술자가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어페처를 사이드 윈도우 마운트 상의 마운팅 핀 위로 위치시킬 것이 요구된다. 윈드스크린과 서포트 장치의 전체 합산 무계를 지지하면서, 멀리서 이를 수행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서포트 암(16) 사이의 체결에 대한 타겟팅 측면에서 상기 선행문헌들보다 개선된 점을 제공하고, 마운트 구조(11)은 현저히 더 간단하며 상기 선행문헌의 체결 핀과 어페처의 포지셔닝보다 덜 미세한 타겟팅이 요구된다.
서포트 로드(16)가 마운트 구조(11)에 수납되는 것과 같이, 포지션될 때, 상기 기술자에 의한 윈드스크린의 포지셔닝을 위한 조작이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는 서포트 로드 전체를 움직임으로써, 마운트 구조(11)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가능한 다-방향 움직임; 서포트 로드(16) 그 자체의 축에 대해 회전; 그리고 또한 마운트 구조(11)가 직립 스파(12)에 의해 규정된 수직 축을 따라 회전하는 기능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사포트 암 로드(16)는 마운트 구조(11)에 대해 수직 평면에서 피벗 가능하다.
서포트 암 로드(16)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가공 베어링이 없다는 측면에서(US7610666)의 가공 서포트 블록들 68 혹은 EP 1826044에 개시된 신축식 배치와 비교),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선행 문헌의 디바이스에 비해 무게가 더 가벼워질 수 있고 또한 보다 견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서포트 암 로드(16)가 찌그러지거나 경미한 각도로 구부러지는 손상을 입는다면, 그 때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이 현저히 악화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장치는 여전히 만족스럽게 작동되고, 서포트 암 로드(16)는 마운트 구조(11)에서 충분한 정도로 슬라이딩되어 완벽하게 만족스러운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EP 1826044 또는 EP 1923243의 신축식 로드가 손상될 가능성을 이와 비교하면, 쉽게 사용 불능 상태에 도달할 수 있고 이는 신축식 디바이스의 사용 여부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US 7610666의 흡입 디바이스를 운반하는 베어링 상의 로드에 대한 손상 가능성은 또한 쉽게 작동 불능 상태에 이르게 수 있다.
도 3에서 매우 명확히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트 암(18)은 마찰 또는 저항 영역(3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마운드 구조(11)를 지나서 쉽게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마찰 영역(35)이 마운트 구조(11)와 접촉할 때, 증가된 마찰은 스윙 암(4)이 보다 손쉽게 피벗 암(107)에 대해 피벗되도록 한다. 마찰 영역(35)는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높은 마찰 영역(35)이 마운트(11)를 통과하도록 원할 때에는, 추가적으로 누르거나 밀어서 마찰 영역이 마운트(11)를 지나도록 상기 로드(16)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높은 마찰 영역은 상기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부착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마찰 물질 혹은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혹은 다른 방법으로, 예를 들어, 상기 로드에 오톨도톨한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혹은 다른 방안으로, 로드 섹션 혹은 스텝의 변화로 그러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허리 형상의 섹션, 또는 로드의 직경에 스텝 섹션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높은 마찰 혹은 스텝 섹션은 보통 상기 로드(16)의 멈춤 부재(17)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서포트 암 로드(16)는 연결 조인드(18)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의 첫번째 부분(16a)의 연결자 부위(20)는 두번째 로드 부분(16b)의 암 연결자(21) 안에 수납된다. 상기 연결자 부위(20)는 로드 영역(16a)의 내부내 인서트(24)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24)는 외부 나사선이 형성된 인서트(26)를 수납하는 칼라(25)를 가진다.
연결자(21)는 암 인서트(27)를 가지며, 이는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인서트(26)와 매칭되는 내부 내사산이 형성된 보어(31)를 갖는 추가적인 인서트(28)를 수납한다. 베어링 영역(29)은 상기 칼라(25)와 긴밀하게 끼워지는 체결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나사산에 의한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고, 또한 어떠한 벤딩 움직임에 대해 칼라(25)와 베이링 표면(29) 사이의 접촉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5 및 16은 윈드스크린 앵커 로드(416)의 두 부분(416a 및 416b)에 대한 또 다른 배열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끝단 멈춤 부재(417)가 구비된 부분(416b)은 또한 체결 칼라(425)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체결 핀(426)을 갖는 수 연결자(420)가 구비된다. 체결 핀은 한 쌍의 스프링 고정된 멈춤쇠(424)를 갖는 요소이고, 이는 도 15 및 16에 나타낸 '보통' 외부로 프로젝트된 위치로부터 상기 멈춤쇠가 수축되어 앵커 로드(416b)의 외부 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위치로 바이어스 될 수 있다. 수축 메커니즘은 수축 로드(492)를 포함하며, 수축 로드는 앵커 로드(416b) 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끝단 멈춤 부재(417)에서 바(495)를 통해서 액추에이트 끝단(493)으로 연장되고, 액추에이트 끝단은 끝단 멈춤 부재(417)에서 리세스(494)로 돌출된다. 액추에이터 로드 끝단(493)을 누르게 되면 수축 로드(492)가 움직이고,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고 내부의 핀(426)을 멈춤쇠(424)로 수축시킨다.
