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308A -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 Google Patents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308A
KR20130117308A KR1020120040484A KR20120040484A KR20130117308A KR 20130117308 A KR20130117308 A KR 20130117308A KR 1020120040484 A KR1020120040484 A KR 1020120040484A KR 20120040484 A KR20120040484 A KR 20120040484A KR 20130117308 A KR20130117308 A KR 2013011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ever
cart
rail car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무영
Original Assignee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308A/ko
Publication of KR2013011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차 레일위에서 인력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레일카트에 관한 것이다.
고속 전철화와 다양한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오래된 철도가 폐기되어지면서 이곳에 별도의 인력주행형 레일카트가 이용되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평지가 아닌 강원도와 같은 경사가 급한 철도레일의 경우에는 사람이 타고 경사를 출발할 경우 점차 가속이 붙어 탑승자가 간단한 휠브레이크만으로는 속도조절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러한 레일카트에 보디부의 플렛폼의 하측에 설치한 풋콘트롤지지대의 답압력에 의하여 속도감지장치가 레일카트가 주행하는 레일의 상면에 임의로 접촉이 가능하게 하는 가속방지장치를 설치한 레일카트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별도의 가속방지장치의 설치로 현재까지 사람에 의하여 운행하는 레일카트의 설치불가지역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다양한 동식물자원이 풍부한 지역에 대한 레일카트에 의한 접근이 가능하게 하여 새로운 관광자원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Description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Railcart driving on the inclined railroad}
본 발명은 기차 레일위에서 인력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레일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강원도 산간지역에 설치한 급경사지 철도레일을 주행하기 위한 수동식 레일카트에 관한 것이다.
철도의 발달과 고속화에 의하여 급경사지 혹은 굴곡도가 심한 오래된 철길은 점차 폐쇄하고 직선화 고속화한 철도가 개발 보급되면서 기존의 철도레일이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이러한 폐철도레일을 이용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 기존 철로에 안치가능하면서 자전거와 같이 인력페달을 이용하여 전진할 수 있는 인력자전거 형태의 레일카트를 고안하여 방치되어있는 철도레일을 이용하여 교통수단 및 관광상품의 하나로 이용가능하게 개발하였다.
이러한 일부 폐철도레일에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실용등록제 20-036884호, 20-0447098호 그리고 특허 10-1050101호에 의하여 다양한 레일카트와 그 운행시스템이나 기존의 철도레일이 없는 곳까지도 운행가능한 레일카트를 개발보급하였다.
이러한 보급에 힘입어 지금까지 방치되어있던 폐철도레일을 새로운 지방의 관광산업용으로 재활용하면서 지방재정의 새로운 활력소가 되고 있다. 특히 강원도 지역의 경우 천혜의 산간과 동해의 복합적 관광요소를 함께 하면서 새로운 활력소가 되고 있었다.
이러한 모든 레일카트는 사람이 발의 힘으로 페달을 돌려 전진하므로 경사지를 올라갈 수 없는 기본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 반면에 경사지를 하강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럼에도 경사지가 심한 경우,예를 들면 종래의 기차들이 스위치백운행까지 하는 구간 혹은 스위치백운행은 아니라도 어느 정도 경사가 있는 구간을 수동 레일카트를 타고 하강시 점차 가속이 붙으면서 사람이 제어하기 힘든 고속으로 주행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경사지를 하강하는 인력페달에 의한 레일카트에 있어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가속이 되지 않는 레일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철도레일위를 주행하는 레일카트에 있어서, 일정속도이상으로 가속이 되면 별도의 가속방지장치에 의하여 가속을 억제하여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레일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 레일카트에 주행중에 멈춤이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하여도 별도로 설치하여 경사지 주행시 탑승자가 감당하기 어려운 급가속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본 발명의 가속방지장치의 설치로 경사가 심한 페철도에 인력에 의한 레일카트가 주행하더라도 일정한 속도로 주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사지에 대한 레일카트의 이용이 가능하다. 경사가 급한 폐철도는 주로 우리나라의 경우 강원도 산간지방이며 이곳에는 경사가 급하여 인력에 의한 레일카트의 설치운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레일카트의 운행으로 각종 나무, 산, 계곡 등에 대한 탑승자의 용이한 접근으로 낙후된 산간오지에 대한 관광개발로 지방재정에 큰 기여가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가속방지장치만을 도시한 정면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가속방지장치만을 도시한 측면확대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 3 의 AA선 단면도임.
