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243B1 -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243B1
KR102575243B1 KR1020220114275A KR20220114275A KR102575243B1 KR 102575243 B1 KR102575243 B1 KR 102575243B1 KR 1020220114275 A KR1020220114275 A KR 1020220114275A KR 20220114275 A KR20220114275 A KR 20220114275A KR 102575243 B1 KR102575243 B1 KR 10257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pe
rolling
trico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운
Original Assignee
오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운 filed Critical 오성운
Priority to KR102022011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6Mechan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42Details of membrane prepar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58Fusion; Wel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에 다수의 리프 요소(leaf element)가 적층된 베이스 트리코트를 코어에 롤링시킴과 동시에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자동으로 테이핑하여 고정할 수 있는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베이스 트리코트(Tricot) 상에 역삼투막 원단, 스페이스 원단 및 트리코트 원단으로 형성되는 리프 요소(leaf element)를 순차적으로 이송 및 적층하는 리프 트랜스퍼 유닛(Leaf Transfer Unit); 상기 리프 트랜스퍼 유닛을 통해 이송 및 적층되는 리프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제(Glue)를 도포하도록 X,Y,Z축으로 이동하는 본딩 로봇(Bonding Robot)을 포함하는 본드 디스펜싱 유닛(Bond Dispensing Unit); 상기 베이스 트리코트의 일측 말단부에 코어를 제공하여 위치시키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층된 리프 요소와 함께 베이스 트리코트를 코어에 롤링하는 롤링 유닛(Rolling Unit); 및 상기 롤링 유닛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 외주면에 테이프를 감아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테이프를 공급하며, 공급된 테이프가 롤링 유닛의 회전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테이핑되도록 하는 테이핑 유닛(Taping Unit);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Commercial RO filter Rolling machine}
본 발명은 산업용 RO필터 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에 다수의 리프 요소(leaf element)가 적층된 베이스 트리코트를 코어에 롤링시킴과 동시에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자동으로 테이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인구 증가와 환경 오염 등으로 수처리 기술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사업은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처리 사업에 있어서 역삼투 필터모듈이 중요한 기술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역삼투 필터모듈은 가정용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도 최적화된 수처리 소재이며, 물을 끓이는 증류방식에 비해 경제적이고 친환경 기술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역삼투 필터모듈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역삼투이란 농도차가 있는 두 용액을 반투막으로 분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농도가 낮은 용액이 농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일정한 수위차를 발생시키는데 이를 "삼투" 현상이라고 하며, 아울러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위의 차이를 "역삼투압"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물 분자만 반투막을 통과시켜 물을 정화하는 장치를 역삼투압 설비라고 하며, 여기에 들어가는 반투막이 "역삼투 필터"이며, 이러한 필터를 모듈화 한 것이 "역삼투 필터모듈"이다.
한편, 역삼투 필터모듈은 트리코터 웰딩(tricoater wellding), 멤브레인 폴딩(membrane folding), 매뉴얼 롤링(manual rolling), 엔드 트리밍(end trimming) 및 FRP 코팅(Fiber reginforced polymer coating) 등의 다양한 공정 과정을 거쳐 생산되게 되는데, 이때 특히 트리코터 웰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트리코터 웰딩 공정의 경우, 트리코트(Tricot) 상에 역삼투막과 메시 부재의 개재로 형성된 리프 요소(Leaf elements)를 삽입(인서팅) 함에 있어서, 컨베이어(convevor) 장치를 이용하여 리프 요소를 트리코트 상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리프 요소는 컨베이어 벨트 상측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정위치에 위치되지 않고 조금씩 벗어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 속도가 특정 오차범위 내에서 조금씩 딜레이(delay)되는 경우 트리코트 상에 적층되는 리프 요소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패키징된 트리코터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종래의 트리코트를 롤링시키는 롤링 설비 공정의 경우, 트리코트 공정 설비와 폴딩 설비에서 만들어진 트리코트 팩 요소와 폴딩 리프 요소를 'Batch 롤링 설비'에 삽입하여 어셈블리화 하게 된다.
