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077A - 가압 롤러 유닛 - Google Patents

가압 롤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077A
KR20130118077A KR1020120040980A KR20120040980A KR20130118077A KR 20130118077 A KR20130118077 A KR 20130118077A KR 1020120040980 A KR1020120040980 A KR 1020120040980A KR 20120040980 A KR20120040980 A KR 20120040980A KR 20130118077 A KR20130118077 A KR 2013011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load cell
moving block
servo mo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052B1 (ko
Inventor
김준섭
진태준
백규식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주)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엔티 filed Critical (주)피엔티
Priority to KR102012004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in several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로드셀(load cell)을 이용하여 한 쌍의 롤러 사이의 닙(nip) 간격 또는 닙에서의 가압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는 가압 롤러 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압 롤러 유닛은, 서로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필름이 통과하는 닙(nip)을 형성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제1 롤러가 제2 롤러에 근접하도록 제1 롤러를 가압하는 것으로, 제1 롤러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 이동 블록의 단부에 마련된 로드셀(load cell), 제1 롤러의 샤프트에 마련되고, 이동 블록이 제1 롤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드셀에 접촉되는 로드셀 리시버(load cell receiver), 로드셀과 로드셀 리시버가 접촉되도록, 또는 로드셀이 로드셀 리시버와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되도록 이동 블록을 구동하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및 로드셀에 의해 측정되는 하중이 미리 설정한 기준 하중값에 도달하면 이동 블록이 더 이상 제1 롤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압 롤러 유닛{Pressing roller unit}
본 발명은 한 쌍의 필름을 가압 부착하거나, 단일 필름을 가압하여 그 두께를 조정하는 가압 롤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필름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두께를 얇고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또는 한 쌍의 동종(同種) 혹은 이종(異種)의 필름을 가압 부착하기 위하여 가압 롤러 유닛이 사용된다. 가압 롤러 유닛은 서로 접촉하거나 매우 근접하여 닙(nip)을 형성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한다. 이 한 쌍의 롤러는 필름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의 닙 간격 또는 닙에서의 가압력은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여야 하며 정밀하게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한 쌍의 롤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롤러 샤프트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롤러 샤프트 사이에 경사진 블록(tapered block)을 개재하고 이 경사진 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닙 간격 또는 닙에서의 가압력을 조정하였다. 그런데, 이 방법은 상기 가압 부재와 경사진 블록 간 마찰로 인한 마모와 부재의 변형으로 인해 닙 간격을 신뢰성 있게 재현하기 어렵고, 작업자의 숙련된 노하우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 마모로 인한 미세한 파티클(particle)이 가압 롤러 유닛의 닙을 통과하는 필름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닙 간격 조정이 잘못되면 필름의 품질 불량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롤러가 과밀착되어 휘거나 파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로드셀(load cell)을 이용하여 한 쌍의 롤러 사이의 닙(nip) 간격 또는 닙에서의 가압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는 가압 롤러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한 쌍의 롤러 사이의 닙 간격 또는 닙에서의 가압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는 가압 롤러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필름이 통과하는 닙(nip)을 형성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제2 롤러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1 롤러를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롤러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의 단부에 마련된 로드셀(load cell); 상기 제1 롤러의 샤프트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제1 롤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드셀에 접촉되는 로드셀 리시버(load cell receiver); 상기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 리시버가 접촉되도록, 또는 상기 로드셀이 상기 로드셀 리시버와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이동 블록을 구동하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및,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되는 하중이 미리 설정한 기준 하중값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 블록이 더 이상 상기 제1 롤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 가압 롤러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압 롤러 유닛은 상기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 리시버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블록 및 상기 서보 모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서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볼 스크류(ball screw)에 연결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 롤러 유닛은 상기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볼 스크류에 전달하고, 상기 서보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 블록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감속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의 샤프트는 상기 제1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이동 블록, 상기 로드셀, 상기 로드셀 리시버, 및 상기 서보 모터는 상기 제1 롤러 샤프트의 일측과 타측에 대응되게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 롤러 유닛은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리니어 스케일(linear scale)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리니어 스케일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량이 미리 설정한 기준 이동량값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 블록이 멈추거나 상기 제1 롤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서보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 롤러 유닛은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제2 롤러에 과도하게 밀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 롤러 유닛에 의하면,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한 쌍의 롤러 사이의 닙(nip) 간격 또는 닙에서의 가압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한 작업의 불량을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리니어 스케일 또는 스토퍼를 더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롤러의 과밀착으로 인한 장치의 고장이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롤러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롤러 유닛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롤러 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롤러 유닛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롤러 유닛(10)은 제1 롤러(30) 및 제2 롤러(40)와, 이동 블록(23)과, 로드셀(load cell)(25)과, 로드셀 리시버(load cell receiver)(34)와, 볼 스크류(ball screw)(20)와, 서보 모터(servo motor)(15), 회전 감속기(17), 프레임(frame)(13), 및 유압 실린더(11)를 구비한다.
