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911A -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911A
KR20130123911A KR1020120047429A KR20120047429A KR20130123911A KR 20130123911 A KR20130123911 A KR 20130123911A KR 1020120047429 A KR1020120047429 A KR 1020120047429A KR 20120047429 A KR20120047429 A KR 20120047429A KR 20130123911 A KR20130123911 A KR 20130123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nnector
locking
c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937B1 (ko
Inventor
윤병찬
고행진
서정도
금영범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937B1/ko
Priority to US13/887,842 priority patent/US9039462B2/en
Priority to DE102013208249A priority patent/DE102013208249A1/de
Publication of KR2013012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2Voltage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01R13/4365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는 CPA의 로킹 돌기가 분리판 단자의 로크 홈 안으로 삽입된 로킹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도 커넥터가 스택의 분리판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으며, 연결단자의 접속 편의 접속 포인트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접촉라인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연료전지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 분리판의 두께가 0.1㎜이하의 초박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연결단자가 분리판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는 부품 교체를 위해서 커넥터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패널을 해체하지 않고도 분리공구를 이용하여 분리공구의 끝단을 상기 CPA의 로킹 해제 홀 안으로 삽입하고, 들어올려서 CPA의 로킹을 해제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CONNECTOR MEASURING FOR CELL VOLTAGE OF FUEL CELL STACK IN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CPA의 로킹 돌기가 분리판의 단자의 로크 홈 안으로 삽입되어 로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이나 추돌 등의 외부 충격에도 커넥터가 스택의 분리판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고효율의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점차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연료전지 중에서 특히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는 타 연료전지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고 빠른 시동 및 응답 특성이 있어, 차량용 이동 전원으로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스택은 연료 극과 공기 극 및 이들 사이의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 이루어진 막 전극 조합체(MEA ; Membrane Electrode Assembly)와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라 불리는 금속 재질의 분리판으로 구성된 단위 셀(cell)이 필요한 수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1개 셀에서 발생하는 전위는 약 0.6~1.3V로 차량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생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셀을 직렬로 적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택은 대개 적층된 분리판의 양측 부에 각각 집전판(current collector) 및 압축판(compression plate = end plate)을 배치하고, 이를 관통하는 타이바아(tie bar)를 설치하여, 그 조립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차량에서 스택의 성능 및 고장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각 셀의 분리판을 커넥터 및 도선으로 제어회로(측정장치 및 차량에서 연료전지 시스템을 운전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니트를 포함한 회로)에 연결하여 각 셀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리판의 측면에는 일정 위치에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단자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스택 조립 완료 상태에서 단자들은 스택의 한 측면에 단자 열을 형성하게 되며, 그 단자 열에 커넥터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커넥터는 스택 전체에 대응하는 길이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모든 분리판의 단자가 삽입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스택 제작시 분리판의 정렬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분리판 단자들의 어긋남으로 인해 스택에 커넥터를 조립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커넥터를 무리하게 장착할 경우 분리판의 단자가 굴절(변형)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것인 만큼 차량 주행에 따른 진동 및 충격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커넥터와 분리판 단자의 접촉상태가 견고하지 못할 경우 측정되는 전압값이 요동하는 등 신뢰성 있는 정확한 전압 값을 측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스택으로부터 커넥터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공개 제10-2010-0058995호에 개시된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는 스택의 분리판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열 중 어느 한 열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 슬릿이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삽입 슬릿과 연통되어 정면에 연결단자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의 상부에 TPA단자 삽입 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와 일치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TPA단자 삽입구에 삽입되는 TPA 단자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측면 고정단을 구비한 TPA(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연결단자 삽입구로 삽입되어 상기 분리판의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 접속 부와; 상기 단자 접속 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제어회로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파지 부로 이루어진 연결단자;를 구비한다.
