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309A -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309A
KR20130125309A KR1020130048220A KR20130048220A KR20130125309A KR 20130125309 A KR20130125309 A KR 20130125309A KR 1020130048220 A KR1020130048220 A KR 1020130048220A KR 20130048220 A KR20130048220 A KR 20130048220A KR 20130125309 A KR20130125309 A KR 2013012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hread
cover member
balan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115B1 (ko
Inventor
다카히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각 천칭(6)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지지체 커버(7)의 전면에 배치된 실 취함 스프링(15)을 가지는 실 취함 부재(10)와, 실 취함 스프링(15)에 걸린 실이 후방으로 흐르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재(19)와, 상기 실 취함 부재(10)의 전방에 위치하고, 전방향으로 단독으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커버부재(8)와,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의 선단부를 받아들여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홈(8d)을 형성한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8)는 실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개방된 하단부(8b)를 가지며, 이 하단부(8b)로부터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으로 실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커버부재(8)에 있어서, 이 하단부(8b)로부터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으로 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벽(8c)이 또한 마련되어도 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홈(8d)은 안내벽(8c)에서 마련되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홈(33c)을 형성한 가이드부(33c)는 커버부재(40)와는 별도로 마련된다.

Description

미싱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천칭(天秤)과, 봉침(縫針)에 공급되는 상부 실 경로에서의 천칭의 상류 가까이 배치된 실 취함 부재를 구비한 박음질 형식의 자수 미싱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천칭 상류의 실 취함 부재로의 상부 실의 세팅이 용이하게 되도록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중국특허 출원공개 제CN10214074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는, 봉침에 공급되는 상부 실 경로에서의 천칭의 상류 가까이 배치한 실 취함 부재를 구비하고, 실 취함 부재로의 상부 실의 세팅을 용이하게 한 다침식의 자수 미싱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자수 미싱은 천칭의 상하 요동 경로의 소정 범위에서 복수의 천칭을 일체적으로 덮는 천칭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천칭 커버는 저판과 전방으로 융기(隆起)한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패널에는 각 천칭에 대응하여 슬릿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의 상방부와 하방부는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방부에는 천칭의 선단부가 삽입 통과되고, 하방부에는 후술하는 유지판 커버가 삽입 통과된다. 천칭 커버의 내부에는 고정판이 천칭 커버의 배면에서 고정되어 있고, 고정판에는 각 천칭에 대응하여 실 취함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실 취함 부재는 고정판의 전면에 고정된 유지판과, 유지판의 전단에 고정된 유지판 커버를 가지며, 유지판 커버는 패널에 형성된 슬릿의 하방부에 삽입 통과되고, 유지판 커버의 하측이 패널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위치하고 있다. 유지판의 일측면에는 실 조자기(調子器)가 마련되어 있다. 실 조자기는 디스크와 핀을 구비하며, 디스크가 핀에 의해 유지판에 장착되고, 디스크에는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실 조자기는 핀에 끼워 맞춰지는 코일 모양 스프링부와, 전방으로 연장하는 삼각형 모양의 실 취함 후크부를 가지는 실 취함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 취함 스프링의 코일 모양 스프링부의 기단(基端)이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구멍의 하나에 삽입되어 있다. 유지판에는 실 취함 스프링의 실 취함 후크부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원호 모양의 절결(切缺)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 홈에 실 취함 후크부가 위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자수 미싱에 있어서, 실 취함 부재 및 천칭에 실을 세팅할 때에는, 실을 패널에 형성된 대응하는 슬릿에 통과시켜, 유지판 커버의 우측으로부터 패널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유지판 커버의 하측에 걸쳐서 위쪽으로 접어 되돌려 끌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실은 유지판의 절결 홈에 유도되어 실 취함 스프링의 삼각형 모양의 실 취함 후크부에 들어간다. 다음으로 실을 천칭에 통과시켜 아래쪽으로 접어 되돌리고, 슬릿에 통과시켜 유지판 커버의 좌측을 통과하여 봉침으로 유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의 자수 미싱에 의하면, 실 취함 부재로의 실의 세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것과는 별도로, 실 조자기의 디스크에는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구멍을 마련하고, 실 취함 스프링의 코일 모양 스프링부의 기단을 그 중의 하나에 삽입하고 있으며, 삽입하는 구멍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 실 취함 스프링의 스프링 탄력이 변경되어, 사용하는 실에 적절한 스프링 탄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자수 미싱에서는, 실 취함 부재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는, 실 취함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천칭 커버를 미싱 헤드로부터 떼어내고, 천칭 커버의 배면 측으로부터 실 취함 부재가 고정된 고정판을 떼어낼 필요가 있다. 이 때, 천칭 커버를 떼어내는 데에는, 세팅되어 있는 모든 실을 떼어내야 해서, 재차 천칭 커버를 장착했을 때에는 모든 실을 다시 세팅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 취함 부재의 메인터넌스에 수반하는 작업이 매우 수고롭고 시간이 걸리는 것이었다.
