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336A -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336A
KR20130118336A KR1020137014231A KR20137014231A KR20130118336A KR 20130118336 A KR20130118336 A KR 20130118336A KR 1020137014231 A KR1020137014231 A KR 1020137014231A KR 20137014231 A KR20137014231 A KR 20137014231A KR 20130118336 A KR20130118336 A KR 20130118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rrier housing
telescopic
control ro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445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르장드흐
Original Assignee
엘렉트리씨트 드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렉트리씨트 드 프랑스 filed Critical 엘렉트리씨트 드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3011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hich can be controlled at a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anipulator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ctuator (AREA)
  • Earth Drill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Gasket Seal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연결장치(1)는 캐리어 하우징(2)에 장착되고 파이프(100)에 배치 및 연결하기 위한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을 구비한다.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은 캐리어 하우징(2)내에 배열된 작동장치의 제 1 부분(30)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장치는 캐리어 하우징(2)의 적어도 한 벽을 가로지르고 캐리어 하우징의 외부에 배열된 제어시스템에 상기 제 1 부분(30)을 연결하는 제어봉(3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pip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파이프에 배치 및 연결을 위한 작동장치에 의해 평행이동 축을 따라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을 구비하는 극한 환경에 처한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런 타입의 연결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2개의 마주보는 텔레스코핑 관형부재들의 시스템을 개시한 FR 1,536,180에 공지되어 있다. 작동장치는 캐리어 하우징의 보어 홀에 장착 배열된 피스톤을 구비해 관형부재를 하우징 외부로 밀게 한다. 관형부재는 벨로우즈가 부착되는 씰을 제공하는 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은 작동장치에 가압 유체를 제공할 수 있는 로봇에 의해 설치 및 제어됨으로써 2개의 원거리 파이프들 간에 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2개 파이프들 간에 연결은 바로 근처에서 사람의 개입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원자로를 수용하는 인클로저내에서 발견된 일종의 방사능 환경과 같은 극한 환경에 이점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지의 연결장치는 여러 가지 단점을 나타낸다. 특히, 작동장치는 텔레스코픽 요소에 작용된 힘의 벡터 합이 상기 요소의 평행이동 축을 따라 지향되는 식으로 확장 스프링에 의해 상호연결된 2개의 클램프 사이에서 원주 상으로 분포된 4 쌍의 대향 피스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잡하다. 또한, 연결위치 유지는, 가압된 유체의 있을 수 있는 누출로 인해 장치 부근 환경이 오염될 위험성이 있다는 사실은 물론이고, 신뢰성 문제를 나타내는 작동장치의 유압 또는 공압 서킷내 압력에 의존한다. 더욱이, 이런 설계의 장치는 단단히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는 개구들이 플레어로 되는 것을 필요로 하므로 2 이상의 원거리 파이프들을 연결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함들을 정정하기 위해, 특히, 임의의 환경오염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더 간단하고 더 신뢰할 수 있는 작동장치를 갖는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연결장치로서,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이 캐리어 하우징내에 배열된 작동장치의 제 1 부분에 연결되는 점과 상기 작동장치는 캐리어 하우징의 적어도 한 벽을 교차하고 작동장치의 상기 제 1 부분을 상기 캐리어 하우징 외부에 배열된 제어 시스템에 연결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이다.
