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203A - 재료 압송 장치 - Google Patents

재료 압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1203A
KR20130111203A KR1020127030988A KR20127030988A KR20130111203A KR 20130111203 A KR20130111203 A KR 20130111203A KR 1020127030988 A KR1020127030988 A KR 1020127030988A KR 20127030988 A KR20127030988 A KR 20127030988A KR 20130111203 A KR20130111203 A KR 20130111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ressing
container
hole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007B1 (ko
Inventor
아츠시 스즈키
토시유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ublication of KR2013011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supply being effected by follower in container, e.g. membrane or floating piston, or by deformation of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7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a piston as pressure exerting means, or of the co-operating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8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the container for the material to be dispensed being deform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2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Supply contro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ompressor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점성 재료(M)가 수용된 주머니(11)를 수용하는 용기(12)와, 상기 재료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13)와, 이 가압 부재(13)에 의한 가압력으로 흡인되는 재료(M)를 외부로 압송하는 압송 수단(15)과, 가압 부재(13)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환형상 부재(16)를 구비하여 재료 압송 장치(10)가 구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13)는 그 외주측에 지지 공간(S)을 구비하고 있고, 당해 지지 공간(S)에 환형상 부재(16)를 구성하는 링부(40)가 상대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지지되고, 이것에 의해, 가압 부재(13)가 기울어져도 환형상 부재(16)는 그 경사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기(12) 내주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재료 압송 장치{MATERIAL PU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재료 압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성 재료를 수용한 주머니(袋)를 용기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주머니 내에 연통 가능한 가압(押壓) 부재로 가압함으로써 재료를 압송할 수 있고, 그 때에 가압 부재의 외주측과 용기 내주 사이에 주머니가 말려들어가지 않는 재료 압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일제 등으로서 반응성 실리콘, 에폭시 수지 등의 고점도의 수지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지 재료는 소정의 용기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 압송 장치에 의해 필요량씩 흡인되어 노즐에 압송되고, 이 노즐로부터 워크의 플랜지 등의 시일면에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 압송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점성 재료를 수용하는 용기의 상부에 재료의 통공(通孔)을 구비한 상측 덮개(가압 부재)를 배치하고, 당해 가압 부재를 하강시킴으로써 재료를 압송 가능하게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점성 재료가 수용된 주머니를 용기 내에 수용하고, 상기 주머니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압 부재를 하강시킴으로써 주머니 내의 재료를 흡인하여 압송 가능하게 한 구성도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16350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02655호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재료 압송 장치에 있어서는, 실린더 등의 구동 장치를 통하여 가압 부재를 용기 내에서 하강시켜 재료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인데, 가압 부재를 하강시켰을 때에, 당해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면이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예를 들면 1°정도)를 발생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경사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를 설치하여 가압 부재의 하강 직진성을 유지함으로써 해소 가능하게 되지만, 그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장치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대형화할 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부담도 커져서 경제적이지 않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의 경우, 가압 부재의 경사에 의해, 당해 가압 부재의 외주와 용기 내주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극으로부터 재료가 새는 문제를 초래하고,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재료를 수용한 주머니가 가압 부재의 외주와 용기 내주 사이에 말려들어가, 그 만큼 재료를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를 초래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주목하여 안출된 것이며, 그 목적은 점성 재료를 수용한 주머니를 용기 내에 배치하고, 상기 재료에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주머니 내의 재료를 흡인하여 압송하는 재료 압송 장치에 있어서, 가압 부재가 기운 경우에도, 가압 부재의 외주측과 용기 내주 사이에 주머니가 말려들어가지 않아, 재료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는 재료 압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했다. 즉, 점성 재료가 수용된 주머니를 수용하는 상단 개방형의 용기와, 이 용기 내의 주머니 상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연통 가능한 통공을 가지고 상기 주머니 상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통공에 연통하는 압송로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압 부재의 하강에 의해 주머니 내의 재료를 압송하는 압송 수단을 구비한 재료 압송 장치로서,
상기 가압 부재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 내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 할 수 있는 환형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상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에 지지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부 가압판과, 당해 상부 가압판의 외주측 하면 사이에 지지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부 가압판의 하면측에 부착되는 하부 가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상 부재는 판형상의 링부와, 당해 링부의 외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설(連設)되어 상기 용기 내주를 가압할 수 있는 외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부는 상기 지지 공간 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압 부재의 통공 내에 배치되는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당해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스페이서와, 당해 스페이서에 부착된 원형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부재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형상(扇形)으로 되는 복수의 개구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수평판은 복수의 원형 구멍을 구비하고, 중앙부의 구멍이 외주측의 구멍보다 긴밀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형상 부재가 가압 부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부재의 가압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도, 환형상 부재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형상 부재의 외주는 용기 내주면을 동일하게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용기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주머니가 말려들어 버린다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당해 말려드는 것에 따라 재료를 낭비하는 일도 없다.
