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026A - 회전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026A
KR20130118026A KR1020120040880A KR20120040880A KR20130118026A KR 20130118026 A KR20130118026 A KR 20130118026A KR 1020120040880 A KR1020120040880 A KR 1020120040880A KR 20120040880 A KR20120040880 A KR 20120040880A KR 20130118026 A KR20130118026 A KR 2013011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rotating
heater
housing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030B1 (ko
Inventor
최세범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12004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03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에 착탈되며, 꼬치구이 등의 음식물이 꽂혀지는 꽂이구가 저속으로 공전 및 자전되어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구워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음식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며 히터가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과,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상,하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상,하부 회전판으로 이뤄진 회전체와,
회전체 상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하우징의 개구부에 이를 개폐시키도록 안착되는 뚜껑과,
회전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꽂이봉에 꽂혀지는 음식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회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공전되고, 자전수단에 의해 자전되는 꽂이구를 구비하여 이뤄지고, 단일체로 고정된 회전체 및 뚜껑을 음식물의 가열 전,후에 밀폐형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식 구이장치{a rotary roaster}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에 착탈되며, 꼬치구이 등의 음식물이 꽂혀지는 꽂이구가 저속으로 공전 및 자전되어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구워낼 수 있도록 한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10-601783호에 개시된 상부회전식 구이장치는, 꼬치봉과 일체로 결합된 회전판기어가 회전축을 통해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고, 회전판기어는 고정기어와 톱니가 맞물려 고정기어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이 고정되는 꼬치봉이 공전, 자전운동하여 히터에 의해 음식물 전부위가 골고루 구워지며, 원적외선 방출함에 황토 등을 넣어줌으로써 히터을 잠시 가동 오프시키는 경우에도 음식물이 식지않으며, 황토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음식물의 신선함이 장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면에, 꼬치봉을 공전 및 자전시키는 회전부의 구성이 다수의 기어들로 이뤄져 있어 원가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이들을 점검 및 수리하는 사후관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구이장치가 개방되어 있어 음식물을 가열하는 전기히터 등의 히터을 장시간동안 가동시키므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에 착탈되며, 음식물이 꽂혀지는 꽂이구를 공전 및 자전시키는 회전수단의 구조 간단화로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사후관리가 간편한 회전식 구이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히터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시 하우징 내부가 밀폐되므로 음식물 가열시간을 단축시키며, 음식물 가열시 수분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이 최적조건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구이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식물이 고정되는 트레이 및 뚜껑이 일체형으로 이뤄져 있어 이를 하우징에 대해 원터치방식으로 통째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식 구이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 외부에서 음식물이 꽂혀진 꽂이구 각각을 트레이에 장착시킨 후, 트레이를 하우징에 결합하여 가열하므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싸이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구이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음식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며 히터가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과,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상,하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상,하부 회전판으로 이뤄진 회전체와,
회전체 상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하우징의 개구부에 이를 개폐시키도록 안착되는 뚜껑과,
회전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꽂이봉에 꽂혀지는 음식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회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공전되고 자전수단에 의해 자전되는 꽂이구를 구비하여 이뤄지고, 일체형으로 고정된 회전체 및 뚜껑을 음식물의 가열 전,후에 밀폐형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자전수단은,
꽂이구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회전유도용 기어부와,
회전체의 회전시 꽂이구의 회전유도용 기어부와 접촉되어 꽂이구를 회전시키도록 뚜껑 바닥면에 형성되고, 회전체의 회전으로 공전되는 꽂이구를 자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편으로 이뤄진다.
