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484A - 해적선 퇴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적선 퇴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484A
KR20130121484A KR1020120044719A KR20120044719A KR20130121484A KR 20130121484 A KR20130121484 A KR 20130121484A KR 1020120044719 A KR1020120044719 A KR 1020120044719A KR 20120044719 A KR20120044719 A KR 20120044719A KR 20130121484 A KR20130121484 A KR 20130121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vessel
module
abnorm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116B1 (ko
Inventor
장승호
배정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11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해적선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상 선박 알람을 위한 해적선 퇴치 시스템은, 본선과 상기 본선으로부터 일정 경계 영역 내에 존재하는 주변 선박을 감시하는 감시부 및 상기 감시부로부터 상기 본선 및 주변 선박들의 감시정보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이상 선박 판단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주변 선박의 속도 이상 및 패턴 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이상 선박 발생을 경보하는 통합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적선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PIRATE SHIP ERAD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이상 선박 알람을 위한 해적선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상선이나 화물선과 같이 장거리를 항해하는 선박은 공해상에서 해적에 의한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해적들이 기승을 부리면서 인도양을 항해하는 선박의 피해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국제해사국(IMB)은 해적으로부터의 방어를 위한 장치를 선박에 비치하는 것을 조언하고 있다.
따라서, 피해지역에서는 선박으로 접근하는 미확인 선박을 레이더나 유관으로 경계를 하고, 미확인 선박이 해적선으로 식별되면 소방호스를 이용한 물대포를 방사하여 접근하지 못하도록 자위적 대응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주변 선박들 중 지능적으로 접근하는 해적선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으며, 실제로 본선에 접근하는 해적선을 미리 파악하지 못하여 해적들의 승선을 허용하는 피해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실제 해적선의 공격 패턴을 분석해 보면 본선과 일정 거리 이내에서 빠른 속도로 접근하여 공격하거나 본선과 비슷한 속도로 일정 거리만큼 따라오다가 공격하는 경향을 갖는다.
항해 선박이 해적들에게 피해를 받지 않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해적선이 선박에 접근하는 것을 미리 파악하여 승선을 하지 못하도록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본선의 주변에서 해적선의 공격 패턴과 유사한 이상선박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에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한편,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9405호에는 선박 해적 감시 및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은 위험지역을 설정하고 위험지역에서 일정한 경계역내에 진입하는 미확인 선박을 모두 경보 하는 것으로 그 경계영역내의 미확인 선박이 많거나 잦은 경우 반복/중복되는 경보로 그 신뢰성이 떨어지며, 실제 해적선의공격 패턴과 유사한 이상 선박을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9405호 (2010.11.09.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해적선의 공격 패턴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주변 선박의 동향을 감시하고 위험도가 높은 이상 선박을 조기에 식별하여 알람 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상 선박 알람을 위한 해적선 퇴치 시스템은, 본선과 상기 본선으로부터 일정 경계 영역에 내에 존재하는 주변 선박을 감시하는 감시부; 상기 감시부로부터 상기 본선 및 주변 선박들의 감시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감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이상 선박 판단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주변 선박의 속도 이상 및 패턴 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이상 선박 발생을 경보 하는 통합 관리부; 및 상기 이상 선박이 해적선으로 확인되면 복수의 대응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해적선의 접근에 대항하는 대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해적선의 공격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경계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주변 선박의 접근 속도 및 접근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이상 선박 판단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부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선박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레이더 모듈; 상기 주변 선박들의 식별정보, 침로 및 속도를 감시하는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모듈; 상기 본선의 위치, 침로 및 속도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 상기 본선의 위치, 침로 및 속도 정보에 따른 항해 정보를 표시하고, 항해 목적지 