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488B1 - 배터리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488B1
KR101688488B1 KR1020130111609A KR20130111609A KR101688488B1 KR 101688488 B1 KR101688488 B1 KR 101688488B1 KR 1020130111609 A KR1020130111609 A KR 1020130111609A KR 20130111609 A KR20130111609 A KR 20130111609A KR 101688488 B1 KR101688488 B1 KR 101688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upport
battery cell
battery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864A (ko
Inventor
박시동
이종한
김태용
조준우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488B1/ko
Priority to US14/477,036 priority patent/US9859544B2/en
Priority to CN201410474787.5A priority patent/CN104466072A/zh
Priority to EP14185046.1A priority patent/EP2849261B1/en
Publication of KR2015003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일 방향으로 정렬되되 일면에 단자부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상기 일면에 위치되는 버스바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홀더는 상기 버스바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버스바를 단자부에 용이하게 연결하면서도 버스바에 걸리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배터리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출력 배터리모듈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터리셀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고전압 또는 대용량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모듈을 채용하는 기기들이 늘어나면서 배터리모듈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기들의 외관이 다양해지면서 이에 대응하여 배터리모듈의 형태도 다양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단, 배터리모듈은 기본적으로 안전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바, 이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배터리모듈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의 버스바를 용이하게 연결하면서도 버스바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켜 배터리모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일 방향으로 정렬되되 일면에 단자부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상기 일면에 위치되는 버스바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홀더는 상기 버스바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일면을 마주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한 쌍의 상기 제2 지지부 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의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과 인접한 다른 배터리셀의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되 상기 배터리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배터리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2 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절곡부는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홀더 상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단부에 버스바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체결부는 상기 버스바홀더에 형성된 홀더체결부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가 상기 배터리셀에 인접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가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부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홀더에는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에 따르면, 버스바의 양면을 버스바홀더로 지지함으로써 버스바를 배터리셀의 단자부에 결합할 때 미리 버스바를 얼라인하여 공정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분을 절곡되게 구현하여 버스바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켜 배터리모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의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A-A'선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의 버스바홀더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버스바가 적용된 배터리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100a)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은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배터리셀(110),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4) 간을 연결하는 버스바(120a), 복수의 배터리셀(110)의 일면에 위치되는 버스바홀더(130a)를 포함하고, 버스바홀더(130a)는 버스바(120a)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셀(110)은 에너지를 발생하는 부재로서, 복수로 구성되어 일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배터리셀(110)은 일면이 개구된 전지케이스와 전지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전지케이스는 예를 들어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셀(110)의 일면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110)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단자부(114), 즉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셀(110)의 안전수단으로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로 작용하는 벤트부(1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버스바(120a)는 복수의 배터리셀(110) 중 서로 이웃하는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4) 간을 연결하여 직렬 또는 병렬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버스바(120a)는 예를 들어 용접 등의 공정을 통해 단자부(114)에 고정될 수 있고, 버스바홀더(130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버스바홀더(130a)는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4)가 인출되는 일면에 위치되는 부재로서, 버스바(120a)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홀더(130a)는 배터리셀(110)과 단락되지 않도록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홀더(130a)는 복수의 배터리셀(110)의 일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홀더(130a)에는 벤트부(117)로부터의 가스가 인출되는 가스통로(13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은 엔드플레이트(140), 사이드플레이트(160), 및 엔드블록(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엔드플레이트(140)는 복수의 배터리셀(110) 중 최외곽 배터리셀(110) 외부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엔드블록(150)과 함께 배터리셀(110)을 복수의 배터리셀(110)의 배열방향으로 잡아줄 수 있다. 