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211B1 -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211B1
KR102124211B1 KR1020190010809A KR20190010809A KR102124211B1 KR 102124211 B1 KR102124211 B1 KR 102124211B1 KR 1020190010809 A KR1020190010809 A KR 1020190010809A KR 20190010809 A KR20190010809 A KR 20190010809A KR 102124211 B1 KR102124211 B1 KR 102124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conveyor
unit
actuato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섭
정종춘
Original Assignee
(주)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엔티 filed Critical (주)피엔티
Priority to KR102019001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시트 형태의 리프를 이송시키며 리프의 전후좌우를 정렬하는 프리얼라인먼트부와; 다수 매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트리코트적층체를 지지하며,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로부터 전달된 리프를 받아 각 트리코트의 사이에 삽입하여, 트리코트와 리프가 교대로 적층된 구조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자동적층부와; 상기 자동적층부에서 적층된 적층체를 이송시키며 중공파이프형 코어튜브에 권취하는 롤링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리프를 이송 중 자동 정렬시킴으로써, 트리코트에 대한 리프의 적층작업을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고, 또한 트리코트와 리프의 적층과정이 자동으로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뛰어나다. 아울러 코어튜브에 대한 적층체의 롤링시 가압롤러와 받침롤러를 통해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정확한 직경을 갖는 필터모듈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verse osmosis filter module}
본 발명은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리프와 트리코트를 자동 정렬 및 적층하여 롤 형태의 필터모듈을 자동 생산할 수 있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原水)내의 각종 불순물을 물리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의 정화된 물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물을 정수하기 위한 원리나 방식은 다양하며, 가령, 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여러 가지 방식 중, 역삼투압식은, 원수를 0.0001미크론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멤브레인형 필터시트로 통과시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납이나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이나 각종 병원균 등을 필터링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역삼투 방식을 채용한 정수기는, 그 내부에, 필터시트가 권취 되어 있는 필터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시트는, 원수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로서, 여러 겹의 트리코트(tricot)와, 트리코트 사이에 개재되는 리프(leaf)의 구조를 갖는다. 트리코트는, 층을 이루는 리프의 사이에서 원수의 이동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트리코트와 리프는 적층된 상태로 중공 파이프형 집수관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후 부직포 등으로 감싸이고, 원통형 하우징 내에 패키징된다.
상기 리프는, 절반이 접힌 상태의 멤브레인과, 멤브레인의 사이에 끼워지는 메시(mesh)의 구조를 가지며, 원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트리코트는,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편직한 후 이를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에 함침 시켜 제작한 사각 시트형 부재이다.
상기 필터모듈을 제작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일측 변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트리코트 적층체의 트리코트를 한 장씩 넘기며, 트리코트의 테두리에 글루(glue)를 도포하고 그 위에 리프를 적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즉, 트리코트를 펼친 상태로 그 위에 리프를 올리고 다시 트리코트를 적층한 후 리프를 올리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과정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하였으나, 근래에는 기계식 적층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를테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Y55g호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리프 요소 적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적층 장치는, 바닥에 깔려 있는 트리코트에 대해 리프요소를 적층하는 내용만 기재되어 있으며, 리프요소 위에 트리코트를 적층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아울러 트리코트와 리프요소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 도포수단과 관련된 기술 내용도 없다.
한편, 상기 적층과정을 위해, 리프는 컨베이어를 타고 트리코트 측으로 연속 공급되는데, 리프가 컨베이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리프가 이동 중, 가령, 좌우로 뒤틀려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리프를 트리코트 상의 정확한 위치에 적층시키기 곤란한 경우가 많은 것이다. 트리코트에 대한 리프의 상대 위치가 부정확할 경우, 제작된 필터모듈의 성능을 담보할 수 없게 됨은 물론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9160호 (다중-리프 역삼투 엘리먼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9841호 (나권형 역삼투압 필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6539호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리프 요소 적층 장치 및 방법)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Y55g호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리프 요소 적층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컨베이어에 올려진 리프를 이송 중 자동 정렬시킴으로써, 트리코트에 대한 리프의 적층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게 하여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리코트 및 리프 적층체를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밀한 구조의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리프와 트리코트 적층체를 이송시켜 자동으로 감아 롤형태로 형성함과 아울러 테이핑 작업을 통해 롤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시트 형태의 리프를 이송시키며 리프의 전후좌우를 정렬하는 프리얼라인먼트부와; 다수 매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트리코트적층체를 지지하며,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로부터 전달된 리프를 받아 각 트리코트의 사이에 삽입하여, 트리코트와 리프가 교대로 적층된 구조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자동적층부와; 상기 자동적층부에서 적층된 적층체를 이송시키며 중공파이프형 코어튜브에 권취하는 롤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는; 제공된 리프를 낱장씩 취하여 이송시키는 흡착이송부와, 상기 흡착이송부에 의해 픽업된 리프를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단부에 장착되며,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리프의 선단부를 막아, 리프의 진행방향 정위치를 구현하는 전방정렬판과, 리프가 상기 전방정렬판에 의해 정렬된 후 동작하여, 리프의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측방향으로의 정위치를 구현하는 측부정렬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방정렬판은; 상기 리프가 진행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리프의 선단부 전체가 전방정렬판과 맞닿아 정위치를 구현한다.
아울러,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는 컨베이어를 리프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직교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는; 절반이 접혀진 멤브레인과, 상기 멤브레인에 내장되는 메시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상기 측부정렬수단은; 상기 전방정렬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리프의 멤브레인의 에지라인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내용을 기초로 상기 컨베이어를 측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에지라인을, 설정되어 있는 기준라인에 일치시키는 컨베이어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리코트적층체는; 메인트리코트와, 상기 메인트리코트의 상부에 적층되되 그 일단부가 단부누름부에 의해 눌려 고정되는 다수의 서브트리코트로 이루어지고, 이송컨베이어상에 이동 가능하게 세팅되며, 상기 자동적층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들어 올려져 상기 단부누름부의 반대편으로 재껴진 서브트리코트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걸쳐 있는 서브트리코트를 한 장씩 밀어 지지대로부터 띄우는 띄움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로부터 한 장씩 공급되는 리프를 물고 상기 트리코트적층체측으로 이동하여 서브트리코트의 사이에 인서트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띄움부에 의해 띄워져 있는 서브트리코트를 펼쳐, 서브트리코트가 리프위에 적층되게 하는 인서트스프레더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펼쳐진 상태의 서브트리코트의 상면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글루도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는,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상부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인서트스프레더는;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에 지지되며 왕복 운동하는 왕복프레임과, 상기 왕복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유도레일, 상기 수평유도레일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딩홀더, 상기 슬라이딩홀더에 고정되며 수평 연장되고 상기 띄움부에 의해 띄워진 서브트리코트의 뒷공간으로 삽입되며, 인서트스프레더가 지지대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서브트리코트를 펼치는 스프레딩핀을 포함하는 스프레딩부와, 상기 승강바디에 고정되는 수평액츄에이터, 수평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방향 왕복운동하는 링크브라켓, 