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363A -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363A
KR20130120363A KR1020120135268A KR20120135268A KR20130120363A KR 20130120363 A KR20130120363 A KR 20130120363A KR 1020120135268 A KR1020120135268 A KR 1020120135268A KR 20120135268 A KR20120135268 A KR 20120135268A KR 20130120363 A KR20130120363 A KR 20130120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art
remote controller
cart
use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469B1 (ko
Inventor
이홍규
Original Assignee
대림디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디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디앤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40Adaptation of control equipment on vehicle for remote actuation from a stationary pl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2Driver interactions by presenc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은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카트; 및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장에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자가 휴대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이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동카트와의 거리가 멀어졌음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동카트의 주행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전동카트를 사용자가 위치한 곳까지 원격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MOVEMEN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GOLF CART}
본 발명은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카트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에서 사용자들은 골프 경기를 하려면 각종 개인용 장비들을 가지고 다닌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 각종 개인용 장비들을 탑재할 수 있는 수동카트나 장비 탑재와 사용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카트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골프 경기의 진행을 원화하게 하기 위해 전동카트의 기능을 확장하여 전동카트에 항법위성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수신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뿐 아니라, 전동카트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로에 전동카트 유도장치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특별히 핸들 조작 등을 하지 않아도 전동카트가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전동카트가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전동카트가 도로의 유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주행 되더라도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하지 않으면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다. 그래서 골프 경기를 하면서 전동카트와의 거리가 멀어지면 사용자는 전동카트가 있는 곳까지 다시 걸어가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00733(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에는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아도 전동카트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휴대한 사용자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카트의 주행 동작 등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렇지만, 선행기술은 전동카트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동작할 때 전동카트가 다른 장애물 등과 충돌하거나 사용자가 전동카트에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카트를 원격에서 제어하더라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카트; 및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장은 경기자가 골프경기를 진행함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나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동카트에는 상기 전동카트의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수단과 상기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다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네 개의 지점에 대한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지정하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종 방향으로 상기 경계선과 일정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선으로 구분된 상기 골프장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차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다수 개일 때, 상기 전동카트는 상기 다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나머지 리모트 컨트롤러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골프장 형태에 따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동카트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상기 골프장에서 이동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은,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전동카트의 위치를 항법위성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1단계;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항법위성으로부터 확인하여 전동카트로 전송하는 2단계; 상기 1단계와 2단계에서 확인한 전동카트의 위치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전동카트와 리모트 컨트롤러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장은 경기자가 골프경기를 진행함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나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단계에서의 전동카트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전동카트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고,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6단계에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동카트 측으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면,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전동카트 측으로 전송하는 7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버튼을 비활성화하는 7-1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2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다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네 개의 지점에 대한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지정하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종 방향으로 상기 경계선과 일정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선으로 구분된 상기 골프장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차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수 개일 때, 상기 다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자신이 위치한 영역이 나머지 리모트 컨트롤러가 위치한 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선으로 연결 하여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골프장 형태에 따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을 통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탑승자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를 자체제어모드로 전환하는 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전동카트를 제어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동카트가 자체제어모드에서 주행 중에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하고 있는지 감지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의 주행을 정지하는 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4단계에서 전동카트의 이동이 중지되면, 전동카트는 리모트 컨트롤러 제어모드로 전환되는 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5단계에서 전동카트가 리모트 컨트롤러 제어모드로 전환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는 일정 시간 이후에 전동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1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장에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자가 휴대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이를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동카트와의 거리가 멀어졌음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골프 경기를 진행하면서 전동카트를 사용자가 있는 곳까지 원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골프 경기가 지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카트는 주변의 장애물이 있음을 감지하여 정지하거나 사용자에게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알리기 때문에 전동카트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상태로 동작하더라도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한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전동카트에서 내리는 상태에서는 전동카트의 동작이 멈추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이 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승하차를 하거나 골프클럽을 전동카트에서 탈착하는 동안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골프장이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에서 전동카트와 리모트 컨트롤러가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에서 골프장의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에서 골프장의 영역의 오차범위를 나타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로, 전동카트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스마트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은 전동카트 및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골프장은 티잉그라운드(teeing ground), 페어웨이(fairway), 해저드(hazard) 및 그린(green)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장을 다수 영역으로 나눈다. 골프장을 다수 영역으로 나누는 것은 골프장 코스의 길이나 구조 등에 따라 영역의 개수와 방법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동카트(110)는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골프장 코스의 주변에 마련된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전동카트(110)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운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제어를 받아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전동카트(110)가 자동으로 이동할 때에는 도로에 설치된 유도선(미도시)을 따라 이동한다.
