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21Y1 -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21Y1
KR200461321Y1 KR2020100009448U KR20100009448U KR200461321Y1 KR 200461321 Y1 KR200461321 Y1 KR 200461321Y1 KR 2020100009448 U KR2020100009448 U KR 2020100009448U KR 20100009448 U KR20100009448 U KR 20100009448U KR 200461321 Y1 KR200461321 Y1 KR 200461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arphone
sound
wir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980U (ko
Inventor
배용구
김남우
Original Assignee
(주)크리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리노바 filed Critical (주)크리노바
Priority to KR2020100009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2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메인 벨트에 장착되고, 음향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를 출력하고, 방수처리가 된 한 쌍의 스피커; 상기 메인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음향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 상기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 중 일측으로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환스위치; 상기 전환스위치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어폰과 상기 스피커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측으로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메인 벨트 중 상기 스피커가 구비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벨트를 가방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음향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음향장치 포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스피커와 이어폰 중 선택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가방에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를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야외활동시 보다 편리하게 음향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Portable audio equipment set}
본 고안은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 또는 야외활동시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향장치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런 휴대용 음향장치 중에는 미니카세트, CD플레이어 및 MP3플레이어 등이 있으며, 이들 휴대용 음향장치는 저장된 음향메시지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휴대용 음향장치는 음향기기를 통해 출력된다. 음향기기는 변환된 전기적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주 5일 근무제가 실시되고 있는 요즘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다양한 음향기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음향기기로는 이어폰과, 스피커가 있다. 이어폰과 스피커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특히 스피커의 경우 야외활동을 위한 휴대용 스피커가 다수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휴대용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휴대용 음향장치에는 별도의 스피커가 없거나 있는 경우에도 그 출력이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수준에 못미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휴대용 스피커의 경우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활동에 장애가 되기 때문에 운동시 적합하지 않고, 포함한 야외활동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이어폰을 사용하는데 이어폰은 장시간 착용시 난청을 유발하는 등 청각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야외활동에서 발생하는 땀에 의해 이어폰 착용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등 휴대용 음향기기의 사용 편의성과 관련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방에 탈부착 가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음향을 출력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메인 벨트에 장착되고, 음향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를 출력하고, 방수처리가 된 한 쌍의 스피커; 상기 메인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음향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 상기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 중 일측으로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환스위치; 상기 전환스위치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어폰과 상기 스피커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측으로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메인 벨트 중 상기 스피커가 구비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벨트를 가방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음향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음향장치 포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벨트에 고정되어, 중앙에 상기 이어폰의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는 제 1 부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의 전선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재와 선택적으로 접함으로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에 상기 이어폰의 전선이 원형으로 감긴 상태로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전선롤링부; 상기 보관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수개의 톱니가 그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원통형상의 고정톱니; 상기 고정톱니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톱니가 일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고정톱니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관공간으로 상기 전선이 감기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전선롤링부에 구비되고, 그 중단 일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그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톱니에 걸어져 상기 고정톱니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스위치; 상기 고정스위치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선단과 상기 전선롤링부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톱니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스위치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선단의 반대쪽 말단에는 상기 고정스위치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푸쉬돌기가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벨트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이어폰이 삽입되는 고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을 고정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에 의하면, 고정수단에 의해 손쉽게 가방에 탈부착 가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어폰 또는 스피커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어 주변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알맞게 음향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음향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음향장치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환스위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선롤링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선롤링부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음향장치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음향장치의 구성이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환스위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선롤링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100)의 골격은 메인 벨트(1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 벨트(110)는 천재질로 형성되어, 대략 'U'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벨트(110)는 방수 기능을 가진 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메인 벨트(110)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수분에 의해 합선이 일어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인 벨트(110)에는 스피커포켓(120)이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포켓(120)은 후술할 스피커(125)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상기 스피커포켓(120)에는 스피커(125)의 음향이 외부로 잘 전달되도록 매쉬부(120a)가 형성된다. 