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826B1 -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 Google Patents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826B1
KR102381826B1 KR1020200139076A KR20200139076A KR102381826B1 KR 102381826 B1 KR102381826 B1 KR 102381826B1 KR 1020200139076 A KR1020200139076 A KR 1020200139076A KR 20200139076 A KR20200139076 A KR 20200139076A KR 102381826 B1 KR102381826 B1 KR 10238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ylinder
load cell
support member
press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호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테크
Priority to KR102020013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D01F9/133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착대상에 밀착되어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재; 상기 롤러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지지부재를 통해서 상기 롤러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드셀을 매개로 상기 롤러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를 상기 밀착대상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린더; 및 상기 로드셀의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로드셀의 측정 하중이 설정범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작동유체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착대상의 형태나 위치 변화에 의해 가변되는 롤러의 반력이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도록 롤러에 인가되는 실린더의 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밀착대상과의 밀착, 특히 카본섬유 소재가 부착을 위해서 정해진 힘으로 롤러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본 섬유 제품 등과 같은 균일한 가압력을 요구하는 제품이나 소재의 제조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Pressure control roller according to the shape change of the curved surface}
본 발명은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착대상의 형태나 위치 변화에 의해 가변되는 롤러의 반력이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도록 롤러에 인가되는 실린더의 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밀착대상과의 밀착, 특히 카본섬유 소재가 부착을 위해서 정해진 힘으로 롤러에 밀착되도록 하는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는 시트 형태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소재의 이송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거나, 이러한 소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송 또는 안착된 소재에 대한 가압을 위한 용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롤러 중에서, 콤팩션 롤러(compacton roller)는 소재의 평탄화 과정에 사용되거나, 소재의 접촉면에 쉽게 잘 밀착되도록 사용되는데, 가압 롤러, 프레스 롤러, 밀착 롤러, 압착 롤러, 탄성 지지 롤러 등과 같이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우고 있다.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9701호의 " 이중원단 접착장치의 압착롤러 장착구조"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액상의 접착제 수지가 도포되는 엔드리스 벨트와, 엔드리스 벨트상에 설치되어 접착제 수지를 필름 상태로 반건조시키는 드라이 챔버가 구비된 이중원단 접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드리스 벨트를 사이에 두고 수지압착롤러와 제1원단압착롤러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제1원단압착롤러의 하부로 공급되는 제1원단을 접착제수지필름의 일면에 접착시키고, 상기 제1원단압착롤러의 상부에는 제2원단압착롤러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제2원단압착롤러의 하부로 공급되는 제2원단을 접착제수지필름의 타면에 접착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 기술은 압착 대상인 소재에 변화되는 굴곡을 가지거나, 롤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재와의 접촉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 이러한 소재를 제대로 압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굴곡을 가지거나, 접촉 위치가 가변되는 소재의 평탄화에 필요한 외력을 제대로 인가하기 위하여, 또는 이러한 소재에 제대로 밀착되기 위하여, 롤러축에 스프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른 종래 기술은 롤러축 자체가 가변됨으로써, 롤러의 안정적인 설치와 및 가압력 구현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롤러의 길이방향 형태가 고정적이므로, 롤러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이한 곡률을 가지는 소재의 밀착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착대상의 형태나 위치 변화에 의해 가변되는 롤러의 반력이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도록 롤러에 인가되는 실린더의 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밀착대상과의 밀착, 특히 카본섬유 소재가 부착을 위해서 정해진 힘으로 롤러에 밀착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카본 섬유 제품 등과 같은 균일한 가압력을 요구하는 제품이나 소재의 제조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밀착대상에 밀착되어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재; 상기 롤러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지지부재를 통해서 상기 롤러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드셀을 매개로 상기 롤러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를 상기 밀착대상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린더; 및 상기 로드셀의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로드셀의 측정 하중이 설정범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작동유체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밀착대상에 밀착되기 위한 접촉링의 내측에 