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622A -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622A
KR20130115622A KR1020120038083A KR20120038083A KR20130115622A KR 20130115622 A KR20130115622 A KR 20130115622A KR 1020120038083 A KR1020120038083 A KR 1020120038083A KR 20120038083 A KR20120038083 A KR 20120038083A KR 20130115622 A KR20130115622 A KR 20130115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application
change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318B1 (ko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318B1/ko
Priority to CN201280072341.9A priority patent/CN104221465B/zh
Priority to PCT/KR2012/009366 priority patent/WO2013154243A1/en
Priority to JP2015505622A priority patent/JP2015517268A/ja
Priority to AU2012376879A priority patent/AU2012376879B2/en
Priority to US13/675,262 priority patent/US9357587B2/en
Priority to EP13160010.8A priority patent/EP2651176B1/en
Publication of KR2013011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 관리 방법은,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안내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호와 상기 새로운 호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패킷 기반의 호를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에 패킷 기반 호를 포함한 2 이상의 호가 충돌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나리오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통화 어플리케이션 간에 호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호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그에 맞게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회선 기반(Circuit Switched:CS)호와 패킷 기반(Packet Switched:PS)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한 속도로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은 GSM, UMTS, LTE와 같은 3G, 4G를 이용한 CS(Circuit Switched) voice, PS(Packet Switched) 데이터 송수신뿐만 아니라 IEEE 802.11으로 대표되는 Wi-Fi 등과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에 기반한 IP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단말은 CS 기반의 통화 서비스뿐 아니라, 단말에 탑재된 복수의 VoIP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3G PS 혹은 WLAN과 같은 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기술 기반이 확대되면서, 호를 연결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생산되고 있는 단말은 통화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서로 다른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되는 패킷 기반 호들이 충돌하는 경우에, 사용자 선택과 상관 없이 한쪽의 연결이 끊어지거나, 동시에 호가 진행되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은 휴대전화의 기능뿐 아니라 MP3 플레이어, MP4(Video) 플레이어, 음성 녹음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녹음기 기능을 포함하는 복합단말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주변장치(peripheral units)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변장치 역시 각종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호 연결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호 연결 상태에서 이어폰에 구비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플레이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통화 중임에도 불구하고 음악이 재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단말에 다양한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장치가 부재함으로 인하여, 호 연결 상태에서 다른 호 수신 시에 복수의 호에 대한 사용자 통제가 불가능하며, 주변 장치 역시 호 시나리오와 맞지 않게 동작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호 연결 및 제어를 원활히 하기 위해, 각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되는 호에 대한 정보를 공유 및 관리 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킷 기반 호를 포함한 2 이상의 호가 충돌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나리오를 만족시킬 수 있는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통화 어플리케이션 간에 호의 상태 변경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안내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호와 상기 새로운 호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패킷 기반의 호를 서비스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정보를 생성하고,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안내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호와 상기 새로운 호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패킷 기반의 호를 서비스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호 상태가 변경되면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 또는 상기 통화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호 상태가 변경되면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 또는 상기 통화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킷 기반 호를 포함한 2 이상의 호가 충돌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나리오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통화 어플리케이션 간에 호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호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그에 맞게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 관리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30), 입력부(150), 표시부(170)를 포함하며, 통신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며, 입력부(150)는 안내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50)에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호와 새로운 호의 연결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패킷 기반의 호를 서비스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이다.
