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023A -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 Google Patents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023A
KR20130117023A KR1020120039638A KR20120039638A KR20130117023A KR 20130117023 A KR20130117023 A KR 20130117023A KR 1020120039638 A KR1020120039638 A KR 1020120039638A KR 20120039638 A KR20120039638 A KR 20120039638A KR 20130117023 A KR20130117023 A KR 2013011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cathode active
lithium
iron
carbo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683B1 (ko
Inventor
손종태
강충수
김청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68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45Phosphates containing plural metal, or metal and ammo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표면적이 넓은 나노섬유 형태의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양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의 조성식에 맞추어 화학적 양론비로 정량된 원료물질과 킬레이트제를 용매에 혼합하여 점성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점성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 전구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나노섬유 전구체를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건조된 나노섬유 전구체를 소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의 조성식을 갖는 나노섬유를 제조함으로써, 소성과정에서도 나노섬유 형태를 유지하여 표면적이 매우 넓은 리튬이온 2차전지용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FABRICATING METHOD OF LITHIUM-IRON-METAL-PHOSPHATE-CARBON COMPOSITE NANOFIBER CATHODE ACTIVE MATERIAL AND CATHODE ACTIVE MATERIAL FABRICAT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나노 구조를 갖는 리튬이온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고압 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전기 방사법으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체를 나노 섬유 형태로 제어함으로써, 섬유의 길이와 직경이 균일하고 표면형태가 안정된 양극활물질용 복합 산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1회용으로 사용하는 1차전지와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차전지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향이 휴대전화, 노트북(PC),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PDA) 등으로 점점 다양해지면서, 2차전지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전기 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 자동차(HEV)가 실용화되면서, 용량과 출력이 높고 안정성이 뛰어난 2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러 소재의 비용 중에 양극의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리튬이온 2차전지의 양극재료는 일반적으로 충방전시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지는 동시에 가역 리튬이온의 층간 삽입, 탈리에 의해 구조가 파괴되지 않아야 하며, 전기전도도가 높고 전해질로 사용되는 유기용매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야 한다. 나아가 제조비용이 낮고, 환경오염 문제가 최소가 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특성을 나타내는 리튬화합물질로는 리튬이온의 삽입과 탈리가 가능한 층상 화합물인 LiNiO2, LiCoO2, LiMn2O4 등이 있다.
LiNiO2는 전기용량은 높으나, 충방전시의 사이클 특성과 안정성 등에 문제가 있어 실용화되지못하고 있다. LiCoO2는 용량이 클 뿐만 아니라 수명(cycle life)과 고율특성(rate capability)이 우수하고 합성이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코발트를 함유하여 가격이 높고 인체에 유해하며 고온에서 열적으로 불안정한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LiCoO2의 물리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층상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니켈-코발트-망간 복합금속산화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코발트에 의한 비용 문제와 유해성이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Thackeray 등에 의해서 발표된 Li2MnO3-LiMxO2 (여기서 M = Ni, Fe, Mn, Cr 등의 금속)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Li2MnO3-LiMxO2 계열의 양극활물질은 고용량을 가지는 점 이외에는 열적 안정성과 수명특성 등의 모든 부분에서 기존의 양극활물질에 비하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리튬이온 2차전지의 새로운 양극활물질로서, 올리빈 구조를 가지는 LiFePO4 계열의 물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LiFePO4 는 상용화된 양극활물질에 비해 비교적 높은 이론 용량(170mAh/g)과 친환경적 특성을 가지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안정성이 매우 높아서 HEV 혹은 EV용 소재로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올리빈계열의 물질은 작동 전압이 낮고, 이온 및 이온 전도도가 기존 물질에 비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입자의 나노화가 필요하다.
리튬이온 2차전지의 양극활물질로 사용하기 위한 복합금속산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고상법과 공침법이 일반적이다.
고상법은 혼합 시에 불순물의 유입이 많아서 균일한 조성을 얻기 어렵고, 제조단계에서 고온이 필요하며, 제조시간이 긴 단점이 있다.
