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215B1 -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215B1
KR102521215B1 KR1020220144266A KR20220144266A KR102521215B1 KR 102521215 B1 KR102521215 B1 KR 102521215B1 KR 1020220144266 A KR1020220144266 A KR 1020220144266A KR 20220144266 A KR20220144266 A KR 20220144266A KR 102521215 B1 KR102521215 B1 KR 102521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ans
controller
blower
accommod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전기통신
Priority to KR102022014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73Control uni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leont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수도 및 하수도와 같은 지하 밀폐형 구조물의 수용실 내에 유해가스의 유무 및 정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수용실 내 가스에 대한 안전을 원격감시 하도록 할 뿐 아니라, 수용실 내 가스를 단계별 각각의 기준치값에 다다르게 되면 송풍휀을 작동시켜 가스이동관 및 외부배기관을 통해 내부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용실 내 점검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면(2) 아래의 지중에 수용실(11)을 갖으며, 지면(2)에 맞닿은 수용실(11)의 상부측에 출입부재(8)가 설치되는 밀폐형 구조물(10); 상기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제거부재(30); 상기 가스제거부재(30)는, 수용실(11) 내의 일측편에 타워 형태로 수직하게 구비되어 하단부는 수용실(11)의 바닥면(12)에 고정지지되고, 상단부는 지면(2) 상에 설치된 배기관(39)에 연결지지되는 수직가스이동관(37)과, 상기 수직가스이동관(37)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수직가스이동관(37) 내부로 이동시켜 배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2,3송풍휀(31,3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각 제1,2,3송풍휀(31,32,33) 인근의 가스유무를 감지하는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및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연결되어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는 컨트롤러(91); 상기 컨트롤러(91)는 수용실(11) 내의 유해가스 검출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을 작동시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91)에 연결되어 밀폐형 구조물(10)의 상부측 배기관(39) 상에 구비되어 컨트롤러(9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harmful gases in underground sealed structures for water and sewage an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및 하수도와 같은 지하 밀폐형 구조물의 수용실 내에 유해가스의 유무 및 정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수용실 내 가스에 대한 안전을 원격감시 하도록 할 뿐 아니라, 수용실 내 가스를 단계별 각각의 기준치값에 다다르게 되면 각각의 송풍휀을 작동시켜 가스이동관 및 외부배기관을 통해 내부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용실 내 점검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지대는 정수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급수배관의 마찰 손실이 크고, 고도가 높기 때문에 상기 배관의 말단부에는 압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이 발생하므로, 급수가압장을 설치하여 사용 유량이 변동되어도 말단부의 토출 압력이 약 1.5∼2kg/㎠ 정도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부스터펌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급수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상기 급수가압장은 평지와의 고도차가 심해 정수장에서 공급되는 송수압 만으로는 급수가 불가능한 고지대 및 구릉지에 원활한 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도심뿐만 아니라, 도시 외곽지역 또는 시골지역의 전반에 걸친 다수의 지역에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상수도 업무의 효율화 및 관리업무의 범위를 고려하여 무인 급수가압장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급수가압장은 건축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지상에의 공간확보가 어렵고, 겨울철 추위로 인한 동파로부터 배관을 보호하기 위한 이유로 지하에 비트를 파고 설치되는데, 상기 지하 비트의 경우 내부에 수도물에서 발생되는 치명적 독성을 갖는 염소가스, 일산화탄소, 모터작동으로 인한 에나멜가스 등의 많은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위험상황에서 내부점검을 위해 작업자가 비트 내에 들어가게 되면 작업자의 건강에 위협이 발생되며, 심할 경우 생명에 위협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근래 이에 대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수도 분야에서 보다 하수도 분야가 사실 상 더 위험하고 각종 가스의 발생, 유입이 많아서 사고율이 더 높은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수관로 역시 저지대의 하수 및 오수를 펌프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지하맨홀, 저류조, 펌프실 등의 밀폐형 구조물이 설치되고, 이는 상수도 송배수 관로의 지하 시설물 보다 더 많은 유해가스(메탄가스, 암모니아, LNG, LPG 등)가 발생 및 유입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가스질식사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인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인해 그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05942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상수도 및 하수도와 같은 지하 밀폐형 구조물의 수용실 내에 유해가스의 유무 및 정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수용실 내 가스에 대한 안전을 원격감시 하도록 할 뿐 아니라, 수용실 내 가스를 단계별 각각의 기준치값에 다다르게 되면 각각의 송풍휀을 작동시켜 가스이동관 및 외부배기관을 통해 내부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용실 내 점검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2) 아래의 지중에 수용실(11)을 갖으며, 지면(2)에 맞닿은 수용실(11)의 상부측에 출입부재(8)가 설치되는 밀폐형 구조물(10); 상기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제거부재(30); 상기 가스제거부재(30)는, 수용실(11) 내의 일측편에 타워 형태로 수직하게 구비되어 하단부는 수용실(11)의 바닥면(12)에 고정지지되고, 상단부는 지면(2) 상에 설치된 배기관(39)에 연결지지되는 수직가스이동관(37)과, 상기 수직가스이동관(37)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수직가스이동관(37) 내부로 이동시켜 배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2,3송풍휀(31,3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각 제1,2,3송풍휀(31,32,33) 인근의 가스유무를 