링크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수직액츄에이터, 상기 고정블록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연장되고 리프의 폭방향 단부를 받치는 받침핑거, 상기 받침핑거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수직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받침핑거에 의해 받쳐진 리프를 눌러 고정하는 누름핑거를 갖는 리프픽업부가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띄움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지지대의 연직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브라켓과, 상기 승강브라켓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는 것으로서, 승강브라켓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에 받쳐 있는 서브트리코트에 밀착한 후 제2액츄에이터의 작용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밀착상태에 있는 서브트리코트를 한 장씩 밀어 띄워 해당 서브트리코트 뒤에 뒷공간을 형성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자동적층부로부터 전달된 적층체를 받아 이송시키는 연결컨베이어와, 상기 연결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트리코트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코어튜브의 양단부를 집어 들어 올리는 코어튜브그리퍼를 구비한 운반부와, 상기 연결컨베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튜브그리퍼로부터 코어튜브를 넘겨받아 코어튜브를 축회전시켜, 상기 적층체가 코어튜브에 권취되도록 하는 롤링유니트와, 상기 적층체의 권취가 완료된 후 롤링유니트측으로 접근하여, 권취된 상태의 권취롤에 테이프를 감는 테이핑유니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운반부는; 상기 연결컨베이어의 상부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된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에 장착되는 수평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된 상태로 상기 코어튜브그리퍼를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그리퍼브라켓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코어튜브그리퍼는; 상기 그리퍼브라켓에 고정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수직방향 승강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고, 하강한 상태로 코어튜브를 집어 올리는 죠오를 갖는 그리퍼헤드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테이핑유니트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유니트지지프레임, 상기 유니트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사액츄에이터, 상기 경사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테이프를 풀어 테이프가 상기 권취롤에 감기게 하는 테이프공급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리프를 이송 중 자동 정렬시킴으로써, 트리코트에 대한 리프의 적층작업을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고, 또한 트리코트와 리프의 적층과정이 자동으로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뛰어나다. 아울러 코어튜브에 대한 적층체의 롤링시 가압롤러와 받침롤러를 통해 균일한 압력을 가하여 정확한 직경을 갖는 필터모듈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프리얼라인먼트부의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컨베어 및 측부정렬수단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한 프리얼라인먼트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자동적층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인서트스프레더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13c는 도 12에 도시한 인서트스프레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자동적층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17은 도 1에 도시한 자동적층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롤링부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도 18에 도시한 롤링부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한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 완료된 역삼투 필터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는, 적층상태로 세팅되어 있는 트리코트의 갈피 사이에 리프를 삽입한 후 권취 하는 자동 설비이다. 권취된 상태의 권취롤은 후처리 과정을 통해 역삼투 필터모듈로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모듈 제작장치의 기본 구성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시트 형태의 리프를 이송시키며 리프의 전후좌우를 정렬하는 프리얼라인먼트부와; 다수 매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트리코트적층체를 지지하며,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로부터 전달된 리프를 받아 각 트리코트의 사이에 삽입하여, 트리코트와 리프가 교대로 적층된 구조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자동적층부와; 상기 자동적층부에서 적층된 적층체를 이송시키며 중공파이프형 코어튜브에 권취하는 롤링부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1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10)는, 프리얼라인먼트부(20), 자동적층부(50), 롤링부(80)로 구성된다.
프리얼라인먼트부(20)는 리프수용부(22)에 적재되어 있는 리프를 낱장씩 공급하며 전후좌우로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동적층부(50)는 메인트리코트(102)와 서브트리코트(104)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세팅한 상태로 대기하며, 프리얼라인먼트부(20)로부터 전달된 리프(100)를 서브트리코트(104)의 갈피에 삽입하여 적층체(Z)를 구현하는 것이다. 아울러 롤링부(80)는 자동적층부(50)를 통해 적층된 적층체를 코어튜브(106)에 감아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권취된 권취롤(87)은 테이핑 된 후 다음 공정으로 넘어간다.
이하의 설명헤서,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20)와 자동적층부(50)와 롤링부(80)를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프리얼라인먼트부(20)의 절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컨베어 및 측부정렬수단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얼라인먼트부(20)는, 리프수용부(22), 흡착이송부(24), 컨베이어(25), 전방정렬판(25d), 측부정렬수단(26)을 구비한다.
먼저, 상기 리프수용부(22)는,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되는 매거진박스(22f)와, 매거진박스(22f) 내부에 구비되는 리프지지판(22a)과, 수직벽(22d)을 포함한다.
상기 매거진박스(22f)는 상부로 개방된 케이스로서 사각 시트 형태의 리프(100)를 수용하는 적재공간(22e)을 갖는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다수 매의 리프(100)는 적재공간(22e)에 수용된 상태로 대기한다.
참고로, 상기 리프(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폭을 가지며 절반이 접힌 멤브레인(100a)과, 멤브레인(100a)의 내부에 끼워지는 메시(100b)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적층구조를 갖는 리프(100)는 후술할 서브트리코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후술할 적층체(Z)를 구성한다.
상기 리프지지판(22a)은, 리프(100)를 받치는 받침판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된 것이다. 리프지지판(22a)은 평판부(22b)와 경사판부(22c)를 갖는다. 평판부(22b)는 수평으로 고정된 부분으로서 리프(100)의 일부를 수평 지지한다. 또한 경사판부(22c)는 평판부(22b)에 일체를 이루고 절곡되어 하부로 하향 경사진 부분으로서 리프(100)의 나머지 일부를 받친다.
아울러, 상기 수직벽(22d)은 매거진박스(22f)의 일측 내벽으로서, 경사판부(22c)의 하단부에 이어지며 경사판과의 사이에 예각의 사이각을 가진다. 수직벽(22d)은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100)의 선단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수직벽(22d)의 작용에 의해 리프(100)의 선단부는 후방으로 밀려 눌린다. 즉, 리프의 경사판부(22c)에 받쳐져 있는 부분이 위 아래로 얼마간 벌어지는 것이다. 리프(100)의 선단부가 상호 밀착하지 않고 서로에 대해 얼마씩 불규칙한 간격으로 들떠 있는 것이다.
수직벽(22d)이 없다고 가정하면, 도 1에 두 번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 선단부의 A부분이 수직벽의 외부로 뻗어 나간 상태가 될 것이다. 그러나, 리프의 선단부(A부분)는 수직벽(22d)에 의해 수직으로 받쳐지므로 후방으로 눌려 굴곡질 수밖에 없고, 상호간에 벌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매거진박스(22f)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벽(22d)이, 리프의 선단부를 받쳐 적재공간(22e) 측으로 밀기 때문에, 즉, 리프의 선단부가, 수직벽(22d)에 의해 적재공간(22e) 측으로 밀려들어가는 형국이 되므로, 경사판부(22c)의 상부에서 구부러져 벌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부러짐 현상은 리프를 서로에 대해 들뜨게 하며, 후술할 흡착노즐(24e)이 제일 윗 장의 리프(100)을 흡착할 때 두 번째 장의 리프가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리프의 공급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23)이 설치된다. 상부프레임(23)은 리프수용부(22)와 컨베이어(25)를 그 하부에 갖는 구조체로서, 흡착이송부(24)와 들뜸방지부(23a)를 지지한다.
흡착이송부(24)는, 매거진박스(22f)에서 대기하고 있는 리프(100)를 한 장씩 픽업하여 컨베이어(25)에 올리는 역할을 한다. 흡착이송부(24)는, 가이드레일(24g), 기준플레이트(24c), 승강플레이트(24d), 흡착노즐(24e),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24g)은 리프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수평 연장된 것으로서 상부프레임(23)에 고정된다. 아울러, 가이드레일(24g)에는 기준플레이트(24c)를 수평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된다. 가이드레일에 지지된 기준플레이트(24c)를 수평으로 왕복 운동 시킬 수 있는 한, 구동부의 종류나 구동방식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기준플레이트(24c)는 가이드레일(24g)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수평의 판상부재로서 리프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한다. 기준플레이트(24c)의 하부에는 승강플레이트(24d)가 설치된다. 승강플레이트(24d)는 기준플레이트(24c)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기준플레이트(24c)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된 볼스크류(24b)와, 볼스크류(24b)를 작동시키기 위한 승강모터(24a)를 구비한다.볼스크류(24b)는 승강모터(24a)에 의해 작동하며 승강플레이트(24d)를 승강시킨다.