이들 배열에 의해, 텔레스코픽 시스템과 작동장치 간에 연결이 캐리어 하우징 내에 구현된다. 이로 인해, 작동장치의 일부분이 텔레스코픽 시스템의 축방향 확장에 배열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요소의 평행이동 축을 따라 지향되는 힘을 텔레스코픽 요소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텔레스코픽 요소를 진전시키거나 후퇴시킬 수 있는 상대적으로 컴팩트한 작동장치가 설계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봉을 통해, 유압 또는 공압 작동장치가 더 이상 필요치 않으므로, 특히 제어 유체의 누출과 관련된 위험성을 막고 연결위치를 유지하는 신뢰성을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기의 배열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은 연결되는 파이프와 상기 캐리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로 유체가 흐르게 하는데 적합한 내부 채널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파이프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유체 형태로 소통하게 할 수 있고, 몇몇 파이프들이 연결될 경우, 연결장치에 의해 파이프들이 서로 소통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은 연결되는 파이프를 실질적으로 가로막는데 적합하며, 이는 연결장치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연결장치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장치는 몇몇의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을 공동으로 작동하는데 적합한 고유의 상기 제 1 부분을 구비하며, 이는 작동장치를 간단히 하고 크기를 줄이게 한다;
상기 제어봉은 캐리어 하우징의 상기 내부공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밀봉식으로 가로지르며, 이는 유체가 캐리어 하우징 내부에 순환하는 파이프로부터 환경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봉은 각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의 평행축에 명백히 수직한 축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부피 및 하우징의 벽을 밀봉식으로 가로지르는 능력 면에서 이점적이다;
작동장치의 상기 제 1 부는 상기 제어봉과 일체로 회전되는 허브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는 관절식 연결봉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요소들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장치의 간략화 및 부피 면에서 이점적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은 평행 이동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팽창식 씰이 설비된 이동식 관형부재를 구비하고, 이는 파이프의 마우스의 구성에 의존함이 없이 텔레스코픽 관형부재와 해당 파이프 간에 밀봉 연결이 구현되게 할 수 있다; 가령, 도입부에서 언급된 공지의 장치의 경우에서처럼, 반드시 플레어 마우스를 가질 필요가 없다;
상기 이동식 관형부재는 연결될 수 있는 파이프의 내직경보다 더 작은 외직경을 나타내고, 상기 공기팽창식 씰이 상기 관형부재의 외부면에 장착되며, 이는 다양한 파이프 마우스 구성들에 적합하다;
상기 공기팽창식 씰은 상기 캐리어 하우징에 또는 부근에 배열된 가요성 부를 구비하는 파이핑 서킷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고, 상기 파이핑 서킷은 상기 캐리어 하우징 외부에 배열되고 또한 상기 제어봉에 명백히 나란히 뻗어 있는 외부 부분을 구비하며, 이는 캐리어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설치될 수 있는 파이프로부터 공급된 가스 또는 유체로 씰이 공기팽창되게 할 수 있다;
연결장치는 상기 캐리어 하우징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프레임을 구비한 위치지정 및 가이드 시스템을 또한 구비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어봉을 회전 작동하는데 적합한 모터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지정 및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 명백히 수직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원거리에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들이 설비된 텔레스코픽 위치지정 레그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로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수평 컷어웨이의 부분 평면도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 장치가 2개의 파이프들을 연결하기 위해 배치될 준비가 되어 있다.
도 2는 배치된 위치에서 도 1의 장치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 장치는 2개의 파이프들에 밀봉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원자로 용기에 설치된 연결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측면 컷어웨이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 장치는 원자로의 1차 냉각서킷에 있는 파이들에 연결될 준비가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수평 컷어웨이의 부분 평면도를 개략 도시한 것으로, 장치는 4개의 파이프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개략 도시된 연결장치(1)는 서로 연결하고자 하거나 실질적으로 차단하고자 하는 2개의 원거리 파이프들(100) 사이에 설치된다. 반대방향으로 동일 길이방향 축(A1)을 따라 뻗어 있고 동일 캐리어 하우징(2)에 장착된 2개의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을 구비한다. 각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은 하우징(2)내에 통합된 고정식 관형 가이드요소(12)와 축(A1)을 따라 관형 가이드요소(12)내에 평형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이동식 관형부재(11)를 구비한다. 관형 가이드요소(12)의 내부면에 장착된 씰(12G)에 의해 텔레스코픽 시스템(10)의 관형부재들(11 및 12) 간에 밀봉접촉이 야기된다.