전술한 회전유도용 기어부는,
구동편과의 접촉으로 인해 꽂이구를 1/3만큼 회전시키도록 기어형 돌출부가 120°간격을 유지하여 Y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구동편과의 접촉으로 인해 꽂이구를 1/4만큼 회전시키도록 기어형 돌출부가 90°간격을 유지하여 +자 방향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하우징에 회전체를 결합시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회전축을 축이음시키는 수단으로,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칼라와,
칼라의 2단형 돌출부 외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캠형 제1돌출부와,
칼라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회전축의 하단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되, 결합홈의 바닥면쪽 내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형되는 캠형 제2돌출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히터로서
하우징의 내부 모서리에 적어도 1개소 이상으로 설치되는 할로겐 히터 또는 카본 히터가 사용된다.
전술한 히터와 대향되는 하우징 내측면에 설치되고, 히터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꽂이구의 음식물쪽으로 전열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한다.
전술한 히터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시 꽂이구로부터 음식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꽂이구의 꽂이봉 외측면에 날개형 돌출부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된다.
전술한 날개형 돌출부는 꽂이봉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회전체 하부에 장착되며, 꽂이구의 음식물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찌꺼기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기름받이를 포함한다.
전술한 하우징에 대해 도어의 개폐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1검출스위치와,
베이스부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구이장치의 전도되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2검출스위치와,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하우징에 대해 회전체의 안착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3검출스위치를 구비한다.
전술한 하우징 내의 음식물 구워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에 투명창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음식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안쪽으로 히터가 구비되며, 상부 및 측면 일측이 개방되는 호 형상의 하우징과,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상,하부에 장착되어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상,하부 회전판으로 이뤄진 회전체와,
상부 회전판 상에 이격되고,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자전기어와,
상,하부 회전판에 상,하단이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꽂혀지는 음식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회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공전되고, 자전기어와 이와 기어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종동기어의 치합에 의해 자전되는 꽂이구와,
회전체 회전시 자전기어가 회전되지않도록 자전기어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하우징 내의 트레이에 착탈되어 음식물이 꽂혀지는 꽂이구를 공전 및 자전시키는 회전수단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히터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시 하우징 내부가 밀폐되고 고온분위기를 유지하므로 음식물 가열시간을 단축시키며, 음식물 가열시 수분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을 최적조건으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이 고정되는 트레이 및 뚜껑이 일체형으로 이뤄져 있어 이를 하우징에 대해 통째로 착탈시키므로, 트레이 등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외부에서 음식물이 꽂혀진 꽂이구 각각을 트레이에 장착시킨 후, 트레이를 하우징에 결합하여 가열하므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싸이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에서,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칼라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에서, 뚜껑 및 회전체의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에서, 구동모터와 회전체의 축이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에서, 꽂이구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에서,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의해 회전축 회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에서, 꽂이구 자전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의 요부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음식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10) 및 제어부(11)(타이머, 온도조절기, 전원 온/오프스위치 등을 말함)가 구비되는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2)에 장착되고 도어(13)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고정되며 히터(14)가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15)과,
구동모터(1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6)과, 회전축(16) 상,하부에 장착되어 회전축(16)을 따라 회전되는 상,하부 회전판(17,18)으로 이뤄진 회전체(20)(소위 트레이 라고 함)와,
회전체(20) 상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하우징(15)의 개구부에 이를 개폐시키도록 안착되는 뚜껑(21)과,
상,하부 회전판(17,18)에 상,하단이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꽂이봉(23)에 꽂혀지는 음식물(22)(일 예로서 육류, 꼬치구이, 옥수수 등을 말함)이 히터(14)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회전체(20)의 회전으로 인해 공전되고, 자전수단에 의해 자전되는 꽂이구(24)를 구비하여 이뤄지고, 일체형으로 고정된 회전체(20) 및 뚜껑(21)을 음식물(22)의 가열 전,후에 밀폐형 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히터(14)로서, 하우징(15)의 내부 모서리에 적어도 1개소 이상으로 설치되는 할로겐 히터 또는 카본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자전수단은,
꽂이구(24)의 손잡이(31)(일 예로서 음식물(22)을 가열시 하우징(15) 내부는 고온 분위기를 유지하므로(약 200℃정도를 말함), 손잡이(31)는 내열성 실리콘재, 고무재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에 형성되는 회전유도용 기어부(32)와,
회전체(20)의 회전시 꽂이구(24)의 회전유도용 기어부(32)와 접촉되어 꽂이구(24)를 회전시키도록 뚜껑(21) 바닥면에 형성되고, 회전체(20)의 회전으로 공전되는 꽂이구(24)를 자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편(33)(회전체(20)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꽂이구(24)의 회전유도용 기어부(32)와 접촉되어 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됨)으로 이뤄질 수 있다.