여기서, 엔드플레이트(140)는 배터리모듈(100a)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 최외곽 배터리셀(110)의 넓은 면의 외부에 각각 위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140) 간을 연결하는 사이드플레이트(160)와 함께 배터리모듈(100a)의 하우징을 이루어 배터리셀(11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엔드플레이트(140)와 최외곽 배터리셀(110) 간에는 엔드블록(150)이 위치되는바, 엔드플레이트(140)는 엔드블록(15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곡된 부분을 통하여 사이드플레이트(160)와 예를 들어 용접 등의 공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엔드블록(150)은 엔드플레이트(140)와 최외곽 배터리셀(110) 사이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엔드플레이트(140)와 함께 복수의 배터리셀(110)을 배열방향으로 잡아줄 수 있다. 여기서, 엔드블록(150)은 엔드플레이트(140)와는 상이한 물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엔드블록(150)은 최외곽 배터리셀(110)과 맞닿을 수 있으므로 단락 등의 위험이 없는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엔드블록(150)은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140)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100a)의 버스바(120a)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A-A'선에 따른 배터리모듈(100a)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모듈(100a)의 버스바홀더(130a)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20a)와 버스바홀더(130a)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20a)는 적어도 일 부분이 돌출되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120a)는 제1 연결부(123), 제2 연결부(124), 및 제1 연결부(123)와 제2 연결부(124)를 연결하는 절곡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23)와 제2 연결부(124)는 예를 들어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절곡부(125)는 배터리셀(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120a)는 단자부(114)가 인출되는 배터리셀(110)의 일면을 마주보는 제1 면(121)과, 이와 반대되는 면인 제2 면(122)을 가질 수 있는데, 제1 연결부(123) 및 제2 연결부(124)의 제1 면(121)은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4)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용접 연결될 수 있고, 절곡부(125)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다른 배터리셀(110)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125)의 중앙은 돌출되어 있는바 배터리셀(110)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버스바(120a)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절곡된 경우 용접 등의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버스바(120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절곡부(125)는 곡면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홀더(130a)는 버스바(120a)의 제1 면(121)과 제2 면(122)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131, 132)를 포함하여, 버스바(120a)의 위치를 얼라인 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바홀더(130a)에는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32)는 버스바(120a)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씩 구비될 수 있고, 제1 지지부(131)는 한 쌍의 제2 지지부(132) 사이에, 대략 중앙 정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132)가 '한 쌍씩' 구비된다는 의미는 하나의 버스바홀더(130a)에 두 개의 제2 지지부(132)가 있는 경우만 해당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하나의 버스바(120a) 단위당 제2 지지부(132)가 한 쌍으로 구비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버스바(120a)가 3개 포함된다면 제2 지지부(132)는 한 쌍씩 구비되어 총 6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홀더(130a)에는 버스바(120a)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제1 연결부(123) 및 제2 연결부(124)의 제1 면(121)을 노출시켜 배터리셀(110)의 단자부(114)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1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부(133)는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버스바(120a)가 위치되는 단위 개념으로 살펴보면, 제2 지지부(132), 개구부(133), 제1 지지부(131), 개구부(133), 제2 지지부(132)가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는 버스바(120a)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데,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31)는 버스바(120a)의 제1 면(121)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132)는 버스바(120a)의 제2 면(122)을 지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31)는 버스바(120a)와 배터리셀(110) 사이에 위치되어 버스바(120a)가 배터리셀(110)과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제2 지지부(132)는 한 쌍으로 구현되어 버스바(120a)의 제1 연결부(123)와 제2 연결부(124) 각각의 제2 면(122) 상에 위치됨으로써 버스바(120a)가 배터리셀(1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에 의해 버스바(120a)는 배터리셀(110)로부터 멀어지거나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받고, 버스바홀더(130a)에 얼라인될 수 있는 것이다. 단, 여기서 '지지'라는 의미는 반드시 버스바(120a)와 제1 지지부(131) 및 제2 지지부(132)가 맞닿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격되어 있어도 무관하고 버스바(120a)의 이동을 어느 정도 제한하는 정도면 무관하다 할 것이다. 