상기 축부재가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되고, 상기 축부재에서 외주면과 길이방향을 각각 따라 제 1 고정홈이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링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고정홈에 각각 대향하도록 제 2 고정홈이 다수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홈에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접촉링 내에서 상기 밀착대상의 형태 변화에 따라 상기 축부재의 위치가 가변되는 중심축가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지지부재와 상기 실린더는, 서로 마주보는 측에 결합부재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재 각각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셀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양측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롤러지지부재의 결합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결합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의 축부재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지지부재 각각에 설치되는 로드셀의 측정값을 평균하고, 평균한 측정값이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작동유체 공급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2자 유도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실린더에 작동유체의 공급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롤러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가 양측에 고정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 1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 1 아암에 결합되어, 제 1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1 아암으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제 1 아암이 제 2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 2 아암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으로부터 회전하며, 상기 제 2 아암이 제 3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이송부재에 결합되어, 제 3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이송부재가 이송구동부에 의해 프레임본체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에 의하면, 밀착대상의 형태나 위치 변화에 의해 가변되는 롤러의 반력이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도록 롤러에 인가되는 실린더의 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밀착대상과의 밀착, 특히 카본섬유 소재가 부착을 위해서 정해진 힘으로 롤러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본 섬유 제품 등과 같은 균일한 가압력을 요구하는 제품이나 소재의 제조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의 요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에서 로드셀 위치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에서 중심축이 가변되는 롤러 위치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의 제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의 요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100)는 롤러(110,120), 롤러지지부재(130), 로드셀(140), 실린더(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10,120)는 밀착대상에 밀착되어 축부재(111,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데, 밀착대상은 부착을 위한 카본섬유 소재를 비롯하여 다양한 부착 소재이거나, 안정적인 이동을 가이드하는 소재나 부품 또는 이동에 필요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소재나 부품 등일 수 있다.
롤러(110,1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축부재(111)의 중심이 가변되는 중심축가변롤러(110) 또는 축부재(121)의 중심이 고정되는 중심축고정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심축가변롤러(120)는 밀착대상에 밀착되기 위한 접촉링(112)의 내측에 축부재(111)가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될 수 있고, 축부재(111)에서 외주면과 길이방향을 각각 따라 제 1 고정홈(111a)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링(112)의 내주면에 제 1 고정홈(111a)에 각각 대향하도록 제 2 고정홈(112a)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홈(111a,112a)에 스프링(113)의 양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접촉링(112) 내에서 밀착대상의 형태 변화에 따라 축부재(111)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고, 이러한 스프링(113)의 압축 및 복원력에 의해 접촉링(112)이 축부재(111)로부터 반경이 가변됨으로써 밀착대상에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롤러지지부재(130)는 롤러(110,120)의 축부재(111,1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롤러(110,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롤러지지부재(130)는 롤러(110,120)의 축부재(111,121) 마다 양측에 각각 베어링(13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지지부재(130)는 롤러(110,120) 각각이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축부재(111,121) 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로드셀(140)은 롤러지지부재(130)에 결합되고, 롤러지지부재(130)를 통해서 롤러(110,120)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로드셀(140)은 압축에 의한 변형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통해서 하중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실린더(150)는 로드셀(140)에 결합됨으로써, 로드셀(140)을 매개로 롤러지지부재(130)에 연결되고, 롤러(110,120)를 밀착대상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실린더(150)는 본 실시례에서는 작동유체로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공압실린더일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작동유체로서 오일을 사용하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도 있다.