전술한 회전유도용 기어부(32)는,
구동편(33)과의 접촉으로 인해 꽂이구(24)를 1/3만큼 회전시키도록 기어형 돌출부(34)가 120°간격을 유지하여 Y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도 8(b)에 도시됨), 구동편(33)과의 접촉으로 인해 꽂이구(24)를 1/4만큼 회전시키도록 기어형 돌출부(34)가 90°간격을 유지하여 +자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8(a)에 도시됨).
전술한 하우징(15)에 회전체(20)를 결합시 구동모터(10)의 출력축(35)과 회전축(16)을 축이음시키는 수단으로,
구동모터(10)의 출력축(35)에 결합되는 칼라(36)와, 칼라(26)의 2단형 돌출부(37) 외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캠형 제1돌출부(38)와, 칼라(36)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회전축(16)의 하단부에 결합홈(39)을 형성하되, 결합홈(39)의 바닥면쪽 내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캠형 제2돌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히터(14)와 대향되는 하우징(15) 내측면에 설치되고, 히터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꽂이구(24)의 음식물(22)쪽으로 전열시키는 반사판(25)을 구비한다.
전술한 히터(14)에 의해 음식물(22)을 가열시 꽂이구(24)로부터 음식물(22)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꽂이구(24)의 꽂이봉(23) 외측면에 날개형 돌출부(26)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된다.
전술한 날개형 돌출부(26)는 꽂이봉(23)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일 예로서 도면에는 2개의 날개형 돌출부(26)가 180°간격으로 형성됨).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날개형 돌출부(26)가 꽂이봉(23)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거나, 꽂이봉(23)이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회전체(20) 하부에 장착되며, 꽂이구(24)의 음식물(22)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찌꺼기, 음식물 기름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기름받이(27)를 포함한다.
전술한 하우징(15)에 대해 도어(13)의 개폐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는 제1검출스위치(28)와,
베이스부(12)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구이장치의 전도되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는 제2검출스위치(29)와,
베이스부(12)에 장착되고, 하우징(15)에 대해 회전체(20)의 안착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는 제3검출스위치(30)를 구비한다.
전술한 하우징(15) 내의 음식물(22) 구워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13)에 투명창(13a)이 구비된다.
