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447A - 전기 운반차 - Google Patents

전기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447A
KR20130115447A KR1020120037726A KR20120037726A KR20130115447A KR 20130115447 A KR20130115447 A KR 20130115447A KR 1020120037726 A KR1020120037726 A KR 1020120037726A KR 20120037726 A KR20120037726 A KR 20120037726A KR 20130115447 A KR20130115447 A KR 20130115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tilting bar
tilting
whe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422B1 (ko
Inventor
양기일
Original Assignee
(주)엠피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피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3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4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36Electric differentials, e.g. for supporting steer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륜 조향, 후륜 구동 시스템으로 조향 구조가 간단하며 조향이 쉽고, 틸팅 기능이 적용된 보조휠이 추가 장착되어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구동휠, 보조휠 및 좌우휠 모두 노면과 항상 접지하여 직진성을 갖게 하며,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전기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그 세부구성은 전기 모터의 작동으로 후륜 양쪽 일측에 주행축으로 연결된 주행휠에 의해 구동되고, 후륜 양쪽 타측에 위치한 보조휠에 의해 적재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전륜 중앙에 위치한 휠의 회전으로 조향되는 전기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 농산물 운반차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앞쪽에 차제 공간을 가지고, 후륜 양쪽 일측에 2개의 구동휠이 위치하며, 후륜 양쪽 타측에 2개의 보조휠이 위치하고, 전륜 중앙에 조향 휠이 위치한 차체 몸체와; 상기 차체 몸체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체 공간으로 돌출된 핸들축을 가지고, 차체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조향핸들과;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의 안쪽에서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 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 구동 기어와;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조향 구동 기어와 연결되어 기어 비에 따라 회전 각도가 조절되면서 회전하는 조향 기어와; 상기 조향 구동 기어와 상기 조향 기어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조향 구동기어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조향 구동 기어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조향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조향 구동 장치와; 상기 조향 기어와 연결되어 있어 조향휠을 고정, 지지하는 조향 포크와; 상기 차체 몸체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2개의 보조휠을 연결하여 차체의 하중을 지지 분산하며, 적재 하중을 증가시키고, 좌우 보조휠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지력을 향상 시키는 틸팅 장치와;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에 연결되어 있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기 모터에 연 결되어 있으며, 전기 모터에서 회전하는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 장치와; 상기 전기 모터와 상기 배터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장치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운반차는 조향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고,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수단의 적재부의 크기를 늘려 중량물을 운송할 수 있으며, 틸팅 기능의 적용으로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구동휠, 보조휠 및 좌우휠의 접지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휠이 기울어지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운반차의 직진성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 운반차{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륜 조향, 후륜 구동 시스템으로 조향 구조가 간단하며 조향이 쉽고, 틸팅 기능이 적용된 보조휠이 추가 장착되어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구동휠, 보조휠 및 좌우휠 모두 노면과 항상 접지하여 직진성을 갖게 하며,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전기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 운반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 운반차는 기존 운반차에 배터리, 모터, 컨트롤러, 기계 장치 및 제어 장치 등을 장착하여 전기의 힘으로 구동되며, 특히 농 수산물 배달을 위한 운반 차량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차량 본체의 일측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시트와 핸들이 고정되어 있으며, 본체에는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적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적재부의 하단에는 노면과 접지되도록 다수의 바퀴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적재부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기존 전기 운반차에는 적재하중이 1톤이 하의 중량물만 적재 가능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적재부의 크기를 키우게 되면 노면과 접지하여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바퀴의 수가 많아 져야만 한다. 기존의 전륜 구동형 전기 운반차는 차량 앞쪽에 위치한 한 개의 휠에 모터와 감속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어 구조가 복잡하며 수리 보수가 용이 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후륜 구동형 전기 운반차에 있어 보조휠이 추가되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시 구동휠과 보조휠이 모두 접지하지 않고 헛돌게 되어 전기 운반차가 직진을 하지 못하고 멈추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져 적재물이 파손되거나 본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2톤이상의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조향휠, 구동휠, 보조휠 모두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일정한 접지력을 갖도록 하면서도 구조가 간편하여 수리, 보수가 용이한 전기 운반차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전동차량(ELECTRICALLY-DRIVEN VEHICLE)(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55618호)
