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607A -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607A
KR20130125607A KR1020120049259A KR20120049259A KR20130125607A KR 20130125607 A KR20130125607 A KR 20130125607A KR 1020120049259 A KR1020120049259 A KR 1020120049259A KR 20120049259 A KR20120049259 A KR 20120049259A KR 20130125607 A KR20130125607 A KR 2013012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cooking oil
waste cooking
unit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영욱
박영준
염동민
Original Assignee
엄영욱
박영준
염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욱, 박영준, 염동민 filed Critical 엄영욱
Priority to KR102012004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607A/ko
Publication of KR2013012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폐식용유가 담겨지는 제1저장용기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가성소다수가 담겨지는 제2저장용기와;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상기 제2저장용기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각각 전달받아 소정 시간 동안 혼합 및 교반을 수행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Soap manufacturing apparatus from waste cooking oil}
본 발명은 비누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및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자원남용 및 오폐수, 자동차 매연 등의 환경오염으로 환경파괴가 인류사에 있어서 커다란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원재활용, 쓰레기 종량제, 대체에너지 개발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예로서, 음식물 처리와 관련하여, 과거의 무분별한 투기, 매립에서 벗어나 재활용가능한 것들을 분리하여 최대한 재활용함으로써 매립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며 일부 실용화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특히 폐식용유의 경우 가성소다수를 혼합하여 재생비누를 제조하는 원료로서 재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폐식용유를 재생비누로 제조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의 방법 만이 제시될 뿐 폐식용유의 발생원인 가정으로부터의 수거 및 제조된 재생비누의 활용방안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폐식용유의 재활용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오염원인 폐식용유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오염원인 폐식용유를 효율적으로 수거함과 아울러 폐식용유에 수거에 대한 대가로 재생비누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폐식용유의 수거 및 재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폐식용유가 담겨지는 제1저장용기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가성소다수가 담겨지는 제2저장용기와;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상기 제2저장용기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각각 전달받아 소정 시간 동안 혼합 및 교반을 수행하는 교반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부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의 혼합액을 전달받아 소정 형상의 비누로 성형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틀을 가지는 비누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비누성형부에 의하여 성형된 비누가 담겨지는 비누적재부가 상기 프레임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누적재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폐식용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가 설치되며, 상기 주입부는 폐식용유가 상기 제1저장용기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부 및 상기 제1저장용기 사이에는 폐식용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에 의하여 제조된 복수의 비누들이 적재되는 비누적재부와, 상기 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된 폐식용유의 주입량을 계측하는 식용유계측부와; 상기 식용유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주입량에 기준으로 상기 비누적재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누를 배출하는 비누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누적재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비누가 적재될 수 있다.
상기 비누적재부는 상기 비누성형부에 의하여 성형된 비누를 비누이송부에 의하여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폐식용유를 주입받아 수거하는 제1저장용기와, 수거된 폐식용유 및 미리 저장된 가성소다수를 혼합하는 교반장치와, 비누성형틀을 구비함으로써 폐식용유의 수거와 함께 재생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폐식용유의 수거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는 폐식용유의 수거와는 별도로 미리 제조된 재생비누를 폐식용유를 주입한 사용자에게 재생비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폐식용유의 주입을 유도함으로써 폐식용유의 수거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폐식용유의 수거와 함께 수거된 폐식용유의 양을 계측하여 수거된 폐식용유의 양을 기준으로 미리 제조된 재생비누를 폐식용유를 주입한 사용자에게 재생비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폐식용유의 주입을 유도함으로써 폐식용유의 수거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폐식용유의 수거시 앞서 수거되어 교반장치 및 비누성형틀을 거쳐 미리 제조된 재생비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수거된 폐식용유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수거가능한 폐식용유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누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누제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와;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폐식용유가 담겨지는 제1저장용기(110)와;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가성소다수가 담겨지는 제2저장용기(120)와; 제1저장용기(110) 및 제2저장용기(120)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각각 전달받아 소정 시간 동안 혼합 및 교반을 수행하는 교반부(130)와;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교반부(130)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의 혼합액을 