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231A -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 Google Patents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231A
KR20130112231A KR1020120034460A KR20120034460A KR20130112231A KR 20130112231 A KR20130112231 A KR 20130112231A KR 1020120034460 A KR1020120034460 A KR 1020120034460A KR 20120034460 A KR20120034460 A KR 20120034460A KR 20130112231 A KR20130112231 A KR 20130112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e
processing
punch
wor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339B1 (ko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이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욱 filed Critical 이동욱
Priority to KR102012003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33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6Deforming sheet metal, tubes or profiles by sequential impacts, e.g. hammering, beating, peen 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6Stripping-of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측면에 따른 제작장치는, 펀치와 다이를 갖는 상형과, 상형의 펀치와 다이에 대응하는 다이와 펀치를 갖는 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형과 하형 사이로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가공대상 판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피치로 스텝 이동되며, 상형과 하형의 쌍을 이루는 펀치와 다이로 구성된 복수의 가공부가 가공대상 판재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worm shaft plug and worm shaft plug for steering apparatus by manufactured the same}
본 발명은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웜 샤프트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웜과 웜휠 타입의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에서 웜 샤프트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기능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차량 또는 각종 기계장치에 이용되는 판상의 소형부품을 기계가공을 통해 양산함에 있어 통상적으로, 블랭킹(blanking) 또는 피어싱(piercing) 과 같은 전단가공법이 주로 이용된다. 블랭킹과 피어싱은 펀치와 다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을 하는 것으로, 가공과정이 단순하면서도 비교적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제품을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블랭킹 및 피어싱과 같은 전단가공법을 통해 정밀하게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소재의 두께는 제한적이어서, 그 두께 이상의 소재를 상기 블랭킹 또는 피어싱 등의 전단가공법을 이용하여 가공하게 되면, 전단면이 고르지 못하고 중간에 찢김과 같은 파단면이 형성되는 등의 불량이 발행하여 치수 정밀도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부품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웜과 웜휠 타입의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에서 웜 샤프트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기능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와 같이 일정한 두께(대략 6mm 정도)를 가지면서 비교적 높은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품의 경우, 종래 알려진 위와 같은 단순한 블랭킹 또는 피어싱 등의 전단가공법만으로는 우수한 품질의 만족도 높은 부품을 대량 생산함에 있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생산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고, 대량 생산에 유리하며, 불량율 발생은 최소화하면서 치수정밀도는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가공대상 판재를 일정피치로 한 스텝씩 이동시키며, 스텝 이동되는 가공대상 판재에 대해 구간 별로 전단 또는 소성가공이 순차적으로 행해지고, 마지막 전단가공을 통해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작장치는, 펀치와 다이를 갖는 상형과, 상형의 펀치와 다이에 대응하는 다이와 펀치를 갖는 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형과 하형 사이로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가공대상 판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피치로 스텝 이동되며, 쌍을 이루는 펀치와 다이로 구성된 복수의 가공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가공대상 판재 이동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가공대상 판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간마다 정해진 다른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행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형은, 복수의 펀치 및 하형의 펀치에 대응하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한 다이와, 승강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펀치가 승강 이동될 수 있는 홀을 갖는 상부 스트리퍼와, 상기 상부 스트리퍼에 대해 상기 펀치가 장착되는 펀치 플레이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홀더와, 하형에 대한 상기 승강홀더의 안정적인 승강을 지지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형은, 상형의 각 펀치와 다이에 대응하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한 다이를 포함하는 다이 플레이트 및 펀치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다이홀더와, 복수의 베이스 블록을 매개로 상기 다이홀더 및 다이 플레이트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하부 베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형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가공대상 판재가 이탈 없이 지정된 경로를 따라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판재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재 가이드는, 가공대상 판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열을 이루는 2 개의 판재 가이드 열이 가공대상 판재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배열을 갖고, 상기 하형의 다이 플레이트에 이 다이 플레이트 상으로 출몰 가능하게 탄성 설치되어, 상기 상형이 하강하는 경우 그 압박에 의해 하강하면서 가공대상 판재를 하형의 다이 플레이트 상으로 내려놓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 가공대상 판재의 정확한 피치이동을 위해, 가공대상 판재가 공급되는 장치 일측에 마련되어 가공대상 판재 가장자리에 일정피치로 피치 홀을 가공하는 피치 홀 가공기; 및 상기 피치 홀 가공기 후방으로 가공대상 판재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일정피치만큼 간격을 두고 연속해서 이격 배치되어, 가공대상 판재에 형성된 각각의 피치 홀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판재가 정확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의 승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치 홀 가공기는, 상형에 장치되어 승강 이동되는 피치 홀 가공펀치와, 상기 피치 홀 가공펀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형의 다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피치 홀 가공용 홀 또는 홈으로 된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가공부는, 가공대상 판재에 다각형의 내측구멍을 뚫는 피어싱 가공부, 상기 내측구멍의 