이하에서는 보다 자세하게 각 모듈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제어부(130)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호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란, 상대 단말의 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와 본 발명 단말 장치(100)이 상대 단말로 호 요청을 발신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상태 변경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거나, 통화어플리케이션 자체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와 같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태 변경 정보는 통화 호를 연결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활성화 상태 정보, 호 타입 정보, 호 상태 정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경 정보는 선택 정보의 입력을 위한 안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 변경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호를 연결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로써,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ID 또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일 수 있다. 또한,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활성화 상태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표시 활성화 상태인지, 사용자가 제어 불가능한 표시 비활성화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서 특정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전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background)에서 동작하는 경우, 통화 어플리케이션은 표시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전체에 표시된 상태(foreground)에서 동작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별도의 화면 전환 없이 제어 가능하므로 표시 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호 타입 정보는 요청되는 호의 종류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호 타입 정보는 호가 음성 호인지, 영상 호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 상태 정보는 호의 연결 상태 정보를 의미한다. 임의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되는 호의 상태는 예를 들어, 통화 대기 상태(idle), 착신 호 요청 상태(incoming), 발신 호 요청 상태(outgoing), 호 연결 상태(communicating), 호 보류 상태(holding)일 수 있다.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대 단말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대 단말의 단말 번호, 상대 단말 사용자의 이름, 사진, ID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 단말장치(100)의 연락처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 및 호 관리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131, 133, 135)를 통해 연결되는 호를 관리하기 위해, 호 관리부(137)는 통화 어플리케이션(131, 133, 135) 각각을 호 관리부(137)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은 임의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설치되면, 설치된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호 관리부(137)가 자동으로 인식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택된 통화 어플리케이션만 호 관리부(137)에 수동으로 등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및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모든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호 관리부(137)에 등록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될 때부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호가 연결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하기 설명되는 안내 정보의 표시 및 선택 정보 입력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를 전제로 하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 요청된 호가 설정이 완료되어 연결을 유지하기까지의 자세한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은 새로운 호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A와 음성 통화 중에,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을 통해 B로부터 영상 통화에 대한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은 통화 대기 상태(idle)에서, 착신 호 요청 상태(incoming)로 호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2 상태 변경 정보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이나 ID, 착신 호 요청 상태라는 정보, 영상 호가 요청되었다는 정보, B의 이름이나 단말 B의 번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호 관리부(137)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으로부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호 관리부(137)는 수신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호 관리에 필요한 특정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에만 전달할 수도 있고, 등록된 모든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호 관리부(137)가 제2 상태 변경 정보 전달 시,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이 표시 비활성화 상태이면, 호 관리부(137)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표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호 관리부(137)는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등록된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표시부(170)에도 전달한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30)에서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안내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연결 요청 또는 연결상태에 있는 호 또는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알려주는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 정보는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며, 선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부가적인 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정보는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되는 내용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Skype)로 통화 중인 상태에서, 바이버(viber)를 통해 전화가 걸려온 경우, 안내 정보에는 현재 실시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과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스카이프, 바이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대 단말의 번호, 음성 호인지 영상 호인지에 대한 호 타입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 외에도, 표시부(170)는“전화를 수신하시겠습니까- 예/아니오”, “수신/거부”, “통화 중 대기/ 수신/ 거부”와 같이 선택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가 선택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안내 정보의 부가적인 내용이 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30)가 특정 동작이나 음성을 선택 정보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설명이 안내 정보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표시부(17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 발생 장치, LED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듈이라면 제한없이 표시부(170)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안내 정보는 화면에 텍스트나 UI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액추에이터와 같은 진동 발생 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표시부(170)가 스피커인 경우, 특정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음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 될 수 있으며, 표시부(170)는 통화 중에 설정된 신호음을 송출하여 다른 호의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는 텍스트로 된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표시부(170)가 진동 발생 장치인 경우, 표시부(170)는 호의 상태 또는 호의 종류에 따라 진동의 세기나 주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표시부(170)가 LED인 경우, 표시부(170)는 안내 정보에 따라 빛의 밝기를 달리하거나, 발광 주기를 달리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부(170)가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내 정보의 표시는 각 실시 예들의 조합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표시부(170)에 표시된 안내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선택 정보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된 호와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되는 호 중 어떤 호를 연결할 지에 대한 정보이다.
여기서 선택 정보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되는 호 즉, 새로운 호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선택 정보는 기 설정된 호를 종료 또는 보류시킬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터치 패드의 소프트 버튼 또는 키보드일 수 있으며, 입력부(15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움직임(액션 또는 제스처)을 선택 정보로 인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입력부(150)는 마이크일 수 있다. 마이크를 사용하여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음성으로 입력된 선택 정보를 분석하여 제어부(130)에 전달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로 사용되는 모듈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 정보의 입력은 각 실시 예들의 조합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선택 정보는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제어부(130)는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된 호(이하, ‘기 설정된 호’라 함.)와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되는 호(이하, ‘새로운 호’라 함.)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 정보는 새로운 호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 여부, 기 설정된 호를 종료할 것인지, 보류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이다.
