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1112A - 서랍 - Google Patents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1112A
KR20130121112A KR1020137014173A KR20137014173A KR20130121112A KR 20130121112 A KR20130121112 A KR 20130121112A KR 1020137014173 A KR1020137014173 A KR 1020137014173A KR 20137014173 A KR20137014173 A KR 20137014173A KR 20130121112 A KR20130121112 A KR 20130121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holder
frame
frame attachment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313B1 (ko
Inventor
롤프 메르테스
크리스챤 슈텔체르
유르겐 바움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12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4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 A47B88/95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 A47B88/956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for enabling adjustment of the front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2Corner connectors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4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 A47B88/95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 A47B2088/952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characterised by connection means for the front panel having two parts and using a screw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 프레임(1)을 포함하는 서랍에 관한 것으로, 상기 측면 프레임(1)은 서로 마주보고 후벽(3)에 부착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1) 상에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 어태치먼트(2)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 각각은 조정 장치에 의해 그것의 경사 조정 가능한 프론트 패널(4)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조정 장치는 홀더(6)를 포함하고,상기 홀더(6)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 어태치먼트(2)에 연결되고, 조정 부재(7)를 지지하며, 상기 조정 부재(7)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넓은 측면 중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4) 상에 고정된 어태치먼트부(18)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랍{Drawer}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서랍에 관한 것이다.
프론트 패널(front panel)의 경사 조정은 조정 장치(adjustment device)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조정 장치는 서로 대응하는 조정부(adjustment parts)들로 구성된다. 상기 조정부 중 하나는 상기 프론트 패널 상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프레임 어태치먼트(frame attachment) 상에 작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지금까지의 체결(fastening)은 상기 조정 장치를 수용하는 다수의 하우징을 수단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그리고 하우징부들은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를 통해 가이드된다.
이는 하우징의 두께 상승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의 패시지 보어홀(Passage boreholes) 도입은, 바람직하게 단순한 그리고 비용-효율적인 생산(cost-effective production)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게 여겨진다. 주로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로 유리 플레이트가 자주 사용되며, 어려움을 처리할 수 있다.
단일창 안전 유리(ESG)로부터 제조되는 유리 어태치먼트의 경우에는, 페인 브레이크(pane breaks) 때문에, 드릴링(drilling)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서랍들은 대량 생산 부품들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특히, 높은 생산 비용은 반드시 특별히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항상 데퀘스트 효율(dequested efficient) 그리고 비용-효율적인 생산과 반대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species)에 따른 서랍 타입의 개선(refining) 목적을 기초로 하며, 이에 따라 보다 비용-효율적으로 생산가능하고 설치 가능하며, 보다 어트랙티브한 비주얼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진 서랍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에 의하면, 디자인 요소를 형성하는 캡(cap)은 또한 나중에 변형되거나 고객이 희망하는 대로 각각 설계됨으로써 높은 수준의 디자인 유연성이 보장된다.
특히, 폼피팅(formfitting) 방식으로 조정 장치가 장착된 서랍은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요구를 완전히 충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의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detail view)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etail view)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의 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서랍의 부분이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의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서랍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서랍의 뒷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9는, 도 4에 따른 서랍의 측면을 도 6 및 도 8에 대응하는 변형 실시예로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서랍의 측면이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도 4, 5, 6 및 8에 따른 서랍의 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과 달리, 프레임 어태치먼트(frame attachment)의 보어홀(boreholes) 도입은 생략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 어태치먼트가 유리로 구성된 경우 특히 주목할만한 비용 최소화를 가져오며, 그 공정은 앞서 언급한대로 상당한 노력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프레임 어태치먼트로 단일창 안전 유리(single-pane safety glass)의 사용을 허용한다. 단일창 안전 유리는 단일 특별 열-처리 창(single special heat-treated pane)으로 구성되어, 충격(shock) 및 내충격성(impact resistance)이 향상된다. 상기 유리는 깨질 때, 날카로운 모서리 없는 매우 작은 조각들로 산산조각 난다. 따라서 서랍 사용자의 부상 위험이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유리 대신에, 돌(stone), 금속(metal), 나무(wood), 플라스틱(plastic), 또는 플레이트(plates) 또는 시트(sheets)로 구현된 복합 재료(composite materials)가 프레임 어태치먼트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조정 부재(adjustment member)를 지지하는 홀더(holder)는 조정 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플레이트 형상이고, 프레임 어태치먼트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무 또는 목재(wooden material)과 같이 처리하기 쉬운 재료로 구성된 경우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홀더는 패시지 보어홀(Passage boreholes)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납작한 보어홀(countersunk boreholes)로 구현되고, 나무 나사(wood screws)와 같은 것을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정밀한 위치 설정을 위하여,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관련이 있는 보조기구(positioning aid),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의 패인 부분에 맞물리는 투영(projection)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정 부재를 지지하며 프론트 패널에 할당되는 홀더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되며, 후면 연결 요소(rear connecting element) 또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되고,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를 후벽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연결 요소(connecting element)의 한 쪽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 자리에 부착되어 있고,다른 한 쪽은, 폼피팅(formfitting) 방식으로 상기 후벽 또는 고정된 어태치먼트 브라킷에 연결된다.