이때, 다수개의 리프 요소가 베이스 트리코트 상에서 일정한 거리 간격을 두고 다수층으로 적층되는데, 리프 요소가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베이스 트리코트로부터 리프 요소의 빠짐, 접힘, 사행 등의 불량 제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역삼투압 필터모듈의 롤링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리프 요소에 의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리프 요소를 롤링 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롤링 공정에서는 코어에 리프 요소가 적층된 베이스 트리코트를 롤링한 후, 접착제 등으로 롤링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였으므로, 접착제의 경화에 따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0-0129841호, 나권형 역삼투압 필터.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451633호, 멤브레인 필터 제조 장치 및 상기 멤브레인 필터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배부름 롤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에 다수의 리프 요소(leaf element)가 적층된 베이스 트리코트를 코어에 롤링시킴과 동시에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자동으로 테이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는, 베이스 트리코트(Tricot) 상에 역삼투막 원단, 스페이스 원단 및 트리코트 원단으로 형성되는 리프 요소(leaf element)를 순차적으로 이송 및 적층하는 리프 트랜스퍼 유닛(Leaf Transfer Unit); 상기 리프 트랜스퍼 유닛을 통해 이송 및 적층되는 리프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제(Glue)를 도포하도록 X,Y,Z축으로 이동하는 본딩 로봇(Bonding Robot)을 포함하는 본드 디스펜싱 유닛(Bond Dispensing Unit); 상기 베이스 트리코트의 일측 말단부에 코어를 제공하여 위치시키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층된 리프 요소와 함께 베이스 트리코트를 코어에 롤링하는 롤링 유닛(Rolling Unit); 및 상기 롤링 유닛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 외주면에 테이프를 감아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테이프를 공급하며, 공급된 테이프가 롤링 유닛의 회전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테이핑되도록 하는 테이핑 유닛(Tap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링 유닛은: 코어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코어의 양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코어의 양단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코어 측으로 전후진되게 설치되는 코어 구속부; 상기 코어 구속부에 의해 구속되어 회전하는 코어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승강하되는 한 쌍의 롤링 가압롤러; 및 상기 롤링 가압롤러에 의해 가압되면서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롤링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셀은 롤링 가압롤러에 간섭 받지 않도록 롤링 가압롤러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되,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연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핑 유닛은: 어느 일측에 소정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를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왕복이동부; 상기 왕복이동부에 의해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프레임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 상기 제2프레임부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를 고정하는 테이프고정롤러와, 상기 테이프고정롤러에 고정되는 롤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로부터 테이프가 풀려 소정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테이프의 단부가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도록 제2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풀리는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지는 테이프가이드부; 상기 테이프가이드부에 안내되면서 풀리는 테이프의 단부가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프레임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의 경사면을 따라 승하강시키도록 설치되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한 상태에서 테이프의 단부를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킴에 의해 테이프가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부착되게 하고,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로 롤링 유닛이 회전되는 힘으로 상기 테이프가이드롤러에 안내되도록 테이프가 풀리면서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테이핑하는 테이프가압부; 및 상기 테이프가압부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테이핑된 테이프를 커팅하는 테이프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프가압부는 소정 쿠션을 가지면서 테이프가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밀착하는 가압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리프 요소가 베이스 트리코트 상에서 흐트러지거나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층 및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롤링할 수 있어, 고품질의 RO필터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리프 요소의 로스 및 불량 발생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링 공정 시 테이프를 이용한 테이핑 공정으로 리프 요소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기 때문에, 품질의 일관성, 품질 증대는 물론, 설비 공간의 최소화, 생산성 증대 및 인원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롤링 유닛과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롤링 유닛과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롤링 유닛과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다단으로 적층되는 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리프 요소의 융착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리프 요소(Leaf element)라 함은, 기존에 공지된 역삼투막 필터모듈에 포함된 수처리용 분리막의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리프 요소가 아닌 분리막, 분리막 엘레먼트 또는 멤브레인 시트, 멤브레인 막 등과 같은 단어도 통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리프 요소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9는 다단으로 적층되는 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리프 요소의 융착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 요소는 다단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리프 요소는 4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하측에는 베이스 트리코트 원단이 적층되고, 상측에는 또 다른 트리코트 원단이 적층되며, 상측에는 역삼투압 원단 및 스페이스 원단이 차례대로 적층됨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역삼투압 원단은 폴딩된 상태에 해당하고, 폴딩된 역삼투압 원단 사이에 스페이스 원단이 개재된다.