이때, 제1 지지부(131)와 제2 지지부(132)는 버스바(120a)와 단자부(114)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기 전에 그 위치를 미리 얼라인시켜 용접 등의 결합 공정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버스바(120a)는 단자부(114)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그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131)는 버스바(120a)의 절곡부(125)의 제1 면(12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돌출된 형상의 절곡부(125)를 지지하는바, 절곡부(12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터리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125)가 더욱 효과적으로 제1 지지부(1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31)는 절곡부(125)와 맞닿을 필요는 없고 이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버스바(120a)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버스바(120a)가 변형될 수 있는 마진적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버스바(120a)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31)를 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하는 경우 제1 지지부(131)는 버스바(120a)의 절곡부(125)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버스바(120a)가 단자부(114)에 고정된 이후에도 버스바(120a)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버스바(120a)에 대한 응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23)와 제2 연결부(124)의 제2 면(122)을 상부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막는 걸림턱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버스바(120a)와 맞닿도록 구현될 필요는 없다. 이때, 제2 지지부(132)와 버스바(120a)가 이격되어 있는 경우, 제1 지지부(131)에서의 경우와 같이 버스바(120a)가 변형되더라도 마진이 존재하여 버스바(120a)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버스바(120b)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버스바(120b)가 적용된 배터리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20b)는 제1 연결부(123), 제2 연결부(124), 절곡부(125) 외에 제1 연결부(123) 및 제2 연결부(12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26)는 버스바홀더(130b)의 상면으로 연장되며, 버스바홀더(130b)에 구비된 홀더체결부(134)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6)의 단부에는 버스바체결부(127)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버스바체결부(127)가 홀더체결부(13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체결부(127) 상에는 예를 들어 배터리모듈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의 단자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배터리셀(110)의 전압, SOC 등을 회로기판 등의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버스바체결부(127)와 홀더체결부(134)에는 예를 들어 내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버스바체결부(127) 상에 위치되는 회로기판의 단자에도 내부에 나사선이 구비된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들에 볼트 등이 결합되어 회로기판, 버스바체결부(127), 홀더체결부(134)가 결합되고, 버스바체결부(127)와 회로기판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배터리셀 114 : 단자부
120a, 120b : 버스바 121 : 제1 면
122 : 제2 면 123 : 제1 연결부
124 : 제2 연결부 125 : 절곡부
126 : 연장부 130a, 130b : 버스바홀더
131 : 제1 지지부 132 : 제2 지지부
133 : 개구부 140 : 엔드플레이트
150 : 엔드블록 160 : 사이드플레이트

Claims (15)

  1. 일 방향으로 정렬되되 일면에 단자부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상기 단자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의 상기 일면에 위치되는 버스바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홀더는 상기 버스바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기 일면을 마주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면은 제2 지지부와 마주하고, 제2 지지부와 반대되는 제1 면은 단자부와 직접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한 쌍의 상기 제2 지지부 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의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셀과 인접한 다른 배터리셀의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하되 상기 배터리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배터리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2 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절곡부는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홀더 상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단부에 버스바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체결부는 상기 버스바홀더에 형성된 홀더체결부 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가 상기 배터리셀에 인접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버스바가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단자부에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홀더에는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KR1020130111609A 2013-09-17 2013-09-17 배터리모듈 KR101688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609A KR101688488B1 (ko) 2013-09-17 2013-09-17 배터리모듈
US14/477,036 US9859544B2 (en) 2013-09-17 2014-09-04 Battery module
CN201410474787.5A CN104466072A (zh) 2013-09-17 2014-09-17 电池模块
EP14185046.1A EP2849261B1 (en) 2013-09-17 2014-09-17 Battery module with a bus bar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609A KR101688488B1 (ko) 2013-09-17 2013-09-17 배터리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864A KR20150031864A (ko) 2015-03-25
KR101688488B1 true KR101688488B1 (ko) 2016-12-21

Family

ID=5157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609A KR101688488B1 (ko) 2013-09-17 2013-09-17 배터리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59544B2 (ko)
EP (1) EP2849261B1 (ko)
KR (1) KR101688488B1 (ko)
CN (1) CN1044660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0487B2 (ja) * 2014-07-31 2018-01-1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10403869B2 (en) * 2015-04-13 2019-09-03 Cps Technology Holdings, Llc Adhesive tape for position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JP6847834B2 (ja) * 2015-07-30 2021-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池セル用のバスバー
US10137798B2 (en) * 2015-08-04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bars for a power module assembly
