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22A -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22A
KR20130120222A KR1020120043316A KR20120043316A KR20130120222A KR 20130120222 A KR20130120222 A KR 20130120222A KR 1020120043316 A KR1020120043316 A KR 1020120043316A KR 20120043316 A KR20120043316 A KR 20120043316A KR 20130120222 A KR20130120222 A KR 20130120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making process
water purifi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곤
김기철
박수용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222A/ko
Publication of KR2013012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은,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덮개가 개방되면 상기 얼음정수기의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하는 제빙프로세스 중단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재개하는 제빙프로세스 재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Method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of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얼음정수기의 탈빙히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정수와 냉수, 온수 및 얼음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얼음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정수를 냉각시켜 저장하는 냉수탱크, 얼음을 만드는 제빙부 및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고를 구비하며,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얼음 정수기는 제빙용 트레이에 수용된 제빙용 정수에 냉각기를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빙용 트레이를 회전시킨 후 상기 냉각기에서 얼음을 탈빙하여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빙된 얼음은 냉수탱크로 투입되어 냉수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얼음정수기의 탈빙히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얼음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정수기의 탈빙히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은,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덮개가 개방되면 상기 얼음정수기의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하는 제빙프로세스 중단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재개하는 제빙프로세스 재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프로세스는, 제빙 트레이를 제빙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제빙준비과정, 냉각기로 상기 제빙트레이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과정 및 상기 제빙 트레이를 탈빙위치로 이동하고 탈빙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기에서 얼음을 분리하는 탈빙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프로세스 중단 단계는, 상기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는 시점에 진행 중이던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프로세스 재개 단계는,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프로세스 재개 단계는,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상기 제빙준비과정이면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하고,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상기 제빙과정 또는 상기 제빙과정 이후이면 생성된 얼음은 탈빙하고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처음부터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는,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가 열리면 덮개열림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면 덮개닫힘신호를 생성하는 덮개센서; 제빙준비, 제빙 및 탈빙의 순차적인 제빙프로세스에 따라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및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상기 덮개닫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재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덮개에 구비된 돌기 사이의 접점이 형성되면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접점이 떨어지면 상기 하우징 덮개가 열리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부는, 제빙용 정수를 수용하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용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기; 및 상기 얼음을 가열하여 상기 냉각기에서 분리하는 탈빙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프로세스는, 상기 제빙 트레이를 제빙위치로 이동하고 제빙용 정수를 공급하는 제빙준비과정, 상기 냉각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과정 및 상기 제빙 트레이를 탈빙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탈빙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을 분리하는 탈빙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제빙부가 동작하는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하고, 이후 상기 덮개닫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부터 상기 제빙부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제빙준비과정이면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제빙과정 또는 상기 제빙과정 이후이면 생성된 얼음은 탈빙하고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처음부터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은, 사용자가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덮개를 개방하면 상기 얼음정수기의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하도록 하여, 상기 제빙프로세스에 의한 화상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에 의하면, 제빙프로세스의 중단시에 진행하던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하고, 다시 제빙프로세스를 재개할 때 상기 중단된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하므로 얼음생성에 소요되는 시간 및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에 의하면, 저장된 제빙프로세스의 단계에 따라 복귀하는 제빙프로세스의 단계를 달리하여, 얼음정수기가 생성하는 얼음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의 제빙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100)는, 하우징 덮개(1), 덮개센서(10), 제빙부(30), 정수탱크(110), 냉수탱크(120), 얼음저장고(130) 및 가이드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부(30)는 제빙용 트레이(31), 냉각기(32) 및 탈빙히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100)를 설명한다.
제빙신호가 입력되면 제빙용 트레이(31)가 회전하여 제빙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빙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정수탱크(110)에서 상기 제빙용 트레이(31)에 제빙용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위치는 상기 냉각기(32)의 침지관이 상기 제빙용 트레이(31) 내부에 저장되는 제빙용 정수에 침지되어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빙용 트레이(31)에 제빙용 정수가 공급되면, 상기 냉각기(32)는 침지식 제빙 방식에 따라, 상기 침지관의 둘레에 얼음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빙용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침지관 둘레에 기 설정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면, 탈빙신호에 따라 상기 제빙용 트레이(31)를 회전시켜 탈빙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탈빙히터(33)을 구동시켜 상기 침지관 둘레에 형성된 얼음을 상기 침지관에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빙위치는 상기 제빙용 트레이(31)가 상기 침지관에서 떨어지는 얼음의 낙하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얼음을 탈빙하기 위하여, 상기 탈빙히터(33)를 구동시킬 수 있는데 상기 탈빙히터(33)가 구동되면 상기 침지관이 가열되어 상기 침지관과 맞닿은 부분의 얼음이 일부 녹을 수 있다. 상기 침지관과 맞닿은 부분의 얼음이 녹게되면 상기 침지관과 얼음의 결합력이 약해져 결국 얼음은 상기 침지관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14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침지관에서 떨어진 얼음이 낙하하는 지점이 선택될 수 있다. 즉, 도1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140)가 오른족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얼음이 냉수탱크(120)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140)가 왼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얼음이 얼음저장고(130)로 떨어지게 된다.