각 텔레스코픽 시스템(10)의 이동식 관형부재(11)는 캐리어 하우징(2)내에 배치된 제 1 부(30)를 구비하는 작동장치(3)에 의해 축(A1)을 따라 평행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 제 1 부(30)는 공유허브(32)와 상기 허브(32)를 각각의 이동식 관형부재(11)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2개의 관절식 연결암(33)을 구비한다. 작동장치(3)는 하우징(2) 외부에 배열된 제어 시스템(35)과 제 1 부(30)를 제어 시스템(35)에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2)의 벽을 가로지르는 제어봉(31)을 구비한다(도 3).
제어봉(31)은 명백히 각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의 평행축(A1)에 수직한 봉 축(Z)을 따라 뻗어 있고, 봉 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도 3). 제어 시스템(35)은 허브(32)를 회전 구동시켜 관절식 제어봉(33)과 이에 따라 이동식 관형부재(11)를 배치하기 위해 제어봉(31)을 회전 작동하는데 적합하다.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제어봉(31)은 제어봉과 일체로 회전되는 허브(32)의 중심에 부착되나, 가령 기어에 의해 제어봉과 허브 간에 간접 연결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각 이동식 관형부재(11)는 외부면이 일반적으로 원추형인 전면부(frontal portion)(11A)와 일반적으로 원통형면의 주부(11B)를 이점적으로 나타낸다. 원추형 전면부(11A)의 가장 큰 직경은 주부(11B)의 외직경보다 약간 더 크고 관형부재(11)가 연결될 수 있는 파이프(100)의 내직경(D)보다 약간 더 작게 설계된다. 이런 식으로, 각 관형부재(11)의 전면부가 해당 파이프(100)에 도입될 수 있다. 밀봉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각 관형부재(11)에는 전면부(11A) 부근에서 주부(11b)의 외부면에서 원주위로 밀봉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팽창식 씰(15)이 설비된다.
이점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팽창 상태에서, 공기팽창식 씰(15)의 외직경은 전면부(11A)의 가장 큰 직경을 넘지 않으며, 이런 식으로 관형부재(11)가 도입될 경우 씰이 파이프(100)의 내벽에 대해 비벼지지 않게 또는 거의 비벼지지 않게 한다. 각 공기팽창식 씰(15)에는 파이핑 서킷(16)에 의해 유체가 공급된다. 유체는 액체 또는 가스일 수 있고, 특히 누수 씰의 경우 액체에 의한 어떤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가스가 액체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각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은 관형부재(11)에 형성되고 텔레스코픽 시스템이 연결된 파이프(100)와 캐리어 하우징(2)의 내부 공간 사이로 유체가 지나게 하는데 적합한 내부 채널(11H)을 포함한다. 이는 연결장치(1)가 연결되는 파이프(100)가 서로 통하게 한다. 그러나, 미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스코픽 시스템이 연결되는 파이프(100)를 실질적으로 차단하는데 적합한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다. 가령, 관형부재(11)의 전면부(11A)는 폐쇄식 전면벽을 나타낼 수 있다. 실질적으로 파이프를 차단한다는 것은 차단이 전체 또는 부분적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부분적 차단의 경우, 가령 블리드 개구를 포함한 공기팽창식 씰(15) 영역 부근에서 액체가 파이프(100)로부터 나가게 하는 작은 공기 블리드 통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개략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32)는 제어봉(31)의 회전동작에 의해 90°또는 심지어 90°보다 약간 더 회전되어, 각각의 이동식 관형부재들(11)이 해당 파이프(100)의 개구에 삽입을 위해 배치되게 한다. 삽입이 완료된 후에, 도 2에 공기순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하우징(2) 외부에 위치된 펌핑유닛(36)으로부터 해당 파이핑 서킷(16)을 통해 가압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각 공기팽창식 씰(15)이 팽창된다.