그러나, 특허 공개 제10-2010-0058995호에 개시된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는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분리판으로부터 쉽게 빠지게 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며, 분리판의 두께가 0.1㎜ 이하의 박막으로 구성되는 경우, 단자 접속 부의 접촉력이 취약하여 연결단자가 분리판의 단자로부터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CPA의 로킹 돌기가 분리판 단자의 로크 홈 안으로 삽입된 로킹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진동이나 추돌 등의 외부 충격에도 커넥터가 스택의 분리판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으며, 연결단자의 접속 편의 접속 포인트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접촉라인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연료전지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 분리판의 단자 두께가 0.1㎜이하의 초박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연결단자가 분리판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 교체를 위해서 커넥터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패널을 해체하지 않고도 분리공구를 이용하여 분리공구의 끝단을 CPA의 로킹 해제 홀 안으로 삽입하고, 들어올려서 CPA의 로킹을 해제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는 스택의 분리판 측면에 복수의 단자가 형성되고, 그 단자들에 의해 형성된 단자 열에 장착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에 있어서, 배면에 단자 삽입 슬릿이 형성되며, 정면에 상기 단자 삽입 슬릿과 연통되는 연결단자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의 상부에 TPA단자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분리판의 단자 상부에 형성된 로크 홈과 상응하는 로크 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분리판의 단자에 접속되는 단자 접속 부와, 상기 단자 접속 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와이어 파지부로 구성되는 연결단자;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안에 삽입된 상기 연결단자를 압입하는 TPA(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및 상기 로크 부 안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로크 홈 안으로 로킹되어 상기 분리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CPA;를 구비한다.
상기 CPA의 양쪽 측면에는 로킹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 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로크 부의 양쪽에는 로킹 턱이 형성된다.
상기 CPA의 전면 하부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와 로킹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CPA를 로킹하기 전에 상기 CPA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는 걸림 턱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로킹 돌기와 결합하는 로킹 홈이 형성된다.
상기 CPA의 전면에는 상기 CPA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로킹 해제 홀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 접속 부는 상기 단자의 양측 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벌어지는 접속 편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 편의 접속 포인트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접촉라인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서로 엇갈리게 함입 면이 형성되며, 상기 함입면에 상응하도록 상기 TPA의 양측에는 측면 고정편이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TPA의 측면 고정편이 상기 하우징의 함입 면에 밀착된다.
상기 측면 고정편에 결합하도록 상기 함입 면에는 제1 로킹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제2 로킹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로킹 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TPA의 상부에는 상면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턱이 형성되고, 상기 TPA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 턱 사이로 삽입되는 하면 고정편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자의 단자 접속 부는 전방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그 상부 면과 하부 면에 단자 삽입 슬릿이 형성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의 전방 단부가 내부로 절곡 연장되는 V 형상의 접속 편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 접속 부의 좌측면과 우측면 후반부에 상기 단자 접속 부의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다가 다시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지지편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PA의 로킹 돌기가 분리판 단자의 로크 홈 안으로 삽입된 로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이나 추돌 등의 외부 충격에도 커넥터가 스택의 분리판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으며, 연결단자의 접속 편의 접속 포인트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접촉라인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연료전지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 분리판의 단자 두께가 0.1㎜이하의 초박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연결단자가 분리판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교체를 위해서 커넥터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패널을 해체하지 않고도 분리공구를 이용하여 분리공구의 끝단을 CPA의 로킹 해제 홀 안으로 삽입하고, 들어올려서 CPA의 로킹을 해제하고 커넥터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의 장착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정면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배면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인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15 (a)(b)는 각각 종래 연결단자의 접속 편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단자의 접속 편을 비교하는 단면도
도 16은 분리공구를 이용한 커넥터의 분리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의 장착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정면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보인 배면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인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단자를 보인 사시도, 및 도 1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100)는 스택의 분리판(10) 측면에 복수의 단자(11)가 형성되고, 그 단자(11)들에 의해 형성된 단자 열에 장착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에 있어서, 배면에 단자 삽입 슬릿(111)이 형성되며, 정면에 상기 단자 삽입 슬릿(111)과 연통하는 연결단자 삽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의 상부에 TPA 단자 삽입구(113)가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분리판(10)의 단자(11)에 형성된 로크 홈(11a)과 상응하는 로크 부(114)가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분리판(10)의 단자(11)에 접속되는 단자 접속 부(121)와, 상기 단자 접속 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와이어(전선)를 감싸는 와이어 파지 부(122)로 구성되는 연결단자(120); 상기 하우징(110)의 정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10) 안에 삽입된 상기 연결단자(120)를 압입하는 TPA(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130); 및 상기 로크 부(114) 안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로크 홈(11a) 안으로 로킹되어 상기 분리판(1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CPA(140);를 구비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100)는 스택의 분리판(10) 측면에 복수의 단자(11)가 형성되고, 그 단자(11)들에 의해 형성된 단자 열(列)에 장착되는 구조로서, 배면에 단자 삽입 슬릿(111)이 형성된 하우징(11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정면에는 상기 단자 삽입 슬릿(111)과 연통하는 연결단자 삽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의 상부에는 TPA 단자 삽입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상기 분리판(10)의 단자(11)에 형성된 로크 홈(11a)과 상응하는 로크 부(114)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100)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120)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단자(120)는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분리판(10)의 단자(11)에 접속되는 단자 접속 부(121)와, 상기 단자 접속 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와이어(전선)를 감싸는 와이어 파지 부(122)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100)는 하우징(110)의 정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10) 안에 삽입된 상기 연결단자(120)를 압입하는 TPA(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13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100)는 로크 부(114) 안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로크 홈(11a) 안으로 로킹되어 상기 분리판(1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CPA(140)를 구비한다.