휠 내에 수납된 모터 및 전원을 구비한 전기 동력식 차량(ELECTRICALLY POWERED VEHICLES HAVING MOTOR AND POWERSUPPLY CONTAINED WITHIN WHEELS)(특허출원번호 10-2004-7018439)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륜 구동형 전기 운반차에 있어서, 전륜 조향 구조가 간편하며 조향이 쉽고, 틸팅 기능이 적용된 보조휠의 추가로 중량물이 적재 가능하며,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구동휠, 보조휠 및 좌우휠에 대한 접지력이 같아지도록 한 전기 운반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기 모터의 작동으로 후륜 양쪽 일측에 주행축으로 연결된 주행휠에 의해 구동되고, 후륜 양쪽 타측에 위치한 보조휠에 의해 적재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전륜 중앙에 위치한 휠의 회전으로 조향되는 전기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 농산물 운반차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앞쪽에 차제 공간을 가지고, 후륜 양쪽 일측에 2개의 구동휠이 위치하며, 후륜 양쪽 타측에 2개의 보조휠이 위치하고, 전륜 중앙에 조향 휠이 위치한 차체 몸체와; 상기 차체 몸체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체 공간으로 돌출된 핸들축을 가지고, 차체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조향핸들과;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의 안쪽에서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 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 구동 기어와;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조향 구동 기어와 연결되어 기어 비에 따라 회전 각도가 조절되면서 회전하는 조향 기어와; 상기 조향 구동 기어와 상기 조향 기어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조향 구동기어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상기 조향 핸들과 상기 조향 구동 기어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조향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조향 구동 장치와; 상기 조향 기어와 연결되어 있어 조향휠을 고정, 지지하는 조향 포크와; 상기 차체 몸체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2개의 보조휠을 연결하여 차체의 하중을 지지 분산하며, 적재 하중을 증가시키고, 좌우 보조휠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지력을 향상 시키는 틸팅 장치와;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에 연결되어 있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기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 모터에서 회전하는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 장치와; 상기 전기 모터와 상기 배터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운반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체 몸체 앞쪽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의 일측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조향 구동 기어와 상기 조향 구동 장치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있으며 차체 몸체에 지지되어 있는 조향 구동 아답타, 상기 차체 공간 타측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조향 구동 기어에 연결된 체인의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조향 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있으며 차체 몸체에 지지되어 있는 조향 아답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체 공간 하부에 위치한 고정대와 상기 조향 기어의 양측 내부에 위치하며 조향 핸들을 회전시켜도 상기 고정대와의 간섭으로 상기 조향 기어의 하부에 연결된 조향 휠을 45도 이상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지지하는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향 구동 기어는 잇수를 3~10개 가지며, 상기 조향 기어는 잇수를 40~90개를 가지고 이에 따라 기어 비를 30:1~4:1까지 변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틸팅장치는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고 평행한 2 개의 틸팅바 고정 프레임과; 상기 틸팅바 고정 프레임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부착되고 틸팅바 브라켓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틸팅바 고정 브라켓과; 우측 보조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틸팅바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고, 끝단에 고정 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탭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틸팅바와; 좌측 보조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틸팅바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고, 끝단에 고정 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탭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틸팅바와; 상기 제 1 틸팅바 및 상기 제 2 틸팅바를 맞물리게 연결하여 상기 틸팅바 고정 브라켓 사이에 끼우고, 상기 제 1 틸팅바 및 상기 제 2 틸팅바의 각 측단에 형성된 틸팅바 고정 나서 구멍과 상기 틸팅바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틸팅바 브라켓 나사 구멍에 맞도록 맞추어 끼워져서 상기 제 1 틸팅바 및 상기 제 2 틸팅바를 고정하는 틸팅바 고정 나사와; 상기 제 1 틸팅바 및 제 2 틸팅바의 상기 틸팅바 고정 나사 구멍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방으로 수직되게 돌출되어 있는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와; 