한편,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음식물(22)을 가열하는 동안 고온분위기를 유지하는 하우징(15)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일 예로서 200℃정도를 말함)를 초과하여 과열될 경우, 베이스부(12)에 장착된 과열방지휴즈가 단선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1 및 42는 뚜껑(21) 및 도어(13)에 각각 장착되는 손잡이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도 6, 도 7, 도 9에서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15)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이뤄진 회전체(20) 및 뚜껑(21)을 분리시킨 후, 회전체(20)를 이루는 상,하부 회전판(17,18)으로부터 꽂이구(24)를 분리시킨다. 떡갈비 등의 음식물(22)이 꽂아지는 꽂이구(24)의 하단을 하부 회전판(18)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꽂이공(18a)에 결합하고, 꽂이구(24)의 상단을 상부 회전판(17)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홈(17a)(개구부가 개방되어 형성됨)에 각각 결합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음식물(22)이 고정된 꽂이구(24)를 회전체(2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이뤄진 회전체(20) 및 뚜껑(21)을 하우징(15)에 결합한다. 이때 회전체(20)를 이루는 회전축(16)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홈(39)이, 베이스부(12)에 장착된 구동모터(10)(미도시된 감속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의 출력축(35)에 결합된 칼라(36) 외측으로 결합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출력축(35)에 면치부(35a)가 형성되어, 칼라(36)의 결합공에 나사고정되어 면치부(35a)에 단부가 지지되는 셋트스크류(s)에 의해, 출력축(35)에 대해 칼라(36) 겉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0에서와 같이, 전술한 칼라(36)의 2단형 돌출부(37)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캠형 제1돌출부(38)와, 결합홈(39)의 바닥쪽 내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캠형 제2돌출부(40)는 동일 축상에서 벗어나게 된다(캠형 제1,2돌출부(38,40)는 동일 평면상에서 어긋나게 놓이게 된다). 즉 칼라(36)의 캠형 제1돌출부(38)가 회전축(16)의 캠형 제2돌출부(40)를 동밀 평면상에서 밀게 되므로,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이 이의 출력축(35)을 통하여 회전축(16)에 전달되어 이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부(12) 상에 장착된 제3검출스위치(30)에 의해 하우징(15)에 대해 회전체(20)의 안착 유무를 검출한다. 하우징(15)에 회전체(20) 안착에 따른 검출신호는 제어부(11)에 전송되므로, 전원 온/오프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조작시 히터(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10에서와 같이, 전술한 구동모터(10)에 전원이 공급되어 회전될 경우,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은 이의 출력축(35)을 통해 트레이(19)의 회전축(16)에 전달되어 저속으로 회전시킨다(일 예로서 구동모터(10)가 초 저속(일 예로서 3rpm 정도임)으로 회전되므로 회전체(20)는 15∼20초 동안에 1회전을 하게됨). 이때 출력축(35)에 고정된 칼라(36)의 캠형 제1돌출부(38)가 이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축(16)의 결합홈(39) 내측면에 형성된 캠형 제2돌출부(40)를 밀고 회전하게 된다(도 10에서와 같이 캠형 제1돌출부(38)가 화살표시방향으로 회전됨).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6)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6)에 고정된 상,하부 회전판(17,18)이 회전되므로 음식물(22)이 고정된 꽂이구(24)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2 및 도 11에서와 같이 음식물(22)이 고정되어 회전되는 꽂이구(24) 각각을 자전시킬 수 있다. 즉 상,하부 회전판(17,18)의 회전에 따라 꽂이구(24)가 동일 원주상에서 공전될 경우, 꽂이구(24)의 손잡이(31) 상면에 형성된 회전유도용 기어부(32)가 이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뚜껑(21)에 고정된 구동편(33)과 접촉하게 된다.
즉, 도 8(a) 및 도 11에서와 같이 전술한 회전유도용 기어부(32)의 기어형 돌출부(34)가 90°간격을 유지하여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유도용 기어부(32)가 구동편(33)을 통과시 이와 접촉되어 강제적으로 회전되므로(도 11에서와같이 회전유도형 기어부(32)는 화살표시방향으로 회전됨) 꽂이구(24)는 1/4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5)의 내부 모서리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시 발열되는 히터(14)에 음식물(22)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회전체(20)의 회전으로 인해 꽂이구(24)는 공전, 자전운동을 동시에 하게 되므로, 꽂이구(24)에 고정된 음식물(22)을 히터(14)(일 예로서 할로겐 히터 또는 카본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에 의해 골고루 구워낼 수 있게 된다.