설정에 따른 항로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모듈; 및 상기 이상 선박 판단에 따른 경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선박 경보 모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주변 선박들의 위치, 속도 및 접근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외부 연결 모듈; 위성 통신, 초단파 통신 및 육상 통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해적선 발생 경보를 육상 또는 다른 선박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상기 본선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선박들의 방위 및 거리에 따른 상대적 위치 정보와 그 침로 및 속도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 상기 속도 이상 선박 및 패턴 이상 선박을 판단하기 위한 상기 이상 선박 판단 조건을 민감도 레벨에 따라 차등 설정하는 이상 선박 설정 모듈; 상기 감시 정보를 토대로 각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 이상 선박을 검출하여 알람 하는 이상 선박 판단 모듈; 및 상기 이상 선박 판단을 위한 설정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주변 선박의 감시정보를 시계 열로 기록하는 저장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해적선의 판단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선박 설정 모듈은, 상기 민감도를 상기 본선이 항해하는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높음(HIGH), 보통(MED) 및 낮음(LOW)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선박 판단 모듈은, 해적선의 공격 패턴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본선에 소정 속도 이상으로 변속하여 접근하는 선박을 속도 이상 선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선박 판단 모듈은, 해적선의 공격 패턴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본선과 유사한 속도와 침로를 가지고 접근하는 선박을 패턴 이상 선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상 선박 설정 모듈은, 상기 경계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주변 선박의 식별정보 확인 유무 또는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주변 선박의 개별 민감도를 하향 또는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해적선의 공격패턴을 고려하여 이상 선박 판단 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주변 선박을 감시하여 이상 선박을 신속히 검출함으로써 조기에 위험 선박 발생을 알람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선의 항로 및 항해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이상 선박 판단 조건의 민감도 레벨을 차등 조절하여 위험 지역 항해에 따른 위험선박에 대한 경계수위를 자동으로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선박의 감시정보를 토대로 개별 선박에 대한 선박 판단 조건의 민감도를 차등 조절하여 확인 선박에 대한 경계를 완화하고 미확인 선박에 대한 경계수위를 강화함으로써 이상 선박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이 출력하는 이상 선박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속도 이상 선박을 알람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이 속도 이상 선박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이상 선박을 알람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이 패턴 이상 선박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선박에 대한 민감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해적선 퇴치 시스템을 탑재하여 이상 선박 알람의 주체가 되는 선박을 본선이라 칭하고, 본선의 주변에서 감시대상이 되는 선박을 주변 선박 또는 선박이라 칭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10)은 각종 감시 장비를 통해 주변 선박을 자동으로 감시하고, 해적선 설정 기능에 따라 그 위험도를 판단하여 해적선 또는 위험 선박의 접근을 경보 및 퇴치하는 시스템으로 감시부(100), 통합 관리부(200) 및 대응부(300)를 포함한다.
감시부(100)는 본선과 상기 본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주변 선박들의 위치 및 이동 정보를 측정한다.
통합 관리부(200)는 해적선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본선 및 본선의 이동경로상에 접근하는 선박의 접근 속도 및 접근 패턴에 따른 이상 선박 판단조건을 설정한다. 이하, 본선의 주변 선박 중에서 소정 속도 이상의 빠른 속도로 변침하거나 변속하여 접근하는 선박을 '속도 이상' 선박이라 명명하고, 본선과 비슷한 속도와 방향의 진행 패턴을 가지고 접근하는 선박을 '패턴 이상' 선박이라 명명한다.
그리고, 통합 관리부(200)는 감시부(100)를 통해 상기 본선 및 주변 선박들의 크기(종류), 위치, 속도 및 접근 방향 등을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상기 이상 선박 판단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속도 이상 및 패턴 이상에 따른 이상 선박 발생을 경보 한다.
대응부(300)는 상기 위험 선박이 해적선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해적선 대응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해적선의 접근에 대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10)의 감시부(100), 통합 관리부(200) 및 대응부(300)의 세부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시부(100)는 레이더 모듈(110), AIS 모듈(120), 위치측정 모듈(130), 침로측정 모듈(140), 속도측정 모듈(150), 네비게이션 모듈(160) 및 선박 경보 모듈(170)을 포함하며, 각 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합 관리부(200)로 전달한다.