상기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 사이에 부착되어 노면의 충격을 흡수 감쇠시키는 틸팅 쇽업쇼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속도 조절 장치는 상기 차체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기 모터에 각각 연결되어 전력의 공급과 속도를 제어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키 스위치와;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비상 차단하는 비상 스위치와;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전기모터를 전진 및 후진 할 수 있는 전후진 레버와;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방향 지시 표시를 할 수 있는 방향 지시 레버와;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 할 수 있는 배터리 게이지와;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헤드램프의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램프 스위치와;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속도 조절 장치에 연결되어 속도를 제어 할 수 있는 악셀페달과;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감속장치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동을 할 수 있는 브레이크페달과; 상기 차체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주/정차시 상시 제동을 할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를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는 전륜 조향, 후륜 구동 시스템으로 조향 구조가 간단하며 조향이 쉽고, 틸팅 기능이 적용된 보조휠이 추가 장착되어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구동휠, 보조휠 및 좌우휠 모두 노면과 항상 접지가 되도록 구성되어 직진성을 제공함으로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전기 운반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는 틸팅 기능의 적용으로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구동휠, 보조휠 및 좌우휠의 접지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휠이 기울어지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조향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며, 적용분야가 넓고 제작,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는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수단의 적재부의 크기를 늘려 중량물을 운송하는 다양한 운반차에 적용이 가능하여 운전 및 조정의 용이성을 제공함으로써 전기 운반차의 적용 따른 제약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는 틸팅 기능의 적용으로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구동휠, 보조휠 및 좌우휠의 접지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휠이 기울어지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운반차의 직진성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는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5개의 바퀴가 모두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일정한 접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조향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조향 기어, 고정대 및 고정 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틸팅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차체 공간에 위치한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가 노면이 균일한 도로를 주행할 때의 틸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 틸팅 장치가 노면이 불규칙한 도로를 주행할 때 틸팅바가 틸팅 쇽업쇼바를 압축하면서 위로 기울어진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사시도로서, 그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차체 몸체(101)의 상부 전방에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차체 공간(102)이 형성되어 있고, 차체 공간(102) 상부에는 운전자 진행 방향을 조작할 수 있는 조향 핸들(122)과 조향축(121)이 연결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조향축(121)의 일측에 운반차를 전진 및 후진 조작할 수 있는 전후진 레버(414)와 타측에 방향 지시 표시를 할 수 있는 방향 지시 레버(415)가 부착되어 있으며, 탑승부 하방에는 배터리(212)와 컨트롤러(415)가 부착되어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상기 차체 몸체(101)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앞쪽에 차제 공간(102)을 가지고, 후륜 양쪽 일측에 2개의 구동휠(111a, 111b)이 위치하고, 후륜 양쪽 타 일측에 2개의 보조휠(112a, 112b)이 구비되어 전륜 중앙에 조향휠(113)이 위치한다.
상기 조향 핸들(122)는 상기 차체 몸체(101)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체 공간(102)으로 돌출된 핸들축(121)이 구비되어 차체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회전방향으로 조작되어 조향된다. 한편, 상기 차체 몸체(101)의 안쪽에 조향 구동 기어(123)가 배치되는데, 이는 상기 차체 공간(102)의 안쪽에서 상기 핸들축(121)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 핸들(122)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체 몸체(101)의 안쪽에 조향 기어(124)가 배치되어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차체 공간(102)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연결되어 기어 비에 따라 회전 각도가 조절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상기 조향 기어(124)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조향 구동기어(123)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25)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향 핸들(122)과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를 연결하고 상기 조향 핸들(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를 회전시키는 조향 구동 장치(126)가 구비되고, 상기 조향 기어(124)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조향휠(113)을 고정, 지지하도록 조향 포크(127)가 구비되어 있다.