이때, 히터(14)에 의해 음식물(22)이 가열되는 동안에 하우징(15) 내부는 밀폐되고 고온분위기를 유지하며, 히터(14)로부터 발열되는 열은 히터(14)와 대향되도록 하우징(15) 내측면에 설치된 반사판(25)에 의해 음식물(22)쪽으로 전열되므로, 히터(14)에 의해 음식물(22)을 가열하는 열 효율이 향상되므로 히터(14) 사용에 따른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9에서와 같이 히터(14)에 의해 음식물(22)을 가열시 음식물(22)의 형체 변형으로 인한 꽂이구(24)로부터 음식물(22)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음식물(22)의 형체 변형으로 음식물(22)과 꽂이봉(23)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며, 이 경우 꽂이봉(23)만이 겉돌게 되므로 꽂이구(24)로부터 음식물(22) 흘러내릴 수 있다. 이때 꽂이구(24)의 꽂이봉(23)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날개형 돌출부(26)에 의해 음식물(22)을 지지하므로 음식물(22)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전술한 히터(14)의 가열에 의해 회전체(20)에 고정된 음식물(22)을 가열시, 음식물(22)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찌꺼기, 음식물의 기름 등의 이물질이 회전체(20) 하부에 장착된 기름받이(27)에 수거된다.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회전체(20)는 하우징(15)으로부터 통째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된 회전체(20)의 기름받이(27)에 수거된 이물질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체(20)를 이루는 상,하부 회전판(17,18) 등에 달라붙은 음식물찌꺼기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15)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도어(13)의 개폐 유무를 제1검출스위치(28)에 의해 검출하게 된다. 이때 제1검출스위치(28)의 검출신호는 제어부(11)에 전송되므로, 도어(13)가 닫힌 경우에만 히터(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음식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미도시됨) 및 제어부(50)(타이머, 온도조절기, 전원 온/오프스위치 등을 말함)가 구비되는 베이스부(51)와,
베이스부(51)에 장착되고, 안쪽으로 히터(52)가 구비되며, 상부 및 측면 일측이 개방되는 호 형상의 하우징(53)과,
구동모터의 출력축(49)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54)과, 회전축(54) 상,하부에 장착되어 회전축(54)을 따라 회전되는 상,하부 회전판(55,56)으로 이뤄진 회전체(57)(소위 "트레이" 라고함)와,
상부 회전판(55) 상에 이격되고, 회전축(54)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자전기어(58)와,
상,하부 회전판(55,56)에 상,하단이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꽂혀지는 음식물(59)이 히터(52)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회전체(57)의 회전으로 인해 공전되고, 자전기어(58)와 이와 기어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종동기어(손잡이부(61a)의 바닥면에 형성됨)(60)의 치합에 의해 자전되는 꽂이구(61)와,
회전체(57) 회전시 자전기어(58)가 회전되지않도록 자전기어(58)를 하우징(53)에 고정하는 연결구(64)를 구비하여 이뤄진다.
이때, 전술한 히터(52)와 하우징(53)사이에 설치되고, 히터(52)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꽂이구(61)의 음식물(59)쪽으로 전열시키는 반사판(62)을 구비한다.
전술한 회전체(57) 하부에 장착되며, 꽂이구(61)의 음식물(59)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찌꺼기, 음식물기름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기름받이(63)를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61b는 히터(52)에 의해 음식물(59) 구이시 형체 변형되는 음식물(59)이 꽂이구(61)로부터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이고, 70은 회전축(54)의 걸림턱에 안착되며 상부 회전판(55)에 대해 자전기어(58)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구이며, 80은 고정구(70)에 나사결합되어 상부 회전판(55)을 상부 회전판(55)을 일체형으로 고정하는 체결너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음식물(59)이 꽂혀진 꽂이구(61)를 이의 손잡이부(61a)를 파지하여 회전체(57)에 고정한다. 즉 꽂이구(61)의 하측은 하부 회전판(56)에 형성된 구멍에 끼우고, 꽃이구(61)의 상측은 가이드공을 통해 상부 회전판(55)에 고정한다. 이때 꽂이구(61)의 상측에 형성된 종동기어(60)는 자전기어(58)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베이스부(51)에 장착된 전원 온,오프스위치(50)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베이스부(51)에 내설된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고, 히터(52)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된다.