따라서, 역삼투압 원단과 하측에 위치한 트리코트 원단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접합면이 바로 융착 포인트가 될 수 있으며, 해당 부위에 융착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융착 방식은 초음파 융착 방식,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 핫멜트 경화방식, 양면 테이프 부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는, 리프 트랜스퍼 유닛(Leaf Transfer Unit)(110)과, 본드 디스펜싱 유닛(Bond Dispensing Unit)(120)과, 롤링 유닛(Rolling Unit)(130), 및 테이핑 유닛(Taping Unit)(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 트랜스퍼 유닛(110)은 역삼투막 원단, 스페이스 원단 및 트리코트 원단으로 구성되는 리프 요소(leaf element)를 베이스 트리코트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 및 적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프 트랜스퍼 유닛(110)은 리프 요소를 베이스 트리코트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 및 적층하기 위하여 클램핑부(111), 리프 투입부(112), 리프 정렬부(113), 리프 이송 및 삽입부(114), 트리코트 낱장 분리부(1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부(111)는 역삼투막 원단, 스페이스 원단 및 트리코트 원단으로 형성된 리프 요소의 양측 가장자리를 집어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클램핑부(111)는 리프 요소의 양측 가장자리를 집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핑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클램핑부(111)는 리프 요소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클램핑부(111)의 핑거를 통해 리프 요소의 일측 가장자리를 집어 고정하여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부(111)는 베이스 트리코트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게 제공됨과 아울러 승하강 작동하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상측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실린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부(111)의 핑거가 리프 요소의 일측 가장자리를 집어 고정한 상태로 베이스 트리코트를 향해 클램핑부(111)가 이송되고, 클램핑부(111)는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승하강된다.
예를 들어, 리프 요소의 양측 가장자리를 집어 고정한 핑거가 클램핑부(111)의 왕복 이동함과 아울러 승하강되어 리프 요소가 베이스 트리코트의 상측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리프 요소가 베이스 트리코트의 상측면에 정확하게 안착된 후 다시 승하강 및 왕복 이동되어 원위치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왕복 이동 및 승하강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의 일실시예는 리프 요소 센싱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 요소 센싱부(116)는 리프 트랜스퍼 유닛(110)을 통해 베이스 트리코트 상에 이송 및 적층되는 리프 요소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리프 요소 센싱부(116)를 통해 리프 요소의 제공(혹은 인서팅)을 감지한 후, 감지가 되는 경우 본드 디스펜싱 유닛(120)과 롤링 유닛(130) 및 테이핑 유닛(140)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리프 요소 센싱부(116)는 리프 요소를 감지하는 센서(sensor)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드 디스펜싱 유닛(120)은 베이스 트리코트 상에 적층된 리프 요소에 접착제(Glue)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드 디스펜싱 유닛(120)은 베이스 트리코트 상에 적층된 리프 요소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 및 리프 요소의 폭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접착제를 도포하는 본딩 로봇(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딩 로봇(122)이 X,Y,Z축으로 이동하면서 이송 및 적층되는 리프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제(Glue)를 도포한다. 이를 위해, 본딩 로봇(122)에는 디스펜서 및 노즐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딩 로봇(122)이 X,Y,Z축으로 이동하면서 노즐을 통해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이 본딩 로봇(122)에 의해 리프 요소의 길이 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접착제를 도포 후, 리프 요소의 폭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접착제를 도포하고, 리프 요소의 길이 방향 다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접착제를 포도하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롤링 유닛과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롤링 유닛과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롤링 유닛과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링 유닛(130)은 베이스 트리코트의 일측 말단부에 코어를 제공하여 위치시킨 후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베이스 트리코트를 롤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롤링 유닛(130)은 리프 요소 센싱부(116)를 통해 베이스 트리코트 상에 리프 요소의 제공 혹은 적층이 확인되는 경우, 코어의 양측 말단부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코어를 회전시켜 베이스 트리코트를 롤링하므로 RO필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롤링 유닛(130)은 코어 구속부(132)와 한 쌍의 롤링 가압롤러(134,136) 및 로드셀(1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어 구속부(132)는 코어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코어의 양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코어를 구속할 수 있도록 코어 측으로 전후진되게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롤링 가압롤러(134,136)는 코어 구속부(132)에 의해 구속되어 회전하는 코어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승하강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롤링 가압롤러(134,136)는 실린더 등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로드셀(138)은 롤링 가압롤러(134,136)에 의해 가압되면서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롤링압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로드셀(138)은 롤링 가압롤러(134,136)에 간섭 받지 않도록 롤링 가압롤러(134,136)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되,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연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로드셀(138)에서 측정되는 로링압은 모니터를 