상기 조정 부재는, 본 발명의 따른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의 넓은 측면 중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 조정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고, 나아가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된 어태치먼트부(attachment part)에 폼피팅 방식으로 맞물리고, 모듈로써 상기 홀더와 미리 조립된다.
상기 홀더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부재는 매우 평평한 구조를 갖고, 상기 조정부재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에 고정된 후에, 캡(cap)이 푸시된다. 상기 캡은 상기 홀더와 이동가능하게 연동되는 장방형의 인레이(inlay) 및 적어도 보이는 영역에서 상기 인레이를 완전하게 덮는 커버(cover)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은 보이는 요소로 적절하게 설계된 표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디자인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캡은 또한 나중에 변형되거나 고객이 희망하는 대로 각각 설계됨으로써 높은 수준의 디자인 유연성이 보장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홀더는 캡없이 단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아연 다이캐스트 파트(zinc diecast part)로 생산될 수 있다. 그러나, 보이는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피니싱 표면에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인레이 및 커버는 캡을 형성하기 위하여 미리 조립되며, 상부로부터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로 푸시된다. 상기 캡은 그것의 넓이 및 높이에 부합되게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의 양 측면을 덮는다.
조정 부재와 일체화된 상기 홀더는 오직 한 측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체결(fastening)로서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의 내면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의 캡 레스팅(cap resting) 영역은 매우 얇게 유지될 수 있어, 그것의 두께 결과에 대한 상기 캡의 필리그리(filigree) 구현은 이 영역에서 전반적인 인상을 결정한다.
적절한 도구에 의하여 상기 조정 부재를 작동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액세스 오프닝(access opening)은 인레이, 커버 및/또는 캡에 마련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 부재까지 도달할 수 있고, 조정시 상기 캡을 제거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연결 요소들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 및 디텐트 브라킷(dent bracket) 상에 고정되며, 폼피팅 방식으로 맞물리고, 상기 후벽에 고정 연결되고 각각 캡이 제공되어 있다. 이는 정면의 홀더를 덮기 위해 제공되는 그것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응된다. 즉, 캡은 각각 폼피팅 방식으로 상기 홀더에 연결된 인레이 또는 디텐트 브라킷 그리고 그것을 덮는 커버로 구성되며,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시트-금속 파트(sheet-metal part)로서 구현된다.
상기 후면 연결 요소의 단독 실시예의 경우, 어태치먼트 브라킷(attachment bracket)의 디텐트 요소(detent elements)는 완전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홀더 및/또는 후면 연결 요소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 상에서 폼피팅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홀더 또는 연결 요소는 디텐트 텅(detent tongues)를 가지며, 상기 디텐트 텅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가로축으로 정렬된 그루브(groove)에 맞물린다. 이러한 유형의 체결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가 유리로 구성된 경우, 무엇보다 그 자체를 제안한다.
상기 그루브는 문제 없이 그리고 생산시, 즉,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 크기로 자를 때, 상당히 비용-중립적인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레일(rail)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면이 U 형상이고, 클램프 섹션(clamp section)을 갖는다. 레그(legs)를 연결하는 웹(web)이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의 앞 모서리에 대항하여 누르는 동안, 상기 홀더의 두 개의 반대편 레그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의 그루브에 맞물린다.