상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는 상부 챔퍼 가공부, 피어싱 가공된 상기 내측구멍을 형성하는 면을 다듬질 또는 미소량으로 깨끗이 깎아내는 셰이빙 가공부, 상기 내측구멍의 하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는 하부 챔퍼 가공부, 상기 내측구멍을 포함하여 가공대상 판재를 타격하여 미리 결정된 크기와 깊이로 함몰 가공면을 형성하는 하프 블랭킹 가공부,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평탄화시키는 리스트라이크 가공부,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녹아웃(Knock out) 가공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가공대상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장치 일측에서부터 차례로, 피어싱 가공부, 상부 챔퍼 가공부, 셰이빙 가공부, 하부 챔퍼 가공부, 하프 블랭킹 가공부, 리스트라이크 가공부, 녹아웃 가공부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어싱 가공부, 상부 챔퍼 가공부, 셰이빙 가공부는 각각, 다각형 단면을 갖는 피어싱 펀치와, 챔퍼 가공면을 갖는 상부 챔퍼 펀치와,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의 날을 갖는 셰이빙 펀치를 포함하며, 각각의 펀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다이 플레이트에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된 다이가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하부 챔퍼 가공부는, 챔퍼 가공면을 형성한 하부 챔퍼 펀치, 하부 챔퍼 펀치에 대응하는 하부 챔퍼 다이, 하부 챔퍼 펀치를 감싸는 일정면적의 평면을 형성한 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챔퍼 펀치는 그 단부에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치수보정구를 일체로 갖고, 상기 패드는 상기 하부 챔퍼 다이의 하강에 따른 압박에 의해 탄성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 챔퍼 펀치를 상대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프 블랭킹 가공부는, 하프 블랭킹 펀치와, 하프 블랭킹 펀치에 대응하는 하프 블랭킹 다이로 구성되며, 상기 하프 블랭킹 펀치는 그 선단면 중앙에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치수보정구를 갖고, 상기 하프 블랭킹 다이는 함몰 가공면 형성을 위한 요홈면을 가지면서 일정한 압축력 이상의 외압이 작용했을 때 동작하는 가스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라이크 가공부는, 리스트라이크 펀치와, 리스트라이크 펀치에 대응하는 리스크라이크 다이로 구성되며, 상기 리스트라이크 펀치는 그 선단면 중앙에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치수보정구를 갖고, 상기 리스트라이크 다이는 함몰 가공면 형성을 위한 요홈면을 갖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아웃(knock out) 가공부는, 녹아웃 펀치와, 녹아웃 펀치에 대응하는 녹아웃 다이로 구성되며, 상기 녹아웃 다이는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떼어 내어진 최종 가공물이 하방으로 추출될 수 있는 경로와 연장되는 다이 홀을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부는 또한, 최종 가공물이 녹아웃 처리된 가공 후의 판재를 일정 간격으로 잘라내는 절단 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공부 중간 중간에는 다음에 이루어질 작업의 대기를 위한 아이들 구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아이들 구간의 폭은 가공대상 판재가 스텝 이동함에 있어 한 스텝에 해당하는 전술한 피치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어싱 가공부, 상부 챔퍼 가공부, 셰이빙 가공부, 하부 챔퍼 가공부, 하프 블랭킹 가공부, 리스트라이크 가공부, 녹아웃 가공부 순으로 배치되는 가공부 열은 장치 폭 방향으로 2열 이상 병렬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같은 작업이 동시에 2곳 이상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가공부 열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사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상형이 하강하여 동시에 2곳 이상에서 동일한 전단 또는 소정가공이 행해질 경우 가공대상 면이 인접하여 응력이 특정 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응력집중에 따른 취약부 발생 및 해당 위치의 변형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공이 행해짐에 있어 타격에 따라 판재에 가해지는 응력이 특정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동시에 여러 개소에 대한 작업을 진행함에 따른 판재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공대상 판재에 다각형의 내측구멍을 뚫는 피어싱 단계; 상기 내측구멍의 상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챔퍼 가공단계; 피어싱 가공된 상기 내측구멍을 형성하는 면을 다듬질 또는 미소량으로 깨끗이 깎아내는 셰이빙 단계; 상기 내측구멍의 하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는 하부 챔퍼 가공단계; 상기 내측구멍을 포함하여 가공대상 판재를 타격하여 미리 결정된 크기와 깊이로 함몰 가공면을 형성하는 하프 블랭킹 단계;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평탄화시키는 리스트라이크 단계; 및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녹아웃(Knock out)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구멍의 치수 보정을 위해, 상기 하부 챔퍼 가공단계 이후의 각 단계에서는 치수보정구를 구비하는 펀치를 통해 단계 별 작업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대상 판재의 정확한 피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피어싱 단계 이전에 가공대상 판재 가장자리에 일정피치로 피치 홀을 가공하는 피치 홀 가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녹아웃 처리단계를 거쳐 최종 가공물이 녹아웃 처리된 가공 후의 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내는 절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제해결을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차량용 스트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가공대상 판재를 일정피치로 한 스텝씩 이동시키면서 해당 구간에서 미리 정해진 전단 또는 소성가공을 행하고, 마지막 전단가공을 통해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등의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을 위한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으로써, 부품의 생산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고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랭킹을 이용해 최공 가공물을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떼어냄에 있어, 일차적으로 미리 결정된 크기와 깊이로 함몰 가공면을 형성하는 하프 블랭킹을 채택함으로써, 최종 블랭킹 작업 후 작업면에 불규칙한 요철패턴의 찢김과 같은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치수보정구 및 패드의 적용으로 작업도중에 가공 대상물에 대한 치수 및 평탄도 보정이 동시에 행해짐으로써, 최종 가공물의 전체적인 치수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최종 가공물의 양산을 위한 부품 생산성은 극대화시키면서도 불량율 발생은 최소화할 수 있고, 동시에 최종 가공물에 대한 전체적인 치수정밀도는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종 가공물 즉,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에 있어, 경제적이면서도 생산성과 품질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의 하형 평면도 및 사시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의 상형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
도 7은 하형에 대한 상형의 승강에 따른 판재 가이드 및 가공대상 판재가 작업을 위해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측 단면도.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적용된 여러 개의 가공부를 각각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6은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정 블록도.