보조흴(112a, 112b)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틸팅장치(131)는 상기 차체 몸체(101)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2개의 보조휠(112a, 112b)을 연결하여 차체의 하중을 지지 분산하고, 적재 하중을 증가시켜 좌우 보조휠(112a, 112b)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체 몸체(101)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배터리(212)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전기 모터(211)에 연결되어 있어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전기 모터(211)에 연결되어 전기 모터(121)에서 회전하는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 장치(2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기 모터(121)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장치(213)는 상기 전기 모터(211)와 상기 배터리(212)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체 몸체(101)의 하부 전방에는 조향휠(113)이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부에는 구동장치(213)와 전기모터(211)가 부착되어, 양 끝단에는 구동휠(111a, 111b)가 부착되어 있어 전기 운반차의 이동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차체 몸체(101)의 하부 후방에는 틸팅장치(131)와 양 끝단에 보조휠(112a, 112b)이 부착되어 적재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상기 구동휠(111a, 111b)과 보조휠(112a, 112b) 모두 노면에 접지하여 전기 운반차의 우수한 직진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조향장치의 사시도로서,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조향 핸들(122) 및 조향축(121)과 함께 연결되어 회전하는 조향 구동 장치(126)와 조향 구동 기어(123)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 구동 장치(126)와 차체 몸체(101)를 고정하는 조향 구동 아답타(128)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체인(125)으로 연결된 조향 기어(124)의 하방으로 조향 포크(127)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조향 포크(127)에는 조향휠(113)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차체 몸체(101)와 상기 조향 기어(124)를 고정하는 조향 아답타(129)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조향 구동 아답타(128)는 상기 차체 몸체(101) 앞쪽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차체 공간(102)의 일측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상기 조향 구동 장치(126)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차체 몸체(101)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향 아답타(129)는 상기 차체 공간(102)의 타측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에 연결된 체인(125)의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조향 기어(124)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있으며 차체 몸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는 잇수를 3~10개를 가지며, 상기 조향 기어(124)는 잇수를 40~90개를 가지고 이에 따라 기어 비를 30:1~4:1까지 변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조향 기어, 고정대 및 고정 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상기 조향 기어(124)에 부착된 고정 볼트(311)가 차체 몸체(101)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대(312)와의 간섭으로 상기 조향휠(113)이 좌우측으로 45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한다.
즉, 상기 고정 볼트(311)는 상기 차체 공간(102) 하부에 위치한 고정대(312)와 상기 조향 기어(124)의 양측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조향 핸들(122을) 회전시켜도 상기 고정대(312)와의 간섭으로 상기 조향 기어(124)의 하부에 연결된 조향휠(113)을 45도 이상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틸팅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내는데,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그 구성은 살펴보면, 상기 틸팅장치(131)는 크게,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 제 1 틸팅바(134a), 제 2 틸팅바(134b), 틸팅바 고정 나사(135),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136a, 136b), 틸팅 쇽업쇼바(137)로 구성된다.
상기 틸팅장치(131)는 상기 차체 몸체(101)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틸팅바 고정 프레임(132a, 132b) 사이에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이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어 있는 제 1 틸팅바(134a), 제 2 틸팅바(135)와 상기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이 틸팅바 고정 나사(135)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틸팅장치(131)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년, 상기 틸팅바 고정 프레임(132a, 132b)은 본체 프레임 즉, 차체 몸체(101)에 평행하게 2개가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은 상기 틸팅바 고정 프레임(132a, 132b)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부착되고 틸팅바 브라켓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틸팅바(134a)는 상기 우측 보조휠(112a)을 연결할 수 있도록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에 연결되고, 끝단에 고정 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탭이 형성되고, 제 2 틸팅바(134b)는 상기 좌측 보조휠(112b)을 연결할 수 있도록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에 연결되고, 끝단에 고정 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틸팅바 고정 나사(135)는 상기 제 1 틸팅바(134a) 및 상기 제 2 틸팅바(134b)를 서로 맞물리게 연결하여 상기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 사이에 끼우고, 상기 제 1 틸팅바(134a) 및 상기 제 2 틸팅바(134b)의 각 측단에 형성된 틸팅바 고정 나사 구멍과 상기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에 형성된 틸팅바 브라켓 나사 구멍에 맞도록 맞추어 끼워져서 상기 제 1 틸팅바(134a) 및 상기 제 2 틸팅바(134b)를 각각 고정하게 된다.