얼음정수기의 경우, 상기 냉각기(32)에서 생성한 얼음을 이용하여 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므로, 상기 냉수탱크(120)의 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냉각기(32)에서 생성한 얼음을 상기 냉수탱크(120)로 투하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수탱크(120)로 투하된 얼음은 상기 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이 가진 열을 흡수하여 액화되므로, 상기 냉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은 냉각된다.
상기 탈빙히터(33)를 이용한 탈빙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제빙용 트레이(31)를 다시 제빙위치로 이동시켜 다시 제빙동작이 수행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음정수기(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덮개(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 덮개(1)를 개방하여 정수탱크(110), 제빙부(30), 냉수탱크(120) 및 얼음저장고(130)에 대한 청소, 정비,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얼음정수기(100)가 동작하는 도중에 상기 하우징 덮개(1)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얼음정수기(100)의 동작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특히, 탈빙히터(33)가 동작하는 도중에 상기 하우징 덮개(1)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탈빙히터(33)의 열에 의한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100)는 덮개 센서(10)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1)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덮개(1)가 열린 경우에는 상기 얼음정수기(100)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덮개센서(10)를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덮개(1)의 돌기(11)가 접점을 형성하면 상기 하우징 덮개(1)가 닫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접점이 떨어지면 상기 하우징 덮개(1)가 열리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 덮개(1)가 열리는 것으로 판별하면 덮개열림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덮개열림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빙부(30)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우징 덮개(1)를 개방하고 필요한 청소, 정비, 점검 등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하우징 덮개(1)를 닫으면, 상기 하우징 덮개(1)의 개방에 의하여 중단되었던 동작부터 연속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얼음정수기는 제빙준비과정, 제빙과정 및 탈빙과정의 제빙프로세스에 의하여 얼음을 생성하므로, 상기 하우징 덮개(1)가 개방되어 중단되었던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하우징 덮개(1)가 닫히게 되면 중단되었던 제빙프로세스부터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빙프로세스 초기화하고 제빙준비과정부터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얼음생성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제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고려할 때 중단되었던 제빙프로세스부터 재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빙과정 중에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면 탈빙시점을 놓쳐서 얼음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반대로 얼음이 충분히 생성되기 전에 탈빙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얼음정수기의 성능에 대한 의심을 품을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중단되었던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할 때에는 중단된 시점의 제빙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복귀할 필요가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100)는, 덮개센서(10), 제어부(20) 및 제빙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센서(10), 제어부(20) 및 제빙부(30)를 이용하여 상기 제빙프로세스의 중단 및 복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를 설명한다.
덮개센서(10)는,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가 열리면 덮개열림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면 덮개닫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센서(10)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덮개에 구비된 돌기 사이의 접점이 형성되면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접점이 떨어지면 상기 하우징 덮개가 열리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덮개 및 덮개센서(10)는 상기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덮개가 복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 덮개에 대응하는 덮개센서를 더 포함하여 개방되거나 닫히는 하우징 덮개를 구별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센서(10)에서 생성한 덮개열림신호 및 덮개닫힘신호는 제어부(2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덮개열림신호 및 덮개닫힘신호에 따라 상기 얼음정수기의 제빙프로세스를 중단시키거나 재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상기 덮개닫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재개할 수 있다.
상기 제빙프로세스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준비과정(P1), 제빙과정(P2) 및 탈빙과정(P3)의 3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도1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빙준비과정(P1)은 제빙 트레이(31)를 제빙위치로 이동하고 정수탱크(110)가 상기 제빙 트레이(31)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위치는 상기 정수탱크(110)가 공급하는 물이 상기 제빙 트레이(31)에 저장되는 위치로서, 상기 제빙 트레이(31)에 저장된 물에 의하여 냉각기(32)의 침지관이 침지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빙준비과정(P1)은 먼저 상기 제빙 트레이(31)를 상기 제빙위치로 이동시키고, 이후에 상기 제빙 트레이(31)에 대하여 상기 정수탱크(110)가 물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제빙과정(P2)은 냉각기(32)로 상기 제빙 트레이(31)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제빙과정(P1)에 의하여 실제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기(32)는 압축기, 응축기,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 트레이(31)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거나,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과정(P2)을, 압축기 구동하여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과정, 응축기에서 상기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체상태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냉매가스를 기화, 팽창시켜 주위의 열을 빼앗는 열교환과정 으로 보다 세부적으로 더 나눌 수 있다.
