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916A - 비대칭형 자동차 - Google Patents

비대칭형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916A
KR20130118916A KR1020137016938A KR20137016938A KR20130118916A KR 20130118916 A KR20130118916 A KR 20130118916A KR 1020137016938 A KR1020137016938 A KR 1020137016938A KR 20137016938 A KR20137016938 A KR 20137016938A KR 20130118916 A KR20130118916 A KR 2013011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symmetrical
right sides
ca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753B1 (ko
Inventor
강한구
Original Assignee
강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구 filed Critical 강한구
Publication of KR2013011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9/00Vehicle bod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afe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는, 그 차체의 형상이 좌우가 비대칭으로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에 새로운 상상력과 생명력을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인의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계기가 된다. 또한, 유사한 디자인이 남발되거나 도용되는 폐해를 억제하는 제어기능과 함께, 그 기술적 난이도에 따라 각 자동차 회사의 기술과 디자인 능력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아울러, 소비자에게 이제껏 접해 보지 못한 상상력과 개성이 넘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Description

비대칭형 자동차{ASYMMETRIC VEHICLE}
본 발명은 비대칭형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차체(Body)의 형상을 좌우가 상이한 비대칭으로 설계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외관에 독특한 디자인 요소를 부여할 수 있는, 즉 자동차 디자인의 자유도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특수 자동차를 제외한 자동차는 줄곧 좌우 대칭형으로 디자인되어 왔다. 물론 자동차란 속도의 개념이 들어간 기계여서 공기의 저항을 극복하고 올바른 균형을 이루기 위해 대칭형이 유리하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한 논리가 어쩌면 이제껏 자동차 디자인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하나의 터부가 되어 왔다. 결국, 이러한 통념이 굳어져 실제로 우리의 상상력에 제약을 주고 있다면 이야말로 사회적 고정관념을 드러내는 또 다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고정관념은 제도나 규칙에 의한 제약 이상으로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정관념으로 인한 제약 때문에, 자동차 디자인에서는 실제로 가능한 것보다 디자인의 다양성 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제약에 대한 해결책의 모색이 현 자동차 업계의 과제인 것도 사실이다.
자동차를 좌우가 대칭형으로만 디자인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자동차 디자이너들의 상상력을 상당 부분 제한하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좀 더 파격적이고 색다른 형태의 자동차 디자인이 실제로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탄생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소비자 역시 좀 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즐거운 기회를 지금까지 미룰 수밖에 없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의 형상을 좌우가 서로 다른 비대칭으로 설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디자이너들 스스로 자동차 디자인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돌파구를 열어 줌과 동시에, 디자인의 자유도를 증대시켜 이로부터 얻어지는 상상력과 개성이 넘치는 다양한 디자인 결과를 소비자와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는, 이 자동차의 차체가 갖는 외곽면의 형상이 좌우가 상이하게 비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는, 이 자동차의 앞바퀴의 윤간거리 중심과 뒷바퀴의 윤간거리 중심을 동시에 지나면서 상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 측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동일한 폭만큼 떨어져 있으면서 상기 기준절단면과 평행한 한 쌍의 차체 수직절단면을 얻으면, 이들 차체 수직절단면이 서로 비대칭성을 갖게 되도록 상기 자동차의 차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는, 상기 자동차를 위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바퀴가 적어도 일부가 차체로부터 노출되어 보이도록 상기 자동차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측이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는, 상기 자동차의 앞바퀴의 윤간거리 중심과 뒷바퀴의 윤간거리 중심을 동시에 지나면서 상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 측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이와 직각으로 일직선상에 있는 차체의 측방향 양끝 선단까지의 폭을 측정하면, 좌우 양측의 폭이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상기 자동차의 차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는 전술한 특징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징이 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차체의 형상을 대칭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좌우를 서로 다르게 하는 비대칭으로 설계함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를 한층 증대시킴은 물론,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생명력 넘치는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자동차에 대한 디자인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유사한 디자인이 남발되거나 디자인이 도용되는 폐해를 자연스럽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새롭게 대두하는 기술적 해결과제와 디자인과의 융합은 각 자동차 회사의 기술과 디자인의 능력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 효과도 얻게 된다.