로드 파트(416a)의 암 연결자 끝단(421)은 체결 칼라(425) 또는 로드 파트(16b)와 접합되는 어부트먼트 표면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칼라 인서트(428)를 구비한다. 표면들(425 및 428)은 점점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두 파트들 사이의 맞물리는 체결을 개선하게 된다. 상기 칼라 인서트(428)은 체결 핀(426)이 그것을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하는 수축부(427)을 구비하며, 이는 멈춤쇠(424)가 들어간 경우이어야 한다. 상기 핀(426)이 수축부(427)를 지나 삽입되고 상기 멈춤쇠가 스프링 반발로 외부로 나오게 될 때, 상기 핀은 고정되고 두 파트들(416a 및 416b)은 연결된다.
이 배열은 사용자가 상기 로드의 멈춤 부재(417) 끝단에서 액추에이터 끝단(493)을 누름으로써, 빠르고 편리한 방법으로 두 로드 파트(416a 및 416b)를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에는, 사이드 윈도우 앵커 어셈블리(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는 앞선 도면들의 사이드 윈도우 앵커 어셈블리(3)를 재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개량을 통해 디바이스에 추가적인 향상된 기술적 진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 암(105)이 마운팅 보스(160)를 통해서 펌프 작동 흡착 디바이드(109)에 마운트되며, 상기 마운팅 보스는 브라켓(108)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운트된다. 브라켓(108)에는 마운팅 스피곳(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흡착 보스(160)의 센트럴 보어(161)에 수납된다. 연결암(102)은 두 개의 끝단 위치들(예를 들어 180도 벌어진) 사이에서 피벗할 수 있으며, 이는 흡착 디바이스(109)로부터 멀어지는 도 9에 나타난 방향으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하여 사이드 윈도우 앵커 어셈블리(103)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조수석 측 창문이나 운전석 측 창문에 마운트 되도록 셋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105)이 셋업하는 동안(또는 셋업하기 전에) 원하는 방향으로 피벗될 때, 상기 암(105)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흡착 보스(160) 위에 마운트된 볼트로 고정된 클램핑 캡(170)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방안으로는, 보어(161)가 위에 위치하는 마운팅 스피곳(미도시)은 상기 캡의 일부 영역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캡이 상기 보스(160)를 회전 가능하도록 규제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명확하게는, 흡착 보스(160)를 제 위치(in position)에 고정할 수 있는 다앙한 수단들을 고려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상기 암(105)이 흡착 디바이스(109)의 반대 방향으로 피벗되어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선 도면들의 배열에서, 상기 스파(12)에는 피벗 허브(7)가 구비되고, 이는 스윙 암(4)이 수직축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피벗될 수 있도록 한다. 유사하게, 도 9의 배열에서는, 수직축 X에 대해 회전 가능한 허브(107)가 제공되고, 스윙 암(104)이 피벗 허브(107)와의 연결을 통해서 부합되도록 측면 방향에서 피벗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도 9의 배열에서는, 추가로, 스파(112)는 올라가고 내려가는 인덱스 허브(150)를 포함하고, 이는 연결 암(105)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마운드(111)을 올리고 내리도록 해준다. 이것을 이루기 위해서, 플레이트(193)가 연결 암(105)에 고정되고, 브레이크 디스크(195)와 인덱스 휠(180)이 암(105)에 마운트된다. 인덱스 휠(180)은 일련의 주변부 인덱스 리세스(recesses) 혹은 어페처(apertures)을 가지며, 여기에 인덱스 핀(190)의 끝단이 수납된다. 인덱스 휠은 인덱스 허브(150) 상에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155) 내에서 회전한다. 인덱스 휠(180)과 디스크(195)는 하우징(155)과 플레이트(193) 사이에서 단단하게 물려진다. 하우징(155)은 또한 인덱스 핀(190)을 고정한다. 인덱스 핀(190)은 스프링 적재되고, 인덱스 휠(180) 상의 인덱스 리세스와의 체결에서 빠질 수 있고, 이는 인덱스 허브가 연결 암(105)의 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원하는 위치에 도달되면, 인덱스 핀은 이완되고 인덱스 휠과의 체결로 되돌아가 원하는 위치에서 인덱스 허브를 고정하고, 연결 암(105)의 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배향된다. 캠 및 핸들 어레인지먼트(175)는 캠(1076)을 포함하고, 이는 인덱스 휠(180)의 슬롯(178)에 수납되어 인덱스 휠의 미세 조정을 통해 인덱스 핀이 인덱스 휠(180)의 적절히 선택된 인덱스 리세스에 완전히 체결되는 것을 확실히 한다. 연결 암(105)의 축의 배향에 대한 인덱스 허브(150)의 이러한 각도 조정은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상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필드의 적절한 위치에 셋업하는데 유용하다.
