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697A -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 Google Patents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697A
KR20160118697A KR1020150047198A KR20150047198A KR20160118697A KR 20160118697 A KR20160118697 A KR 20160118697A KR 1020150047198 A KR1020150047198 A KR 1020150047198A KR 20150047198 A KR20150047198 A KR 20150047198A KR 20160118697 A KR20160118697 A KR 20160118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raking
carrier
shock absorber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15004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697A/ko
Publication of KR2016011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활강 체험시설에 관한 것으로, 출발부에서 착지부까지 연결된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는 도중에 체험자가 매달린 캐리어가 무부하 상태의 활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짜릿한 공중 활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역풍이나 정풍 등의 바람 상태 또는 체험자의 체중 등을 포함하는 각종 외부 변화요인에도 불구하고 출발부에서 출발한 체험자가 착지부까지 안전하게 활강할 수 있도록 출발부(10)와 착지부(20)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30); 상기 와이어(30)를 따라 체험자(M)를 출발부(10)에서 착지부(20)로 이송하는 캐리어(40); 상기 착지부(20)측의 와이어(30)에 설치되어 캐리어(40)의 활강시 캐리어(40)와 도킹하면서 속도를 줄여주는 완충장치(50), 상기 와이어(3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조 와이어(60); 상기 착지부(20) 측에 설치되는 구동 겸 제동 드럼(72), 상기 보조 와이어(60)와 와이어(30) 사이에 루프(loop) 상태로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구동 겸 제동 드럼(72)에 권취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장치(50)에 연결되는 로프(74)로 구성되는 제동 및 견인장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Sky gliding experience facility with braking and tow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중 활강 체험시설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출발부에서 착지부까지 연결된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는 도중에 체험자가 매달린 캐리어가 무부하 상태의 활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짜릿한 공중 활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역풍(배풍)이나 정풍 등의 바람 상태 또는 체험자의 체중 등을 포함하는 각종 외부 변화요인에도 불구하고 출발부에서 출발한 체험자가 착지부까지 안전하게 활강할 수 있도록 제동 및 견인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특허문헌 1,2의 짚 트렉시스템 및 공중하강 체험시설을 들 수 있는데, 특허문헌 1의 짚 트렉 시스템은 착지부 측에 1,2차 완충기로 이루어진 완충장치만이 구비되어 있어 완충기능만을 가질 뿐 견인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착지부에서 출발부 쪽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체험자의 체중이 설계체중보다 가벼운 경우에는 체험자가 착지부까지 활강하지 못하고 도중에 정지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체험자는 견인을 받기 위하여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포감을 느끼게 되는 것은 물론, 착지부 측의 보조자들이 체험자를 직접 견인하여야 했으므로 작업 피로도가 높아지게 되고, 출발지에서 기다리고 있는 또다른 체험자들의 대기시간도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체중이나 바람의 영향(배풍)에 의해 착지부에 과속으로 접근하거나, 체중 미달 또는 맞바람에 의해 착지부에 미처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활강속도를 적절하게 줄여주거나 착지부까지 견인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는 한데, 이 특허문헌 2는 견인 및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보조 와이어가 출발부에서부터 착지부까지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보조 와이어는 착지부 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클러치/브레이크 유닛에 의해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출발부에서부터 캐리어에 상기 보조 와이어가 걸려있는 상태가 되어 이 보조 와이어에 의한 부하로 인해 활강속도가 저하되어 체험자가 짜릿한 속도감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보조 와이어의 길이가 출발부에서부터 착지부까지의 거리의 2배에 달하게 되므로 이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전력소모가 커지게 되며, 보조 와이어 자체는 시간의 경과에 의해 느슨함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제동 및 견인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캐리어의 활강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고, 보조 와이어의 부설과 이의 유지 보수작업 또한 상당히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2520호(2012.02.24.등록) 발명의 명칭; 짚 트렉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494103호(2015.02.10.