또, 실 취함 스프링의 코일 모양 스프링부의 기단을 삽입하고 있는 디스크의 구멍을 바꾸는 경우에는, 상기한 상태로부터 다시 고정판으로부터 유지판을 떼어내어, 유지판으로부터 디스크를 떼어내어 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유지판을 고정판에 고정한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다른 유지판과 간섭하여 디스크를 떼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스프링 탄력을 바꾸는 작업도 매우 수고롭고 시간이 걸리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의 자수 미싱에서는, 실 취함 부재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작업이 매우 수고롭고 시간이 걸리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 중국특허 출원공개 제CN102140742호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 취함 부재로의 상부 실의 세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실 취함 부재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작업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미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은, 지지체(2)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에 봉침(5)이 장착된 1 또는 복수의 바늘대와, 각 바늘대에 대응하여 지지체(2)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1 또는 복수의 천칭(6)과, 상기 지지체(2)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1 또는 복수의 천칭(6)을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체 커버(7; 31)를 구비하는 미싱에 있어서, 상기 각 천칭(6)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지지체 커버(7; 31)의 전면에 배치된, 실 취함 스프링(15; 37)을 가지는 실 취함 부재(10; 30)와,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 37)에 걸린 실이 후방으로 흐르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재(19)와, 상기 실 취함 부재(10; 30)의 전방에 위치하여, 전방향으로 단독으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커버부재(8; 40)로서, 실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개방된 하단부(8b)를 가지고, 이 하단부(8b)로부터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 37)으로 실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상기 커버부재(8; 40)와,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 37)의 선단부를 받아들여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홈(8d)을 형성한 가이드부(8c, 33c)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괄호 내에 적은 참조번호는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의 도면 참조번호를 참고하기 위해서 적는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실 취함 스프링(15; 37)에 실을 세팅할 때에는, 커버부재(8; 40)의 측방으로부터 커버부재(8; 40)의 하단부(8b)에 실을 걸쳐서 위쪽으로 접어 되돌려 끌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실은 커버부재(8; 40)의 하단부(8b)의 개방 공간으로부터 삽입되며, 안내되어 실 취함 스프링(15; 37)에 세팅된다. 그 후에 실을 천칭(6)으로 통과시켜 아래쪽으로 접어 되돌려 봉침(5)으로 유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 취함 스프링(15; 37)으로의 실의 세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 취함 스프링(15; 37)에 세팅한 실은, 자수 바느질 등의 꿰맴 동작을 행하는 과정에서 느슨해지는 경우가 있지만, 실 취함 스프링(15; 37)의 선단부는 가이드부(8c, 33c)의 홈(8d) 내에 받아들여져 안내되기 때문에, 실이 실 취함 스프링(15; 37)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 규제부재(19)에 의해서 실이 후방으로 흐르는 것을 저지하므로, 실이 후방으로 흘러 어느 하나의 부품에 걸리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 각 천칭(6)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커버부재(8; 40)가 마련되어 있어, 1개의 커버부재(8; 40)는 단독으로 앞쪽 방향으로 떼어내기 가능하기 때문에, 1개의 천칭(6)에 대응하는 실 취함 부재(10; 30)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는, 대응하는 1개의 커버부재(8; 40)를 앞쪽 방향으로 떼어내는 것만으로 되고, 실 취함 스프링(15; 37)에 세팅한 실을 떼어낼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실 취함 부재(10; 30)의 메인터넌스에 수반하는 작업이 매우 간이한 것이 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8)는 상기 하단부(8b)로부터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으로 실을 안내하는데 적합한 안내벽(8c)을 더 가진다. 또,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8d)을 형성한 상기 가이드부(8c)는 상기 커버부재(8)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한 상기 가이드부(33c)는 상기 실 취함 부재(30)에 마련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한 상기 가이드부(33c)는 상기 커버부재(40)와는 다른 소재로 마련되어 있다. 또,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8c, 33c)는, 또한, 상기 커버부재(40)의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실 취함 스프링(37)으로 실을 안내하는데 적합한 윤곽을 가지고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8; 40)는 상기 천칭(6)의 상하 요동 경로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이 천칭의 선단부를 덮는 천칭 커버 부분(8g)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면서, 천칭에 부주의하게 작업자가 접촉하거나, 물건이 닿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천칭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 37)은 스프링 선재(線材)를 코일 모양으로 감아 돌려서 이루어지는 코일부(15a)와, 코일부의 일단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도록 이어서 이루어지는 레버부(15b)와, 레버부의 선단부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실 당겨 걸기용의 후크부(15c)와, 코일부의 타단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걸기부(15d)로 구성되며, 상기 실 취함 부재(10; 30)는 장착구멍(12a; 33b)을 구비한 유지체(12; 33)와, 이 유지체(12; 33)의 이 장착구멍(12a; 33b)에 고정되는 원통 케이스(13; 35)와, 이 원통 케이스(13; 35) 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스프링축(16; 38)을 더 가지며, 상기 스프링축(16; 38)은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 37)의 상기 걸기부(15d)를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홈(16c)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스프링축(16; 38)상에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 37)의 상기 코일부(15a)를 바깥 삽입하여, 상기 맞물림 홈(16c)에 상기 걸기부(15d)를 맞물림으로써,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 37)이 이 스프링축(16; 38)에 장착되며, 상기 원통 케이스(13; 35)에는,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 절제한 절결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3b)에 상기 실 취함 스프링(15; 37)의 상기 레버부(15b)를 위치시키며, 이 절결부(13b)의 하단에 이 레버부(15b)가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부재(17)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축(16; 38)이 상기 원통 케이스(13; 35)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면, 유지체(12; 33)에 고정된 원통 케이스(13; 35)에 스프링축(16; 38)을 끼워 삽입하여 고정하고, 이 스프링축(16; 38)에 형성된 맞물림 홈(16c)에 실 취함 스프링(15; 37)의 걸기부(15d)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부재(17)에 의한 스프링축(16; 38)의 고정을 해제하여, 스프링축(16; 38)을 그 축 중심으로 회전하면, 실 취함 스프링(15; 37)의 스프링 탄력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유지체(12; 33)로부터 부품을 떼어내지 않고 실 취함 스프링(15; 37)의 스프링 탄력을 간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에서의 다침식의 1미싱 헤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미싱 헤드의 우측면도.