감지하는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및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연결되어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는 컨트롤러(91); 상기 컨트롤러(91)는 수용실(11) 내의 유해가스 검출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을 작동시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91)에 연결되어 밀폐형 구조물(10)의 상부측 배기관(39) 상에 구비되어 컨트롤러(9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유무를 감지하는 제1,2,3작동감지센서(51,52,53)가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9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1,2,3송풍휀(31,32,33)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91)를 통해 송신기(96)에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은 유해가스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개별구동되어지되,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층가스가 제1감지센서(41)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중층가스가 제2감지센서(42)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2송풍휀(32)을 작동시키며,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저층가스가 제3감지센서(43)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에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에 따라 풍압에 의해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하향회전하여 수평위치되면서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의 내부공간을 차단시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에 의해 이동되는 유해가스가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스이동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송풍휀(31)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2송풍휀(32) 및 제3송풍휀(33)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하고, 상기 제2송풍휀(32)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3송풍휀(33) 및 제1송풍휀(31)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하며, 상기 제3송풍휀(33)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1송풍휀(31) 및 제2송풍휀(32)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함으로써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의 안전한 환경을 제공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39) 측에 가스제거스위치(89)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11) 내에 작업자 투입 전 가스제거스위치(89)를 On 시키면 저층, 중층, 고층 순으로 제3,2,1송풍휀(33,32,31)을 1사이클 회전작동시켜 수용실(11) 내의 안전을 확보함과 아울러, 각종 센서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3댐퍼(61,62,63)의 수직복귀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제1,2,3댐퍼(61,62,63)와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 사이에 밀폐를 유지토록 제1,2,3송풍휀(31,32,33)의 테두리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 상에 밀폐용패드(93)가 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가스농도측정센서가 각각 연결구비되어 수용실(11) 내 유해가스의 정도를 감지하여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제1,2,3송풍휀(31,32,33)을 동시에 작동시킴과 아울러, 관리자호출기를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알림되게 함으로써 수용실(11) 내 각종기기들을 보호토록 하고, 상기 제1송풍휀(31)의 상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외면상에 온도감지센서(85)가 구비되고, 제3송풍휀(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외면상에 습도감지센서(8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85)에 온도기준치 초과가 감지되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상기 습도감지센서(86)에 습도기준치 초과가 감지되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킴으로써 수용실(11) 내 각종 전장품의 전기적 특성을 보호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 다른 본 발명은,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2) 아래의 지중에 수용실(11)을 갖으며, 지면(2)에 맞닿은 수용실(11)의 상부측에 출입부재(8)가 설치되는 밀폐형 구조물(10)을 마련하고, 상기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제거부재(30)를 마련하되, 상기 가스제거부재(30)는, 수용실(11) 내의 일측편에 타워 형태로 수직하게 구비되어 하단부는 수용실(11)의 바닥면(12)에 고정지지되고, 상단부는 지면(2) 상에 설치된 배기관(39)에 연결지지되는 수직가스이동관(37)과, 상기 수직가스이동관(37)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수직가스이동관(37) 내부로 이동시켜 배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2,3송풍휀(31,3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각 제1,2,3송풍휀(31,32,33) 인근의 가스유무를 감지하는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를 마련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및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연결되어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는 컨트롤러(91)를 마련하되, 상기 컨트롤러(91)는 수용실(11) 내의 유해가스 검출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을 작동시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91)에 연결되어 밀폐형 구조물(10)의 상부측 배기관(39) 상에 구비되어 컨트롤러(9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96)를 마련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유무를 감지하는 제1,2,3작동감지센서(51,52,53)가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에 마련하여 상기 컨트롤러(9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1,2,3송풍휀(31,32,33)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91)를 통해 송신기(96)에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은 유해가스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개별구동되어지되,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층가스가 제1감지센서(41)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중층가스가 제2감지센서(42)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2송풍휀(32)을 작동시키며,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저층가스가 제3감지센서(43)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에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에 