상기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136a, 136b)는 상기 제 1 틸팅바(134a) 및 제 2 틸팅바(134b)의 상기 틸팅바 고정 나사 구멍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방으로 수직되게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틸팅 쇽업쇼바(137)는 상기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136a, 136b) 사이에 부착되어 노면의 충격을 흡수 감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서, 상기 제 1 틸팅바(134a), 제 2 틸팅바(134b)의 상부에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136a, 136b)가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136a, 137b) 사이에 틸팅 쇽업쇼바(137)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좌우측 보조휠(112a, 112b)의 노면 접지력을 우수하게 하며, 노면이 불균일한 도로를 주행시 상기 구동휠(111a, 111b)과 상기 보조휠(112a, 112b) 모두 노면과 접지하여 직진성을 좋게 하는 틸팅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의 차체 공간에 위치한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차체 공간(102)에 상기 배터리(212)의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키 스위치(412)가 고정되어 있고, 비상시 상기 배터리(212)의 전원을 비상 차단하는 비상 스위치(413)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212)의 전압을 표시할 수 있는 배터리 게이지(416)가 고정되어 있고, 야간 주행 시 시야 확보를 위해 램프를 on/off 할 수 있는 램프 스위치(417)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차체 공간(102)에 상기 속도 조절 장치(214)에 연결되어 속도를 제어 할 수 있는 악셀페달(215)이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감속장치(213)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동을 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216)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216)에 연결되어 주/정차시 상시 제동을 할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217)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의 속도 조절장치(214)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속도 조절장치(214)는 전기 운반차의 차체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컨트롤러(411), 키 스위치(412), 비상 스위치(413), 전후진 레버(414), 방향 지시 레버(415), 배터리 게이지(416), 램프 스위치(417), 악셀페달(215), 브레이크페달(216), 핸드 브레이크(2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411)는 상기 차체 몸체(101)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성되어 상기 배터리(212), 상기 전기 모터(211)와 각각 연결되어 전력의 공급과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키 스위치(412)는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배터리(212)의 전원 공급 및 차단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비상 스위치(413)는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배터리(212) 전원의 비상 차단하고, 상기 전후진 레버(414)는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여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전기모터(211)를 전진 및 후진 구동여부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향 지시 레버(415)는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방향 지시 여부를 표시하게 되며, 상기 배터리 게이지(416)는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12)의 전압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램프 스위치(417)는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헤드램프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결정하고, 상기 악셀페달(215)는 상기 속도 조절 장치(214)에 연결되어 속도를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감속장치(213)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동을 할 수 있는 브레이크페달(216)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216)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주/정차시 상시 제동을 할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217)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운반차가 노면이 균일한 도로를 주행할 때의 틸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도 4에서 제시된 세부구성과 같이 상기 제 1 틸팅바(134a)와 상기 제 2 틸팅바(134b)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보조휠(112a, 112b)이 모두 노면과 접지하여 차량이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도 6의 틸딩장치의 구성에 의해 도 7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운반차 틸팅 장치가 노면이 불규칙한 도로를 주행할 때 틸팅바가 틸팅 쇽업쇼바를 압축하면서 노면과 접지력의 제약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데, 이는 불규칙한 노면에 의해 상기 틸팅 쇽업쇼바(137)가 압축되어 제 1 틸팅바(134a)와 제 2 틸팅바(134b)가 수평을 이루지 않고 노면 형상에 맞게 상기 보조휠(112a, 112b)을 상하 이동시켜 노면과의 접지력을 우수하게 하여 전기 운반차의 직진성을 좋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 차체 몸체 102 : 차체 공간
111a, 111b : 구동휠 112a, 112b : 보조휠
113 : 조향휠 121 : 핸들축
122 : 조향 핸들 123 : 조향 구동 기어
124 : 조향 기어 125 : 체인
126 : 조향 구동 장치 127 : 조향 포크
128 : 조향 구동 아답타 129 : 조향 아답타
131 : 틸팅장치 132a, 132b: 틸팅바 고정프레임
133a, 133b : 틸팅바 고정 브라켓 134a : 제 1 틸팅바
134b : 제 2 틸팅바 135 : 틸팅바 고정 나사
136a, 136b :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 137 : 틸팅 쇽업쇼바
211 : 전기모터 212 : 배터리
213 : 감속 장치 214 : 속도 조절 장치
215 : 악셀 페달 216 : 브레이크페달
217 : 핸드 브레이크 311 : 고정 볼트
312 : 고정대 411 : 컨트롤러
412 : 키 스위치 413 : 비상 스위치
414 : 전후진 레버 415 : 방향 지시 레버
416 : 배터리 게이지 417 : 램프 스위치

Claims (6)

  1. 전기 모터의 작동으로 후륜 양쪽 일측에 주행축으로 연결된 주행휠에 의해 구동되고, 후륜 양쪽 타측에 위치한 보조휠에 의해 적재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전륜 중앙에 위치한 휠의 회전에 의해 조향되는 전기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 운반차의 하부를 지지하고, 앞쪽에 차제 공간(102)을 가지고, 후륜 양쪽 일측에 2개의 구동휠(111a, 111b)이 위치하며, 후륜 양쪽 타측에 2개의 보조휠(112a, 112b)이 위치하고, 전륜 중앙에 조향휠(113)이 위치한 차체 몸체(101);
    상기 차체 몸체(101)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체 공간(102)으로 돌출된 핸들축(121)이 구비되고, 차체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조향 핸들(122);
