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104A -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104A
KR20130122104A KR1020120045168A KR20120045168A KR20130122104A KR 20130122104 A KR20130122104 A KR 20130122104A KR 1020120045168 A KR1020120045168 A KR 1020120045168A KR 20120045168 A KR20120045168 A KR 20120045168A KR 20130122104 A KR20130122104 A KR 20130122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exhaust
parking lot
underground parking
venti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199B1 (ko
Inventor
남기윤
Original Assignee
남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윤 filed Critical 남기윤
Priority to KR1020120045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압으로 풍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고, 배기 풍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오염구역 별로 환기를 제어하며 구역별로 대수를 선택하여 급·배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은, 지하주차장 구조물의 일측 흡입통로내에 위치하여 각 지하층의 급기구에 복수의 M개로 조합되어 l설치된 폐시브 급기팬과; 지하주차장 구조물의 각 지하층에 위치하여 타측 배기통로를 따라 구비된 각 지하층의 배기구측에 복수의 N개로 조합되어 설치된 폐시브 배기팬과; 선택된 폐시브 급기팬의 급기 흐름을 지하주차장 구조물 내의 층간 실내에 확산시켜 폐시브 배기팬측으로 유인하는 다수의 유인팬과; 지하 각 층간 실내의 구역별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와; 상기 센서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폐시브 급기팬과 유인팬 및 폐시브 배기팬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폐시브 배기팬의 배기 풍속에 따른 배기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배기통로에 위치된 방향유도판; 및 상기 방향유도판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유도판 제어모터가 포함되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of underground parking lots}
본 발명은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압으로 풍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고, 배기 풍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오염구역 별로 환기를 제어하며 구역별로 대수를 선택하여 급·배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주차장 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은 자동차 배기 가스이다. 배기가스의 유해 성분에는 일산화탄소, 탄산가스,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알데 히드류, 흑연, 납화학물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 배출량을 고려하여 주차장의 환경지표로 CO농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하주차장의 주 환경오염 요인인 CO가스의 농도를 목표치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환기가 필요하다. 또한 지하주차장의 실내 공기 청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오염공기 정체 구역을 최소화 하고 여름철 결로발생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환기시스템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주차장법에서는 “주차장 이용 차량이 가장 많은 시각의 전후 8시간의 CO가스 평균치가 50pp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인 환기방식에는 덕트방식, 고속노즐방식, 무덕트(NO Dact)방식 등이 있다.
급배기 덕트방식의 경우, 외기를 도입하는 급기 팬과 급기 덕트를 설치하여 급기하며 실내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팬과 배기 덕트를 설치하여 배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부분적인 급·배기 덕트 설치로 인해 기둥, 사람, 자동차 등의 장애물에 의해 기류가 도달되지 못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많이 발생되므로 CO가스 및 부유분진의 정체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고속노즐방식의 경우, 외기를 도입하는 급기 팬과 실내 공기를 유인하여 고속취출하는 터보 팬과 노즐을 이용하여 공기의 이송을 원활히 하여 배기 팬을 통하여 배기하는 방식으로 고속용 덕트가 필요하다.
무덕트방식의 경우, 외기를 도입하는 급기 팬과 실내 공기를 유인하여 취출하는 팬으로 공기이송을 원활히 하여 배기 팬을 통하여 배기하는 방식으로서 고속용 덕트가 불필요한 이점을 갖는다.
종래 무덕트방식의 경우 대형 팬룸으로 인해 주차공간 활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소음이 심하고, 전기료가 너무 많이 드는 관계로 환기설비를 가동하지 않아 생활공간으로 부적합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371265호로서 '지하 구조물의 급기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지하 구조물의 샤프트를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최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덕트로 불어넣는 팬과; 상기 샤프트의 지하 구조물측의 벽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2차노즐과; 상기 덕트에서 상기 2차노즐의 중심을 향하여 설치되는 1차노즐로 구성된다.