상기 CPA(140)의 양쪽 측면에는 로킹 돌기(141)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 돌기(141)가 걸리도록 상기 로크 부(114)의 양쪽에는 로킹 턱(114a)이 형성된다.
상기 CPA(140)의 전면 하부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142)와 로킹 돌기(143)가 형성되고, 상기 CPA(140)를 로킹하기 전에 상기 CPA(140)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스토퍼(142)에 접촉하는 걸림 턱(115)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로킹 돌기(143)와 결합하는 로킹 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CPA(140)의 전면에는 상기 CPA(140)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로킹 해제 홀(14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 접속 부(121)는 상기 단자(11)의 양측 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벌어지는 접속 편(121a)(121b)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 편(121a)(121b)의 접속 포인트(P1)(P2)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접촉라인(L)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는 서로 엇갈리게 함입 면(110a)이 형성되며, 상기 함입 면(110a)에 상응하도록 상기 TPA(130)의 양측에는 측면 고정편(131)이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TPA(130)의 측면 고정편(131)이 상기 하우징(110)의 함입 면(110a)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 고정편(131)에 결합하도록 상기 함입 면(110a)에는 제1 로킹 돌기(110b)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제2 로킹 돌기(117)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로킹 돌기(117)와 결합하도록 상기 TPA(130)의 상부에는 상면 고정편(13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턱(118)이 형성되고, 상기 TPA(13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 턱(118) 사이로 삽입되는 하면 고정편(133)이 형성된다. 상기 하면 고정편(133)은 제3 로킹 돌기(119)에 로킹(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TPA(130)는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와 상응하는 관통 홀(135)을 가지며, 내측 면에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 안으로 삽입되는 TPA단자(13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자(120)의 단자 접속 부(121)는 전방이 개구(開口)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그 상부 면과 하부 면 사이에 단자 삽입 슬릿(S)이 형성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의 전방 단부가 내부로 절곡 연장되는 V 형상의 접속 편(121a)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 접속 부(121)의 좌측면과 우측면 후반부에는 상기 단자 접속 부(121)의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다가 다시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지지 편(12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110)에 TPA(130)를 조립하는 경우, 하우징(110)의 정면에 상기 TPA(130)를 정렬하고 전진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 형성된 2개의 고정 턱(118) 사이에 상기 TPA(130)의 하면 고정편(133)이 삽입되고, 상기 TPA(130)의 하면 고정편(133)이 제3 로킹 돌기(119)에 로킹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TPA(130)의 측면 고정편(131)이 상기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함입 면(110a)에 밀착되고 제1 로킹 돌기(110b)에 로킹되며, 상기 TPA(130)의 상면 고정편(132)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로킹 돌기(117)에 로킹된다.
상기 TPA(130)의 관통 홀(135), 상기 하우징(110)의 연결단자 삽입구(112) 안으로 상기 연결단자(120)가 삽입되고, 이때 지지 편(121b)이 하우징(110) 내측에 걸리게 되고 상기 TPA의 TPA단자(134)에 의해 저지되므로,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도 상기 연결단자(12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조립 완료된 커넥터(100)를 스택의 분리판(10)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하우징(110)의 배면에 형성된 단자 삽입 슬릿(111) 안으로 스택의 분리판(10)을 삽입하고, 로크 부(114)가 상기 분리판(10)의 단자(11)에 형성된 로크 홈(11a)과 일치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하우징(110)의 로크 부(114) 안으로 CPA(140)를 삽입하면, 상기 CPA(140)의 스토퍼(142)와 로킹 돌기(143)가 상기 스토퍼(142)에 접촉하며, 이때 CPA(140)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하면, 상기 로킹 돌기(143)가 상기 하우징(110)의 로킹 홈(116)에 로킹되어, 상기 CPA(140)가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CPA(140)의 로킹 돌기(143)가 하우징(110)의 로크 홈(11a) 안으로 삽입된 로킹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도 커넥터(100)가 스택의 분리판(10)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 커넥터의 연결단자(40)의 경우에는, 접촉라인(L)을 기준으로 접속 편(41ca)(41da)의 접속 포인트(P)가 서로 접하여 위치하므로, 분리판(10)의 단자(11)의 두께가 0.1㎜이하의 초박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접속 편(41ca)(41cd)의 접촉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커넥터가 분리판(10)으로부터 임의로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도 15의 (a)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접속 편(121a)(121b)의 접속 포인트(P1)(P2)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접촉라인(L)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단자 삽입 슬릿(S) 안으로 분리판(10)의 단자(11)가 삽입되면, 접속 편(121a)(121b)이 더 큰 접촉력(화살표로 표시됨)을 갖고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상기 분리판(10)의 단자(11) 두께가 0.1㎜이하의 초박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연결단자(120)가 분리판(10)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도 15의 (b) 참조).
