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114A -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114A
KR20130117114A KR1020120039866A KR20120039866A KR20130117114A KR 20130117114 A KR20130117114 A KR 20130117114A KR 1020120039866 A KR1020120039866 A KR 1020120039866A KR 20120039866 A KR20120039866 A KR 20120039866A KR 20130117114 A KR20130117114 A KR 2013011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roller
screen printer
stencil mask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7114A/ko
Publication of KR2013011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03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creen printer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프린터를 공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텐실 마스크 상면에 잉크를 주입하고 스퀴지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서 기판에 패턴을 인쇄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스텐실 마스크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는, 한쌍의 지지대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대부를 구비하고, 지지대부에 일 방향으로 스텐실 마스크 하부에 배치되어 이물을 제거하는 세정부가 장착된다. 또한, 지지대부는 에어 나이프부가 장착되어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마스크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건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생산되는 기판의 불량율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나이프를 통해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남아있는 오염된 세정액을 건조시켜 기판의 2차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CLEANING DEVICE FOR SCREEN PRINTER}
본 발명은 스크린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텐실 마스크 상면에 잉크를 주입하고 스퀴지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서 기판에 패턴을 인쇄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스텐실 마스크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프린팅 공법은 다수의 개구부에 의한 일정한 패턴 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텐실마스크 상면에 잉크(ink)를 주입하고 기판상에 접촉시킨 후, 러버(rubber)재질의 스퀴지(squeegee)로 가압하여 패턴 홀을 통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서 기판상에 소정의 회로배선 등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특히, 최근에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컬러필터 패턴을 형성하는 데 이러한 스크린 프린팅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크린 프린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크린 프린터는 스테이지 유닛(3), 마스크 유닛(5) 및 스퀴지 유닛(8)으로 구분된다.
스테이지 유닛(3)은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을 적재 및 이송하는 유닛으로서, 스크린 프린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과, 패턴형성 대상인 기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로 이루어진다.
마스크 유닛(5)은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홀이 새겨진 스캔실 마스크와, 스텐실 마스크를 지지하고, 프린팅 공정시 정렬 및 프린팅을 위해 스텐실 마스크를 상하 Y축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마스크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스퀴지 유닛(8)은 기판상에 배치된 마스크에 압력을 가하여 잉크가 패턴을 이루며 기판에 도포되도록 하는 스퀴지와, 스퀴지가 기판상에서 전후 X축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도록 고정되는 스퀴지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스크린 프린터는 스텐실 마스크에 대응하는 잉크 패턴을 기판에 형성하게 된다.
한편, 스크린 프린팅 공정이 오랜시간 지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으로 잉크가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잉크는 굳어지거나 이물들이 엉겨 붙어 후속 공정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불량의 원인이 되어 더 이상의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진행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일정 구간마다 장비를 정지시키고, 스텐실 마스크를 수작업으로 스크린 프린터에서 취출하고 세정액을 이용하여 마스크에 남아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세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스크린 프린팅 공정 전후의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으로는 소정의 패턴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린팅 공정이 반복됨에 따라 소정기간 이후 패턴 홀(h)을 중심으로 하여 잔존잉크가 얼룩형태(d)로 퍼져 남아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잔존잉크(d)는 패턴 홀(h)을 막아버리거나 프린팅된 패턴의 상부를 가압하여 후속 패턴형성공정에서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 프린팅 공정 후에는 주기적으로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묻어 있는 잉크를 제거해야만 한다. 