그러나 위 배경기술의 경우 샤프트내 덕트의 설치가 필요하고, 그 덕트에 풍량조절댐퍼의 부가적인 설치가 필요해진다. 또한 지하 주차장 실내 오염을 구역별로 제거시킬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024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정압으로 풍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고, 배기 풍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오염구역 별로 환기를 제어하며 구역별로 대수를 선택하여 급·배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은,
지하주차장 구조물의 일측 흡입통로내에 위치하여 각 지하층의 급기구에 복수의 M개로 조합되어 설치된 폐시브 급기팬과;
지하주차장 구조물의 각 지하층에 위치하여 타측 배기통로를 따라 구비된 각 지하층의 배기구측에 복수의 N개로 조합되어 설치된 폐시브 배기팬과;
선택된 폐시브 급기팬의 급기 흐름을 지하주차장 구조물 내의 층간 실내에 확산시켜 폐시브 배기팬측으로 유인하는 다수의 유인팬과;
지하 각 층간 실내의 구역별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폐시브 급기팬과 유인팬 및 폐시브 배기팬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폐시브 배기팬의 배기 풍속에 따른 배기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배기통로에 위치된 방향유도판과;
상기 방향유도판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유도판 제어모터가 포함되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폐시브 급기팬은 후면에 하나 이상의 흡입구를 갖는 원통형의 팬 케이싱과, 풍량을 먼 거리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상기 팬 케이싱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을 갖고;
상기 팬 케이싱 내에는 음이온 발생기가 포함되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팬 케이싱의 내주면에 풍속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흡음재가 추가적으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시브 배기팬에는 배출 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방향조절용 날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폐시브 급기팬에는 결로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시브 급기팬 및 상기 폐시브 배기팬은 1단 4열, 2단 3열, 2단 4열, 3단 3열, 3단 4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인팬은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팬과, 센터팬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팬으로 구성되고, 각 팬의 배기구는 배기 방향을 현장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팬과 한 쌍의 측면팬에는 각기 음이온 발생기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에는 오염구역의 환기흐름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표시창이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 흡입통로내에 강제 송풍을 위한 강제송풍기와;
상기 강제송풍기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 흡입통로내에 배치된 강제급기관과;
상기 강제급기관에 분기되어 연결된 다수 개의 강제급기노즐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시브 배기팬에는 질량체를 갖고 배기구에 설치되어 배기 풍속에 비례하여 개폐되는 댐퍼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시브 배기팬에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배기구를 개폐하는 댐퍼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시브 배기팬에는 스프링에 연결되어 배기구를 개폐하는 댐퍼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시브 급기팬은,
후방에 하나 이상의 흡입구와 전방에 원추형의 토출구를 갖는 원통형의 팬 케이싱과;
상기 팬 케이싱의 중앙에 배치된 팬 모터와;
상기 팬 케이싱의 내면에 설치된 팬 케이싱 흡음재와;
상기 팬 케이싱의 둘레에 삽입되어 있고 선단부 내면에 풍량을 먼 거리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나선 방향으로 선회되어 있는 나선홈을 갖는 중공형의 팬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팬 케이싱 하우징의 내면에 설치된 하우징 흡음재를 포함하고;
상기 팬 케이싱과 상기 팬 케이싱 하우징의 사이에 제2흡입구가 더 포함되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은, 폐시브 급기팬으로부터 선회 풍속을 일으켜 정압으로 풍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고, 배기통로의 방향유도판에 의해 배기 풍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오염구역 별로 환기를 제어하며 구역별로 대수를 선택하여 급·배기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의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인팬의 예시도.
도 2a는 도 1a의 급기구측 확대도.
도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폐시브 급기팬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a의 배기구측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폐시브 급기팬 및 폐시브 배기팬의 다양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어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의 제어흐름도.
도 7은 지하주차장 환기 흐름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강제송풍장치가 부가된 구성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댐퍼의 다양한 구성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지하주차장 구조물(10)의 일측 흡입통로(12)내에 폐시브 급기팬(16)이 위치된다. 폐시브 급기팬(16)은 각 지하층의 급기구(14)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지하 3층인 경우 3개층 급기구(14)에 모두 설치된다.