도 17은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제작 공정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제작된 웜 샤프트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는, 일정피치로 한 스텝씩 이동되는 가공대상 판재에 구간 별로 전단 또는 소성 가공을 순차적으로 행하고, 마지막 전단가공을 통해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치를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 구성적 특징을 가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의 하형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의 상형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제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측면에 따른 제작장치는, 펀치와 다이를 갖는 상형(1)과, 상형(1)의 펀치와 다이에 대응하는 다이와 펀치를 갖는 하형(2)으로 구성된다. 상형(1)과 하형(2) 사이로는 가공대상 판재(5)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피치로 스텝 이동되며, 스텝 이동하는 가공대상 판재(5)는 펀치와 다이로 구성된 복수의 가공부(31~37)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설계된 크기로 전단 또는 소성 가공된다.
상형(1)은 복수의 펀치 및 하형(2)의 펀치에 대응하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한 다이와, 승강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펀치가 승강 이동될 수 있는 홀을 갖는 상부 스트리퍼(12)와, 상기 상부 스트리퍼(12)에 대해 상기 펀치가 장착되는 펀치 플레이트(14)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홀더(16)와, 하형(2)에 대한 상기 승강홀더(16)의 안정적인 승강을 지지하는 상부 베이스(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형(2)은 상기 상형(1)의 각 펀치에 대응하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한 다이를 포함하는 다이 플레이트(20) 및 상형(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노출되는 펀치와, 다이 플레이트(20)가 로딩되고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이홀더(22)와, 복수의 베이스 블록을 매개로 상기 다이홀더(22) 및 다이 플레이트(20)를 장착면 즉, 바닥으로부터 작업에 적당한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하부 베이스(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형(2)은 또한, 장치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한 피치(P)로 스텝 이동되는 가공대상 판재(5)가 좌, 우로 이탈 없이 지정된 경로를 따라 안정되게 스텝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판재 가이드(24)를 포함한다.
판재 가이드(24)는 가공대상 판재(5)의 이동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열을 이루며, 열을 이룬 판재 가이드(24) 열 두 개가 가공대상 판재(5)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좌, 우 양측에서 판재(5) 이동을 안내한다.
판재 가이드(24) 또한 도 7, 8과 같이, 상기 하형(2)의 다이 플레이트(20)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형(1)이 하강하는 경우 그 압박에 의해 하강하면서 가공대상 판재(5)를 하형(2)의 다이 플레이트(20) 상으로 내려 놓는다.
다시 말해, 가공대상 판재(5)는 상형(1)이 하강하기 전 판재 가이드(24)에 의해 하형(2) 다이 플레이트(20)로부터 이격된 채 스텝이동을 하다가, 가공을 위해 지정된 위치에 멈춰 섰을 때의 상형(1) 하강에 의한 판재 가이드(24)의 하향 이동에 의해 하형(2)의 다이 플레이트(20) 위에 놓이게 된다.
판재 가이드(24)에 이동이 안내되는 가공대상 판재(5)는 미리 정해진 정확한 피치로 한 스텝씩 이동된다. 이를 위해 가공대상 판재(5)가 공급되는 측의 상형(1)(또는 하형(2))에는, 가공대상 판재(5) 가장자리에 일정하게 피치 홀을 가공하는 피치 홀 가공기(30)와, 피치 홀 가공기(30)에 의해 판재(5)에 형성된 피치 홀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판재(5)가 정확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의 승강핀(4)을 구비한다.