상기 매쉬부(120a)는 격자무늬의 그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매쉬부(120a)의 관통된 부분을 통해 스피커(125)의 음향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스피커포켓(120)은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스피커포켓(120)에는 스피커(125)가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125)는 후술할 컨트롤러(145)와 연결되어 음향장치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재생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스피커(125)는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고무패킹으로 틈새를 막는것과 같은 방수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동 등의 야외활동시 갑작스러운 호우로 인해 오작동 및 작동불량의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피커(125)가 한쌍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 벨트(110)에서 상기 스피커포켓(125)의 상측에는 이어폰(130)이 구비된다. 상기 이어폰(130)은 상기 스피커(125)와 같이 음향장치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재생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이어폰(130)은 상기 스피커(125)와 달리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사용자 혼자만이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어폰(130)은 전선(L)으로 후술할 컨트롤러(14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벨트(110)에는 홀더(135)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135)는 상기 이어폰(130)을 고정시키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3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홀더(135)에 상기 이어폰(130)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135)의 내부에는 상기 이어폰(130)의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간(135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간(135a)은 상기 이어폰(130)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이어폰(130)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벨트(110)에는 컨트롤러 포켓(14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 포켓(140)은 후술할 컨트롤러(145)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매쉬부(140a)가 구비된다. 상기 매쉬부(140a)를 통해 컨트롤러(145)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 포켓(140)에는 컨트롤러(145)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145)는 상기 스피커(125)와 상기 이어폰(130)의 음향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스피커(125)의 증폭을 위한 앰프(AMP)(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앰프는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45)에는 상기 스피커(125)의 동작을 위한 전력원(도시되지 않음)이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전력원으로는 소형 건전지, 충전지 등 전력을 저장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상기 전력원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러(145)는 음향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음향장치는 mp3 플레이어, 미니라디오 등 음원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를 말한다. 상기 음향장치와 상기 컨트롤러(145)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145)를 통해 상기 스피커(125) 및 상기 이어폰(130)이 연결되어 음향출력이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러(145)는 상기 스피커(125) 및 상기 이어폰(130) 중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역할도 한다. 즉, 사용자가 야외에서 사용하거나 이어폰(130)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125)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실내 및 공공장소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30)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만 출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는 사용자가 할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에 의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스위치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를 전환스위치(160)라 하겠다. 상기 전환스위치(160)는 일반적인 푸쉬록(Push-Lock) 스위치, 로터리(Rotary) 스위치, 시소(See-Saw) 스위치 등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전환스위치(160)의 구성을 달리하였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전환스위치(16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전환스위치(160)는 제 1 및 제 2 부재(161,16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61,163)는 도전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부재는 상기 메인 벨트(110)에서 상기 전선(L)의 이동경로 상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부재(163)는 상기 이어폰(130)의 전선(L)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130)이 사용자의 귀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상기 전선(L)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선(L)은 평상시에 후술할 전선롤링부(165)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30)의 사용시 상기 전선(L)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어폰(130)을 귀 부분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 즉 상기 전선(L)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해 잡아 당겨질 때, 상기 전선(L)에 고정된 상기 제 2 부재(163)는 상기 전선(L)과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전선(L)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상기 제 1 부재(161)와 상기 제 2 부재(163)가 접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61,163)는 각각 상기 컨트롤러(145)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61,163)가 접하였을 때,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가 스위치 역할을 하여 상기 컨트롤러(145)는 상기 음향장치에서 송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이어폰(13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61,163)가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145)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스피커(125)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부재(161)의 중앙에는 상기 제 2 부재(163)가 연결된 상기 이어폰(130)의 전선(L)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161a)이 형성된다.
상기 전환스위치(160)에 의해 사용자는 주변 상황 및 현재 조건에 알맞도록 상기 스피커(125)와 상기 이어폰(130)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선롤링부(165)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롤링부(165)에는 상기 전선(L)이 원형으로 감긴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보관공간(165a)이 형성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보관공간(165a)에는 탄성부재(166)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66)는 상기 전선(L)이 일정량 감긴 상태에서는 탄성력을 제공하지 않으나, 사용자가 상기 전선(L)을 잡아당길 경우 상기 전선(L)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전선(L)을 잡아당기면 다시 감길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166)는 태엽스프링, 나사선형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관공간(165a)에는 고정톱니(167)가 그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톱니(167)는 그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톱니가 돌출되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톱니(167)는 상기 전선(L)이 풀리면서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후술할 고정스위치(169)와 함께 상기 전선(L)의 풀림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69는 고정스위치이다. 상기 고정스위치(169)는 상기 고정톱니(167)와 함께 상기 전선(L)의 풀림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스위치(169)는 상기 전선롤링부(165)의 내면에 그 중단 일정부분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중심이되는 부분을 중심축(169c)이라 하겠다. 즉, 상기 고정스위치(169)는 상기 중심축(169c)을 중심으로 시소와 같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스위치(169)의 선단에는 고정돌기(169b)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69b)는 상기 고정톱니(167)의 톱니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고정톱니(167)가 상기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고정된다.
