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048A -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048A
KR20130112048A KR1020137015715A KR20137015715A KR20130112048A KR 20130112048 A KR20130112048 A KR 20130112048A KR 1020137015715 A KR1020137015715 A KR 1020137015715A KR 20137015715 A KR20137015715 A KR 20137015715A KR 20130112048 A KR20130112048 A KR 2013011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or
piece
engaging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무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커넥터들을 함께 결합하는 작업 중에 커넥터를 삽입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고, 결합 이후의 강한 유지력을 형성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한다.
제1커넥터(10)의 돌기부(11)는 슬릿(S1, S2)에 의해 3개의 분리된 결합편(11A, 11B, 11C)으로 형성되어 결합편(11A)이 타 결합편(11B, 11C) 보다 길계 형성되고, 경사부(11F)는 타 경사부의 각도 보다 완만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커넥터(20)의 중앙부에서 돌출하는 플레이트(20A)에 결합편(11A)을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플레이트(20A)에 타 결합편(11B, 11C)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초기 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낮은 삽입력으로 결합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모든 결합편(11A, 11B, 11C)의 결합돌기(11T)가 플레이트(20A)에 개방된 결합구멍(20T)과 최종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접촉영역(또는 면적)을 신뢰성 있게 확보할 수 있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 간의 결합 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하우징{CONNECTOR HOUSING}
본 발명은 강한 결합 상태로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을 유지하는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을 작은 삽입력으로 삽입할 수 있고 또한 강한 유지력을 갖춘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과 관련하여 기재된 커넥터 결합구조>
커넥터 하우징들 간을 결합(예를 들면, 끼움 결합)하고,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구멍을 가지고, 타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돌기를 가진 결합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지금까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도 6은 특허문헌1과 관련하여 기재된 커넥터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커넥터(200)와 제2커넥터(100)가 함께 결합할 때, 제2커넥터(100)의 커넥터 하우징(100H)을 제1커넥터(200)의 커넥터 하우징(200H)에 삽입하고, 이 상태로 로크 암(201)을 상승시키고, 결합구멍(201T)에 결합돌기(100T)가 결합하여 커넥터들을 결합상태로 유지한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8-97956호
<특허문헌1과 관련하여 기재된 커넥터 결합구조의 문제점>
특허문헌1과 관련하여 기재된 커넥터 결합구조의 유지력은 결합구멍(201T)과 결합돌기(100T) 간의 접촉부분에서의 폭 및 높이로 규정되는 접촉면적(또는 접촉영역)(전단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접촉면적이 증가할수록 유지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그에 상응하여 로크 암(201)이 커지게 되고, 커넥터들의 결합 도중에 상승하는 로크 암(201)의 반발력이 상승하여 그 결과로 작업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커넥터를 결합하는 작업중에, 커넥터의 삽입력을 감소시키고, 또한 결합 이후의 유지력을 강화한 커넥터 하우징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1) ∼ (4)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구멍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가지고, 커넥터 결합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선단으로부터 커넥터 결합방향을 따라서 상기 돌기부의 임의 위치까지 슬릿을 형성하여 상호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복수의 결합편과; 상기 결합구멍과 대향하는 상기 결합벽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각각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 각각의 로크 면;을 구비하고, 일 결합편의 경사부의 각도가 타 결합편의 경사부의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2) 상기 (1)의 구성에 기재된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들 사이에 형성된 슬릿은 그 길이가 상기 결합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결합돌기의 베이스부에 형성된 전단 각도 앞까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3)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기재된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 들 중에서 중앙의 제1결합편은 상기 타 결합편 보다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편의 경사부 각도가 타 결합편의 경사부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4) 상기 (3)의 구성에 기재된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의 양측에 제2결합편과 제3결합편을 배치하고, 상기 제2결합편과 상기 제3결합편은 돌출치수와 경사부 각도에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결합편들이 슬릿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있고, 일 결합편의 경사부의 각도가 타 결합편의 경사부의 각도와 상이하다. 