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371A -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371A
KR20130124371A KR1020137023169A KR20137023169A KR20130124371A KR 20130124371 A KR20130124371 A KR 20130124371A KR 1020137023169 A KR1020137023169 A KR 1020137023169A KR 20137023169 A KR20137023169 A KR 20137023169A KR 20130124371 A KR20130124371 A KR 2013012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network
link device
field network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997B1 (ko
Inventor
요시아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217Configure communication protocol, select between sev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3Some peer nodes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수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와 송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송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진다.

Description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ENGINEERING TOOL AND PROGRAMMABLE CONTROLLER}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은 컨트롤러 네트워크와 필드 네트워크를 가진다. 컨트롤러 네트워크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 제어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 네트워크이다. 필드 네트워크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리모트 입출력 유니트 등의 필드 기기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 네트워크이다. 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상의 공유 메모리와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내부 메모리를 정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제어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현한다.
컨트롤러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상의 공유 메모리상에 각 노드의 송신 범위를 할당한다. 각 노드는 자(自)노드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의 에어리어에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체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타(他)노드의 송신 범위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의 에어리어를 참조함으로써, 타노드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필드 네트워크는 마스터로 되는 노드와 슬레이브로 되는 노드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이다. 슬레이브로 되는 노드의 종류로서는, 리모트 입출력 기기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등이 있다. 여기에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가 슬레이브로 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레이브로서 접속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마스터국에 대해서 로컬국이라고 칭한다. 마스터국은 공유 메모리상의, 각 로컬국 앞으로의 데이터 송신 에어리어에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기입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가 각 로컬국의 데이터 수신 에어리어에 격납되고,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각 로컬국은 각 노드에 할당된 공유 메모리상의 데이터 송신 에어리어에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기입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가 마스터의 각 로컬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에어리어에 격납되고, 마스터국은 각 로컬국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필드 네트워크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도, 제어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로 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사이는, 상기한 방법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에어리어가 다르다. 예를 들면,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A와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B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A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A의 데이터 송신 에어리어로서 할당된 에어리어에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기입한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B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A의 데이터 송신 에어리어를 참조함으로써,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A가 기입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필드 네트워크에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간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 마스터로 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는 경우와,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간끼리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는 경우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에어리어가 다르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5-21593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4-126817호 공보
컨트롤러 네트워크 및 필드 네트워크는, 어느 쪽이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 송신 에어리어, 수신 에어리어의 개념이 다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컨트롤러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필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치환하는 경우, 라다-프로그램의 유용이 어렵다.
또, 컨트롤러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에 익숙해진 유저가, 필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컨트롤러 네트워크와 필드 네트워크의 사양의 차이를 강하게 의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번잡하다.
예를 들면, 필드 네트워크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 마스터로 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와,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에어리어가 다르다. 이 때문에, 유저는 필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끼리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컨트롤러 네트워크와의 사양의 차이를 의식하여, 파라미터 설정 및 라다-프로그래밍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컨트롤러 네트워크와 필드 네트워크의 사양의 차이를 의식하지 않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수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와 송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송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필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트롤러간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링크 디바이스를 지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 네트워크와 필드 네트워크의 사양의 차이를 의식하지 않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자동 변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의 변환 법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 생성 법칙(마스터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 생성 법칙(로컬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4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엔지니어링 툴(400)의 내부 구성(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엔지니어링 툴(400)은,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마스터, 마스터국)와 복수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슬레이브, 로컬국)가 컨트롤러 네트워크 및 필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에 인스톨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엔지니어링 툴(400)을 사용하여 파라미터(예를 들면, 후술하는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를 생성하고, 생성한 파라미터를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기입한다.
엔지니어링 툴(400)은 제1 설정부(431), 생성부(생성 수단)(401), 제2 설정부(432) 및 전환부(전환 수단)(43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툴(400)이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었을 때에 정보 처리 장치 내에 생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이들 구성요소는 엔지니어링 툴(400)이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었을 때에 한 번에 각 구성요소가 생성되어도, 각 구성요소가 처리를 개시하는 타이밍으로 순서대로 생성되어도 된다.