제어부(130)는 선택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호와 새로운 호 간의 연결을 제어한다. 만약 선택 정보가 새로운 호에 대한 거절 정보인 경우, 제어부(130)는 새로운 호를 종료하고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정보가 새로운 호에 대한 수락 정보인 경우, 제어부(130)는 새로운 호를 연결하고 기 설정된 호를 대기 또는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130)에 포함된 호 관리부(137)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호 관리부(137)는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호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호 제어 명령을 제1 및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2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호 제어 명령은 각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으로,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호 연결 상태의 변경 등을 제어하는 명령이다. 즉, 선택 정보가 새로운 호를 수락하고, 기 설정된 호를 보류하는 내용인 경우, 호 관리부(137)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 호 연결 상태(communicating)를 호 보류 상태(holding)로 변경하는 내용의 호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 착신 호 요청 상태(incoming)를 호 연결 상태(communicating)로 변경하는 내용의 호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선택 정보가 새로운 호를 거절하고, 기 설정된 호를 유지하는 내용인 경우, 호 관리부(137)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착신 호 요청 상태(incoming)를 통화 대기 상태(idle)로 변경하는 내용의 호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30)에 포함된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133)이 기 설정된 호와 새로운 호 간의 연결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호 관리부(137)는 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상태 변경 정보나 호 제어에 필요한 선택 정보, 안내 정보등을 각 모듈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호를 종료하고, 연결을 유지하고, 호를 보류하는 등의 호 제어는 제1 및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 정보가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면,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은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제어 결과를 반영하여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호 관리부(137)에 전달한다. 그리고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한 호 관리부(137)는 이를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은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참조하여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을 통해 연결된 새로운 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정보가 새로운 호에 대한 거절 정보인 경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선택 정보에 따라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계속 유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 결과를 반영하여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호 고나리부(137)에 전달한다. 호 관리부(137)가 이를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면, 이를 수신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은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참조하여 새로운 호를 종료할 수 있다.
위 실시 예에서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 정보에 따라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호 관리부(137)에 전달하였으나, 우선적으로 호를 제어하여 갱신된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이 기 설정된 호의 통화 어플리케이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호 연결시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통신부(190)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신부(190)는 회선 교환 방식을 통해 통신망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회선 통신부 및 패킷 교환 방식을 통해 통신망과 데이터 송수신 채널을 연결하는 패킷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호 연결에 사용되는 통신망으로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oIP(Media over Internet Protocol)를 지원하는 Wibro, WCDMA, GSM, UMTS, LTE와 같은 3G, 4G망과 같은 이동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으며, Wi-Fi등과 같은 무선랜에 기반한 IP망 등 유무선망도 포함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관리하는 호가 이용하는 통신망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통신망의 종류는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310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된 호(이하, ‘기 설정된 호’라 함.)를 유지한다. 이때, 호 연결 요청은 착신 호 또는 발신 호가 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호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320단계), 이에 대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330단계). 여기서 새로운 호의 연결의 요청은 착신 또는 발신 호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는 호를 연결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활성화 상태 정보, 호 타입 정보, 호 상태 정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패킷 기반의 호를 서비스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이다. 다음으로, 340 단계에서 표시부(170)는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며, 350 단계에서 입력부(150)가 상태 변경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만약 350 단계에서 선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그대로 상태 변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360내지 395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과 기 설정된 호 및 새로운 호의 연결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360 단계에서 선택 정보가 새로운 호에 대한 수락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어부(170)는 선택 정보가 새로운 호에 대한 수락 정보인 경우, 370 단계에서 새로운 호를 연결하고, 선택 정보가 새로운 호에 대한 거절 정보인 경우에는 365 단계에서 새로운 호를 종료하고, 기 설정된 호를 유지하는 310 단계로 돌아 간다. 370 단계에서 새로운 호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170)는 380 단계에서 선택 정보가 기 설정된 호를 보류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38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 정보가 기 설정된 호를 보류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면 제어부(170)는 390 단계에서 기 설정된 호를 보류한다. 만약, 38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 정보가 기 설정된 호를 종료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면, 제어부(170)는 395 단계에서 기 설정된 호를 종료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 관리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호 관리부(137)에 전달하고,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유지한다(41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기 설정된 호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호 관리부(137)에 전달하며, 호 관리부(137)는 이를 등록된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을 통해 발신 또는 수신이 이루어지면,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은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420). 