그 결과, 결합작업 중에 필요한 삽입력이 결합편들 사이에서 분산되기 때문에 삽입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커넥터를 원활하게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할 수 있다. 모든 결합돌기의 로크 면과 결합구멍의 로크 측면이 상호 접촉하여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한다. 따라서, 강고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2)의 구성에 의하면, 결합편들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홈의 범위를 한정하여, 전단 각도에 영향을 주지않고 강고한 커넥터 결합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3)의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를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할 때, 제1결합편의 경사부가 먼저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테이퍼부에 접촉한다. 경사부의 완만한 각도가 적합하게 테이퍼부의 경사부와 결합하고, 제1결합편에 의해 이루어진 삽입력의 분산기능과 협동하여 안정된 낮은 삽입력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4)의 구성에 의하면, 제1결합편이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테이퍼부와 접촉한 이후, 제2결합편(또는 제3결합편) 및 제3결합편(또는 제2결합편)이 열거 순서대로 차례로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테이퍼부에 접촉한다. 따라서, 삽입 중에 요구되는 삽입력이 분산되어 낮아지고, 그 결과, 낮은 삽입력으로 커넥터가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 모드에 따른 커넥터 결합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구현 모드, 도 2a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플레이트 만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에 도시한 IIC-II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3a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IIIB - III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에 도시한 IIIC-III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c에 도시한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구현 모드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 결합구조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제2결합편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에 도시한 제3결합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공지된 종래 커넥터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커넥터의 상세한 설명: 도 1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 모드에 따른 커넥터 결합구조의 제1실시예로서 제1커넥터(커넥터 하우징)(10)를 도시하며, 이 제1커넥터(10)는 수지로 성형되고, 실질적 직각 평행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10)의 중앙부에는 제1커넥터(10) 선단을 향하여(도 1의 우측 방향) 돌출하는 돌기부(11)가 커넥터를 결합하는(예를 들면 끼움식 결합) 결합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돌기부(11)의 선단 근방에는 복수의 결합편인 제1결합편(11A), 제2결합편(11B), 제3결합편(11C)이 배치되고, 각 결합편(11A, 11B, 11C) 사이에는 커넥터 결합방향을 따라서 슬릿(S1, S2)이 배치된다.
제1결합편(11A)은 중앙부에 위치하고, 제1결합편(11A)의 선단은 제2결합편(11B) 및 제3결합편(11C)의 돌출 길이 보다도 커넥터 결합방향(도 1의 우측방향)을 따라서 더 큰 돌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제2커넥터의 상세한 설명: 도 2a 내지 도 2c>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본 발명의 구현 모드인 제2커넥터(상대방 커넥터 하우징)(20)는 수지 등으로부터 성형되고, 직각 평행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의 중앙부에는 돌출[도 2a에서 좌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레이트(20A)가 형성되고, 플레이트(20A)에는 실질적 직각형 결합구멍(20T) 및 로크 측면(20V)이 형성되고, 플레이트(20A)의 선단에는 제2커넥터(20)의 내부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진 테이터부(20S)가 형성되어 있다.
<제1커넥터(10)의 돌기부(11)에 관한 상세한 설명: 도 3a 내지 도 3c 참조>
다음에,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제1커넥터(10)의 돌기부(11)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결합편(11A, 11B, 11C)에는 각각 결합돌기(11T)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기(11T)는 제2커넥터(20)에 개구된 결합구멍(20T)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제2결합편(11B)과 제3결합편(11C)의 선단은 제1결합편(11A)의 돌출 길이 보다 짧은 돌출 길이로 형성되고, 대략 수직방향으로 절단된다[도 3c 참조].
한편, 제1결합편(11A) 의 하부는 그 선단으로부터 결합돌기(11T)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다[도 3b 참조].
<결합편 선단 근방의 상세한 설명: 도 4 참조>
다음에, 각 결합편(11A, 11B, 11C)의 선단 근방에 관한 상세한 형상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결합구멍(20T)과 대향하는 각 결합편(11A, 11B, 11C)의 하부에는 결합돌기(11T)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1T) 각각에는 제2커넥터(20)의 결합구멍(20T)에 형성되어 있는 로크 측면(20V)과 접촉하는 로크 면(11V)이 형성된다.
제1결합편(11A)의 하부에는 선단으로부터 결합돌기(11T)를 향하여 하강하는(도 4에서 하향방향) 경사부(11F)가 형성되고, 제2결합편(11B)[및 제3결합편(11C)]의 결합돌기(11T)의 하면에는 경사부(11G)가 형성된다.