상기 그루브가 적당하게 연속적이기 때문에, 미리 조립된 모듈로 제공되는 조정 장치는 밀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보어홀(boreholes)은 상기 조정 장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에 도입될 수 있으며, 유리 창을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로서 사용할 때, 상대적으로 큰 모서리 거리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 장치는 상대적으로 벌키 오버롤(bulky overall)로 대표된다. 상기 조정 장치의 보이는 부품이 유리 표면과 비교하여 가능한 작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에 따르면, 이것은 설계 요구에 반한다. 홀더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로 가이드 되는 것은, 충분히 큰 부착 표면을 제공해야 한다는 목적 때문에, 조정 장치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와 상기 홀더의 폼피팅 연결은, 상기 캡과 같은, 조정 장치로 사용되는 부품에 의해, 그것의 크기가 배타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쉽게 알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폼피팅 방식으로 조정 장치가 장착된 상기 서랍은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요구를 완전히 충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의 특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들을 기초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측면 프레임(1)들을 포함하는 서랍을 나타낸다.
상기 측면 프레임(1)은 서로 마주보고 후벽(3)에 부착되어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 특히 유리 프레임 어태치먼트(2)는 상기 프레임(1) 상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리 프레임 어태치먼트(2)는 또한 상기 후벽(3)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조정 장치를 통해,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는 프론트 패널(4)에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4)은 그것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조정 장치는 상기 프론트 패널(4) 상에 고정된 어태치먼트부(18), 및 조정 부재(7)로 구성되며, 그것과 함께 맞물린다. 상기 조정 부재(7)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넓은 측면 중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홀더(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상기 조정 부재(7)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guing)에 의해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내면에 고정된다. 상기 홀더(6)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접착 표면(9)을 가압한다.
도 2 및 도 4, 그리고 도 6 및 9에 도시된 다양한 홀더(6)의 예는, 상기 조정 부재(7)가, 상기 홀더(6)에 장착되는 조정 요소(8), 및 상기 조정 부재(7)에 맞물리는 슬라이드(10)로 구성되는 것을 분명히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조정 부재(7)는, 상기 프론트 패널(4)이 상기 조정 요소(8)의 회전에 따라 그 기울기에서 변화 가능한 것을 이용하여, 상기 어태치먼트부(18)에 폼피팅 방식으로 고정된다.
만일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가 나무 또는 목재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홀더(6)가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에 연결되는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countersunk holes(14)가, 나사를 통해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6)에 제공된다.
각각의 프레임 어태치먼트(2)는 연결 요소(connecting element, 11)를 수단으로 하여 상기 후벽(3)에 고정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도 3 및 도 8에 각각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상기 연결 요소(11)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support, 12) 및 리셉터클(receptacle, 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12)은, 도 4에 따른 상기 홀더(6)와 같이, 부착 표면(9)에 의해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 에 붙어있다. 상기 리셉터클(13)에는 어태치먼트 브라킷(attachment bracket, 15)이 폼피팅 방식으로 구현된다.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킷(15)과의 폼피팅을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13)은 T-그루브로써 구현되며, 상기 T-그루브에 맞게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킷(15)이 삽입된다.
이상 설명한 상기 홀더(6)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6)는 단면이 U-형상인 골(trough)로서 구현된다. 상기 홀더(6)는, 끝에 두 개의 클램프 섹션(21)을 가지며, 각각의 클램프 섹션(21)은 디텐트 텅(23)의 반대편 레그(leg)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그루브(24)에 폼피팅 방식으로 맞물리고, 상기 홀더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그루브(24)는 적어도 하나의 종단을 향하여 개방된다. 예를 들어, 상부 종단을 향하여 열려있어, 조정 부재(7)와 미리 조립된 홀더(6)은 모듈로써 제공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위치를 추정할때까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로 푸시될 수 있다.
상기 조정 부재(7)을 수용하기 위해서, 벌지(bulge, 22)는 포켓(pocket)이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와 상기 벌지(22)의 벽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클램프 섹션(21)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조정 부재(7)는 전치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벌지(22)에 삽입된다.