아울러, 상기 기준플레이트(24c)에는 흡착노즐부가 구비된다. 흡착노즐부는 다수의 흡착노즐(24e)을 포함한다. 흡착노즐(24e)은 리프의 폭방향으로 일렬 배열된다. 필요에 따라 흡착노즐(24e)의 개수나 배열 패턴은 변경 가능하다. 각 흡착노즐(24e)은 외부의 진공펌프와 연결되며 진공펌프로부터 진공압력을 전달받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100)를 한 장씩 흡착해 올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들뜸방지부(23a)는,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23b), 브라켓(23b)에 장착되는 승강엑츄에이터(23c), 승강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가이드판(23d)을 포함한다. 가이드판(23d)은 승강액츄에이터(23c)의 작용에 의해 승강 운동한다. 가이드판(23d)은, 리프가, 후술할 전방정렬판(25d)에 도달하기 전에, 최대로 하강한 상태에서 이송벨트(25b)와의 사이로 리프를 받아들인다. 가이드판(23d)과 이송벨트(25b)와의 간격은 5mm 이하로 설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수용부(22)의 전방에는, 받침프레임(27)과, 컨베이어(25)와, 측부정렬수단(26)이 배치된다. 전방이라 함은 리프의 이송방향 전방을 의미한다. 컨베이어(25)는 받침프레임(27)에 받쳐진 상태로 리프수용부(22)에 대응 배치되며, 흡착이송부(24)에 의해 리프수용부로부터 픽업된 리프(100)를 전달받아 이송시킴과 아울러 좌우로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프레임(27)은,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그 상부에 한 쌍의 직교가이드레일(27a)을 갖는다. 직교가이드레일(27a)은 리프의 폭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요소로서, 컨베이어(25)를 도 7의 화살표 a 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지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25)를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유는, 리프(100)의 일측 에지라인(100c)을 기준라인(도 8의 T)에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에지라인(100c)은 멤브레인(100a)의 에지라인이다.
컨베이어(25)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며 직교가이드레일(27a)에 지지되는 사이드빔(25a)과, 사이드빔(25a) 사이에서 순환 운동하는 이송벨트(25b)와, 이송벨트를 순환운동 시키는 구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빔(25a)의 간격(w2)은 리프(100) 멤브레인(100a)의 폭(w1)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컨베이어(25)에 올라간 멤브레인(100a)의 폭방향 양단부는 사이드빔(25a)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사실, 컨베이어(25)를 상기 사이즈로 제작한 것은 리프의 폭방향 양단의 에지라인(100c)이 사이드빔(25a)의 외부로 노출되게 의도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빔(25a)의 단부, 즉, 리프의 이송방향 하류측 단부에는 전방정렬판(25d)이 고정된다. 전방정렬판(25d)은 일정두께를 갖는 직선형 부재로서 양단부가 사이드빔(25a)에 고정된다. 전방정렬판(25d)은, 컨베이어의 이송벨트(25b)를 타고 이동하는 리프의 선단부를 막아, 리프의 진행방향 정위치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리프의 진행방향 정위치라 함은, 말하자면 자동적층부(50)에 대한 리프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자동적층부(50)에 대한 리프의 위치가 불규칙하다면, 자동적층부(50)에 설치된 리프픽업부(도 12의 58s)의 정상 작동이 어려워진다.
말하자면, 정해진 범위를 왕복하는 리프픽업부(58s)가, 리프의 선단부를 잡아서 픽업해야 하는데, 리프 선단부의 위치가, 자동적층부(50)에 대해 어떤 것은 가깝고 어떤 것은 멀 경우, 리프픽업부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이다.
아울러 전방정렬판(25d)의 또 하나의 기능은, 리프(100) 선단부의 에지라인을, 리프 이송방향에 대해 정확하게 직교시키는 것이다. 리프가 컨베이어(25)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좌우로 뒤틀릴 수 있으므로, 전방정렬판(25d)을 적용하여 리프를 정위치시키는 것이다.
참고로, 리프(100)의 선단부가 전방정렬판(25d)에 도달한 후, 이송벨트(25b)가 얼마간 공회전한다. 이러한 이송벨트(25b)의 공회전에 의해, 리프가 이송벨트 위에서 미끄러지며 전방정력판(25d)을 향하여 힘을 받아, 설령, 리프가 뒤틀려 있다 하더라도, 언젠가는 리프의 선단부 전체가 전방정렬판과 맞닿아 정위치가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의 정위치가 가능한 이유는, 리프(100) 자체가 매끄러운 재질로서, 이송벨트(25b)에 대해 슬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양측 사이드빔(25a)에는 사이드가이더(25c)가 구비된다. 사이드가이더(25c)는 사이드빔(25a)의 외측으로 노출된 리프의 폭방향 단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것으로서, 리프의 폭방향 단부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측부정렬수단(26)은, 받침프레임(27)의 일측에 장착되는 두 개의 비전센서(28)와 위치조절부를 구비한다. 비전센서(28)는 받침프레임(27)의 상측부에 고정되며 리프(100)의 폭방향 일측단부의 에지라인(도 8의 100c)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한 다른 방식의 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는, 컨베이어(25)를 폭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조절모터(26a)와, 위치조절모터(26a)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수평의 리드스크류(26b)를 구비한다. 상기 리드스크류(26b)는 사이드빔(25a)의 하측부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부(25e)에 치합한다. 위치조절모터(26a)의 구동에 따라 리드스크류(26b)가 축회전 할 때, 너트부(25e)가 리드스크류(26b)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함은 물론이다. 즉 컨베이어(25)가 폭방향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다.
특히 위치조절모터(26a)는, 양측의 비전센서(28)와 접속되며 비전센서(28)와 연동한다. 즉, 비전센서(28)가 감지한 내용을 기초로 동작하여 컨베이어(25)를 측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에지라인(100c)을, 설정되어 있는 기준라인(T)에 일치시키는 것이다. 즉, 리프의 측방향 얼라인먼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얼라인먼트의 목적은 상기한 전방정렬판의 설명시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 즉, 자동적층부(50)에 대한 리프의 상대적 위치를 정위치 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리프를 정위치포지션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정위치포지션이라 함은 자동적층부(50)의 리프픽업부가 하강하여 리프를 픽업하는 위치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프리얼라인먼트부(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흡착이송부(24)가 매거진박스(22f)로부터 한 장의 리프(100)를 흡착해 올린 모습이다. 흡착이송부(24)의 흡착노즐(24e)은 매거진박스(22f)의 내부로 하강하여 리프(100)의 선단부를 흡착한 상태로 상승한 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승한 상태의 흡착노즐(24e) 하단부의 고도는 컨베이어(25)의 이송벨트(25b)보다 높다.
상기와 같이, 흡착노즐(24e)이 화살표 b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리프(100)는 흡착노즐(24e)에 끌려 컨베이어(25)의 이송벨트(25b) 상부로 진입하게 된다. 흡착노즐(24e)은 화살표 b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되, 컨베이어(25)의 길이방향 중간 정도 지점을 통과한 후 정지하고, 리프(100)를 그 위치에 내려놓는다.
이와 동시에 이송벨트(25b)는 순환운동을 시작하여 리프(100)를 도 7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판(23d)은, 리프(100)가 전방정렬판(25d)에 도달하기 전에 하강하여 이송벨트(25b) 상부에서 리프(100)를 기다린다. 리프(100)는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판(23d)의 하부를 통과한 후 전방정렬판(25d)에 도달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송벨트(25b)는, 리프(100)가 전방정렬판(25d)에 도달한 후 얼마간 공회전하여 리프의 선단부가 전방정렬판(25d)에 완전히 접하게 한다.