종래의 마스크 세정공정은 스크린 프린터의 공정을 중지하고, 마스크를 마스크 유닛에서 취출한 후 작업자가 알코올 등을 포함하는 세정액을 클리너에 묻혀 수작업으로 닦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세정공정에 사용되는 세정액은 통상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첨가되며, 수작업에 의한 세정공정으로는 스텐실 마스크에 남아 있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세정작업이 지연되는 경우 장기간 동안 장비를 정지시켜야 하며 이는 생산성 저하에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스텐실 마스크를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장치를 통해 세정공정을 진행함으로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기판의 품질을 개선하고 불량율을 감소시키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공정이 완료된 후에도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남아있는 오염된 세정액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화된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는, 한 쌍의 지지대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대부; 상기 지지대부에 장착되며, 일 방향으로 스텐실 마스크 하부에 배치되어 이물을 제거하는 세정부; 및 상기 지지대부에 장착되며, 상기 마스크의 하면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마스크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건조시키는 에어 나이프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부는 중앙 하부의 브릿지를 통해 서로 결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부는 회전에 의해 감긴 세정페이퍼를 권출하는 권출롤러; 상기 세정페이퍼의 상면이 상기 마스크의 하부에 닿아 상기 마스크 하면의 오물이 묻어나도록 하면을 지지하는 세정롤러; 상기 세정페이퍼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기; 및 오염된 세정페이퍼를 권취하는 권취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는 서로 평행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롤러는 상기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 사이에 적어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액 분사기는 상기 세정롤러 방향으로 다수의 세정액 분사구가 형성된 원통형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액 분사기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하나이상의 모터; 상기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의 양측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나이프부는, 상기 압축공기를 일방향으로 분사하는 에어 분사노즐; 및 에어나이프부의 양측에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프린팅 공정 후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으로 세정롤 및 에어나이프를 구비한 세정장치를 배치하여 마스크의 하면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생산되는 기판의 불량율을 개선할 수 있어 기판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나이프를 통해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남아있는 오염된 세정액을 건조시켜 효율적으로 스텐실 마스크를 세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크린 프린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스크린 프린팅 공정 전후의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의 세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세정액 분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 및 이의 스크린 프린터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100)는 한쌍의 지지대(111,112)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대부(110)와, 지지대부(110)에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스텐실 마스크 하면에 배치되어 이물을 제거하는 세정부(120)와, 지지대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130)와,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마스크 하면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건조시키는 에어 나이프부(190)를 포함한다.
지지대부(110)는 한쌍의 지지대(111,112)가 이격공간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세정장치(100)의 외곽을 구성하고, 그 이격공간 내부에 세정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대부(110)는 하부 중앙영역에서 결합되는 브릿지(114)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되며, 그 상부로 세정액 분사기(122) 등을 포함하는 세정부(120)가 설치된다.
세정부(120)는 세정페이퍼가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으며 회전에 의해 세정페이퍼를 권출하는 권출롤러(121)와, 오염된 세정페이퍼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롤러(122)와, 권출된 세정페이퍼의 상면이 상기 마스크의 하부에 닿도록 하고 세정페이퍼에 분사된 세정액을 통해 스텐실 마스크 하면에 묻어 있는 오물을 닦아 내는 세정롤러(141)와, 세정페이퍼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기(142)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세정부(120)의 권출롤러(121)에는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묻어 있는 잔존 세정액을 깨끗이 닦아내기 위한 세정페이퍼가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다. 이러한 권출롤러(121)는 세정페이퍼를 상부의 세정롤러(142)로 권출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후술하는 베어링 부재에 의해 지지대부(110)에 장착된다.
권취롤러(122)는 잔존잉크를 닦아낸 세정페이퍼를 다시 두루마리 형태로 감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권출롤러(121)와 대향하는 위치에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권취롤러는 오염된 세정페이퍼를 권취하기 위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베어링 부재에 의해 지지대부(110)에 장착된다.
세정롤러(141)는 회전가능한 원통형의 롤러로서, 통상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정롤러(141)의 상부로는 권출된 세정페이퍼가 덮여 있으며, 세정페이퍼의 일부분이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권출롤러(121) 및 권취롤러(122)의 회전에 의해 세정롤러(141)가 회전하며,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묻어있는 잔존 잉크를 닦아내게 된다.