호 관리부(137)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으로부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430),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에 전달한다(440).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2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호 관리부(137)는 수신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등록된 다른 통화 어플리케이션에도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 관리부(137)는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부(170)에 전달하며(445), 표시부는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450). 안내 정보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 진동 발생 장치, LED 등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특정한 표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된 안내 정보에 따라, 입력부(150)는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다(460). 이때, 선택 정보의 입력은 안내 정보에 따라 소프트 버튼, 음성, 액션 또는 제스처(gesture)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된 선택 정보는 호 관리부(137)로 전달되고(465), 호 관리부(137)는 선택 정보에 따른 호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470). 그리고 호 관리부(137)는 호 제어 명령을 제1 및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480)한다. 다른 실시 예로 호 관리부(137)는 제1 및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2 이상의 다른 통화 어플리케이션에도 호 제어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호 변경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택 정보가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을 통해 수신 또는 발신된 호를 수락하는 정보인 경우, 호 관리부(137)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으로 착신 호 요청 상태를 호 연결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는 호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동시에 호 관리부(137)는 기 설정된 호를 보류 또는 종료하도록 하는 호 제어 명령을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에 전달한다. 만일, 선택 정보가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을 통해 수신 또는 발신된 호를 거절하는 정보이면, 호 관리부(137)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으로 기 설정된 호를 유지하도록 하는 호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으로는 착신 호 요청 상태를 통화 대기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는 호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호 관리부(137)에 전달하고,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유지한다(510단계).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기 설정된 호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여 호 관리부(137)에 전달하며, 호 관리부(137)는 이를 등록된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510단계),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을 통해 발신 또는 수신이 이루어지면(515단계),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은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520단계). 호 관리부(137)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으로부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530단계),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에 전달한다(540단계).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2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호 관리부(137)는 수신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등록된 다른 통화 어플리케이션에도 전달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호를 유지하고 있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이 호 관리부(137)로부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 받을 시에, 표시 비활성화 상태라면(550단계),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표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표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555단계).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 받으면 표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또는 호 관리부(137)가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명령을 상태 변경 정보에 포함시켜 전달할 수도 있다. 표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자신이 생성한 제1 상태 변경 정보와, 호 관리부(137)에서 수신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부(170)로 전달한다(560단계).
표시부는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565단계). 안내 정보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 진동 발생 장치, LED 등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음성, 진동 또는 빛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특정한 표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된 안내 정보에 따라, 입력부(150)는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다(570단계). 여기서, 선택 정보는 소프트 버튼, 음성, 액션 또는 제스처(gesture)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특정 입력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된 선택 정보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으로 전달된다(580단계).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호를 제어하고(585단계), 제어 결과에 따라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갱신한다. 다음으로,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131)은 호 관리부(137)로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한다(590단계). 예를 들어, 선택 정보가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롭게 요청된 호에 대한 수락 정보이고,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지되는 기 설정된 호에 대한 종료 정보인 경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은 호를 종료하고, 종료 결과에 따라 변경된 호 상태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호 관리부(137)에 전달할 수 있다.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한 호 관리부(137)는 이를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595단계).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133)은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호의 연결을 제어할 것이다. 전술한 예에서,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호 상태 정보뿐 아니라, 선택 정보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은 새로운 호에 대한 수락 정보를 참조하여, 새로운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가 변경되면, 각 어플리케이션은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해 호 관리부(137)에 전달하므로, 호 관리부(137)는 등록된 통화 어플리케이션들을 일괄적으로 관리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 관리부(137)는 상태 변경 정보를 각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므로 서로 다른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되는 호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상관없이 수신 또는 발신 호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나리오에 따른 호 제어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600)는 입력부(630)와 제어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30)는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다.