즉, 골프장 코스의 주변에 마련된 도로에는 유도선이 설치되고, 전동카트(110)에는 도로에 설치된 유도선을 감지할 수 있는 유도선 감지장치가 장착된다. 그러므로 전동카트(110)는 자동 운행 되더라도 유도선 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유도선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도로를 벗어나 운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동카트(110)에는 주변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수단이 포함된다. 장애물 감지수단은 통상적으로 적외선 방식이나 초음파 방식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고, 전동카트(110)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수단에서 전동카트(11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면 이동 중이던 전동카트(110)는 정지하고, 멈춰 있는 전동카트(110)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전동카트(110)에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탑승자 감지수단이 포함된다. 탑승자 감지수단은 적외선 방식이나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전동카트(110)가 제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서 내리면 자동으로 전동카트(110)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전동카트(110)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동카트(110)에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 항법위성(30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장치, 리모트 컨트롤러(120)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장치 등이 설치된다.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동카트(110)와 무선통신을 하여 전동카트(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20)와 전동카트(110)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전용 RF 통신, CDMA, WCDMA, GSM 등의 무선통신망이나 이동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자신의 위치를 전동카트(110) 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GPS를 이용하여 거리를 판단하지만,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 간의 무선통신에 의해서도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GPS를 이용하여 측정된 거리와 무선통신을 통해 측정된 거리 중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거리가 가깝게 측정된 거리를 기준으로 거리를 판단한다. 그러므로 거리 측정의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보관된 골프클럽을 꺼내기 위해 전동카트(110) 뒤쪽에서 접근할 때,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휴대한 다른 사용자가 전동카트(110)를 동작시키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 간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전동카트(110)가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동카트(110)의 동작은 전동카트(1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Go" 명령과 이동카트를 정지시킬 수 있는 "Stop" 명령이다. 그러므로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Go" 명령을 수신한 전동카트(110)는 도로에 설치된 유도선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수신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여 같은 영역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 측으로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동카트(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 "Go" 버튼의 램프를 깜빡이거나 진동 또는 음향을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러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알림을 통해 전동카트(110)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확인하고, "Go" 버튼을 눌러 전동카트(110)를 사용자 자신이 있는 영역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의 알림은 소리, 진동 시각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20)이나 태블릿 PC 등으로 대체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2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220)에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원격에서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동카트(110)와 스마트폰(220)과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스마트폰(2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스마트폰(2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자신의 위치와 전동카트(110)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알림 등의 메시지를 음성을 통해 안내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장이 다수의 영역으로 나뉜 상태에서 하나의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할 때에는 설정된 영역으로만 이동한다. 즉, 전동카트(110)가 정지해 있는 영역이 "Ⅱ"영역에서 정지된 상태이고, 사용자는 "Ⅲ"영역에 있다면, 사용자 리모트 컨트롤러(120)에는 이를 위한 알림이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이동시키면, 전동카트(110)는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까지 이동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있는 "Ⅲ"영역의 중간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전동카트(110)가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까지 원격 조정을 하여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동카트(110)에 실어놓은 골프 클럽을 바로 교체할 수 있어 골프 경기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체로 골프장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경기에 필요한 골프 클럽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경기하는 내내 들고 다닐 수 없다. 