공침법은 Ni, Co, Mn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공침제인 수산화나트륨과 착염제로인 킬레이트제를 사용하여 동시에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얻어진 전구체를 리튬(Li)염과 혼합한 뒤 소성하여 활물질을 얻는 방법이며, 고상법에 비하여 균일한 조성의 물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활물질의 입자크기가 전구체의 입자크기에 영향을 받으며, 합성 과정의 공정변수가 매우 많고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최적화 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06269호
"Li2MnO3-stabilized LiMO2 (M = Mn, Ni, Co)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Michael M. Thackeray, Sun-Ho Kang, Christopher S. Johnson, John T. Vaughey, Roy Benedek and S. A. Hackney,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Issue 30, 2007, 17, 3112-312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표면적이 넓은 나노섬유 형태의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양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 방법으로 제조되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양극활물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은,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의 조성식에 맞추어 화학적 양론비로 정량된 원료물질과 킬레이트제를 용매에 혼합하여 점성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점성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 전구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나노섬유 전구체를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건조된 나노섬유 전구체를 소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전기방사는 기본적으로 고분자 산업에 응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효과적으로 서브마이크로미터(submicrometer)에서 나노미터(nanometer)단위까지의 직경을 갖는 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고상법이나 공침법에 비하여 균일한 나노구조의 물질을 합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합성 조건과 합성 후의 열처리과정에서도 균일한 미세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2차전지용 양극소재를 합성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서 킬레이트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ine, 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PVA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점성용액의 점도가 0.1~1.5Pa·s 범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전기방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료물질을 혼합하여 점성용액을 제조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분자 물질을 킬레이트제로 사용하여 점도를 조절하며, 나노 단위의 섬유를 전기방사하기에 적합한 점도인 0.1~1.5Pa·s 범위가 되도록 킬레이트제의 양을 조절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킬레이트제는 유기 고분자 물질로서, 소성과정에서 탄소를 공급하여 나노섬유 표면에 탄소층이 코팅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원료물질은 조성식을 만족하도록 Li염, Fe염, 첨가되는 금속(M)의 염 및 인산염을 이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질산리튬(LiNO3), 질산망간 4수화물(MnNO4·4H2O), 질산철 9수화물(FeNO4·9H2O), 인산암모늄(NH4H2PO4)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매로는 증류수와 산 및 알코올을 혼합한 복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증류수와 질산 및 메탄올을 혼합한 복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에서 전기방사가 10~30kV의 전압 범위와 5~20cm의 TCD(tip-to-collector distance)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나노섬유가 형성되기 어려우며, 형성된 나노섬유도 소성과정에서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제3단계는 진공분위기 또는 대기압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100℃ 이상의 온도로 8시간 이상 수행되어야 제2단계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전구체에 포함된 불순물과 유기물이 충분히 제거되어 원하는 물성의 양극활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제4단계는 450~55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1차 열처리와 600~90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2차 열처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부터 나노섬유 전구체가 나노섬유 형태를 유지하면서 해당 조성식의 물질로 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표면에 탄소층이 코팅된 나노섬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4단계는 아르곤이나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나 산소 분위기 또는 불활성 기체와 산소가 혼합된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조성식이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인 나노섬유의 표면이 탄소층으로 코팅된 구조이며, 상기 탄소층의 탄소는 킬레이트제에서 공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극활물질은 평균 직경이 50~800nm 범위로 표면적이 매우 넓으며, 표면에 코팅된 탄소층의 두께가 전체 직경의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층의 두께가 너무 넓으면 리튬이온 2차전지의 양극활물질로 작동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양극활물질은 1 내지 3축 중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소성과정에서 수축하여 나노섬유의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리튬이온 2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양극판과 음극판 및 전해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이온 2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한 방법으로 양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양극활물질을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리튬이온 2차전지는 크게 양극판과 음극판 및 전해액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중 양극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방법으로 양극활물질을 제조하고 이를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리튬이온 2차전지의 다른 구성과 그 제조단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알려진 모든 구성과 제조단계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의 조성식을 갖는 나노섬유를 제조함으로써, 소성과정에서도 나노섬유 형태를 유지하여 표면적이 매우 넓은 리튬이온 2차전지용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물질을 킬레이트제로 이용함으로써, 전기방사를 위한 점도 조절제와 소성단계에서 탄소 공급원으로 동시에 작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은, 철과 치환되는 금속의 첨가량에 무관하게 올리빈구조를 유지하면서, 50~800nm 범위로 표면적이 매우 넓고, 표면에 전체 직경의 5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탄소층의 코팅되어, 올리빈계열 물질의 단점인 낮은 작동 전압과 느린 이온 전도도 문제를 해결한 리튬이온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한 X-선 회절분석 결과이다.