한편,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부품 교체를 위해서 커넥터(1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분리공구(200)를 패널(P)의 개구(開口) 안으로 삽입하고, 분리공구(200)의 끝단을 상기 CPA(140)의 로킹 해제 홀(144) 안으로 삽입하고, 들어올려서 상기 CPA(140)의 로킹을 해제하고 커넥터(1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PA(140)의 로킹 돌기(143)가 분리판 단자의 로크 홈(11a) 안으로 삽입된 로킹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의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도 커넥터(100)가 스택의 분리판(10)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으며, 연결단자(120)의 접속 편(121a)(121b)의 접속 포인트(P1)(P2)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접촉라인(L)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분리판(10)의 두께가 0.1㎜이하의 초박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연결단자(120)가 분리판(10)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교체를 위해서 커넥터(1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패널(P)을 해체하지 않고도 분리공구(200)를 이용하여 분리공구(200)의 끝단을 상기 CPA(140)의 로킹 해제 홀(144) 안으로 삽입하고, 들어올려서 상기 CPA(140)의 로킹을 해제하고 커넥터(1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은 연료전지 스택의 셀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분리판
11: 단자
11a: 로크 홈
100: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110: 하우징
110a: 함입 면
110b: 제1 로킹 돌기
111: 단자 삽입 슬릿
112: 연결단자 삽입구
113: TPA 단자 삽입구
114: 로크 부
114a: 로킹 턱
116: 로킹 홈
117: 제2 로킹 돌기
118: 고정 턱
120: 연결단자
121: 단자 접속 부
121a, 121b: 접속 편
121c: 지지 편
122: 와이어 파지 부
130: TPA(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131: 측면 고정편
132: 상면 고정편
133: 하면 고정편
134: TPA 단자
135: 관통 홀
140: CPA
141: 로킹 돌기
142: 스토퍼
143: 로킹 돌기
144: 로킹 해제 홀
L: 접촉라인
P1, P2: 접속 포인트
S: 단자 삽입 슬릿

Claims (10)

  1. 스택의 분리판(10) 측면에 복수의 단자(11)가 형성되고, 그 단자(11)들에 의해 형성된 단자 열에 장착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에 있어서,
    배면에 단자 삽입 슬릿(111)이 형성되며, 정면에 상기 단자 삽입 슬릿(111)과 연통하는 연결단자 삽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의 상부에 TPA 단자 삽입구(113)가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분리판(10)의 단자(11)에 형성된 로크 홈(11a)과 상응하는 로크 부(114)가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분리판(10)의 단자(11)에 접속되는 단자 접속 부(121)와, 상기 단자 접속 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와이어(전선)를 감싸는 와이어 파지 부(122)로 구성되는 연결단자(120);
    상기 하우징(110)의 정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10) 안에 삽입된 상기 연결단자(120)를 압입하는 TPA(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130); 및
    상기 로크 부(114) 안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로크 홈(11a) 안으로 로킹되어 상기 분리판(1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CPA(14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A(140)의 양쪽 측면에는 로킹 돌기(141)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 돌기(141)가 걸리도록 상기 로크 부(114)의 양쪽에는 로킹 턱(1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A(140)의 전면 하부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142)와 로킹 돌기(143)가 형성되고, 상기 CPA(140)를 로킹하기 전에 상기 CPA(140) 위치를 제한하도록 상기 스토퍼(142)에 접촉하는 걸림 턱(115)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로킹 돌기(143)와 결합하는 로킹 홈(116)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A(140)의 전면에는 상기 CPA(140)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로킹 해제 홀(1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 부(121)는 상기 단자(11)의 양측 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벌어지는 접속 편(121a)(121b)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 편(121a)(121b)의 접속 포인트(P1)(P2)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고, 접촉라인(L)을 기준으로 중첩하여 배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는 서로 엇갈리게 함입 면(110a)이 형성되며, 상기 함입 면(110a)에 상응하도록 상기 TPA(130)의 양측에는 측면 고정편(131)이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TPA(130)의 측면 고정편(131)이 상기 하우징(110)의 함입 면(110a)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편(131)에 결합하도록 상기 함입 면(110a)에는 제1 로킹 돌기(110b)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제2 로킹 돌기(1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로킹 돌기(117)와 결합하도록 상기 TPA(130)의 상부에는 상면 고정편(13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턱(118)이 형성되고, 상기 TPA(13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 턱(118) 사이로 삽입되는 하면 고정편(133)이 형성되며, 상기 TPA(130)는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와 상응하는 관통 홀(135)을 가지며, 내측 면에 상기 연결단자 삽입구(112) 안으로 삽입되는 TPA단자(134)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120)의 단자 접속 부(121)는 전방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그 상부 면과 하부 면에 단자 삽입 슬릿(S)이 형성되고, 좌측면과 우측면의 전방 단부가 내부로 절곡 연장되는 V 형상의 접속 편(121a)(12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 부(121)의 좌측면과 우측면 후반부에는 상기 단자 접속 부(121)의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다가 다시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지지 편(121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10. 