그래서 이를 전동카트(110)에 실어놓고 다니는데, 경기하는 동안 사용자는 골프장을 자유롭게 이동하여 전동카트(110)와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로인해 골프 클럽의 교체를 위해 전동카트(110)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경기가 지연되는데, 상기와 같이, 전동카트(110)가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까지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는 거리를 줄임이기 때문에 경기를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된 골프장을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것에 대해 설명하며, 이에 대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경기의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영역이 나뉘는데, 영역과 인접한 영역은 경계선(BL1, BL2, BL3)으로 구분된다. 이 중 하나의 경계선(BL1)은 골프장의 양 측 경계에 각각 임의의 지점(BP1, BP2)을 각각 설정하고, 설정된 임의의 지점(BP1, BP2)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설정한다. 이때, 골프장 양측 경계에 설정된 임의 지점(BP1, BP2)은 해당 지점(BP1, BP2)의 위도와 경도 좌표를 설정하여 지정한다. 여기서, 경계선은 골프경기의 진행방향과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필요에 따라 골프경기의 진행방향과 45도 내지 135도의 각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계선(BL1)은 "Ⅰ"영역과 "Ⅱ"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제2경계선(BL2)은 "Ⅱ"영역과 "Ⅲ"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제3경계선(BL3)은 "Ⅲ"영역과 "Ⅳ"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각 경계선이 설정된 상태에서, 골프장 측면에 대한 경계선 설정은 골프장의 경계의 형태에 따라 설정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경계선(BL3)의 제1지점(BP1)에서 제2경계선(BL2)의 제1지점(BP3)까지는 골프장의 경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 지점의 위ㅇ경도 좌표를 확인하여 "Ⅲ"영역의 경계를 확인한다.
마찬가지로, 제3경계선(BL3)의 제2지점(BP2)에서 제2경계선(BL2)의 제2지점(BP4)까지 골프장의 경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각 지점의 위ㅇ경도 좌표를 확인하여 "Ⅲ"영역 경계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제3경계선(BL3)의 제1지점(BP1) 및 제2지점(BP2)과 제2경계선(BL2)의 제1지점(BP3) 및 제2지점(BP4)으로 설정된 골프장 내에서 하나의 영역("Ⅲ"영역)이 설정된다.
물론, 이때, 제2경계선(BL2)과 제3경계선(BL3)만으로 "Ⅲ"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골프경기를 하다가 자신이 친 공이 경기를 진행하는 골프장이 아닌 옆의 다른 골프장 등으로 넘어가는 경우에 사용자가 옆의 다른 골프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경기를 계속 진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사용자의 경기진행 방향에 대한 것을 기록하여, 어느 골프장에서 경기를 진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옆의 다른 골프장으로 이동하여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일례로, 사용자가 1번 홀에서 골프경기를 진행하는 도중 공이 옆의 6번 홀로 넘어가서 6번 홀로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의 이동경로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누적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1번 홀에서 골프경기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6번 홀로 이동되더라도 1번 홀의 제2경계선(BL2) 및 제3경계선(BL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해당 사용자는 "Ⅲ"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판단된다. 그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동카트(110)가 "Ⅱ"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전동카트(110)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의 골프장용 전동카트(110) 동작제어 시스템에서는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때, 항법위성(3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P1)의 위치가 "Ⅳ"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Ⅲ"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위치정보가 잘못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설정된 경계선에 소정의 오차범위를 설정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오차범위(ER)는 경계선(BL3)의 양측에 위치된 보조선(SL1, SL2)에 의해 설정된다. 여기서, 각 보조선(SL1, SL2)은 앞서 설명한 경계선(BL3)을 설정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골프경기를 진행하는 사용자는 한 사람이 아닌, 적어도 두 명이상의 사용자가 경기를 진행하고 각 사용자들은 모두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휴대한 상태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각 사용자들의 위치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들 중 일부가 영역의 경계선(BL3) 근처에 오차범위(ER) 내에 있는 경우, 그 사용자가 어느 영역에 있는지 명확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동카트(110)가 사용자가 휴대한 리모트 컨트롤러(120)와 동일한 영역에 있는지 다른 영역에 있는지 구분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경계선(SL3) 근처의 오차범위(ER)에 다수의 사용자 중 일부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오차범위(ER)에 위치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다른 사용자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명의 사용자(P1, P2, P3, P4) 중 제1사용자(P1)가 경계선(SL3)의 오차범위(ER) 내에 있고, 나머지 사용자(P2, P3, P4)는 "Ⅲ"영역에 위치한 경우, 제1사용자(P1)도 "Ⅲ"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전동카트(110)에서 판단한다. 그러므로 "Ⅲ"영역에 위치한 전동카트(110)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때, 전동카트(110)가 "Ⅱ"영역에 있으면, 사용자들(P1, P2, P3, P4)에게 전동카트(110)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각각의 리모트 컨트롤러(120)로 수신된다.