각 파이핑 서킷(16)은 관형부재(11)의 배치 후에 적절한 가요성부(161)를 구비한다. 이 가요성부(161)는 관형부재(11)에 부착되고 공기팽창식 씰(15)에 밀봉 연결된 직선부(160)에 의해 신장된다. 각각의 가요성부(161)는 캐리어 하우징(2)에 또는 심지어 외부에 그리고 캐리어 하우징 부근에 배열될 수 있다. 2개의 파이핑 서킷(16)은 연결 파이핑(162)을 통해 서로 소통되며 하우징(2) 외부에 배열되고 펌핑유닛(36)까지 제어봉(31)에 명백히 나란히 뻗어 있는 공유 외부부(163)를 구비한다. 이런 식으로, 공기팽창식 씰(15)이 거의 동시에 팽창된다.
각 공기팽창식 씰(15)은 파이프(100)의 내벽과 밀봉 결합하게 되어 있어, 이로써 연결장치(1)와 파이프(100) 간에 밀봉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파이프(100)는 연결장치(1)에 의해 서로 유체 소통된다. 장치(1)는 파이프(100)에 의해 전송된 액체 또는 가스가 환경에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히 누출 방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봉(31)은 캐리어 하우징(2)의 내부공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밀봉식으로 오가야 한다.
도 3에 개략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1차 서킷의 파이프에 연결되기 위해 원자로의 용기(4)내에 설치하는데 이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압된 수냉식 원자로의 1차 냉각서킷은 일반적으로 몇몇의 냉각루프들을 구비하고 각 루프는 증기 발생기(5)뿐만 아니라 용기에 연결된 핫 브랜치와 콜드 브랜치를 구비한다. 도 3에서, 용기(4)에 연결된 마우스들이 서로 마주보며 배열되고 동일 축(A1)을 따라 정렬된 2개의 핫 브랜치들의 파이프들(100)이 도시되어 있다. 연결장치(1)는 적어도 2개의 핫 브랜치들을 통하게 하도록 되어 있어 하나의 핫 브랜치에 물을 주입함으로써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연결장치(1)는 하우징(2)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프레임(21)을 구비하는 위치지정 및 가이드 시스템(20)을 구비한다. 프레임(21)은 명백히 수직방향으로 프레임(21)의 이동을 원거리에서 제어하기 위해 원격으로 작동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23)가 설비된 텔레스코픽 위치지정 레그(22)를 구비한다. 프레임(21)은 용기에 대해 각도 위치지정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다. 이들 개구들은 용기 커버를 부착하기 위해 편의상 용기(4)에 영구히 장착된 수직 스터드(45)와 위치적으로 일치한다. 원자로 빌딩의 상부에 제공된 스윙 브리지(swing bridge)는 연결장치(1)를 비스듬히 위치시키기 위해 용기 커버를 위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어 관형부재(11)를 파이프(11)의 마우스와 축방향 정렬되게 고도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21)을 수직으로 낮추는 것으로 충분해 진다.
제어봉(31)을 회전 작동시키는데 적합한 제어 시스템(35)은 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 유닛을 구비한다. 펌프 유닛(36)은 또한 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나, 대안으로, 용기와 나란히 위치된 플랫폼으로 이동되어 어려움없이 펌프 윤활제가 용기에 누수되는 어떤 위험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단일 축을 따라 배열된 하나 또는 2개의 텔레스코픽 시스템(10)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축에 2개의 텔레스코픽 시스템(10)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적어도 2개의 다른 축에 2 이상의 텔레스코픽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개략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1)는 2개의 수직축(A1 및 A2)을 따라 배열된 4개의 파이프들에 연결되는데 적합하다. 연결장치는 캐리어 하우징내부에 배열된 제 1 부분이 공유 허브(32')와 허브를 각 텔레스코픽 시스템(10)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4개의 관절식 봉(33')을 이점적으로 구비한 작동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연결되는 파이프 내부에 반드시 삽입될 필요가 없다. 반대로, 텔레스코픽 시스템은 파이프의 관형 말단에 가압하는데 적합한 이동식 관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고안될 수 있다. 공기팽창식 씰이 밀봉연결을 위해 사용될 경우, 씰은 이동식 관형부재의 내부면에 장착되어 파이프의 관형 말단의 외부면과 밀봉접촉을 확립한다.