상기 고정스위치(169)는 상기 전선(L)이 잡아 당겨지면서 일정량 풀어진 상태, 즉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풀리게 되면 상기 전선(L)이 다시 감기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30)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스위치(169)에서 상기 고정돌기(169b)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말단에는 푸쉬돌기(169a)가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푸쉬돌기(169a)는 상기 고정스위치(169)의 조작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전선롤링부(165)가 상기 메인벨트(11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메인벨트(110)의 밖으로 소정량 돌출된다.
도면부호 S는 지지부재이다. 상기 지지부재(S)는 상기 고정스위치(169)에서 상기 고정돌기(169b)가 형성된 선단과 상기 전선롤링부(165)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걸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활하게 이어폰(13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선(L)이 일정길이 풀어진 상태에서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안정적으로 걸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S)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걸어진 상태가 해제된 후에도 다시 상기 지지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걸어지도록 복원된다. 이 과정은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스위치(169)의 사용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사용자는 상기 푸쉬돌기(169a)를 눌러 상기 고정스위치(169)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푸쉬돌기(169a)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중심축(169c)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S)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서 걸어지지 않게되어, 상기 고정톱니(167)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상기 푸쉬돌기(169a)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지지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걸어지고, 다시 상기 고정톱니(167)는 고정된다.
도면부호 150은 고정수단이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메인 벨트(110)를 가방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백팩(Back-Pack) 형태의 가방의 어께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에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100)가 고정됨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끈 구조, 벨트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수단(150)으로 벨크로(150)(Velcro)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겠다. 상기 벨크로(150)는 가방(도시되지 않음)의 끈부분에 접착되어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100)가 상기 가방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벨크로(15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면부호 200은 음향장치 포켓이다. 상기 음향장치 포켓(200)은 음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보호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것으로 상기 메인 벨트(110)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의 사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러(145)와 음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음향장치는 상기 음향장치 포켓(200)에 넣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상기 메인 벨트(110)를 사용자의 백팩의 어께 끈부분에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메인 벨트(110)의 벨크로(150)에 의해 상기 메인 벨트(110)는 상기 백팩의 어께 끈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백팩의 재질에 따라 상기 벨크로(150)가 장착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벨크로(150)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부드러운 천을 상기 백팩의 어께 끈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야외활동시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100)의 상기 이어폰(130)과 상기 스피커(125) 중 출력을 원하는 구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초기에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100)는 상기 스피커(125)로만 출력되도록 설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스피커(125)가 아닌 상기 이어폰(130)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130)을 잡아당긴다. 상기 이어폰(130)이 당겨지면 상기 이어폰(130)의 전선(L)과 연결된 제 1 부재(161)가 이동하게 되고,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부재(163) 와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61, 163)가 접촉하게 됨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신호를 인식한 컨트롤러(145)는 상기 이어폰(130)으로 전기적 신호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음향장치의 전기적 신호가 상기 이어폰(130)으로 전달되고,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130)을 통한 출력을 얻게 된다.
상기 이어폰(130)은 상기 전선롤링부(165)에 상기 전선(L)이 감겨진 상태에서 풀어지면서 사용된다. 상기 전선(L)은 상기 전선롤링부(165)에서 점진적으로 풀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선(L)이 풀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상기 고정톱니(167) 및 상기 고정스위치(169)에 의해 구현된다. 이 구현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30)을 잡아당겨 상기 전선(L)을 필요한 만큼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전선(L)이 풀어지면, 상기 고정톱니(167)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톱니(167)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스위치(169)의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순차적으로 걸어진다. 즉, 상기 고정톱니(167)의 각각의 톱니에 걸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톱니(167)의 지지부재(S)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의 톱니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가는 것이다.(도 5의 (b) 및 (c) 참조)
일정량 상기 전선(L)이 풀어진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톱니(167)는 상기 고정돌기(169b)에 걸어진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전선(L)은 상기 다시 감기지 않고 풀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전선(L)이 풀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톱니(167)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톱니(167)와 연결된 탄성부재(166)가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은 상기 고정톱니(167)의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톱니(167)는 상기 전선(L)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지만, 상기 고정스위치(169)가 상기 고정톱니(167)에 걸어짐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되면,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130)을 통해 음향출력을 얻게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상기 스피커(125)를 통해 출력되기를 원하는 때에는, 상기 고정톱니(167)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전선롤링부(165)의 푸쉬돌기(169a)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푸쉬돌기(169a)는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메인벨트(110)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푸쉬돌기(169a)에 힘을 가하여 상기 고정스위치(169)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고정스위치(169)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169b)가 상기 고정톱니(167)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고정톱니(167)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톱니(167)의 고정상태가 풀리게 되면, 상기 고정톱니(167)는 상기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선(L)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톱니(167)가 회전하면 상기 전선(L)이 상기 전선롤링부(165)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감기게 된다.