도 8은 리프(100)의 선단부가 전방정렬판(25d)에 도달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100)의 양단부가 컨베이어(25)의 사이드빔(25a)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아울러 받침프레임(27)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비전센서(28)가 리프(100)의 일측 에지라인(100c)의 위치를 감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프가 전방정렬판(25d)에 도달하였으나, 측방향 에지라인(100c)이 기준라인(T)에 맞지 않으면, 위치조절모터(26a)를 이용해 컨베이어(25) 자체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령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일측 에지라인(100c)이 기준라인(T)으로부터 간격 d 만큼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면, 위치조절모터(26a)를 이용해 컨베이어(25)를 화살표 a방향으로 d만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에지라인(100c)과 기준라인(T)이 일치하면 컨베이어(25)를 정지시키고, 자동적층부(50)의 리프픽업부가, 컨베이어(25)에 대기하고 있는 리프(100)를 자동적층부(50)로 이송시키게 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자동적층부(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인서트스프레더(58)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a 내지 13c는 인서트스프레더(58)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자동적층부(5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적층부(50)는, 이송컨베이어(63), 띄움부(55), 인서트스프레더(58), 캐리어(61), 글루도포부(54)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이송컨베이어(63)는, 테이블(52)의 상부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것으로서 순환운동하는 컨베이어벨트(도 14의 63a)를 갖는다. 컨베이어벨트(63a)는 그 위에 놓인 서브트리코트(104)(sub tricot)와 메인트리코트(102)(main tricot) 적층체(z)를 롤링부(8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리코트적층체(z)는, 일정폭을 가지며 컨베이어벨트(63a)에 깔리는 메인트리코트(102), 메인트리코트(102)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로 그 일단부가 단부누름부(56)에 눌려 고정되는 서브트리코트(104)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메인트리코트는 한 장이고, 서브트리코트는 다수 매로 구성된다. 서브트리코트의 매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상기 이송컨베이어(63)에는 트리코트적층체(z)가 미리 세팅된다. 트리코트적층체(z)는 타단부, 즉 단부누름부(56)에 의해 눌린 부분의 반대편 타단부를 들어 올려 반대편으로 재낀 상태로 지지대(55g)에 걸쳐진 상태로 대기한다. 즉, 작업자가 트리코트적층체(z)의 일단부를 단부누름부(56)로 눌러 고정한 상태로, 서브트리코트(104)를 들어 지지대(55g)에 걸쳐 놓은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대(55g)에 널려진 서브트리코트(104)는 후술하는 띄움부(55)에 의해 한 장씩 벌어진 상태로 대기하다가, 인서트스프레더(58)의 스프레딩핀(58g)에 걸려 펼쳐진다.
또한, 이송컨베이어(63)의 양측부에는 측부가이드레일(59)이 구비된다. 측부가이드레일(59)은 이송컨베이어(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캐리어(61)를 지지한다. 캐리어(61)는 측부가이드레일(59)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운동 가능하다.
캐리어(61)는 프리얼라인먼트부(20)로부터 공급된 한 장의 리프(100)를 수평으로 받친 상태로, 띄움부(55) 측으로 전진 이동하여 리프(100)를 건네주고 후진하여 원위치하는 운동을 반복한다. 캐리어(61)는 측부가이드레일(59)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리(61b)와, 양측 다리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의 지지평판(61a)을 갖는다.
상기 지지평판(61a)의 넓이는 한 장의 리프(100)를 그 내부 영역에 포함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아울러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지지평판(61a)의 높이는, 프리얼라인먼트부(20)의 컨베이어(25) 높이와 같아, 컨베이어(25)에서 대기하고 있는 리프(100)가 지지평판(61a)으로 원활히 넘어 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55g)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의 평판으로서, 이송컨베이어(63)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유지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55g)는, 단부누름부(56)에 의해 일단부가 눌려진 상태로 상부로 재껴진 서브트리코트(100)를 지지한다. 지지대(55g)를 지지하는 다리는 이송컨베이어(63)의 프레임이나 테이블(52)에 적절이 고정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63)에 대한 지지대(55g)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띄움부(55)는 지지대(55g)에 걸쳐 있는 서브트리코트(104)를, 한 장씩, 도 16의 화살표 g방향으로 밀어, 해당 서브트리코트(104)의 후방에 뒷공간(도 16의 Y)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뒷공간(Y)에는 후술할 스프레딩핀(58g)이 삽입된다.
이러한 띄움부(55)는, 상기 테이블(52)에 지지되며 이송컨베이어(63)의 상부를 통과하는 크로스프레임(55k), 제1액츄에이터(55a), 승강브라켓(55f), 제2액츄에이터(55c), 마찰부재(55e)를 구비한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55a)는 크로스프레임(55k)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두 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액츄에이터(55a)는 지지대(55g)의 연직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대(55g) 상부에서 피스톤로드(55b)를 승강운동 시킨다.
또한 승강브라켓(55f)은 제1액츄에이터(55a)의 피스톤로드(55b) 하단에 고정되며 제1액츄에이터(55a)의 작동에 의해 승강운동 한다. 승강브라켓(55f)도 지지대(55g)의 연직 상부에서 수직 승강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2액츄에이터(55c)는, 승강브라켓(55f)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피스톤로드(55d)에 마찰부재(55e)를 갖는다. 마찰부재(55e)는 제2액츄에이터(55c)의 동작시 화살표 g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 한다.
즉, 마찰부재(55e)는, 도 16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한 상태로 서브트리코트(104)의 표면에 밀착하며,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신과 접하고 있는 한 장의 서브트리코트(104)를 밀어 서브트리코트(104)의 후방에 뒷공간(Y)을 만든다. 이를 위해 마찰부재(55e)의 저면은 꺼칠꺼칠하도록 표면 가공 되어 있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트리코트는 미끄러운 성질을 가지므로 트리코트 상호간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트리코트와 마찰부재(55e)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훨씬 크다.
서브트리코트(104)를 밀어 이동시킨 마찰부재(55e)는, 제1,2액츄에이터(55a,55c)의 작용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단부누름부(56)는, 지지대(55g)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로 트리코트적층체(z)의 일단부를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단부누름부(56)는, 고정대(56a), 승강가압판(56d), 모터(56b), 볼스크류(56c)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56a)는, 이송컨베이어(63)의 양측부에 고정된 지지부재로서 그 하부에 모터(56b)를 고정시킨다. 모터(56b)는 고정대(56a)에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토오크를 발생한다.
볼스크류(56c)는 모터(56b)의 구동축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스크류 로드형 부재로서 승강가압판(56d)을 관통한다. 승강가압판(56d)이 볼스크류(56c)의 축회전에 의해 승강 운동함은 물론이다. 결국 모터(56b)를 제어하여 승강가압판(56d)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우러, 볼스크류(56c)의 측부에는 가이더(56e)가 구비된다. 가이더(56e)는 일정내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승강봉(56f)을 통과시키며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승강봉(56f)은 가이드(56e)를 통과한 상태로 그 상단부가 승강가압판(56d)에 고정된다. 승강봉(56f) 및 가이더(56e)는 승강가압판(56d)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가능케 한다.
특히, 상기 이송컨베이어(63)는 모터(56b)와 연동한다. 즉, 모터(56b)가 승강가압판(56d)을 상부로 들어 올린 사이에, 이송컨베이어(63)가 작동하여 적층체(Z)를 일정피치(P) 만큼 이동시키는 것이다. 적층체가 P만큼 이동한 순간 승강가압판(56d)은 다시 하강하여 적층체의 일단부를 눌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일정피치를 이동시키는 이유는, 후속되는 리프(100)의 원할한 삽입을 위한 것이다.
또한 각 단부누름부(56)의 옆에는 사이드누름부(57)가 설치된다. 사이드누름부(57)는 적층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적층체(z)의 폭방향 양단부를 눌러 정렬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승강브라켓(57a), 판홀딩액츄에이터(57b), 누름판(57c)을 갖는다.