도 3은 1개의 커버부재의 우측면 개략도.
도 4는 모든 커버부재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1미싱 헤드 내의 복수의 천칭 및 실 취함 부재를 정면으로부터 대략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1개의 실 취함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 취함 부재에서의 원통 케이스, 실 취함 스프링, 스프링축을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실 취함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에는 자수 미싱에서의 1개의 다침식의 미싱 헤드(H)의 정면도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2에는 그 미싱 헤드(H)의 우측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미싱 헤드(H)는 미싱 프레임(M)에 고정된 암(1)과, 암(1)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바늘대 케이스(2)로 구성된다. 미싱 헤드(H)의 아래쪽에는 침판(3)이 마련되어 있으며, 침판(3)의 아래쪽에는 회전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가마가 마련되어 있다. 암(1)에는 도시하지 않은 미싱 구동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미싱 주축(4)이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공지와 같이, 바늘대 케이스(2)(지지체)에는 하단에 봉침(5)이 고정된 복수(예를 들면 6개)의 바늘대(도시생략)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바늘대 케이스(2)에는 각 바늘대에 대응하는 천칭(6)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각 천칭(6)의 선단부는 바늘대 케이스(2)의 전면에 고정한 정면 커버판(7)(지지체 커버)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각 슬릿(7a)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공지와 같이, 바늘대 케이스(2)는 도시하지 않은 색 전환기구에 의해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임의의 하나의 바늘대를 소정의 선택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꿰맴 동작에 사용하는 1개의 바늘대(환언하면 실색)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지와 같이, 미싱 주축(4)의 회전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를 통하여, 이 선택된 바늘대(봉침(5))가 상하 이동함과 아울러, 이 선택된 바늘대에 대응하는 천칭(6)이 상하 요동하게 된다. 이 바늘대의 상하이동과 가마의 협동에 의해 주지의 바느질이 행해진다.
정면 커버판(7)의 전면에는 각 천칭(6)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커버부재(8)가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단 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커버부재(8)의 외측에는 외측 커버부재(9, 9)가 고정되어 있다. 도 3에는 외측 커버부재(9, 9)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 커버판(7)의 우측면 개략도가 나타내어져 있으며, 즉, 이것은 1개의 커버부재(8)를 우측면으로부터 본 것에 상당한다. 도 4에는 커버부재(8 및 9)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 커버판(7)의 정면 개략도가 나타내어져 있으며, 즉, 이것은 모든 커버부재(8, 9)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1미싱 헤드(H) 내의 복수의 천칭(6) 및 실 취함 부재(10)를 정면으로부터 대략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정면 커버판(7)의 전면 하방부에는 각 천칭(6)에 대응하여 실 취함 부재(10)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에는 하나의 실 취함 부재(10)의 입체 분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실 취함 부재(10)는 전면 커버판(7)의 전면 하방부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11)에 고정한 유지체(12)를 가지고 있다. 유지체(12)의 대략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한 장착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12a)에는 원통 케이스(13)가 끼워 삽입되어 있고, 원통 케이스(13)의 좌단부에 형성된 칼라(collar)부(13a)를 유지체(12)의 좌측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장착나사(1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원통 케이스(13)에는 실 취함 스프링(15)과 스프링축(16)이 마련되어 있다.