전술한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이의 출력축(49)에 연결된 회전축(54)이 도15에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59)이 고정된 꽃이구(61)를 회전시키는 상부 회전체(55) 및 하부 회전체(56)가 회전된다. 즉 회전체(57)의 회전으로 인해 공전되는 꽂이구(61)에 의해 음식물(59)이 공전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축(54)에 의해 상부 회전판(55)이 회전될 경우, 회전축(54)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어 연결구(64)에 의해 하우징(53)에 고정된 자전기어(58)가, 이와 치합되도록 꽂이구(61)의 손잡이부(61a)에 형성된 종동기어(60)를 도 15에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꽂이구(61)는 회전체(57)에 의해 공전되며, 이와 동시에 자전기어(58) 및 종동기어(60)의 치합에 의해 자전된다.
따라서, 꽂이구(61)에 꽂혀진 음식물(59)은 동시에 공전, 자전되면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히터(52)의 가열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한편 히터(52)에 의해 음식물(59)을 가열시 음식물(59)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찌꺼기, 음식물기름 등은 기름받이(63)에 수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회전식 구이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내의 트레이에 착탈되어 음식물이 꽂혀지는 꽂이구를 공전 및 자전시키는 회전수단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음식물을 가열시 하우징 내부가 밀폐되고 고온분위기를 유지하므로 음식물 가열시간을 단축시키며, 수분 증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트레이 및 뚜껑이 일체형으로 이뤄져 있어 이를 하우징에 대해 통째로 착탈시키므로 이들의 세척이 용이하다. 하우징 외부에서 음식물이 꽂혀진 꽂이구 각각을 트레이에 장착시킨 후 트레이를 하우징에 결합하므로 음식물을 트레이에 고정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0; 구동모터
12; 베이스부
14; 히터
16; 회전축
18; 하부 회전판
20; 회전체
22; 음식물
24; 꽂이구
26; 날개형 돌출부
28; 제1검출스위치
30; 제3검출스위치
32; 회전유도용 기어부
34; 기어형 돌출부
36; 칼라
38; 캠형 제1돌출부
40; 캠형 제2돌출부

Claims (14)

  1.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음식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며 히터가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하부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상,하부 회전판으로 이뤄진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상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이를 개폐시키도록 안착되는 뚜껑과,
    상기 회전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꽂이봉에 꽂혀지는 음식물이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공전되고, 자전수단에 의해 자전되는 꽂이구를 구비하여 이뤄지고, 일체형으로 고정된 회전체 및 뚜껑을 음식물의 가열 전,후에 밀폐형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수단은,
    상기 꽂이구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회전유도용 기어부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꽂이구의 회전유도용 기어부와 접촉되어 꽂이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뚜껑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으로 공전되는 상기 꽂이구를 자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편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용 기어부는,
    상기 구동편과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꽂이구를 1/3만큼 회전시키도록 기어형 돌출부가 120°간격을 유지하여 Y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구동편과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꽂이구를 1/4만큼 회전시키도록 기어형 돌출부가 90°간격을 유지하여 +자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체를 결합시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을 축이음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칼라와,
    상기 칼라의 2단형 돌출부 외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캠형 제1돌출부와,
    상기 칼라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결합홈을 형성하되,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쪽 내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형되는 캠형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모서리에 적어도 1개소 이상으로 설치되는 할로겐 히터 또는 카본 히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대향되는 하우징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상기 꽂이구의 음식물쪽으로 전열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시 상기 꽂이구로부터 음식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꽂이구의 꽂이봉 외측면에 날개형 돌출부가 상하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돌출부는 상기 꽂이봉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는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꽂이구의 음식물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찌꺼기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기름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도어의 개폐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1검출스위치와,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구이장치의 전도되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2검출스위치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체의 안착 유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3검출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음식물 구워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2.