승강브라켓(57a)은 이송컨베이어(63)의 양측부에 장착되며 수직방향 승강 운동하는 판상부재이다. 또한, 판홀딩액츄에이터(57b)는 승강브라켓(57c)에 수평으로 고정된 것으로서 누름판(57c)을 화살표 h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누름판(57c)은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이송컨베이어(63) 측으로 전진한 상태에서, 적층체(z)의 폭방향 단부를 하부로 눌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누름판(57c)은 적층체에 리프나 서브트리코트가 쌓일 때 마다 뒤로 빠졌다가 상승 후 다시 앞으로 나와 하강하여 적층체를 누른다. 말하자면, 한 장의 트리코트나 리프가 새로이 적층되었다면, 판홀딩액츄에이터(57b)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h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지고, 승강브라켓(57a)에 의해 상승 후, 다시 화살표 h방향으로 이동 한 다음, 하강하여 적층체를 누르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테이블(52) 및 이송컨베이어(63)의 상부에는 메인프레임(51)이 고정된다. 메인프레임(51)의 기둥부(51a)는 테이블(52)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그 상부에 제1,2가이드레일(53a,53c)을 갖는다. 상기 제1,2가이드레일(53a,53c)은 글루도포부의 일부이다. 제1,2가이드레일(53a,53b)는 도 1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글루도포부(54)는, 이송컨베이어(63)의 상부에 3차원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인서트스프레더(58)에 의해 펼쳐진 상태의 서브트리코트(104) 상면 테두리부에 접착제(glue)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제1,2가이드레일(53a,53c), 슬라이딩바디(54a), 수직레일(54a), 글루건(54c)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53a)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51)의 상부에 두 개가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가이드레일(53a)은 수평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제1가이드레일(53a)의 상부에는 수평슬라이더(53b)가 구비된다. 수평슬라이더(53b)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그 양단부가 제1가이드레일(53a)에 지지된다. 수평슬라이더(53b)는 제1가이드레일(53a)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53c)은 수평슬라이더(34)에 장착된다. 제2가이드레일(53c)은 제1가이드레일(53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당연히 수평슬라이더(34)와 함께 움직인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바디(54a)는 제2가이드레일(53c)에 지지되며 제2가이드레일(53c)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결국 슬라이딩바디(54a)는 제1,2가이드레일(53a,53c)에 지지된 상태로 전후좌우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바디(54a)에는 수직레일(54a)이 장착된다. 수직레일(54a)은 슬라이딩바디(54a)에 고정된 상태로 글루건(54c)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글루건(54c)은 외부로부터 제공된 접착제를 연장튜브(54d)를 통해 분출하여 접착제 도포 대상부인 서브트리코트(104)에 도포한다. 서브트리코트에 도포된 접착제는 그 위에 덮이는 리프(100)와 접착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레일(53a)의 하부에는 상부가이드레일(62)이 설치된다. 상부가이드레일(62)은 메인프레임(51)에 수평으로 지지되며 제1가이드레일(53a)과 평행을 이룬다. 상부가이드레일(62)은 인서트스프레더(58)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서트스프레더(58)는, 이송컨베이어(63)의 상부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20)로부터 한 장씩 공급되는 리프(100)를 물고 트리코트적층체(Z)를 향해 이동하여,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치 책을 펼쳐 놓은 것처럼) 벌어져 있는 서브트리코트(104)의 사이에 인서트시킴과 아울러, 지지대(55g)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띄움부(55)에 의해 띄워져 있는 한 장의 서브트리코트를 끌고 나와 서브트리코트(104)가 리프위에 적층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인서트스프레더(58)의 작동은 후술된다.
인서트스프레더(58)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63)의 길이방향으로 병진운동 한다. 각 인서트스프레더(58)는, 왕복프레임(58a), 승강가이드레일(58b), 승강바디(58c), 연장브라켓(58d), 스프레딩부(58k), 리프픽업부(58s)를 구비한다.
왕복프레임(58a)은 그 상단부가 상부가이드레일(62)에 지지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63)의 상부에서 왕복운동 한다. 말하자면, 컨베이어(25)와 띄움부(55) 사이를 왕복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가이드레일(58b)은 수직방향의 가이드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왕복프레임(58a)의 내측에 고정되며 승강바디(58c)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한다. 승강바디(58c)는 승강가이드레일(58b)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운동 한다. 연장브라켓(58d)은 승강바디(58b)에 고정된 상태로 스프레딩부(58k)를 지지한다.
스프레딩부(58k)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띄워져 있는 한 장의 서브트리코트(104)를 스프레딩핀(58g)으로 걸어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하며 펼치는 역할을 한다. 펼쳐진 서브트리코트(104)는 가라앉으며 직전에 인서트 삽입되었던 리프 위에 적층된다.
리프픽업부(58s)는 프리얼라인먼트부(20)의 컨베이어(25)에 대기하고 있는 한 장의 리프(100)의 선단부를 물어 고정한 상태로, 단부누름부(56)에 눌려 있는 적층체(z)로 이동하여, 리프(100)의 선단부를 서브트리코트(104)의 사이에, 도 15의 화살표 n 방향으로 끼워 넣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레딩부(58k)는, 수평유도레일(58e), 슬라이딩홀더(58f), 스프레딩핀(58g)을 포함한다. 수평유도레일(58e)은 연장브라켓(58d)을 통해 승강바디(58c)의 전방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태로 슬라이딩홀더(58f)를 지지한다. 상기 전방이라 함은 프리얼라인먼트부(20)로부터 롤링부(8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슬라이딩홀더(58f)는 수평유도레일(58e)에 지지된 상태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한다. 측방향이라 함은 리프(100)의 폭방향이다. 말하자면 두 개의 슬라이딩홀더(58f)가 리프의 상부에서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것이다.
또한 스프레딩핀(58g)은, 슬라이딩홀더(58f)에 고정되며 수평 연장된 직선형 부재로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띄움부(55)에 의해 띄워진 서브트리코트(104)의 뒷공간(Y)으로 삽입된다. 삽입된 상태로, 인서트스프레더(58)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서브트리코트(104)를 빼내어 펼친다.
리프픽업부(58s)는, 수평액츄에이터(58m), 링크브라켓(58r), 수직액츄에이터(58n), 승강블록(58p), 누름핑거(58q), 고정블록(58h), 받침핑거(58j)를 갖는다.
수평액츄에이터(58m)는 승강바디(58c)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로 링크브라켓(58r)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시킨다. 즉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핑거(58j)와 누름핑거(58q)를 화살표 p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링크브라켓(58r)은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그 전면에 수직액츄에이터(58n)를 갖는다. 수직액츄에이터(58n)는 승강블록(58p)을 승강운동시킨다. 아울러 승강블록(43b)의 하단부에는 누름핑거(58q)가 고정된다. 결국 수직액츄에이터(58n)에 의해 누름핑거(58q)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링크브라켓(58r)의 전면 일측에는 고정블록(58n)이 장착되고, 고정블록(58n)의 하단에는 받침핑거(58j)가 구비된다. 받침핑거(58j)는 누름핑거(58q)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다. 누름핑거(58q)가 하강하면 받침핑거(58j)와 면접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리프픽업부(58s)를 이용해 리프(100)를 물어 픽업하는 동작을 13a 내지 13c에 간략히 도시하였다.
먼저, 누름핑거(58q)를 상승시킨 상태로 수평액츄에이터(58m)를 이용해 리프픽업부(58s)를 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받침핑거(58j)는 리프(100)의 높이보다 낮고 누름핑거(43e)는 리프의 높이보다 높다.
화살표 p방향 이동이 완료되어 리프(100)가 받침핑거(58j)와 누름핑거(58q)의 사이에 개지되었다면, 누름핑거(58q)를 하강시켜 리프(100)가 받침핑거(58j)와 누름핑거(58q)의 사이에 압착되게 한다.