ITUB20154770A1 (it) * 2015-11-05 2017-05-05 Archimede Energia S P A Accumulatore ad elevata densita energetica a struttura semplificata
DE102015121107A1 (de) * 2015-12-03 2017-06-08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Elektrische Energiespeichervorrichtung
KR102209825B1 (ko) * 2016-07-21 2021-0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0388933B2 (en) * 2016-08-08 2019-08-20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KR20180026945A (ko)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78778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셀 모듈의 버스바 고정 구조
US20190379015A1 (en) * 2017-01-30 2019-12-12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ource device
JP2019003734A (ja) * 2017-06-12 2019-01-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KR102160276B1 (ko) 2017-06-16 2020-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8258168A (zh) * 2018-03-21 2018-07-06 湖南金杯新能源发展有限公司 方形电芯模组
JP7099054B2 (ja) * 2018-05-30 2022-07-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2019207825A (ja) * 2018-05-30 2019-12-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JP6670348B2 (ja) * 2018-06-22 2020-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
EP3598529A1 (en) * 2018-07-17 2020-01-22 Tyco Electronics Belgium EC bvb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o a busbar of a battery, battery
JP7028106B2 (ja) * 2018-08-29 2022-03-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池配線モジュール
CN109148743B (zh) * 2018-09-05 2024-02-23 昆山金鑫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JP7151473B2 (ja) * 2018-12-27 2022-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JP7132179B2 (ja) * 2019-06-18 2022-09-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モジュール
KR20210004600A (ko) 2019-07-05 2021-0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셀용 전원연결장치
KR20210006771A (ko) 2019-07-09 2021-0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전기적 연결장치
CN112310542B (zh) * 2019-12-27 2022-01-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组件、电池模块、电池组、装置以及安装方法
KR20210086090A (ko) * 2019-12-31 2021-07-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20040869A (ko) * 2020-09-24 2022-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48752A (ko) 2020-10-13 2022-04-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셀용 전기적 연결장치
KR102567485B1 (ko) 2020-11-03 2023-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용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30468A (ko) 2021-08-25 2023-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용 전기적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7722A (ja) * 2008-10-14 2010-04-30 Toshiba Corp 電池モジュール
WO2013052519A2 (en) * 2011-10-06 2013-04-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terminal connector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4185A (en) * 1940-11-25 1943-07-13 Electric Storage Battery Co Electric storage battery
JP2952550B2 (ja) 1993-09-13 1999-09-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ポスト用接続端子の保護カバー
JP3990960B2 (ja) 2002-08-30 2007-10-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5096075B2 (ja) * 2007-08-24 2012-12-12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331450B2 (ja) 2008-11-07 2013-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モジュール、蓄電装置、電動機駆動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2011171192A (ja) 2010-02-19 2011-09-01 Toshiba Corp 二次電池の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電池
US8372534B2 (en) * 2010-09-02 2013-02-12 Bathium Canada Inc. Connector for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7722A (ja) * 2008-10-14 2010-04-30 Toshiba Corp 電池モジュール
WO2013052519A2 (en) * 2011-10-06 2013-04-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terminal connector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66072A (zh) 2015-03-25
EP2849261B1 (en) 2017-11-08
KR20150031864A (ko) 2015-03-25
US20150079447A1 (en) 2015-03-19
EP2849261A1 (en) 2015-03-18
US9859544B2 (en)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488B1 (ko) 배터리모듈
US9337458B2 (en) Battery module
EP2648243B1 (en) Battery module
US10115954B2 (en) Battery module
KR102248596B1 (ko) 배터리 모듈
KR102247392B1 (ko) 배터리 모듈
KR102222888B1 (ko) 배터리모듈
US9324986B2 (en) Battery module
KR101698772B1 (ko) 보호소자가 위치되는 엔드블록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US9012063B2 (en) Battery module
KR20130023562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20150024999A (ko) 배터리 모듈
KR20150024560A (ko) 배터리 모듈
KR20160069348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구비한 전지 팩
EP3035412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cell
KR101741029B1 (ko) 격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3032614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cell
US20170125757A1 (en) Battery module
KR20170050092A (ko) 전지팩의 퓨즈 조립 구조
CN109565023B (zh) 布线模块
US20140220419A1 (en) Power supply device
KR102248594B1 (ko)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