전달받아 소정 형상의 비누(1)로 성형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틀(151)을 가지는 비누성형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비누제조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구성으로서, 프레임부재, 판재 등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용기(110)는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폐식용유가 담겨지는 구성으로서 폐식용유가 담겨질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제1저장용기(110)는 폐식용유 유입을 위한 유입부(111)가 상부에 형성되고, 폐식용유 배출을 위한 배출부(112)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11)는 제1저장용기(120)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단순히 상단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부(112)는 후술하는 교반부(130)로 폐식용유를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저장용기(110)는 담겨진 폐식용유의 양을 계측하기 위한 용량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량계는 제1저장용기(110) 내에 담겨진 폐식용유의 양을 계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10)은 외부로부터 폐식용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입부(140)는 사용자가 폐식용유를 제1저장용기(110)로 편리하게 주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폐식용유를 주입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주입부(140)는 제1저장용기(110)의 직상부에 위치되거나,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연결관(141)에 의하여 폐식용유를 제1저장용기(110)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입부(140)를 통하여 주입된 폐식용유에는 알갱이 형태의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가 많은바, 주입부(140) 및 제1저장용기(110) 사이에는 폐식용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부(142)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저장용기(120)는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가성소다수가 담겨지는 구성으로서 가성소다수가 담겨질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부(130)는 제1저장용기(110) 및 제2저장용기(120)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각각 전달받아 소정 시간 동안 혼합 및 교반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교반부(130)는 제1저장용기(110) 및 제2저장용기(120)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각각 전달받아 저장하는 교반용기(131)와, 교반용기(131) 내에 담긴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혼합 및 교반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교반장치(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용기(131)는 제1저장용기(110) 및 제2저장용기(120)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각각 전달받을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장치(132)는 교반용기(131) 내에 담긴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혼합 및 교반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예로서, 교반용기(13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혼합 및 교반하는 하나 이상의 교반부재(132b)와, 교반부재(132b)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누성형부(150)는 교반부(130)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의 혼합액을 전달받아 소정 형상의 비누(1)로 성형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틀(151)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성형틀(151)은 교반부(130)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의 혼합액으로 소정 형상의 재생비누(1)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누성형부(150)는 후술하는 비누적재부(160)로의 비누전달을 위하여 성형틀(151)의 저면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의 혼합액이 주입될 때에는 성형틀(151)의 저면을 차단하고, 비누성형이 완료되면 성형틀(151)의 저면을 개방하여 하측으로 비누(1)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개폐부재(15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누성형부(150)는 재생비누(1)를 지속적으로 성형할 필요가 있는바, 비누성형부(150)에 의하여 성형된 비누(1)가 담겨지는 비누적재부(160)가 프레임부(10)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누적재부(160)는 비누(1)가 적재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비누적재부(160)는 비누성형부(150)에 의하여 성형된 비누(1)를 비누이송부(170)에 의하여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비누이송부(170)는 비누성형부(150)로부터 비누적재부(160)로 비누(1)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비누(1)의 전달방식, 비누적재부(160) 및 비누성형부(150)의 배치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비누이송부(170)는 비누성형부(150)의 하측에 설치되어 성형틀(151)로부터 낙하된 비누(1)를 일단에 설치된 비누적재부(160)로 낙하시키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누적재부(160)는 적재된 비누(1)를 사용자가 임의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폐식용유 주입량(주입량의 계측에 관해서는 후술함)을 기준으로 비누(1) 인출을 지시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에 비누인출량을 표시하는 인출량표시부(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누적재부(160)에 적재된 비누(1)의 배출과 관련하여, 별도의 음료의 자판기와 같이 별도의 비누배출부(미도시)가 프레임부(10)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비누적재부(160)는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미리 비누(1)들이 적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저장용기(110)로부터 교반부(130)로의 폐식용유전달, 제2저장용기(120)로부터 교반부(130)로의 가성소다수전달은 자유낙하방식, 주입관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저장용기(110)로부터 교반부(130)로의 폐식용유전달, 제2저장용기(120)로부터 교반부(130)로의 가성소다수전달은 비누제조에 적정한 양으로 교반부(130)로 전달될 필요가 있는바 제1저장용기(110)로부터 교반부(130)로의 폐식용유전달경로 및 제2저장용기(120)로부터 교반부(130)로의 가성소다수전달경로 상에 체크밸브(210, 22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저장용기(110)로부터 교반부(130)로 전달되는 폐식용유의 양, 제2저장용기(120)로부터 교반부(130)로 전달되는 가성소다수 양은 일정하게 제어되어야 하는바, 제1저장용기(110), 제2저장용기(120), 그 전달경로 등에는 교반부(130)로 전달되는 폐식용유의 양, 가성소다수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저장용기(110), 제2저장용기(120), 그 전달경로 등에 설치된 계측장치는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의 혼합비율제어는 물론 사용자에 의하여 주입되는 폐식용유의 양을 계측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주입부(140)를 통하여 주입된 폐식용유의 주입량을 계측하는 식용유계측부(미도시)가 저장용기(110)에 설치되고, 식용유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주입량에 기준으로 비누배출부를 통하여 비누적재부(160)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누(1)를 비누배출부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