도 8에서, 도 6에 따른 상기 홀더(6)의 체결(fastening)과 비교할만한, 상기 후면 연결 요소(11)는, 또한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 상에 폼피팅에 의해 열리며, 상기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12)이 또한 디텐트 텅(23)을 갖는 목적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그루브(24)에 맞물린다.
상기 연결 요소(11)를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킷(15)에 연결하기 위하여, 디텐트 웹(25)은 그것의 리셉터클(13) 상에 형성되며, 상기 디텐트 웹(25)은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킷(15)의 대응하는 부분에 연결된다.
도 4 및 9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가 상기 프론트 패널(4) 및 상기 후벽(3) 상에 고정된 것을 이용하여, 각각의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상기 디텐트 요소(19)에 따르면,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킷(15)은 센터링 에이드(centering aid, 20)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링 에이드(centering aid, 20)는, 특히 설치가 상기 프론트 영역에서 미리 수행된 다음에 회전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설치 지원(aid)으로서 사용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가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된 것을 이용하는 상기 조정 장치, 및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가 상기 후벽 상에 고정된 것을 이용하는 상기 후면 연결 요소(11)는 각각 푸시-온 캡(pushed-on caps, 5)에 의해 씌워진다.
상기 캡(5)은, 각각 일체화된 조정 부재(7)을 갖는 상기 홀더(6) 위에 가이드되는,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연결 요소(11) 위에 가이드되는 인레이(16)로 구성되어, 이러한 부품들은 보이지 않는다.
커버(17)는 상기 인레이(16)로 push되고 상기 인레이(16)를 완전히 덮으며, 상기 인레이(16)의 attractive surface를 보장한다. 도 5에서, 상기 캡(5)는 이미 상기 연결요소(!1)로 push어있다.
반대로, 터미널 캡(terminal caps, 5)는 모두 아직 도 10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도 11은 이 시점에서 완료된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를 보여준다. 즉, 상기 프론트 패널(4)에 할당된 홀더(6)은 또한 상기 상응하는 캡(5)에 의해 덮여진다.
1 프레임(frame) 2 프레임 어태치먼트(frame attachment)
3 후벽(rear wall) 4 프론트 패널(front panel)
5 캡(cap) 6 홀더(holder)
7 조정 부재(adjustment member)
8 조정 요소(adjustment element)
9 부착 표면(adhesive surface)
10 슬라이드(slide) 11 연결 요소(connecting element)
12 받침(support) 13 리셉터클(receptacle)
14 납작한 보어홀(countersunk borehole1)
15 어태치먼트 브라킷(attachment bracket)
16 인레이(inlay) 17 커버(cover)
18 어태치먼트부(attachment part)
19 디텐트 요소(detent element)
20 센터링 에이드(centering aid)
21 클램프 섹션(clamp section)
22 벌지(bulge) 23 디텐트 텅(detent tongue)
24 그루브(groove) 25 디텐트 웹(detent web)

Claims (17)

  1. 측면 프레임(1)을 포함하는 서랍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1)은 서로 마주보고 후벽(3)에 부착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1) 상에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 어태치먼트(2)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 각각은 조정 장치에 의해 그것의 경사(inclination) 조정 가능한 프론트 패널(4)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조정 장치는 홀더(6)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6)는, 상기 각각의 프레임 어태치먼트(2)에 연결되고, 조정 부재(7)를 지지하며,
    상기 조정 부재(7)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넓은 측면 중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4) 상에 고정된 어태치먼트부(18)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소(11)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12)이 비치되며,
    상기 연결 요소(11)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를 상기 후벽(3)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6) 및 상기 연결 요소(11)는, 접합(material joining), 바람직하게는 접착(gluing)에 의해, 또는 폼피팅(formfitting)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6)는 클램프 섹션(clamp sections, 21)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섹션(21)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전면부를 둘러싸며, 횡단면이 U 형상이고, 상기 클램프 섹션(21)의 반대편 레그(legs)는 디텐트 텅(detent tongues, 23)을 구비하고,