더하여, 이러한 형상은 윈드스크린의 가장자리를 위치 내로 내리는 것을 쉽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사용자가 상기 로드(16)를 멈춤 부재(17)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과 함께, 인덱스 핀(190)은 이완될 수 있고, 마운팅 구조(111)은 아래쪽으로(화살표 Y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차량 윈드스크린 어패처로 내려가는 글래스의 가장자리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선행 기술은 이러한 효과를 현저히 다른 방법으로 달성하다, 본 배열은 사이드 윈도우 앵커 어셈블리에 대한 효과적인 설계를 통해 이를 달성하는 개선된 수단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은 회전 가능하고 피벗 가능한 마운팅을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마운팅 구조(111)가 내려간 위치와 올라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피벗 허브(107)은 시규어링 핀(198)을 수납하는 리시빙 어페처(196)가 구비되고, 필요한 상황, 바람직하게는, 특정 작동 환경에서, 이는 상기 암(107)이 고정되어 수직 축 X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 내지 14에서, 사이드 윈도우 앵커 어셈블리(303)의 또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 윈도우 앵커 어셈블리들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사이드 윈도우 앵커 어셈블리(303)은 일반적으로 도 9의 배열(103)과 보다 유사하며, 조수석 또는 운전자측 사이드 글래스에 사용을 위해 장착될 수 있고(연결 암(305)의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올라가고 내려가는 인덱스 허브(350)은 스윙 암 피벗 허브(307)가 연결 암(305)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피벗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도 12에서 화살표 X의 방향).
이러한 실시예에서, 올라가고 내려가는 인덱스 허브(350)은 연결 암(305)의 흡착 디바이스(309) 측면에 구비되고, 이는 흡착 브라켓(308)에 마운트된다. 연결 암(305)는 마운트 되어, 끝단이 프레임(357)에 의해 마운팅 플랫폼(330)에 고정된 말단 베어링(327)에 회전 가능하게 마운트된다. 프레인(357)은 커넥션 암(305)의 끝단에 마운트된 아치형 기어 레일(372), 락킹 기어(380) 및 락킹 캠(376)이 구비된 내표 표면을 가진다. 락킹 기어(380)는 커넥팅 암(305)의 끝단에 고정되어 커넥팅 암(305)의 끝단과 함께 회전하고, 락킹 캠(376)은 회전 가능하며 엑추에이션 핸들(392)에 연결된다. 락킹 캠(376)에는 상기 캠 핸들(392)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방사상으로 위치한 캠 리세스(377)이 구비된다. 캠 핸들(392)가 수평 위치로 조정되면(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리세스(377)은 락킹 기어(380)와 인접되지 않으며, 락킹 기어(380)은 락킹 캠(376)의 캠 부분을 통해서 기어 레일(372)와 체결되도록 위쪽으로 힘이 가해진다. 레일(372)과 락킹 기어(380)의 기어 이는 이 위치에서 맞물리게 배열되고, 상기 암(305)는 회전에 맞서 홀딩된다. 락킹 기어(380)은 선형으로만 움직이도록 제한된다. 캠 핸들(392)가 수직 위치로 조정될 때(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리세스(377)는 락킹 기어(380)과 인접하고 락킹 기어는 캠 리세스(377)로 내려간다(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이어스 스프링이 구비된다-미도시). 락킹 기어(380)이 내려간 위치에 있기에, 레일(372)과 락킹 기어(380)의 기어 이는 맞물린 체결에서 벗어나게 되고, 커넥팅 암(305)은 마운팅 베어링(327) (도 12의 화살표 X) 안에서 회전 가능하고, 이는 스윙 암 피벗 허브(307)가 마운트(111)에 대해 내려가는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락킹 기어(380)과 락킹 캠 양자는 커넥팅 암(305)와 함께 회전한다. 락킹 기어(380)은 각도 방향의 범위를 넘어서 고정된 기어 레일(372)과 체결된다. 이것은 상기 기술자가 각종 차량들에 셋업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 가능한 베어링(327)에는 커넥팅 암(305)의 움직임을 감싸는 댐핑 배열이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컨크롤되지 않은 드랍 다운이나 차량에 대한 손상 위험을 방지한다.
