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605Y1 -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 Google Patents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605Y1
KR200333605Y1 KR20-2003-0025428U KR20030025428U KR200333605Y1 KR 200333605 Y1 KR200333605 Y1 KR 200333605Y1 KR 20030025428 U KR20030025428 U KR 20030025428U KR 200333605 Y1 KR200333605 Y1 KR 200333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thread
safety cover
needle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욱
Original Assignee
(주)엠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지테크 filed Critical (주)엠지테크
Priority to KR20-2003-0025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6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3/00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embroider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cillary apparatus for use with embroidering machines
    • D05C13/02Counting, measuring, 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4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 D05C5/06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with means for recording the in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두식 자수기의 침봉케이스의 실채기 레버 전면부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수기본체(1); 상기 자수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자수사를 장착하는 실걸이(2); 상기 실걸이 하부에 위치하여 자수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독립조정대(3); 상기 독립조정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수사가 자수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꿰매도록 하는 다수개의 침봉케이스(4); 상기 침봉케이스(4) 하부에 위치하여 자수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고정시키는 사각바 형태의 수틀(7); 상기 수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틀을 지지하고 받혀주는 자수테이블(6); 자수데이터에 따라 자수기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8); 상기 수틀과 연결되어 자수 작업물의 형태에 따라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모트를 제어하는 X-Y모터 드라이버(9); 상기 자수기본체의 가장자리 일측에 위치하여 자수데이터를 입력,저장하고 출력하여 자수기가 동작하도록 관장하는 조작판넬(10); 을 포함하는 통상의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침봉케이스의 실채기 레버 전면에 안전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Multi head Embroidering machine mounting Safety cover on the Frog case}
본 고안은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수기의 침봉케이스의 실채기 레버 전면에 안전커버를 장착한 다두식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기는 바느질을 할 수 있는 바늘대가 상하운동을 하는 동안, 원단을 고정한 수틀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를 놓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흔히 가정에서 쓰이는 재봉틀은 이송대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단을 이송시키며 재봉을 하는 구조임에 반해, 자수기는 원단을 고정한 수틀이 X,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수하도록 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다두식 자수기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종래의 다두형 자수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 다두형 자수기는 자수기본체(1), 상기 자수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자수사를 장착하는 다수의 실걸이(2), 상기 실걸이 하부에 위치하여 자수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의 독립조정대(3), 상기 독립조정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수사가 자수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꿰매도록 하는 다수의 바늘을 구비한 다수의 침봉케이스(4), 상기 침봉케이스(4) 하부에 위치하여 자수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고정시키는 사각바 형태의 수틀(7), 상기 수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틀을 지지하고 받혀주는 자수테이블(6), 자수데이터에 따라 자수기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8), 상기 수틀과 연결되어 자수 작업물의 형태에 따라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모터를 제어하는 X-Y모터 드라이버(9), 상기 자수기본체의 가장자리 일측에 위치하여 자수데이터를 입력,저장하고 출력하여 자수기가 동작하도록 관장하는 오퍼레이션 판넬(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2는 종래의 다두식 자수기의 침봉케이스 부분의 주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3은 종래의 다두식 자수기의 침봉케이스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2와 도3을 참고로 하여 침봉케이스의 바늘에 자수사가 공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보통 침봉케이스(4) 주변의 구성부분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자수기 본체(1)의 상부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자수사를 장착하는 다수개의 실걸이(2), 상기 실걸이 하부에 위치하여 자수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독립조정대(3), 상기 독립조정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수사가 자수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꿰매도록 하는 다수개의 침봉케이스(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침봉케이스(4)에는 다수개의 바늘(41)이 있고, 각 바늘마다 다른 색의 실(자수사)들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침봉케이스(4)는 여러 색의 실을 사용하여 자수 디자인에 따라 바늘을 이용해 자수를 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침봉케이스의 바늘에 자수사가 공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침봉케이스(4)의 상부에는 독립조정대(3)와 실걸이(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걸이(2)의 하부 일측에는 다수개의 자수사 뭉치(20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자수사 뭉치(200)는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실패꽂이에 꽂혀 있다. 상기 자수사 뭉치(200)에서 나온 자수사(100)는 상기 실걸이(2)를 통해 독립조정대(3)의 보조 실조절장치(32)와 주 실장력 조절장치(33)를 통해 상기 침봉케이스(4)로 전달된다. 상기 독립조정대(3)는 상기 침봉케이스(4)가 자수 작업을 할 때 자수사(1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침봉케이스(4)는 상기 독립조정대(3)에서 내려온 자수사(100)를 상기 실안내(상)(43)을 지나고 실안내(중)(44)의 실안내 구멍(44a)을 통해 상기 실채기 레버(46)의 구멍에 끼운 후, 다시 상기 실안내(중)(44)의 다른 실안내 구멍(44b)을 통하여 상기 실안내(하)(45)로 보낸다. 이때, 상기 자수사(100)는 상기실안내(하)(45)의 실안내 구멍(45a)을 통하여 바늘(41a)의 구멍에 끼워진다.
