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385A -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 Google Patents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385A
KR20130115385A KR1020137024477A KR20137024477A KR20130115385A KR 20130115385 A KR20130115385 A KR 20130115385A KR 1020137024477 A KR1020137024477 A KR 1020137024477A KR 20137024477 A KR20137024477 A KR 20137024477A KR 20130115385 A KR20130115385 A KR 20130115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hell
pressure sensor
glow plug
c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와타나베
?스케 마에다
요시히로 나카무라
마사요시 마츠이
Original Assignee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05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9/00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 F02P19/02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 F02P19/028Incandescent ignition, e.g. during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ombination of incandescent and spark ignition electric, e.g. layout of circuits of apparatus having glowing plugs the glow plug being combined with or used as a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3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by determining the cyli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01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3Q2007/002Glowing plu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with 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에 있어서, 연소실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글로 플러그(100)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금속 쉘과 금속 쉘의 선단에 설치되고, 금속 쉘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으며, 선단을 향해서 축경하는 대략 통 형상의 캡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히터부와, 연결부재와,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캡부는 금속 쉘의 재료보다도 인장강도 또는 내력이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금속 쉘은 캡부의 재료보다도 열팽창률이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GLOW PLUG WITH COMBUSTION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글로 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소 압력센서 장착의 글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디젤엔진 등의 압축착화방식의 내연기관에서는, 보조열원으로서 글로 플러그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글로 플러그는, 그 하우징에 설치된 수나사를 엔진헤드의 플러그 부착구멍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시킴과 아울러, 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된 테이퍼 형상의 밀봉면을 내연기관의 플러그 부착구멍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좌면(座面)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실로부터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종래의 확산연소방식에 더불어서 예혼합연소방식 등이 새로운 연소방식이 제안되어 있고, 그것에 수반하여 내연기관의 연소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글로 플러그에서는 고압화된 연소압에 대해서 충분한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특히, 내연기관 내의 연소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글로 플러그에서는, 내부에 센서나 히터의 가동구조(하우징에 대한 상대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끼워 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하우징의 소성변형 등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단순하게 글로 플러그의 체결축력을 높이는 것에 의해서 연소실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 글로 플러그가 장착되는 엔진헤드는 열팽창률이 높은 알루미늄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많다. 그로 인해, 내연기관이 고온이 되면, 그것에 대응하여 엔진헤드가 팽창하고, 글로 플러그의 축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2004-205148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특개2002-276942호 공보
상기의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에 있어서, 연소실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 중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금속 쉘과, 상기 금속 쉘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 쉘보다도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으며, 선단을 향해서 직경이 축소(이하, 「축경」이라고도 한다)되는 통 형상의 캡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캡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봉 형상의 히터부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히터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히터부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히터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연소압의 검출을 실시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캡부는, 상기 금속 쉘의 재료보다도 인장강도 또는 내력(耐力)이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캡부의 재료보다도 열팽창률이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적용예 2]