110 : 제1저장용기 120 : 제2저장용기
130 : 교반부

Claims (8)

  1.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폐식용유가 담겨지는 제1저장용기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가성소다수가 담겨지는 제2저장용기와;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상기 제2저장용기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를 각각 전달받아 소정 시간 동안 혼합 및 교반을 수행하는 교반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부로부터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의 혼합액을 전달받아 소정 형상의 비누로 성형하는 하나 이상의 성형틀을 가지는 비누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누성형부에 의하여 성형된 비누가 담겨지는 비누적재부가 상기 프레임에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누적재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폐식용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가 설치되며,
    상기 주입부는 폐식용유가 상기 제1저장용기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 및 상기 제1저장용기 사이에는 폐식용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거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제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폐식용유 및 가성소다수에 의하여 제조된 복수의 비누들이 적재되는 비누적재부와, 상기 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된 폐식용유의 주입량을 계측하는 식용유계측부와;
    상기 식용유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된 주입량에 기준으로 상기 비누적재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비누를 배출하는 비누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누적재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비누가 적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제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누적재부는 상기 비누성형부에 의하여 성형된 비누를 비누이송부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제조장치.
KR1020120049259A 2012-05-09 2012-05-09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KR20130125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59A KR20130125607A (ko) 2012-05-09 2012-05-09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259A KR20130125607A (ko) 2012-05-09 2012-05-09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607A true KR20130125607A (ko) 2013-11-19

Family

ID=4985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259A KR20130125607A (ko) 2012-05-09 2012-05-09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56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423A (ko) * 2014-04-10 2015-10-20 주식회사 자이월드 가정용 액체세제 제조장치
WO2015191703A1 (en) * 2014-06-11 2015-12-17 Designed by M.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oap
KR20210012613A (ko) * 2019-07-26 2021-02-03 이승원 폐유를 이용한 비누 제조용 업사이클링 자판기
WO2022058626A1 (es) 2020-09-17 2022-03-24 Soluciones Circulares De Navarra, S.L. Dispositivo de obtención de jabó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423A (ko) * 2014-04-10 2015-10-20 주식회사 자이월드 가정용 액체세제 제조장치
WO2015191703A1 (en) * 2014-06-11 2015-12-17 Designed by M.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oap
US9447369B2 (en) 2014-06-11 2016-09-20 Designed by M.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oap
US10113142B2 (en) 2014-06-11 2018-10-30 Designed by M.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oap
KR20210012613A (ko) * 2019-07-26 2021-02-03 이승원 폐유를 이용한 비누 제조용 업사이클링 자판기
WO2022058626A1 (es) 2020-09-17 2022-03-24 Soluciones Circulares De Navarra, S.L. Dispositivo de obtención de jabó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5607A (ko) 폐식용유를 이용한 비누제조장치
CN206014373U (zh) 一种自带冲洗机构的溶液装瓶输送装置
CN201506748U (zh) 用于污水处理的自动加药装置
CN102020406A (zh) 用于污水处理的自动加药装置
CN205328590U (zh) 一种涂料分装装置
CN102327751B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三腔式加药装置及加药方法
CN202283458U (zh) 新型一体化加药装置
CN206508878U (zh) 一种含有除沫器且搅拌效率高的稀配罐
CN203629926U (zh) 食品安全监测用待检样品塔式处理器
TWI469757B (zh) 自動化豆腐製造機
CN208553219U (zh) 一种萃取装置
CN206715787U (zh) 物料浆化分散除磁装置
CN203837985U (zh) 一种毒性试验装置
CN207667531U (zh) 清洗液循环分装系统
CN202778337U (zh) 慢搅拌磁悬液储液箱
CN206173067U (zh) 废弃钻井液絮凝脱水装置
CN205832982U (zh) 一种三厢一体式絮凝剂制备投加装置
CN214514265U (zh) 一种果味饮料加工用混匀装置
CN204768388U (zh) 污水处理自动溶药加药设备
CN204147871U (zh) 一种新型水泥助磨剂生产线
CN207605164U (zh) 一种高等级生物安全实验室用高压灭菌盛放装置
CN210071449U (zh) 土壤浸提装置及土壤指标测定设备
CN102773034A (zh) 慢搅拌磁悬液储液箱
CN205590666U (zh) 一种制药配料罐
CN208694927U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用生化添加剂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