물론, 소비자도 이제껏 접해보지 못한 자유로운 상상력의 결정체로서 진정으로 차별화되고 생명력 넘치는 자동차를 선택하고 소유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자동차는 차체에 장착한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를 주행하며,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차는 통상 그 구조를 차체와 섀시(Chassis)로 구분한다. 차체는 사람이 타거나 화물을 싣는 부분으로 승객실, 엔진실, 트렁크 등으로 구성된다. 섀시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장치들 모음을 말하는 것으로, 엔진, 동력전달장치, 바퀴, 현가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등으로 구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해 몇몇 용어를 정의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자동차는 승용차 및 소형 승합차로 한정한다. 이는 특수 자동차에서는 이미 차체의 형상이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제 디자인에 민감한 자동차의 종류는 승용차 또는 소형 승합차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동차에서는 엔진실과 트렁크가 각각 앞과 뒤 또는 뒤와 앞으로 배치되거나, 트렁크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차체의 앞을 전면부라 하고 그 뒤를 후면부라 칭한다. 여기서, 자동차의 전면부라 함은 승객실의 앞끝부터 차체의 앞끝 선단(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이 범퍼보다 더 앞쪽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라디에이터 그릴)까지의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 자동차의 후면부라 함은 승객실의 뒤끝부터 차체의 뒤끝 선단(범퍼)까지를 의미한다. 다만,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한 승객실은 본래대로 승객실이라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자동차의 좌우라 함은 자동차를 위에서 평면도로 바라보았을 때 자동차의 앞바퀴의 윤간거리 중심과 뒷바퀴의 윤간거리 중심을 동시에 지나면서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수직면(이하에서는 '기준절단면'이라 함)을 기준으로 하여 나누어진 좌우 양측을 의미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의 비대칭형은 주로 차체의 외곽면 형상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외곽면은 자동차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으로 정의한다. 또, 외곽면 형상은 차체의 각 부분을 연결할 때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오목부 또는 골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범퍼와 차체 사이의 간극과 턱, 각 램프와 차체 사이의 간극과 턱, 도어와 차체 사이의 간극과 턱, 연료 주입구(뚜껑을 포함한)와 차체 사이의 간극과 턱, 및 도어 손잡이와 도어 사이의 간극과 턱 등은 무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비대칭형에는, 일측은 도어가 하나이고 타측은 도어가 2개이더라도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외곽면 형상이 동일하면 이러한 경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각 램프, 라디에이터 그릴, 전면유리 및 후면유리 등의 형상이 비록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더라도 차체의 외곽면 형상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면 이러한 경우도 포함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서의 비대칭형은 일개 부속품의 장착 또는 부재로 인해 생기는 비대칭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측에는 사이드 미러가 장착되어 있고 타측에 사이드 미러가 없는 경우, 혹은 자동차를 뒤에서 볼 때 일측에는 배기구(Tail muffler)가 있고 타측에는 없는 경우, 혹은 보닛의 일측 상에 에어 인테이크(Air intake)가 돌출되어 있고 타측에는 없는 경우, 혹은 일측에 번호판을 장착한 경우 등은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난 것으로 본다. 즉, 쌍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일개 부속품이 일측에만 치우쳐 설치되거나 타측에는 누락되어 대칭성을 상실한 경우에 자동차의 외곽면 형상은 변하였지만, 이러한 경우는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 일개 부속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나 고정을 위한 부착면의 변형 등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다.
차체의 형상이 비대칭으로 설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는 차체의 전면부나 후면부 또는 승객실이 좌우 측에서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거나, 전면부나 후면도 또는 승객실이 좌우측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갖거나, 차체가 좌우 측에서 서로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들 특징이 조합되도록 즉 차체의 좌우 길이와 폭 및 높이 모두가 상이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100)는 전면부(10)의 길이가 좌우 측에서 서로 상이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술한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 측으로 나누었을 때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동일한 폭만큼 떨어져 있으면서 기준절단면과 평행한 한 쌍의 차체 수직절단면(가상면)을 얻으면, 이들 차체 수직절단면에서 전면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자동차(100)의 전면부(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100)의 전면부(10)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헤드라이트(12)와 해당 부위의 범퍼(13) 및 라디에이터 그릴(14)이 타측의 헤드라이트나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보다 전면유리(11)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100)의 전면부(10)에 해당하는 차체는 적당한 크기와 형상으로 나뉘어 형성된 분할부를 각각 별도로 성형한 후 용접 또는 고정구에 의한 결합으로 조립할 수 있다. 혹은 비대칭형으로 된 차체를 일체로 성형하여 자동차의 프레임(Frame)에 설치할 수도 있다.