도 6에는 원통 케이스(13), 실 취함 스프링(15), 스프링축(16)을 도 5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입체 분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실 취함 스프링(15)은 스프링 선재를 코일 모양으로 감아 돌려 이루어지는 코일부(15a)와, 코일부(15a)의 일단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곧게 연장하도록 이어서 이루어지는 레버부(15b)와, 레버부(15b)의 선단부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실 당겨 걸기용의 후크부(15c)와, 코일부(15a)의 타단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걸기부(15d)로 구성되어 있다. 실 취함 스프링(15)의 레버부(15b)에는 도면에서 하향으로 스프링의 가압이 걸린다. 스프링축(16)은 두부(頭部)와 축부(軸部)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한 복수의 조작 홈(16a)과 규제편(16b)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축(16)의 축부에는 실 취함 스프링(15)의 걸기부(15d)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6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축(16)의 축부는 축경(縮徑)한 선방(先方)부를 가지며, 그 선방부가 원통 케이스(13)의 끼워맞춤구멍(13c)에 그 축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게 되어 있다. 이 스프링축(16)의 축상에 실 취함 스프링(15)의 코일부(15a)를 바깥 삽입하고, 실 취함 스프링(15)의 걸기부(15d)를 스프링축(16)의 맞물림 홈(16c)에 맞물린 상태에서 원통 케이스(13)에 끼워 삽입한다. 원통 케이스(13)의 칼라부(13a)에는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 절제한 절결부(1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13b)에 실 취함 스프링(15)의 레버부(15b)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스프링축(16)을 그 축중심으로 회전하여, 실 취함 스프링(15)의 레버부(15b)를 절결부(13b)의 하단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실 취함 스프링(15)의 스프링 탄력이 의도하는 세기가 되는 회전 위치에서, 스프링축(16)을 장착나사(17)(고정부재)로 원통 케이스(13)에 고정한다. 또한, 원통 케이스(13)의 칼라부(13a)에는 스프링축(16)의 규제편(16b)과 맞닿아, 스프링축(16)을 일회전 이상 회전할 수 없게 규제하는 걸기편(13d)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스프링축(16)을 일회전 이상 회전하면 실 취함 스프링(15)이 파손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유지체(12)에는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의 위쪽 위치에서 후크부(15c)의 좌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18, 18)가 필요한 간격을 유지하여 마련하고 있다. 유지체(12)의 우측면에는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에 건 상부 실이 후방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핀(19, 19)이 고정되어 있다. 도 4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핀(19, 19)의 선단은 오른쪽 인근에 배치된 유지체(12)의 좌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위치하여 지지되게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유지체(12) 사이에 핀(19, 19)이 가로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좌측의 측면 커버부재(9)에는 마찬가지로 2개의 핀(19, 19)이 고정되어 있고, 그 선단은 가장 좌측의 유지체(12)의 좌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핀(19, 19)을 마련함으로써, 후크부(15c)에 건 상부 실이 후방으로 흐르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핀(19, 19)은 실 취함 스프링(15)에 걸린 실이 후방으로 흐르는 것을 규제하는(블록하는) 규제부재로서 기능한다. 1개의 실 취함 스프링(15)에 대응하여 마련하는 핀(19)의 수는 2개로 한정하지 않고, 1개라도 되고, 혹은 3개 이상이라도 된다.
개개의 커버부재(8)는 유지체(12)의 전면에 장착나사(20)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 장착나사(20)를 떼어냄으로써, 1개의 커버부재(8)를 단독으로 전방향으로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커버부재(8)의 이면에는 대좌(臺座)(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대좌(8a)에는 유지체(12) 측에 형성된 장착부(12b)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도시생략 : 끼워맞춤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부재(8)의 하단부(8b)는 유지체(12)와의 사이에 개방 공간을 마련하도록, 개방단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개방 공간이 커버부재(8)의 아래로부터 상부 실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용으로 된다. 또, 각 커버부재(8)가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커버부재(8)의 좌우 양측면과 인접하는 커버부재(8)의 측면과의 사이에도 연속적인 공극이 형성되며, 커버부재(8)의 하단부(8b)의 개방 공간으로부터 삽입된 상부 실(T)이 커버부재(8)의 좌우 양측면의 공극을 임의로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8)의 이면에는 그 하단부(8b)로부터 대좌(8a)로 연장하고, 이 하단부(8b)의 개방 공간으로부터 삽입한 상부 실을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벽(8c)이 형성되어 있다. 즉, 안내벽(8c)의 상부 가장자리는 커버부재(8)의 하단부(8b)로부터 실 취함 스프링(15)으로 실을 안내하는데 적합한 윤곽을 가지고 있다. 이 안내벽(8c)에는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의 이동 범위에 걸쳐 후크부(15c)의 선단부의 침입을 허락하는 홈(8d)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벽(8c)은 실 취함 스프링(15)의 선단부를 받아들여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홈(8d)을 형성한 가이드부로서도 기능한다. 즉, 이 실시예(제1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벽(8c)은 거기에 형성한 홈(8d)에 의해서, 실 취함 스프링(15)의 선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부로서 기능하고, 한편, 그 상부 가장자리의 윤곽에 의해서, 커버부재(8)의 하단부(8b)로부터 실 취함 스프링(15)으로 실을 안내하는데 적합한 가이드부로서도 기능한다. 커버부재(8)의 상방부에는 천칭(6)의 상하 요동 경로의 소정 범위에서 천칭(6)의 선단부의 우측을 차폐(遮蔽)하는 차폐판(8e)이 마련되어 있다. 커버부재(8)의 상단부 후방에는 정면 커버판(7)에 형성한 직사각형의 관통구멍(7b)(고정용 부위)에 맞물리는, 클로(claw)부를 가지는 맞물림 편(8f)이 마련되어 있다. 