제1 설정부(431)는 자기(自己)가 후술하는 제1 설정 모드인 상태에 있어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설정된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의 일부인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의 설정 지시를 수신한다. 또한, 제1 설정부(431)에 대해서, 유저가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를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제1 설정 모드라고 칭한다.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은, 예를 들면, 링크 릴레이 LB의 송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나, 링크 레지스터 LW의 송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1 설정부(431)는 제1 설정 모드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설정 지시에 따라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을 설정하여, 해당 설정한 설정 정보를 생성부(401)로 공급한다.
생성부(401)는 제1 설정부(431)가 제1 설정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설정부(431)에 의해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로서 설정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을 수신한다. 이어서, 생성부(401)는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을, 도 3에 도시된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으로 변환한다. 도 3에 도시된 변환 법칙은, 필드 네트워크의 마스터(마스터국)와 슬레이브(로컬국)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변환 법칙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변환 법칙은, 통신하는 2개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가 마스터-슬레이브의 관계인 경우와 슬레이브-슬레이브끼리의 관계인 경우에서 링크 디바이스의 지정 방법이 동일하게 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상기 생성부(401)에서 변환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은, 예를 들면, 수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와 송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송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수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리모트 입력 RX의 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나, 리모트 레지스터 RWr의 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송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송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리모트 출력 RY의 송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나, 리모트 레지스터 RWw의 송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생성부(401)는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을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의 일부로서 생성한다.
또, 생성부(401)는 제1 설정부(431)가 제1 설정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변환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을 이용하고,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생성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 디바이스를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한 파라미터인,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의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423)를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의 다른 일부로서 생성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생성 법칙은, 각각 필드 네트워크의 마스터(마스터국)와 슬레이브(로컬국)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생성 법칙이다. 즉,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생성 법칙은, 각각 통신하는 2개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가 마스터-슬레이브의 관계인 경우와 슬레이브-슬레이브끼리의 관계인 경우에서 링크 디바이스의 지정 방법이 마찬가지로 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생성 법칙은, 엔지니어링 툴(400)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마스터국)의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경우에 이용되고, 도 5에 도시된 생성 법칙은 엔지니어링 툴(400)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컬국)의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제2 설정부(432)는 자기가 후술하는 제2 설정 모드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의 설정 지시를 수신한다. 또한, 제2 설정부(432)에 대해서, 유저가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를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제2 설정 모드라고 칭한다. 제2 설정부(432)는 제2 설정 모드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설정 지시에 따라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를 설정하고, 그 설정 정보를 생성부(401)로 공급한다.
이것에 따라서 생성부(401)는 제2 설정 모드에 있어서, 제2 설정부(432)에 의해 설정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를 수신하여 유지한다. 이 예시에서, 생성부(401)가 수신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는,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로서 유저에 의해서 미리 입력된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그대로 이용해도 좋다.
전환부(433)는 제1 설정부(431)와 제2 설정부(432)를 전환함으로써, 제1 설정 모드와 제2 설정 모드를 전환한다. 제1 설정 모드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에 의한 설정 모드로서, 제1 설정부(431)에 의해, 유저로부터의 설정 지시에 따라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가 설정되는 모드이다. 제2 설정 모드는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에 의한 설정 모드로서, 제2 설정부(432)에 의해 유저로부터의 설정 지시에 따라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가 설정되는 모드이다. 이들 2개의 모드는, 엔지니어링 툴(400)을 사용하여(전환부(433)가 유저로부터의 변환 지시를 유저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유저가 임의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엔지니어링 툴(400)의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에 의한 설정 모드(제1 설정 모드)에서,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로서 설정하고, 엔지니어링 툴(400)에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로 변환된 파라미터는, 엔지니어링 툴(400)을 사용하여, 재차,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로 변환할 수 있다.