더불어, 비대칭형 자동차(100)의 전면부(10)에 설치되는 좌우 헤드라이트(12)의 형상도 서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단순히 평면적인 형상이 비대칭인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일측 헤드라이트가 더 돌출되거나 더 함몰됨으로써 입체적인 형상이 서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라디에이터 그릴(14)도 비대칭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200)는 전면부(10)의 높이가 좌우측에서 서로 상이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측으로 나누었을 때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동일한 폭만큼 떨어져 있으면서 기준절단면과 평행한 한 쌍의 차체 수직절단면을 얻으면, 이들 차체 수직절단면에서 높이방향 수직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자동차(100)의 전면부(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200)의 전면부(10)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보닛(15: 또는 트렁크), 범퍼(13), 헤드라이트(12), 펜더 등이 타측보다 더 상승하여 위치되거나 함몰 또는 하강하여 위치되게 형성된다. 다른 변형예로는 보닛(15)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혹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더구나, 전면유리(11)의 형상도 좌우가 비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넓은 시야를 확보해야 하는 쪽에는 넓고 큰 광폭의 유리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반대쪽에는 잠수함의 창과 같은 형상으로 이중으로 된 이중창(11a)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좌우 중 일측의 전면유리가 앞쪽 혹은 옆쪽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비대칭형 자동차(200)의 전면부(10)에 설치되는 좌우 헤드라이트(12)의 입체적인 형상도 서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라디에이터 그릴(14)도 비대칭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의 폭도 좌우측에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측으로 나누었을 때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이와 직각으로 일직선상에 있는 차체의 측방향 양끝 선단까지의 폭을 측정하면, 좌우 양측의 폭이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자동차(100)의 전면부(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200)는 전면부(10) 뿐만 아니라 후면부 또는 승객실의 도어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면이 타측면보다 기준절단면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300)는 이 자동차(3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앞바퀴(16) 중 적어도 일부가 차체로부터 노출되어 보이도록 자동차(300)의 일측 전면부(10)가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노출된 바퀴의 주위로 바퀴 보호구 또는 물받이가 설치될 수 있다. 또, 공기역학적인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투명 덮개(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투명 덮개(17)의 장착으로 차체의 외곽면이 대칭이 되더라도 내부의 비대칭이 투명하게 표현된다면 이는 비대칭으로 본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300)의 전면부(10)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차체가 일부 제거된 형태로 형성되어 앞바퀴(16)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일측의 헤드라이트 및 해당 부위의 범퍼가 생략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에도 승객실(30)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도어(32)가 타측의 도어보다 기준절단면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차체의 폭이 좌우측에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400)는 후면부(20)의 길이가 좌우 측에서 서로 상이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술한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측으로 나누었을 때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동일한 폭만큼 떨어져 있으면서 기준절단면과 평행한 한 쌍의 차체 수직절단면을 얻으면, 이들 차체 수직절단면에서 후면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자동차(100)의 후면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400)의 후면부(20)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테일램프(미도시) 및 해당 부위의 범퍼(23)가 타측의 테일램프 또는 범퍼보다 승객실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범퍼(23)는 도 4에서와 같이 차체의 중앙에서 급격하게 절곡 내지 절단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점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완만하게 만곡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400)의 후면부(20)에 해당하는 차체는 적당한 크기와 형상으로 나뉘어 형성된 분할부를 각각 별도로 성형한 후 용접 또는 고정구에 의한 결합으로 조립할 수 있다. 혹은 비대칭형으로 된 차체를 일체로 성형하여 프레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비대칭형 자동차(400)의 후면부(20)에 설치되는 좌우 테일램프의 형상도 서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단순히 평면적인 형상이 비대칭인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일측 헤드라이트가 더 돌출되거나 더 함몰됨으로써 입체적인 형상이 서로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한편, 도 4에는 좌우 중 일측의 전면유리가 앞쪽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타측의 후면유리와 상이하게 위치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500)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이 자동차(5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뒷바퀴(26) 중 적어도 일부가 차체로부터 노출되어 보이도록 자동차(500)의 일측 후면부(20)가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500)의 후면부(20)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차체가 일부 제거된 형태로 형성되어 뒷바퀴(26)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일측의 테일램프 및 해당 부위의 범퍼가 생략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에는 좌우 중 일측의 후면유리가 뒤쪽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타측의 후면유리와 상이하게 위치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자동차(600)는 승객실(30)의 높이가 좌우측에서 서로 상이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측으로 나누었을 때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동일한 폭만큼 떨어져 있으면서 기준절단면과 평행한 한 쌍의 차체 수직절단면을 얻으면, 이들 차체 수직절단면에서 높이방향 수직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자동차(100)의 승객실(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600)의 승객실(30)은,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지붕(Roof: 31)이 타측보다 더 상승하여 위치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된다. 