스택의 분리판 측면에 로크 홈을 갖는 복수의 단자가 형성되고, 그 단자들에 의해 형성된 단자 열에 장착되도록 배면에 단자 삽입 슬릿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로크 홈과 상응하는 로크 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연결단자 삽입구 안으로 삽입되는 연결단자;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안에 삽입된 상기 연결단자를 압입하는 TPA(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및
    상기 로크 부 안으로 선택적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로크 홈 안으로 로킹되어 상기 분리판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CPA;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KR1020120047429A 2012-05-04 2012-05-04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KR10133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29A KR101337937B1 (ko) 2012-05-04 2012-05-04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US13/887,842 US9039462B2 (en) 2012-05-04 2013-05-06 Cell voltage measuring connector for fuel cell stack
DE102013208249A DE102013208249A1 (de) 2012-05-04 2013-05-06 Stecker zum Messen der Zellenspannung eines Brennstoffzellenstap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429A KR101337937B1 (ko) 2012-05-04 2012-05-04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11A true KR20130123911A (ko) 2013-11-13
KR101337937B1 KR101337937B1 (ko) 2013-12-09

Family

ID=4938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429A KR101337937B1 (ko) 2012-05-04 2012-05-04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39462B2 (ko)
KR (1) KR101337937B1 (ko)
DE (1) DE1020132082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5393B2 (en) 2013-12-24 2016-07-05 Hyundai Motor Company Voltage monitoring device of stack
KR20190065608A (ko) * 2017-12-04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8989B2 (ja) * 2013-10-30 2016-06-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ルモニタコネクタ
JP6187873B2 (ja) * 2014-03-28 2017-08-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702903B (zh) * 2014-12-09 2020-10-27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电池用连接器组件,电池组及其制造方法
DE102014225949A1 (de) * 2014-12-15 2016-06-16 Volkswagen A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Rasteinrichtung zur Kontaktierung eines Bipolarplattenstapels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Bipolarplattenstapel
US9705228B2 (en) * 2015-08-20 2017-07-11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system with disconnection evident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feature
EP3369144B1 (en) * 2015-10-29 2021-08-25 Molex, LLC Power connector
US10109955B2 (en) 2016-01-14 2018-10-23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male housing and a female housing with ribs
US10673169B2 (en) 2016-01-14 2020-06-02 J.S.T.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MSL connector series
US10622746B2 (en) * 2016-01-15 2020-04-14 J.S.T.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and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9935389B1 (en) * 2017-02-23 2018-04-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Inline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with removable TPA
SE541410C2 (en) * 2017-06-20 2019-09-24 Powercell Sweden Ab Electrical connector for fuel cell stack volatage monitoring
DE102017221521B4 (de) * 2017-11-30 2019-08-08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anordnung mit einem derartigen Steckverbinder
US10396486B2 (en) * 2017-12-01 2019-08-27 Te Connectivity India Private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10177498B1 (en) * 2018-02-19 2019-01-08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tacking electrical connector