레이더 모듈(110)은 레이더 스캐너라는 전파 송수신기를 이용해서 전파를 방사하고 선박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여 반사를 일으킨 선박의 위치를 측정하며 S-BAND 레이더 및 X-BAND 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레이더 모듈(110)은 기상에 따라 성능차이가 있으나 약 30 NM(Nautical Mile)영역 내의 선박을 탐지할 수 있으며, 해적선이 소형선박으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적어도 상선용 레이더의 성능상 2~3 NM(Nautical Mile)되는 거리에서는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3 NM 거리에서는 견시를 통해 유관으로 해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레이더 모듈(110)은 선박용 고화질 야간 투시장치(Night vision)와 연동하여 야간에서도 약10Km 이내 선박의 속도나 이동방향을 분석해 해적선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자동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 모듈(110)은 고속의 X 밴드 레이더를 적용하여 48RPM의 회전속도로 안테나를 회전시켜 해적선의 위치를 약 1.25초 주기로 갱신할 수 있다.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모듈(120)은 선박자동식별장치로 주변 선박의 위치와 이동정보를 감시한다.
AIS 모듈(120)은 해적선의 자선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비롯한 각종 세부정보를 주변 선박으로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선박에서 동일하게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주변 선박의 식별정보, 위치, 침로 및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측정 모듈(130)은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및GPS(Global Positioning System)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본선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한다.
침로측정 모듈(140)은 자이로콤파스(Gyro compass)와 같은 방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본선의 침로를 측정한다.
속도측정 모듈(150)은 선속계(Speed log)를 이용하여 본선의 운항 속도를 측정한다.
네비게이션 모듈(160)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모니터상에 전자해도(Electronic Navigational Chart)와 각 측정모듈에서 수집되는 본선의 위치정보, 침로 및 속도정보에 따른 항해 정보를 표시하고, 항해 목적지 설정에 따른 항로 정보를 제공한다.
네비게이션 모듈(160)의 전자해도는 대형 상선이나 여객선 및 화물선 등이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정기 항로정보와 항해 경로주변에서 어선들이 작업하는 어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 경보 모듈(170)은 통합 관리부(200)의 이상 선박 판단에 따른 경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경보 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 및 이상 선박판단으로 인한 보안경보를 육상의 해양기관 및 다른 선박으로 전송하는 선박보안경보장치(Ship security alert system)을 포함한다.
한편, 통합 관리부(200)는 감시부(100)로부터 수집되는 주변 선박의 정보들을 분석하여 이상 선박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선박 선박 발생에 따른 대응부(300)의 동작을 통합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부(200)는 외부 연결 모듈(210), 통신 모듈(220), 표시 모듈(230), 이상 선박 설정 모듈(240), 이상 선박 판단 모듈(250) 및 저장 모듈(260)을 포함한다.
외부 연결 모듈(210)은 감시부(100) 및 대응부(300)의 각 모듈(장치)들과 연결되는 선박 내부 인터페이스로 감시부(100)로부터 본선 및 주변 선박들의 크기(종류), 위치, 속도 및 접근 방향 등의 감시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외부 연결 모듈(210)은 해적선 발생에 따른 경보 신호 및 각 모듈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위성 장비를 이용하여 육상과 통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 시스템(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초단파(Very high frequency, VHF)통신 장비 및 육상 육상통신 장비와 연동하여 해적선 발생 경보를 육상 및 다른 선박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육상 통신은 기지국을 통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서비스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G), WCDMA(wideband CDMA, 3G), 모바일 와이맥스(M-WiMAX/ WiBro, 3.5G), LTE(long term evolution, 4G)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표시 모듈(230)은 감시부(100)로부터 수집되는 본선의 위치 및 이동정보와 주변 선박들의 위치 및 이동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해적선 판단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이 출력하는 이상 선박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230)은 감시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레이더 신호와 각종 측정 신호를 토대로 본선 주변의 운항 선박 및 항해 부표 등을 100척까지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서는 'SYSTEM OFF' 상태여서 생략되었으나 표시 모듈(230)은 본선의 위치(원 중앙)를 중심으로 주변 선박들의 방위 및 거리에 따른 상대적 위치 정보와 그 침로 및 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주변 선박들 중에서 해적선과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이상 선박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여러 판단 요소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해적선이 주로 가지고 있는 공격 패턴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분석해보면 해적선은 보트형태의 소형선박으로 빠른 속도로 목표 선박에 접근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상 선박 설정 모듈(240)은 도 3에서와 같이 이상 선박 설정 메뉴에서 일반 선박과 이상 선박을 구분하기 위해 주변 선박의 크기(WIDTH), 속도(SPEED) 및 CPA(Closest Point of Approach) 등의 감지 정보를 이상 선박 판단 요소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CPA는 본선 및 주변 선박의 침로를 고려한 최단 접근 거리를 의미한다.