또한, 세정롤러(141)와 인접한 위치에 세정액 분사기(142)가 구비된다. 세정액 분사기(142)는 세정롤러(141)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세정페이퍼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세정액을 묻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정액 분사기(142)에는 세정 페이퍼 방향으로 개구된 다수의 미세 세정액 분사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액 분사기(142)는 적어도 하나의 측단이 지지대부(110)의 외측으로 세정액 공급관(146)와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세정액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세정롤러(141) 및 세정액 분사기의 하부방향으로는 분사된 세정액이 스크린 프린터의 스테이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롤러(141)는 권출롤러(121) 및 권취롤러(122)사이에 배치되되, 정면 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그 높이가 두 롤러(121, 12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세정롤러(141)의 상부면이 스텐실 마스크에 최대한 인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측면에서 보았을 때 권출된 세정페이퍼는 소정의 각을 이루며 세정공정시 각 롤러(121, 122)방향으로 처짐없이 장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동을 위해, 지지대의 외측면에는 권출롤러(121) 및 권취롤러(122)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130)가 장착된다. 구동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131)와, 한 쌍의 제1 베어링 부재(132a,b) 및 제2 베어링 부재(133a,b)와, 모터(131)의 구동력을 제1 베어링 부재(132a,b) 및 제2 베어링 부재(133a,b)에 전달하는 벨트(135)를 포함한다.
모터(131)는 각 롤러(121,1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쌍의 지지대(111,112)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131)는 제1 베어링 부재(132a,b) 및 제2 베어링 부재(133a,b)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제1 베어링 부재(132a,b)는 한 쌍이 권취롤러(122)의 양측단과 연결되고, 지지대부(110)에 권취롤러(122)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제2 베어링 부재(132a,b)는 한 쌍이 권출롤러(121)의 양측단과 연결되고 제1 베어링 부재(133a,b)와 평행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베어링 부재(132a,b) 또한 지지대부(110)에 권출롤러(121)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벨트(135)는 모터(131)의 구동력을 제1 베어링 부재(132a,b) 및 제2 베어링 부재(133a,b)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131)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각 롤러(121,122)당 하나씩 할당되어 제1 베어링 부재(132a) 및 제2 베어링 부재(133a)와 복수의 모터(131)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모터(131)가 하나가 구비되는 경우 권취롤러(122)에 연결된 제1 베어링 부재(132a)에만 연결되어 권취롤러(122)에 세정페이퍼가 감김에 따라 권출롤러(121)가 함께 회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세정롤러(141)와 인접한 위치에는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스텐실 마스크 하면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건조시키는 에어 나이프부(190)가 구비된다.
세정페이퍼는 세정액을 통해 스텐실 마스크 하면의 잔존잉크를 압력에 의해 닦아내는 것으로, 세정페이퍼에 의해 잔존잉크가 닦인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는 미량의 오염된 세정액이 잔막형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는 마스크를 2차 오염시키는 것으로 에어 나이프부(190)는 고압의 에어를 토출시켜 스캔실 마스크에 남아있는 오염된 세정액을 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어 나이프부(190)의 상단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에어를 일 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한 미세한 공극을 갖는 에어분사노즐(195)이 형성되어 있으며, 압축공기를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방향으로 토출시켜 마스크 하면에 남아있는 오염된 세정액을 압력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에어 나이프부(190)는 오염된 세정액에 의한 스텐실 마스크의 2차 오염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 분사노즐(195)은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방향을 향하도록 지지대부(110)에 장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에어 나이프부(190)의 양측단에는 에어분사노즐(195)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의 세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장치는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위치하고, 세정부의 권출롤러(12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정페이퍼가 풀리게 된다. 동시에 권취롤러(122)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정페이퍼가 감기게 된다. 또한, 세정롤러(141)는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세정페이퍼를 밀착시키게 되고, 세정액 분사기(142)가 세정액을 세정페이퍼에 분사함에 따라 마스크에 잔존하는 잉크를 닦아내게 된다.
여기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 분사기(142)에는 다수의 미세 개구형태의 세정액 분사구(145)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관형태이며, 세정액 분사구(145)는 세정페이퍼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는 잉크를 닦는데 이용된 오염된 세정액이 잔막 형태로 남아있게 되며, 에어 나이프(190)에 의한 에어 토출에 의해 남아있는 세정액을 건조함으로서 스텐실 마스크의 세정을 완료하게 된다.