피치 홀 가공기(30)는 상형(1)(또는 하형(2))에 장치되어 승강 이동되는 피치 홀 가공펀치(300)와, 상기 피치 홀 가공펀치(300)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형(2)(또는 상형(1))의 다이 플레이트(20)에 형성된 피치 홀 가공용 홀 또는 홈(부호 생략)으로 된 구성일 수 있고, 복수의 승강핀(4)은 상기 피치 홀 가공기(30) 후방의 상형(1)(또는 하형(2))에 가동대상 판재(5)의 스텝 이동되는 거리 즉, 상기 일정피치(P)만큼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복수의 가공부는 가공대상 판재(5)에 대한 가공방법 및 종류에 따라, 피어싱 가공부(31), 상부 챔퍼 가공부(32), 셰이빙 가공부(33), 하부 챔퍼 가공부(34), 하프 블랭킹 가공부(35), 리스트라이크 가공부(36), 그리고 녹아웃(Knock out) 가공부(37)로 구분될 수 있다.
피어싱 가공부(31)에서는 가공대상 판재(5)에 다각형의 내측구멍을 뚫기 위한 작업이 행해지고, 상부 챔퍼 가공부(32)를 통해 상기 내측구멍의 상부 모서리에는 경사진 챔퍼면을 형성하게 된다.
셰이빙 가공부(33)에서는 피어싱을 통해 형성된 상기 내측구멍의 면을 미소량으로 깎아내어 깨끗이 다듬질하며, 하부 챔퍼 가공부(34)를 통해 상기 내측구멍의 하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하프 블랭킹 가공부(35)에서는 상기 내측구멍을 포함, 가공대상 판재(5)를 타격하여 미리 결정된 크기와 깊이로 함몰 가공면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가공대상 팬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기 위한 전처리가 행해진다.
리스트라이트(Re-strike) 가공부(36)에서는 상기 하프 블랭킹 가공부(35)에 의한 함몰 가공면을 재타격함으로써 상기 하프 블랭킹 가공부(35)를 통한 소성가공 과정에서 변형된 타격면을 평탄화시키는 작업이 행해지고, 상기 녹아웃(Knock out) 가공부(37)를 통해서는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상기 함몰 가공면에 대한 재차 타격을 통해 가공대상 판재(5)로부터 최종 산물에 해당하는 가공물을 탈락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위와 같은 복수의 가공부는 가공대상 판재(5)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장치 일측 즉, 가공대상 판재(5)가 공급되는 측(화살표 방향 참조)에서부터 차례로, 피어싱 가공부(31), 상부 챔퍼 가공부(32), 셰이빙 가공부(33), 하부 챔퍼 가공부(34), 하프 블랭킹 가공부(35), 리스트라이크 가공부(36), 녹아웃 가공부(37) 순으로 배치된다.
다음 과정에서 이루어질 작업의 대기를 위하여, 각 가공부 중간 중간에는 아이들 구간(Idle sector, I)이 형성된다. 이 아이들 구간(I)의 폭은 상기 가공대상 판재(5)가 스텝 이동함에 있어 한 스텝에 해당하는 전술한 피치(P)와 동일하다.
최종 가공물이 녹아웃 처리됨으로써 일정한 패턴으로 구멍이 형성된 가공 후의 판재(5)는 장치 최후방 영역에 배치되는 절단 가공부(38)에 의해 행해지는 절단가공을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잘려진 채 장치 타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복수의 가공부 중 상기 피어싱 가공부(31), 상부 챔퍼 가공부(32), 셰이빙 가공부(33)는 각각 도 9 에서 도 11의 도시와 같이, 다각형 단면을 갖는 피어싱 펀치(310), 챔퍼 가공면을 갖는 상부 챔퍼 펀치(320), 피어싱 가공된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의 날을 갖는 셰이빙 펀치(330) 및 각각의 펀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다이 플레이트(20)에 형성되며 홈 또는 홀(부호 생략)을 형성한 다이(312)(322)(332)로 구성된다.
도 12는 하부 챔퍼 가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구성도로서, 하부 챔퍼 가공부(34)는, 챔퍼 가공면을 형성한 하부 챔퍼 펀치(340), 하부 챔퍼 펀치(340)에 대응하는 하부 챔퍼 다이(342), 하부 챔퍼 펀치(340)를 감싸는 일정면적의 평면을 형성한 패드(344)로 구성된다(도 3 참조).
하부 챔퍼 펀치(340)는 그 단부에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치수보정구(341)를 일체로 가지며, 패드(344)는 상기 하부 챔퍼 다이(342)의 하강에 따른 압박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 챔퍼 펀치(340)가 상대적으로 위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치수보정구(341)는 챔퍼 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내측구멍의 변형을 방지하고, 패드(344)는 상기 내측구멍 주변의 가공대상 판재(5)를 평탄화시키기 위한 압력판으로서 기능한다.
패드(344)는 일정한 압력 이상의 외압이 작용했을 때 하방으로 탄성변위 될 수 있도록, 일정 압으로 세팅된 공압식 쇽업쇼바 예컨대, 가스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하형(2)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노출되며, 치수보정구(341)를 포함한 하부 챔퍼 펀치(340)는 하형(2)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챔퍼 다이(342) 하강에 따른 패드(344)의 하강에 의해 상대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하부 챔퍼 다이(342)와 맞물리게 된다.