적용예 1에 기재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캡부는, 후단측에 원통 형상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금속 쉘의 두께는 상기 원통부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적용예 3]
적용예 2에 기재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원통부의 내경은, 상기 금속 쉘의 내경보다도 크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원통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본 발명은 상기한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의 구성 외에,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의 제조방법이나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를 구비하는 내연기관 등으로 해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과 같은 구성의 글로 플러그라면, 캡부가 금속 쉘의 재료보다도 인장강도 또는 내력이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할 때의 응력이 집중되는 캡부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캡부보다도 길이가 긴 금속 쉘이 캡부의 재료보다도 열팽창률이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헤드의 열팽창에 글로 플러그의 열팽창을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의 결과, 연소실 내의 연소압이 높은 경우나, 엔진헤드의 열팽창률이 큰 경우라도, 초기의 체결축력을 과도하게 높이는 일없이, 연소실과 글로 플러그의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적용예 2와 같은 구성이라면, 금속 쉘의 두께가 캡부의 후단측에 설치된 원통부보다도 두껍기 때문에, 캡부보다도 인장강도 혹은 내력이 작은 금속 쉘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적용예 3과 같은 구성이라면, 금속 쉘보다도 내경이 크고 또한 두께가 얇은 캡부의 원통부 내에 연결부재를 배치하므로, 연결부재를 금속 쉘 내에 배치하는 것보다도 연결부재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그로 인해, 히터부의 가동범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압력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글로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캡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글로 플러그(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의 (a)는 글로 플러그(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도 1의 (b)는 부분적인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는 후술하는 캡부(120)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2에 있어서의 글로 플러그(100)의 축선(O)의 하측을 글로 플러그(100)의 선단측으로 하고, 상측을 후단측으로서 설명한다. 또, 글로 플러그(100)의 축선(O)을 따른 하향 방향을 축선 방향(OD)으로 한다. 도 1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로 플러그(100)는 금속 쉘(110)과 캡부(120)를 가지는 하우징(130)과, 히터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쉘(110)은 대략 원통 형상의 금속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 쉘 (110)은 고열팽창 금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열팽창 금속이란, -40∼150℃의 온도영역에 있어서의 인장강도가 600㎫ 이하이고 또한 열팽창률이 14ppm/℃ 이상의 금속을 말하며,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리스강인 SUS304나 SUS303, SUS316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 쉘(110)의 축선 방향 (OD)을 따른 길이(L1)는 캡부(120)의 길이(L2)보다도 길고, 예를 들면 4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금속 쉘(110)의 후단부에는, 글로 플러그(100)를 내연기관에 장착하기 위한 공구가 걸어 맞추는 공구 걸어맞춤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공구 걸어맞춤부 (112)보다도 선단측에는, 글로 플러그(100)를 엔진헤드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나사부(114)가 구비되어 있다. 공구 걸어맞춤부(112)의 후단부에는 하우징(130) 내의 집적회로{(166)(후술)}나 중심축{(170)(후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116)이 삽입되어 있다.
금속 쉘(110)의 선단에는 환 형상의 금속부재인 캡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부(120)의 후단측에는 외경이 거의 일정한 원통부 (122)가 형성되고, 선단측에는 선단으로 향해서 축경하는 테이퍼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캡부(120)의 축선 방향(OD)을 따른 길이(L2)는 금속 쉘(110)의 길이(L1)보다도 짧으며, 예를 들면, 15㎜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부(120)는 높은 인장강도(또는 내력)를 가지는 고강도 금속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강도 금속이란, -40∼300℃의 온도영역에 있어서의 열팽창률이 14ppm/℃ 미만이고 또한 인장강도가 800㎫ 이상인 금속을 말하며, 예를 들면 석출 경화계의 스테인리스강인 SUS630나, INCONEL(등록상표)718, 마레이징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부(120)의 원통부(122)에 있어서의 두께(T1)는 나사부(114)보다도 선단측의 금속 쉘(110)의 두께(T2)보다도 얇게 이루어져 있고, 원통부(122)의 내경(B1)은 금속 쉘(110)의 내경(B2)보다도 크게 이루어져 있다. 두께(T1)는 예를 들면, 0.5∼1.0㎜로 할 수 있고, 두께(T2)는 0.7∼1.2㎜로 할 수 있다. 글로 플러그(100)는 내연기관에 장착되었을 때에 캡부(120)의 최외주(最外周)의 코너부(126)에 있어서, 엔진헤드의 플러그장착구멍(200)의 좌면(210)에 접촉한다. 상기 코너부(126)의 좌면(210)으로의 접촉(선접촉)에 의해 연소실로부터 외부로의 기밀이 유지된다.