하측에 위치한 제1 롤러(30)와 상측에 위치한 제2 롤러(40)는 서로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원단 필름(film) 또는 웹(web)(미도시)이 통과하는 닙(nip)(47)을 형성한다. 한 쌍의 필름이 상기 닙(47)을 통과하며 서로 합착되거나, 단일 필름이 상기 닙(47)을 통과하며 두께가 얇아지고 균일해질 수 있다. 제1 롤러(30)의 샤프트(32)와 제2 롤러(40)의 샤프트(42)는 각 롤러(30, 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련된다. 제1 롤러 샤프트(32)는 제1 롤러 브라켓(미도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롤러 샤프트(42)는 제2 롤러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 블록(23)은 제1 롤러(30)가 제2 롤러(40)에 근접하도록 제1 롤러(30)를 가압한다. 이동 블록(23)은 상승하여 제1 롤러(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강하여 제1 롤러(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동 블록(23)은 제1 롤러(30) 양 측의 샤프트(32)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며, 한 쌍의 이동 블록(23)이 상승하여 한 쌍의 제1 롤러 샤프트(32)와 그 사이의 제1 롤러(30)를 밀어 올려 제2 롤러(40)에 근접시키거나 밀착시키게 된다.
로드셀(25)은 각 이동 블록(23)의 상단부에 마련된다. 로드셀(25)은 자신에게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므로 이 신호를 처리하여 로드셀(25)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로드셀 리시버(34)는 제1 롤러(30)의 양 측의 샤프트(32) 아래에 각각 마련되며 이동 블록(23)이 제1 롤러(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드셀(25)이 로드셀 리시버(34)에 접촉되고, 로드셀(25)에 하중이 가해진다.
서보 모터(15)는 로드셀(25)과 로드셀 리시버(34)가 접촉되도록, 또는 로드셀(25)이 로드셀 리시버(34)와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되도록 이동 블록(23)을 구동한다. 로드셀(25)이 로드셀 리시버(34)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블록(23)이 상승하면 로드셀(25)과 로드셀 리시버(34)가 접촉된다. 로드셀(25)이 로드셀 리시버(34)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이동 블록(23)이 하강하면 로드셀(23)이 로드셀 리시버(34)로부터 이격된다.
이동 블록(23)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볼 스크류(ball screw)(20)에 체결되어, 볼 스크류(20)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직선 경로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볼 스크류(20)는 서보 모터(1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서보 모터(15)의 회전력은 회전 감속기(17)를 통해 볼 스크류(20)에 전달된다. 회전 감속기(17)는 서보 모터(15)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볼 스크류(20)에 전달하고, 서보 모터(15)가 회전하지 않을 때 이동 블록(23)이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도록 볼 스크류(20)의 회전을 방지한다. 회전 감속기(17)는 웜 기어(worm gear), 커플링 기어(coupling gea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감속기(17)는 박스(box) 형태의 프레임(13) 내부에 설치되고, 서보 모터(15)와 볼 스크류(20)는 상기 프레임(13)에 지지된다.