이 맞물림 편(8f)의 관통구멍(7b)으로의 맞물림과, 대좌(8a)의 오목부로의 유지체(12)의 장착부(12b)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커버부재(8)를 장착할 때의 연직이 유지된다(커버부재(8)가 소정의 배치로 위치 결정된다).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8)에 있어서, 상사점의 천칭(6)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은 크게 움푹 패인 형상이다. 이는 천칭(6)의 통과구멍에 실을 통과시킬 때에 실을 잡은 손가락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커버부재(8)의 크게 움푹 패인 부분과 천칭(6)의 선단과의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도록 천칭(6)에는 아래쪽으로 연장한 선단부(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지와 같이, 꿰맴 동작시에, 천칭(6)은 소정의 상사점과 하사점과의 사이에서 상하로 요동하므로, 천칭(6)의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것보다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8)의 전면에는 천칭 커버 부분(8g)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천칭 커버 부분(8g)은 천칭(6)의 상하 요동 경로의 소정 범위에서 이 천칭(6)의 선단부를 덮는 기능을 한다. 이것에 의해, 꿰맴 동작중에 작업자가 잘못하여 천칭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진다. 여기서, 천칭 커버 부분(8g)의 범위는 커버부재(8)에 대응하는 천칭(6)이 상사점에 있을 때 이 천칭 커버 부분(8g)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사점에 있는 천칭(6)을 덮지 않지만, 그것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천칭(6)을 덮도록 한 범위이며,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상사점에서 이 커버부재(8)를 떼어내지 않고 이 천칭(6)에 액세스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실 꿰기를 편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실(T)의 세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대 케이스(2)의 위쪽에서 각 바늘대에 대응하여 유도된 상부 실(T)을, 대응하는 커버부재(8)와, 그 오른쪽 인근에 배치된 커버부재(8) 또는 외측 커버부재(9)와의 사이에 마련된 틈새로 통과시켜 커버부재(8)의 하단부(8b)까지 유도하고, 그 하단부(8b)에 걸쳐서 위쪽으로 접어 되돌린다. 다음으로, 상부 실(T)을 커버부재(8)와, 그 왼쪽 인근에 배치된 커버부재(8) 또는 외측 커버부재(9)와의 사이에 마련된 틈새로 통과시키면서 위쪽으로 끌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상부 실(T)은 커버부재(8)의 하단부(8b)의 삽입용 공극을 통하여 삽입되며, 안내벽(8c)에 안내되어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에 걸린다. 다음으로 상부 실(T)을 천칭(6)의 안내구멍으로 통과시켜 아래쪽으로 접어 되돌려, 재차, 커버부재(8)와, 그 왼쪽 인근에 배치된 커버부재(8) 또는 외측 커버부재(9)와의 사이에 마련된 틈새로 통과시켜, 바늘대 케이스(2)의 하방부에 배치된 하부 실 길(21)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부 실(T)을 대응하는 봉침(5)으로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8)의 하단부에 상부 실(T)을 걸쳐서 위쪽으로 접어 되돌려 끌어올리는 것만으로, 간이하게 상부 실(T)을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에 걸 수 있다.
이 상부 실(T)의 세팅시에 있어서, 및, 꿰맴 동작 중에 있어서도,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에 걸린 상부 실(T)은, 그 상류, 하류에서 후크부(15c)의 위쪽에 마련한 롤러(18, 18)에 의해서 안내되기 때문에, 상부 실(T)은 부드럽게 흐르게 된다.
또한, 자수를 행하는 가운데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의 부근에서 상부 실(T)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있지만, 후크부(15c)의 선단은 커버부재(8)의 홈(8d)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실(T)이 후크부(15c)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 2개의 핀(19, 19)에 의해서 느슨해진 상부 실(T)이 저지됨으로써, 느슨해진 상부 실(T)이 후방으로 흘러 원통 케이스(13)나 스프링축(16) 등의 부품에 걸리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 취함 부재(10)에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는,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실 취함 부재(10)의 커버부재(8)를 고정하고 있는 장착나사(20)를 떼어내어, 커버부재(8)를 유지체(12)로부터 떼어낸다. 이 때, 그 실 취함 부재(10)에 세팅된 상부 실(T)은 그대로 커버부재(8)를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그 실 취함 부재(10)에 있어서, 실 취함 스프링(15)의 스프링 탄력을 변경할 때에는, 스프링축(16)을 고정하고 있는 장착나사(17)를 느슨하게, 예를 들면 막대 모양의 조작도구를 스프링축(16)의 두부의 조작 홈(16a)에 삽입하고, 조작도구를 조작하여 스프링축(16)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실 취함 스프링(15)의 걸기부(15d)의 위치가 바뀌어, 실 취함 스프링(15)의 스프링 탄성이 변경되기 때문에, 의도하는 스프링 탄성이 된 곳에서 장착나사(17)를 조여 스프링축(16)을 고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부재(8)의 하단부에 상부 실(T)을 걸쳐서 위쪽으로 접어 되돌려 끌어올리는 것만으로, 간이하게 상부 실(T)을 실 취함 스프링(15)의 후크부(15c)에 세팅할 수 있다.
또, 실 취함 부재(10)로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는, 그 커버부재(8)만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에 수반하는 작업이 매우 간이하게 된다.
또, 실 취함 스프링(15)의 스프링 탄력을 변경할 때에는, 장착나사(17)를 느슨하게 하여 스프링축(16)을 회전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이 스프링 탄력을 변경하는 작업도 매우 간이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부재(8)에 천칭(6)의 선단부의 우측을 차폐하는 차폐판(8e)를 마련한 구성으로 했지만, 커버부재(8)의 전면의 천칭 커버 부분(8g)에 의해서 천칭(6)의 선단부는 덮이기 때문에, 차폐판(8e)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 커버판(7)의 전면 하방부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11)에 유지체(12)를 고정한 구성으로 했지만, 유지체(12)를 전면 커버판(7)에 직접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실 취함 부재(3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서, 정면 커버판(31)은, 도 1 및 도 2 등에 나타난 정면 커버판(7)에 대응하는 것으로, 바늘대 케이스(2)(지지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지지체 커버이다. 베이스 부재(32)는, 도 3 및 도 4 등에 나타난 베이스 부재(11)에 대응하는 것이며, 정면 커버판(31)의 전면 하방부에 고정된다.