도 13은 하프 블랭킹 가공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도 13의 도시와 같이, 하프 블랭킹 가공부(35)는, 하프 블랭킹 펀치(350)와, 이러한 하프 블랭킹 펀치(350)에 대응하는 하프 블랭킹 다이(352)로 구성된다. 하프 블랭킹 펀치(350)는 그 선단면 중앙에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전술한 치수보정구(351)를 갖고, 하프 블랭킹 다이(352)는 함몰 가공면 형성을 위해 일정 깊이로 함몰된 요홈면을 가지며 일정한 압 이상의 외압이 작용했을 때 동작하는 가스 스프링(356)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도 14는 리스트라이크 가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구성도로서, 상기 리스트라이크 가공부(36)는, 리스트라이크 펀치(360)(360)와, 리스트라이크 펀치(360) 에 대응하는 리스크라이크 다이(3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스트라이크 펀치(360) 역시 그 선단면 중앙에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치수보정구(361)를 갖고, 상기 리스트라이크 다이(362)는 상기 하프 블랭킹 다이(352)와 마찬가지로 일정 깊이로 함몰된 요홈면을 갖는다.
녹아웃(knock out) 가공부(37)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선단에 최종 가공물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날을 갖는 녹아웃 펀치(370)와, 상기 녹아웃 펀치(370)에 대응하는 녹아웃 다이(372)로 구성되며, 상기 녹아웃 다이(372)는 가공대상 판재(5)로부터 떼어 내어진 최종 가공물이 하방으로 추출될 수 있는 경로와 연장되는 다이 홀(374)을 구비한다. 따라서 가공대상 판재(5)로부터 탈락된 최종 가공물은 상기 다이 홀(374)과 추출 경로를 통해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작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이상에서는, 피어싱 가공부(31), 상부 챔퍼 가공부(32), 셰이빙 가공부(33), 하부 챔퍼 가공부(34), 하프 블랭킹 가공부(35), 리스트라이크 가공부(36), 녹아웃 가공부(37) 순으로 이루어진 가공부 열이 2열로 배치된 구성을 예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1열 또는 2열 이상 다수의 열로 병렬 배치시키는 것과 같은 장치변형이 가능하므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위와 같이 가공부 열이 2열 이상 형성된 구조인 경우에는, 각 가공부 열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사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형(1)이 하강하여 동시에 2곳 이상에서 동일한 전단 또는 소정가공이 행해질 경우 가공대상 면이 인접하여 응력이 특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응력집중에 따른 취약부 발생 및 해당 위치의 변형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를 통해 행해지는 원 샤프트 플러그 제작과정을 상기 제작장치의 동작과 연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공정 블록도이며, 도 17은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제작 공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첨부된 도면들과 상기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공대상 판재(5)는 미도시된 권취롤에 권취되어 있고 장치 일측을 통해 장치 내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장치 내부로 공급된 가공대상 판재(5)는 장치 내에서 장치 타측으로 판재 가이드(24)를 따라 하형(2)의 다이 플레이트(20)로부터 이격된 채 일정한 피치로 스텝이동을 하며, 가공을 위해 해당 작업구간에 멈춰섰을 때의 상형(1) 하강에 따른 상기 판재 가이드(24)의 하향 이동에 의해 하형(2)의 다이 플레이트(20) 위에 놓이게 된다(도 7 내지 도 8 참조).
장치 일측에서 공급된 가공대상 판재(5)는 먼저, 피어싱 가공부(31)를 거치면서 최종 가공물인 웜 샤프트 플러그에서 공구가 끼워질 다각형의 내측구멍을 형성하게 된다(도 17의 (a)). 이처럼 피어싱 단계를 거치면서 다각형의 내측구멍이 형성된 가공대상 판재(5)는, 상형(1)의 승강에 따른 판재 가이드(24)의 탄성 복원에 따라 하형(2)의 다이 플레이트(20)로부터 이격되고 다시 그 상태에서 한 스텝 이동하여 아이들 구간(I)에 위치하게 된다.
판재(5)가 아이들 구간(I)에 위치하면, 상형(1)이 하강하더라도 특정의 가공작업이 이루지지 않으며, 그 구간을 제외한 작업구간에 위치한 가공대상 판재(5) 부분에 대해서만 해당의 전단 또는 소성 가공이 진행된다. 따라서 내측구멍 형성 후 아이들 구간(I)에 위치한 부분의 후방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른 내측구멍이 형성된다.
아이들 구간(I)은 이후 과정에서도 다음의 작업을 위한 대기구간으로 각 단계 사이사이에 존재하지만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아이들 구간(I)에서 가공대상 판재(5)가 다시 한 스텝 이동하면, 상부 챔퍼 가공부(32)에 상기 판재(5)가 위치하게 되고, 여기서 상기 내측구멍의 상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챔퍼 가공이 행해진다(도 17의 (b)). 그리고 나서 다시 한 스텝을 이동해 셰이빙 가공부(33)를 통해 피어싱 가공된 상기 내측구멍을 형성하는 면에 대한 다듬질 작업이 행해진다(도 17의(c)).