폐시브 급기팬(16)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후면에 하나 이상의 흡입구(160a)를 갖는 원통형의 팬 케이싱(160)과, 고른 정압과 풍량을 먼 거리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팬 케이싱(16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161)을 갖는다. 이때 나선홈(161)은 1조 이상의 다선조로 구성할 수 있다. 예로 나선홈(161)은 1조~6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2조 나선홈(161)의 경우 2개의 나선홈(161)이 6조 나선홈(161)의 경우 6개의 나선홈(161)이 동시에 형성된다. 이같이 나선홈(161)이 팬 케이싱(160)에 형성되면 풍량이 선회를 계속 유지하여 배출되므로 원거리까지 전달이 가능하며 일정한 정압(풍압)으로 풍량의 변화가 없어져 풍량 증대의 효과를 갖는다. 이때 팬 케이싱(160)에 풍속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그 내주면에 흡음재(162)가 추가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흡음재(162)는 예로 다공질 흡음재, 유연재료 흡음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폐시브 급기팬(16)은 정숙한 운전이 가능하다.
폐시브 급기팬(16)은 복수의 M개로 조합되어 설치된다. 폐시브 급기팬(16)은 예를 들면 도 4의 (가),(나),(다),(라),(마)의 순서대로 1단 4열로 4대, 2단 3열로 6대, 2단 4열로 8대, 3단 3열로 9대, 3단 4열로 12대 등으로 조합된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폐시브 급기팬(16)의 단수와 열수는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 각 층 공간의 환기에 요구되는 풍량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폐시브 급기팬(16)은 고른 정압을 유지하면서 풍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후면에 흡기구(160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폐시브 급기팬(16)은 후술한 도 5의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예를 들어 2단 3열을 이루는 폐시브 급기팬(16)의 경우 환기량의 적정 필요에 따라 2대씩 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실내의 오염의 기준이 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폐시브 급기팬(16)의 가동 대수를 늘려가면서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 케이싱(160) 내에는 음이온 발생기(163)가 포함되어져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환기시 음이온 발생에 따른 공기정화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지하주차장 구조물(10)의 각 지하층에 위치하여 타측 배기통로(18)를 따라 폐시브 배기팬(22)이 설치된다. 폐시브 배기팬(22)은 각 지하층의 배기구(20)측에 복수의 N개로 조합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폐시브 배기팬(22)은 폐시브 급기팬(16)과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일치될 필요는 없다. 또한 폐시브 배기팬(22)은 배기통로(18)의 위치에 따라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폐시브 배기팬(22)은 N개로 조합되어 설치되므로 도 4와 같이 예를 들면 1단 4열로 4대, 2단 3열로 6대, 2단 4열로 8대, 3단 3열로 9대, 3단 4열로 12대 등으로 조합된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폐시브 배기팬(22)의 단수와 열수는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 각 층 공간의 환기에 요구되는 배기 풍량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폐시브 배기팬(22)은 후술한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예를 들어 2단 3열을 이루는 폐시브 배기팬(22)은 경우 환기량의 적정 필요에 따라 2대씩 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실내의 오염의 기준이 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폐시브 배기팬(22)의 가동 대수를 늘려가면서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폐시브 배기팬(22)은 배출구측에 배출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다수개의 방향조절용 날개(2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선택된 폐시브 급기팬(16)의 급기 흐름을 지하주차장 구조물 내의 층간 실내에 확산시켜 폐시브 배기팬(22)측으로 유인하는 다수의 유인팬(24)이 설치된다. 유인팬(24)은 각 층간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유인팬(24)은 고정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좌우 및 상하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유인팬(24)은 도 1b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팬(241)과, 센터팬(241)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팬(242,242)으로 구성되고 각 팬(241,242,242)의 배기구는 현장에 따라 배기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24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인팬(24)들은 해당 오염구역의 환기 흐름이 급기구(14)에서 배기구(20)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즉 환기 흐름이 중간에 끊어지거나 와류 정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유인팬(24)들의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이 유인팬(24)이 센터팬(241)과 한 쌍의 측면팬(242,242)으로 이루어진 경우 동시에 모두 동작할 경우 환기 영역이 넓어져 단시간에 신속한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센터팬(241)과 한 쌍의 측면팬(242,242)은 동시에 모두 구동될 수도 있지만 환기량 및 환기영역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센터팬(241)과 한 쌍의 측면팬(242,242)에는 각기 음이온 발생기(243)가 더 포함되어져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이온 발생기(243)의 동작에 따라 실내 환기기 공기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오염공기의 제거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급기량을 보충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일측 흡입통로(12)내에 강제 송풍을 위한 강제송풍기(1)와, 상기 강제송풍기(1)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 흡입통로(12)내에 배치된 강제급기관(2)과, 상기 강제급기관(2)에 분기되어 연결된 다수 개의 강제급기노즐(3)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지하 각 층간 실내에는 구역별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26)가 설치된다. 센서(26)는 각 층간 실내의 전영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설치된다. 해당 층의 각 센서(26)들은 고유한 번호가 주어지고, 각 센서(26)에서 취득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가지고 필요한 환기 영역을 결정하게 된다.