도 13 내지 15의 실시예에서, 사이드 윈도우 앵커 어셈블리는 차량의 반대편에 사용되기 위해 반전될 수 있고, 이는 마운팅 플랫폼(330)을 풀고 마운팅 위치를 180도 반전시켜 브라켓(308)에 다시 고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마운팅 스크류 혹은 볼드가 제공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드스크린 서포트 로드는 커넥션 조인트(18)를 갖는 두-파트 형태로 제공된다. 도 10a와 10b에 나타낸 배열에서,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202)는 분리된 파트들(216a 및 216b)로 분해된 서포트 로드(116)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로드(216a)의 고정된 분해 끝단은 플라스틱 몰딩 덮개(shroud)(276)을 통해 흡착 디바이스(214)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로드 파트의 끝단(216b)에 암 연결자(221)가 배치되고, 석션 디바이스 마운팅 브라켓(215)에 마운트된 수납 소켓(285)와 상호간에 풀릴 수 있도록 체결된다. 수납 소켓(285)에는 수 스레드 샤프트(289)가 구비되고, 두번째 로드 파트(2016b)의 암 연결자(21)와 나사선 체결에 의해 매칭된다. 로드의 끝단(216b)은 먼저 마운팅 브라켓(215)에 또한 구비된 서포팅 칼라(286)을 통해 지나갈 수 있다. 나타낸 위치에서, 연장 로드 파트(216b)는 흡착 디바이스(214)에 단단히 마운트되고, 고정된 로드 파트(216a)에 대해 나란한 관계로 배열된다. 작동 목적을 위해, 고정된 로드 파트(216a)는 기울어진 각도(대략 7도)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 10a에 나타낸 배열에서, 연장 로드 파트(216b)는 이 각도로 연장되지 않고 수평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열은 연장 로드 파트(216b)를 보관할 수 있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고, 이는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해 상기 유닛의 전체적 크기를 최소화한 형상이다. 상기 배열은 윈드스크린 앵커 흡착 디바이스(214)와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연장 암은 운반을 위해 부분들(216a, 216b)로 분해-가능하고, 앵커 디바이스(214)와 분해된 암 파트(216b)는 운반을 위해 서로 부착되는 수단들(221, 285)을 구비한다.
특정 상황에서, 연장 로드 파트(216b)와 고정 로드 파트(216a) 사이에 나사선 연결외의 다른 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결착 결합 혹은 다른 빠른 이완 결합과 같은 수단들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흡착 디바이스 마운팅 브라켓 상에서 연장 로드 파트(216b)의 끝단을 수납하는 수단은, 상기 연장 로드 파트(216b)의 끝단과 요구되는 고정 연결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도록 대응될 필요가 있다. 도 11a 내지 11c를 참고하면, 도 10a 내지 10c에서 나타낸 배열들과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나타낸 배열에서, 연장 로드 브라켓(285)은 고정 로드 파트(216a)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도록 기울어진 각도에서 상기 연장 로드 파트(216b)를 수납하도록 형상화되고 배향된다.
상기 장치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튼튼하며, 또한 알려진 선행에 개시된 배열보다 가볍고 더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주로 사이드 윈도우 앵커 마운트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가장 넓은 범위에서는 플로어 마운트된 마운트 혹은 차량 루프 마운트된 마운트와 같은 대체 마운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0)

  1. 윈드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장치로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상기 윈드 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서포트하는 마운트 어셈블리, 여기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암과 체결되는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그 길이 방향으로 마운트 구조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마운트 구조 사이로 혹은 지나서 슬라이딩되도록 배열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장 서포트 암은 마운트 구조의 대응면들 상에서 외부로 연장 가능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와 서포트 암 사이의 체결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는 체결인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와 서포트 암 사이의 체결을 통해 상기 암은 마운트 구조와의 슬라이딩 체결 위치 내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는 상기 암이 내려갈 수 있는 상단 개구 영역을 포함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와 서포트 암 사이의 체결은, 상기 마운트 구조와의 체결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암이 높아지거나 올려지는 것이 가능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는 서포트 암의 슬라이딩되면서 움직이는 것을 규정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는 마주보는 업스탠딩 면들을 갖는 요크 또는 새들 구조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암이 마운트 구조와의 연결 영역에서 회전 또는 피벗 되도록 하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는 회전 가능하도록 탑재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서포트 암은:
    i) 마운트 구조와의 접촉 영역에서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및/또는
    ii) 마찰 또는 저항 표면 영역 혹은 형성부가 구비되고, 이는 마운트 구조를 지나서 쉽게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서포트 암은 실질적으로 고정된 길이의 경질 암인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는 연장 서포트 암 상에서 고정된 길이 방향 위치에 탑재되는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서포트 암은 끝단과 끝단이 체결되도록 배열된 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된 장치(구체적으로는 사용시 고정된 길이의 서포트 암을 형성).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끝단과 끝단이 연결되는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각 부분들에 의해 신속한 분해/신속한 연결 배치가 제공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는, 로드 부분들의 연결 조인트로부터 이격되도록, 로드 부분들 중 하나의 끝단에 위치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연장 액추에이터 로드는 로드 부분들 중 하나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이동가능한 디텐트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연장 서포트 암은, 상기 암이 마운트 구조를 지나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 부재가 구비된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차량 앵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마운트 어셈블리가 차량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사이드 글래스 앵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마운트 어셈블리가 차량의 사이드 글라스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사이드 글라스 앵커 디바이스는 석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는 석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암 부분을 포함하고, 이는 첫번째 끝단은 마운트 구조를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되고, 두번째 끝단은 마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마운트에 연결된 장치.
  25. 윈드스크린을 인스톨하는 방법으로서,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위치에 셋팅하는 단계,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는 윈드스크린에 부착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고;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서포트하는 마운트 어셈블리를 위치에 셋팅하는 단계, 여기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암을 체결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고;
    서포트 암의 길이를 따른 하나의 지점에서, 상기 암의 마주보는 끝단들 사이의 간격에서, 서포트 암을 마운트 구조와 체결하는 단계,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그 길이 방향으로 마운트 구조를 통해 슬라이딩될 수 있고, 윈드스크린을 차량 윈드스크린 개구부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6. 윈드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장치로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상기 윈드 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서포트하는 마운트 어셈블리, 여기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암과 체결되는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마운트 구조를 지나서 혹은 통과하여 전체가 서포트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되면서) 장치.