마침내, 리프가 도 13c와 같이 받침핑거(58j)와 누름핑거(58q)에 물렸다면, 상기 승강바디(58c)와 왕복프레임(58a)을 이동시켜, 받침핑거(58j) 및 누름핑거(58q)를, 도 1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벌어져 있는 서브트리코트의 사이에 진입시킨다. 이에 따라 리프의 선단부가 두 장의 서브트리코트의 사이에 개재되게 된다.
상기 리프(100)의 인서트 삽입이 완료되었다면, 누름핑거(58q)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인서트스프레더(58)를 후퇴시킨다.
도 15 내지 17은 도 1에 도시한 자동적층부(5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동적층부(50)를 이용해 적층체(z)를 구성하기 위하여는, 먼저, 인서트스프레더(58)가 컨베이어(25)로부터 리프(100)를 픽업한 후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여 리프(100)가 캐리어(61)의 지지평판(61a)에 올려 지게 한다.
리프(100)가 지지평판(61a)에 지지되었다면 캐리어(61)와 인서트스프레더(58)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리프(100)가 지지평판(61a)에 올려져 있으므로 끌릴 염려가 없다.
캐리어(61)와 인서트스프레더(58)가 띄움부(55)에 거의 도달하면, 캐리어(61)는 정지하고 인서트스프레더(58)는 계속 움직여 받침핑거(58j)와 누름핑거(58q)가 화살표 n방향을 따라 서브트리코트(104)의 벌어진 부분으로 진입한다.
받침핑거(58j) 및 누름핑거(58q)가 목표지점에 도달하였다면, 캐리어(61)를 후방으로 원위치시킴과 아울러 누름핑거(58q)를 상승시켜 리프(100)를 두고 빠져나올 준비를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액츄에이터(55c)가 마찰부재(55e)를 도 16의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장의 서브트리코트(104)를 띄워 서브트리코트의 후방에 뒷공간(Y)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뒷공간(Y)이 만들어졌다면, 양측의 스프레딩핀(58g)을 뒷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 이동시켜, 스프레딩핀(58g)이 뒷공간(Y)의 내부에 끼워지게 한 후, 인서트스프레더(58)을 후방으로 원위치시킨다.
인서트스프레더(58)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트리코트(104)가 스프레딩핀(58g)에 의해 끌려 나가펴 펼쳐진다. 펼쳐진 서브트리코트는 중력에 의해 가라앉으며 직전에 인서트 삽입되었던 리프(100) 위에 적층된다.
후방으로 원위치한 인서트스프레더(58)는 컨베이어(25)에서 기다리고 있는 다음 리프(100)를 픽업한 상태로 반복 작업을 위해 대기한다.
인서트스프레더(58)의 원위치가 완료된 후, 상기 글루도포부(54)가 작동하여 서브트리코트의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었다면, 상기 인서트스프레더(58)와 캐리어(58)는 다시 띄움부(55)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롤링부(80)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 내지 도 22는 도 18에 도시한 롤링부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롤링부(80)는 자동적층부(50)로부터 넘어온 적층체(z)를 이송시키며, 적층체를 중공파이프형 코어튜브(106)에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롤링부(80)는, 연결컨베이어(82), 운반부(81), 롤링유니트(85), 테이핑유니트(83)를 구비한다.
연결컨베이어(82)는 자동적층부(50)의 이송컨베이어(63)과 같은 높이를 가지며, 자동적층부(50)에서 적층이 완료된 적층체(z)를 넘겨받아 롤링유니트(85) 측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체(z)의 최하단에 깔리는 메인트리코트(102)의 선단부에는 코어튜브(106)가 고정된다. 코어튜브(106)는 작업자에 의해 메인트리코트(102)의 선단부에 접착 고정되는 일반적인 다공성 중공파이프이다.
운반부(81)는, 연결컨베이어(82)의 상부에 설치되며, 코어튜브(106)의 양단부를 집어 들어 올린 상태로 연결컨베이어(82)와 동시에 이동하여 적층체를 롤링유니트(85)의 권취부(85a)로 인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운반부(81)는, 레일받침(81a), 주행레일(81c), 크로스바(81d), 두 개의 그리퍼브라켓(81e), 코어튜브그리퍼(81f)을 구비한다.
상기 레일받침(81a)은 다수의 받침다리(81b)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며 주행레일(81c)을 지지한다. 주행레일(81c)은 레일받침(81a)에 지지되고 두 개가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상태로 크로스바(81d)의 양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크로스바(81d)는 주행레일(81c)에 지지된 상태로 별도의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슬라이딩 왕복운동한다.
상기 크로스바(81d)에는 두 개의 그리퍼브라켓(81e)이 고정된다. 그리퍼브라켓(81e)은 코어튜브그리퍼(81f)를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그리퍼브라켓(81e)의 간격은 가급적 멀리 떨어질수록 좋다.
상기 코어튜브그리퍼(81f)는, 그리퍼브라켓(81e)에 고정되는 액츄에이터(81j)와, 그리퍼헤드(81g)와, 한 쌍의 죠오(81h)를 갖는다.
상기 액츄에이터(81j)는 그리퍼헤드(81g)를 승강운동시킴은 물론 화살표 t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시킨다. 그리퍼헤드(81g)는 액츄에이터(81j)에 의해 승강운동 및 각운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죠오(81h)는 그리퍼헤드(81g)에 연결된 부속으로서 집게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코어튜브(106)를 집어 고정한다.
상기 롤링유니트(85)는, 연결컨베이어(82)의 단부에 배치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유니트지지프레임(89)와, 유니트지지프레임(89)에 설치되며 상호 대응 배치되는 한 쌍의 권취부(85a)와, 권취부(85a) 상부의 가압롤러(85b)와, 권취부(85a) 하부의 받침롤러(85e)를 포함한다.
상기 유니트지지프레임(89)의 내부에는 권취부(85a)와 가압롤러(85b)와 받침롤러(85e)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발생부(미도시)와 전동부(미도시) 등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권취부(85a)는 권취샤프트(85h)를 갖는다. 권취샤프트(85h)는 두 개가 동축상에 배치되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죠오(81h)로부터 코어튜브(106)를 인계받아, 코어튜브(106)를 축회전시킨다. 코어튜브(106)가 축회전 함에 따라, 코어튜브(106)에 연결되어 있는 적층체(z)가 코어튜브(106)에 권취됨은 물론이다.
상기 가압롤러(85b)는 권취샤프트(85h)의 상부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수평 설치된 원통형 부재로서, 롤러승강부(85d)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상기 롤러승강부(85d)의 작동방식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가령 유압식 액츄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85b)는, 말하자면, 권취부(85a)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승한 상태로 대기하고, 권취부(85a)에 의한 권취가 진행될 때 하강하여 적층체를 눌러준다. 가압롤러(85b)가 권취 중의 적층체를 가압함에 따라, 적층체의 전체 두께가 얇아진다. 즉, 권취롤(87)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다.
받침롤러(85e)는 권취샤프트(85h)의 하부에 수평 설치된 원통형 부재로서, 롤러승강부(85g)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롤러승강부(85g)의 출력 방식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가령 모터와 체인과 스프로켓과 기어 등을 이용해, 모터의 회전력으로 받침롤러(85e)를 승강시킬 수 있다.
받침롤러(85e)는 가압롤러(85b)가 하강할 때 상승하여, 코어튜브에 감기는 적층체(z)를 받쳐 지지한다. 특히 받침롤러(85e)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롤러(85e)는, 마치 다리미가 옷의 구김살을 없애는 것과 같이, 적층체(z)를 원주방향으로 밀어 타이트하게 권취되게 한다. 받침롤러(85e)는 권취부(85a)가 비어 있을 때 하강한 상태로 대기한다.
