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017A - 헤드폰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017A
KR20130125017A KR1020120048383A KR20120048383A KR20130125017A KR 20130125017 A KR20130125017 A KR 20130125017A KR 1020120048383 A KR1020120048383 A KR 1020120048383A KR 20120048383 A KR20120048383 A KR 20120048383A KR 20130125017 A KR20130125017 A KR 2013012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odule
speaker
unit
us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3675B1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2004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67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헤드폰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밴드부; 상기 헤드밴드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상기 우측 프레임에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피커 모듈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청각기관 중 어느 하나에 대면하는 제1 스피커; 디지털 음원을 재생하는 음향회로부; 외부 메모리 장치가 수납되는 메모리수납부; 및 상기 메모리수납부를 개폐하는 제1 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청각기관 중 다른 하나에 대면하는 제2 스피커; 상기 음향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수납부를 개폐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은 상기 좌측 프레임, 상기 우측 프레임 및 상기 헤드밴드부의 내부에 매설된 전력 및 통신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헤드폰 장치{HEADPHONE DEVICE}
본 발명은 헤드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자체 음향 플레이어가 구비된 헤드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음향 플레이어는 메모리 소자에 기억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고, 재생되는 음향을 충분한 아날로그 사운드로 감상하기 위해 음향 플레이어 본체에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연결하여 청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음향 플레이어는 사운드를 청취할 때 플레이어 본체를 소지한 상태에서 플레이어 본체와 연결된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착용하여야 하므로, 플레이어 본체와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헤드폰 또는 이어폰이 연결 케이블을 통해 플레이어 본체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그 연결 케이블이 팔이나 소지품에 걸리게 되어 휴대시 행동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향 플레이어 본체와 헤드폰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헤드폰 자체에 음향 플레이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헤드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향 플레이어를 헤드폰에 설치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향을 청취할 때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좌우 스피커 양측의 무게를 인체공학적으로 균형있게 배치한 헤드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밴드부; 상기 헤드밴드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상기 우측 프레임에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피커 모듈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청각기관 중 어느 하나에 대면하는 제1 스피커; 디지털 음원을 재생하는 음향회로부; 외부 메모리 장치가 수납되는 메모리수납부; 및 상기 메모리수납부를 개폐하는 제1 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청각기관 중 다른 하나에 대면하는 제2 스피커; 상기 음향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수납부를 개폐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은 상기 좌측 프레임, 상기 우측 프레임 및 상기 헤드밴드부의 내부에 매설된 전력 및 통신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상기 우측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 중 어느 하나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의 양단이 상기 음향회로부 및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음향회로부는, 제어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해독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 의해 해독된 음원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음향회로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이 설치된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상기 우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장치는, 음향 플레이어가 헤드폰 자체에 내장 및 설치되어 있으므로 휴대 및 착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우 양측의 스피커 모듈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구조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된다. 더구나, 좌우 양측의 스피커 모듈은 각각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요소들이 적절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불편함이 야기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피커 모듈이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스피커 모듈이 회동부를 통해 우측 프레임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장치에 구비된 제1 스피커 모듈 및 제2 스피커 모듈의 음향 재생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회도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밴드부(100), 이 헤드밴드부(100)의 양단에 각각 우측 프레임(110) 및 좌측 프레임(120), 우측 및 좌측 프레임(110, 120)에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130, 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밴드부(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때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130, 14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스피커(131, 141)가 각각 사용자의 청각기관(즉, 귀)에 대면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우측 및 좌측 프레임(110, 120)이 헤드밴드부(120)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구조에 따라 제1 및 제2 스피커(131, 1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우측 및 좌측 프레임(110, 120)은 그 일단이 헤드밴드부(100)에 내삽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내삽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밴드부(100)는 소정의 외력에 의해 접히거나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고무재질 및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밴드부(100)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동을 통해 후술할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이 매설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피커 모듈(130)은, 사용자의 청각기관 중 어느 하나에 대면하는 제1 스피커(131), 디지털 음원을 재생하는 음향회로부(도 3의 134 참조), 외부 메모리 장치가 수납되는 메모리수납부(133), 그리고 메모리수납부(133)를 개폐하는 제1 커버(13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피커(131)는 음향회로부에서 재생된 음향이 방출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이기 위하여 그 외주변이 스폰지 등과 같이 쿠션 및 방음기능이 있는 재질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메모리 장치가 수납될 수 있는 메모리수납부(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소켓(예컨대, USB 소켓; 135)에 메모리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장치가 수납된 경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커버(13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커버(132)는 소정의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제1 스피커 모듈(130)이 설치된 우측 프레임(110)의 일측에 마련된 릴리즈/락 버튼(116)에 의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스피커 모듈(140)은, 사용자의 청각기관 중 다른 하나에 대면하는 제2 스피커(141), 음향회로부(134)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4)가 수납되는 배터리수납부(143), 그리고 배터리수납부(143)를 개폐하는 제2 커버(14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피커(141)의 구성은 제1 스피커(131)와 동일하며, 또한 제2 커버(142)의 구성도 제1 커버(132)와 동일하다. 