히터부(150)는 시스관{(sheath tube)(152)}과 발열 코일(154)과 절연 분말 (155)을 구비하고 있다. 시스관(152)은 내열ㆍ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반구 형상으로 폐색하고, 후단이 금속 쉘(110) 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다. 발열 코일(154)은 권선형 저항이며, 시스관(152)의 선단측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부(150)에는 금속제의 봉 형상 부재인 중심축(170)이 삽입되고, 발열 코일(154)의 후단은 상기 중심축(170)의 선단에 고정된다. 발열 코일(154)에는 배선(116) 및 중심축(170)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시스관(152) 내에는 발열 코일(154)과의 틈새에 내열성을 가지는 산화 마그네슘 등의 절연 분말(155)이 충전되어 있다. 시스관 (152)의 개구된 후단과 중심축(170)의 사이에는 절연 분말(155)을 시스관(152) 내에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156)가 삽입되어 있다. 시스관(152)에는 스웨징 (swaging) 가공이 시행되어 있고, 이에 따라, 내부에 충전된 절연 분말(155)의 치밀성이 높아져서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히터부(150)는 후단측이 금속 쉘(110) 내에 배치되고, 선단측이 캡부(120)의 개구부(125)에서 축선 방향(OD)으로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30) 내에는 히터부(150)보다도 후단측에 배치된 환 형상의 압력센서 (160)와, 압력센서(160)를 하우징(130) 내에 고정하기 위한 센서고정부재(132)와,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변위에 의해서 발생하는 하중 또는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변위를 압력센서(160)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슬리브(134)와, 히터부(150)의 외주를 하우징(130)의 내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고정부재(132)는 스테인리스강 등에 의해서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센서고정부재(132)는 금속 쉘(110)의 내주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차양 형상의 플랜지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33)는 금속 쉘(110)의 선단면에 용접되어 있다. 또, 센서고정부재(132)의 후단에는 압력센서 (160)의 외주부가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센서고정부재(132)에 의해서 압력센서(160)가 하우징(130) 내의 중앙부 부근에 고정되어 있다.
전달 슬리브(134)는 스테인리스강 등에 의해서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전달 슬리브(134)는 센서고정부재(132)와 히터부(15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달 슬리브(134)의 선단은 센서고정부재(132)의 플랜지부(133)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 부근에 있어서, 히터부(150)의 외주에 용접되어 있다. 또, 전달 슬리브 (134)의 후단은 환 형상의 압력센서(160)의 내주부에 용접되어 있다.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변위에 의해서 발생하는 하중 또는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변위는 상기 전달 슬리브(134)에 의해서 압력센서(160)의 내주부에 전달된다.
연결부재{(180)(도 2 참조)}는 스테인리스강이나 니켈 합금 등에 의해서 형성된 탄성을 가지는 환 형상의 부재이다. 연결부재(180)는 후단측에 형성된 차양 형상의 플랜지부(182)와, 선단측에 형성된 박막 형상의 평면부(183)와, 플랜지부 (182)와 평면부(183)를 접속하는 원통부(184)를 가진다. 플랜지부(182)는 그 상면(후단측의 면)이 센서고정부재(132)의 플랜지부(133)에 용접되고, 그 하면(선단측의 면)이 캡부(120)의 후단면에 용접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부(183)는 그 내주 부분에 선단측으로 향해서 되접어 꺾여진 되접어꺾음부(185)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재(180)는 상기 되접어꺾음부(185)에 있어서, 히터부(150)의 외주에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재(180)의 평면부(183)는 캡부 (120)의 원통부(1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부(150)는 상기 연결부재(180)에 의해서 하우징(130)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해서 축선 (O)을 따른 변위가 허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80)는 히터부(150)와 하우징(130)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연소실로부터 금속 쉘(110) 내로의 기밀을 확보하는 역할도 완수한다.
압력센서{(160)(도 1 참조)}는 중심축(170)이 통과하는 개구부(161)가 중앙에 설치된 환 형상의 금속 다이어프램(162)과, 금속 다이어프램(162)의 상면(후단측의 면)에 접합된 피에조 저항소자(164)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다이어프램(162)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피에조 저항소자(164)에는 하우징(130) 내의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 집적회로(16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 다이어프램(162)의 내주에는 히터부(150)에 접속된 전달 슬리브(134)의 후단이 접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소압의 수압(受壓)에 의해서 히터부(150)가 축선(O)을 따라서 변위하면, 전달 슬리브(134)에 의해서 변위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 또는 변위량이 금속 다이어프램(162)에 전달되어 금속 다이어프램(162)을 휘어지게 한다. 집적회로(166)는 상기 금속 다이어프램(162)의 변형을 피에조 저항소자(164)를 이용해서 검출하는 것에 의해 내연기관의 연소압을 검출한다. 집적회로(166)는 이렇게 해서 검출된 연소압을 나타내는 전기신호를 금속 쉘(110)의 후단에 삽입된 배선(116)을 통해서 외부의 ECU 등에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글로 플러그(100)에서는, 캡부(120)를 금속 쉘(110)의 재료보다도 -40∼300℃의 온도영역에 있어서의 인장강도(또는 내력)가 큰 고강도 금속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글로 플러그(100)를 체결할 때의 응력이 집중되는 캡부(120)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부(120)보다도 길이가 긴 주된 금속부품인 금속 쉘(110)을 캡부 (120)의 재료보다도 -40∼150℃의 온도영역에 있어서의 열팽창률이 큰 고열팽창 금속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엔진헤드의 열팽창에 금속 쉘(110)의 열팽창을 추종시킬 수 있다. 