다른 변형예로는 지붕(31)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혹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유리(11) 또는 후면유리의 입체적인 형상도 좌우가 비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좌우 양측의 전면유리 또는 후면유리가 서로 상이한 기울기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지붕(31)이 타측보다 더 상승하여 위치된 쪽의 도어의 경우 윗부분에 힌지가 있어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 또는 뒤로 열리는 여닫이 도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도 승객실(30)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도어(32)가 타측의 도어보다 기준절단면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차체의 폭이 좌우측에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가 갖는 고유한 특징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징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특징이 조합되는 경우에는, 전면부(10) 및 후면부(20)의 길이가 좌우 측에서 서로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의 전면부(10)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헤드라이트(12) 및 해당 부위의 범퍼(13)가 타측의 헤드라이트 또는 범퍼보다 전면유리(11)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더불어, 그 후면부(20)도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테일램프 및 해당 부위의 범퍼(23)가 타측의 테일램프 또는 범퍼보다 승객실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비대칭형 자동차의 전면부(10)에 설치되는 헤드라이트(12)의 입체적인 형상도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라디에이터 그릴(14)도 비대칭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면부(20)에 설치되는 테일램프의 형상도 비대칭형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비대칭형 자동차가 차체의 대각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다시 말해 우측 전면부가 더 길고 좌측 후면부가 더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이 상당히 길고 타측은 짧은 형태, 즉 예를 들면 우측 전면부가 더 길고 우측 후면부가 더 길게 형성된 형상을 비대칭형 자동차가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제1실시예와 제6실시예의 특징이 조합되는 경우에, 전면부(10)의 길이가 좌우 측에서 서로 상이하게 됨과 동시에, 승객실(30)의 지붕(31)의 높이가 좌우측에서 서로 상이하게 되면서 승객실(30)의 폭도 좌우측에서 서로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비대칭형 자동차의 전면부(10)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헤드라이트(12) 및 해당 부위의 범퍼(13)가 타측의 헤드라이트 또는 범퍼보다 전면유리(11)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더불어, 승객실(30)의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지붕(31)이 타측보다 더 상승하여 위치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된다. 또, 승객실(30)의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도어(32)가 타측보다 더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된다.
또한, 비대칭형 자동차의 전면부(10)에 설치되는 헤드라이트(12)의 입체적인 형상도 비대칭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라디에이터 그릴(14)도 비대칭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유리(11) 또는 후면유리의 형상도 좌우가 비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심지어, 자동차의 승객실(30)의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지붕(31)이 타측보다 더 상승하여 위치되면서, 전면부(10) 및 후면부(20)의 좌우 양측 중 승객실(30)의 높이가 상승한 일측이 상당히 길고 타측은 짧은 형태의 비대칭형 자동차도 형성될 수 있다. 또, 지붕(31)이 타측보다 더 상승하여 위치된 쪽의 도어의 경우 윗부분에 힌지가 있어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이고 반대쪽은 앞 또는 뒤로 열리는 여닫이 도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외곽면 형상이 비대칭인 자동차는 실제로 주행하는 경우에 좌우 공기역학적 구조의 차이로 인하여 비대칭적인 공기 저항 등에 따른 토크를 받게 되거나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토크 또는 진동을 상쇄하거나 제어하는 기술들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투명 덮개(17)의 장착도 이러한 제어기술의 일종으로 본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차체가 갖는 외곽면의 형상이 좌우가 상이하게 비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면은 상기 자동차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을 정의하며,
    범퍼와 차체 사이의 간극과 턱, 각 램프와 차체 사이의 간극과 턱, 도어와 차체 사이의 간극과 턱, 연료 주입구와 차체 사이의 간극과 턱, 및 도어 손잡이와 도어 사이의 간극과 턱 등은 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앞바퀴의 윤간거리 중심과 뒷바퀴의 윤간거리 중심을 동시에 지나면서 상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측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동일한 폭만큼 떨어져 있으면서 상기 기준절단면과 평행한 한 쌍의 차체 수직절단면을 얻으면, 이들 차체 수직절단면이 서로 비대칭성을 갖도록 상이하게 상기 자동차의 차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전면부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헤드라이트 또는 범퍼가 타측보다 전면유리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후면부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테일램프 또는 범퍼가 타측보다 승객실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전면부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이 타측보다 더 상승하여 위치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혹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승객실에서,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지붕이 타측보다 더 상승하여 위치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실은, 그 지붕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혹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헤드라이트, 테일램프, 전면유리, 후면유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입체적인 형상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11.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를 위에서 바라볼 때, 좌우 양측 중 어느 일측의 바퀴가 적어도 일부가 차체로부터 노출되어 보이도록, 상기 자동차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측이 함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바퀴의 주위로 바퀴 보호구 또는 물받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된 부분 주위로 투명한 재질의 투명 덮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14.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앞바퀴의 윤간거리 중심과 뒷바퀴의 윤간거리 중심을 동시에 지나면서 상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기준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자동차를 이등분하고 좌우측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기준절단면으로부터 이와 직각으로 일직선상에 있는 차체의 측방향 양끝 선단까지의 폭을 측정하면, 좌우 양측의 폭이 서로 상이하게 되도록 상기 자동차의 차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전면부, 후면부, 승객실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는, 좌우 양측에서 어느 일측이 타측보다 기준절단면 쪽을 향해 함몰되거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자동차.