상기 침봉케이스(4)가 동작할 때에는 상기 침봉케이스(4)에 구비된 다수개의 바늘(41)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바늘이 자수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채기 래버(46)는 상기 침봉케이스(4)에 조립되고 침봉케이스(4)의 모터의 회전운동을 바늘대(42) 및 실채기 레버(46)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장치인 암(48)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 침봉케이스(4)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자수사뭉치(200)로부터 나와 상기 자수사(100)의 공급장력을 조정하는 장치인 독립조정대(3)를 거쳐 바늘대(42)에 조립 되어지는 상기 바늘(41)까지 원할하게 공급해주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실채기 레버(46)의 자수사(100)를 바늘(41)까지 공급해주는 방법은 실채기 레버(46)가 상하 왕복운동을 할 경우 실채기 레버(46)가 움직인 거리만큼 자수사 뭉치(200)로부터 자수사(100)를 강제로 바늘 방향으로 끌어내려 실채기 레버(46)와 바늘(41)과의 사이에 자수사가 여유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바늘대(42)의 동작에 의하여 바늘(41)이 작업물을 뚫고 들어가면 실채기 레버(46)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했던 자수사의 여유에 의하여 자수사가 끊기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그런데 종래의 침봉케이스(4)는 자수작업의 효율을 위해 바늘수 만큼의 다수개의 실채기 레버를 구비하는데, 자수기 동작시 실채기 레버(46)가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자수사(100)가 과도하게 흔들리게 되어 자수사가 옆 칸의 실채기 레버로넘어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작업시 작업자가 실수로 손이나 팔등이 실채기 레버에 닿아서 상처와 해를 당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다두식 자수기의 침봉케이스(4)의 실채기 레버(46) 전면부에 플라스틱 형태의 안전커버를 장착하여, 자수기 동작시 실채기 레버(46)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한 자수사의 과도한 흔들림을 규제함으로서 균일하고 정밀한 자수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실채기 레버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위해 발생 부분에 대한 예측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다두식 자수기의 정면도.
도2는 종래의 다두식 자수기의 침봉케이스 부분 측면도.
도3은 종래의 다두식 자수기의 침봉케이스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의 정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자수기의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닫혀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6는 본 고안에 의한 자수기의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열려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7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커버가 장착된 침봉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자립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수기본체 2. 실걸이
3. 독립조정대 4. 침봉케이스
40. 안전커버 41. 바늘
46. 실채기 레버 47. 실채기 레버 가이드
48. 암 100.자수사
200. 자수사 뭉치 403. 힌지
404. 자석 405. 자석 고정 홀더
408. 쿠션고무
409,410. 실채기 레버 가이드 고정 나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는,
자수기본체(1), 상기 자수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자수사를 장착하는 실걸이(2), 상기 실걸이 하부에 위치하여 자수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독립조정대(3), 상기 독립조정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수사가 자수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꿰매도록 하는 침봉케이스(4), 상기 침봉케이스(4) 하부에 위치하여 자수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고정시키는 사각바 형태의 수틀(7), 상기 수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틀을 지지하고 받혀주는 자수테이블(6), 자수데이터에 따라 자수기의 각 부분을제어하는 콘트롤 박스(8),상기 수틀과 연결되어 자수 작업물의 형태에 따라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모트를 제어하는 X-Y모터 드라이버(9), 상기 자수기본체의 가장자리 일측에 위치하여 자수데이터를 입력,저장하고 출력하여 자수기가 동작하도록 관장하는 조작판넬(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두식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침봉케이스(4)의 실채기 레버(46) 전면에 안전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채기 레버(46) 전면에 안전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석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커버가 닫히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쿠션고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종래 기술의 도면과 동일한 구성 및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의 정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자수기의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닫혀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는 본 고안에 의한 자수기의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열려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커버(40)는 침봉케이스(4)의 바늘(41)수 만큼 있는 실체기 커버(46)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진다.