이상 선박 설정 모듈(240)은 상기 이상 선박 판단 요소를 토대로 속도 이상 선박 및 패턴 이상 선박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차등 설정한다.
여기서, 속도 이상 선박 판단조건은 주변 선박이 소정 속도 및 소정 가속도를 초과하여 본선에 빠르게 접근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패턴 이상 선박 판단조건은 일정 시간 동안 본선과 유사한 침로 및 속도를 가지고 일정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패턴을 가지는 선박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을 의미한다.
이상 선박 설정 모듈(240)은 상기 차등 설정된 이상 선박 판단조건(각 기준 값)에 따른 민감도를 본선이 항해하는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높음(HIGH), 보통(MED), 낮음(LOW)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선박 설정 모듈(240)은 네비게이션 모듈(160)을 참조하여 본선이 해적선 출몰이 잦은 지역을 항해하는 경우 민감도 레벨을 높음(HIGH)으로 상향 조절하여 이상 선박 판단을 위한 경계수위를 자동으로 강화할 수 있다.
이상 선박 판단 모듈(250)은 감시부(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주변 선박들의 감시정보를 토대로 각 주변 선박에 대한 속도, 침로 및 CPA 값을 계산하여 저장 모듈(260)에 저장한다.
이 때, 저장 모듈(260)은 이상 선박 판단을 위한 각종 설정 데이터(예; 이상 선박 판단 조건 및 민감도 설정 조건 등)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주변 선박 감시에 따라 수집 및 생성되는 각종 감시정보 및 산출데이터를 시계 열로 기록한다.
즉, 저장 모듈(260)은 감시부(100)로부터 획득되는 주변 선박의 식별정보, 선박종류, 선박크기 등의 제반 정보와 함께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속도, 침로 및 CPA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 선박 판단 모듈(250)은 주변 선박이 일정 거리에 도달하면, 저장된 주변 선박의 속도, 침로 및 CPA 값을 상기 민감도 설정에 따른 이상 선박 판단 조건과 각각 비교하여, 각 이상 선박 판단 조건을 초과하는 속도 이상 선박 및 패턴 이상 선박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알람 한다.
상기 알람 시 이상 선박 판단 모듈(250)은 해당 이상 선박을 표시 모듈(230)의 UI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이상 선박이 해적선으로 판단되면 이를 선박 경보 모듈(170)로 전달하여 해적선 발생 상황에 대응토록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의 통합 관리부(200)가 속도 이상 선박 및 패턴 이상 선박 발생을 알람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속도 이상 선박을 알람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이 속도 이상 선박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의 통합 관리부(200)는 감시부(100)로부터 일정 주기(예; 2.5초 주기)로 주변 선박에 대한 속도 정보를 수집하고(S101),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되는 속도 정보를 저장한다(S102).
그리고, 통합 관리부(200)는 도 5와 같이 주변 선박(A)이 본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경계 영역 내에 진입하면(S103; 예), 속도 이상 선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음의 과정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부(200)는 일정 시간 동안 저장된 주변 선박(A)의 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속도 변화량이 존재하면(S104; 예), 그 속도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가속도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106).
통합 관리부(200)는 주변 선박(A)의 속도 변화량이 상기 기준 가속도 값을 초과하면(S105; 예), 상기 주변 선박(A)의 현재 속도가 소정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106).
통합 관리부(200)는 주변 선박(A)의 현재 속도 또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S106; 예), 상기 주변 선박(A)을 속도 이상 선박으로 검출하여 속도 이상 선박 발생 정보를 자동 알람 한다(S107).