동시에, 세정장치는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서 전후방향(X)으로 이동하며 마스크의 하면 전 영역을 세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본 발명의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는 스크린 프린터의 스테이지에 설치된 레일상에 설치되고, 스크린 프린팅 공정이 완료되어 세정하고자 하는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으로 도시되지 않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하여 잔존하는 잉크를 닦아내고 오염된 세정액을 건조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가 스크린 프린터에 설치되는 구조 및 구동양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 및 이의 스크린 프린터의 정면도, 측면도 및 하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정장치(100)는 마스크 유닛(2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스크린 프린터(200)의 외부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220)상에 장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크린 프린터(200)의 스테이지 유닛은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을 적재 및 이송하는 유닛으로서, 스크린 프린터(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과, 패턴형성 대상인 기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로 이루어진다. 스테이지는 전후 이동이 가능하며, 스크린 프린팅 공정이 완료되면 기판을 다음 공정설비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스크린 프린터(200)의 마스크 유닛(210)은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홀이 새겨진 스캔실 마스크를 지지하고 있으며, 프린팅 공정완료 후 스텐실 마스크를 상하 Y축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켜 세정장치(100)가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기판이 이송된 후 레일(220)을 통해 세정장치(100)는 마스크 유닛(210)의 내측으로 마련된다. 세정장치(100)의 권출롤러(121) 및 권취롤러(122)에는 세정페이퍼(미도시)가 구비된다.
세정장치(100)의 지지대(112)에는 하나 이상의 모터(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권출롤러(121) 및 권취롤러(122)의 양측단에는 제1 베어링 부재(132a,b) 및 제2 베어링 부재(133a,b)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터(131)는 제1 베어링 부재(132a,b) 및 제2 베어링 부재(133a,b) 중 적어도 하나와 벨트(135)를 통해 연결되며, 모터의 회전에 따라, 권출롤러(121) 및 권취롤러(122) 중 적어도 하나에 그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이에 따라, 권출롤러(12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세정페이퍼가 풀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권취롤러(122)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정페이퍼가 감기게 된다. 또한, 세정롤러(141)는 마스크 유닛(210)상에 안착된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에 세정페이퍼를 밀착시키게 되고, 세정액 분사기(142)가 세정액을 세정페이퍼에 분사함에 따라 마스크에 잔존하는 잉크를 닦아내게 된다.
동시에, 세정장치(100)는 레일(220)을 따라 전후 이동하여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을 세정하게 되는데, 일회 이동하여 세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마스크의 오염도를 최소화하도록 반복적으로 왕복하여 세정공정을 수행할 수 도 있다.
또한, 권출롤러(121)의 일측에는 상단이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에어를 일 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한 미세한 공극을 갖는 에어 분사노즐(195)이 형성된 에어 나이프부(190)가 구비되어 있다. 권출롤러(121)의 회전에 따라, 에어 분사노즐(195)은 압축공기를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방향으로 토출시켜 마스크 하면에 남아있는 오염된 세정액을 압력으로 제거하여 2차 오염을 최소화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세정장치 110 : 지지대부
111, 112 : 지지대 120 : 세정부
121 : 권출롤러 122 : 권취롤러
130 : 구동부 131 : 모터
132a,b : 제1 베어링부 133a,b : 제2 베어링부
141 : 세정롤러 142 : 세정액 분사기
146 : 세정액 공급관 190 : 에어나이프부
195 : 에어 분사노즐

Claims (10)

  1. 한 쌍의 지지대가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대부;
    상기 지지대부에 장착되며, 일 방향으로 스텐실 마스크 하부에 배치되어 이물을 제거하는 세정부; 및
    상기 지지대부에 장착되며, 상기 스텐실 마스크의 하면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마스크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건조시키는 에어 나이프부
    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부는 중앙 하부의 브릿지를 통해 서로 결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회전에 의해 감긴 세정페이퍼를 권출하는 권출롤러;