  27. 윈드스크린을 제어하는데 사용,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마운트 어셈블리로서,
    차량에 대한 부착을 위한 차량 앵커 디바이스 및 상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암을 포함하고, 여기서 연장 암은 상기 암이 다른 탑재 형상들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앵커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마운트 어셈블리.
  28. 제 27 항에 있어서,
    다른 탑재 형태들에 대해서 상기 암이 부착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된 마운트 어셈블리.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다른 탑재 형태들에서, 상기 암은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운트 어셈블리.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직립 화전 축에 대해 피벗 또는 회전되는 마운트 어셈블리.
  31. 제 27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앵커 디바이스는, 마운트 어셈블리가 차량 사이드 글라스에 부착되도록 하는 사이드 글라스 앵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마운트.
  32. 제 27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앵커 디바이스는 석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마운트.
  33. 제 27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 및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와 조합되어 사용되고; 여기서 마운트 어셈블리는 서포트 암과 체결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서포트 암은 그 길이 방향으로 마운트 구조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마운트.
  34. 제 33 항에 있어서,
    마운트 구조는 회전 가능하고 피벗될 수 있는 마운팅 상에서 앵커 디바이스로 서포트되고 마운트 구조는 내려간 위치와 올라간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마운트.
  35. 윈드스크린을 제어,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운트 어셈블리로서,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차량 앵커 디바이스, 및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서포트 암과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고, 여기서 마운트 구조는 회전 가능하고 피벗될 수 있는 마운팅 상에서 앵커 디바이스로 서포트되고, 이를 통해 마운트 구조는 내려간 위치와 올라간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마운트 어셈블리.
  36. 제 35 항에 있어서,
    마운팅의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수평인 마운트 어셈블리.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연장 암은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고, 마운팅의 회전 축은 실질적으로 상기 암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조정되거나 병렬인 마운트 어셈블리.
  38. 제 35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 암은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으로부터 마운트 구조로 연장되고, 마운트 구조는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으로부터 이격된 마운트 어셈블리.
  39. 제 35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은, 일련의 연속적이고 회전 가능하게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인덱스-와이즈에서 회전 가능한 마운트 어셈블리.
  40. 제 35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은 원하는 위치에서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들을 포함하는 마운트 어셈블리.
  41. 제 35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라가고 내려가는 마운팅은 메싱 기어 락 어랜지먼트를 포함하고, 이는 다른 아치형 위치들에서 기어 파트들의 체결을 고정할 수 있는 마운트 어셈블리.
  42. 윈드스크린을 제어,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용도의 장치로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와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서포트 암은 운반을 위해 하나 보다 많은 부분으로 분해-가능하고, 앵커 디바이스와 분해된 암 파트는 운반을 위해 서로 부착되는 수단을 구비한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넣어진 형상에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에 부착된 분해된 로드 암 파트와 잔존하는 고정된 암 파트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인 장치.
  44. 제 42 항 또는 제 43항에 있어서,
    넣어진 형상에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에 부착된 분해된 암 파트와 잔존하는 고정된 암 파트는 실질적으로 나란한 관계로 배열된 장치.
  45. 제 42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암 파트들은 상호 보완적인 끝단 연결부가 구비되어 서로 연결 가능하고, 분해-가능한 로드 암 파트의 끝단 연결은 앵커 디바이스에 구비된 상호 보완적인 연결부와의 연결에 사용되는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은 로드 암 파트들의 한쪽 끝단에 위치한 연결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멈춤쇠에 구비된 연결 요소는 운반을 위해 앵커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로드 암 파트들의 어느 하나의 끝단에 구비된 장치.
  48. 윈드 스크린을 제어,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장치로서,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와 상기 윈드스크린 앵커 디바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서포트 암을 포함하는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서포트 암은 상기 암의 너비보다 큰 멈춤 부재의 근접한 한쪽 끝단을 포함하는 장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두-파트로 형성되고, 이는 끝단과 끝단이 조립되도록 배열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길이의 암을 형성하기 위한 용도인 장치.
  50. 윈드스크린을 제어, 예를 들어 차량에 인스톨하기 위한 용도의 마운트 어셈블리로서,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차량 앵커 디바이스와, 윈드스크린 앵커 어셈블리의 서포트 암과 체결하기 위한 용도인, 마운트 구조를 포함하고, 여기서 마운트 구조는:
    i) 상방향 개구 영역 그리고 슬라이딩 암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채널을 규정하고; 및/또는
    ii) 마주보는 업스탠딩 면들과 상방향 개구 영역을 갖는 요크 또는 새들 구조
    를 포함하는 마운트 어셈블리.