도면부호 86은 배출경사판이다. 배출경사판(86)은 롤링유니트(85)와 테이핑유니트(83)에 의한 권취 및 테이핑이 완료된 필터모듈(도 23의 90)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사판이다.
한편, 상기 테이핑유니트(83)는, 권취공정이 완료된 후 롤링유니트(85)측으로 접근하여, 권취된 상태의 권취롤(87)에 테이프(83b)를 감는 역할을 한다.
테이핑유니트(83)는, 유니트지지프레임(89)에 장착되는 경사액츄에이터(83f)와, 경사액츄에이터(83f)에 연결되는 테이프공급기(83g)를 포함한다. 경사액츄에이터(83f)는 유니트지지프레임(89)에 장착된 장치로서 테이프공급기(83g)를 권취부(85a)로 접근시키거나 후퇴시킨다.
테이프공급기(83g)는, 테이프롤이 끼워지는 보빈(83a), 다수의 텐션롤러(83c), 테이프를 권취롤(87)의 외주면에 붙이는 밀착헤드(83d), 테이프를 커팅하는 커터(83e)를 갖는다. 테이프공급기(83g)는 롤링유니트(85)에 의한 적층체의 권취가 완료된 후 권취롤(87)로 접근하여, 권취롤(87)의 외주면에 테이프를 접착시킨다. 권취롤(87)은 계속적으로 회전하므로, 테이프(83b)는 권취롤(87)의 회전에 따라 테이프롤로부터 풀려나간다. 테이프가 어느정도 감겼다면 상기 커터(83e)가 테이프를 절단한다.
도면부호 84는 수평이송부이다. 수평이송부(84)는 테이프공급기(83g)를 폭방향, 즉 연결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테이프공급기가 권취롤(87)의 다수 개소에 테이핑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롤링부(80)를 이용해, 적층체(z)를 권취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자동적층부(50)의 이송컨베이어(63)를 작동시켜 적층체(z)를 화살표 v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적층체(z)가 이송하여 코어튜브(106)가 마침내 코어튜브그리퍼(81f)의 연직 하부에 도달하면 이송컨베이어(63)를 멈추고 그리퍼헤드(81g)를 하강시켜 죠오(81h)가 코어튜브(106)를 집어 고정하게 한다.
코어튜브(106)가 죠오(81h)에 물렸다면 그리퍼헤드(81g)를 도 19의 화살표 t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송컨베이어(63)를 다시 작동시켜 적층체의 이송을 속개함과 동시에 그리퍼브라켓(81e)도 동일한 속도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을 통해 코어튜브(106)가 권취샤프트(85h)에 도달 했다면, 그리퍼헤드(81g)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코어튜브(106)를 권취샤프트(85h)에 인계하고 그리퍼헤드(81g)는 후방으로 빼낸다.
이어서 상기 권취부(85a)를 작동시켜 권취샤프트(85h)를 축회전시킨다. 권취샤프트(85h)가 축회전함에 따라 적층체(z)가 코어튜브(106)에 권취됨은 물론이다. 상기 적층체(z)의 권취가 진행됨과 동시에 가압롤러(85b)를 하강시키고 받침롤러(85e)를 상승시켜 적층체(z)를 가압 지지함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다.
원하는 직경의 권취롤(87)을 얻었다면, 테이핑유니트(83)를 권취롤(87) 측으로 근접시키고 밀착헤드(83d)를 이용해 권취롤(87)에 테이프(83b)의 선단부를 접착시킨다. 권취롤(87)은 계속적으로 회전하므로, 테이프(83b)는 권취롤에 자동을 감기게 된다. 원하는 정도의 테이핑이 완료되었다면, 커터(83e)를 이용해 테이프를 절단한 후, 테이핑유니트(83)을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도 23은 도 1에 도시한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 완료된 역삼투 필터모듈(90)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권취롤(87)의 외주면에 테이프(83b)가 감겨 있음을 알 수 있다. 테이프(83b)는 권취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권취롤(87)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배치된다. 테이핑의 위치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제작장치 20:프리얼라인먼트부 21:베이스프레임
22:리프수용부 22a:리프지지판 22b:평판부
22c:경사판부 22d:수직벽 22e:적재공간
22f:매거진박스 23:상부프레임 23a:들뜸방지부
23b:브라켓 23c:승강액츄에이터 23d:가이드판
24:리프픽업부 24a:승강모터 24b:볼스크류
24c:기준플레이트 24d:승강플레이트 24e:흡착노즐
24g:가이드레일 25:컨베이어 25a:사이드빔
25b:이송벨트 25c:사이드가이더 25d:전방정렬판
25e:너트부 26:측부정렬수단 26a:위치조절모터
26b:리드스크류 27:받침프레임 27a:직교가이드레일
28:비전센서 50:자동적층부 51:프레임
51a:기둥부 52:테이블 53a:제1가이드레일
53b:수평슬라이더 53c:제2가이드레일 54:글루도포부
54a:슬라이딩바디 54b:수직레일 54c:글루건
54d:연장튜브 55:띄움부 55a:제1액츄에이터
55b:피스톤로드 55c:제2액츄에이터 55d:피스톤로드
55e:마찰부재 55f:승강브라켓 55g:지지대
55k:크로스프레임 56:단부누름부 56a:고정대
56b:모터 56c:볼스크류 56d:승강가압판
56e:가이더 56f:승강봉 57:사이드누름부
57a:승강브라켓 57b:판홀딩액츄에이터 57c:누름판
58:인서트스프레더 58a:왕복프레임 58b:승강가이드레일
58c:승강바디 58d:연장브라켓 58e:수평유도레일
58f:슬라이딩홀더 58g:스프레딩핀 58h:고정블록
58j:받침핑거 58k:스프레딩부 58m:수평액츄에이터
58n:수직액츄에이터 58p:승강블록 58q:누름핑거
58r:링크브라켓 58s:리프픽업부 59:측부가이드레일
61:캐리어 61a:지지평판 61b:다리
62:상부가이드레일 63:이송컨베이어 63a:컨베이어벨트
80:롤링부 81:운반부 81a:레일받침
81b:받침다리 81c:주행레일 81d:크로스바
81e:그리퍼브라켓 81f:코어튜브그리퍼 81g:그리퍼헤드
81h:죠오 81j:액츄에이터 82:연결컨베이어
83:테이핑유니트 83a:보빈 83b:테이프
83c:텐션롤러 83d:밀착헤드 83e:커터
83f:경사액츄에이터 83g:테이프공급기 84:수평이송부
85:롤링유니트 85a:권취부 85b:가압롤러
85d:롤러승강부 85e:받침롤러 85g:롤러승강부
85h:권취샤프트 86:배출경사판 87:권취롤
89:유니트지지프레임 90:필터모듈 100:리프
100a:멤브레인 100b:메시 100c:에지라인
102:메인트리코트 104:서브트리코트 106:코어튜브
Z:적층체 Y:뒷공간

Claims (11)

  1. 외부로부터 공급된 시트 형태의 리프를 이송시키며 리프의 전후좌우를 정렬하는 프리얼라인먼트부와;
    다수 매의 트리코트로 이루어진 트리코트적층체를 지지하며,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로부터 전달된 리프를 받아 각 트리코트의 사이에 삽입하여, 트리코트와 리프가 교대로 적층된 구조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자동적층부와;
    상기 자동적층부에서 적층된 적층체를 이송시키며 중공파이프형 코어튜브에 권취하는 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코트적층체는;
    메인트리코트와, 상기 메인트리코트의 상부에 적층되되 그 일단부가 단부누름부에 의해 눌려 고정되는 다수의 서브트리코트로 이루어지고, 이송컨베이어상에 이동 가능하게 세팅되며,
    상기 자동적층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들어 올려져 상기 단부누름부의 반대편으로 재껴진 서브트리코트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걸쳐 있는 서브트리코트를 한 장씩 밀어 지지대로부터 띄우는 띄움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로부터 한 장씩 공급되는 리프를 물고 상기 트리코트적층체를 향해 이동하여 서브트리코트의 사이에 인서트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띄움부에 의해 띄워져 있는 서브트리코트를 펼쳐, 서브트리코트가 리프위에 적층되게 하는 인서트스프레더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펼쳐진 상태의 서브트리코트의 상면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글루도포부를 구비하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얼라인먼트부는;
    제공된 리프를 낱장씩 취하여 이송시키는 흡착이송부와,
    상기 흡착이송부에 의해 픽업된 리프를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단부에 장착되며,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리프의 선단부를 막아, 리프의 진행방향 정위치를 구현하는 전방정렬판과,
    리프가 상기 전방정렬판에 의해 정렬된 후 동작하여, 리프의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측방향으로의 정위치를 구현하는 측부정렬수단을 구비하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정렬판은;
    상기 리프가 진행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리프의 선단부 전체가 전방정렬판과 맞닿아 정위치를 구현하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는 컨베이어를 리프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직교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는;
    절반이 접혀진 멤브레인과, 상기 멤브레인에 내장되는 메시의 적층구조를 가지고,
    상기 측부정렬수단은;
    상기 전방정렬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리프의 멤브레인의 에지라인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내용을 기초로 상기 컨베이어를 측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에지라인을, 설정되어 있는 기준라인에 일치시키는 컨베이어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는,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상부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인서트스프레더는;
    상기 상부가이드레일에 지지되며 왕복 운동하는 왕복프레임과,
    상기 왕복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된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에 고정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유도레일, 상기 수평유도레일에 지지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딩홀더, 상기 슬라이딩홀더에 고정되며 수평 연장되고 상기 띄움부에 의해 띄워진 서브트리코트의 뒷공간으로 삽입되며, 인서트스프레더가 지지대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서브트리코트를 펼치는 스프레딩핀을 포함하는 스프레딩부와,