물론, 본 발명은 공기팽창식 씰을 이용하는데 국한되지 않으며 강체 확장요소를 갖는 씰을 포함한 임의 타입의 씰도 고안될 수 있다. 추가로, 이 배열이 제어봉이 이동되는 하우징(2)의 벽 부근에 씰을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하더라도, 제어봉(31)은 반드시 회전이동될 필요가 없다. 대안으로, 가령 봉의 Z 축과 해당 텔레스코픽 시스템(10)의 평행이동 축에 의해 형성된 면상에 각각이 배열된 작동장치의 관절식 봉들과 평행이동될 수 있는 봉(31)을 고안할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하나의 텔레스코픽 시스템을 구비하는 연결장치의 경우, 가령 원거리 유체 회수장치를 향해 파이프를 나간 유체를 코스변경시키기 위해 가요성 또는 강체 유체수송도관과 소통하는 캐리어 하우징을 고안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는 가령 탱커에서 파손된 수중 파이프로부터 새어나간 오일을 수집하기 위한 수중 환경에 유용할 수 있으며, 연결장치는 원격제어 로봇에 의해 수중 파이프에 설치될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100) 및, 특히, 캐리어 하우징(2)에 장착되고 상기 파이프(100)에 배치 및 연결하기 위한 작동장치(3)에 의해 평행축(A1,A2)을 따라 작동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을 구비한 극한 환경에 처한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1,1')로서,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은 상기 캐리어 하우징(2)내에 배열된 상기 작동장치(3)의 제 1 부분(30)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장치(3)는 캐리어 하우징(2)의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가로질러 이동하고 상기 제 1 부분(30)을 상기 캐리어 하우징(2)의 외부에 배열된 제어 시스템(35)에 연결하는 제어봉(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은 연결되는 파이프(100)와 상기 캐리어 하우징(2)의 내부 공간 사이를 통해 유체가 흐르게 하는데 적합한 내부 채널(11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은 연결되는 파이프(10)를 실질적으로 차단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3)는 몇몇의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을 함께 작동하는데 적합한 고유의 상기 제 1 부분(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31)은 캐리어 하우징(2)의 상기 내부공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밀봉식으로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31)은 각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의 평행축(A1,A2)에 명백히 수직한 축(Z)을 따라 뻗어 있고 상기 축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작동장치의 상기 제 1 부(30)는 상기 제어봉(31)과 일체로 회전되는 허브(32,32')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32)는 관절식 연결봉(33,33')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요소들(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텔레스코픽 연결시스템(10)은 상기 캐리어 하우징(2)에 대해 평행 이동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팽창식 씰(15)이 설비된 이동식 관형부재(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관형부재(11)는 연결될 수 있는 파이프(100)의 내직경(D)보다 더 작은 외직경을 나타내고, 상기 공기팽창식 씰(15)이 상기 관형부재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팽창식 씰(15)은 상기 캐리어 하우징(2)에 또는 부근에 배열된 가요성부(161)를 구비하는 파이핑 서킷(16)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고, 상기 파이핑 서킷(16)은 상기 캐리어 하우징 외부에 배열되고 또한 상기 제어봉에 명백히 나란히 뻗어 있는 외부부분(16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하우징(2)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프레임(21)을 구비한 위치지정 및 가이드 시스템(20)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35)은 상기 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어봉(31)을 회전 작동하는데 적합한 모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 및 가이드 시스템(20)은 상기 프레임(21)을 지지하고 명백히 수직방향으로 상기 프레임(21)을 이동시키기 위해 원거리에서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들(23)이 설비된 텔레스코픽 위치지정 레그들(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KR1020137014231A 2010-11-04 2011-10-31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장치 KR101486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59101A FR2967231B1 (fr) 2010-11-04 2010-11-04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stine a se raccorder a au moins une canalisation