    상기 차체 몸체(10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 공간(102)의 안쪽에서 상기 핸들축(121)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핸들(122)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 구동 기어(123);
    상기 차체 몸체(10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 공간(102)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연결되어 기어 비에 따라 회전 각도가 조절되면서 회전하는 조향 기어(124);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상기 조향 기어를(124)를 연결하고 상기 조향 구동기어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25);
    상기 조향 핸들(122)과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조향 핸들(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를 회전시키는 조향 구동 장치(126);
    상기 조향 기어(124)와 연결되어 있어 조향휠을 고정, 지지하는 조향 포크(127);
    상기 차체 몸체(101)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2개의 보조휠을 연결하여 차체의 하중을 지지 분산하며, 적재 하중을 증가시키고, 좌우 보조휠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틸팅 장치(131);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211)에 연결되어 있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12);
    상기 전기 모터(2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 모터에서 회전하는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 장치(213); 및
    상기 전기 모터(211)와 상기 배터리(212)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장치(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운반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몸체(101) 앞쪽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102)의 일측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상기 조향 구동 장치(126)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차체 몸체에 지지되어 있는 조향 구동 아답타(128),
    상기 차체 공간(102)의 타측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에 연결된 체인의 회전 동력에 의해 상기 조향 기어(124)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고 차체 몸체에 지지되어 있는 조향 아답타(1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운반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공간(102) 하부에 위치한 고정대(312)와 상기 조향 기어의 양측 내부에 위치하며 조향 핸들을 회전시켜도 상기 고정대와의 간섭으로 상기 조향 기어의 하부에 연결된 조향 휠을 45도 이상 회전 불가능 하도록 고정지지하는 고정 볼트(3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운반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는 잇수를 3~10개 가지며, 상기 조향 기어(124)는 잇수를 40~90개를 가지고 이에 따라 기어 비를 30:1~4:1까지 변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운반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131)는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고 평행한 2 개의 틸팅바 고정 프레임(132a, 132b);
    상기 틸팅바 고정 프레임(132a, 132b)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부착되고 틸팅바 브라켓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
    우측 보조휠(112a)을 연결할 수 있도록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에 연결되고, 끝단에 고정 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탭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틸팅바(134a);
    좌측 보조휠(112b)을 연결할 수 있도록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a, 133b)에 연결되고, 끝단에 고정 너트를 조일 수 있도록 탭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틸팅바(134b);
    상기 제 1 틸팅바(134a) 및 상기 제 2 틸팅바(134b)를 맞물리게 연결하여 상기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 사이에 끼우고, 상기 제 1 틸팅바(134a) 및 상기 제 2 틸팅바(134b)의 각 측단에 형성된 틸팅바 고정 나사 구멍과 상기 틸팅바 고정 브라켓(133)에 형성된 틸팅바 브라켓 나사 구멍에 맞도록 맞추어 끼워져서 상기 제 1 틸팅바(134a) 및 상기 제 2 틸팅바(134b)를 고정하는 틸팅바 고정 나사(135);
    상기 제 1 틸팅바(134a) 및 제 2 틸팅바(134b)의 상기 틸팅바 고정 나사 구멍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방으로 수직되게 돌출되어 있는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136a, 136b); 및
    상기 틸팅 쇽업쇼바 고정자(136a, 136b) 사이에 부착되어 노면의 충격을 흡수 감쇠시키는 틸팅 쇽업쇼바(13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운반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절 장치(214)는
    상기 차체 몸체(10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212)와 상기 전기 모터(211)에 각각 연결되어 전력의 공급과 속도를 제어시키는 컨트롤러(411);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배터리(212)의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키 스위치(412);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배터리(212)의 전원을 비상 차단하는 비상 스위치(413);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전기모터(211)를 전진 및 후진 할 수 있는 전후진 레버(414);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방향 지시 표시를 할 수 있는 방향 지시 레버(415);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12)의 전압을 표시 할 수 있는 배터리 게이지(416);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4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헤드램프의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램프 스위치(417);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속도 조절 장치(214)에 연결되어 속도를 제어 할 수 있는 악셀페달(215);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감속장치(213)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동을 할 수 있는 브레이크페달(216); 및
    상기 차체 공간(102)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216)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주/정차시 상시 제동을 할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2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운반차.