통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롤링 유닛(130)은 코어의 상하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롤링 가압롤러(134,136)가 베이스 트리코트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접하여 회전하면서, 코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압력을 가하여 코어에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를 압착시키고, 로드셀에 의해 압착되는 롤링압을 측정할 수 있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에 구비되는 테이핑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핑 유닛(140)은 롤링 유닛(130)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 외주면에 테이프를 감아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테이프를 공급하며, 공급된 테이프가 롤링 유닛(130)의 회전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테이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이핑 유닛(140)은 제1프레임부(141)가 설치된다. 제1프레임부(141)는 어느 일측에 소정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프레임부(141)는 왕복이동부(142)에 의해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왕복이동부(142)는 모터 및 실린더에 의해 제1프레임부(141)가 가이드봉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왕복이동부(142)에 의해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프레임부(141)의 경사면에는 제2프레임부(143)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프레임부(143)에는 테이프가이드부(144)가 설치된다. 상기 테이프가이드부(144)는 롤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를 고정하는 테이프고정롤러(144a)가 제2프레임부(143)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프고정롤러(144a)에 고정되는 롤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로부터 테이프가 풀려 소정 경로를 따라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테이프가이드롤러(144b)가 제2프레임부(143)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테이프가이드롤러(144b)에 가이드되도록 이송되는 테이프의 단부는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테이프가이드부(144)에 안내되면서 풀리는 테이프의 단부가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프레임부(143)를 상기 제1프레임부(141)의 경사면을 따라 승하강시키도록 승하강부(145)가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부(145)는 실린더, 가이드레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145)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한 상태에서 테이프의 단부를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킴에 의해 테이프가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부착되게 하는 테이프가압부(146)가 설치된다.
상기 테이프가압부(146)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로 롤링 유닛(130)이 회전되므로, 그 회전력으로 테이프가이드롤러(144b)에 안내되도록 테이프가 풀리면서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테이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이프가압부(146)에 의해 테이프의 단부를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에 부착되도록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면, 자동으로 테이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는 계속 회전을 하고 있음으로 테이프의 단부가 부착되게 되면,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테이프가 자동으로 풀리면서 자동으로 외주면을 감싸게 테이핑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가압부(146)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링크부재의 단부에 가압패드(146a)를 설치하여 실린터와 링크부재의 작동에 의해 가압패드가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 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테이프를 밀어주도록 구성하여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으로 테이프가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패드(146a)는 소정 쿠션을 가지면서 테이프가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이프가압부(146)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테이핑된 테이프는 테이프커팅부(147)에 의해 커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에 다수의 리프 요소가 적층된 베이스 트리코트를 코어에 롤링시킴과 동시에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자동으로 테이핑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유닛(140)은 상기 롤링 유닛(130)에 의해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를 계속 회전시면서, 그 외주면에 테이프의 단부를 밀착되게 가압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테이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리프 트랜스퍼 유닛(Leaf Transfer Unit)
120 - 본드 디스펜싱 유닛(Bond Dispensing Unit)
130 - 롤링 유닛(Rolling Unit)
140 - 테이핑 유닛(Taping Unit)

Claims (5)

  1. 베이스 트리코트(Tricot) 상에 역삼투막 원단, 스페이스 원단 및 트리코트 원단으로 형성되는 리프 요소(leaf element)를 순차적으로 이송 및 적층하는 리프 트랜스퍼 유닛(Leaf Transfer Unit);
    상기 리프 트랜스퍼 유닛을 통해 이송 및 적층되는 리프 요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제(Glue)를 도포하도록 X,Y,Z축으로 이동하는 본딩 로봇(Bonding Robot)을 포함하는 본드 디스펜싱 유닛(Bond Dispensing Unit);
    상기 베이스 트리코트의 일측 말단부에 코어를 제공하여 위치시키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적층된 리프 요소와 함께 베이스 트리코트를 코어에 롤링하는 롤링 유닛(Rolling Unit); 및
    상기 롤링 유닛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 외주면에 테이프를 감아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테이프를 공급하며, 공급된 테이프가 롤링 유닛의 회전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테이핑되도록 하는 테이핑 유닛(Taping Unit);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핑 유닛은:
    어느 일측에 소정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를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왕복이동부;
    상기 왕복이동부에 의해 코어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프레임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