실린더(15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작동유체의 공급을 위한 포트(154)가 마련되되, 실린더로드에 해당하는 가동부재(151)의 왕복 운동을 위하여 포트(154)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지지부재(130)와 실린더(150)는 서로 마주보는 측에 결합부재(132,152)가 각각 마련될 수 있고, 결합부재(132,152) 각각에 홈 또는 홀 형태의 암나사부(133,153)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셀(140)은 암나사부(133,153)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141)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롤러지지부재(130)의 결합부재(132)와 실린더(150)의 결합부재(15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셀(140)은 롤러지지부재(130)와 실린더(150)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으며, 실린더(150)의 왕복 운동을 롤러지지부재(13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로드셀(140)이 롤러(110,120)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롤러(110,120)의 축부재(111,1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재(130)의 상단에 결합부재(132)가 고정될 수 있고, 롤러지지부재(130)의 결합부재(132) 상단에 로드셀(140)이 고정될 수 있으며, 로드셀(140)의 상단에 실린더(150)의 결합부재(152)가 고정될 수 있고, 결합부재(152)가 실린더(150)의 가동부재(151)에 고정됨으로써, 로드셀(140)의 상측에 실린더(1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로드셀(140)의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받아, 로드셀(140)의 측정 하중이 설정범위에 해당하도록 실린더(150)의 작동유체 공급압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롤러(110,120)의 축부재(111,121)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지지부재(130) 각각에 설치되는 로드셀(140)의 측정값을 평균하고, 평균한 측정값이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도록 실린더(150)의 작동유체 공급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롤러(110,120) 마다 양측의 로드셀(140) 측정값을 평균하여 이를 통해 롤러(110,120)의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롤러(110,120)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가압력을 설정범위에 해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범위는 설정값이나 데이터 등을 입력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23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데, 밀착대상이나 작업 등에 따라 실험적으로 얻어진 값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설정범위는 메모리부(240)에 저장되어 제어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에 의한 제어 동작이나 각종 데이터 등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로드셀(140)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2자 유도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를 통하여 실린더(15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신호가 실린더(150)에 작동유체의 공급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161)를 통하여 실린더(150)에 의해 롤러(110,120)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 의한 2자 유도 PID 제어는 도 7에 나타낸 블록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Kp는 Propotional gain이고, Ki는 Integrator gain이며, Kd는 Derivative gain이고, Td는 Derivative filter time이며, α는 setpoint weight on propotional term이며, λ는 setpoint weight on derivative term이다. 기존의 PID 제어에서는 외란에 따른 변화를 수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외란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2자 유도 PID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2자 유도 PID 제어에 의해 목표값의 응답과 외란 응답의 제어성능이 양립 가능하게 하여, 외란에 대한 문제 해결에 보다 큰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100)는 실린더(150)가 양측에 고정되는 본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70)는 제 1 힌지결합부(18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 1 아암(180)에 결합되어, 제 1 회전구동부(182)에 의해 제 1 아암(180)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고, 제 1 아암(180)이 제 2 힌지결합부(19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 2 아암(190)에 결합되어, 제 2 회전구동부(192)에 의해 제 2 아암(190)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아암(190)이 제 3 힌지결합부(2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이송부재(210)에 결합되어, 제 3 회전구동부(212)에 의해 이송부재(210)로부터 회전할 수 있고, 이송부재(210)가 이송구동부(222)에 의해 프레임본체(220)에서 레일(221)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110,120)는 제 1 및 제 2 아암(180,190) 및 이송부재(210) 등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특히 카본섬유 소재의 부착 등에 있어서 효율적인 동작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회전구동부(182,192,212)는 모터의 회전력 또는 실린더의 왕복 운동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송구동부(222)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거나, 리니어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에 따르면, 밀착대상의 형태나 위치 변화에 의해 가변되는 롤러의 반력이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도록 롤러에 인가되는 실린더의 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밀착대상과의 밀착, 특히 카본섬유 소재가 부착을 위해서 정해진 힘으로 롤러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카본 섬유 제품 등과 같은 균일한 가압력을 요구하는 제품이나 소재의 제조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중심축가변롤러 111 : 축부재
111a : 제 1 고정홈 112 : 접촉링
112a : 제 2 고정홈 113 : 스프링
120 : 중심축고정롤러 121 : 축부재
130 : 롤러지지부재 131 : 베어링
132 : 결합부재 133 : 암나사부
140 : 로드셀 141 : 수나사부
150 : 실린더 151 : 가동부재
152 : 결합부재 153 : 암나사부
154 : 포트 160 : 제어부
161 : 압력제어밸브 170 : 본체