KR1020120037726A 2012-04-12 2012-04-12 전기 운반차 KR101328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726A KR101328422B1 (ko) 2012-04-12 2012-04-12 전기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726A KR101328422B1 (ko) 2012-04-12 2012-04-12 전기 운반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47A true KR20130115447A (ko) 2013-10-22
KR101328422B1 KR101328422B1 (ko) 2013-11-14

Family

ID=4963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726A KR101328422B1 (ko) 2012-04-12 2012-04-12 전기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4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0753A (zh) * 2018-09-17 2018-12-21 浙江群英车业有限公司 一种万向电动车
KR102603606B1 (ko) 2022-06-28 2023-11-16 이현석 전동운반차의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603B1 (ko) 2020-06-24 2021-08-31 강기수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8477B2 (ja) * 2000-01-25 2004-07-28 鈴木 康之 電動軽車両の走行速度制御装置と、電動軽車両
JP4178955B2 (ja) 2001-04-20 2008-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駆動制御
JP3720316B2 (ja) * 2002-09-24 2005-11-24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電気自動車の駆動装置
KR100848291B1 (ko) * 2006-08-17 2008-07-25 김진부 제동력을 회생시킬 수 있는 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0753A (zh) * 2018-09-17 2018-12-21 浙江群英车业有限公司 一种万向电动车
KR102603606B1 (ko) 2022-06-28 2023-11-16 이현석 전동운반차의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422B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77848Y (zh) 电动车底盘
US9051019B2 (en) Transport vehicle having a three-wheel chassis
US7866422B2 (en) Electric golf cart and utility cart
US20130056288A1 (en) Omni-Directional Wheel Assembly and Omni-Directional Vehicle
US9937779B2 (en) Vehicle
KR20180133907A (ko) 능동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기 주행 스틸 코일 운송차
CN203921058U (zh) 一种轻便型三轮车
KR101328422B1 (ko) 전기 운반차
CN102092634A (zh) 轮距可变式万向轮式电控门吊车
CN105150862A (zh) 一种电动游览车
CN204778624U (zh) 电动堆高车
CN204778626U (zh) 一种电动堆高车
EP3891045B1 (en) Tilting vehicle
ITMO990019A1 (it) Gruppo sterzante per mezzi di trasporto.
JP6999130B2 (ja) 電動式乗用車両
CN216580273U (zh) 一种整车底盘托运小车
CN204778625U (zh) 一种堆高车
JP6573284B2 (ja) パワーアシスト機能付き作業用台車
CA3181823A1 (en) Three wheeled electric vehicle
JPH0848252A (ja) 荷 車
CN104494751A (zh) 一种具有重心自动调节功能的自平衡独轮车
KR20190125893A (ko) 전동이동장치
CN210286514U (zh) 一种集装箱跨运车驾驶室座椅辅助旋转系统
CN216002909U (zh) 用于主动摇摆正三轮车的摇摆机构
CN204527439U (zh) 一种具有重心自动调节功能的自平衡独轮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