KR1020137012251A 2010-11-03 2011-11-02 윈드스크린 인스톨 장치 및 방법 KR101938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018558.5A GB201018558D0 (en) 2010-11-03 2010-11-03 Windscre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GB1018558.5 2010-11-03
GB1021286.8 2010-12-15
GBGB1021286.8A GB201021286D0 (en) 2010-11-03 2010-12-15 Windscre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GB1102518.6A GB2486506B (en) 2010-11-03 2011-02-14 Winscre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GB1102518.6 2011-02-14
PCT/GB2011/052130 WO2012059755A1 (en) 2010-11-03 2011-11-02 Windscre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769A true KR20130125769A (ko) 2013-11-19
KR101938590B1 KR101938590B1 (ko) 2019-01-15

Family

ID=4340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251A KR101938590B1 (ko) 2010-11-03 2011-11-02 윈드스크린 인스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6) US10286525B2 (ko)
EP (3) EP3677461B1 (ko)
JP (4) JP6111199B2 (ko)
KR (1) KR101938590B1 (ko)
CN (4) CN107054017B (ko)
AR (3) AR083707A1 (ko)
AU (1) AU2011324937B2 (ko)
BR (1) BR112013010860B1 (ko)
CA (1) CA2814227C (ko)
CL (3) CL2013001205A1 (ko)
DK (2) DK2635452T3 (ko)
ES (1) ES2787823T3 (ko)
FI (1) FI3677461T3 (ko)
GB (8) GB201018558D0 (ko)
HK (3) HK1185847A1 (ko)
HR (1) HRP20200731T1 (ko)
HU (1) HUE048894T2 (ko)
LT (2) LT2635452T (ko)
MX (4) MX360526B (ko)
NZ (4) NZ706279A (ko)
PL (1) PL2635452T3 (ko)
PT (2) PT2635452T (ko)
RS (2) RS65293B1 (ko)
RU (1) RU2611278C2 (ko)
SI (1) SI2635452T1 (ko)
TW (5) TWI617397B (ko)
UA (3) UA124135C2 (ko)
WO (1) WO20120597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51A (ko) * 2017-07-31 2019-02-12 하현수 유리 셀프 교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18558D0 (en) * 2010-11-03 2010-12-15 Belron Hungary Kft Zug Branch Windscre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3411788A (zh) * 2013-08-20 2013-11-27 西北工业大学 一种用于汽车挡风玻璃的通用夹持装置
CA3068412A1 (en) * 2016-06-24 2017-12-28 Christian M. Foss Windshield installation system and triangulation method
US10710656B2 (en) * 2017-05-04 2020-07-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Windshield assembly system
TWI627384B (zh) * 2017-09-05 2018-06-21 Yulon Motor Co Ltd Vehicle windshield assembl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RU177241U1 (ru) * 2017-11-13 2018-02-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для прибора
DE102018005743A1 (de) * 2018-07-23 2020-01-23 Xenios Ag Monta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alidierbaren Fixierung
CN113561106B (zh) * 2021-07-20 2022-09-06 广东利多邦卫浴有限公司 一种淋浴房玻璃门制作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0524A (en) * 1970-06-26 1971-11-16 Joseph Czompi Automobile windshield installer
US3701507A (en) 1970-10-12 1972-10-31 Lee J Bell Rear view mirror attachment for vehicles
US4183551A (en) * 1977-08-08 1980-01-15 Caterpillar Tractor Co. Differential case and push-frame assembly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4183511A (en) * 1978-08-30 1980-01-15 Marek Richard G Work holder for adjustably supporting a workpiece
US4249712A (en) 1979-04-02 1981-02-10 Delong Harold D Adjustable headrest
US4291866A (en) * 1979-11-13 1981-09-29 Novus Inc. Support for windshield repair apparatus
US4592526A (en) 1981-08-24 1986-06-03 Jacob Kobelt Adjustable holding device
FR2530436A1 (fr) 1982-07-22 1984-01-27 Faure Bertrand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articulation des dossiers de siege
DE8713352U1 (ko) 1987-10-05 1988-11-03 Gaggenau-Werke Haus- Und Lufttechnik Gmbh, 7560 Gaggenau, De
US5039050A (en) * 1989-08-25 1991-08-13 Eidschun Robert W Equipment mounting apparatus
US4998711A (en) * 1990-02-23 1991-03-12 Borg Donald M Workpiece holder and method of installing a vehicle windshield therewith
US5102089A (en) 1990-03-23 1992-04-07 August Baur Vehicle roof-view mirror assembly
US5085415A (en) * 1990-04-17 1992-02-04 Shaver Craig A Windshield installation tool
GB2273517B (en) * 1992-12-21 1996-04-03 Autoglas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windows