즉, 도 5와 같이 주변 선박(A)가 경계 영역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추적을 개시하고, 주변 선박(A)에 대한 속도 변화량 및 현재속도가 속도 이상 선박 판단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속도 이상 선박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S103 단계 내지 S106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속도 이상 선박 판단 기준에 해당하지 않으면(S103~S106; 아니오), 상기 S102 단계로 돌아가 주변 선박 감시정보 수집에 따른 이상 선박 감시를 반복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이상 선박을 알람 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이 패턴 이상 선박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의 통합 관리부(200)는 감시부(100)로부터 일정 주기(예; 2.5초 주기)로 주변 선박에 대한 속도 및 침로를 수집하여(S201),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되는 속도 및 침로 정보를 저장한다(S202).
통합 관리부(200)는 도 7과 같이 주변 선박(B)이 본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경계영역 내에 진입하면(S203; 예), 패턴 이상 선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음의 과정을 수행한다.
통합 관리부(200)는 일정 시간 동안 저장된 주변 선박(B)의 속도 및 침로 정보를 분석하고, 본선의 속도 및 침로 정보(진행 패턴)와 비교한다(S204).
이 때, 통합 관리부(200)는 상기 비교 결과 주변 선박(B)이 일정 오차 범위 이내에서 본선과 유사한 속도 및 침로 정보를 가지고 본선에 접근하는 것으로 파악되면(S205; 예), 패턴 이상 선박으로 검출하여 패턴 이상 선박 발생 정보를 자동 알람 한다(S206).
즉, 통합 관리부(200)는 도 7과 같이 주변 선박(B)가 경계 영역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추적을 개시하고, 상기 주변 선박(B)의 진행 패턴(속도 및 침로)이 본선의 진행 패턴과 패턴 이상 판단 기준 값 미만인 경우 패턴 이상 선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203 단계에서 주변 선박(B)이 본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경계영역 내에 진입하지 않으면(S203; 아니오), 진입 여부감시를 계속하고, 상기 S205 단계에서 패턴 이상 선박 판단 기준에 해당하지 않으면(S205; 아니오), 상기 S204 단계로 돌아가 주변 선박(B)의 감시정보 수집에 따른 패턴 이상 선박 감시를 반복한다.
한편, 통합 관리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상 선박 발생을 검출한 이후에, 상기 이상 선박에 대한 견시 및 야간 투시장치를 통한 분석으로 해적선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관리부(200)는 해적선 발생 신호를 선박 경보 모듈(170)로 전달하고, 해적선 발생 경보를 육상 및 다른 선박으로 전송하여 알리거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부(200)는 대응부(300)와 연동하여 원격 제어기(330)를 통해 워터 캐논(310) 및 워터 셔터(320)를 구동함으로써 해적선의 접근에 초기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적선 퇴치 시스템은 해적선의 공격패턴을 고려하여 이상 선박 판단 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주변 선박을 감시하여 이상 선박을 신속히 검출함으로써 조기에 위험 선박 발생을 알람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선의 항로 및 항해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이상 선박 판단 조건의 민감도 레벨을 차등 조절하여 위험 지역 항해에 따른 경계수위를 자동으로 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 예에서는 일정한 경계 영역 내에 진입한 주변 선박에 대해 본선의 항해 지역에 따라 설정된 민감도를 일괄 적용하여 이상 선박 판단 조건을 반영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변 선박의 감시정보에 식별선박과 미확인 선박 별로 차등되는 민감도 레벨을 반영하여 이상 선박을 판단 할 수도 있다.
본선의 감시 대상인 주변 선박은 정규 항로로 운항하는 화물선(상선) 및 여객선과 어로를 따라 운항하거나 어장을 형성하는 어선 및 경비정, 함정과 같이 특수 목적을 위한 순시선 등 다양한 종류의 선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선박들 중에서 대형 화물선이나 여객선과 같은 선박은 AIS 장비 등을 통한 식별정보의 확인이 가능하고 주로 정규항로를 운항하여 비교적 안전하므로 확인 선박과 미확인 선박을 각각 구분하여 개별 민감도 레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선박에 대한 민감도 조절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부(200)는 본선이 항해하는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이상 선박 판단조건(각 기준 값)에 따른 민감도를 높음(HIGH), 보통(MED), 낮음(LOW)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음을 설명하였다.