탈빙과정(P3)은 상기 제빙 트레이(31)를 탈빙위치로 이동하고 탈빙히터(33)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기(32)에서 얼음을 분리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탈빙위치는, 상기 제빙 트레이(31)가 상기 냉각기(32)에서 분리된 얼음의 낙하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탈빙과정(P3)에서는 탈빙히터(33)를 구동하여 상기 냉각기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얼음을 일부 녹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냉각기(32)와의 접착력이 떨어진 얼음은 중력에 의하여 냉수탱크(120) 또는 얼음저장고(130)로 떨어져 탈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프로세스가 진행되면, 상기 제빙 트레이가 회전하거나 탈빙히터가 가열되는 등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프로세스가 진행되면 인체의 일부가 끼이거나 화상, 동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덮개열림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빙부(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빙부(30)의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제빙부(20)가 동작하는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하고, 이후 상기 덮개닫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부터 상기 제빙부(30)를 구동할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된 이후에 다시 제빙프로세스를 재개하는 경우에는 제빙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도 있으나, 얼음생성시간 단축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중단되었던 프로세스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제빙부(20)가 동작하는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문자나 기호 등을 미리 설정해두고, 이를 메모리 등 저장매체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0)에 덮개닫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해둔 문자나 기호에 해당하는 제빙프로세스부터 진행되도록 상기 제빙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과 관련하여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빙과정 중에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면 탈빙시점을 놓쳐서 얼음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반대로 얼음이 충분히 생성되기 전에 탈빙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제빙준비과정(P1)이면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제빙과정(P2) 또는 상기 제빙과정(P2) 이후이면 생성된 얼음은 탈빙하고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처음부터 수행할 수 있다.
즉, 제빙프로세스가 제빙준비과정(P1)에 있으면, 아직 냉각기가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전이므로 중단되었던 제빙프로세스부터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빙프로세스가 제빙과정(P2)에 있으면 냉각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냉각하기 시작한 것이므로, 상기 제빙과정(P2)에서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게 되면 얼음이 지나치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탈빙과정(P3)에서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는 경우에는 아직 탈빙되지 않은 얼음이 냉각기에 매달려 있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얼음의 표면이 녹아 얼음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과정(P2) 및 탈빙과정(P3)에서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면 생성된 얼음은 탈빙하고 제빙프로세스를 처음부터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빙시에는 냉수탱크(120)로 탈빙하여 불규칙적인 크기를 가지는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빙프로세스는 더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빙과정(P2)에서 압축기를 동작하기 전까지는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가 동작한 이후에는 탈빙 후 제빙프로세스를 초기화하여 제빙준비과정(P1)부터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가 동작하면 냉각기에 의한 얼음생성이 시작된 것이므로,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기준으로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의 복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빙부(30)는, 제빙준비, 제빙 및 탈빙의 순차적인 제빙프로세스에 따라 얼음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용 정수를 수용하는 제빙 트레이(31), 상기 제빙용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기(32) 및 상기 얼음을 가열하여 상기 냉각기(32)에서 분리하는 탈빙히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부(30)의 구성 및 그 기능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은, 제빙프로세스 중단단계(S10) 및 제빙프로세스 재개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을 설명한다.
제빙프로세스중단단계(S10)는,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덮개가 개방되면 상기 얼음정수기의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는 시점에 진행 중이던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빙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빙프로세스중단단계(S10)는, 구체적으로 덮개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덮개열림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S11),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감지되면 제빙부의 동작을 중단하여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할 수 있다(S13).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한 이후에는(S13)에는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감지될 때 진행 중이던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S14), 상기 제빙프로세스의 저장(S14)은 상기 제빙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기호를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빙프로세스의 저장(S14)은 상기 제빙프로세스의 중단(S13)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는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진행될 수 있다(S12).
제빙프로세스재개단계(S20)는,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빙프로세스재개단계(S20)는, 덮개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덮개닫힘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S21), 상기 덮개닫힘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S22).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를 확인한 후(S22) 바로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할 수도 있으나(S24), 이 경우 생성된 얼음의 크기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를 구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제빙준비과정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23). 상기 제빙준비과정에 해당하면 아직 얼음 생성은 진행하지 않았으므로,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 진행한다(S24).