예들들어, 지하층 실내 어느 한 쪽의 정체 공간에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을 경우 그 공간에 머무르고 있는 오염물질(일산화탄소)을 제거하기 위해 해당 오염 영역의 환기흐름을 갖는 폐시브 급기팬(16)과 유인팬(24) 및 폐시브 배기팬(22)을 가동시켜서 오염을 제거한다. 이같이 해당 오염구역에 외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소음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센서(26)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폐시브 급기팬(16)과 유인팬(24) 및 폐시브 배기팬(2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가 구비된다.
제어부(30)는 도 5와 같이 일산화탄소 농도로 인한 오염구역을 판단해내는 오염구역 판단부(31), 해당 오염구역의 오염정도를 결정하는 오염정도 결정부(32), 오염정도에 따른 선택구역의 팬 구동 대수를 선택 결정하는 팬구동 대수 선택부(33), 선택된 팬의 구동을 지시하는 구동지시부(34)가 포함된다.
여기서 오염구역 판단부(31)는 주차공간을 다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오염구역을 판단한다. 즉, 다수 개의 센서(26)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가지고 어느 분할된 구역의 오염정도가 심각한지를 판단한다. 오염정도가 심각한 구역은 환기 대상 구역이 된다.
오염정도 결정부(32)는 설정된 일산화탄소의 허용 농도값을 정하여 그 이상일 경우 오염으로 결정한다. 오염정도 결정부(32)는 설정된 허용 농도값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20ppm 또는 25ppm을 넘게 되면 오염으로 결정될 수 있다.
팬구동 대수 선택부(33)는 오염으로 결정된 오염 구역의 오염 정도에 따라 최적의 가동대수를 선택한다. 예들들어, 폐시브 급기팬(16)의 가동 대수와 폐시브 배기팬(22)의 가동 대수를 선택하는 것이다.
구동지시부(34)는 오염 구역의 환기 정보를 계속적으로 받아들여 폐시브 급기팬(16)과 유인팬(24) 및 폐시브 배기팬(22)의 동작을 지시한다. 구동지시부(34)는 오염 구역의 오염이 제거되면 폐시브 급기팬(16)과 유인팬(24) 및 폐시브 배기팬(22)의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때 제어부(30)에는 오염구역의 환기흐름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표시창(40)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예들들어 표시창(40)은 도 7과 같이 오염구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환기 흐름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한편, 폐시브 급기팬(16)에는 도 2와 같이 결로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히터(17)는 제어부(30)에서 주차장 실내에서 측정된 습도를 기준 습도와 비교하여 가동 제어된다. 히터(17)는 예로 전기적 발열체가 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폐시브 배기팬(22)의 배기 풍속에 따른 배기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배기통로(18)에 방향유도판(180)이 배치되고, 방향유도판(180)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방향유도판 제어모터(182)가 설치된다. 방향유도판 제어모터(182)는 제어부(182)의 제어를 받아 구동된다. 예로, 폐시브 배기판(22)에서 배출되는 풍속이 센 경우 배기통로(18)의 하방으로 배기량이 유도되지 않도록 조절되어 배기 효율을 높인다. 이때 풍속의 검출수단은 주지의 풍압풍속계 또는 풍속센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하주차장 구조물의 환기시스템의 작동을 도 6의 제어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해당 지하 주차층내의 구역별 오염도를 센서(26)를 통해 측정(S10)된다. 이때 센서(26)들은 각 지하층 실내에 구역별로 분포되어져 있어 실시간으로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오염도가 제어부(30)로 전송된다.