FR1059101 2010-11-04
PCT/FR2011/052553 WO2012059684A1 (fr) 2010-11-04 2011-10-31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stine a se raccorder a au moins une cana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336A true KR20130118336A (ko) 2013-10-29
KR101486445B1 KR101486445B1 (ko) 2015-01-26

Family

ID=4445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231A KR101486445B1 (ko) 2010-11-04 2011-10-31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080703B2 (ko)
EP (1) EP2635836B1 (ko)
JP (1) JP5784133B2 (ko)
KR (1) KR101486445B1 (ko)
CN (1) CN103328874B (ko)
ES (1) ES2549923T3 (ko)
FR (1) FR2967231B1 (ko)
HU (1) HUE027937T2 (ko)
RU (1) RU2529968C1 (ko)
SI (1) SI2635836T1 (ko)
UA (1) UA105997C2 (ko)
WO (1) WO2012059684A1 (ko)
ZA (1) ZA2013032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8684A1 (en) * 2015-04-15 2016-10-20 Ai-Remedial Systems, Llc Groundwater remedi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05508773A (zh) * 2015-12-28 2016-04-20 广船国际有限公司 管路收缩膨胀补偿装置
DE202018102073U1 (de) * 2018-04-16 2019-07-17 Lothar Schütz Verbindungsvorrichtung
CN108591651A (zh) * 2018-06-15 2018-09-28 江苏宝地管业有限公司 一种可伸缩连接管道
FR3097634B1 (fr) * 2019-06-21 2021-06-25 Electricite De France Ensemble pour la réalisation d'une épreuve hydraulique
CN110478958B (zh) * 2019-07-31 2021-08-24 重庆湟海城乡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管道式污水过滤装置
RU2769292C2 (ru) * 2020-04-17 2022-03-30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36180A (fr) * 1966-04-18 1968-08-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Raccord étanche
US3674292A (en) * 1969-10-15 1972-07-04 Amp Inc Tubular connection devices
JPS5045698Y1 (ko) 1970-05-19 1975-12-24
JPS5249912U (ko) 1975-10-07 1977-04-09
US4078832A (en) * 1976-12-21 1978-03-14 Hydrotech International, Inc. Pipe coupling with improved seal means
JPH0126953Y2 (ko) 1986-05-14 1989-08-11
FR2600398B1 (fr) * 1986-06-18 1988-10-07 Cogema Dispositif de raccordement etanche de deux tuyauteries rigides
JP2592145B2 (ja) 1989-10-13 1997-03-19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継手システム
JPH03100681U (ko) 1990-02-02 1991-10-21
JPH04194491A (ja) 1990-11-28 1992-07-14 Okamoto:Kk 不断水工法における管路の止水方法
EP0544947A1 (en) * 1991-11-29 1993-06-09 Cooper Industries, Inc. Pipeline component assembly
JP2924989B2 (ja) * 1992-01-28 1999-07-2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ダイヤモンド膜被覆窒化珪素基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20243U (zh) 1992-02-02 1992-10-28 冶金工业部攀枝花钢铁公司 管道快速连接器
JP3492390B2 (ja) 1993-02-17 2004-02-03 矢野技研株式会社 新設管類の接続工法
FR2722179B1 (fr) 1994-07-11 1996-10-11 Fmc Europe Installation raclable de connexion selective manuelle
CN2199395Y (zh) 1994-07-31 1995-05-31 严忠毅 直插式管道活接头
JP2000055235A (ja) 1998-08-03 2000-02-22 Nippon Sanso Kk バルブの遠隔開閉装置
US6324917B1 (en) * 1999-03-11 2001-12-04 Mark Products, Inc. Combination air pipe connector and flow measurement device