US5398602A (en) 1993-09-13 1995-03-21 Taylor; Kim S. Registration device for positioning silk screen frame against smooth, flat surface
EP0695680B1 (en) * 1994-08-05 1998-11-25 Ford Motor Compan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vehicle door glass to vehicle body
US5531416A (en) * 1994-09-30 1996-07-02 Clairson, Inc. Continuous slide bracket
AUPN743896A0 (en) * 1996-01-05 1996-02-01 Lock, Trevor Stanley Improvements in windscreen removal devices
US5897882A (en) * 1996-04-12 1999-04-27 Gonzalez; Juan Glass repair system
US5707450A (en) * 1996-05-07 1998-01-13 Thompson; Brad R. Apparatus for holding a vehicle body part
WO1998013238A1 (en) * 1996-09-25 1998-04-02 Belron International N.V. Windscreen replacement apparatus
FR2758786B1 (fr) * 1997-01-30 2000-04-14 Canovas Gines Outil de positionnement pour carrossier
US5820116A (en) * 1997-05-02 1998-10-13 Haese; Robert W. Suction attachable retaining clamp
US5964443A (en) 1997-08-13 1999-10-12 Cipa - Usa, Inc. Mounting bracket system for a rearview mirror
US5953802A (en) * 1998-02-17 1999-09-21 Radzio; Matthew D. Windshield removal jack
US6101702A (en) * 1998-02-19 2000-08-15 Claycomb; Kevin Windshield lift and method of use
US6586835B1 (en) 1998-08-31 2003-07-01 Micron Technology, Inc. Compact system module with built-in thermoelectric cooling
US6302670B1 (en) * 2000-03-28 2001-10-16 Tcg International Inc. Windshield repair apparatus
GB0010403D0 (en) * 2000-04-29 2000-06-14 Wallis Alan Clamping device
US6584925B2 (en) * 2000-12-21 2003-07-01 Larson/Glastron Boats, Inc.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boat windshield
FR2828826B1 (fr) * 2001-08-23 2003-10-31 Jean Luc Domeon Dispositif de guidage pour la pose de pare brise colles
FR2828875B1 (fr) * 2001-08-23 2004-08-20 Jean Luc Domeon Dispositif de manutention, pose ou depose de pare brises ou vitrages
US7039995B2 (en) * 2002-07-08 2006-05-09 Thompson Bobby D Windshield removal and replacement apparatus
EP1628846B1 (en) * 2003-05-21 2010-04-21 Ramhuset Dala-Speglar AB A method and a device for removing vehicle windows
TWM250764U (en) * 2003-10-09 2004-11-21 Yu-Jiun Liou Ratchet screwdriver
DE202004013157U1 (de) * 2004-08-24 2006-01-05 PMA/Tools Division Autoglas-Zubehör AG Sauger zum Anheben von flächigen Gegenständen
US7216411B1 (en) * 2004-09-23 2007-05-15 Mayhugh Kent R Method for enabling a single technician to install a windshield into a vehicle
US20070062020A1 (en) * 2004-09-23 2007-03-22 Mayhugh Kent R Single technician large windshield installation tool
US20060156533A1 (en) * 2004-09-23 2006-07-20 Mayhugh Kent R Single technician large windshield installation tool
US7461826B2 (en) 2004-11-16 2008-12-09 Carnevali Jeffrey D Lift truck base
DE202005000768U1 (de) * 2004-11-29 2005-03-31 Richter Harald Gerät mit universell verstellbarer Halteplatte
GB2430909A (en) * 2005-10-04 2007-04-11 Carglass Luxembourg Sarl Zug Tool for handling glazing panels
US7322092B2 (en) * 2005-11-14 2008-01-29 Aegis Tools International, Inc. Windshield install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JP4529922B2 (ja) * 2006-03-09 2010-08-25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車両用窓組立体の製造方法および窓ガラスホルダー
DE102006019519B3 (de) * 2006-04-27 2007-10-25 Proglas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Fahrzeugfensters
US7628434B2 (en) * 2006-07-12 2009-12-08 Honda Motor Co., Ltd. Vacuum-operated vehicle glass handling system
TWM330230U (en) * 2007-07-02 2008-04-11 Yi-Zhang Zhan Device for mounting windshield
DE202007016885U1 (de) 2007-12-03 2009-04-09 PMA/Tools Division Autoglas-Zubehör AG Montagewerkzeug für KFZ-Frontscheiben
US20090145356A1 (en) * 2007-12-10 2009-06-11 Lai Jet C Supporting device having a repositionable suction base for an air spray gun
CN102056790A (zh) * 2008-04-23 2011-05-11 阿吉斯工具国际有限公司 挡风玻璃安装装置及使用方法
US20090300847A1 (en) 2008-06-05 2009-12-10 Yi-Chang Chan Automobile windshield installation device