따라 풍압에 의해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하향회전하여 수평위치되면서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의 내부공간을 차단시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에 의해 이동되는 유해가스가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스이동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상기 배기관(39) 측에 가스제거스위치(89)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11) 내에 작업자 투입 전 가스제거스위치(89)를 On 시키면 저층, 중층, 고층 순으로 제3,2,1송풍휀(33,32,31)을 1사이클 회전작동시켜 수용실(11) 내의 안전을 확보함과 아울러, 각종 센서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수도 및 하수도와 같은 지하 밀폐형 구조물의 수용실 내에 유해가스의 유무 및 정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수용실 내 가스에 대한 안전을 원격감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실 내 가스를 단계별 각각의 기준치값에 다다르게 되면 각각의 송풍휀을 작동시켜 가스이동관 및 외부배기관을 통해 내부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용실 내 점검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의 전체 구성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휀이 설치되는 가스이동관의 단면 실시 예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송풍휀의 작동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 및 하수도와 같은 지하 밀폐형 구조물의 수용실 내에 유해가스의 유무 및 정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수용실 내 가스에 대한 안전을 원격감시 하도록 할 뿐 아니라, 수용실 내 가스를 단계별 각각의 기준치값에 다다르게 되면 송풍휀을 작동시켜 가스이동관 및 외부배기관을 통해 내부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용실 내 점검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밀폐형 구조물(10), 가스제거부재(30),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 컨트롤러(91) 및 송신기(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지면(2) 아래의 지중에 수용실(11)을 갖으며, 지면(2)에 맞닿은 수용실(11)의 상부측에 출입부재(8)가 설치되는 밀폐형 구조물(10)이 구비된다.
상기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즉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가스제거부재(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유해가스는 수도물에서 발생되는 치명적 독성을 갖는 염소가스, 그리고 하수, 오수 등의 송,배수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 암모니아, LNG, LPG 등이 포함된다.
상기 가스제거부재(30)는 수용실(11) 내의 일측편에 타워 형태로 수직하게 구비되어 하단부는 수용실(11)의 바닥면(12)에 고정지지되고, 상단부는 지면(2) 상에 설치된 배기관(39)에 연결지지되는 수직가스이동관(37)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가스이동관(37)은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층가스, 중층가스, 저층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제거 시키기 위해 수직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수직가스이동관(37)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수직가스이동관(37) 내부로 이동시켜 지면(2) 상부에 구비된 배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2,3송풍휀(31,32,33)이 구비된다.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은 유해가스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개별구동되도록 구성함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 동시구동 가능토록 구성한다.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구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각 제1,2,3송풍휀(31,32,33) 인근의 가스유무를 감지하는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가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는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층가스, 중층가스, 저층가스를 위치에 따라 감지하기 위해 높이에 적합토록 설치되어 제1,2,3송풍휀(31,32,33)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및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연결되어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는 컨트롤러(91)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컨트롤러(91)는 수용실(11) 내의 유해가스 검출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을 작동시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91)에 연결되어 밀폐형 구조물(10)의 상부측 배기관(39) 상에 구비되어 컨트롤러(9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96)가 구비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유무를 감지하는 제1,2,3작동감지센서(51,52,53)가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91)에 작동신호에 따라 제1,2,3송풍휀(31,32,33)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91)를 통해 송신기(96)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은 유해가스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개별구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층가스가 제1감지센서(41)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중층가스가 제2감지센서(42)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2송풍휀(32)을 작동시키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저층가스가 제3감지센서(43)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제1,2,3송풍휀(31,32,33)은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의한 가스의 감지가 해제될때 까지 회전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작동구성에서, 제1예시로서 상기 제1송풍휀(31)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2송풍휀(32) 및 제3송풍휀(33)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하고, 제2예시로서 상기 제2송풍휀(32)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3송풍휀(33) 및 제1송풍휀(31)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하며, 제3예시로서 상기 제3송풍휀(33)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1송풍휀(31) 및 제2송풍휀(32)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함으로써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의 안전한 환경을 