또, 유저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부터 판독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에 대해서, 전환부(433)에 의해, 제1 설정 모드, 제2 설정 모드를 임의로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4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4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엔지니어링 툴(400)이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부(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컨트롤러 네트워크용의 파라미터 설정 방식을 사용할지 여부를 묻는 다이얼로그 화면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엔지니어링 툴(400)은 정보 처리 장치의 입력부(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를 통하여, 컨트롤러 네트워크용의 파라미터 설정 방식을 사용한다는 지시를 수신한 경우(스텝 S1로 「예」), 처리를 스텝 S2로 진행한다. 엔지니어링 툴(400)은 정보 처리 장치의 입력부를 통하여, 컨트롤러 네트워크용의 파라미터 설정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지시를 수신한 경우(스텝 S1로 「아니오」), 처리를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엔지니어링 툴(400)이 유저가 「컨트롤러 네트워크용의 파라미터 설정 방식을 사용함」을 선택한 것을 인식함과 아울러, 그 인식 내용을 전환부(433)로 통지한다. 전환부(433)는 그 통지에 따라서 현재의 설정 모드가 제1 설정 모드이면 그대로 하고, 현재의 설정 모드가 다른 설정 모드(예를 들면, 제2 설정 모드)이면 현재의 설정 모드로부터 제1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전환부(433)는 현재의 설정 모드가 제1 설정 모드로 되어 있는 것을 제1 설정부(431)로 통지한다.
스텝 S3에서는, 제1 설정부(431)가 제1 설정 모드로 되어 있다는 통지에 따라서 유저로부터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설정부(431)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의 설정 지시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제1 설정부(431)는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의 설정 지시를 수신한다.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은 예를 들면, 링크 릴레이 LB의 송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나, 링크 레지스터 LW의 송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1 설정부(431)는 유저로부터의 설정 지시에 따라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을 설정하고, 그 설정 정보를 생성부(401)로 공급한다.
스텝 S4에서는, 생성부(401)가 제1 설정부(431)에 의해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11)로서 설정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을 수신한다. 생성부(401)는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12)을, 도 3에 도시된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으로 변환(자동 변환)한다.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은, 예를 들면, 수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와 송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송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수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리모트 입력 RX의 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나, 리모트 레지스터 RWr의 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송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송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리모트 출력 RY의 송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나, 리모트 레지스터 RWw의 송신 에어리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생성부(401)는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을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의 일부로서 생성한다.
또, 생성부(401)는 생성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을 이용하고,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생성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 디바이스를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한 파라미터인,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의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423)를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의 다른 일부로서 생성한다.
스텝 S5에서는, 엔지니어링 툴(400)이 유저가 「필드 네트워크용의 파라미터 설정 방식을 사용함」을 선택한 것을 인식함과 아울러, 그 인식 내용을 전환부(433)로 통지한다. 전환부(433)는 그 통지에 따라서 현재의 설정 모드가 제2 설정 모드이면 그대로 하고, 현재의 설정 모드가 다른 설정 모드(예를 들면, 제1 설정 모드)이면 현재의 설정 모드로부터 제2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전환부(433)는 현재의 설정 모드가 제2 설정 모드로 되어 있다는 것을 제1 설정부(431)로 통지한다.
스텝 S6에서는, 제2 설정부(432)가 제2 설정 모드로 되어 있는 것의 통지에 따라서 유저로부터,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설정부(432)는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의 설정 지시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제2 설정부(432)는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422)의 설정 지시를 수신한다. 혹은, 예를 들면, 제2 설정부(432)는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의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423)의 설정 지시를 수신한다. 제2 설정부(432)는 유저로부터의 설정 지시에 따라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를 설정하고, 그 설정 정보를 생성부(401)에 공급한다.
이것에 따라서 생성부(401)는 제2 설정부(432)에 의해 설정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를 수신한다. 생성부(401)는 수신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를 그대로 이용해도 좋다.
스텝 S7에서는, 생성부(401)가 생성한(또는 그대로 이용하는)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와 그 기입 명령을,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 송신한다.
스텝 S8에서는,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가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와 그 기입 명령을 통신 회선을 경유해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의 소정 에어리어에 기입한다. 이것에 의해,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421)가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기입된다.