프레임(13)은 유압 실린더(11)에 의해 지지되며, 유압 실린더(11)의 작용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로드셀(25)과 로드셀 리시버(34)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1)의 작용에 의해 프레임(13)을 상승시키면 서보 모터(15), 회전 감속기(17), 볼 스크류(20), 이동 블록(23), 및 로드셀(25)이 상승한다. 구체적으로, 가압 롤러 유닛(10)이 작동을 시작하기 전에 로드셀(25)과 로드셀 리시버(34) 사이의 간격은 대략 30mm 인데,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을 시작하면 먼저 유압 실린더(11)에 의해 대략 25mm 상승하고, 유압 실린더(11)가 멈춘 후 서보 모터(15)의 작동으로 대략 5mm 상승하여 로드셀(25)이 로드셀 리시버(34)에 접촉된다. 반대로, 가압 롤러 유닛(10)이 작업을 마치면 서보 모터(15)의 작동으로 대략 5mm 이상 하강하여 로드셀(25)이 로드셀 리시버(34)로부터 분리되고, 유압 실린더(11)에 의해 대략 25mm 하강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11)는 상기 제1롤러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완충 부재 역할을 겸할 수 있다.
가압 롤러 유닛(10)은 이동 블록(23)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리니어 스케일(linear scale)(28)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 블록(23)과 마찬가지로, 가압 롤러 유닛(10)은 볼 스크류(20), 로드셀(25), 로드셀 리시버(34), 서보 모터(15), 프레임(13), 회전 감속기(17), 유압 실린더(11), 리니어 스케일(28)을 한 쌍씩 구비한다.
또한, 가압 롤러 유닛(10)은 제1 롤러(30)가 제2 롤러(40)에 과도하게 밀착되지 않도록 제1 롤러(30)의 상승을 기계적으로 제한하는 상승 제한 스토퍼(stopper)(48)와, 이동 블록(23)이 하강할 때 제1 롤러(30)가 이동 블록(23)을 따라 무제한적으로 하강하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제한하는 하강 제한 스토퍼(49)를 더 구비한다. 상기 상승 제한 스토퍼(48)와 하강 제한 스토퍼(49)는 제1 롤러 브라켓(미도시)의 상승 또는 하강을 막아 제1 롤러(30)의 이동을 제한한다. 특히, 상승 제한 스토퍼(48)는 제1 롤러(30)가 제2 롤러(40)에 과밀착되어 제1 롤러(30)와 제2 롤러(40)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예방한다.
가압 롤러 유닛(10)은 유압 실린더(11)와 서보 모터(15)를 제어하는 콘트롤러(50)를 더 구비한다. 콘트롤러(50)는 가압 롤러 유닛(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을 시작하면 유압 실린더(11)를 제어하여 프레임(13)과, 이에 지지된 볼 스크류(20)와, 이동 블록(23)과, 로드셀(25)을 대략 25mm 상승시킨다. 그리고, 콘트롤러(50)는 유압 실린더(11)의 작동을 멈추고, 서보 모터(15)를 제어하여 이동 블록(23)을 상승시킨다. 이동 블록(23)의 상승으로 로드셀(25)이 로드셀 리시버(34)에 접촉하고 가압되며, 이동 블록(23)이 상승함에 따라 로드셀(25)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대된다. 로드셀(25)은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콘트롤러(50)에 수신되어 하중으로 산출된다. 이 하중이 미리 설정한 기준 하중값, 예컨대 1000 kgf 에 도달하면 콘트롤러(50)는 이동 블록(23)이 더 이상 제1 롤러(30)에 가까워지는 방향, 즉 상승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서보 모터(15)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서 제1 롤러 및 제2 롤러의 양단이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된 무게에 의하여 닙 갭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가압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한 쌍의 롤러 사이의 닙 간격 또는 닙에서의 가압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재현성이 우수하다.