도7는 본 고안에 의한 자수기의 안전커버가 장착된 침봉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안전커버(40)가 침봉케이스(4)에 장착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한다. 즉 상기 침봉케이스(4)의 정면에 위치한 실채기 레버 가이드(47) 좌측 가장자리에 실채기 레버 가이드 고정나사(409)를 이용해 힌지(403)를 상기 실채기 레버 가이드(47)에 고정시킨다. 상기 힌지(403)의 상하 구멍을 통해 와셔(411)가 장착된 커버 고정막대(412)를 이용해 안전커버(40)를 상기 힌지(403)와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안전커버(40)는 상기 힌지(403)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커버(40)를 열을 경우 도6에서와 같이 안전커버(40)의 표면 굴곡 구조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 까지만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8은 상기 안전커버(40)가 닫힌 상태에서 자립 유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침봉케이스(4)의 정면에 위치한 실채기 레버 가이드(47) 우측 가장자리에 실채기 레버 가이드 고정나사(410)를 이용해 쿠션 고무(408)가 후면에 부착되어진 자석 고정 홀더(405)를 상기 실채기 레버 가이드(47) 우측에 고정시킨다. 상기 실채기 레버 고정나사(410)는 금속재질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커버(40)의 내측에 2개의 자석(404)을 상기 자석 고정 홀더(405)의 구멍과 일치시키게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상기 실채기 레버 고정나사(410)를 상기 자석(404)과 만나도록 일정한 거리에 조립함으로써 상기안전커버(4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자석(404)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안전커버(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석 고정 홀더(405)를 상기 실채기 레버 가이드(47)에 고정함으로써 자석(404)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실채기 레버 가이드(47)와 접촉하는 상기 자석 고정 홀더(405)의 뒷면에 쿠션 고무(408)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안전커버(40)를 닫을 경우 안전커버가 실채기 레버 가이드(47)와 부딪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안전커버(40)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으로 부터 다양한 변경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는 침봉케이스의 실채기 레버 가이드 전면부에 안전커버를 장착하여 자수기 동작시 실채기 레버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한 자수사의 과도한 흔들림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흔들림에 의하여 자수사가 옆칸의 실채기 레버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균일하고 정밀한 자수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실체기 레버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위해 발생 부분에 대한 예측을 하고 분석하여 제조물책임법상 설계 결함항목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를 장착하여 종래의 다두식 자수기에서는 볼 수 없었던 진보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서 자수기의 상품성을 높여 구매자로 하여금 디자인 측면에서 구매의욕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수사를 장착하는 다수의 실걸이;
    상기 실걸이 하부에 위치하여 자수사의 장력을 조절하는 다수의 독립조정대;
    상기 독립조정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수사가 자수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꿰매도록 하는 다수의 바늘과 다수의 실채기 레버를 구비한 다수의 침봉케이스;
    를 포함하는 다두식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침봉케이스의 실채기 레버 전면에 안전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석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가 닫히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쿠션고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는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열고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KR20-2003-0025428U 2003-08-07 2003-08-07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KR200333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428U KR200333605Y1 (ko) 2003-08-07 2003-08-07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428U KR200333605Y1 (ko) 2003-08-07 2003-08-07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506A Division KR20050015602A (ko) 2003-08-07 2003-08-07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605Y1 true KR200333605Y1 (ko) 2003-11-17

Family

ID=4941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428U KR200333605Y1 (ko) 2003-08-07 2003-08-07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6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551B1 (ko)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구동 구조
JP4376207B2 (ja) 刺繍枠支持装置
JP5532979B2 (ja) 多針式ミシン
US6067919A (en) Needle threading device used in sewing machine
US8893631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KR200333605Y1 (ko)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JP2022057873A (ja) 刺繍枠及びミシン
KR20050015602A (ko) 침봉케이스에 안전커버가 장착된 다두식 자수기
US9739000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US8250998B2 (en)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auxiliary table
KR100408143B1 (ko) 미싱
KR200298706Y1 (ko) 실안내 스프링이 장착된 다두형 자동 자수기
JP2576546Y2 (ja) 多針ミシンにおける上糸案内装置
JPH09140971A (ja) ミシン
KR100497745B1 (ko) 조작 판넬 위치조절 링크장치를 구비한 자수기 및 다두식자수기
JP2004242980A (ja) ミシン及び糸立装置
KR100497746B1 (ko) 독립조정대에 힌지를 장착한 자수기 및 다두식 자수기
KR101658653B1 (ko) 자수기의 실 장력 조절장치
JP2015048538A (ja) 刺繍枠及びミシン
KR200333607Y1 (ko) 독립조정대에 힌지를 장착한 자수기 및 다두식 자수기
JP3593606B2 (ja) 糸繰り装置付ミシン
JPH06312073A (ja) 多針刺繍ミシンの糸立台構造
KR200333606Y1 (ko) 조작 판넬 위치조절 링크장치를 구비한 자수기 및 다두식자수기
JP3744890B2 (ja) ミシン
JP2958947B2 (ja) 刺繍ミシン用帽子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