180 : 제 1 아암 181 : 제 1 힌지결합부
182 : 제 1 회전구동부 190 : 제 2 아암
191 : 제 2 힌지결합부 192 : 제 2 회전구동부
210 : 이송부재 211 : 제 3 힌지결합부
212 : 제 3 회전구동부 220 : 프레임본체
221 : 레일 222 : 이송구동부
230 : 조작부 240 : 메모리부
250 : 표시부 260 : 공압공급부

Claims (6)

  1. 밀착대상에 밀착되어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재;
    상기 롤러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지지부재를 통해서 상기 롤러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드셀을 매개로 상기 롤러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를 상기 밀착대상에 밀착되도록 하는 실린더; 및
    상기 로드셀의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로드셀의 측정 하중이 설정범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작동유체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밀착대상에 밀착되기 위한 접촉링의 내측에 상기 축부재가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되고, 상기 축부재에서 외주면과 길이방향을 각각 따라 제 1 고정홈이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링의 내주면에 상기 제 1 고정홈에 각각 대향하도록 제 2 고정홈이 다수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홈에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접촉링 내에서 상기 밀착대상의 형태 변화에 따라 상기 축부재의 위치가 가변되는 중심축가변롤러를 포함하는,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재와 상기 실린더는,
    서로 마주보는 측에 결합부재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재 각각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셀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양측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롤러지지부재의 결합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결합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롤러의 축부재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롤러지지부재 각각에 설치되는 로드셀의 측정값을 평균하고, 평균한 측정값이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작동유체 공급압력을 조절하는,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2자 유도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실린더에 작동유체의 공급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롤러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양측에 고정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 1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 1 아암에 결합되어, 제 1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1 아암으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제 1 아암이 제 2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 2 아암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 2 아암으로부터 회전하며, 상기 제 2 아암이 제 3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이송부재에 결합되어, 제 3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이송부재가 이송구동부에 의해 프레임본체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KR1020200139076A 2020-10-26 2020-10-26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KR10238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76A KR102381826B1 (ko) 2020-10-26 2020-10-26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076A KR102381826B1 (ko) 2020-10-26 2020-10-26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826B1 true KR102381826B1 (ko) 2022-04-01

Family

ID=8118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076A KR102381826B1 (ko) 2020-10-26 2020-10-26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243B1 (ko) * 2022-09-08 2023-09-06 오성운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077A (ko) * 2012-04-19 2013-10-29 (주)피엔티 가압 롤러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077A (ko) * 2012-04-19 2013-10-29 (주)피엔티 가압 롤러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243B1 (ko) * 2022-09-08 2023-09-06 오성운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826B1 (ko)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US3119324A (en) Controlled deflection roll
EP2316578B1 (en) Roll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ed metal band
KR100312437B1 (ko) 도장막연마방법및그장치
JPH0148410B2 (ko)
US907973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nip force/pressure between two rotating cylinders
CN106180189B (zh) 一种多辊压延装置
WO2021114095A1 (zh) 焊接设备及其送丝装置
WO2021114094A1 (zh) 焊接设备及其送丝装置
US4538772A (en) Winding apparatus
US3648342A (en) Movable combination of rolls
US6668719B2 (en) Method and devices for adjusting a roller in a printing machine
WO2021114096A1 (zh) 焊接设备及其送丝装置
CN111373095B (zh) 用于在松垂幅材上涂覆的方法和设备
RU2507012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роликовым нож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роликовым ножом
US5295942A (en) Film advance mechanism
JP2004527373A (ja) 材料ウェブを製造および/または処理するための装置において互いに接近することができる二つの軸平行ローラを押圧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配列
CN215557714U (zh) 一种张力可调的薄膜放卷装置
JPH10329991A (ja) ウェブ供給装置
CN215313498U (zh) 一种涂胶装置
CN219683053U (zh) 一种水松纸的涂胶结构
US5189775A (en) Zone controlled deflection compensated roll
RU2364512C1 (ru) Устройство тиснения
JP4394289B2 (ja) 浮動塗布ダイ搭載装置
CN216261642U (zh) 一种精准控量涂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