이들의 결과, 연소실 내의 연소압이 높은 경우나, 엔진헤드의 열팽창률이 큰 경우라도, 초기의 체결축력을 필요 이상으로 높이는 일없이, 연소실과 글로 플러그(100)의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캡부(120)는 -40∼300℃의 온도영역에 있어서의 인장강도(또는 내력)가 900㎫ 이상의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캡부(120)의 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40∼150℃의 온도영역에 있어서, 금속 쉘 (110)의 열팽창률은 엔진헤드를 구성하는 재료의 열팽창률의 2/3 이상의 크기를 가진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소실과 글로 플러그 (100)의 사이의 기밀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강도 금속에 의해 캡부(12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원통부(122)의 두께(T1)를 금속 쉘(110)의 두께(T2)보다도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통부(122)의 내경(B1)을 금속 쉘(110)의 내경(B2)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재(180)의 평면부(183)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히터부(150)의 축선(O)을 따른 가동범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압력센서(160)의 성능(예를 들면, S/N비)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원통부(122)의 두께(T1)를 금속 쉘(110)의 두께(T2)보다도 얇게 할 수 있는 것은, 환언하면, 금속 쉘(110)의 두께(T2)를 원통부(122)의 두께(T1)보다도 두껍게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엔진헤드의 열팽창에 추종시키기 위하여 고열팽창 금속에 의해서 형성한 금속 쉘(110)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열팽창 또한 고강도(높은 인장강도 혹은 큰 내력)라고 하는 특성을 가지는 강철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라도, 금속 쉘(110)과 캡부(120)를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른 특성의 재료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에 의해, 글로 플러그(100) 전체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나 내연기관의 운전시에 체결축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부(120)의 두께(T1)를 금속 쉘(110)의 두께(T2)보다도 크게 해도 좋다. 또, 연결부재(180)의 평면부(183)를 금속 쉘(110) 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의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히터부(150)는 시스관(152) 내에 발열 코일(154)을 매설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절연성 세라믹의 내부에 도전성 세라믹을 매설한 세라믹 히터로서 히터부(150)을 구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력센서(160)는 환 형상의 금속 다이어프램(162)과 피에조 저항소자(164)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압력센서(16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소 압력센서 장착의 글로 플러그로 채용되고 있는 주지의 압력센서를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박막 형상의 평면부(183)를 가지는 연결부재(180)에 의해서 하우징(130)과 히터부(150)를 연결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대해서, 예를 들면, 벨로스(주름상자) 형상의 부재에 의해서 하우징(130)과 히터부(150)를 연결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히터부(150)와 압력센서(160)가 전달 슬리브(134)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으로 했지만, 히터부(150)의 후단부가 직접적으로 압력센서 (160)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축(170)을 통해서 히터부(15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했지만, 중심축(170)을 생략하고, 배선(116)으로부터 히터부(150)에 직접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00 - 글로 플러그
110 - 금속 쉘
112 - 공구 걸어맞춤부
114 - 나사부
116 - 배선
120 - 캡부
122 - 원통부
124 - 테이퍼부
125 - 개구부
126 - 코너부
130 - 하우징
132 - 센서고정부재
133 - 플랜지부
134 - 전달 슬리브
150 - 히터부
152 - 시스관
154 - 발열 코일
155 - 절연 분말
156 - 밀봉 부재
160 - 압력센서
161 - 개구부
162 - 금속 다이어프램
164 - 피에조 저항소자
166 - 집적회로
170 - 중심축
180 - 연결부재
182 - 플랜지부
183 - 평면부
184 - 원통부
185 - 되접어꺾음부
200 - 플러그장착구멍
210 - 좌면

Claims (3)

  1.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금속 쉘과, 상기 금속 쉘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 쉘보다도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으며, 선단을 향해서 축경하는 통 형상의 캡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선단부가 상기 캡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봉 형상의 히터부와,
    상기 축선 방향을 따른 상기 히터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히터부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히터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에 대응하여 연소압의 검출을 실시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로서,