이 2개의 경사부(11F, 11G)의 각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커넥터(10)의 수평면(X)과 제1결합편(11A)의 경사부(11F)가 이루는 각도를 C(∠C)로 하고, 제2결합편(11B)[및 제3결합편(11C)]의 경사부(11G)와 수평면(X)이 이루는 각도를 D(∠D)로 하면, 각도 ∠C는 ∠D 보다 작다(∠C < ∠D). 즉, 경사부(11F)의 상승 각도는 경사부(11G)의 상승각도 보다 더 완만하다.
한편, 각 결합편(11A, 11B, 11C)들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S1, S2)의 홈의 깊이(슬릿 길이L)는 결합돌기(11T)의 로크 면(11V)과 결합구멍(20T)의 로크 측면(20V) 사이의 접촉 면적(전단 면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슬릿(S1, S2)의 홈은 제2결합편(11B) 또는 제3결합편(11C)의 선단으로부터의 가상범위가 결합돌기(11T)의 베이스부와 함께 형성하는 전단 각도(E)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까지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각 결합편(11A, 11B, 11C)의 로크 면(11V)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로크 면(11V)은 슬릿(S1, S2)이 형성되지 않는 면을 형성한다.
<결합관계>
본 발명의 구현 모드에 따른 커넥터 결합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각 결합편(11A, 11B, 11C)과 결합구멍(20T)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20)에 삽입하면, 제1결합편(11A)이 다른 결합편(11B, 11C)으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제1결합편(11A)의 경사부(11F)가 먼저 플레이트(20A)의 테이퍼부(20S)에 접촉한다.
다음에, 제1결합편(11A)의 양측에 있는 슬릿(S1, S2)으로부터 분리된 제1결합편(11A)이 플레이트(20A) 위를 미끄럼 이동하여 플레이트(20A)를 압접한다. 따라서, 제1결합편(11A)은 먼저 상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이 경우, 제1결합편(11A)의 경사부(11F)의 각도가 완만하기 때문에, 단지 약한 삽입력이 필요할 뿐이다. 즉,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20)에 삽입할 때, 2개의 요소가 존재한다.
제1요소는 경사부(11F)가 테이퍼부(20S)에 결합할 때 형성되는 부하(하중)이다.
경사부(11F)와 테이퍼부(20S) 모두가 경사면이다. 완만한 각도의 경사부(11F)의 경사와 테이퍼부(20S)의 경사 간의 접합은 제1결합편(11A)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제2요소는 제1결합편(11A)에 부여되는 탄성 변형력이다.
3개의 결합편(11A, 11B, 11C)은 슬릿(S1, S2)에 의해 상호 분리된다. 제1결합편(11A)의 폭은 돌기부(11)의 폭에 비하여 약 3분의 1이기 때문에 전체 돌기부(11)를 탄성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에 대해 약 3분의 1의 힘만으로 족하고, 제1결합편(11A)의 탄성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2개의 요소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함께 결합할 때에 협력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삽입력이 크게 경감되고, 결합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20)에 더욱 삽입하면, 제2결합편(11B)과 제3결합편(11C)이 연동하여 플레이트(20A)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플레이트(20A)를 압접한다. 따라서, 제2결합편(11B)과 제3결합편(11C)이 함께 상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결합돌기(11T)가 결합구멍(20T)에 결합되면 각 결합편(11A, 11B, 11C)의 탄성변형으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스스로 복귀한다. 결합돌기(11T)의 로크 면(11V)은 결합구멍(20T)의 로크 측면(20V)에 접촉한다.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상호 결합을 완료하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는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함께 결합한 상태에 따른 유지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커넥터(10)의 슬릿(S1, S2)의 홈은 로크 면(11V)과 로크 측면(20V) 간의 접촉 면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 즉 홈이 전단 각도(E)를 교차하지 않는 점, 또는 전단 각도(E) 앞의 점까지 형성되기 때문에, 로크 면(11V)의 폭은 로크 측면(20V)의 폭과 서로 동일하고, 로크 면(11V)과 로크 측면(20V) 간의 접촉면적을 신뢰성있게 확보하고, 결과적으로 결합 유지력이 강고해진다.
(제2실시예)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결합구조를 구비한 제1커넥터(10)의 제2실시예이다.