이하 설명되는 도 8은 상기 도 4 및 도 5의 S103 또는 S203 단계와 S104 또는 S204 단계 사이에 이루어 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본선이 일반적인 정규 항로에서 보통(MED)의 민감도 레벨을 적용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통합 관리부(200)는 경계 영역 내에 존재하는 주변 선박의 감시정보에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01). 통상 500 톤급 이상의 선박은 의무적으로 AIS 장비가 장착되므로 감시부(100)를 통한 식별이 가능하다.
통합 관리부(200)는 주변 선박의 식별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미확인 선박인 경우(S301; 아니오), 주변 선박의 크기(너비)가 소정 크기 이상인지 파악한다(S302). 통상 해적선으로는 속도가 빠른 중소형 선박이 사용되는 반면, 소정 크기이상(예; 500톤급 이상)의 선박이 해적선으로 사용될 확률은 현저히 떨어진다.
통합 관리부(200)는 주변 선박이 소정크기 미만의 미확인 선박으로 판단된 경우(S302; 아니오), 해당 주변 선박에 대한 민감도를 상향 레벨(높음)로 조정한다(S303). 그리고, 개별 선박의 민감도 상향 조정에 따른 이상 선박 여부 판단 과정을 수행한다(S304).
반면, 상기 S301 및 S302 단계에서 주변 선박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거나(S301; 예), 주변 선박이 소정 크기 이상이면(S302; 예), 해당 주변 선박에 대한 민감도를 하향 레벨(낮음)로 조정한다(S305). 그리고, 개별 선박의 민감도 하향 조정에 따른 이상 선박 여부 판단 과정을 수행한다(S304).
이처럼, 본 발명의 추가된 실시 예에 따르면 주변 선박의 감시정보를 토대로 개별 선박에 대한 선박 판단 조건의 민감도를 차등 조절하여 확인 선박에 대한 경계를 완화하고 미확인 선박에 대한 경계수위를 강화함으로써 이상 선박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감시부 110: 레이더 모듈
120: AIS 모듈 130: 위치 측정 모듈
140: 침로 측정 모듈 150: 속도 측정 모듈
160: 네비게이션 모듈 170: 선박 경보 모듈
200: 통합 관리부 210: 외부 연결 모듈
220: 통신 모듈 230: 표시 모듈
240: 이상 선박 설정 모듈 250: 이상 선박 판단 모듈
260: 저장 모듈 300: 대응부
310: 워터 캐논 320: 워터 셔터
330: 원격 제어기

Claims (9)

  1. 이상 선박 알람을 위한 해적선 퇴치 시스템에 있어서,
    본선과 상기 본선으로부터 일정 경계 영역 내에 존재하는 주변 선박을 감시하는 감시부; 및
    상기 감시부로부터 상기 본선 및 주변 선박들의 감시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감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이상 선박 판단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주변 선박의 속도 이상 및 패턴 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이상 선박 발생을 경보하는 통합 관리부
    를 포함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해적선의 공격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경계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주변 선박의 접근 속도 및 접근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상기 이상 선박 판단조건을 설정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선박들의 위치를 측정하는 레이더 모듈;
    상기 주변 선박들의 식별정보, 침로 및 속도를 감시하는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모듈;
    상기 본선의 위치, 침로 및 속도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모듈;
    상기 본선의 위치, 침로 및 속도 정보에 따른 항해 정보를 표시하고, 항해 목적지 설정에 따른 항로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모듈; 및
    상기 이상 선박 판단에 따른 경보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선박 경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주변 선박들의 위치, 속도 및 접근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외부 연결 모듈;
    위성 통신, 초단파 통신 및 육상 통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해적선 발생 경보를 육상 또는 다른 선박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상기 본선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선박들의 방위 및 거리에 따른 상대적 위치 정보와 그 침로 및 속도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
    상기 속도 이상 선박 및 패턴 이상 선박을 판단하기 위한 상기 이상 선박 판단 조건을 민감도 레벨에 따라 차등 설정하는 이상 선박 설정 모듈;
    상기 감시 정보를 토대로 각 설정 조건을 초과하는 이상 선박을 검출하여 알람 하는 이상 선박 판단 모듈; 및
    상기 이상 선박 판단을 위한 설정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주변 선박의 감시정보를 시계 열로 기록하는 저장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해적선의 판단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선박 설정 모듈은,
    상기 민감도를 상기 본선이 항해하는 지역의 위험도에 따라 높음(HIGH), 보통(MED) 및 낮음(LOW)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선박 판단 모듈은,
    해적선의 공격 패턴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본선에 소정 속도 이상으로 변속하여 접근하는 선박을 속도 이상 선박으로 판단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선박 판단 모듈은,
    해적선의 공격 패턴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본선과 유사한 속도와 침로를 가지고 접근하는 선박을 패턴 이상 선박으로 판단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선박 설정 모듈은,