다음으로, 엔지니어링 툴(400)의 생성부(40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자동 변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를, 엔지니어링 툴의 파라미터 자동 변환 기능이,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로 변환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국번 0(마스터국)(301), 국번 α(로컬국)(311), 국번 β(로컬국)(321)의, 3국 구성의 예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국번 0을 마스터국으로 하고 있지만, 마스터국은 국번 0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로컬국인 국번 α, 국번 β에 대해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의 기준으로 될 수 있는 국번이면 좋다.
여기서, 0<α<β로 한다. 국번 0(마스터국)(301)은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302~304), 필드 네트워크의 수신 에어리어(305, 306), 송신 에어리어(307, 308)를 가진다. 국번 α(로컬국)(311)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316~318), 필드 네트워크의 수신 에어리어(312, 313), 송신 에어리어(314, 315)를 가진다. 국번 β(로컬국)(321)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326~328), 필드 네트워크의 수신 에어리어(322, 323), 송신 에어리어(324, 325)를 가진다.
국번 0(마스터국)(30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변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가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로서, 네트워크상의 각 노드의 송신 범위를 정하기 위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을 설정한다. 도 2의 3국 구성의 예에 있어서, 국번 0의 송신 에어리어(302), 국번 α의 송신 에어리어(303), 국번 β의 송신 에어리어(304)를 설정했다고 한다. 엔지니어링 툴(400)은 설정된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도 3에 도시된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인, 링크 디바이스의 범위 할당의 파라미터로 변환한다. 또한, 엔지니어링 툴(400)은 링크 디바이스의 범위 할당의 파라미터를 이용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생성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 디바이스를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한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국번 α(로컬국)(31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변환 방법에 대해서 상술한다. 엔지니어링 툴(400)은 국번 0(마스터국)(301)에 설정된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도 5에 도시된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 디바이스를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한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국번 β(로컬국)(32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변환 방법에 대해서 상술한다. 국번 α(로컬국)(311)와 마찬가지로, 엔지니어링 툴(400)은 국번 0(마스터국)(301)에 설정된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를 기초로, 도 5에 도시된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 디바이스를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한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파라미터 변환을 사용했을 경우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행해질 때의 흐름에 대해서 상술한다.
국번 0(마스터국)(301)이 타국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술한다. 국번 0(마스터국)(301)이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송신 에어리어(302)에 데이터를 기입하면,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국번 α(로컬국)(311)로의 송신 에어리어(307)에 데이터를 기입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국번 α(로컬국)(311)는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수신 에어리어(312)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한 데이터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국번 0(마스터국)(301)용의 송신 에어리어(316)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국번 0(마스터국)(301)이 자국의 송신 에어리어(302)에 기입한 데이터는, 국번 α(로컬국)(311)가 국번 0(마스터국)(301)용의 송신 에어리어(316)에서 수신한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국번 0(마스터국)(301)이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송신 에어리어(302)에 기입한 데이터는, 국번 β(로컬국)(321)가 국번 0(마스터국)(301)용의 송신 에어리어(326)에서 수신한 것으로 된다.
국번α(로컬국)(311)가 타국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술한다. 국번 α(로컬국)(311)가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송신 에어리어(317)에 데이터를 기입하면,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국번 α(로컬국)(311)로부터의 송신 에어리어(314)에 데이터를 기입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국번 0(마스터국)(301)은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수신 에어리어(305)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한 데이터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국번 α(로컬국)(311)용의 송신 에어리어(303)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국번 α(로컬국)(311)가 자국의 송신 에어리어(317)에 기입한 데이터를, 국번 0(마스터국)(301)이 국번 α(로컬국) 용의 송신 에어리어(303)에서 수신한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국번 α(로컬국)(311)가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송신 에어리어(317)에 기입한 데이터는, 국번 β(로컬국)(321)가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국번 α(로컬국)(311)의 송신 에어리어(327)에서 수신한 것으로 된다.