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음식물을 히터에 의해 가열하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 및 제어부가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안쪽으로 히터가 구비되며, 상부 및 측면 일측이 개방되는 호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상,하부에 장착되어 회전축을 따라 회전되는 상,하부 회전판으로 이뤄진 회전체와,
    상기 상부 회전판 상에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자전기어와,
    상기 상,하부 회전판에 상,하단이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꽂혀지는 음식물이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공전되고, 상기 자전기어와 이와 기어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종동기어의 치합에 의해 자전되는 꽂이구와,
    상기 회전체 회전시 자전기어가 회전되지않도록 자전기어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하우징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히터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상기 꽂이구의 음식물쪽으로 전열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꽂이구의 음식물로부터 떨어지는 음식물찌꺼기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기름받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KR1020120040880A 2012-04-19 2012-04-19 회전식 구이장치 KR10137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880A KR101370030B1 (ko) 2012-04-19 2012-04-19 회전식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880A KR101370030B1 (ko) 2012-04-19 2012-04-19 회전식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26A true KR20130118026A (ko) 2013-10-29
KR101370030B1 KR101370030B1 (ko) 2014-03-05

Family

ID=4963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880A KR101370030B1 (ko) 2012-04-19 2012-04-19 회전식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0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5851A (zh) * 2017-09-20 2017-12-22 上海酒店设备工程成套南翔厂有限公司 带有耐热透明门的旋转置物篮架烤肉炉
CN108497948A (zh) * 2018-04-03 2018-09-07 刘影 一种用于烧烤的食品烹饪装置
CN109480654A (zh) * 2018-12-22 2019-03-19 中山市家冠电气有限公司 一种喷淋式油炸机
KR102154071B1 (ko) * 2020-02-06 2020-09-09 서윤호 회전식 꼬치 구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496Y1 (ko) 2005-06-14 2005-09-02 황병수 하부회전식 구이장치
KR20090085723A (ko) * 2008-02-05 2009-08-10 노한래 육류 조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5851A (zh) * 2017-09-20 2017-12-22 上海酒店设备工程成套南翔厂有限公司 带有耐热透明门的旋转置物篮架烤肉炉
CN108497948A (zh) * 2018-04-03 2018-09-07 刘影 一种用于烧烤的食品烹饪装置
CN109480654A (zh) * 2018-12-22 2019-03-19 中山市家冠电气有限公司 一种喷淋式油炸机
CN109480654B (zh) * 2018-12-22 2024-01-19 中山市家冠电气有限公司 一种喷淋式油炸机
KR102154071B1 (ko) * 2020-02-06 2020-09-09 서윤호 회전식 꼬치 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030B1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769B1 (ko) 밀폐형 회전식 구이기용 구동장치
US9924825B2 (en) Cooking appliance
US7487716B2 (en) Rotisserie oven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1370030B1 (ko) 회전식 구이장치
US20040055477A1 (en) Rotisserie oven
KR101264987B1 (ko) 회전식 구이기
EP0432615A1 (fr) Appareil de pétrissage et de cuisson
KR200394496Y1 (ko) 하부회전식 구이장치
KR100601783B1 (ko) 상부회전식 구이장치
US8505444B2 (en) Marshmallow roaster
KR101582180B1 (ko) 근적외선 초벌구이기
KR100878783B1 (ko) 전기 숯불 구이기
KR200468052Y1 (ko) 밀폐형 회전식 구이기용 착탈장치
KR200435466Y1 (ko) 바비큐용 고기 구이기
KR101476339B1 (ko) 간편한 적외선 회전식 꼬치구이기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CN216822949U (zh) 一种带翻炒功能的电烤箱
KR200473404Y1 (ko) 밀폐형 회전식 구이장치용 꽂이구
KR20080106812A (ko) 육류 구이장치
KR101206207B1 (ko) 통닭구이기
KR200478355Y1 (ko) 자동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010001120U (ko) 고기구이기
CN214284458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KR20140047927A (ko) 회전식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