    상기 경계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주변 선박의 식별정보 확인 유무 또는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주변 선박의 개별 민감도를 하향 또는 상향 조정하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KR1020120044719A 2012-04-27 2012-04-27 해적선 퇴치 시스템 KR10138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19A KR101383116B1 (ko) 2012-04-27 2012-04-27 해적선 퇴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19A KR101383116B1 (ko) 2012-04-27 2012-04-27 해적선 퇴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484A true KR20130121484A (ko) 2013-11-06
KR101383116B1 KR101383116B1 (ko) 2014-04-09

Family

ID=4985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19A KR101383116B1 (ko) 2012-04-27 2012-04-27 해적선 퇴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982A (ko) * 2014-12-03 2016-06-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항해레이더를 이용한 향상된 사격통제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사격 통제 방법
KR20190048015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현대아이씨티 브로드밴드 레이더를 이용한 해적선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674A (ja) * 2003-09-26 2005-04-14 Kawasaki Shipbuilding Corp 不審船探知方法及び装置
JP2009031188A (ja) 2007-07-30 2009-02-12 Tokyo Keiki Inc 不審船監視装置
KR101078432B1 (ko) * 2009-04-30 2011-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해적 감시 및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47464B1 (ko) 2011-07-22 2013-03-25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982A (ko) * 2014-12-03 2016-06-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항해레이더를 이용한 향상된 사격통제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사격 통제 방법
KR20190048015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현대아이씨티 브로드밴드 레이더를 이용한 해적선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116B1 (ko)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40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considering GPS jamming
JP4965377B2 (ja) 警報制御装置
US7710309B2 (en) Method for small-scale fishing boat equipped with radar receiver to avoid ship collision and the radar receiver therefor
KR101379340B1 (ko) 위험 상황에서의 선박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302382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vessels
KR101880815B1 (ko) 선박 안전 항해 모니터링 및 자동회피 서비스 제공 시스템
ES2727264T3 (es) Reducción de alertas falsas de radar
US20150042505A1 (en) Method for observing and recording the identity, position and movement of one or more vessels in specific waters or sailing line
KR101193687B1 (ko) 선박 충돌 방지를 위한 운항 제어 시스템
KR20180081979A (ko) 자율 운항선 충돌방지 시스템
KR100981990B1 (ko) 부표를 이용한 연안 선박의 위치 및 궤적 추정을 통한 안전관제장치 및 그 방법
KR101383116B1 (ko) 해적선 퇴치 시스템
KR101393576B1 (ko) 해적선 설정 기능을 가지는 해적선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5398A (ko) 중소형 선박용 사고 감지 및 원인분석이 가능한 ai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20133590A (ko) 위험선박 대응 시스템, 위험선박 대응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11541B1 (ko) 해적선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942979B (zh) 探测目标的预警方法及装置
KR20200041183A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대피지원시스템
JP6218450B2 (ja) シャドーイング判定装置および運行支援装置
KR102541032B1 (ko) 선박의 안전 운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4051B1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대피지원시스템
EP3230761B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a dynamic situational awareness of attack radar threats
KR102415979B1 (ko) 주의 선박의 안전거리 침입 경고 방법
KR102068287B1 (ko) 브로드밴드 레이더를 이용한 해적선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20126B2 (ja) 無線信号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