내측구멍에 대한 셰이빙 가공이 완료된 후 다음 스텝으로 이동되면, 하부 챔퍼 가공부(34)를 통해 상기 내측구멍의 하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는 하부 챔퍼 가공작업이 행해진다(도 17의 (d)). 이처럼 내측구멍의 하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펀치의 타격으로 상기 내측구멍의 치수가 변형되는 것을 막고 그 전 단계에서 치수 변형이 이미 진행되어 있더라도 그 변형된 치수가 보정될 수 있도록, 치수보정구(341)가 이용된다.
상기 치수보정구는 상기 하부 챔퍼 가공단계 이후의 이하 설명될 가공단계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그 중복된 생략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 챔퍼 가공 후 다음 스텝으로 이동된 가공대상 판재(5)는, 상기 내측구멍을 포함하여 가공대상 판재(5)를 타격하여 미리 결정된 크기와 깊이로 함몰 가공면을 형성하는 하프 블랭킹 과정을 거치게 되고(도 17의 (e)), 그 다음 스텝의 리스트라이크 단계를 통해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평탄화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도 17의 (f)).
마지막으로, 리스트라이크 단계를 거치면서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가공대상 판재(5)는 다음 스텝에 배치되는 녹아웃 가공부(37)로 이동되고, 여기서 최종적으로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가공대상 판재(5)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녹아웃(Knock out) 처리가 이루어진다(도 17의 (g)).
한편,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공대상 판재의 정확한 피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피어싱 단계 이전에 가공대상 판재 가장자리에 일정피치로 피치 홀을 가공하는 피치 홀 가공단계가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녹아웃 처리단계를 거쳐 최종 가공물이 녹아웃 처리된 가공 후의 판재는 이후 절단단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잘려진 채 장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8을 통해 도시된 부품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 방법을 통해 최종 제작된 웜 샤프트 플러그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한 장치 및 방법을 통해 제작돈 웜 샤프트 플러그(7)는, 공구 예컨대, 육모렌치가 끼워질 수 있는 다각형의 내측구멍(70)을 갖는 둥근 판상체의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다각형 내측구멍(70)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에는 전술한 상부 챔퍼 가공 및 하부 챔퍼 가공을 통해 챔퍼 면(72)(74)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가공대상 판재가 일정피치로 한 스텝씩 이동하면서 해당 구간에서 미리 정해진 전단 또는 소성가공이 행해지고, 마지막 전단가공을 통해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등의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을 위한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으로써, 부품의 생산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고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랭킹을 이용해 최공 가공물을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떼어냄에 있어, 일차적으로 미리 결정된 크기와 깊이로 함몰 가공면을 형성하는 하프 블랭킹을 채택함으로써, 최종 블랭킹 작업 후 작업면에 불규칙한 요철패턴의 찢김과 같은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치수보정구 및 패드의 적용으로 작업도중에 가공 대상물에 대한 치수 및 평탄도 보정이 동시에 행해짐으로써, 최종 가공물의 전체적인 치수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제안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최종 가공물의 양산을 위한 부품 생산성은 극대화시키면서도 불량율 발생은 최소화할 수 있고, 동시에 최종 가공물에 대한 전체적인 치수정밀도는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종 가공물 즉,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에 있어, 경제적이면서도 생산성과 품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상형 2 : 하형
4: 승강핀
5 : 판재 7 : 웜 샤프트 플러그
12 : 상부 스트리퍼 14 : 펀치 플레이트
16 : 승강홀더 18 : 상부 베이스
20 : 다이 플레이트 22 : 다이홀더
24 : 판재 가이드 28 : 하부 베이스
30 : 피치 홀 가공기
31 : 피어싱 가공부 32 : 상부 챔퍼 가공부
33 : 셰이빙 가공부 34 : 하부 챔퍼 가공부
35 : 하프 블랭킹 가공부 36 : 리스트라이크 가공부
37 : 녹아웃 가공부 38 : 절단 가공부
310, 320, 330, 340, 350, 360, 370 : 각부 펀치
312, 322, 332, 342, 352, 362, 372 : 각부 다이
341, 351, 361 : 치수보정구
344 : 패드
356 : 가스 스프링

Claims (24)

  1. 가공대상 판재를 일정피치로 한 스텝씩 이동시키며,
    스텝 이동되는 가공대상 판재에 대해 구간 별로 전단 또는 소성가공이 순차적으로 행해지고,
    마지막 전단가공을 통해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장치는,
    펀치와 다이를 갖는 상형과, 상형의 펀치와 다이에 대응하는 다이와 펀치를 갖는 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형과 하형 사이로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가공대상 판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피치로 스텝 이동되며,
    상형과 하형의 쌍을 이루는 펀치와 다이로 구성된 복수의 가공부가 가공대상 판재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은,
    복수의 펀치 및 하형의 펀치에 대응하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한 다이와,
    승강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펀치가 승강 이동될 수 있는 홀을 갖는 상부 스트리퍼와,
    상기 상부 스트리퍼에 대해 상기 펀치가 장착되는 펀치 플레이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홀더와,
    하형에 대한 상기 승강홀더의 안정적인 승강을 지지하는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은,