그리고 전동카트(110)에는 전동카트(110)에 장착된 전동카트용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전동카트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이동시키실 수 있다.
이때, 전동카트(110)에 장착된 전동카트용 리모트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보다 해당 신호가 선행한다. 즉, 사용자가 전동카트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동작시키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서는 전동카트(110)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전동카트(110)가 이동할 때 외부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골프장용 전동카트(110) 동작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동카트(110) 동작제어 방법을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가지고 골프용 전동카트(110)에서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전동카트(110)의 주행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전동카트(110)는 항법위성(300)을 이용하여 수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한다(S401).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120)도 항법위성(300)을 이용하여 수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S431)한 다음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동카트(110) 측으로 전송한다(S432). 그러면 전동카트(110)는 자신의 위치와 수신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를 서로 비교 확인한다(S403). 이때, 본 단계(S403)에서는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골프장의 다수 영역에서 같은 영역 안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영역 경계선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위치한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
단계 S403에서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서로 같은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렇지만, 단계 S403에서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로 알림신호를 전송한다(S404).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위치(P)가 다수 영역 중 "Ⅲ"영역에 위치하고, 전동카트(110)의 위치가 "Ⅱ"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로 알림신호를 전송한다.
이때의 알림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동카트(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이 알림신호를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구비된 램프가 깜빡이거나 진동을 울리거나 음향을 출력시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알림을 확인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Go" 버튼을 눌러 전동카트(110)를 주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S435). 단계 S435에서 주행명령이 입력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입력된 주형명령에 대한 신호를 전동카트(110)로 전송한다. 전동카트(110)는 단계 S435에서의 주행명령에 따라 주행된다(S406).
단계 S406을 통해 전동카트(110)가 이동하면, 전동카트(110)에 장착된 장애물 감지수단은 전동카트(110)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한다(S407). 이때, 장애물 감지수단은 전동카트(110)의 이동방향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주로 감지하고 장애물이 전동카트(110)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407에서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계속 주행한다. 그리고 장애물이 있으면 전동카트(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20) 측으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전송함과(S408) 동시에 더는 이동하지 않고 정지한다(S409).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단계 S408을 통해 전동카트(110) 측에서 장애물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를 깜빡이거나 진동을 울리거나 음향을 출력한다. 이때, 단계 S408에서의 알림과 단계 S404에서의 알림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Go" 버튼에는 녹색 램프가 설치되고, "Stop" 버튼에는 적색 램프가 설치된 경우, 단계 S404에서는 녹색 램프가 깜빡이고, 단계 S408에서는 적색 램프가 깜박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동카트(110)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이동하더라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동카트(110)가 정지한 이후 전동카트(110) 주변의 장애물이 제거되더라도 전동카트(110)는 다시 자동으로 주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전동카트(110)를 주행시키기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Go" 버튼을 연속으로 두 번 이상 눌러 주행명령을 연속하여 입력한다(S439). 그러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전동카트(110) 측으로 재차 주행명령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고, 전동카트(110)는 다시 주행한다(S406).