도 2 내지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한 전계방사형 주자전자현미경(FE-SEM)사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하여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FT-IR)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한 EDS 분석결과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극활물질 제조방법은, 우선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의 조성식에 맞추어 화학적 양론비로 정량된 원료물질과 킬레이트제를 용매에 혼합하여 점성용액을 제조한다. (제1단계)
제1단계는 전기방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원료물질과 킬레이트제를 정량하여 용매에 혼합하여 점성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원료물질은 졸-겔법에 의하여 조성식의 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들이며, Li염, Fe염, 첨가되는 금속(M)의 염 및 인산염을 이용한다. 첨가되는 금속(M)은 Fe과 치환되는 물질이며, 첨가량(X)이 0 내지 1의 값을 가진다.
킬레이트제는 동시에 점성용액의 점도를 조절하는 점도 조절제의 역할을 하며, 그 양을 조절하여 점성용액의 점도가 전기방사에 적합하도록 0.1~1.5Pa·s의 범위로 조절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킬레이트제는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과 함께 소성단계에서 탄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분자 유기물질인 것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ine, 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PVA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한다.
용매는 물과 알코올 및 산으로 구성된 복합용매를 이용한다.
그리고 제1단계에서 제조된 점성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 전구체를 제조한다. (제2단계)
전기 방사는 고압 전기 방사기를 이용하여, SUS를 콜렉터로 사용하고, 10~30kV의 전압 범위와 5~20cm의 TCD범위에서 수행된다. 전기 방사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2단계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전구체를 건조한다. (제3단계)
제3단계는 나노섬유 전구체에 포함된 유기물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진공오븐 또는 대기압 상태의 오븐에서 100℃로 8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3단계에서 건조된 나노섬유 전구체를 소성하여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의 조성식을 가지는 나노섬유의 표면에 탄소층이 코팅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을 제조한다. (제4단계)
제4단계는 전구체물질이 실질적으로 LiFe1-xMxPO4 상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동시에 킬레이트제의 탄소가 표면에 코팅되어 표면에 탄소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는 2단계의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450~55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1차 열처리와 600~90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2차 열처리로 구성한다.
이상의 단계로 제조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은 1축 또는 2 내지 3축의 다축 형태의 나노섬유 형태이고, 평균 직경이 50~800nm이다. 소성단계에서 나노섬유의 표면에 코팅된 탄소층의 두께는 나노섬유 직경의 50% 이하이다.
그리고 소성단계에서 LiFe1-xMxPO4 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수축이 일어나서 섬유형태의 내부가 빈 중공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양극활물질은 소성과정을 거친 뒤에도 표면적이 넓은 나노섬유형태를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탄소층이 코팅되어 올리빈계열 물질의 단점인 낮은 작동 전압과 느린 이온 전도도의 문제가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iFePO4와 LiFe0.9Mn0.1PO4 및 LiFe0.7Mn0.3PO4 세 가지 조성의 나노섬유 표면에 탄소층이 복합된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먼저, 원료물질로는 질산리튬(LiNO3), 질산망간 4수화물(MnNO3·4H2O), 질산철 9수화물(FeNO3·9H2O), 인산암모늄(NH4H2PO4)을 이용하고, 킬레이트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ine, PVP)을 이용하였다.
원료물질과 킬레이트제를 화학적 양론에 맞추어 혼합하고, 증류수와 질산 및 메탄올을 혼합한 복합용매를 이용하여 점도가 0.1~1.5Pa·s인 점성용액을 제조하였다.
제3단계에서는 방사된 나노섬유 전구체를 진공 오븐에서 100℃로 약 8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마지막으로 제4단계에서는 건조된 나노섬유 전구체를 질소, 아르곤 및 산소 중에 하나의 이상의 기체를 포함하는 가스 분위기에서, 500℃로 10시간 동안 1차 열처리를 수행하고, 700℃로 12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하여 표면에 탄소층이 코팅된 양극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한 X-선 회절분석 결과이다. x-선 회절분석은 Cu-Ka 파장을 이용하여 2θ= 10°~70°의 범위에서 분석하였다.