도 7에서, 실 취함 부재(30)는, 상기 실 취함 부재(10)와 마찬가지로, 개개의 천칭(6)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되며, 정면 커버판(31)의 전면에 배치된다. 실 취함 부재(30)는, 상기 실 취함 부재(10)와 마찬가지로, 실 취함 스프링(37)과 유지체(33)를 구비한다. 유지체(33)는 상기 유지체(12)에 대응하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32)에 고정된다. 유지체(33)의 대략 중앙부 배면에는 베이스 부재(32)에 형성한 긴 구멍의 관통구멍(32a)에 맞물리는 맞물림 편(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편(33a)의 관통구멍(32a)으로의 맞물림에 의해서, 유지체(33)이 소정의 배치에 위치 결정되며, 장착나사(34)로 베이스 부재(32)에 고정된다.
유지체(33)의 대략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한 장착구멍(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구멍(33b)에는 원통 케이스(35)가 끼워 삽입되어 있으며, 원통 케이스(35)의 우단부에 형성된 칼라부(35a)를 유지체(33)의 우측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장착나사(3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원통 케이스(35)에는 실 취함 스프링(37)과 스프링축(38)이 마련되어 있다. 이 원통 케이스(35)의 칼라부(35a) 이외의 구성 및 실 취함 스프링(37)과 스프링축(38)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지체(33)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 취함 스프링(37)의 위쪽 위치에서, 좌우로 필요한 간격을 유지하여 2개의 롤러(18, 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제2 실시예)에서는 롤러(18, 18)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그라밋(grommet)(39)이 마련되어 있다. 유지체(33)의 우측면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개의 핀(19, 19)(규제부재)이 고정되어 있다. 유지체(33)의 전방부 아래쪽에는 실 취함 스프링(37)의 선단부를 받아들여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홈 혹은 슬릿을 형성한 가이드부(33c)가 마련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33c)는 실 취함 스프링(37)의 선단부를 받아들여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홈 혹은 슬릿을 형성하는 좌우벽체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체(33)의 전면에는 제1 실시예에서의 커버부재(8)와 동일한 커버부재(40)가 장착나사(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단, 이 제2 실시예에서의 커버부재(40)에는, 상기 맞물림 편(8f)과 동일한, 상단부 후방에 형성한 클로부를 가지는 맞물림 편(40a)(제1 맞물림 편)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그 아래쪽에, 제2 맞물림 편(40b)이 형성되어 있다. 정면 커버판(31)에는 제1 맞물림 편(40a)이 맞물리는 직사각형의 관통구멍(31a)과, 제2 맞물림 편(40b)이 맞물리는 직사각형의 제2 관통구멍(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맞물림 편(40a)의 관통구멍(31a)으로의 맞물림과, 제2 맞물림 편(40b)의 제2 관통구멍(31b)으로의 맞물림에 의해서, 커버부재(40)를 장착할 때의 그 연직 자세가 보다 정확하게 유지되게 된다.
커버부재(40)는 제2 맞물림 편(40b)을 구비한 점 이외는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며, 안내벽(40c)(제1 실시예의 8c에 대응)과, 안내벽(40c)에 형성된 홈(40d)(제1 실시예의 8d에 대응)을 가지고 있다. 단,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벽(40c)에 형성된 홈(40d)은, 제1 실시예의 홈(8d)보다는 큰 폭이며, 실 취함 스프링(37)의 선단부를 직접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유지체(33)에 마련된 가이드부(33c)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커버부재(40)의 홈(40d) 내에 유지체(33)의 가이드부(33c)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체(33)는 정면 커버판(31)의 측에 고정되므로, 커버부재(40)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커버부재(40)의 홈(40d) 내에 유지체(33)의 가이드부(33c)가 끼워맞춤하지만, 커버부재(40)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가이드부(33c)가 정면 커버판(31)의 측에 남겨진다. 커버부재(40)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 커버부재(40)의 홈(40d) 내에 끼워맞춤한 가이드부(33c)의 상기 홈 혹은 슬릿 내에, 실 취함 스프링(37)의 선단부가 받아들여져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유지체(33)(및 가이드부(33c))의 재질은 금속이기 때문에, 실 취함 스프링(37)의 선단부가 가이드부(33c)의 측면에 스치면서 이동해도, 그 측면에 흠집이 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8)의 홈(8d)에서 실 취함 스프링(15)의 선단부를 직접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이 커버부재(8)의 재질은 수지이기 때문에, 실 취함 스프링(15)의 선단부가 홈(8d)의 측면에 스치면서 이동하면, 그 측면에 흠집이 나고, 그 흠집에 의해 실 취함 스프링(15)의 이동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제2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우려가 없다. 또, 유지체(33)에 가이드부(33c)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부재(40)를 떼어낸 상태에서도 실 취함 스프링(37)의 선단부는 가이드부(33c)에 보호되어, 작업자가 접촉하는 등 하여 실 취함 스프링(37)이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커버부재(40)에서 홈(40d)를 생략해도 된다. 그 경우는, 유지체(33)의 상부(나사(41)가 장착되는 부분)만이 커버부재(40)에 끼워맞춤하고, 유지체(33)의 하부(가이드부(33c)의 부분)는 커버부재(40)에 끼워맞춤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라도 된다. 