    상기 승강바디에 고정되는 수평액츄에이터, 수평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방향 왕복운동하는 링크브라켓, 링크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수직액츄에이터, 상기 고정블록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연장되고 리프의 폭방향 단부를 받치는 받침핑거, 상기 받침핑거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수직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받침핑거에 의해 받쳐진 리프를 눌러 고정하는 누름핑거를 갖는 리프픽업부가 포함된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띄움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지지대의 연직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브라켓과,
    상기 승강브라켓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는 것으로서, 승강브라켓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에 받쳐 있는 서브트리코트에 밀착한 후 제2액츄에이터의 작용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밀착상태에 있는 서브트리코트를 한 장씩 밀어 띄워 해당 서브트리코트 뒤에 뒷공간을 형성하는 마찰부재를 갖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자동적층부로부터 전달된 적층체를 받아 이송시키는 연결컨베이어와,
    상기 연결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트리코트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코어튜브의 양단부를 집어 들어 올리는 코어튜브그리퍼를 구비한 운반부와,
    상기 연결컨베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튜브그리퍼로부터 코어튜브를 넘겨받아 코어튜브를 축회전시켜, 상기 적층체가 코어튜브에 권취되도록 하는 롤링유니트와,
    상기 적층체의 권취가 완료된 후 롤링유니트측으로 접근하여, 권취된 상태의 권취롤에 테이프를 감는 테이핑유니트를 포함하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상기 연결컨베이어의 상부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된 주행레일과,
    상기 주행레일에 장착되는 수평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된 상태로 상기 코어튜브그리퍼를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그리퍼브라켓을 구비하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튜브그리퍼는;
    상기 그리퍼브라켓에 고정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수직방향 승강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하고, 하강한 상태로 코어튜브를 집어 올리는 죠오를 갖는 그리퍼헤드를 포함하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유니트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유니트지지프레임,
    상기 유니트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사액츄에이터,
    상기 경사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테이프를 풀어 테이프가 상기 권취롤에 감기게 하는 테이프공급기를 갖는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KR1020190010809A 2019-01-28 2019-01-28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KR10212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09A KR102124211B1 (ko) 2019-01-28 2019-01-28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09A KR102124211B1 (ko) 2019-01-28 2019-01-28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211B1 true KR102124211B1 (ko) 2020-06-17

Family

ID=7140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809A KR102124211B1 (ko) 2019-01-28 2019-01-28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2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91B1 (ko) * 2021-12-21 2022-06-16 박용호 산업용 정수기 두루마리형 필터 적층장치 및 그 적층방법
CN115155325A (zh) * 2022-08-02 2022-10-11 威海市龙升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反渗透膜元件前道次自动化加工设备及方法
KR102575243B1 (ko) * 2022-09-08 2023-09-06 오성운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160A (ko) 2010-10-28 2014-01-22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다중-리프 역삼투 엘리먼트
KR20160037584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시스템
KR101726539B1 (ko) 2016-01-22 2017-04-14 정욱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리프 요소 적층 장치 및 방법
KR20170138987A (ko) * 2016-05-11 2017-12-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보정 장치 및 광학 필름 첩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160A (ko) 2010-10-28 2014-01-22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다중-리프 역삼투 엘리먼트
KR20160037584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시스템
KR101726539B1 (ko) 2016-01-22 2017-04-14 정욱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리프 요소 적층 장치 및 방법
KR20170138987A (ko) * 2016-05-11 2017-12-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위치 보정 장치 및 광학 필름 첩부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9841호 (나권형 역삼투압 필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Y55g호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리프 요소 적층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91B1 (ko) * 2021-12-21 2022-06-16 박용호 산업용 정수기 두루마리형 필터 적층장치 및 그 적층방법
CN115155325A (zh) * 2022-08-02 2022-10-11 威海市龙升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反渗透膜元件前道次自动化加工设备及方法
CN115155325B (zh) * 2022-08-02 2024-01-02 威海市龙升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反渗透膜元件前道次自动化加工设备及方法
KR102575243B1 (ko) * 2022-09-08 2023-09-06 오성운 산업용 ro필터 제조용 롤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211B1 (ko)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장치
DE3735486C2 (ko)
DE3730126C2 (ko)
TWI295064B (en) The laminating apparatus for the ceramic green sheet and the laminating method for the same
DE3906922C2 (ko)
JPS6351223A (ja) 包装機械に用紙を送る搬送装置
KR101733267B1 (ko)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시스템
SE466701B (sv) Anordning foer stapling av satsvis anordnade foeremaal
EP3017940B1 (de) Verfahren und ein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äcken aus schlauchförmigen Sackkörpern
US20130226332A1 (en) Stacker, stacking system or assembly and method for stacking
CN108583052B (zh) 一种封面机
WO2008080179A1 (de) Vorrichtung zum vereinzeln plattenförmiger gegenstände
DE10013417C2 (de) Vorrich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zum Palettieren von Kartonagen
EP1223137B1 (de) Vorrichtung für das Zusammenlegen von Folien zu einem Schichtpaket
DE2840677C2 (de) Einrichtung zum Abstapeln einzelner Platten von einem Plattenstapel und zu deren Weitertransport
DE2440106B2 (de)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Klebstoff
KR102108999B1 (ko) 역삼투 필터모듈용 트리코트 및 리프 자동 적층장치
CN216996617U (zh) 包胶装置和具有其的板材加工设备
CN212449659U (zh) 多规格粘结片自动叠置系统
KR102107475B1 (ko) 역삼투 필터모듈 제작용 자동화설비의 리프 프리 얼라인먼트 장치
CN216471319U (zh) 全自动皮壳机
JPH06320648A (ja) 多角形筒状体の製造装置
CN107848287B (zh) 用于制造片材单元的方法和机器
DE4332186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aschieren von Flachmaterial-Zuschnitten
FI81047B (fi) Apparat foer hoplimning av a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