본 발명은 경사가 있는 폐철도 구간을 인력에 의하여 주행하는 레일카트에 있어서, 경사지 하강에 의하여 중력에 의한 가속도로 인한 가속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일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에 운행하는 레일카트에 탑승자의 답압력(踏壓力)으로 주행하는 레일의 상면에 접촉과 이탈을 임의로 제어하여 레일카트의 주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일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속방지장치가 실제 설치된 상태를 도 1에서 측면구성도로 도시하며, 도 2 는 가속방지장치만을 도시한 정면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가속방지장치만을 도시한 측면에서 본 확대 구성도이며, 도 4 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레일카트는 기차레일(r)위에서 인력페달(501)을 탑승자가 발이나 손으로 회전하여 구동하면, 그 구동력이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전동수단으로 휘일에 전달하도록 하여 목표하는 방향으로 레일위를 주행하는 구동부와,
상기한 구동부에 접하여 탑승자가 안착할 수 있는 의자가 설치된 탑승부와,
그리고 상기한 구동부의 휘일과 탑승부의 플렛폼 그리고 기타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보디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한 일반적인 구성의 레일카트는 구동부에 인력페달에 의하여 구동하는 휘일(520)에 다양한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주행중에 미도시한 핸드브레이크 혹은 풋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휘일의 주행을 멈추게 한다.
이러한 브레이크장치는 일반적으로 레일카트의 경우 자전거와 같은 경량주행장치에 사용하는 대단히 간단한 구조의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는 평지의 주행시에는 멈춤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레일카트와 같이 자체적인 무게가 100㎏이상이면서 2이상의 탑승객이 탑승한 경우, 언덕을 하강시에는 초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경사가 긴 경우 점차 가속도법칙에 의하여 속도증가로 간단한 휠브레이크만으로 멈춤이 어렵다.
본 발명은 보디부의 플렛폼에 탑승자의 발이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콘트롤레버를 설치하되, 이 콘트롤레버를 답압(踏壓)에 의하여 조정하도록 설치하며,
상기한 콘트롤레버의 조정에 의하여 레일카트가 주행하는 레일의 상면에 마찰패드가 임의로 접촉과 분리가 가능한 가속방지장치를 더 설치한 새로운 형태의 레일카트를 개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하듯이 가속방지장치는 플렛폼(100)의 중앙부에 설치한 핀고정부(101)에 풋콘트롤지지대(105)와 연결된 콘트롤레버(104)를 핀고정하며,
상기한 콘트롤레버에서 탑승자의 발이 닿는 곳과 반대되는 측단에는 승하강레버(111)와 체결하며, 이 승하강레버는 가속방지부(120)의 시이소오레버와 체결되어 콘트롤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가속방지부의 마찰패드의 승강과 하강이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한 가속방지부는 핀고정부(121)에 시이소오레버(122)를 설치하며,
상기한 시이소오레버의 양측단중 일측에는 승하강레버(111)와 체결하고, 반대측에는 리턴스프링(126)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한 마찰패드(125)를 고정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한 승하강레버에 의한 마찰패드의 승하강동작은 미도시한 별도의 속도감응장치에 의하여 일정 속도이상으로 증속된 경우 경고음의 발생과 함께 탑승자의 콘트롤레버에 대한 압력이 없어도 마찰패드가 하강토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탑승자가 미처 인지 못한 속도이상으로 고속 하강시 속도를 감속시켜 발생가능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레일카트는 경사가 급한 산간에 설치한 폐철도에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경사가 급한 철길의 경우 소위 경사의 직접적인 주행이 어려워 스위치백이라고 하는 주행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철도레일은 상부에서 부터 하부까지 연속적으로 경사가 있어 출발지에서 일정한 저속으로 출발하여도 중력가속도법칙에 의하여 점차 가속력이 가해지면서 일정한 속도 이상이 되면 휘일브레이크만으로는 멈춤이 어렵다.
이럴 경우 레일카트 탑승자는 콘트롤레버(104)에 발을 올려 놓고 압력을 가한다. 이 압력은 승하강레버(111)에 의하여 시이소오레버(122)를 도 1 의 화살표와 같이 동작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가속방지부(120)의 마찰패드(125)를 주행중인 레일의 상면을 향하여 접근한다. 이 마찰패드의 접근으로 주행레일과 마찰이 발생하여 속도가 저하되어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한다.