이 경우라도, 유지체(33)의 가이드부(33c)가 형성하는 홈 혹은 슬릿 내에 실 취함 스프링(37)의 선단부가 받아들여지므로, 실 취함 스프링(37)에 걸린 실이 다소 느슨해져도, 이 실이 실 취함 스프링(37)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유지체(33)의 측에 마련하는 가이드부(33c)의 윤곽을 커버부재(40)의 하단부로부터 실 취함 스프링(37)으로 실을 안내하는데 적합한 윤곽으로 함으로써, 커버부재(40)의 측에 마련하는 안내벽(40c)을 간략화 또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내벽(40c)을 간략화하는 경우는, 커버부재(40)의 하단부 주변에서만 안내벽(40c)에 의한 안내 기능을 완수하는 구조로 하고, 그 위쪽에서는 가이드부(33c)의 좌우벽체의 상부 가장자리(도 7에 나타낸 가이드부(33c)의 만곡의 내측의 부분)에 안내 기능을 분담시킨다. 안내벽(40c)을 생략하는 경우는, 가이드부(33c)의 좌우벽체의 상부 가장자리(도 7에 나타낸 가이드부(33c)의 만곡의 내측의 부분)에 안내 기능을 맡게 한다. 그와 같이 안내벽(40c)을 간략화 또는 생략했다고 해도, 커버부재(40)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부(33c)의 좌우벽체의 상부 가장자리(도 7에 나타낸 가이드부(33c)의 만곡의 내측의 부분)가 안내벽(40c)과 동일한 안내 부재로서, 즉, 커버부재(40)의 하단부로부터 실 취함 스프링(37)으로 실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수 미싱에 한정하지 않고, 그 외의 바느질 미싱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5)

  1. 지지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에 봉침(縫針)이 장착된 1 또는 복수의 바늘대와, 각 바늘대에 대응하여 지지체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1 또는 복수의 천칭(天秤)과, 상기 지지체의 전면(前面)에 배치되고, 상기 1 또는 복수의 천칭을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체 커버를 구비하는 미싱에 있어서,
    상기 각 천칭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지지체 커버의 전면에 배치된 실 취함 스프링을 가지는 실 취함 부재와,
    상기 실 취함 스프링에 걸린 실이 후방으로 흐르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재와,
    상기 실 취함 부재의 전방에 위치하여, 전방향으로 단독으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커버부재로서, 실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개방된 하단부를 가지고, 이 하단부로부터 상기 실 취함 스프링으로 실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실 취함 스프링의 선단부를 받아들여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홈을 형성한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실 취함 스프링으로 실을 안내하는데 적합한 안내벽을 더 가지는 미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미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실 취함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미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을 형성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부재와는 다른 소재로 마련되어 있는 미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실 취함 스프링으로 실을 안내하는데 적합한 윤곽을 가지고 있는 미싱.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천칭의 상하 요동 경로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이 천칭의 선단부를 덮는 천칭 커버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천칭은 상사점에서 상기 천칭 커버 부분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이 커버부재를 떼어내지 않고 이 천칭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천칭은 그 실 꿰기 구멍의 하측으로 연장한 선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10.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나사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11.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맞물림 편을 포함하고, 이 맞물림 편을 통하여 소정의 고정용 부위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그 이면에서, 상기 실 취함 부재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장착부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구조를 가지고, 상기 맞물림 편을 통한 맞물림과 이 끼워맞춤 구조를 통한 끼워맞춤에 의해서, 이 커버부재를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13.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취함 스프링은 스프링 선재(線材)를 코일 모양으로 감아 돌려 이루어지는 코일부와, 코일부의 일단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도록 이어서 이루어지는 레버부와, 레버부의 선단부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실 당겨 걸기용의 후크부와, 코일부의 타단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걸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실 취함 부재는 장착구멍을 구비한 유지체와, 이 유지체의 이 장착구멍에 고정되는 원통 케이스와, 이 원통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스프링축을 더 가지며, 상기 스프링축은 상기 실 취함 스프링의 상기 걸기부를 맞물림하기 위한 맞물림 홈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스프링축상에 상기 실 취함 스프링의 상기 코일부를 바깥 삽입하여, 상기 맞물림 홈에 상기 걸기부를 맞물림으로써, 상기 실 취함 스프링이 이 스프링 축에 장착되며,
    상기 원통 케이스에는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 절제한 절결(切缺)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에 상기 실 취함 스프링의 상기 레버부를 위치시키며, 이 절결부의 하단에 이 레버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축이 상기 원통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14.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취함 부재는 상기 실 취함 스프링과, 이 실 취함 스프링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체는 상기 지지체 커버의 전면에 고정되는 미싱.
  15.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후방으로 흐르는 실을 블록하도록 고정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1개의 핀으로 이루어지는 미싱.