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단말 제어 장치(700)를 통해 입력되며, 단말 제어 장치(700)는 볼륨 제어 버튼, 단말에 내장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버튼, 카메라 제어 버튼, 음성 제어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 사용자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는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한다.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단말 주변 장치(800)로부터 입력 되며, 단말 주변 장치(800)는 블루투스 장치, 이어폰, 단말과 분리된 별도의 볼륨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650)는 호 상태가 변경되면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 신호 또는 통화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한다. 이때, 상태 변경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활성화 상태 정보, 호 타입 정보, 호 상태 정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통화 대기 상태(idle)에서 착신 호 요청 상태(incoming), 발신 호 요청 상태(outgoing), 호 연결 상태(communicating), 호 보류 상태(holding)와 같은 진행 상태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650)는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말 제어 장치(700) 및 주변 장치(80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한다. 통화 모드 신호는 통화 중 사용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통화에 필요한 호 수락/종료, 통화 수신음 volume up/dowm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50)가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 제어부(600)는 단말 제어 장치(700) 및 주변 장치(800)를 통해 입력되는 click, double click, long press나 play, pause, volume up/down과 같은 제어 신호를 통화에 필요한 호 수락/종료, 통화 수신음 volume up/dowm 신호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통화 모드 신호를 아무 동작도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빈 신호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인 play 신호에 대응되는 통화 모드 신호를 빈 신호로 설정하면, 통화 진행 중에 사용자가 play 버튼을 입력해도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장치에서는 어떠한 동작도 일어나지 않거나 혹은 통화 종료와 같은 제어 동작으로 변경되어 동작한다. 다른 예로, 근접 센서가 사용자와 단말간의 거리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통화가 진행중인 경우라면,제어부(600)는 화면의 소프트 키로 입력되는 모든 신호를 빈 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화면으로 입력되는 신호만으로는 어떠한 동작도 일어나지 않는다. 만약 단말이 착신 호 요청 상태, 발신 호 요청 상태, 호 연결 상태, 호 보류 상태에서 통화 대기 상태로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제어부(600)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그대로 단말 제어 장치(700) 및 주변 장치(80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통화 대기 상태일 때 단말과 단말 주변 장치는 원래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650)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653, 655), 호 관리부(657), 변환 제어부(659)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어플리케이션(653, 655)은 호 상태가 변경되면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태 변경 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호 관리부(657)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변경 정보를 분석한다. 호 관리부(657)는 상태 변경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단말 및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및 주변 장치 제어를 위해 호 상태 정보만 이용된다면, 제어부(650)는 상태 변경 정보에서 호 상태 정보만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호 관리부(657)의 분석 결과, 단말이 통화 진행 상태이면, 변환 제어부(659)는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통화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한다. 이때, 통화 진행 상태는 호 연결 상태(communicating)뿐 아니라, 착신 호 요청 상태(incoming), 발신 호 요청 상태(outgoing), 호 보류 상태(holding)를 포함한다.
호 관리부(657)의 분석 결과, 단말이 통화 대기 상태이면, 변환 제어부(659)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어 장치(700) 및 주변 장치(800)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제어부(650)를 통해 그대로 또는 변환되어, 단말 또는 주변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전술한 각 모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하나의 모듈에서 동작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650)는 810 단계에서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다. 820 단계에서 호 상태가 변경 되면, 제어부(650)는 830 단계에서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는데, 호 상태에 변경이 없다면, 이전에 생성된 상태 변경 정보를 참조하여 통화 진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840 단계로 진행된다. 840 단계에서 제어부(650)가 상태 변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 단말이 통화 진행 상태 즉, 호 연결 상태, 착신 또는 발신 호 요청 상태, 호 보류 상태이면, 제어부(650)는 850 단계에서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한다(850단계). 그리고 제어부(650)는 860 단계에서 통화 모드 신호를 단말 제어 장치 또는 주변 장치에 전달한다. 만일 분석 결과, 단말이 통화 대기 상태인 경우, 제어부(650)는 870 단계에서 입력 받은 제어 신호를 그대로 단말 제어 장치 또는 주변 장치에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의 호 연결 상태에 따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단말은 호 상태에 적합하게 작동할 수 있다. .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9)

  1.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안내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호와 상기 새로운 호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패킷 기반의 호를 서비스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호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활성화 상태 정보, 호 타입 정보, 호 상태 정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안내 정보에 따라 소프트 버튼, 음성, 액션 또는 제스처(gesture)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호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및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2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 전달 시,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선택 정보가 상기 새로운 호에 대한 거절 정보인 경우, 상기 새로운 호를 종료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가 상기 새로운 호에 대한 수락 정보인 경우, 상기 새로운 호를 연결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를 보류 또는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관리 방법.