등록) 발명의 명칭; 공중하강 체험시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험자가 매달린 캐리어가 무부하 상태의 활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짜릿한 공중 활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역풍(배풍)이나 정풍(맞바람) 등의 바람 상태 또는 체험자의 체중 등 각종 외부 변화요인에도 불구하고 출발부에서 출발한 체험자를 착지부까지 안전하게 활강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공중 활강 체험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공중 활강 체험시설에서 체험자가 짜릿한 쾌감을 최대한 느낄 수 있는 상태에서 활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활강도중 여러 요인에 의해 체험자가 착지부에 과속으로 접근하거나 착지부까지 미처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인위적이면서도 최대한 자연적인 활강에 가깝게 착지부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제동 및 견인기능을 부가한 공중 활강 체험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발부와 착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체험자를 출발부에서 착지부로 이송하는 캐리어; 상기 착지부측의 와이어에 설치되어 캐리어의 활강시 캐리어와 도킹하면서 속도를 줄여주는 완충장치; 상기 와이어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조 와이어; 상기 착지부 측에 설치되는 구동 겸 제동 드럼, 상기 보조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에 루프 상태로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구동 겸 제동 드럼에 권취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장치에 연결되는 로프로 구성되는 제동 및 견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체험자가 착지부에 비정상적인 속도(과속)로 접근할 경우에는 제동 및 견인장치의 구동 겸 제동 드럼에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완충장치가 착지부 쪽으로 접근하는 속도를 줄여주고, 체험자가 미처 착지부 쪽으로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구동 겸 제동 드럼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프에 의해 이송되는 완충장치가 캐리어를 착지부 쪽으로 견인하도록 한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중 활강 체험시설에 의하면 출발부에서 출발한 체험자가 착지부까지 공중 활강을 할 때, 출발부에서 착지부까지 연결된 와이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캐리어에 별도의 로프나 보조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로프나 보조 와이어로 인한 부하가 없어 체험자는 최대한의 스릴을 만끽하면서 공중 활강을 할 수 있으며, 바람 상태나 체험자의 체중(미달 또는 초과)으로 인해 출발부에서 출발한 체험자가 착지부에 과속으로 접근하는 경우나 미처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캐리어와 도킹하는 완충장치가 제동 및 견인장치에 의해 제동을 걸거나 견인을 하게 됨으로써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자연적인 활강 기분을 느끼면서 착지부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중 활강 체험시설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착지부 측의 구성도,
도 3은 제동 및 견인장치의 구성도,
도 4는 견인 상태를 도시한 로프 작동상태도,
도 5는 제동 상태를 도시한 로프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중 활강 체험시설의 구성 및 동작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공중 활강 체험시설은 출발부(10)와 착지부(20)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30); 상기 와이어(30)를 따라 체험자를 출발부(10)에서 착지부(20)로 이송하는 캐리어(40); 상기 착지부(20)측의 와이어(30)에 설치되어 캐리어(40)의 활강시 캐리어(40)와 도킹하면서 속도를 줄여주는 완충장치(50); 상기 와이어(3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조 와이어(60); 상기 착지부(20) 측에 설치되는 구동 겸 제동 드럼(72)과, 상기 보조 와이어(60)와 와이어(30) 사이에 루프(loop) 상태로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구동 겸 제동 드럼(72)에 권취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장치(50)에 연결되는 로프(74)로 구성되는 제동 및 견인장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출발부(10)는 착지부(20)에 비해 고도가 높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출발부(10)에서 착지부(20) 쪽으로 가설된 와이어(30)에 캐리어(40)를 걸어주고, 이 캐리어(40)에 체험자(M)가 하네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캐러비너를 걸어주면 체험자(M)의 무게에 의해 캐리어(40)는 착지부(20) 쪽으로 활강하게 되는 것으로, 출발부와 착지부는 보통 산의 비탈면이나 산과 산 사이의 계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됨으로써 체험자가 공중을 활강하는 짜릿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출발부(10)와 착지부(20)는 도면상으로는 기둥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자연물 예를 들면, 나무나 암반 등의 천연물이나 타워 등의 인공물에 와이어(30)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출발부(10)와 착지부(20)에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비롯한 각종 장력조절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30)는 여러 줄의 강선이 꼬여진 것으로, 이 와이어(30)의 표면에는 캐리어(40)의 롤러와 접촉시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리스 등의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캐리어(40)는 특허문헌 1,2에 개시된 캐리어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캐리어의 구조와 기능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도해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장치(50)는 착지부(20) 측의 와이어(30)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완충스프링(52)과, 상기 완충스프링(52)의 전방에 설치되는 완충기 몸체(54)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완충기 몸체(54)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완충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완충기 몸체(54)는 캐리어(30)의 활강시 1차 완충역할을 함과 동시에 캐리어(30)와 도킹을 할 수 있도록 도킹 아암과 일방향 걸림구가 구비되어 있어 도킹된 캐리어(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완충기 몸체(54)의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동 및 견인장치(70)는 구동 겸 제동 드럼(72)과 로프(7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구동 겸 제동 드럼(72)은 정역회전 모터(76)에 축결합되되 구동 겸 제동 드럼(72)과 정역회전 모터(76) 사이에 클러치/브레이크 유닛(78)이 개재되어 있어 견인시 로프(74)를 일방향으로 회전(도 4 참조) 및 타방향으로 회전(착지부에서 다시 캐리어를 맞이하러 마중위치로 이동시)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 로프(74)에 제동력을 가하여 캐리어(40)의 활강속도를 늦추어줄 수도 있다.