여기서, 단계 S439에서 사용자가 "Go" 버튼을 한 번만 누르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전동카트(110)로 주행명령이 전송되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는 경고음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07, S408, S409 및 S439의 과정이 일정 시간 내에 소정 횟수이상 반복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Go" 버튼을 비활성화한다(S440). 이는 전동카트(110) 주변에 장애물이 있음에도,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강제로 주행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한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전동카트(110)가 이동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탑승여부에 따른 전동카트(110) 동작제어 방법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동카트(110)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 확인한다(S501). 본 단계(S501)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 여부는 탑승자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501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자체제어모드로 전환된다(S502). 이때, 자체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전동카트(110)를 직접 제어하는 모드로, 전동카트(110)가 자체제어모드로 전환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이렇게 단계 S502에서 자체제어모드로 전환된 다음 사용자가 전동카트(110)를 주행한다(S503). 그리고 탑승자 감지수단은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고(S504),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으면 전동차의 주행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그런데 단계 S504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110)는 정지한다(S515). 즉, 단계 S504는 사용자가 자체제어모드 상태의 전동카트(110)를 계속 운행하는 중간에 전동카트(110)에서 하차하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 운행 중에 갑자기 하차하더라도 단계 S515에서 주행 중인 전동카트(110)가 정지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515에서 전동카트(110)가 정지한 다음 전동카트(110)는 원격제어모드로 전환된다(S516). 원격제어모드는 전동카트(110)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되는 모드이다. 이때, 본 단계(S516)에서 전동카트(110)가 원격제어모드로 전환되더라도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해서 즉시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지 않다. 즉, 사용자는 일정 시간(일례로, 약 10초 정도)의 시간이 지난 이후에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하여 전동카트(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역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서 하차하자마자 전동카트(110)가 움직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동카트(110)가 원격제어모드 상태에서 주행 중일 때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하기 위해 전동카트(110)로 가까이 가는 경우에는 단계 S406 내지 단계 S440의 과정에 의해 전동카트(110)가 정지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전동카트(110)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전동카트(110)가 정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110)에 탑승할 때 실수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Go" 버튼을 누르더라도 단계 S439 및 단계 S440에 의해서 전동카트(110)가 동작하지 않거나 "Go" 버튼이 비활성화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전동카트(110)에 탑승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전동카트 120: 리모트 컨트롤러
220: 스마트폰 300: 항법위성

Claims (25)

  1.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동카트; 및
    항법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장은 경기자가 골프경기를 진행함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나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전동카트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상기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전동카트에는 상기 전동카트의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전동카트에는 상기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다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네 개의 지점에 대한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지정하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종 방향으로 상기 경계선과 일정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선으로 구분된 상기 골프장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차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수 개이고,
    상기 전동카트는 상기 다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나머지 리모트 컨트롤러가 위치한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골프장 형태에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동카트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상기 골프장에서 이동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11. 다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유도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전동카트의 위치를 항법위성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1단계;
    상기 전동카트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동카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항법위성으로부터 확인하여 전동카트로 전송하는 2단계;
    상기 1단계와 2단계에서 확인한 전동카트의 위치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전동카트와 리모트 컨트롤러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동카트가 다른 영역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장은 경기자가 골프경기를 진행함에 따라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횡 방향으로 나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1단계에서의 전동카트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5단계; 및
    상기 5단계에서 전동카트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6단계를 더 포함하고,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6단계에서 장애물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동카트 측으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3. 청구항 12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면,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전동카트 측으로 전송하는 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4. 청구항 12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동카트 이동명령 신호가 적어도 두 번 이상 연속하여 입력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전동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버튼을 비활성화하는 7-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5. 청구항 11에서,
    상기 2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서,
    상기 2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골프장에서 다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영역의 경계에 위치한 네 개의 지점에 대한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지정하고,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인접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선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골프경기 진행방향의 종 방향으로 상기 경계선과 일정 거리가 떨어진 지점에 상기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을 포함하는 상기 보조선으로 구분된 상기 골프장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차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다수 개이고,
    상기 다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오차범위 내에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자신이 위치한 영역이 나머지 리모트 컨트롤러가 위치한 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지점 중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경계선에 포함된 한 지점과 인접한 지점을 연결한 선은 상기 골프장 형태에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21. 리모트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을 통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탑승자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전동카트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를 사용자가 전동카트를 제어하는 자체제어모드로 전환하는 2단계;
    전동카트가 상기 자체제어모드에서 주행 중에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하고 있는지 감지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에서 사용자가 전동카트에 탑승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전동카트의 주행을 정지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22. 청구항 21에서,
    상기 4단계에서 전동카트의 이동이 중지되면, 전동카트는 리모트 컨트롤러 제어모드로 전환되는 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23. 청구항 22에서,
    상기 5단계에서 전동카트가 리모트 컨트롤러 제어모드로 전환되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는 일정 시간 이후에 전동카트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24. 청구항 22에서,
    상기 1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25. 청구항 24에서,
    상기 1단계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전동카트의 무선통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방법.