KR1020130048220A 2012-05-08 2013-04-30 미싱 KR101699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7072A JP5642110B2 (ja) 2012-05-08 2012-05-08 ミシン
JPJP-P-2012-107072 2012-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309A true KR20130125309A (ko) 2013-11-18
KR101699115B1 KR101699115B1 (ko) 2017-01-23

Family

ID=4947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220A KR101699115B1 (ko) 2012-05-08 2013-04-30 미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33282B2 (ko)
JP (1) JP5642110B2 (ko)
KR (1) KR101699115B1 (ko)
CN (1) CN103388246B (ko)
DE (1) DE10201300778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0629B (zh) * 2012-07-03 2015-05-27 东阳市佳轮电子机械有限公司 刺绣机中过线装置
CN107916505B (zh) * 2017-12-22 2023-07-11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挑线过线机构
CN112251932A (zh) * 2020-10-12 2021-01-22 深圳市亿高瑞风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针杆箱及刺绣机
CN113638146B (zh) * 2021-07-13 2022-11-08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方便面线松紧调节的挑线总成及中过线面板装置及绣花机
CN113774587B (zh) * 2021-09-03 2022-11-11 浙江越隆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刺绣机的走线单元、走线机构及刺绣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830A (ko) * 1995-09-22 1997-04-28 이쿠오 다지마 미싱의 천칭가이드
JPH10295969A (ja) * 1997-04-28 1998-11-10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針刺繍ミシン
JP2000064169A (ja) * 1998-08-19 2000-02-29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針刺繍ミシン
JP2000312791A (ja) * 1999-04-30 2000-11-1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CN102140742A (zh) 2011-02-16 2011-08-03 东阳市佳轮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刺绣机中过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2312A (en) * 1971-06-09 1974-01-01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Take-up lever for a sewing machine and protecting cover
US4030431A (en) * 1976-05-24 1977-06-21 The Singer Company Sewing machine take-up thread shield
JPS59155080U (ja) * 1983-04-01 1984-10-18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糸取りばね装置
JPS61265173A (ja) * 1985-05-20 1986-11-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糸通し可能なミシン
JPS62170289A (ja) * 1986-01-21 1987-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糸取上装置
US4776292A (en) * 1987-12-07 1988-10-11 Ssmc Inc. Demand responsive sewing machine take-up and threading arrangement therefor
US4977842A (en) 1988-05-31 1990-12-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Overlock sewing machine with a threading mechanism for easily threading a looper
JP2624513B2 (ja) 1988-05-31 1997-06-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US6247419B1 (en) * 1998-08-19 2001-06-19 Tokai Kogyo Mishin Kabushiki Kaisha Multineedle embroidering sewing machine
CN2732789Y (zh) * 2004-05-04 2005-10-12 叶连福 电脑绣花机的中过线器
CN2928903Y (zh) * 2006-06-13 2007-08-01 杭州经纬电子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绣花机中过线结构
KR20080065362A (ko) * 2007-01-09 2008-07-14 (주)엠지테크 내장형 포토디스크 독립조정대
US7905188B2 (en) 2007-07-13 2011-03-15 Juki Corporation Thread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5532979B2 (ja) 2010-02-01 2014-06-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針式ミシ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830A (ko) * 1995-09-22 1997-04-28 이쿠오 다지마 미싱의 천칭가이드
JPH10295969A (ja) * 1997-04-28 1998-11-10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針刺繍ミシン
JP2000064169A (ja) * 1998-08-19 2000-02-29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針刺繍ミシン
JP2000312791A (ja) * 1999-04-30 2000-11-1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CN102140742A (zh) 2011-02-16 2011-08-03 东阳市佳轮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刺绣机中过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88246A (zh) 2013-11-13
JP5642110B2 (ja) 2014-12-17
CN103388246B (zh) 2016-08-03
US20130298812A1 (en) 2013-11-14
JP2013233262A (ja) 2013-11-21
DE102013007782A1 (de) 2013-11-14
KR101699115B1 (ko) 2017-01-23
DE102013007782B4 (de) 2020-01-23
US8833282B2 (en)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5309A (ko) 미싱
EP2889405B1 (en) Yarn feeding device of flatbed knitting machine
US8893631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4139843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US6463867B2 (en) Headgear visor holding device for use with sewing machine
JPH0984983A (ja) ミシンの天秤ガード
JP2016063957A (ja) ミシンおよび糸立装置
US20050115479A1 (en) Thread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2013253336A (ja) 繊維機械の制御装置
JP5550185B2 (ja) 遊技機
JP2002191883A (ja) ミシンの天秤機構
JP2002191884A (ja) ミシン
JP5839004B2 (ja) 遊技機
TW567264B (en) Needle thread-gui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6128187B2 (ja) 遊技機
JP2023105947A (ja) 糸立装置及びミシン
EP1876279A1 (en) Bobbin case for use with full rotary hook in industrial sewing machine
JP2012179159A (ja) 遊技機
US4427165A (en) Sewing machine thread guide with protective guard
JP3800163B2 (ja) 糸カセット、ミシン
JP2002191886A (ja) ミシン
JP6697242B2 (ja) ミシンの天秤装置
JP2004236673A (ja) ミシン及びこのミシンの針棒糸案内
KR200333605Y1 (ko)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JP5596601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