제1결합편(11A)의 선단이 제2결합편(11B) 및 제3결합편(11C) 보다도 돌출[도 5a에서 우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제1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제2결합편(11B)의 돌출길이는 제3결합편(11C)의 돌출 길이와 다르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제2결합편(11B)의 선단 쪽이 제3결합편(11C)의 선단보다 돌출한다. 도 5a에서 돌출 길이들 간의 차이를 기호 D로 표시한다.
다음에,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여, 경사부(11G)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결합편(11B)에 형성된 경사부(11G)가 수평면(X)과 함께 형성한 각도(D1)[도 5b 참조]는 제3결합편(11C)에 형성된 경사부(11G)가 수평면(X)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D2)[도 5c 참조]에 비하여 작게(∠D1 < ∠D2)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관계에서,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20)에 결합할 때, 제1결합편(11A)의 경사부(11F)의 각도(∠C)가 완만하기 때문에, 작은 삽입력만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한바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제1결합편(11A)의 경사부(11F)에 연속하여, 제2결합편(11B)의 경사부(11G)가 플레이트(20A)의 테이퍼부(20S)에 접촉하고, 플레이트(20A) 위를 미끄럼 이동하여 플레이트(20A)를 압접하기 때문에, 제2결합편(11B)이 상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삽입력의 분산에 의해 결합시에 필요한 삽입력이 제1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작아진다.
즉,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20)에 결합할 때, 3개의 결합편(11A, 11B, 11C)은 열거 순서대로 차례로 테이퍼부(20S)에 접촉하고 플레이트(20A) 위에서 미끄럼 이동하면서 삽입력을 분산시킨다. 따라서, 제1커넥터(10)를 제2커넥터(20)에 결합시키는 것을 가벼운 힘으로 매우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편(11B)은 제3결합편(11C) 보다 더 돌출하고, 경사부(11G)의 각도가 완만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2결합편(11B) 보다 더 제3결합편(11C)이 돌출하고, 경사부(11G)의 각도가 더욱 완만하도록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변하지 않는다.
<실시예의 요약>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하부에 각각 결합돌기(11T)와 로크 면(11V)이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11A, 11B, 11C)을 포함하는 돌기부(11)를 구비하는 제1커넥터(10)와, 로크 측면(20V)이 설치된 결합구멍(20T)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20)가 함께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결합돌기(11T)와 결합구멍(20T)이 상호 결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이 결합상태의 유지는 상기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편(11A, 11B, 11C)은 슬릿(S1, S2)에 의해 분리되고, 결합 작업 중에 각 결합편의 독립된 운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삽입력의 저하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후에 있어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쉬운 이탈을 로크 면(11V)과 로크 측면(20V) 사이의 접촉을 통해서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 모드에 따른 커넥터 결합구조에 있어서, 결합편(11A, 11B, 11C)들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S1, S2)의 홈은 제2결합편(11B)의 선단으로부터 결합돌기(11T)의 베이스와 함께 형성되는 전단 각도(E) 직전까지 형성된다.
슬릿(S1, S2)의 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에 의해, 로크 면(11V)과 로크 측면(20V) 간의 접촉면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강고한 커넥터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 모드에 따른 커넥터 결합구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타 결합편(11B, 11C)의 경사부(11G)의 각도 보다도 작은 각도의 경사부(11F)가 제1결합편(11A)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결합편(11A)은 타 결합편(11B, 11C) 보다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2커넥터(20)의 플레이트(20A)의 선단에는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상호 결합할 때, 제1결합편(11A)의 경사부(11F)가 먼저 테이퍼부(20S)와 접촉한다. 이 경우, 경사부(11F)의 완만한 각도와 테이퍼부(20S)의 경사부가 상호 적절하게 결합하고, 그 결과 제1결합편(11A)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산 삽입력과 협력함에 따라서, 무부하 형태의 원활한 삽입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구현 모드에 따른 커넥터 결합구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결합편(11B)과 제3결합편(11C)은 돌출 길이 및 경사부(11G)의 각도에서 서로 상이하다.