국번 β(로컬국)(321)가 타국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술한다. 국번 β(로컬국)(321)가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송신 에어리어(328)에 데이터를 기입하면,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국번 β(로컬국)(321)로부터의 송신 에어리어(325)에 데이터를 기입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국번 0(마스터국)(301)은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수신 에어리어(306)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한 데이터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국번 β(로컬국)(321)용의 송신 에어리어(304)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국번 β(로컬국)(321)가 자국의 송신 에어리어(328)에 기입한 데이터를, 국번 0(마스터국)(301)이 국번 β(로컬국)(321)용의 송신 에어리어(304)에서 수신한 것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국번 β(로컬국)(321)가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송신 에어리어(328)에 기입한 데이터는, 국번 α(로컬국)(311)가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의 국번 β(로컬국)(321)용의 송신 에어리어(318)에서 수신한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자동 변환 기능에 의하면, 유저에 의해 컨트롤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의 송수신 에어리어로서 지정된 에어리어를, 필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의 송수신 에어리어에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변환이 행해져,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가 자동 생성된다. 즉, 컨트롤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의 송수신 에어리어로서 설정한 파라미터를, 마스터국으로 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마스터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서 서로 다른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파라미터의 변환을 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파라미터를 기입하는 엔지니어링 툴로, 링크 디바이스 LB/LW와 송신용/수신용 링크 디바이스 RWw/RWr의 관련지움을 행하고, 파라미터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유저가 필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트롤러간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링크 디바이스 LB/LW를 지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필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컨트롤러간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유저는 컨트롤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파라미터 설정, 프로그래밍을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컨트롤러 네트워크와 필드 네트워크의 사양의 차이를 의식하지 않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측에서의 펌 웨어의 변경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엔지니어링 툴의 버전 업만으로, 상기 기능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저에 의해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로서 새로 설정된 파라미터는, 엔지니어링 툴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또는 갱신하여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의 추가·변경 등에 의해, 필드 네트워크로서 관리하게 되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자동 변환 기능에 의하면, 생성된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스터국으로 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마스터국 이외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서 서로 다른 생성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 디바이스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한 파라미터인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즉,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과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의 2개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유저는 시퀀서 CPU 디바이스에 의해서, 컨트롤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의 송수신 에어리어를 지정함으로써,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401)는 도 1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로 변환한 후에, 다시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로 재변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 네트워크로서 관리하게 되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생성부(501)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내에 편입(incorporate)해도 된다. 이 경우의 구성예를 도 7에 나타낸다. 이 경우, 엔지니어링 툴(500)의 제1 설정부(531)에서 수신한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11)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510)의 생성부(501)에 공급한다. 생성부(501)는 공급된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11)를,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로 변환한다. 여기서, 생성부(501)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510)에 가지는 경우,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로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522)과 링크 디바이스와 내부 메모리의 전송용 파라미터(523)를 생성한다.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522)의 변환 법칙은 도 3에 제시된 식과 동일하다. 또, 링크 디바이스와 내부 메모리의 전송용 파라미터(523)의 변환 법칙은, 도 4, 도 5에 도시된 식과 동일하다. 전환부(533)가 제1 설정 모드와 제2 설정 모드를 전환하는 점도 상기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생성부(501)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510)에 가지는 형태로 함으로써, 생성부(401)(도 1 참조)를 가지지 않는 엔지니어링 툴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내의 생성부(501)를 사용하여,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파라미터와 필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및 엔지니어링 툴(500)의 동작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점에서 실시 형태와 다르다.
스텝 S13에서는, 제1 설정부(531)가 스텝 S3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11)의 설정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회선 경유로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 송신한다.
스텝 S14에서는,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가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512)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11)의 설정 정보를 통신 회선 경유로 수신한다.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수신한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11)의 설정 정보를 생성부(501)로 공급한다. 생성부(501)는 공급된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11)를,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로 변환한다. 여기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로서,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522)과, 링크 디바이스와 내부 메모리의 전송용 파라미터(523)를 생성한다.
스텝 S16에서는, 제2 설정부(532)가 스텝 S6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 그 후,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의 설정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회선 경유로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로 송신한다.
스텝 S18에서는,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가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의 설정 정보를 통신 회선 경유로 수신했을 경우, 수신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의 설정 정보를 생성부(501)로 공급한다. 생성부(501)는 스텝 S14에서 생성한, 또는 수신한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를 내부 메모리의 소정 에어리어에 기입한다. 이것에 의해,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521)가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기입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엔지니어링 툴(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각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기입 명령을 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시 형태에 비해 송신하는 정보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유용하다.