또한, 가압 롤러 유닛(10)에 의한 작업이 종료되면 콘트롤러(50)는 서보 모터(15)를 제어하여 이동 블록(23)을 하강시킴으로써 로드셀(25)을 로드셀 리시버(34)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콘트롤러(50)는 서보 모터(15)의 작동을 멈추고, 유압 실린더(11)를 제어하여 프레임(13)과, 이에 지지된 볼 스크류(20)와, 이동 블록(23)과, 로드셀(25)을 대략 25mm 하강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콘트롤러(50)는 이동 블록(23)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 리니어 스케일(28)은 그 이동량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며, 콘트롤러(50)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블록(23)의 이동량을 산출한다. 콘트롤러(50)는 이동 블록(23)의 이동량이 미리 설정한 기준 이동량값에 도달하면 이동 블록(23)이 멈추거나, 이동 블록(23)이 제2 롤러(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즉 하강하도록 서보 모터(15)를 제어한다.
상기 이동 블록과 제1 롤러간의 간격은 미리 정해져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 블록의 절대적인 높이를 측정하게 되면, 제1 롤러의 높이를 구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간의 간격 및 접촉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의 가압되는 무게를 측정하여서, 갭을 조절한다. 이와 더불어, 이동 블록의 절대적인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롤러의 파손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로드셀(25)의 고장 또는 오작동이 있는 경우에도 이동 블록(23)의 과도한 상승과 이로 인한 제1 롤러(30)와 제2 롤러(40)의 파손 또는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가압 롤러 유닛(10)의 작동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실제 필름을 가압하기 전에, 제1 롤러(30)가 제2 롤러(40)를 누르는 무게를 변경시키면서, 즉, 이동 블록의 로드셀(25)이 로드셀 리시버(34)와 접촉시켜서 나오는 하중 값을 변화시키면서, 각각의 하중 값에 따른 필름의 코팅 정도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서 제1 롤러 양단에서 각각 가장 적절한 하중 값을 구하고, 이를 콘트롤러(50)에 입력한다.
그 후에, 실제로 필름을 가압하는 공정을 거친다. 이 경우, 초기에는 상기 제1 롤러(30)가 하강 제한 스토퍼(49)에 얹혀져 있으며, 유압 실린더(11)를 작동시켜서 이동 블록을 이동시켜서 상기 이동 블록이 제1 롤러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하중 값이 일정한 값을 얻게 된다.
그 후에 상기 유압 실린더(11)를 계속 작동시켜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의 간격이 예를 들어 5mm가 되도록, 상기 제1 롤러를 접근시킨다.
그 후에, 유압 실린더(11)의 작동을 멈추고, 서보 모터(15)를 작동시켜서 로드셀(25)을 상승시켜서 로드셀 리시버(34)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하중 값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하중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하중값에 도달하게 되면, 콘트롤러는 이동 블록(23)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서보 모터(15)를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콘트롤러(50)는 리니어 스케일(28)의 신호를 수신하여서 이동 블록(23)의 절대적 이동량을 체크하여서 상기 이동 블록(23)의 절대적 이동량이 적정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동 블록을 멈추거나, 이동 블록(23)이 제2 롤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 후에, 가압 롤러 유닛(10)에 의하여 작업이 종료되면 콘트롤러(50)는 서보 모터(15)를 제어하여 이동 블록(23)을 하강시켜서 로드셀을 로드셀 리시버로부터 분리시키고, 유압 실린더(11)를 제어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가압 롤러 유닛 15: 서보 모터
20: 볼 스크류 23: 이동 블록
25: 로드셀(load cell) 28: 리니어 스케일(linear scale)
30: 제1 롤러 34: 로드셀 리시버
40: 제2 롤러 48, 49: 스토퍼

Claims (6)

  1. 서로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필름이 통과하는 닙(nip)을 형성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제2 롤러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1 롤러의 양단을 각각 가압 및 가압 해제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
    상기 이동 블록의 단부에 마련된 로드셀(load cell);
    상기 제1 롤러의 샤프트의 상기 로드셀에 대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제1 롤러에 접촉됨에 따라서 상기 로드셀에 접촉되는 로드셀 리시버(load cell receiver);
    상기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 리시버가 접촉되도록, 또는 상기 접촉이 해제되도록 상기 이동 블록을 구동하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및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되는 하중이 미리 설정한 기준 하중값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 블록이 더 이상 상기 제1 롤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 리시버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블록 및 상기 서보 모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서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볼 스크류(ball screw)에 연결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볼 스크류에 전달하고, 상기 서보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 블록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감속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제2 롤러에 과도하게 밀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유닛.