상기 제동 및 견인장치(70)의 모터(76)와 클러치/브레이크 유닛(78)은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 스위치는 보조자(M1)가 손과 발로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가속 페달(P1)과 브레이크 페달(P2) 및 견인과 제동 전환을 위한 전환 스위치(S)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 중 부호 75는 보조 와이어(60)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도르래로, 이 도르래(75)는 로프(74)의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는바, 상기 도르래(75)는 일정 간격마다 고정 설치되어 로프(74)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완충장치(50)의 완충스프링(52)에도 로프(74)의 가이드를 위한 고리(7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로프(74)는 캐리어(40)의 견인을 위하여 마중을 나가게 되는데, 마중을 나가는 거리는 착지부(20)에서 약 100m 내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체험시설의 설치 장소의 출발부와 착지부 사이의 거리와 각도 등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은 출발부(10)에서 보조자의 감독하에 의해 체험자(M)가 하네스를 착용하고, 캐러비너를 사용하여 하네스를 캐리어(30)에 확실하게 연결한 후, 캐리어(30)를 와이어에 걸친 상태에서 지면에서 발을 떼면 체험자(M)의 자중에 의해 활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착지부(20)에서는 보조자(M1)가 체험자의 활강상태를 주시하면서 캐리어(30)가 완충장치(50)의 완충기 몸체(54)에 도킹하는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캐리어(30)가 체험자(M)의 자중에 의해 착지부(20)까지 스스로 활강하지 못할 것 같은 상황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 페달(P1)을 밟아 의해 제동 및 견인장치(70)의 로프(74)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캐리어(30)가 도킹된 완충기 몸체(54)를 착지부(20)쪽으로 견인하면 된다.
상기 캐리어(30)의 견인속도는 가속 페달(P1)을 밟아주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자연적인 활공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견인하여 체험자가 끝까지 짜릿한 활강 체험을 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캐리어(30)가 착지부(20)로 너무 빠른 속도로 활강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S)를 제동으로 전환하고 브레이크 페달(P2)을 밟아주는 것에 의해 클러치/브레이크 유닛(78)에서 클러치는 떨어져 모터의 동력은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동작하면서 로프(74)가 풀리되는 속도를 늦추어 줌으로써 적정한 제동력이 발휘되어 체험자의 활강속도를 늦추어 착지부에 적정한 속도로 도착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중 활강 체험시설은 체험자가 출발부에서 착지부까지 연결된 와이어를 따라 활강하는 도중에 캐리어가 무부하 상태의 활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짜릿하고 스릴넘치는 공중 활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역풍이나 정풍 등의 바람 상태 또는 체험자의 체중 초과나 미달 등으로 인해 도중에 멈추거나 너무 빠른 속도로 착지부를 향해 활강하는 경우에도 착지부 측에 위치한 보조자가 스위치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러운 속도로의 견인 및 적정한 속도로의 제동을 걸어주게 됨으로써 체험자가 착지부까지 안전하게 활강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며, 이로 인해 활강 체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대기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같은 시간 안에 가능한 많은 사람이 활공 체험을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중 활강 체험 시설은 제동 및 견인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므로 이의 설치와 유지보수 또한 경제적이고 용이한 이점이 있다.