상기 전선(L)이 감기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부재(163)가 상기 전선(L)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부재(161)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고, 이때, 전기적 신호가 끊기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적 신호가 끊기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다시 상기 스피커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선(L)이 상기 전선롤링부(165)에 다시 감기면,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130)을 홀더에 삽입하여 상기 이어폰(130)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125) 또는 상기 이어폰(130)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야외활동시 편리하게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100)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100)를 간편하게 가방에 탈부착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110 : 메인 벨트
120 : 스피커 포켓 120a: 매쉬부
125 : 스피커 130 : 이어폰
135 : 홀더 140 : 컨트롤러 포켓
140a: 매쉬부 145 : 컨트롤러
150 : 고정부재 160 : 전환스위치
161 : 제 1 부재 163 : 제 2 부재
165 : 전선롤링부 166 : 탄성부재
167 : 고정톱니 169 : 고정스위치
200 : 음향장치 포켓 S : 지지부재
L : 전선

Claims (5)

  1. 메인 벨트에 장착되고, 음향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를 출력하고, 방수처리가 된 한 쌍의 스피커;
    상기 메인 벨트에 장착되고, 상기 음향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
    상기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 중 일측으로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환스위치;
    상기 전환스위치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어폰과 상기 스피커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측으로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메인 벨트 중 상기 스피커가 구비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벨트를 가방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상기 음향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음향장치 포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벨트에 고정되어, 중앙에 상기 이어폰의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는 제 1 부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의 전선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 1 부재와 선택적으로 접함으로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이어폰의 전선이 원형으로 감긴 상태로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전선롤링부;
    상기 보관공간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수개의 톱니가 그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원통형상의 고정톱니;
    상기 고정톱니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톱니가 일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고정톱니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보관공간으로 상기 전선이 감기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전선롤링부에 구비되고, 그 중단 일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그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톱니에 걸어져 상기 고정톱니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스위치;
    상기 고정스위치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선단과 상기 전선롤링부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톱니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위치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선단의 반대쪽 말단에는 상기 고정스위치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푸쉬돌기가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벨트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이어폰이 삽입되는 고정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을 고정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KR2020100009448U 2010-09-08 2010-09-08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KR200461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448U KR200461321Y1 (ko) 2010-09-08 2010-09-08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448U KR200461321Y1 (ko) 2010-09-08 2010-09-08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80U KR20120001980U (ko) 2012-03-16
KR200461321Y1 true KR200461321Y1 (ko) 2012-07-20

Family

ID=4617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448U KR200461321Y1 (ko) 2010-09-08 2010-09-08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2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221A (ja) 1977-03-24 1998-03-17 Andreas Pavel 携帯用ステレオ音楽等聴取装置
JP2008205742A (ja) 2007-02-19 2008-09-04 Shinohara Electric Co Ltd 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221A (ja) 1977-03-24 1998-03-17 Andreas Pavel 携帯用ステレオ音楽等聴取装置
JP2008205742A (ja) 2007-02-19 2008-09-04 Shinohara Electric Co Ltd 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80U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926B1 (ko) 넥밴드 및 헤드폰 겸용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
US8094858B2 (en) Eyewear retention device
US7248705B1 (en) Noise reducing headphones with sound conditioning
US8654987B2 (en) Audio player headset earhook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20090262967A1 (en) Wearable speaker vest/jacket
EP0803170A1 (en) Integral radio and infrared assistive listening device
US20230030946A1 (en) Headphone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based power switching
JP2003000343A (ja) リュックサック
JP2005340927A (ja) 自己発電機能付き携帯型ラジオ受信機
JP2013038671A (ja) ヘッドホン収納装置
KR200461321Y1 (ko) 휴대용 음향기기 세트
KR101755324B1 (ko) 다목적 넥밴드형 이어폰
KR101393675B1 (ko) 헤드폰 장치
KR200438262Y1 (ko) 엠피쓰리 장치
JP2010050667A (ja) ヘッドホン
JP7279330B2 (ja) 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セット
JP6118764B2 (ja) 音響装置
JP3244973U (ja) ラジオ付きスピーカー
JP3133760U (ja) 拡張機能付きヘッドホン
JP2005191768A (ja) 携帯用電子機器
CN210840015U (zh) 一种多功能可拆卸音频设备
CN212086452U (zh) 一种防脱落耳机
KR101207481B1 (ko) 헤드폰
KR200345512Y1 (ko)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KR101625300B1 (ko)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