또, 가압 부재가 상부 가압판과, 당해 상부 가압판의 외주측 하면 사이에 지지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압판의 하면측에 부착되는 하부 가압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환형상 부재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고, 환형상 부재를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어려움 없이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재료를 주머니에 수용하여 압송하는 경우에도, 주머니가 가압 부재의 통공 내에 흡입되어 버리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재료 압송 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2는 상기 재료 압송 장치의 종단면도.
도 3(A)는 상부 가압판이 압송 수단에 고정된 상태의 개략 평면도, (B)는 그 단면도, (C)는 동 저면도.
도 4(A)는 하부 가압판의 개략 평면도, (B)는 동일부 단면도, (C)는 동 저면도.
도 5(A)는 환형상 부재의 개략 평면도, (B)는 동 정면도, (C)는 동 단면도.
도 6은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다른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일정량의 재료 토출이 행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 및 「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재료 압송 장치(10)는 실리콘 등의 고점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재료(M)가 수용된 주머니(11)와, 이 주머니(11)를 수용하는 상부 개방형의 용기(12)와, 상기 주머니(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멍(11A)에 연통 가능한 통공(13A)을 가짐과 아울러, 당해 주머니(11) 상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13)와, 당해 가압 부재(13)의 상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가압 부재(13)의 하강에 의해 주머니(11) 내의 재료(M)를 흡인하여 압송하는 압송 수단(15)과, 상기 가압 부재(13)의 외주측에 지지되어 용기(12)의 내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환형상 부재(16)와, 상기 가압 부재(13)의 통공(13A) 내에 배치되는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1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머니(11)는 수지제 필름에 의해 구성되고, 내부에 재료(M)를 수용한 상태에서 개구측이 밀봉되어 있고, 당해 밀봉된 부위가 용기(12)의 바닥부측에 위치하도록 반전되어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용된 주머니(11)는 적당한 커터 날을 사용하여 상부 중앙이 절제되어 구멍(11A)이 형성된 후, 당해 구멍(11A) 내에 상기 흡입 방지 부재(18)의 하단측이 면하는 상태에서 가압 부재(13)가 주머니(11) 상에 배치된다.
상기 용기(12)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염화비닐을 성형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12)는 상하 방향을 향한 대략 원통 형상의 둘레벽부(20)와, 이 둘레벽부(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벽부(21)와, 당해 바닥벽부(21)의 하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22)를 포함한다. 바닥벽부(21)의 중앙부는 원형 오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13)가 바닥벽부(21)에 대략 접하는 하강 한계에 이르렀을 때에, 흡입 방지 부재(18)의 하부를 수용함으로써, 주머니(11) 내에 재료(M)를 쓸데없이 남기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13)는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측에 상기 압송 수단(15)이 위치하도록 당해 압송 수단(15)에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하여 일체화되는 원환 형상의 상부 가압판(25)과, 이 상부 가압판(25)의 외주측 하면과의 사이에 지지 공간(S)(도 3(B) 참조)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부 가압판(25)의 하면측에 부착되는 원환 형상의 하부 가압판(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가압판(25)은 하면 외주측에 단차부(25A)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단차부(25A)보다 외주측의 판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며, 단차부(25A)의 높이에 의해 지지 공간(S)의 높이가 결정된다. 덧붙여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차부(25A)의 높이(H)는 6mm로 설정되어 있고, 당해 단차부(25A)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 직경(D)은 196mm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부 가압판(25)의 중앙부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멍(27)이 형성되고, 당해 테이퍼 구멍(27)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원환 형상의 평면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가압판(25)에는 단차부(25A)보다 내측의 면 내에 둘레 방향 90도 간격을 두고 관통공(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가압판(26)은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측의 둘레 방향 90도 간격을 둔 위치에, 상기 관통공(30)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는 나사 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상기 테이퍼 구멍(27)보다 개구 직경이 큰 테이퍼 구멍(33)이 형성되며, 이들 테이퍼 구멍(27, 33)에 의해, 상기 통공(13A)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가압판(25) 