  8.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정보를 생성하고,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안내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호와 상기 새로운 호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는 패킷 기반의 호를 서비스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인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태 변경 정보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활성화 상태 정보, 호 타입 정보, 호 상태 정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유지하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상기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호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하는 호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 관리부는,
    상기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호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호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및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2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말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 연결이 요청되면, 이에 대한 제1 상태 변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유지하는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
    상기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호에 대한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하는 호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상기 호 관리부에 전달하며,
    상기 호 관리부는,
    상기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갱신된 제1 상태 변경 정보를 전달하는 단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변경 정보 전달 시,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제1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정보가 상기 새로운 호에 대한 거절 정보인 경우, 상기 새로운 호를 종료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의 연결을 유지하며,
    상기 선택 정보가 상기 새로운 호에 대한 수락 정보인 경우, 상기 새로운 호를 연결하고 상기 기 설정된 호를 보류 또는 종료하는 단말 장치.
  14.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호 상태가 변경되면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 또는 상기 통화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상태 변경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단말이 통화 진행 상태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화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 단말이 통화 대기 상태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정보는,
    호를 연결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활성화 상태 정보, 호 타입 정보, 호 상태 정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17. 단말 또는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호 상태가 변경되면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 또는 상기 통화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단말의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상태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통화 어플리케이션;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변경 정보를 분석하는 호 관리부;
    상기 분석 결과, 단말이 통화 진행 상태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통화 모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화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분석 결과, 단말이 통화 대기 상태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및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변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정보는,
    호를 연결하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상기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활성화 상태 정보, 호 타입 정보, 호 상태 정보, 상대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상태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KR1020120038083A 2012-04-12 2012-04-12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KR101944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083A KR101944318B1 (ko) 2012-04-12 2012-04-12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CN201280072341.9A CN104221465B (zh) 2012-04-12 2012-11-08 用于管理呼叫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PCT/KR2012/009366 WO2013154243A1 (en) 2012-04-12 2012-11-08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15505622A JP2015517268A (ja) 2012-04-12 2012-11-08 呼管理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端末装置
AU2012376879A AU2012376879B2 (en) 2012-04-12 2012-11-08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3/675,262 US9357587B2 (en) 2012-04-12 2012-11-13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P13160010.8A EP2651176B1 (en) 2012-04-12 2013-03-19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083A KR101944318B1 (ko) 2012-04-12 2012-04-12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622A true KR20130115622A (ko) 2013-10-22
KR101944318B1 KR101944318B1 (ko) 2019-04-17

Family

ID=4799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083A KR101944318B1 (ko) 2012-04-12 2012-04-12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57587B2 (ko)
EP (1) EP2651176B1 (ko)
JP (1) JP2015517268A (ko)
KR (1) KR101944318B1 (ko)
CN (1) CN104221465B (ko)
AU (1) AU2012376879B2 (ko)
WO (1) WO2013154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6394A (zh) * 2014-08-29 2016-03-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的业务处理方法及装置
CN105991594A (zh) * 2015-02-15 2016-10-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呼叫处理方法和装置
US9380264B1 (en) * 2015-02-16 2016-06-28 Siva Prasad Vakalapudi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mmunication
EP3282721B1 (en) * 2015-04-07 2021-06-23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pgw, and twag
CN105376398A (zh) * 2015-09-30 2016-03-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681551A (zh) * 2016-01-04 2016-06-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话控制方法及移动终端