KR1020120135268A 2012-04-25 2012-11-27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09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407 2012-04-25
KR20120043407 2012-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363A true KR20130120363A (ko) 2013-11-04
KR101409469B1 KR101409469B1 (ko) 2014-06-18

Family

ID=4985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68A KR101409469B1 (ko) 2012-04-25 2012-11-27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4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70B1 (ko) * 2014-04-16 2014-12-05 (주)조은정밀 Rf 전송속도 기반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필드용 무선 조정 카트 제어 시스템
WO2020189836A1 (ko) * 2019-03-20 2020-09-24 주식회사 티티엔지 골프장 필드의 진입가능 여부에 따라 주행모드 변경이 가능한 골프카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카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69B1 (ko) 2023-08-29 2023-11-30 (주)비지언스 인공지능 기반의 골퍼 추적 기능을 적용한 자동 골프 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488B2 (ja) * 1992-02-28 2000-06-19 三洋電機株式会社 乗用型ゴルフカート
JP3697682B2 (ja) * 1998-11-26 2005-09-21 株式会社ジースリー 自動走行カートシステム
JP2006068212A (ja) * 2004-09-01 2006-03-16 Kyosan Electric Mfg Co Ltd 警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70B1 (ko) * 2014-04-16 2014-12-05 (주)조은정밀 Rf 전송속도 기반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필드용 무선 조정 카트 제어 시스템
WO2020189836A1 (ko) * 2019-03-20 2020-09-24 주식회사 티티엔지 골프장 필드의 진입가능 여부에 따라 주행모드 변경이 가능한 골프카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카트 제어방법
KR20200112063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티티엔지 골프장 필드의 진입가능 여부에 따라 주행모드 변경이 가능한 골프카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카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469B1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6504B (zh) 基于准确的位置信息自动驾驶的高尔夫球车系统以及利用该系统的高尔夫球车控制方法
KR101451592B1 (ko) 골프 필드용 무선 조정 카트 제어 시스템
KR101792112B1 (ko) 횡단보도 보행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498178B2 (ja) 無人移動体の制御方法及び無人移動体
KR101409469B1 (ko) 골프장용 전동카트 동작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3141676A (ja) 車両自動誘導システム、車両自動誘導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装置、車両自動誘導方法および自動誘導処理プログラム。
RU2011123098A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для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х работ и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1370133B1 (ko) 스마트 캐디형 골프 카트
KR20030000733A (ko) 골프장용 자동위치 제어 전동카트 시스템
KR102256070B1 (ko) 골프장 필드의 진입가능 여부에 따라 주행모드 변경이 가능한 골프카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카트 제어방법
JP2019511304A (ja) ライダ制御型の無軌道ライドシステム
JPH06324736A (ja) ゴルフカート制御システム
KR101468870B1 (ko) Rf 전송속도 기반 위치측정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필드용 무선 조정 카트 제어 시스템
KR101053183B1 (ko) 전동 골프 카트의 자동 운행 시스템
KR101096806B1 (ko) 교통 신호 통과 구간 안내 시스템
KR101734997B1 (ko) 차로간 원격 신호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4174176A (ja) 視覚障害者および健常者誘導装置
CN206700372U (zh) 一种导盲装置以及导盲车
KR101684167B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장치
KR102100648B1 (ko) 영상에 기반하여 주행 경로를 유도하는 골프 카트 자율 주행 제어시스템
KR20190045787A (ko) 휠체어 자동 이동 주차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65677B2 (ja) 車両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携帯端末
JP5955248B2 (ja) 車両衝突警告システム
CN113885704B (zh) 一种用于导盲车的人机交互方法和系统
JP6028659B2 (ja) ゴルフカート位置管理装置、ゴルフカート位置管理方法及びゴルフカート位置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