DE202009003989U1 (de) * 2009-03-20 2009-06-10 Schröer, Carsten Montagehilfe
US8413307B2 (en) * 2009-07-06 2013-04-09 The Boeing Company Guide assembly and method
FR2952023B1 (fr) * 2009-11-02 2011-11-11 Robotic Consulting Dispositif d'assistance pour la pose d'un pare-brise ou similaire
RU97330U1 (ru) * 2010-05-11 2010-09-10 Юрий Валерьевич Яворск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стекол автомобиля
GB201018558D0 (en) * 2010-11-03 2010-12-15 Belron Hungary Kft Zug Branch Windscre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50360737A1 (en) * 2014-06-12 2015-12-17 Richard E. Brummett Vehicle glass removal and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TWI669161B (zh) * 2017-06-08 2019-08-21 林翊城 自動牆面清洗機構及牆面吸附裝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51A (ko) * 2017-07-31 2019-02-12 하현수 유리 셀프 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86506A8 (en) 2013-04-17
CN106671745B (zh) 2019-10-25
CN107054017B (zh) 2020-01-03
CN106671745A (zh) 2017-05-17
LT3677461T (lt) 2024-04-25
AU2011324937B2 (en) 2015-01-22
EP3677460A1 (en) 2020-07-08
CN106670996B (zh) 2019-07-30
GB2500769A (en) 2013-10-02
UA125635C2 (uk) 2022-05-11
DK2635452T3 (da) 2020-05-11
GB201302799D0 (en) 2013-04-03
RU2611278C2 (ru) 2017-02-21
GB2538891A (en) 2016-11-30
US10286525B2 (en) 2019-05-14
WO2012059755A1 (en) 2012-05-10
GB2486506B (en) 2013-07-03
DK3677461T3 (da) 2024-03-18
AR107228A2 (es) 2018-04-11
CN106670996A (zh) 2017-05-17
JP2016166004A (ja) 2016-09-15
AR083707A1 (es) 2013-03-13
CL2017002712A1 (es) 2018-03-16
GB2498293A (en) 2013-07-10
GB2500769B (en) 2014-04-23
PT2635452T (pt) 2020-05-12
TW201700220A (zh) 2017-01-01
UA124135C2 (uk) 2021-07-28
AU2011324937A1 (en) 2013-05-02
US11623326B2 (en) 2023-04-11
JP2013541465A (ja) 2013-11-14
JP6111199B2 (ja) 2017-04-05
LT2635452T (lt) 2020-04-10
TW201507815A (zh) 2015-03-01
HK1185848A1 (en) 2014-02-28
HK1185847A1 (en) 2014-02-28
EP3677461A1 (en) 2020-07-08
GB201021286D0 (en) 2011-01-26
HUE048894T2 (hu) 2020-08-28
GB2498293B (en) 2017-04-12
MX355817B (es) 2018-05-02
BR112013010860B1 (pt) 2021-01-19
GB201018558D0 (en) 2010-12-15
TWI566888B (zh) 2017-01-21
JP6277221B2 (ja) 2018-02-07
TWI562861B (en) 2016-12-21
FI3677461T3 (fi) 2024-03-18
CN103201127B (zh) 2017-07-28
TWI617397B (zh) 2018-03-11
PL2635452T3 (pl) 2020-10-05
RS65293B1 (sr) 2024-04-30
US9643475B2 (en) 2017-05-09
GB2538891B (en) 2017-06-14
JP2016166005A (ja) 2016-09-15
ES2787823T3 (es) 2020-10-19
JP2016166006A (ja) 2016-09-15
EP3677461B1 (en) 2024-01-03
TW201534433A (zh) 2015-09-16
HRP20200731T1 (hr) 2020-07-24
NZ706275A (en) 2016-09-30
CL2017002713A1 (es) 2018-03-16
MX360526B (es) 2018-11-07
RU2013117982A (ru) 2014-12-10
NZ706274A (en) 2017-02-24
GB201302791D0 (en) 2013-04-03
TWI573667B (zh) 2017-03-11
US20170232582A1 (en) 2017-08-17
NZ706279A (en) 2016-09-30
GB201302804D0 (en) 2013-04-03
JP6325594B2 (ja) 2018-05-16
GB2500770B (en) 2014-06-04
TWI573666B (zh) 2017-03-11
CA2814227C (en) 2019-08-06
TW201534434A (zh) 2015-09-16
RS60253B1 (sr) 2020-06-30
KR101938590B1 (ko) 2019-01-15
GB2486506A (en) 2012-06-20
US11014217B2 (en) 2021-05-25
SI2635452T1 (sl) 2020-07-31
EP2635452A1 (en) 2013-09-11
PT3677461T (pt) 2024-02-13
MX349631B (es) 2017-08-07
US20230294250A1 (en) 2023-09-21
CN103201127A (zh) 2013-07-10
EP2635452B1 (en) 2020-02-12
TW201221306A (en) 2012-06-01
US20210276159A1 (en) 2021-09-09
US20130232766A1 (en) 2013-09-12
AR107229A2 (es) 2018-04-11
HK1185846A1 (en) 2014-02-28
GB201305711D0 (en) 2013-05-15
MX2013004823A (es) 2013-06-28
GB2500770A (en) 2013-10-02
CN107054017A (zh) 2017-08-18
US20130305507A1 (en) 2013-11-21
MX362106B (es) 2019-01-07
CL2013001205A1 (es) 2014-01-03
GB2500768B (en) 2014-04-23
GB2500768A (en) 2013-10-02
CA2814227A1 (en) 2012-05-10
GB201102518D0 (en) 2011-03-30
BR112013010860A2 (pt) 2019-09-03
UA112299C2 (uk) 2016-08-25
US20180333828A1 (en) 2018-11-22
NZ608810A (en)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5769A (ko) 윈드스크린 인스톨 장치 및 방법
AU2016250351B2 (en) Windscre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