301: 국번 0(마스터국)
302~304: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
305, 306: 필드 네트워크의 수신 에어리어
307, 308: 필드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
311: 국번 α(로컬국)
312, 313: 필드 네트워크의 수신 에어리어
314, 315: 필드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
316~318: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
321: 국번 β(로컬국)
322, 323: 필드 네트워크의 수신 에어리어
324, 325: 필드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
326~328: 컨트롤러 네트워크의 송신 에어리어
400: 엔지니어링 툴
401: 생성부
411: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
412: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
421: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
422: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
423: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 디바이스의 자동 리프레쉬 파라미터
431: 제1 설정부
432: 제2 설정부
433: 전환부
500: 엔지니어링 툴
501: 생성부
510: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511: 컨트롤러 네트워크용 파라미터
512: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
521: 필드 네트워크용 파라미터
522: 링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범위 할당
523: 링크 디바이스와 내부 메모리의 전송용 파라미터
531: 제1 설정부
532: 제2 설정부
533: 전환부

Claims (10)

  1. 컨트롤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수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와 송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송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 법칙은,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과 슬레이브 및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에서 링크 디바이스의 지정 방법이 균등하게 되도록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생성한 파라미터를 이용하고,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생성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의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한 리프레쉬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성 법칙은,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과 슬레이브 및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에서 링크 디바이스의 지정 방법이 균등하게 되도록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1 설정 모드와,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2 설정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1 설정 모드와,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2 설정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툴.
  7. 컨트롤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변환 법칙에 기초하여,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수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와 송신용 링크 디바이스의 송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링크 디바이스의 송수신 에어리어의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환 법칙은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과 슬레이브 및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에서 링크 디바이스의 지정 방법이 균등하게 되도록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생성한 파라미터를 이용하고,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기 마스터 및 상기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생성 법칙에 기초하여, 링크 디바이스와 시퀀서 CPU의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갱신하기 위한 리프레쉬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생성 법칙은, 상기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과 슬레이브 및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에서 링크 디바이스의 지정 방법이 균등하게 되도록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KR1020137023169A 2011-02-04 2012-01-04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KR101445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23236 2011-02-04
JPJP-P-2011-023236 2011-02-04
PCT/JP2012/050038 WO2012105277A1 (ja) 2011-02-04 2012-01-04 エンジニアリングツール、及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371A true KR20130124371A (ko) 2013-11-13
KR101445997B1 KR101445997B1 (ko) 2014-09-29

Family

ID=4660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169A KR101445997B1 (ko) 2011-02-04 2012-01-04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75605A1 (ko)
JP (1) JP5414916B2 (ko)
KR (1) KR101445997B1 (ko)
CN (1) CN103339574B (ko)
DE (1) DE112012000671T5 (ko)
TW (1) TWI473464B (ko)
WO (1) WO2012105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09313B (zh) * 2016-02-24 2017-12-21 三菱電機股份有限公司 工程工具程式及工程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10808D0 (en) * 1985-04-29 1985-06-05 Automation & Computer Systems Communication system
JP2611388B2 (ja) * 1988-10-24 1997-05-21 オムロ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H0566814A (ja) * 1991-09-06 1993-03-19 Hitachi Ltd 通信モジユール
JPH06188850A (ja) * 1992-10-23 1994-07-08 Fujitsu Ltd データ転送方式及びデータ転送装置
JPH06138917A (ja) * 1992-10-30 1994-05-20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5491771A (en) * 1993-03-26 1996-02-13 Hughes Aircraft Company Real-time implementation of a 8Kbps CELP coder on a DSP pair