따라서 센서(26)와 연결된 제어부(30)를 통해 구역별 오염도를 확인(S11)하게 되고, 오염제거 구역을 결정(S12)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30)는 해당 오염 구역의 폐시브 급기팬(16), 유인팬(24) 및 폐시브 배기팬(22)의 구동 대수를 선택(S13)하여 구동(S14)시키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구역의 환기(S15)가 신속히 이루어진다. 이때 폐시브 급기팬(16)으로부터는 나선홈(161)의 풍량 회전 유도에 따라 고른 정압을 유지하면서 풍량이 원거리까지 공급된다. 또한 폐시브 배기팬(22)에서 토출되는 풍속을 감지하여 제어부(30)가 방향유도판 제어모터(182)의 구동을 제어하여 방향유도판(180)의 방향이 조절된다. 따라서 효율적이 배기를 이루게 된다. 이때 흡음재(162)에 의해 정숙한 급기가 이루어진다.
또한 폐시브 배기팬(22)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배출 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방향조절용 날개(22a)에 의해 배출 방향이 결정되어져 신속한 배출이 유도된다.
이같이 환기가 진행 중에 해당 오염구역의 오염도를 계속적으로 센서(26)가 측정하여 오염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오염이 제거됨이 확인되면 선택된 폐시브 급기팬(16), 유인팬(24), 폐시브 배기팬(22)의 구동은 정지(S17)된다. 물론 오염이 제거될 동안 폐시브 급기팬(16), 유인팬(24), 폐시브 배기팬(22)의 구동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해당 오염구역의 환기흐름을 표시창(4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선택 팬의 구동시 히터(17)가 가동되면 폐시브 급기팬(16)으로부터 열풍이 송풍되어 결로 현상이 제거되어 쾌적한 주차 실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실내에 제거되지 않은 오염공기를 신속히 강제로 유도 배출시키기 위해 도 8의 강제송풍기(1)를 구동시켜 일측 흡입통로(12)내에 배치된 강제급기관(2)을 경유하여 강제급기노즐(3)로 급기량을 토출시켜 보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폐시브 급기팬으로부터 선회 풍속을 일으켜 정압으로 풍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고, 배기통로의 방향유도판에 의해 배기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급기팬, 유인팬, 배기팬만을 가동시킴으로써 동력비 즉 전기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팬룸이 필요 없어져 주차 공간이 더 넓어진다. 또한 지하층 실내에 별도의 덕트 공사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급기구와 배기구의 내외부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의 제약성이 없다.
한편, 도 9a에서와 같이 폐시브 배기팬(22)에는 질량체(271a)를 갖고 배기구(20)에 설치되어 배기 풍속에 비례하여 개폐되는 댐퍼(27a)가 더 설치되어져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질량체(271a)는 댐퍼(27a)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기구(20)가 닫혀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 9b와 같이 폐시브 배기팬(22)에는 실린더(271b)에 연결되어 배기구(20)를 개폐하는 댐퍼(27b)가 더 설치되어져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271b)는 폐시브 배기팬(22)의 작동에 따라 진퇴 운동하여 댐퍼(27b)를 개폐 동작시킨다.