  6. 제1 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의 절대적 이동량을 측정하는 리니어 스케일(linear sca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리니어 스케일에 의해 측정되는 이동량이 미리 설정한 기준 이동량값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 블록이 멈추거나 상기 제2 롤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롤러 유닛.
KR1020120040980A 2012-04-19 2012-04-19 가압 롤러 유닛 KR10135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80A KR101351052B1 (ko) 2012-04-19 2012-04-19 가압 롤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80A KR101351052B1 (ko) 2012-04-19 2012-04-19 가압 롤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77A true KR20130118077A (ko) 2013-10-29
KR101351052B1 KR101351052B1 (ko) 2014-01-10

Family

ID=4963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980A KR101351052B1 (ko) 2012-04-19 2012-04-19 가압 롤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0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991B1 (ko) * 2020-07-03 2021-07-05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장치의 인쇄압력을 제어하는 인압 제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압 제어장치
KR102381826B1 (ko) * 2020-10-26 2022-04-01 주식회사 유니온테크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KR102437605B1 (ko) * 2021-08-26 2022-08-29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고분자 나노 복합 방열시트 제조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109A (ko) 2015-02-13 2016-08-23 (주)피엔티 가압 롤러 장치
KR101790132B1 (ko) 2017-04-04 2017-10-25 (주)제이더블유이엔지 인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311A (ja) * 2002-06-28 2004-02-05 Canon Inc 円筒状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得られた円筒状フィルム
JP4600664B2 (ja) * 2005-03-23 2010-12-15 株式会社Ihi ロール間隙調整装置
KR100588583B1 (ko) * 2005-06-17 2006-06-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이너라이너 폭 및 두께 자동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롤러의 갭편차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027035B1 (ko) * 2008-10-20 2011-04-11 주식회사 성창기계 강판의 코팅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991B1 (ko) * 2020-07-03 2021-07-05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장치의 인쇄압력을 제어하는 인압 제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압 제어장치
KR102381826B1 (ko) * 2020-10-26 2022-04-01 주식회사 유니온테크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KR102437605B1 (ko) * 2021-08-26 2022-08-29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고분자 나노 복합 방열시트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052B1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52B1 (ko) 가압 롤러 유닛
US9751709B2 (en) Clearance adjusting apparatus, clearance adjusting method and conveyance device
CN203991812U (zh) 直线推动侧辊弧线运动的四辊卷板机
IT201600083221A1 (it) Attrezzatura per la lavorazione meccanica di elementi lastriformi
CN106238510A (zh) 一种矫直机辊缝压下调节装置
CN203510575U (zh) 压辊间隙调整装置
CN108732088B (zh) 一种动态加载滚动摩擦特性检测仪
CN205217619U (zh) 在线调隙轧机、在线调隙轧制系统
CN205015261U (zh) 一种滚压装置
CN206810948U (zh) 自动挡料落料模组件
KR101443089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US11297841B2 (en) Rotary dough molding machine
KR200483563Y1 (ko) 벤딩각도의 조절이 용이한 벤딩장치
KR101419362B1 (ko) 라미네이팅 장치
CN205786156U (zh) 一种检测陶瓷辊表面涂层硬度的装置
CN109759220B (zh) 辊压碾压设备限位保护装置
CN201279938Y (zh) 一种测长装置及压力机
CN105414202A (zh) 在线调隙轧机、在线调隙轧制系统
CN205949567U (zh) 一种基于直线位移传感器控制的液压两辊卷圆机
CN105197651B (zh) 制袋机用张力浮杠
KR102571055B1 (ko) 스크라이빙 방법 및 스크라이빙 장치
KR20070075060A (ko) 레벨피더
CN207887672U (zh) 一种带侧辊的柔性卷板机
CN210026409U (zh) 一种复合压辊机构
CN203713245U (zh) 一种基于闭环控制的行走机构及网版印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