도 1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은 공간군(space group)이 Pnma 또는 Pnmb에 속하는 사방정계(orthorombic) 구조를 가지고, Mn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에 의한 구조의 변화가 관측되지 않으며, 모두 동일한 올리빈 계열의 복합금속산화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Mn의 첨가에 의해서 구조적인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 내지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한 전계방사형 주자전자현미경(FE-SEM)사진이다. 도 2는 X=0인 LiFePO4에 대한 사진이고, 도 3은 X=0.1인 LiFe0.9Mn0.1PO4에 대한 사진이며, 도 4는 X=0.3인 LiFe0.7Mn0.3PO4에 대한 사진이다.
모든 조성의 5,000배 저배율 사진에서 조성에 무관하게 균일하고 일정한 직경의 섬유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조성의 100,000배의 고배율 사진에서도 조성에 무관하게 섬유에 뭉침 현상이 보이지 않았으며, 평균 직경이 약 190nm를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하여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FT-IR,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을 수행한 결과이다.
그래프의 약 1750cm-1 부근에서 갈라지는 피크는 -PO4의 유발효과로 인한 탄소와 산소의 이중 결합에서 발생하는 피크이며, 이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나노섬유 형태의 양극활물질 표면에 탄소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에 대한 EDS 분석결과이다. 도 6은 X=0인 LiFePO4에 대한 분석결과이고, 도 7은 X=0.1인 LiFe0.9Mn0.1PO4에 대한 분석결과이며, 도 8은 X=0.3인 LiFe0.7Mn0.3PO4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도 6에서는 우측에 Fe의 피크만 보이지만, 도 7과 도 8에서는 Mn의 피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활물질은 각각 Mn의 조성 비율이 0, 0.1 및 0.3으로 정확하게 조절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의 조성식에 맞추어 화학적 양론비로 정량된 원료물질과 킬레이트제를 용매에 혼합하여 점성용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점성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섬유 전구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나노섬유 전구체를 건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건조된 나노섬유 전구체를 소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ine, 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PVA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물질이 질산리튬(LiNO3), 질산망간 4수화물(MnNO4·4H2O), 질산철 9수화물(FeNO4·9H2O), 인산암모늄(NH4H2P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증류수와 산 및 알코올을 혼합한 복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점성용액의 점도가 0.1~1.5Pa·s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전기방사가 10~30kV의 전압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전기방사가 5~20cm의 TCD(tip-to-collector distance)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가 대기압 또는 진공분위기에서 100℃ 이상의 온도로 8시간 이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가 450~55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1차 열처리와 600~900℃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2차 열처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가 불활성 기체와 산소 중에 하나의 이상의 기체를 포함하는 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양극활물질로서,
    조성식이 LiFe1-xMxPO4 (0≤X≤1, M = Ni, Mn, Co, V, Cr, Cu, Ti, Zr)인 나노섬유의 표면이 탄소층으로 코팅된 구조이며,
    상기 탄소층의 탄소는 킬레이트제에서 공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평균 직경이 50~800nm이고, 상기 표면에 코팅된 탄소층의 두께가 전체 직경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이 1축, 2축 및 3축 중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이 가운데가 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
  15. 양극판과 음극판 및 전해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튬이온 2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에 한 항의 방법으로 양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양극활물질을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20039638A 2012-04-17 2012-04-17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KR10143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38A KR101438683B1 (ko) 2012-04-17 2012-04-17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38A KR101438683B1 (ko) 2012-04-17 2012-04-17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023A true KR20130117023A (ko) 2013-10-25
KR101438683B1 KR101438683B1 (ko) 2014-09-12

Family

ID=4963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638A KR101438683B1 (ko) 2012-04-17 2012-04-17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6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980A (ko) * 2014-02-06 2015-08-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중공구조의 나노섬유 형태를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및 그 양극활물질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KR20150131767A (ko) 2014-05-16 2015-11-2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구형분말과 나노섬유가 블렌딩된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453B1 (ko) * 2017-10-27 2019-03-20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나트륨-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트륨 이온 2차전지
WO2023023894A1 (zh) * 2021-08-23 2023-03-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碳包覆的磷酸铁锂正极活性材料、其制备方法、包含其的正极极片以及锂离子电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568B1 (ko) * 2015-01-02 2016-06-1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산 음이온 화합물 복합제상의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434B1 (ko) * 2008-04-02 2015-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n차 계층 구조를 갖는 리튬-전이 금속 복합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전극을 구비한 리튬 전지