KR20137016938A 2011-01-27 2011-01-27 비대칭형 승용 자동차 KR101507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0587 WO2012102425A1 (ko) 2011-01-27 2011-01-27 비대칭형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916A true KR20130118916A (ko) 2013-10-30
KR101507753B1 KR101507753B1 (ko) 2015-04-07

Family

ID=4658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16938A KR101507753B1 (ko) 2011-01-27 2011-01-27 비대칭형 승용 자동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05462B2 (ko)
KR (1) KR101507753B1 (ko)
CN (1) CN103370259B (ko)
WO (1) WO2012102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8146A1 (de) 2016-09-21 2018-03-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vier Rädern
JP7382819B2 (ja) 2019-12-19 2023-11-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7509A (en) * 1941-01-14 1941-12-23 Ceylon P Strong Motor-vehicle construction
US4108488A (en) * 1977-04-06 1978-08-22 Rohr Industries, Incorporated Vehicle front having asymmetrical windshields
DE2747286C2 (de) * 1977-10-21 1986-06-19 Waggon Union Gmbh, 1000 Berlin Und 5900 Siegen U-Bahn-Fahrzeug
JPS55170121U (ko) 1979-05-25 1980-12-06
JPS6189176A (ja) * 1984-10-05 1986-05-07 Masao Kaji 平面・正面カ−
JPS61160368A (ja) 1984-12-31 1986-07-21 Masao Kaji 自動車ロボツト
JPS61238540A (ja) 1985-04-16 1986-10-2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車室内レイアウト構造
KR19990032067U (ko) 1997-12-31 1999-07-26 강철원 3개의 도어를 갖는 승용자동차
US8172312B2 (en) * 2009-09-03 2012-05-08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Excavator cab with an improved field of vie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0259A (zh) 2013-10-23
US20130001981A1 (en) 2013-01-03
WO2012102425A1 (ko) 2012-08-02
US8905462B2 (en) 2014-12-09
KR101507753B1 (ko) 2015-04-07
CN103370259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D160019S (zh) 汽車用前保險桿
JP2003011854A (ja) 自動車の下面のための被覆装置および自動車
TWD162526S (zh) 汽車用前保險桿
JP2015024706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4200016B2 (ja) 自動車のボディ
US10144378B2 (en) Vehicle air dam structure,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20130118916A (ko) 비대칭형 자동차
US8752883B2 (en) Automotive vehicles with front undercarriage protectors
RU2651951C1 (ru) Элемент улучшения аэродинамики моторного отсека автомобилей
JP2001122153A (ja) 低床バスのシャシフレーム
JP5056588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グリル構造
KR101251751B1 (ko) 차체의 전방 연결구조
JP2001310616A (ja) 車両用ダクト
JP3965928B2 (ja) 車両用バンパ
JP6558929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バンパ
JP2000219167A (ja) リアスポイラー
US9139129B2 (en) Vehicle with rear light that is displaceable to produce at least one airflow breakaway edge
JPH07232507A (ja) タイヤとホイルが一体の装着構造
KR20180046110A (ko) 페이스 리프트 차량의 디자인 방법
TWI413599B (zh) Saddle type vehicle
ES2401723T3 (es) Escudo de parachoques
US20130093209A1 (en) Automotive vehicles with front tire protectors
KR100668880B1 (ko) 풍절음을 방지하는 미러하우징
JP3956265B2 (ja) バンパの配設構造
CN202847839U (zh) 一种孩童接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