JPH0736374A (ja) * 1993-07-21 1995-02-07 Omron Corp データリンクシステム
JPH08123520A (ja) * 1994-10-25 1996-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駆動制御指令装置と複数台の駆動制御指令装置の同期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同期制御方法
US5727170A (en) * 1994-12-29 1998-03-10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User defined port and protocol scheme for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JPH11296211A (ja) * 1998-04-14 1999-10-29 Yaskawa Electric Corp 入出力装置
US6301610B1 (en) * 2000-02-11 2001-10-09 Union Switch & Signal, Inc. Communication system
US7406106B2 (en) * 2000-04-07 2008-07-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stations in a frame-based communications network
US6842454B2 (en) * 2001-03-14 2005-01-11 Schneider Autom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addressing on a computer network
US7260657B2 (en) * 2001-10-02 2007-08-21 Hitachi, Ltd. Serial data transferring apparatus
WO2003053035A1 (en) * 2001-12-18 2003-06-26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Plc to plc communications with a modem on the plc i/o bus
JP3988605B2 (ja) 2002-09-30 2007-10-10 オムロン株式会社 設定ツール装置
CN1778069A (zh) * 2003-02-26 2006-05-24 西门子能量及自动化公司 用于网络向导的系统、装置和方法
JP4001093B2 (ja) * 2003-09-18 2007-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二重化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567982B2 (ja) 2004-01-29 2010-10-27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制御機器のリンク設定装置
JP2006310928A (ja) * 2005-04-26 2006-11-09 Yokogawa Electric Corp 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
JP4903201B2 (ja) * 2005-06-23 2012-03-28 ヒルシャー ゲゼルシャフト フュア ジステームアウトマツィオーン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オープンな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のバス加入機器のデータ通信方法
US20070192764A1 (en) * 2005-12-02 2007-08-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n application comprising a network setting
US20070263531A1 (en) * 2006-05-09 2007-11-15 Media Tek, Inc. System, apparatus for switching networks and method therefor
US8254253B2 (en) * 2006-07-05 2012-08-28 Nokia Corporation Conditional utilization of private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for service provision and mobility
JP2009063360A (ja) 2007-09-05 2009-03-26 Kiyoko Shimizu Plc通信を用いたエネルギー消費原単位監視システム
WO2009111325A2 (en) * 2008-02-29 2009-09-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calable, cross-platform method for multi-tile display systems
JP2010165403A (ja) * 2009-01-14 2010-07-29 Zoom Corp マルチトラックレコーダ、及び複数台のマルチトラックレコーダによる同期録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39574B (zh) 2015-11-25
KR101445997B1 (ko) 2014-09-29
TW201240385A (en) 2012-10-01
DE112012000671T5 (de) 2013-12-19
WO2012105277A1 (ja) 2012-08-09
CN103339574A (zh) 2013-10-02
JP5414916B2 (ja) 2014-02-12
JPWO2012105277A1 (ja) 2014-07-03
TWI473464B (zh) 2015-02-11
US20130275605A1 (en)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4695A1 (en) Automation network comprising network components that produce status messages
US20130211552A1 (en) Method for electing an active master device from two redundant master devices
US20200092137A1 (en) Processing of process data
US10466670B2 (en) Field bus module, machine controller, and method for parameterizing a field bus module, in particular a safety-oriented field bus module
CN106407139B (zh) 用于传输hart变量的方法和外围组件及cpu单元
JP7063976B2 (ja) 少なくとも1つの安全なプロデューサーと少なくとも1つの安全なコンシューマーとの間のデータ伝送
KR101445997B1 (ko) 엔지니어링 툴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US11947475B2 (en) Synchronized processing of process data and delayed transmission
JP2010199836A (ja) 無線ネットワーク構造
CN102752804B (zh) 通信资源分配系统
JP2014060636A (ja) 通信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
KR101346461B1 (ko)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장치 및 네트워크 연결방법
US11489697B2 (en) Transmission of data on a local bus
KR101672453B1 (ko) 프로피버스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0663029B (zh) 分布式处理过程数据
JP5040246B2 (ja) プロトコル変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2269889A1 (ja) 入力ユニット、制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85181B2 (ja) プロセス制御装置
KR101637795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N104898583A (zh) 分布式控制系统的通讯架构及方法
Ardelean ASPECTS CONCERNING THE OPTIMIZATION OF INDUSTRIAL CONTROL NETWORKS
JP2018006898A (ja) データ送信装置、メッセージ生成装置、データ送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19059A (ja)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16139300A (ja)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H039697A (ja) 遠隔監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