US10454199B1 (en) * 2018-06-22 2019-10-22 Te Connectivity Brasil Industria De Electronicos Ltda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DE102018213688A1 (de) 2018-08-14 2020-02-2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Stecker mit einem Kontaktelement und Kontaktanordnung zur Kontaktierung eines Bipolarstapels
US20210399457A1 (en) * 2018-10-15 2021-12-23 Hirschmann Automotive Gmbh Plug connector foor high data rate
CN110265690A (zh) * 2019-07-02 2019-09-20 上海楞次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单体检测连接装置
USD933608S1 (en) 2019-11-14 2021-10-19 Molex, Llc Connector
USD923579S1 (en) * 2019-11-15 2021-06-29 Molex, Llc Connector
USD920921S1 (en) 2019-11-15 2021-06-01 Molex, Llc Connector
USD923578S1 (en) 2019-11-15 2021-06-29 Molex, Llc Connector
USD932445S1 (en) 2019-11-15 2021-10-05 Molex, Llc Connector
CN110673053B (zh) * 2019-12-04 2020-04-28 武汉中极氢能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双极板巡检接线结构
DE102021116956A1 (de) * 2021-07-01 2023-0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r Brennstoffzellenanordnung sowie System mit der Vorrichtung
CN113745566B (zh) * 2021-08-06 2023-06-27 上海治臻新能源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金属双极板巡检辅助结构及燃料电池
KR20230052072A (ko) 2021-10-12 2023-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셀 모니터링 커넥터
KR20240051521A (ko) 2022-10-13 2024-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셀 모니터링 커넥터
CN116840513B (zh) * 2023-05-29 2024-04-19 浙江东鸿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能质量分析仪的辅助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859A (en) * 1997-12-10 1999-10-19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retainer system
US5928038A (en) * 1998-04-24 1999-07-2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JP3895960B2 (ja) 2001-10-03 2007-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GB2393592B (en) * 2002-07-29 2005-12-21 Yazaki Corp Connector
JP2004079192A (ja) 2002-08-09 2004-03-11 Toyota Motor Corp セル電圧モニターの燃料電池スタックへの取付け構造
EP1411569B1 (en) * 2002-10-03 2013-08-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cell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to a processing unit
US7179135B2 (en) * 2005-04-25 2007-02-20 J.S. 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JP4967349B2 (ja) * 2006-01-25 201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電圧検出用コネクタ及びそのコネクタに適した燃料電池
JP2007200631A (ja) 2006-01-25 2007-08-0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コネクタ
JP4911978B2 (ja) 2006-01-25 2012-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コネクタ
JP2009301775A (ja) * 2008-06-11 2009-12-24 Mea Technologies Pte Ltd 電気コネクタ
KR100999264B1 (ko) * 2008-11-25 2010-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JP5277503B2 (ja) 2009-02-20 2013-08-28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及びスタック状電極への接続構造
KR101090626B1 (ko) 2010-06-16 2011-12-08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일체형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5393B2 (en) 2013-12-24 2016-07-05 Hyundai Motor Company Voltage monitoring device of stack
KR20190065608A (ko) * 2017-12-04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9462B2 (en) 2015-05-26
DE102013208249A1 (de) 2013-11-07
US20130316560A1 (en) 2013-11-28
KR101337937B1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937B1 (ko)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EP2562843B1 (en) Battery module
CN102376992B (zh) 电池模块
US9083095B2 (en) Wiring module
EP25902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KR101688488B1 (ko) 배터리모듈
KR100876456B1 (ko)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EP2624376B1 (en) Cell voltage detecting connector
KR101153957B1 (ko) 이차전지용 전극탭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CN110495013B (zh) 电池组
US9012063B2 (en) Battery module
KR20100036992A (ko) 전지 연결 장치
CN108461697B (zh) 连接器单元
US8916286B2 (en) Battery pack
US20120177969A1 (en) Battery module
JP2011253779A (ja) 組電池
JP5068625B2 (ja) 燃料電池
KR100999264B1 (ko)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KR20160079220A (ko) 밀착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EP3490024B1 (en) Battery pack
CN111712940B (zh) 电池模块
JP6134209B2 (ja) 電池パック
JP2017091675A (ja) 配線モジュール
JP5576436B2 (ja) 燃料電池
CN214176101U (zh) 一种对插式串联软包电芯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