EP3343889B1 (en) * 2016-12-30 2019-11-13 Unify Patente GmbH & Co. KG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establishing a voip communication between a pbx system and a first terminal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 and communication network
CN109327423B (zh) * 2017-08-01 2020-10-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业务实现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20A (ko) * 1998-06-10 2000-01-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통화중 착신호 처리방법
KR20060057699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중 착신 호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KR20110127874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종 음성 통화에 대한 통화중 대기 서비스 처리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967A (ja) * 1999-12-28 2001-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情報装置
JP2002064613A (ja) * 2000-08-18 2002-02-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無線端末装置及び携帯無線端末装置の接続方法及び携帯無線端末装置の切断方法
JP2002218059A (ja) * 2001-01-12 2002-08-02 Kenwood Corp 携帯電話
US7787908B2 (en) * 2002-03-19 2010-08-3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ll display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5110067A (ja) * 2003-10-01 2005-04-21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情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着信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TWI241828B (en) * 2004-02-18 2005-10-11 Partner Tech Corp Handheld personal data assistant (PDA)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JP4370271B2 (ja) * 2005-02-28 2009-11-25 富士通株式会社 音声通話装置、音声通話方法および音声通話プログラム
KR100732115B1 (ko) * 2005-10-01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8107957B1 (en) * 2006-11-13 2012-01-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amless enterprise and consumer mobility with multiple numbers
KR101424595B1 (ko) * 2007-07-13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서비스 성능 정보 교환 방법 및 장치
US20090040951A1 (en) * 2007-08-10 2009-02-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fining Multi-Domain Wireless Device Behavior for Two or More Calls
JP2009124273A (ja) * 2007-11-12 2009-06-04 Sony Corp 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このオーディオ装置に用いられる外部アダプタ
KR101427268B1 (ko) * 2007-12-21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연결 방법
KR101339849B1 (ko) * 2007-12-24 201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장치
JP2009177360A (ja) * 2008-01-22 2009-08-06 Sii Ido Tsushin Kk 通信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01494916B (zh) 2009-03-09 201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支持voip、cs电话的系统和方法
KR101583084B1 (ko) * 2009-08-04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702618B1 (ko) * 2010-07-09 2017-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관련 관리 객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8712425B2 (en) * 2012-01-11 2014-04-29 Apple Inc. Managing a packet service call within mobile communications user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320A (ko) * 1998-06-10 2000-01-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통화중 착신호 처리방법
KR20060057699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중 착신 호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KR20110127874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종 음성 통화에 대한 통화중 대기 서비스 처리 방법과 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376879A1 (en) 2014-09-18
WO2013154243A1 (en) 2013-10-17
US20130272178A1 (en) 2013-10-17
EP2651176A3 (en) 2016-11-16
US9357587B2 (en) 2016-05-31
EP2651176A2 (en) 2013-10-16
EP2651176B1 (en) 2019-08-28
CN104221465A (zh) 2014-12-17
KR101944318B1 (ko) 2019-04-17
CN104221465B (zh) 2018-06-15
AU2012376879B2 (en) 2016-09-15
JP2015517268A (ja)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318B1 (ko) 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US10237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controlled smart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669059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절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667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s in a Bluetooth network
US20100048133A1 (en) Audio data flow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US2008000266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CN102545975B (zh) 车内装置
WO2012075750A1 (zh) 移动终端投影演示的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7172067A (zh) 一种通话方法、装置和设备
CN111225103B (zh) 一种通话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20090186579A1 (en) Wireless headset with character message outputting function and method for outputting character message
CN113727289A (zh) 电子设备及通话方法
JP2018527765A (ja) サービス接続を確立する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254158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652569B1 (ko) 블루투스 헤드셋에 의한 통화 중 대기 전환 방법
KR101545587B1 (ko) 화상 회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246350A (ja) 楽曲データ出力装置及び楽曲データ出力システム
KR20130095073A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27080B1 (ko) 착신 호 종류 구별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4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화형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20050072192A (ko)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0823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착신자 상황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20057682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호 형성 방법
JP2015061162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