100: 플렛폼, 101:핀고정부, 105:풋콘트롤지지대, 104:콘트롤레버, 120:가속방지부, 111:승하강레버, 121:방지장치용 핀고정부, 122:시이소오레버, 126:리턴스프링, 125:마찰패드

Claims (3)

  1. 기차레일(r)위에서 인력페달의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구동부, 승용인원이 탑승하는 탑승부, 구동부와 탑승부를 지지하는 보디부로 구성되는 기차레일을 이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주행하는 레일카트에 있어서,
    보디부의 플렛폼에 탑승자의 발이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콘트롤레버를 설치하되, 이 콘트롤레버를 답압(踏壓)에 의하여 조정하도록 설치하며,
    상기한 콘트롤레버의 조정에 의하여 레일카트가 주행하는 레일의 상면에 마찰패드가 임의로 접촉과 분리가 가능한 가속방지장치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속방지장치는 플렛폼(100)의 중앙부에 설치한 핀고정부(101)에 풋콘트롤지지대(105)와 연결된 콘트롤레버(104)를 핀고정하며,
    상기한 탑승자의 발이 닿는 콘트롤레버와 반대되는 측단에는 승하강레버(111)와 체결하며, 이 승하강레버는 가속방지부(120)의 시이소오레버와 체결되어 콘트롤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가속방지부의 마찰패드의 승강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속방지부는 하부플렛폼(150)에 설치한 방지장치용 핀고정부(121)에 시이소오레버(122)를 설치하며,
    상기한 시이소오레버의 양측단중 일측에는 승하강레버(111)와 체결하고, 반대측에는 리턴스프링(126)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한 마찰패드(125)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KR1020120040484A 2012-04-18 2012-04-18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KR20130117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484A KR20130117308A (ko) 2012-04-18 2012-04-18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484A KR20130117308A (ko) 2012-04-18 2012-04-18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08A true KR20130117308A (ko) 2013-10-25

Family

ID=4963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484A KR20130117308A (ko) 2012-04-18 2012-04-18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3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2198A (zh) * 2017-12-14 2018-05-29 方特欢乐世界(芜湖)经营管理有限公司 一种观光轨道车
CN109455195A (zh) * 2018-10-13 2019-03-12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轨道车失灵用应急制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2198A (zh) * 2017-12-14 2018-05-29 方特欢乐世界(芜湖)经营管理有限公司 一种观光轨道车
CN108082198B (zh) * 2017-12-14 2024-02-20 华强方特(芜湖)文化产业有限公司 一种观光轨道车
CN109455195A (zh) * 2018-10-13 2019-03-12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轨道车失灵用应急制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2273B1 (en)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US20160257316A1 (en) Transverse rail switching element
TW200404689A (en) Transport system
JP2023027144A (ja) トロリーシステム並びに関連するレール及びトラック
CN207737276U (zh) 一种猴车运行装置
KR20130117308A (ko) 경사지 기차레일을 주행하는 레일카트
KR101665087B1 (ko) 래칫기어를 이용한 산악철도차량용 비상제동장치
KR101665091B1 (ko) 산악철도차량용 비상제동장치
JP2023535806A (ja) 複合動力ホイールペア、列車、ホイールレールシステム及び列車制御方法
JP2004345640A (ja) 自動人間輸送装置(apm)モノレールシステム
EP3239016B1 (en) System for pushing or retaining a train on steep slopes
KR101371426B1 (ko)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산악 썰매
JP2007204028A (ja) 車輌脱線防止法
JP4305758B2 (ja) 傾斜地輸送設備の車両のカム式レールブレーキ装置
KR101665100B1 (ko) 산악철도차량용 비상제동장치
CN207106498U (zh) 一种列车的辅助起动与制动装置
KR20160118697A (ko)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KR101496131B1 (ko) 견인 기능을 구비한 무한궤도 주행 시스템
CA3031875A1 (en) Transportation system
CN107351850A (zh) 一种列车的辅助起动与制动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397551B1 (ko) 궤도차량용 안전브레이크 장치
JP3236114U (ja) 鉄道の駅および駅付近において勾配を設けた鉄路(レール)。
KR200368841Y1 (ko) 기차레일을 이용하는 레일카트
CN202029866U (zh) 一种用于电机车的自动防溜车装置
RU2406632C1 (ru) Тяговая тележ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