제공토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에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위치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 상태에서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에 따라 풍압에 의해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하향회전하여 수평위치되면서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의 내부공간을 차단시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에 의해 이동되는 유해가스가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스이동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2,3댐퍼(61,62,63)는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에 따른 풍압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것을 기본구성으로 하나, 전기적으로 자동회전 가능토록 함으로써 고효율의 환기 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배기관(39) 측에 가스제거스위치(89)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11) 내에 작업자 투입 전 가스제거스위치(89)를 On 시키면 저층, 중층, 고층 순으로 제3,2,1송풍휀(33,32,31)을 1사이클 회전작동시켜 수용실(11) 내의 안전을 확보함과 아울러, 각종 센서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2,3댐퍼(61,62,63)의 수직복귀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제1,2,3댐퍼(61,62,63)와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 사이에 밀폐를 유지토록 제1,2,3송풍휀(31,32,33)의 테두리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 상에 밀폐용패드(93)가 부착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밀폐용패드(93)의 구성으로 인해 수직가스이동관(37)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다시 밀폐형 구조물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미도시되었으나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가스농도측정센서가 각각 연결구비되어 수용실(11) 내 유해가스의 정도를 감지하여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제1,2,3송풍휀(31,32,33)을 동시에 작동시킴과 아울러, 관리자호출기를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알림되게 함으로써 수용실(11) 내 각종기기들을 보호토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송풍휀(31)의 상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외면상에 온도감지센서(85)가 구비되고, 제3송풍휀(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외면상에 습도감지센서(8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85)에 온도기준치 초과가 감지되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상기 습도감지센서(86)에 습도기준치 초과가 감지되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킴으로써 수용실(11) 내 각종 전장품의 전기적 특성을 보호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은, 지면(2) 아래의 지중에 수용실(11)을 갖으며, 지면(2)에 맞닿은 수용실(11)의 상부측에 출입부재(8)가 설치되는 밀폐형 구조물(10)을 마련하고, 상기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제거부재(30)를 마련하되, 상기 가스제거부재(30)는, 수용실(11) 내의 일측편에 타워 형태로 수직하게 구비되어 하단부는 수용실(11)의 바닥면(12)에 고정지지되고, 상단부는 지면(2) 상에 설치된 배기관(39)에 연결지지되는 수직가스이동관(37)과, 상기 수직가스이동관(37)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수직가스이동관(37) 내부로 이동시켜 배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2,3송풍휀(31,3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각 제1,2,3송풍휀(31,32,33) 인근의 가스유무를 감지하는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를 마련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및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연결되어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는 컨트롤러(91)를 마련하되, 상기 컨트롤러(91)는 수용실(11) 내의 유해가스 검출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을 작동시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91)에 연결되어 밀폐형 구조물(10)의 상부측 배기관(39) 상에 구비되어 컨트롤러(9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96)를 마련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유무를 감지하는 제1,2,3작동감지센서(51,52,53)가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에 마련하여 상기 컨트롤러(9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1,2,3송풍휀(31,32,33)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91)를 통해 송신기(96)에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은 유해가스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개별구동되어지되,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층가스가 제1감지센서(41)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중층가스가 제2감지센서(42)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2송풍휀(32)을 작동시키며,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저층가스가 제3감지센서(43)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에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에 따라 풍압에 의해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하향회전하여 수평위치되면서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의 내부공간을 차단시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에 의해 이동되는 유해가스가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스이동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상기 배기관(39) 측에 가스제거스위치(89)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11) 내에 작업자 투입 전 가스제거스위치(89)를 On 시키면 저층, 중층, 고층 순으로 제3,2,1송풍휀(33,32,31)을 1사이클 회전작동시켜 수용실(11) 내의 안전을 확보함과 아울러, 각종 센서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상수도 및 하수도와 같은 지하 밀폐형 구조물의 수용실 내에 유해가스의 유무 및 정도를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수용실 내 가스에 대한 안전을 원격감시 하도록 할 뿐 아니라, 수용실 내 가스를 단계별 각각의 기준치값에 다다르게 되면 각각의 송풍휀을 작동시켜 가스이동관 및 외부배기관을 통해 내부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수용실 내 점검 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밀폐형 구조물 11 : 수용실
30 : 가스제거부재 31,32,33 : 제1,2,3송풍휀
37 : 수직가스이동관 41,42,43 : 제1,2,3가스감지센서