및 하부 가압판(26)은 상기 지지 공간(S)를 사용하여 환형상 부재(16)의 일부를 끼우도록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관통공(30)과 나사 구멍(32)의 축선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3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압송 수단(15)은 상기 통공(13A)에 연통하는 압송로(37A)를 구비한 통형상체(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체(37)의 상면측에는 연결 구멍(37B)이 형성되고, 당해 연결 구멍(37B)을 이용하여 상부 개구부에 도시하지 않는 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가 연결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통로(37A)의 측방에는 재료(M)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멍이 설치되고, 당해 구멍에 노즐이 부착된 호스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환형상 부재(16)는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의 링부(40)와, 당해 링부(40)의 외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설됨과 아울러,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대직경으로 설치되어 용기(12)의 내주를 가압할 수 있는 스커트 형상의 외주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링부(40)는 그 내경(D1)이 200mm, 두께(t)가 5mm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당해 링부(40)가 상기 지지 공간(S) 내에 위치했을 때에, 환형상 부재(16)가 가압 부재(13)에 대하여, 가로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하부 가압판(26)의 상면측 외측 가장자리와, 링부(40) 및 외주부(41)의 내면측 코너가 접하는 상태로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링부(40)의 가로 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 외주부(41)의 외경은 용기(12)의 내경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고, 용기(12) 내에 들어가도록 외주부(41)를 강제적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가압 부재(13)가 하강했을 때에 외주부(41)가 용기(12)의 내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18)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가압판(25)에 있어서의 테이퍼 구멍(27)의 하단에 이어지는 평면부(28)에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기둥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50)와, 이 스페이서(50)의 하단에 나사(51)로 고정되는 원형 부재(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0)의 각 하단측에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 부재(53)의 외주측에 형성된 구멍(54)의 하방으로부터 나사(51)를 삽입통과시켜 나사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형 부재(53)는 폐쇄 루프 형상을 이루는 원형 프레임(55)과, 당해 원형 프레임(55)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크로스 프레임(56)에 의해 구성되고, 이것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형상으로 되는 복수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개구(57)가 둘레 방향 90도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18)는 가압 부재(13)에 부착된 상태에서, 스페이서(50)의 하단부와 원형 부재(53)가 하부 가압판(26)의 하면 즉 가압면(26A)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그 돌출량은 용기(12)의 바닥벽부(21)측에 설치된 원형 오목부(23)의 높이에 대략 일치한다.
상기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18)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형 부재(53)의 면 내에 복수의 원형 구멍(58)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원형 구멍(58)은 외주부보다 중앙부에 밀집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재료(M)가 저점도인 경우에 있어서, 주머니(11) 내의 재료(M)의 소비를 마지막까지 하지 않고 가압 부재(13)를 용기(12)로부터 취출하여 세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 가압 부재(13) 및 압송 수단(15) 내에 흡입된 재료를 주머니(11) 내에 낙하시키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18)의 고정은 측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상의 스페이서(59)를 사용하고, 당해 스페이서(59)의 도 7 중 상편(59A)이 상기 평면부(28)에 용접된다.
다음에 재료 압송 장치(10)에 의한 재료(M)의 흡인, 압송 순서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재료(M)의 흡인, 압송을 행하는 준비 작업으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2) 내에 주머니(11)에 들어가는 재료(M)를 수용한다. 이 때, 주머니(11)는 재료(M)를 수용한 상태에서 개구측이 밀봉된 상태에 있고, 밀봉측이 용기(12)의 바닥부측에 위치하도록 반전되어 용기(12)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주머니(11)의 상부 중앙을 커터 날로 대략 원형으로 절제하여 구멍(11A)을 형성하고, 당해 구멍(11A) 내에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18)를 면하게 하여 가압 부재(13) 및 압송 수단(15)을 주머니(11) 상에 위치시킨다. 이것에 의해, 주머니(11)의 내부와, 가압 부재(13)의 통공(13A) 및 압송로(37A)가 연통된다.