또한 도 9c와 같이 폐시브 배기팬(22)에는 스프링(271c)에 연결되어 배기구(20)를 개폐하는 댐퍼(27c)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271c)은 댐퍼(27c)의 개방 동작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복귀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댐퍼(27a,27b,27c)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배기구(20)를 제어함으로써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폐시브 급기팬(16)은 도 10과 같이 후방에 하나 이상의 흡입구(160a)와 전방에 원추형의 토출구(160b)를 갖는 원통형의 팬 케이싱(160)과; 상기 팬 케이싱(160)의 중앙에 배치된 팬 모터(165)와; 상기 팬 케이싱(160)의 내면에 설치된 팬 케이싱 흡음재(166)와; 상기 팬 케이싱(160)의 둘레에 삽입되어 있고 선단부 내면에 풍량을 먼 거리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나선 방향으로 선회되어 있는 나선홈(161)을 갖는 중공형의 팬 케이싱 하우징(167); 및 상기 팬 케이싱 하우징(167)의 내면에 설치된 하우징 흡음재(168)를 포함하고; 상기 팬 케이싱(160)과 상기 팬 케이싱 하우징(167)의 사이에 제2흡입구(169)가 더 포함되어져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팬 케이싱(160)과 팬 케이싱 하우징(167)은 동심축상에 배치된다. 또한 팬 케이싱(160)은 팬 케이싱 하우징(167)의 내부에서 후미측에 배치되어 흡입구(160a)와 제2흡입구(169)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160b) 전방측에서 합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시브 급기팬(16)은 팬 케이싱 흡음재(166)와 하우징 흡음재(168)에 의해 2중으로 흡음이 이루어져 소음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구(160a)와 제2흡입구(169)로 인해 흡입 공기량이 증가되어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나선홈(161)에 의한 풍속 증가로 인해 풍량 증대와 정압 증대를 동시에 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1: 강제송풍기
2: 강제급기관
3: 강제급기노즐
10: 지하주차장 구조물
12: 흡입통로
16: 폐시브 급기팬
160: 팬 케이싱
161: 나선홈
162: 흡음재
17: 히터
18: 배기통로
22: 폐시브 배기팬
24: 유인팬
26: 센서
30: 제어부
31: 오염구역 판단부
32: 오염정도 결정부
33: 팬구동 대수 선택부
34: 구동지시부
40: 표시창
180: 방향유도판
182: 방향유도판 제어모터
240: 주름관

Claims (13)

  1. 지하주차장 구조물(10)의 일측 흡입통로(12)내에 위치하여 각 지하층의 급기구(14)에 복수의 M개로 조합되어 설치된 폐시브 급기팬(16)과;
    지하주차장 구조물(10)의 각 지하층에 위치하여 타측 배기통로(18)를 따라 구비된 각 지하층의 배기구(20)측에 복수의 N개로 조합되어 설치된 폐시브 배기팬(22)과;
    선택된 폐시브 급기팬(16)의 급기 흐름을 지하주차장 구조물 내의 층간 실내에 확산시켜 폐시브 배기팬(22)측으로 유인하는 다수의 유인팬(24)과;
    지하 각 층간 실내의 구역별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26)와;
    상기 센서(26)의 측정 값에 따라 상기 폐시브 급기팬(16)과 유인팬(24) 및 폐시브 배기팬(2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와;
    폐시브 배기팬(22)의 배기 풍속에 따른 배기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배기통로(18)에 위치된 방향유도판(180); 및
    상기 방향유도판(180)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유도판 제어모터(182)가 포함되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폐시브 급기팬(16)은
    후면에 하나 이상의 흡입구(160a)를 갖는 원통형의 팬 케이싱(160)과,
    풍량을 먼 거리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상기 팬 케이싱(16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161)을 갖고;
    상기 팬 케이싱(160) 내에는 음이온 발생기(163)가 포함되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팬 케이싱(160)의 내주면에 풍속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흡음재(162)가 추가적으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시브 배기팬(22)에는 배출 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방향조절용 날개(22a)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폐시브 급기팬(16)에는 결로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17)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시브 급기팬(16) 및 상기 폐시브 배기팬(22)은 1단 4열, 2단 3열, 2단 4열, 3단 3열, 3단 4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유인팬(24)은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팬(241)과, 센터팬의 좌우 측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팬(242,242)으로 구성되고, 각 팬의 배기구는 배기 방향을 현장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2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팬(241)과 한 쌍의 측면팬(242,242)에는 각기 음이온 발생기(243)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30)에는 오염구역의 환기흐름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표시창(40)이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일측 흡입통로(12)내에 강제 송풍을 위한 강제송풍기(1)와;
    상기 강제송풍기(1)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 흡입통로(12)내에 배치된 강제급기관(2)과;
    상기 강제급기관(2)에 분기되어 연결된 다수 개의 강제급기노즐(3)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시브 배기팬(22)에는 질량체(271a)를 갖고 배기구(20)에 설치되어 배기 풍속에 비례하여 개폐되는 댐퍼(27a)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시브 배기팬(22)에는 실린더(271b)에 연결되어 배기구(20)를 개폐하는 댐퍼(27b)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시브 배기팬(22)에는 스프링(271c)에 연결되어 배기구(20)를 개폐하는 댐퍼(27c)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시브 급기팬(16)은,