91 : 컨트롤러 96 : 송신기

Claims (9)

  1.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2) 아래의 지중에 수용실(11)을 갖으며, 지면(2)에 맞닿은 수용실(11)의 상부측에 출입부재(8)가 설치되는 밀폐형 구조물(10);
    상기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제거부재(30); 상기 가스제거부재(30)는, 수용실(11) 내의 일측편에 타워 형태로 수직하게 구비되어 하단부는 수용실(11)의 바닥면(12)에 고정지지되고, 상단부는 지면(2) 상에 설치된 배기관(39)에 연결지지되는 수직가스이동관(37)과, 상기 수직가스이동관(37)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수직가스이동관(37) 내부로 이동시켜 배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2,3송풍휀(31,3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각 제1,2,3송풍휀(31,32,33) 인근의 가스유무를 감지하는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및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연결되어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는 컨트롤러(91); 상기 컨트롤러(91)는 수용실(11) 내의 유해가스 검출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을 작동시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91)에 연결되어 밀폐형 구조물(10)의 상부측 배기관(39) 상에 구비되어 컨트롤러(9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유무를 감지하는 제1,2,3작동감지센서(51,52,53)가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9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1,2,3송풍휀(31,32,33)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91)를 통해 송신기(96)에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은 유해가스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개별구동되어지되,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층가스가 제1감지센서(41)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중층가스가 제2감지센서(42)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2송풍휀(32)을 작동시키며,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저층가스가 제3감지센서(43)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에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에 따라 풍압에 의해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하향회전하여 수평위치되면서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의 내부공간을 차단시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에 의해 이동되는 유해가스가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스이동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휀(31)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2송풍휀(32) 및 제3송풍휀(33)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하고,
    상기 제2송풍휀(32)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3송풍휀(33) 및 제1송풍휀(31)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하며,
    상기 제3송풍휀(33)이 작동한 후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제1송풍휀(31) 및 제2송풍휀(32)이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1사이클 작동되게 하여 수직가스이동관(37) 내의 가스를 모두 제거토록 함으로써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의 안전한 환경을 제공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39) 측에 가스제거스위치(89)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11) 내에 작업자 투입 전 가스제거스위치(89)를 On 시키면 저층, 중층, 고층 순으로 제3,2,1송풍휀(33,32,31)을 1사이클 회전작동시켜 수용실(11) 내의 안전을 확보함과 아울러, 각종 센서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댐퍼(61,62,63)의 수직복귀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제1,2,3댐퍼(61,62,63)와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 사이에 밀폐를 유지토록 제1,2,3송풍휀(31,32,33)의 테두리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 상에 밀폐용패드(93)가 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가스농도측정센서가 각각 연결구비되어 수용실(11) 내 유해가스의 정도를 감지하여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제1,2,3송풍휀(31,32,33)을 동시에 작동시킴과 아울러, 관리자호출기를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알림되게 함으로써 수용실(11) 내 각종기기들을 보호토록 하고,
    상기 제1송풍휀(31)의 상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외면상에 온도감지센서(85)가 구비되고, 제3송풍휀(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외면상에 습도감지센서(8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85)에 온도기준치 초과가 감지되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상기 습도감지센서(86)에 습도기준치 초과가 감지되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킴으로써 수용실(11) 내 각종 전장품의 전기적 특성을 보호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9.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2) 아래의 지중에 수용실(11)을 갖으며, 지면(2)에 맞닿은 수용실(11)의 상부측에 출입부재(8)가 설치되는 밀폐형 구조물(10)을 마련하고,
    상기 밀폐형 구조물(10)의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가스제거부재(30)를 마련하되, 상기 가스제거부재(30)는, 수용실(11) 내의 일측편에 타워 형태로 수직하게 구비되어 하단부는 수용실(11)의 바닥면(12)에 고정지지되고, 상단부는 지면(2) 상에 설치된 배기관(39)에 연결지지되는 수직가스이동관(37)과, 상기 수직가스이동관(37)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실(11)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수직가스이동관(37) 내부로 이동시켜 배기관(39)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2,3송풍휀(31,32,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각 제1,2,3송풍휀(31,32,33) 인근의 가스유무를 감지하는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를 마련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및 제1,2,3가스감지센서(41,42,43)에 연결되어 각각의 신호를 전달받는 컨트롤러(91)를 마련하되, 상기 컨트롤러(91)는 수용실(11) 내의 유해가스 검출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을 작동시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91)에 연결되어 밀폐형 구조물(10)의 상부측 배기관(39) 상에 구비되어 컨트롤러(91)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96)를 