도시하지 않는 승강 장치를 구동하여 가압 부재(13)를 하강시킴으로써(도 8 참조), 주머니(11) 내의 재료가 가압되어 통공(13A), 압송로(37A) 내에 흡인되고, 당해 압송로(37A)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호스, 노즐을 통하여 재료가 토출된다.
여기서, 가압 부재(13)의 가압면(26A)이 수평면에 대하여, 어떠한 요인에 의해 기운 경우, 가압 부재(13)에 환형상 부재(16)가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환형상 부재(16)도 기울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형상 부재(16)의 링부(40)가 가압 부재(13)의 지지 공간(S)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또, 환형상 부재(16)의 외측부(41)가 용기(12)의 내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환형상 부재(16)는 가압 부재(13)의 경사의 영향을 받지 않고 초기의 수평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환형상 부재(16)가 기운 경우에, 당해 환형상 부재(16)와 용기(12)의 내주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간극에 주머니(11)가 말려들어가 버리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주머니(11)가 말려들어가는 것에 따른 동작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13)에 의해 재료(M)에 가압력을 부여하면, 주머니(11)의 상부측은 통공(13A)으로 끌려들어가는 힘을 받게 되지만,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18)의 스페이서(50)가 제방 역할을 하여 끌어들임을 규제하게 되고, 따라서 통공(13A) 내의 재료 유동을 방해하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재료(M)는 가압 부재(13)의 가압면(26A)이 용기(12)의 바닥벽부(21)의 상면에 대략 접하는 하강 한계에 이를 때까지 소비할 수 있다. 이 때,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18)는 가압 부재(13)의 가압면(26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그 돌출 부위는 원형 오목부(23) 내에 수용되므로, 쓸데없는 재료 낭비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재료 압송시의 가압 수단(13) 및 압송 수단(16)의 경사를 디지털 각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1°정도의 경사가 발생했을 때에도 주머니(11)가 말려들어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실증되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특별히 도시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이상에 서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형상, 수량,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러한 형상 등의 한정의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벗어난 부재의 명칭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0…재료 압송 장치
11…주머니
11A…구멍
12…용기
13…가압 부재
13A…통공
15…압송 수단
16…환형상 부재
18…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
25…상부 가압판
26…하부 가압판
37A…압송로
40…링부
41…외주부
50…스페이서
53…원형 부재
57…개구
58…원형 구멍
M…재료
S…지지 공간

Claims (5)

  1. 점성 재료가 수용된 주머니를 수용하는 상단 개방형의 용기와, 이 용기 내의 주머니 상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연통 가능한 통공을 가지고 상기 주머니 상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통공에 연통하는 압송로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압 부재의 하강에 의해 주머니 내의 재료를 압송하는 압송 수단을 구비한 재료 압송 장치로서,
    상기 가압 부재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상기 용기 내주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환형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상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압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부 가압판과, 당해 상부 가압판의 외주측 하면과의 사이에 지지 공간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부 가압판의 하면측에 부착되는 하부 가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상 부재는 판형상의 링부와, 당해 링부의 외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설되어 상기 용기 내주를 가압할 수 있는 외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부는 상기 지지 공간 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압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통공 내에 배치되는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당해 주머니 흡입 방지 부재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스페이서와, 당해 스페이서에 부착된 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압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부재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형상으로 되는 복수의 개구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압송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부재는 복수의 원형 구멍을 구비하고, 이들 원형 구멍은 외주부보다 중앙부에 밀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압송 장치.