제1결합편(11A)이 플레이트(20A)에 접촉한 이후, 순차적으로 제2결합편(11B), 제3결합편(11C)이 플레이트(20A)에 접촉하기 때문에, 삽입 작업중에 필요한 삽입력이 보다 분산 및 경감되고, 이에 따라서 원활하게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구현 모드에 있어서, 제1커넥터(10)에 각 결합편(11A, 11B, 11C)을 구비한 돌기부(11)가 배치되고, 제2커넥터(20)에 결합구멍(20T)을 구비한 플레이트(20A)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의 배치 관계를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경,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수치, 형태, 수, 배치부위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으면,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며,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2010. 12. 21. 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10-285094호)을 기초로 하며,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에 따르면, 커넥터들을 함께 결합하는 작업에 있어서, 커넥터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고, 결합 이후의 강한 유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
10. 제1커넥터(커넥터 하우징)
11. 돌기부
11A. 제1결합편
11B. 제2결합편
11C. 제3결합편
11F, 11G. 경사부
11T. 결합돌기
11V. 로크 면
S1, S2. 슬릿
20. 제2커넥터(상대방 커넥터 하우징)
20A. 플레이트
20S. 테이퍼부
20T. 결합구멍
20V. 로크 측면
E. 전단 각도

Claims (4)

  1.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상대방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구멍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가지고, 커넥터 결합방향으로 연장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선단으로부터 커넥터 결합방향을 따라서 상기 돌기부의 임의 위치까지 슬릿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복수의 결합편과;
    상기 결합구멍과 대향하는 상기 결합벽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각각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 각각의 로크 면;
    을 포함하고,
    일 결합편의 경사부의 각도가 타 결합편의 경사부의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들 사이에 형성된 슬릿은 그 길이가 상기 결합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결합돌기의 베이스부에 형성된 전단 각도 앞까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 들 중에서 중앙의 제1결합편은 상기 타 결합편 보다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편의 경사부 각도가 타 결합편의 경사부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편의 양측에 제2결합편과 제3결합편을 배치하고, 상기 제2결합편과 상기 제3결합편은 돌출치수와 경사부 각도에서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KR1020137015715A 2010-12-21 2011-12-21 커넥터 하우징 KR20130112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5094A JP5674124B2 (ja) 2010-12-21 2010-12-21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JP-P-2010-285094 2010-12-21
PCT/JP2011/079658 WO2012086694A1 (ja) 2010-12-21 2011-12-21 コネクタハウジン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048A true KR20130112048A (ko) 2013-10-11

Family

ID=4631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715A KR20130112048A (ko) 2010-12-21 2011-12-21 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80942A1 (ko)
JP (1) JP5674124B2 (ko)
KR (1) KR20130112048A (ko)
CN (1) CN103270655A (ko)
WO (1) WO2012086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2546B2 (ja) * 2013-08-30 2017-07-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090843A (ja) * 2013-11-07 2015-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止水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4401B2 (ja) * 1995-08-07 2003-07-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01522B2 (ja) * 1996-04-26 2002-07-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40039B2 (ja) * 2000-06-01 2006-11-01 矢崎総業株式会社 慣性ロックコネクタ
JP2003297486A (ja) * 2002-04-01 2003-10-17 Tyco Electronics Amp Kk コネクタ
JP2008097956A (ja) * 2006-10-11 2008-04-2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CN201142450Y (zh) * 2007-12-25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593902B (zh) * 2008-05-27 2011-1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本体及其制造方法
JP5227825B2 (ja) * 2009-02-04 2013-07-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4124B2 (ja) 2015-02-25
CN103270655A (zh) 2013-08-28
US20130280942A1 (en) 2013-10-24
WO2012086694A1 (ja) 2012-06-28
JP2012134012A (ja)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6804B2 (ja) コネクタ
US891575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227103B2 (ja) コネクタ
KR20190118953A (ko) 커넥터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KR101486179B1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JP5299708B2 (ja) 基板用端子
US10276980B2 (en) Connector with a CPA receiving space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uch a connector
JP5516308B2 (ja)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US1012859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8113881B2 (en) Connector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263907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30112048A (ko) 커넥터 하우징
JP6069541B2 (ja) コネクタ
JP2012243676A (ja) コネクタ
JP5440679B1 (ja) 電気コネクタ
KR101408440B1 (ko) 분리 방지 커넥터
JP2016157643A (ja) コネクタ組立体
JP6445072B2 (ja) コネクタ
CN107453073B (zh) 具有插入限制器的盒式端子
WO2018207651A1 (ja) コネクタ
US9705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wo movable parts
JP2018116825A (ja) コネクタ
US20080093941A1 (en) Assembly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 stator windings of an electric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