마련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유무를 감지하는 제1,2,3작동감지센서(51,52,53)가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에 마련하여 상기 컨트롤러(91)의 작동신호에 따라 제1,2,3송풍휀(31,32,33)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러(91)를 통해 송신기(96)에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제1,2,3송풍휀(31,32,33)은 유해가스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개별구동되어지되,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고층가스가 제1감지센서(41)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1송풍휀(31)을 작동시키고,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중층가스가 제2감지센서(42)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2송풍휀(32)을 작동시키며, 상기 수용실(11) 내에서 가스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저층가스가 제3감지센서(43)에 감지되면 컨트롤러(91)를 통해 제3송풍휀(33)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 내면에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의 작동에 따라 풍압에 의해 제1,2,3댐퍼(61,62,63)가 힌지축(61a,62a,63a)을 중심으로 하향회전하여 수평위치되면서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 수직가스이동관(37)의 내부공간을 차단시켜 제1,2,3송풍휀(31,32,33) 각각에 의해 이동되는 유해가스가 제1,2,3송풍휀(31,32,33)의 하부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가스이동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상기 배기관(39) 측에 가스제거스위치(89)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11) 내에 작업자 투입 전 가스제거스위치(89)를 On 시키면 저층, 중층, 고층 순으로 제3,2,1송풍휀(33,32,31)을 1사이클 회전작동시켜 수용실(11) 내의 안전을 확보함과 아울러, 각종 센서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KR1020220144266A 2022-11-02 2022-11-02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KR10252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266A KR102521215B1 (ko) 2022-11-02 2022-11-02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266A KR102521215B1 (ko) 2022-11-02 2022-11-02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215B1 true KR102521215B1 (ko) 2023-04-13

Family

ID=8597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266A KR102521215B1 (ko) 2022-11-02 2022-11-02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2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514A (ja) * 1993-02-16 1994-08-30 Fuji Electric Co Ltd 自動換気装置
KR20130122104A (ko) * 2012-04-30 2013-11-07 남기윤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KR102059424B1 (ko) 2019-05-13 2019-12-26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상수도 설비인 무인 배수지 및 무인 가압장의 시설물 점검 방법
KR20200045860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티움코리아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KR102281604B1 (ko) * 2021-03-18 2021-07-26 주식회사 금성풍력 지하공간 환기 시스템의 군집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4401B1 (ko) * 2019-09-11 2021-12-31 장형철 집진기 오염농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기 오염농도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514A (ja) * 1993-02-16 1994-08-30 Fuji Electric Co Ltd 自動換気装置
KR20130122104A (ko) * 2012-04-30 2013-11-07 남기윤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KR20200045860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티움코리아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KR102059424B1 (ko) 2019-05-13 2019-12-26 (주) 이베스트엔지니어링 상수도 설비인 무인 배수지 및 무인 가압장의 시설물 점검 방법
KR102344401B1 (ko) * 2019-09-11 2021-12-31 장형철 집진기 오염농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기 오염농도 측정방법
KR102281604B1 (ko) * 2021-03-18 2021-07-26 주식회사 금성풍력 지하공간 환기 시스템의 군집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7095C (en) Inflatable fluid conduit plug
CN109731268B (zh) 一种基于火源定位的室内消防系统及方法
KR20110100175A (ko) 이중감지식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CN101198539A (zh) 具有升降装置管道的建筑物中的热能管理方法和系统
CN202715163U (zh) 一种自动消防系统
KR101105194B1 (ko) 습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옥내·외 수배전반
KR101543757B1 (ko) 라돈 제거 시스템
WO2013024935A1 (en) Gas type fire-fighting apparatus having double detective function for ships
KR101937330B1 (ko) 소방압력 펌프의 고착방지 및 제어장치.
US6979260B2 (en) Method and device to prevent indoor release of carbon monoxide and smoke from combustors
KR102521215B1 (ko) 상하수도 지하 밀폐형 구조물 내 유해가스 검출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시제어시스템
KR101643317B1 (ko)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CN104575649A (zh) 防止放射性可燃气溶胶外溢的装置
CN111720152B (zh) 一种隧道排烟系统及隧道排烟控制方法
JP3131855U (ja) 負圧作業区域の負圧管理装置
KR101233425B1 (ko) 터널용 연기 확산 지연 장치 및 시스템
CN102493874A (zh) 具有消防、隔热、通风和隔声功能的燃气轮机箱装体
KR101654596B1 (ko)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CN205900110U (zh) 一种地下核电站密封门系统
JP5328098B2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KR102457482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오염공기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JP2005275866A (ja) 建築物における設備スペース内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RU2687243C1 (ru) Система разделения гермообъёма контайнмента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KR102382540B1 (ko) 건물내 파이프 샤프트를 이용한 유독가스 배출장치
US20220349398A1 (en) Basement sump control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