    상기 캡부는, 상기 금속 쉘의 재료보다도 인장강도 또는 내력이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 쉘은, 상기 캡부의 재료보다도 열팽창률이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후단측에 원통 형상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금속 쉘의 두께는 상기 원통부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내경은, 상기 금속 쉘의 내경보다도 크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원통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KR1020137024477A 2011-02-25 2012-02-21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KR201301153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9114 2011-02-25
JPJP-P-2011-039114 2011-02-25
PCT/JP2012/001134 WO2012114721A1 (ja) 2011-02-25 2012-02-21 燃焼圧力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434A Division KR101579048B1 (ko) 2011-02-25 2012-02-21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385A true KR20130115385A (ko) 2013-10-21

Family

ID=467205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477A KR20130115385A (ko) 2011-02-25 2012-02-21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KR1020157008434A KR101579048B1 (ko) 2011-02-25 2012-02-21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434A KR101579048B1 (ko) 2011-02-25 2012-02-21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91820A1 (ko)
EP (1) EP2679901B1 (ko)
JP (1) JP5363653B2 (ko)
KR (2) KR20130115385A (ko)
WO (1) WO2012114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6376B2 (en) * 2011-02-25 2017-08-08 Ngk Spark Plug Co., Ltd. Glow plug with combustion pressure sensor
JP6151067B2 (ja) * 2012-06-28 2017-06-21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圧力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JP6181962B2 (ja) * 2013-04-16 2017-08-1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燃焼圧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の製造方法
CN111075629A (zh) * 2019-12-30 2020-04-28 安徽安鑫货叉有限公司 一种用于货叉自动预热点火机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1136B2 (ja) 2001-03-16 2010-03-31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グロープラグ及びそのシリンダヘッドへの取付け構造
JP3886449B2 (ja) 2002-12-26 2007-02-28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グロープラグ及びグロープラグの取付け構造
ATE544034T1 (de) * 2004-09-15 2012-02-15 Beru Ag Druckmessglühkerze für einen dieselmotor
JP2007177782A (ja) * 2005-11-30 2007-07-12 Ngk Spark Plug Co Ltd 燃焼圧力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DE102005061879A1 (de) * 2005-12-23 2007-07-05 Robert Bosch Gmbh Glühstiftkerze
JP2009243710A (ja) * 2008-03-28 2009-10-22 Ngk Spark Plug Co Ltd グロープラグ
JP5161121B2 (ja) * 2008-03-28 2013-03-1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グロープラグ
WO2010134320A1 (ja) * 2009-05-18 2010-11-25 シチズンファインテックミヨタ株式会社 燃焼圧センサ及び燃焼圧センサ付グロー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91820A1 (en) 2013-11-07
JP5363653B2 (ja) 2013-12-11
EP2679901A4 (en) 2018-03-21
EP2679901B1 (en) 2018-11-28
EP2679901A1 (en) 2014-01-01
KR20150044967A (ko) 2015-04-27
JPWO2012114721A1 (ja) 2014-07-07
KR101579048B1 (ko) 2015-12-21
WO2012114721A1 (ja)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4387A (ko)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JP2008002809A (ja) 燃焼圧センサー
US8319153B2 (en) Glow plug with metallic heater probe
US9891138B2 (en) Pressure sensor
KR101578972B1 (ko) 압력센서를 가진 글로 플러그
KR20130115385A (ko) 연소 압력센서 장착 글로 플러그
KR101614625B1 (ko) 압력 센서가 형성된 글로우 플러그
JP5921957B2 (ja) 圧力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5901882B2 (ja) 燃焼圧力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EP2669578B1 (en) Glow plug
US10048153B2 (en) Pressure sensor including variable member having rear end connected to housing at a predetermined axial position
JP2007078330A (ja) 燃焼圧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JP6214932B2 (ja) 圧力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JP6166093B2 (ja) 圧力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JP2007085577A (ja) 燃焼圧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US20160177909A1 (en) Glow plug with pressure sensor
JP2007085578A (ja) 燃焼圧センサ付きグロープラグ
JP2019032246A (ja) 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