10 : 출발부
20 : 착지부
30 : 와이어
40 : 캐리어
50 : 완충장치
52 : 완충스프링
54 : 완충기 몸체
60 : 보조 와이어
70 : 제동 및 견인장치
72 : 구동 겸 제동 드럼
74 : 로프
75 : 도르래
76 : 정역회전 모터
77 : 고리
78 : 클러치/브레이크 유닛
P1 : 가속 페달
P2 : 브레이크 페달
S : 전환 스위치
M :체험자
M1 : 보조자

Claims (4)

  1. 출발부(10)와 착지부(20)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30); 상기 와이어(30)를 따라 체험자(M)를 출발부(10)에서 착지부(20)로 이송하는 캐리어(40); 상기 착지부(20)측의 와이어(30)에 설치되어 캐리어(40)의 활강시 캐리어(40)와 도킹하면서 속도를 줄여주는 완충장치(50), 상기 와이어(3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조 와이어(60); 상기 착지부(20) 측에 설치되는 구동 겸 제동 드럼(72), 상기 보조 와이어(60)와 와이어(30) 사이에 루프(loop) 상태로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구동 겸 제동 드럼(72)에 권취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장치(50)에 연결되는 로프(74)로 구성되는 제동 및 견인장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겸 제동 드럼(72)은 정역회전 모터(76)에 축결합되되 구동 겸 제동 드럼(72)과 정역회전 모터(76) 사이에 클러치/브레이크 유닛(78)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50)는 착지부(20) 측의 와이어(30)를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완충스프링(52)과, 상기 완충스프링(52)의 전방에 설치되는 완충기 몸체(54)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기 몸체(54)가 상기 캐리어(30)와 도킹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52)과 보조 와이어(60)에는 로프(74)의 가이드를 위한 도르래(75)와 고리(77)가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KR1020150047198A 2015-04-03 2015-04-03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KR20160118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98A KR20160118697A (ko) 2015-04-03 2015-04-03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98A KR20160118697A (ko) 2015-04-03 2015-04-03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97A true KR20160118697A (ko) 2016-10-12

Family

ID=5717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98A KR20160118697A (ko) 2015-04-03 2015-04-03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86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145B1 (ko) * 2018-09-12 2019-10-01 주식회사 가우도짚트랙 짚 트랙 시스템
KR102358956B1 (ko) * 2021-11-25 2022-02-08 (주)신흥이앤지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520B1 (ko) 2011-11-25 2012-03-19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짚 트렉 시스템
KR101494103B1 (ko) 2013-11-04 2015-02-17 김정수 공중하강 체험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520B1 (ko) 2011-11-25 2012-03-19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짚 트렉 시스템
KR101494103B1 (ko) 2013-11-04 2015-02-17 김정수 공중하강 체험시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145B1 (ko) * 2018-09-12 2019-10-01 주식회사 가우도짚트랙 짚 트랙 시스템
KR102358956B1 (ko) * 2021-11-25 2022-02-08 (주)신흥이앤지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520B1 (ko) 짚 트렉 시스템
KR101494103B1 (ko) 공중하강 체험시설
US5224425A (en) Cable skydiving
US20140311376A1 (en) Rider Controlled Zip Line Trolley Brake System
US7966941B1 (en) Rider controlled zip line trolley brake
KR200484374Y1 (ko) 활강속도 조절이 가능한 레저용 활차
US20090255436A1 (en) Ricky braking system for zipline riders
US20090049946A1 (en) Ricky braking system for zipline riders
US20120145498A1 (en) Braking system for a zip line
JPH08500268A (ja) 娯楽用乗物
RU2469891C2 (ru) Воднолыжная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US20180257773A1 (en) System for Tethered Airboarding
KR20160118697A (ko) 제동 및 견인기능이 부가된 공중 활강 체험시설
JP2002506703A (ja) 娯楽装置
US5664499A (en) Ski lift loader and unloader
KR20210151363A (ko) 스카이 행거 레일 바이크 시스템
KR102303218B1 (ko) 공중활강 체험자 구조장치
CN113423472A (zh) 辅助攀爬的栓绳装置
CN104190009B (zh) 轨道式高楼速降逃生装置
US9682326B2 (en) Human flying apparatus
EP0746394B1 (en) A steerable swinging device
KR101551828B1 (ko) 낙하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SE447563B (sv) Portabel drivanordning med en motordriven drivrulle eller liknande for samverkan med ett band, en lina, en vajer, en ketting eller liknande
KR200469687Y1 (ko)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안전 도착 유도 시스템
KR20210073406A (ko) 병렬삭도를 이용한 다인승 활강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