    상기 세정페이퍼의 상면이 상기 스텐실 마스크의 하부에 닿아 상기 마스크 하면의 오물이 묻어나도록 하면을 지지하는 세정롤러;
    상기 세정페이퍼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기; 및
    오염된 세정페이퍼를 권취하는 권취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는 서로 평행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롤러는
    상기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 사이에 적어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분사기는,
    상기 세정롤러 방향으로 다수의 세정액 분사구가 형성된 원통형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분사기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하나이상의 모터;
    상기 권출롤러 및 권취롤러의 양측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나이프부는,
    상기 압축공기를 일방향으로 분사하는 에어 분사노즐; 및
    에어나이프부의 양측에 상기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각도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KR1020120039866A 2012-04-17 2012-04-17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KR20130117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866A KR20130117114A (ko) 2012-04-17 2012-04-17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866A KR20130117114A (ko) 2012-04-17 2012-04-17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14A true KR20130117114A (ko) 2013-10-25

Family

ID=4963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866A KR20130117114A (ko) 2012-04-17 2012-04-17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71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2645A (zh) * 2015-05-25 2015-08-19 湖州宏鑫绸厂 一种圆网印花机的导带内侧清洁装置
KR20150128366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에이앤에스월드 엘이디 프레임의 솔더 범프 형성용 마스크 클리너장치
KR20180105329A (ko) * 2017-03-15 2018-09-28 (주) 에스에스피 플럭스 크리닝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366A (ko) * 2014-05-09 2015-11-18 주식회사 에이앤에스월드 엘이디 프레임의 솔더 범프 형성용 마스크 클리너장치
CN104842645A (zh) * 2015-05-25 2015-08-19 湖州宏鑫绸厂 一种圆网印花机的导带内侧清洁装置
CN104842645B (zh) * 2015-05-25 2017-12-19 杨高林 一种圆网印花机的导带内侧清洁装置
KR20180105329A (ko) * 2017-03-15 2018-09-28 (주) 에스에스피 플럭스 크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142B2 (en) Stencil wiper spot clean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
KR20130117114A (ko) 스크린 프린터용 세정장치
US20060227163A1 (en) Roll brushing apparatus, inkjet head clea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101053144B1 (ko) 처리액 도포 장치 및 방법
JP4259107B2 (ja) 液滴吐出ヘッド清掃装置、液滴吐出ヘッド清掃方法および液滴吐出装置
KR101094388B1 (ko) 처리액 도포 방법
KR20130101328A (ko) 인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KR101044407B1 (ko) 헤드 세정 유닛과 이를 구비한 약액 토출 장치, 그리고 헤드 세정 방법
JP2012232269A (ja) 基板浮上型搬送機構用スリットコート式塗布装置
KR100975650B1 (ko) 평면 노즐의 세정 장치, 세정 시스템 및 세정 방법
KR100965372B1 (ko) 스크린 클리너가 구비된 스크린인쇄기
KR20150100149A (ko) 인쇄잉크 분사장치가 구비된 스크린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방법
JP4665552B2 (ja) 塗布ヘッド清掃方法、ペースト塗布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部材の製造方法
KR20100097957A (ko) 그라비어롤 세정장치
KR101098370B1 (ko) 헤드 세정 유닛과, 이를 구비한 처리액 토출 장치
KR101098371B1 (ko) 헤드 세정 유닛과, 이를 구비한 처리액 토출 장치
KR20110016002A (ko) 세정 유닛, 이를 갖는 약액 도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KR101099608B1 (ko) 세정 유닛, 이를 갖는 약액 도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KR20120020407A (ko) 프린팅 장치 및 그의 세정 방법
KR101170771B1 (ko) 헤드 세정 유닛과 이를 구비한 약액 토출 장치, 그리고 헤드 세정 방법
JP2008006707A (ja) 印刷装置
KR101598139B1 (ko) 헤드 세정 유닛, 헤드 세정 방법 및 헤드 세정 유닛을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09078397A (ja) プリンター装置
JPH07237288A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WO2010035772A1 (ja) シリンダ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