    후방에 하나 이상의 흡입구(160a)와 전방에 원추형의 토출구(160b)를 갖는 원통형의 팬 케이싱(160)과;
    상기 팬 케이싱(160)의 중앙에 배치된 팬 모터(165)와;
    상기 팬 케이싱(160)의 내면에 설치된 팬 케이싱 흡음재(166)와;
    상기 팬 케이싱(160)의 둘레에 삽입되어 있고 선단부 내면에 풍량을 먼 거리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나선 방향으로 선회되어 있는 나선홈(161)을 갖는 중공형의 팬 케이싱 하우징(167); 및
    상기 팬 케이싱 하우징(167)의 내면에 설치된 하우징 흡음재(168)를 포함하고;
    상기 팬 케이싱(160)과 상기 팬 케이싱 하우징(167)의 사이에 제2흡입구(169)가 더 포함되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KR1020120045168A 2012-04-30 2012-04-30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KR101442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168A KR101442199B1 (ko) 2012-04-30 2012-04-30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168A KR101442199B1 (ko) 2012-04-30 2012-04-30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104A true KR20130122104A (ko) 2013-11-07
KR101442199B1 KR101442199B1 (ko) 2014-09-23

Family

ID=4985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168A KR101442199B1 (ko) 2012-04-30 2012-04-30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6629A (zh) * 2015-10-16 2016-03-09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地下立体停车库诱导通风装置及其诱导通风方法
KR20210009137A (ko) * 2019-07-16 2021-01-26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지하주차장내 오염물질 제거 및 유입 차단시스템
KR20210051503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대림 지하주차장 환경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운전 방법
KR102521215B1 (ko) * 2022-11-02 2023-04-13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835A (ko) 2018-12-31 2020-07-08 박태업 지하 주차장용 환기 시스템
KR102194461B1 (ko) 2020-06-04 2020-12-24 주식회사 오투인더스트리 지하주차장 공기정화 시스템
CN111637573A (zh) * 2020-06-06 2020-09-08 浙江好得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诱导风机控制的通风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478326B1 (ko) 2022-05-24 2022-12-15 유지홍 역회전 기능을 갖는 급기팬을 이용한 지하주차장의 환기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KR102497376B1 (ko) 2022-09-22 2023-02-07 유지홍 흡배기를 겸하는 백 드라프트 댐퍼를 갖는 환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3127B2 (ja) * 1994-10-03 2003-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換気扇
KR200155720Y1 (ko) 1997-01-31 1999-09-01 이기운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KR100827857B1 (ko) 2007-02-01 2008-05-07 이수빈 지하 구조물의 환기시스템
KR20100058983A (ko) * 2008-11-25 2010-06-04 주식회사 벤토피아 지하 구조물의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6629A (zh) * 2015-10-16 2016-03-09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地下立体停车库诱导通风装置及其诱导通风方法
KR20210009137A (ko) * 2019-07-16 2021-01-26 시스템벤트 주식회사 지하주차장내 오염물질 제거 및 유입 차단시스템
KR20210051503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대림 지하주차장 환경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운전 방법
KR102521215B1 (ko) * 2022-11-02 2023-04-13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199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199B1 (ko)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KR101347924B1 (ko)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10205496A (ja) 換気送風装置および換気送風システム
KR102302110B1 (ko)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US20060199520A1 (en) Ventilation system and pressure intensifying apparatus
JP2001193979A (ja) 室内空気再循環装置
KR101261322B1 (ko)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20150106135A (ko) 실내 주차장용 환기팬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0582457B1 (ko) 청정모드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100628042B1 (ko) 환기시스템
JP2000249365A (ja) 空気調和機
KR100583004B1 (ko)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KR20070051220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00193269A (ja) 空気調和機
KR10069671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KR102413708B1 (ko) 환기장치 연통형 냉난방유닛 통합시스템 제어방법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KR102413707B1 (ko) 환기장치 연통형 냉난방유닛 통합시스템
KR20200009938A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05871A (ko) 흡배기장치
KR102555313B1 (ko) 흡배기 전환 환기장치 및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KR102446886B1 (ko) 필터 전열소자용 우회간격을 구비하는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7071407A (ja) 床面誘導気流空調システム
KR101919827B1 (ko)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