KR101003136B1 (ko) * 2008-08-08 2010-12-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졸-겔법을 이용한 저가형 리튬 2차 전지용 LiFePO4 양극 물질의 제조방법
KR101103248B1 (ko) * 2009-04-09 2012-01-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리튬이온 2차 전지용 정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1313156B1 (ko) * 2009-12-04 2013-09-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다성분계 나노 복합산화물 분말과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전극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박막 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980A (ko) * 2014-02-06 2015-08-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중공구조의 나노섬유 형태를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및 그 양극활물질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KR20150131767A (ko) 2014-05-16 2015-11-2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구형분말과 나노섬유가 블렌딩된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453B1 (ko) * 2017-10-27 2019-03-20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나트륨-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트륨 이온 2차전지
WO2023023894A1 (zh) * 2021-08-23 2023-03-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碳包覆的磷酸铁锂正极活性材料、其制备方法、包含其的正极极片以及锂离子电池
US11721804B2 (en) 2021-08-23 2023-08-08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Carbon-coated lithium iron phosphate positiv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same, positive electrode plate containing same, and lithium-ion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683B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ang et al. Nasicon-type surface functional modification in core–shell LiNi0. 5Mn0. 3Co0. 2O2@ NaTi2 (PO4) 3 cathode enhances its high-voltage cycling stability and rate capacity toward Li-Ion batteries
Xu et al. Highly porous Li4Ti5O12/C nanofibers for ultrafast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Rui et al. Li3V2 (PO4) 3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A review
Lim et al. PVP-Assisted ZrO2 coating on LiMn2O4 spinel cathode nanoparticles prepared by MnO2 nanowire templates
Zheng et al. Fluorine-doped carbon surface modification of Li-rich layered oxide composite cathodes for high 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Pham-Cong et al. Enhanced cycle stability of polypyrrole-derived nitrogen-doped carbon-coated tin oxide hollow nanofibers for lithium battery anodes
Yao et al.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phosphate-coated porous LiNi1/3Co1/3Mn1/3O2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Hao et al. Electrospun single crystalline fork-like K2V8O21 as high-performance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Yuan et al. Surfactant-assisted hydrothermal synthesis of V2O5 coated LiNi1/3Co1/3Mn1/3O2 with ide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EP2784853B1 (en) Lithium transistion metal titanate with a spinel structure,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its use, Li-ion cell and battery
KR100946387B1 (ko) 리튬 전지용 올리빈형 양극 활물질 전구체, 리튬 전지용올리빈형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 전지
KR101550956B1 (ko) 금속 도핑된 양극 활물질
Zho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ltralong spinel lithium manganese oxide nanofiber cathode via electrospinning method
KR101438683B1 (ko)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리튬-철-금속인산화물-탄소 복합 나노섬유 양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KR101605146B1 (ko) 리튬이차전지용 cnt-lto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및 cnt-lto 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He et al. Spinel-layered integrate structured nanorods with both high capacity and superior high-rate capability as cath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Sivakumar et al. Sonochemical synthesis of LiNi0. 5Mn1. 5O4 and its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s a cathode material for 5 V Li-ion batteries
KR101373538B1 (ko)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코어-쉘 구조 나노섬유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KR20230051142A (ko) 리튬이차전지
Wu et al. Enhanced cyclic stability at elevated temperature of spinel LiNi0. 5Mn1. 5O4 by Li4Ti5O12 coating as cathode material for high voltage lithium ion batteries
Fang et al. Simple glycerol-assisted and morphology-controllable solvothermal synthesis of lithium-ion battery-layered Li1. 2Mn0. 54Ni0. 13Co0. 13O2 cathode materials
Zhang et al. Facile synthesis of uniform flower-like V2O5 hierarchical architecture for high-performance Li-ion battery
Zhang et al. Enhancement of Li2ZrO3 Modification of the Cycle Life of N/S-Doped LiMn0. 5Fe0. 5PO4/C Composite Cath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Zhang et al. Synthesis of LiNi 1/3 Co 1/3 Mn 1/3 O 2 cathode material by a modified sol–gel method for lithium-ion battery
KR101599600B1 (ko) 다공성 중공구조의 나노섬유 형태를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극활물질 및 그 양극활물질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