    상기 디텐트 텅(23)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1)의 디텐트 리세스(detent recess)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리세스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종방향 연장에 대해 가로축으로 연장되는 그루브(groove, 24)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4)는 적어도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하나의 종단(longitudinal edge)을 향하여 개방되는 서랍.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7)의 포켓(pocket)은 전치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클램프 섹션(21)사이에 형성되는 서랍.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11)의 상기 플레이트 형상의 받침(12)은 디텐트 텅(23)을 포함하고,
    상기 디텐트 텅(2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그루브 디텐트 리세스(grooved detent recess)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6) 및/또는 상기 연결 요소(11)는, 상기 서랍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하는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의 측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7)는, 상기 홀더(6)에 배치된 조정 요소(8) 및 상기 조정 부재와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더(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4)에 연결된 어태치먼트부(18)에 폼피팅(formfitting) 방식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11)는, 어태치먼트 브라킷 (attachment bracket, 15)를 수용하기 위하여, T-그루브로서 구현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13)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인터로킹(interlocking)에 의하여 상기 후벽(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6) 및 상기 연결 요소(11)는 캡(cap, 5)에 의해 컨실드(conceal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캡(5)은 인레이(inlay, 16) 및 상기 인레이를 덮는 커버(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캡(5)은 상기 프레임 어태치먼트(2)에 대항하는 양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더(6) 및 상기 조정 부재(7)는 모듈로서 미리 조립되고, 및/또는, 상기 인레이(16) 및 상기 커버(17)는 모듈로서 미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디텐트 웹(detent webs, 25)이,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킷(15)의 폼피팅 연결을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13)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KR1020137014173A 2010-11-12 2011-10-28 서랍 KR101867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60535 2010-11-12
DE102010060535.2 2010-11-12
DE102011050438.9 2011-05-17
DE102011050438A DE102011050438A1 (de) 2010-11-12 2011-05-17 Schubkasten
PCT/EP2011/068972 WO2012062605A1 (de) 2010-11-12 2011-10-28 Schubkas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112A true KR20130121112A (ko) 2013-11-05
KR101867313B1 KR101867313B1 (ko) 2018-07-19

Family

ID=4599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173A KR101867313B1 (ko) 2010-11-12 2011-10-28 서랍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2637524B1 (ko)
JP (1) JP6009451B2 (ko)
KR (1) KR101867313B1 (ko)
CN (1) CN103200844B (ko)
AU (1) AU2011328318B2 (ko)
DE (1) DE102011050438A1 (ko)
ES (1) ES2728151T3 (ko)
RU (1) RU2567699C2 (ko)
TW (1) TW201230980A (ko)
WO (1) WO2012062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6961B (zh) * 2012-06-19 2014-07-30 伍志勇 抽屉
DE202012010755U1 (de) * 2012-11-09 2014-02-14 Grass Gmbh Vorrichtung zur Verbindung einer Front an einem Seitenteil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AT515689B1 (de) * 2014-06-18 2015-11-15 Blum Gmbh Julius Schublade
CN104116335B (zh) * 2014-07-11 2016-04-20 伍志勇 一种抽屉的稳定构造结构
DE202014104931U1 (de) * 2014-10-16 2016-01-19 Grass Gmbh Wandelement
DE202015100769U1 (de) * 2015-02-18 2016-05-19 Grass Gmbh Abdeckelement für Befestigungsorgan Modul i
AT15606U1 (de) * 2016-12-23 2018-03-15 Blum Gmbh Julius Schublade
CN108433403A (zh) * 2017-02-16 2018-08-24 苏树鹏 抽屉调整装置
DE102017105798A1 (de) * 2017-03-17 2018-09-20 Paul Hettich Gmbh & Co. Kg Zarge für einen Schubkasten