    상형의 각 펀치와 다이에 대응하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한 다이를 포함하는 다이 플레이트 및 펀치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다이홀더와,
    복수의 베이스 블록을 매개로 상기 다이홀더 및 다이 플레이트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하부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가공대상 판재가 이탈 없이 지정된 경로를 따라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판재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가이드는,
    가공대상 판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열을 이루는 2 개의 판재 가이드 열이 가공대상 판재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배열을 갖고,
    상기 하형의 다이 플레이트에 이 다이 플레이트 상으로 출몰 가능하게 탄성 설치되어, 상기 상형이 하강하는 경우 그 압박에 의해 하강하면서 가공대상 판재를 하형의 다이 플레이트 상으로 내려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대상 판재의 정확한 피치이동을 위해,
    가공대상 판재가 공급되는 측의 상형(또는 하형)에는 가공대상 판재 가장자리에 일정한 피치로 피치 홀을 가공하는 피치 홀 가공기가 마련되고,
    상기 피치 홀 가공기 후방에는 판재에 형성된 피치 홀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판재가 정확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의 승강핀이 일정피치만큼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홀 가공기는,
    상형(또는 하형)에 장치되어 승강 이동되는 피치 홀 가공펀치와,
    상기 피치 홀 가공펀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형(또는 상형)의 다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피치 홀 가공용 홀 또는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공부는,
    가공대상 판재에 다각형의 내측구멍을 뚫는 피어싱 가공부,
    상기 내측구멍의 상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는 상부 챔퍼 가공부,
    피어싱 가공을 통해 형성된 상기 내측구멍의 면을 다듬질 또는 미소량으로 깨끗이 깎아내는 셰이빙 가공부,
    상기 내측구멍의 하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는 하부 챔퍼 가공부,
    상기 내측구멍을 포함하여 가공대상 판재를 타격하여 미리 결정된 크기와 깊이로 함몰 가공면을 형성하는 하프 블랭킹 가공부,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평탄화시키는 리스트라이크 가공부,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녹아웃(Knock out) 가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가공대상 판재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장치 일측에서부터 차례로, 상기 피어싱 가공부, 상부 챔퍼 가공부, 셰이빙 가공부, 하부 챔퍼 가공부, 하프 블랭킹 가공부, 리스트라이크 가공부, 녹아웃 가공부 순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가공부, 상부 챔퍼 가공부, 셰이빙 가공부는 각각,
    다각형 단면을 갖는 피어싱 펀치와, 챔퍼 가공면을 갖는 상부 챔퍼 펀치와,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의 날을 갖는 셰이빙 펀치를 포함하며, 각각의 펀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다이 플레이트에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된 다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챔퍼 가공부는,
    챔퍼 가공면을 형성한 하부 챔퍼 펀치,
    하부 챔퍼 펀치에 대응하는 하부 챔퍼 다이,
    하부 챔퍼 펀치를 감싸는 일정면적의 평면을 형성한 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챔퍼 펀치는 그 단부에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치수보정구를 일체로 갖고,
    상기 패드는 상기 하부 챔퍼 다이의 하강에 따른 압박에 의해 탄성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 챔퍼 펀치를 상대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블랭킹 가공부는,
    하프 블랭킹 펀치와,
    하프 블랭킹 펀치에 대응하는 하프 블랭킹 다이로 구성되며,
    상기 하프 블랭킹 펀치는 그 선단면 중앙에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치수보정구를 갖고,
    상기 하프 블랭킹 다이는 함몰 가공면 형성을 위한 요홈면을 가지면서 일정한 압축력 이상의 외압이 작용했을 때 동작하는 가스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라이크 가공부는,
    리스트라이크 펀치와,
    리스트라이크 펀치에 대응하는 리스크라이크 다이로 구성되며,
    상기 리스트라이크 펀치는 그 선단면 중앙에 상기 다각형의 내측구멍에 꼭 맞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의 치수보정구를 갖고,
    상기 리스트라이크 다이는 함몰 가공면 형성을 위한 요홈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knock out) 가공부는,
    녹아웃 펀치와,
    녹아웃 펀치에 대응하는 녹아웃 다이로 구성되며,
    상기 녹아웃 다이는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떼어 내어진 최종 가공물이 하방으로 추출될 수 있는 경로와 연장되는 다이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최종 가공물이 녹아웃 처리된 가공 후의 판재를 일정 간격으로 잘라내는 절단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각 가공부 중간 중간에는 다음에 이루어질 작업의 대기를 위한 아이들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피어싱 가공부, 상부 챔퍼 가공부, 셰이빙 가공부, 하부 챔퍼 가공부, 하프 블랭킹 가공부, 리스트라이크 가공부, 녹아웃 가공부 순으로 배치되는 가공부 열이 장치 폭 방향으로 2열 이상 병렬 형성되어, 같은 작업이 동시에 2곳 이상에서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각 가공부 열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사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20. 가공대상 판재에 다각형의 내측구멍을 뚫는 피어싱 단계;
    상기 내측구멍의 상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챔퍼 가공단계;