여기서, 제2 커버(142)는 좌측 프레임(120)에 마련된 릴리즈/락 버튼(126)에 의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수납부(144)에 장착되는 배터리(144)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술한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130, 140)은 각각 우측 또는 좌측 프레임(110, 1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에서 보듯이, 제1 스피커 모듈(130)은 한쌍의 회동부(112)에 의해 우측 프레임(1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특히, 회동부(112)는 그 내부에 공동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동을 관통하여 전력 및 통신 케이블(150)이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력 및 통신 케이블(150)은 제1 스피커 모듈(130)과 제2 스피커 모듈(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제2 스피커 모듈(140)에 장착된 배터리(144)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스피커 모듈(130)에 설치된 음향회로부(134)에 전달하고, 또한 음향회로부(134)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제2 스피커(141)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전력 및 통신 케이블(150)은, 회동부(112), 우측 프레임(110), 헤드밴드부(100), 좌측 프레임(120), 회동부(122) 각각의 내부를 관통하여 매설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스피커 모듈(130) 및 제2 스피커 모듈(140)이 전력 및 통신 케이블(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통해 제1 스피커 모듈(130) 및 제2 스피커 모듈(140)로 구성되는 음향 재생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음향회로부(134)는, 제어부와, 외부 메모리 장치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외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해독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 의해 해독된 음원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코더는 외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해독하여 D/A 변환부에 제공하며, D/A 변환부는 수신된 해독 데이터를 기초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렇게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가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에서 증폭되어 재생된다. 특히, 디코더는 외부 메모리 장치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음원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따라 MP3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프로그램 메모리로서, 조작부(114)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을 적절히 제어한다. 여기서 조작부(114)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제1 스피커 모듈(130)이 설치된 우측 프레임(110)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지시는 전력 및 통신 케이블(150)에 의해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피커 모듈(140)에 장착된 배터리(144)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은 전력 및 통신 케이블(150)에 의해 음향회로부(134)에 전달될 수 있다. 배터리(144)로는 휴대 및 교환이 용이한 일반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커 모듈(130)에 장착되는 외부 메모리 장치로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MMC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USB 프로토콜을 이용한 USB 메모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는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적합한 소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장치는, 음향 플레이어가 헤드폰 자체에 내장 및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음향 청취시 휴대 및 착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좌우 양측의 스피커 모듈은 각 프레임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구조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된다. 더구나, 좌우 양측의 스피커 모듈은 각각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요소들이 적절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불편함이 야기되지 않는다. 나아가, 외부 메모리 장치 및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밴드부;
    상기 헤드밴드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상기 우측 프레임에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피커 모듈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청각기관 중 어느 하나에 대면하는 제1 스피커; 디지털 음원을 재생하는 음향회로부; 외부 메모리 장치가 수납되는 메모리수납부; 및 상기 메모리수납부를 개폐하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청각기관 중 다른 하나에 대면하는 제2 스피커; 상기 음향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수납부를 개폐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은 상기 좌측 프레임, 상기 우측 프레임 및 상기 헤드밴드부의 내부에 매설된 전력 및 통신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상기 우측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 중 어느 하나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력 및 통신 케이블의 양단이 상기 음향회로부 및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회로부는, 제어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해독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 의해 해독된 음원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음향회로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이 설치된 상기 좌측 프레임 및 상기 우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장치.
KR1020120048383A 2012-05-08 2012-05-08 헤드폰 장치 KR101393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383A KR101393675B1 (ko) 2012-05-08 2012-05-08 헤드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383A KR101393675B1 (ko) 2012-05-08 2012-05-08 헤드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017A true KR20130125017A (ko) 2013-11-18
KR101393675B1 KR101393675B1 (ko) 2014-05-13

Family

ID=4985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383A KR101393675B1 (ko) 2012-05-08 2012-05-08 헤드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90B1 (ko) * 2014-08-14 2015-04-07 박찬희 귀마개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626B1 (ko) * 2016-12-16 2018-12-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헤드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056A (ja) * 2000-08-24 2002-03-15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音楽再生装置
KR20040043272A (ko) * 2002-11-18 2004-05-24 임정태 착탈가능한 저장장치를 구비한 헤드셋
KR100730737B1 (ko) * 2006-05-17 2007-06-21 김성호 골전도 헤드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990B1 (ko) * 2014-08-14 2015-04-07 박찬희 귀마개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675B1 (ko)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428B1 (ko) 선택형 스테레오 헤드 셋 장치
EP3035699B1 (en) Headphone-type acoustic device
US8654987B2 (en) Audio player headset earhook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8094858B2 (en) Eyewear retention device
US11303985B2 (en) Electronic device
US20020003889A1 (en) Headphone device with improved controls and/or removable memory
JP2008536443A (ja) マルチモード音声再生装置
JP2012182553A (ja) 再生装置、オーディオデータ補正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18501506A (ja) ディクテーション装置のための操作デバイス
KR101393675B1 (ko) 헤드폰 장치
JP2013038671A (ja) ヘッドホン収納装置
US20100193221A1 (en) Cable management device, audio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cables
KR101353588B1 (ko) 헤드폰 조립체
KR200438262Y1 (ko) 엠피쓰리 장치
JP3133760U (ja) 拡張機能付きヘッドホン
JP2006295489A (ja) 携帯用音楽再生機器
KR20010048285A (ko) 헤드폰형 디지털오디오
KR101311160B1 (ko) 스피커가 내장된 의류
JP3155362U (ja) ヘッドホン
KR200461321Y1 (ko)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CN210840015U (zh) 一种多功能可拆卸音频设备
JP2001100794A (ja) ヘッドホン型半導体メモリプレーヤ
JP3782017B2 (ja) マイクロホン装置
JP3196657U (ja) ヘッドホン
KR101207481B1 (ko) 헤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