AT520636B1 (de) 2018-01-26 2019-06-15 Blum Gmbh Julius Frontblende für eine Schublade
DE102018124167A1 (de) * 2018-10-01 2020-04-02 Paul Hettich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Blende eines Schubkastens an einer Zarge
WO2021032539A1 (de) * 2019-08-21 2021-02-25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CN112401540A (zh) * 2019-08-21 2021-02-26 保罗海蒂诗有限及两合公司 抽屉
DE102019122854A1 (de) * 2019-08-26 2021-03-04 Paul Hettich Gmbh & Co. Kg Seitenzarge
US11266240B2 (en) * 2019-09-26 2022-03-08 Liberty Hardware Mfg. Corp. Drawer assembly
AT523987B1 (de) * 2020-07-06 2022-04-15 Blum Gmbh Julius Halte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auf eine Schubladenseitenwand aufsetzbaren Dekorplat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7311A2 (de) * 2006-05-26 2007-12-06 Julius Blum Gmbh Schublade mit aufsatzzargen
WO2009127467A2 (de) * 2008-04-18 2009-10-22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KR20100093071A (ko) * 2007-12-22 2010-08-24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서랍용 전방 조정 수단, 및 서랍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2449U (ko) * 1985-09-18 1987-04-01
JPH057154U (ja) * 1991-07-18 1993-02-02 株式会社小林製作所 抽斗の前板取付装置
DE10021033A1 (de) * 2000-05-02 2003-09-04 Grass Gmbh Hoechst Verstellvorrichtung zur Neigungsverstellung der Frontblende einer Schublade
EP1516561B1 (de) * 2003-09-18 2006-05-10 Grass GmbH Schublade mit Aufsatzzargen
DE202005001282U1 (de) * 2005-01-27 2005-03-31 Hettich Paul Gmbh & Co Kg Schubkasten
DE202008012170U1 (de) * 2008-04-18 2009-09-03 Paul Hettich Gmbh & Co. Kg Verstellvorrichtung für Möbel
CN201577809U (zh) * 2009-09-27 2010-09-15 董旭晖 抽屉面板微调装置及抽屉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7311A2 (de) * 2006-05-26 2007-12-06 Julius Blum Gmbh Schublade mit aufsatzzargen
KR20100093071A (ko) * 2007-12-22 2010-08-24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서랍용 전방 조정 수단, 및 서랍
WO2009127467A2 (de) * 2008-04-18 2009-10-22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2028A (ja) 2013-11-21
AU2011328318B2 (en) 2017-03-30
RU2013126165A (ru) 2014-12-20
CN103200844B (zh) 2015-01-14
CN103200844A (zh) 2013-07-10
ES2728151T3 (es) 2019-10-22
TW201230980A (en) 2012-08-01
KR101867313B1 (ko) 2018-07-19
EP2637524A1 (de) 2013-09-18
DE102011050438A1 (de) 2012-05-16
JP6009451B2 (ja) 2016-10-19
RU2567699C2 (ru) 2015-11-10
AU2011328318A1 (en) 2013-06-13
WO2012062605A1 (de) 2012-05-18
EP2637524B1 (de)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313B1 (ko) 서랍
US20100175328A1 (en) Profile system for a sliding door
CN101171482A (zh) 用于家用电器的门
CN106031563B (zh) 柜子
WO2006023967A3 (en) Invisible division bar modular assembly
KR20140026546A (ko) 서랍
RU2749219C2 (ru) Царга для выдвижного ящика
CN109922695A (zh) 抽屉
US8967743B2 (en) Furniture component with floating top
US20180206636A1 (en) Drawer comprising a base panel, two lateral walls, a rear wall and a screen
CN102724898B (zh) 抽屉容器
WO2012112506A1 (en) Composite hutch door
CN203468031U (zh) 抽屉和具有这种抽屉的家具
CN111655079B (zh) 用于抽屉的框架
CN104363793B (zh) 抽屉后壁
CN209942527U (zh) 一种拼装式门套型材
CN109750810A (zh) 壁板和相关设备
CN211007528U (zh) 一种室内装饰护墙板墙体功能金属二次收口装饰型材连接装置
EP2204526B1 (en) Improvements in doors
CN210493493U (zh) 一种玻璃柜
CN218683040U (zh) 一种用于家具抽屉的收纳机构
US20100107527A1 (en) Frame Device for Use in Building-in a Balcony
EP2000760A1 (en) Household refridgerator door
KR200496370Y1 (ko) 연결홈 커버를 구비한 무볼트조립랙
USD553967S1 (en) Patio door panel upper left hand corner bracke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