    피어싱 가공된 상기 내측구멍을 형성하는 면을 다듬질 또는 미소량으로 깨끗이 깎아내는 셰이빙 단계;
    상기 내측구멍의 하부 모서리에 챔퍼면을 형성하는 하부 챔퍼 가공단계;
    상기 내측구멍을 포함하여 가공대상 판재를 타격하여 미리 결정된 크기와 깊이로 함몰 가공면을 형성하는 하프 블랭킹 단계;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평탄화시키는 리스트라이크 단계; 및
    평탄화 작업이 완료된 상기 함몰 가공면을 다시 한번 타격하여 가공대상 판재로부터 최종 가공물을 떼어내는 녹아웃(Knock out)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내측구멍의 치수보정을 위해, 상기 하부 챔퍼 가공단계 이후의 각 단계에서는 치수보정구를 구비하는 펀치를 통해 단계 별 작업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가공대상 판재의 정확한 피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피어싱 단계 이전에 가공대상 판재 가장자리에 일정피치로 피치 홀을 가공하는 피치 홀 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아웃 처리단계를 거쳐 최종 가공물이 녹아웃 처리된 가공 후의 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잘라내는 절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방법.
  24. 상기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작장치 또는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차량용 스트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KR1020120034460A 2012-04-03 2012-04-03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KR10137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60A KR101376339B1 (ko) 2012-04-03 2012-04-03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60A KR101376339B1 (ko) 2012-04-03 2012-04-03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31A true KR20130112231A (ko) 2013-10-14
KR101376339B1 KR101376339B1 (ko) 2014-03-18

Family

ID=4963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460A KR101376339B1 (ko) 2012-04-03 2012-04-03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3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3825A (zh) * 2018-12-29 2019-03-26 佛山市勤健五金制品有限公司 端子冲压模具
CN111438261A (zh) * 2020-05-21 2020-07-24 江苏万达特种轴承有限公司 一种满球轴承的开裂方法及其工装
KR102260371B1 (ko) * 2020-12-21 2021-06-03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차량 공조장치의 에어컨 컴프레셔용 디스크 제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332A (ja) * 1985-10-25 1987-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六角ナツトの製造法
KR20090111546A (ko) * 2008-04-22 2009-10-27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에어컨디셔너의 압축기용 밸브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0992801B1 (ko) * 2008-05-08 2010-11-08 주식회사 폴리테크 베어링 씰 제조용 금형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베어링 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3825A (zh) * 2018-12-29 2019-03-26 佛山市勤健五金制品有限公司 端子冲压模具
CN109513825B (zh) * 2018-12-29 2024-05-07 佛山市勤健五金制品有限公司 端子冲压模具
CN111438261A (zh) * 2020-05-21 2020-07-24 江苏万达特种轴承有限公司 一种满球轴承的开裂方法及其工装
KR102260371B1 (ko) * 2020-12-21 2021-06-03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차량 공조장치의 에어컨 컴프레셔용 디스크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339B1 (ko) 201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979B1 (ko) 박판가공장치 및 박판가공방법
KR101737743B1 (ko) 버 제거기능을 가지는 평와셔 제조장치
JP6157195B2 (ja) プレート状のワークピースに成形部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JP2014512275A (ja) 無フランジ絞り加工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376339B1 (ko)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JP2000343144A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EP14621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mental forming
KR20160110009A (ko) 연속 금속 프로파일 가공을 위한 가공 스테이션
JP2015514592A (ja) 複列プレス処理が可能なトランスファー金型
CN105642762A (zh) 一种汽车车门外板冲压模具的压料装置
US200902604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rocket Segment
JP2003001337A (ja) 打ち抜き加工装置
CN109226494B (zh) 一种汽车保险杠配件级进模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JP2011131226A (ja) パンチプレス
CN106938298B (zh) 马达定位座一次成型模具及其制造方法
JP5796526B2 (ja) 打ち抜き加工装置および打ち抜き加工方法
KR20200041679A (ko) 2열 다이세트 및 트랜스퍼 금형장치 적용 범용프레스
CN104475569A (zh) 一种无刷电机转子的加工模具及加工方法
CN210877062U (zh) 一种一次切角折弯成型模具
JP2018075577A (ja) パンチングメタル製造用のパンチ金型、ダイ金型、金型セット、及びパンチングメタルの製造方法
JP2575723B2 (ja) 板材の曲げ加工方法及び曲げ加工用金型
KR20120020559A (ko) 디버링 공정이 생략된 파인블랭킹 장치
KR20140051634A (ko) 자동 제품 취출 기능을 갖는 트리밍 금형
JP2005028437A (ja) アルミニウム又は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トリミング方法及びトリミ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