    상기 제2프레임부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를 고정하는 테이프고정롤러와, 상기 테이프고정롤러에 고정되는 롤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로부터 테이프가 풀려 소정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테이프의 단부가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도록 제2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풀리는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지는 테이프가이드부;
    상기 테이프가이드부에 안내되면서 풀리는 테이프의 단부가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프레임부를 상기 제1프레임부의 경사면을 따라 승하강시키도록 설치되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인접한 상태에서 테이프의 단부를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킴에 의해 테이프가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에 부착되게 하고,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로 롤링 유닛이 회전되는 힘으로 상기 테이프가이드롤러에 안내되도록 테이프가 풀리면서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테이핑하는 테이프가압부; 및
    상기 테이프가압부에 의해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테이핑된 테이프를 커팅하는 테이프커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가압부는 소정 쿠션을 가지면서 테이프가 롤링된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밀착하는 가압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 유닛은:
    코어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코어의 양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코어의 양단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코어 측으로 전후진되게 설치되는 코어 구속부;
    상기 코어 구속부에 의해 구속되어 회전하는 코어의 상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승강하되는 한 쌍의 롤링 가압롤러; 및
    상기 롤링 가압롤러에 의해 가압되면서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롤링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로드셀;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셀은 롤링 가압롤러에 간섭 받지 않도록 롤링 가압롤러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되, 롤링되는 베이스 트리코트의 외주연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14275A 2022-09-08 2022-09-08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KR102575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275A KR102575243B1 (ko) 2022-09-08 2022-09-08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275A KR102575243B1 (ko) 2022-09-08 2022-09-08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243B1 true KR102575243B1 (ko) 2023-09-06

Family

ID=8797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275A KR102575243B1 (ko) 2022-09-08 2022-09-08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2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33B1 (ko) 2014-06-13 2014-10-21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멤브레인 필터 제조 장치 및 상기 멤브레인 필터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배부름 롤러
KR101966114B1 (ko) * 2017-11-14 2019-08-13 (주)피엔티 역삼투 필터 모듈 제조 장치
KR102124211B1 (ko) * 2019-01-28 2020-06-17 (주)피엔티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KR102381826B1 (ko) * 2020-10-26 2022-04-01 주식회사 유니온테크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33B1 (ko) 2014-06-13 2014-10-21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멤브레인 필터 제조 장치 및 상기 멤브레인 필터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배부름 롤러
KR101966114B1 (ko) * 2017-11-14 2019-08-13 (주)피엔티 역삼투 필터 모듈 제조 장치
KR102124211B1 (ko) * 2019-01-28 2020-06-17 (주)피엔티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KR102381826B1 (ko) * 2020-10-26 2022-04-01 주식회사 유니온테크 곡면 형상 변화에 따른 압력 제어롤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0-0129841호, 나권형 역삼투압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6204B2 (ja) 帯状の電池素材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100716011B1 (ko) 연료 전지의 제조
KR101733267B1 (ko)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시스템
JP5820737B2 (ja) 帯状ワーク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AU2008211764A2 (en) Method of preparing a primary electrode array for photovoltaic electrochemical cell arrays
JP5893427B2 (ja) 帯状の電池素材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CN111129556B (zh) 片卷贴合设备及用于膜电极的制备系统
JP4802447B2 (ja) 固体高分子膜型燃料電池セルの製造方法
WO2013122091A1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CN112310458A (zh) 叠片机
JP4035102B2 (ja) 2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11029630B (zh) 用于膜电极的制备系统
KR102575243B1 (ko)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EP181356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iffening a web destined to be wound in logs
CN113844191A (zh) 一种书本套生产设备
CN111180771B (zh) 卷料贴合设备及用于膜电极的制备系统
CN210296524U (zh) 叠片机
KR102185797B1 (ko) 역삼투압 필터모듈의 롤링 공정 가이드 방법
CN103010791A (zh) 一种收卷方法及其专用机构
CN115663063A (zh) 一种电池片覆膜系统以及电池片覆膜质量控制系统
JPH01258940A (ja) 所定寸法の積層平板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5670485B2 (ja) 巻回方法及び装置
KR102110073B1 (ko) 역삼투압 필터모듈 자동화 제조 시스템 및 방법
JP3539235B2 (ja) 積層体製造用積層ブロックの作製方法及びその装置
CN213648707U (zh) 一种半自动化板料叠合装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