KR100352985B1 (ko) * 1999-04-30 2002-09-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균열이 없고 평탄한 다이아몬드막 합성 방법
RU2169640C1 (ru) * 2000-07-17 2001-06-27 Хамзин Шамиль Хурматович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такт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торцевых пар трения
JP3791838B2 (ja) 2001-12-28 2006-06-28 岩井機械工業株式会社 昇降姿勢制御部を備えた自動着脱継手付き弁装置
JP4273487B2 (ja) 2003-08-27 2009-06-03 Smc株式会社 管継手
DE202006006425U1 (de) * 2006-04-21 2006-06-29 Burgmann Industries Gmbh & Co. Kg Bauteil, insbesondere Gleitring einer Gleitringdichtungsanordnung
JP5056074B2 (ja) 2007-03-05 2012-10-24 横浜ゴム株式会社 配管継手の自動着脱構造
DE102007025787A1 (de) * 2007-05-24 2008-11-27 Faster S.P.A. Rohrkupplung, Verfahren zum Rohrkuppeln, und zur Selbstreinigung von Kupplungshälften beim Rohrkuppeln
DE202007016868U1 (de) * 2007-12-04 2008-02-14 Burgmann Industries Gmbh & Co. Kg Gleitring einer Gleitringdichtungsanordnung
US8225474B2 (en) 2008-05-30 2012-07-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crim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05997C2 (uk) 2014-07-10
CN103328874B (zh) 2015-07-29
KR101486445B1 (ko) 2015-01-26
EP2635836A1 (fr) 2013-09-11
US9080703B2 (en) 2015-07-14
JP5784133B2 (ja) 2015-09-24
FR2967231A1 (fr) 2012-05-11
ES2549923T3 (es) 2015-11-03
US20130221661A1 (en) 2013-08-29
RU2529968C1 (ru) 2014-10-10
JP2014503756A (ja) 2014-02-13
CN103328874A (zh) 2013-09-25
SI2635836T1 (sl) 2016-01-29
HUE027937T2 (en) 2016-11-28
EP2635836B1 (fr) 2015-07-29
ZA201303226B (en) 2014-07-30
WO2012059684A1 (fr) 2012-05-10
FR2967231B1 (fr) 201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445B1 (ko)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에 연결되는 연결장치
ES2621323T3 (es) Tapón de doble bloqueo y purga
JPH0157230B2 (ko)
RU2007140975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 клапанах и насосах
AU2012367882B2 (en) A stab connec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BR112015011813B1 (pt) Disposição de compensação de pressão submarina
US11913590B2 (en) Flexible peristaltic robot with built-in bidirectional gas pump for self-regulating gas flow
BR102016006291A2 (pt) compensador de pressão para um dispositivo submarino,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compensador de pressão para um dispositivo submarino
ES2904644T3 (es) Una herramienta de detención de flujo para tuberías
CN204462535U (zh) 检查设备引导系统
BRPI1004164A2 (pt) dispositivo de duto de petroleo
US20160107013A1 (en) A robotic supply system
KR101573120B1 (ko)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로봇
US20170102107A1 (en) Pipe Tool Positioning System
CN104110548A (zh) 管耦接件
RU3959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жидкостей
BR112019002075B1 (pt) Método e sistema de conexão para conectar dois condutos em um corpo de água e instalação subaquática para produção de hidrocarbonetos
CN213236564U (zh) 一种柔性截流装置及排水设备
CN114351823A (zh) 一种具有截流机构的水处理设施及排水设备
KR20060031266A (ko) 고순도 케미컬 이송 호스의 자동연결장치에 장착되는 암커플링의 호스연결구조
PL68923Y1 (pl) Kompensator liniowy rurociągu
JP2004530083A (ja) 改良されたパイプライン隔離装置
KR101915118B1 (ko) 자동 셧다운 장치
JP2022191977A (ja) 継手部材、消火栓設備及び接続管
CN114352760A (zh) 一种具有截流机构的水处理设施及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