다만,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제빙준비과정 이후이면, 얼음을 탈빙하고 제빙프로세스를 초기화하여 제빙준비과정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S25). 상기 제빙준비과정 이후이면 이미 제빙프로세스 중에서 얼음을 생성한 것이므로, 이후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면 얼음이 지나치게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균일한 얼음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빙준비과정 이후의 제빙프로세스 중에 중단되면, 생성된 얼음은 얼음탱크로 탈빙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하우징 덮개 10: 덮개센서
11: 돌기 20: 제어부
30: 제빙부 31: 제빙 트레이
32: 냉각기 33: 탈빙히터
100: 얼음정수기 110: 정수탱크
120: 냉수탱크 130: 얼음저장고
S10: 제빙프로세스 중단단계 S20: 제빙프로세스 재개단계

Claims (11)

  1.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덮개가 개방되면 상기 얼음정수기의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하는 제빙프로세스 중단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재개하는 제빙프로세스 재개 단계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프로세스는
    제빙 트레이를 제빙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빙 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제빙준비과정, 냉각기로 상기 제빙트레이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과정 및 상기 제빙 트레이를 탈빙위치로 이동하고 탈빙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기에서 얼음을 분리하는 탈빙과정을 포함하는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프로세스 중단 단계는
    상기 제빙프로세스가 중단되는 시점에 진행 중이던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하는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프로세스 재개 단계는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하는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프로세스 재개 단계는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상기 제빙준비과정이면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로 복귀하고,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상기 제빙과정 또는 상기 제빙과정 이후이면 생성된 얼음은 탈빙하고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처음부터 수행하는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6. 얼음정수기의 하우징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하우징 덮개가 열리면 덮개열림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면 덮개닫힘신호를 생성하는 덮개센서;
    제빙준비, 제빙 및 탈빙의 순차적인 제빙프로세스에 따라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및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상기 덮개닫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재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덮개에 구비된 돌기 사이의 접점이 형성되면 상기 하우징 덮개가 닫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접점이 떨어지면 상기 하우징 덮개가 열리는 것으로 판별하는 얼음정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제빙용 정수를 수용하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용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기; 및
    상기 얼음을 가열하여 상기 냉각기에서 분리하는 탈빙히터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프로세스는
    상기 제빙 트레이를 제빙위치로 이동하고 제빙용 정수를 공급하는 제빙준비과정, 상기 냉각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과정 및 상기 제빙 트레이를 탈빙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탈빙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얼음을 분리하는 탈빙과정을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열림신호가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제빙부가 동작하는 제빙프로세스를 저장하고, 이후 상기 덮개닫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부터 상기 제빙부를 구동하는 얼음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제빙준비과정이면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저장된 제빙프로세스가 제빙과정 또는 상기 제빙과정 이후이면 생성된 얼음은 탈빙하고 상기 제빙프로세스를 처음부터 수행하는 얼음정수기.
KR1020120043316A 2012-04-25 2012-04-25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KR20130120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16A KR20130120222A (ko) 2012-04-25 2012-04-25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316A KR20130120222A (ko) 2012-04-25 2012-04-25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22A true KR20130120222A (ko) 2013-11-04

Family

ID=4985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316A KR20130120222A (ko) 2012-04-25 2012-04-25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2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9693A (ja) * 2016-10-07 2018-04-12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9693A (ja) * 2016-10-07 2018-04-12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987B1 (ko) 과냉각 장치
KR101264618B1 (ko) 얼음제조방법
US99955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ce by direct cooling and for preventing ice from melting in refrigeration equipment
CN101495825A (zh) 自动制冰机及其运转方法
JP2009121768A (ja) 自動製氷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30120222A (ko) 얼음정수기 및 얼음정수기의 안전사고방지방법
KR100666680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346722B2 (ja) 自動製氷装置,冷蔵庫
JP7162339B2 (ja) 冷蔵庫
KR20130114930A (ko) 제빙용 트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정수기
JP5027685B2 (ja) 噴射式製氷機の運転方法
JP5469935B2 (ja) 製氷機
JP2008281262A (ja) 自動製氷機および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JP5795930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KR200473425Y1 (ko) 침지형 제빙기의 탈빙장치
JP2005188761A (ja) 自動製氷装置
JP4518875B2 (ja) 自動製氷機の除氷運転方法
JP5052213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KR20090093534A (ko) 정수기
KR102298724B1 (ko) 제빙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6125798A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KR102603491B1 (ko) 제빙기용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0755866B1 (ko) 냉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621241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제빙방법
KR102243736B1 (ko)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