KR1020127030988A 2010-05-24 2011-04-18 재료 압송 장치 KR101743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8292 2010-05-24
JP2010118292A JP5459068B2 (ja) 2010-05-24 2010-05-24 材料圧送装置
PCT/JP2011/059481 WO2011148735A1 (ja) 2010-05-24 2011-04-18 材料圧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203A true KR20130111203A (ko) 2013-10-10
KR101743007B1 KR101743007B1 (ko) 2017-06-02

Family

ID=4500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988A KR101743007B1 (ko) 2010-05-24 2011-04-18 재료 압송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70034B2 (ko)
EP (1) EP2578881B1 (ko)
JP (1) JP5459068B2 (ko)
KR (1) KR101743007B1 (ko)
CN (1) CN102918273B (ko)
BR (1) BR112012029130B1 (ko)
WO (1) WO2011148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7706B2 (en) * 2013-03-15 2017-03-21 Rooftop Research, Llc Container and substance dispensing system
DE102015212198A1 (de) * 2015-06-30 2017-01-05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eimauftrag ohne Rücklauf
US10222116B2 (en) * 2015-12-08 2019-03-0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sulated structure for an appliance having a pressing mechanism incorporated within an insulation delivery system
WO2018159043A1 (ja) * 2017-02-28 2018-09-07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粘性材料供給装置、粘性材料供給装置に用いられる被覆シート、粘性材料供給方法及び被覆シートの取り付け方法
CN109334111B (zh) * 2018-08-30 2023-11-21 浙江正威机械有限公司 塑料立体袋片料的单侧边烫合装置
EP3881940A4 (en) * 2018-11-14 2022-08-03 ThreeBond Co., Ltd. ASSEMBLY, METHOD OF USING THE ASSEMBLY, APPLICATION DEVICE, METHOD OF USING THE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OF FILLING A MATERIAL
JP7407439B2 (ja) * 2019-10-24 2024-01-04 兵神装備株式会社 流体圧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0473U (ko) * 1972-11-21 1974-08-06
JPS5013907A (ko) * 1973-06-09 1975-02-13
JPS58163500A (ja) 1982-03-25 1983-09-2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スラツジの脱水方法
JPS58163500U (ja) * 1982-04-27 1983-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ペ−スト状剤ポンピング容器
DE3233853A1 (de) * 1982-09-11 1984-03-15 Erich 7812 Bad Krozingen Becker Pumpe mit kolben und gleitdichtung
JPH0125666Y2 (ko) * 1984-10-06 1989-08-01
JPH061072B2 (ja) * 1990-02-23 1994-01-05 勝 桑原 高粘度ポンプ用の高粘度材容器
US5730250A (en) * 1996-06-07 1998-03-24 Tsai; Shih-Tien Gear type grease pump
JP4064497B2 (ja) * 1997-07-17 2008-03-19 六治 上木 シーリング材の注入ガン
JP3737361B2 (ja) * 2000-12-27 2006-01-18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容器に収納された粘性材料の取出装置
JP2002239444A (ja) * 2001-02-15 2002-08-27 Fuji Heavy Ind Ltd 流動材料圧送装置
JP3431018B2 (ja) * 2001-03-05 2003-07-28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粘性流体の取出方法
EP1642603B1 (en) * 2003-06-10 2013-09-18 Daiken Iki Kabushiki Kaisha Receptacle and medical suction device equipped therewith
JP4670302B2 (ja) * 2004-10-06 2011-04-13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材料圧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8881A1 (en) 2013-04-10
BR112012029130B1 (pt) 2021-02-09
JP5459068B2 (ja) 2014-04-02
US20130056491A1 (en) 2013-03-07
EP2578881A4 (en) 2014-09-24
CN102918273A (zh) 2013-02-06
US8870034B2 (en) 2014-10-28
WO2011148735A1 (ja) 2011-12-01
EP2578881B1 (en) 2019-01-09
JP2011245363A (ja) 2011-12-08
CN102918273B (zh) 2015-07-22
BR112012029130A2 (pt) 2018-05-15
KR101743007B1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1203A (ko) 재료 압송 장치
KR20070061835A (ko) 재료 압송장치 및 재료 압송방법
CN102573578A (zh) 用于制备饮料的系统、包囊以及方法
US8376181B2 (en) Container assembly with flexible lid seal and releasing arrangement
US10875695B2 (en) Refillable container
JP2007095707A (ja) 注液装置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KR102505647B1 (ko) 제품 분사용 장치의 제조 방법
CN106029279B (zh) 焊料供给装置及焊料供给方法
CN109269608B (zh) 一种适用在线称重的对接结构
KR101943802B1 (ko) 겔형 방향제 제조 장치
CN107398310A (zh) 一种移液器插嘴
US20140105735A1 (en) Liquid pump device
KR102085031B1 (ko) 주사기형 용기 및 그를 위한 충진장치
JP6132622B2 (ja) 紙成形体の製造における潤滑油塗布方法とそれを実施する装置
CN214289115U (zh) 可回收废胶的点胶机
US5246047A (en) Nozzle for dispensing products
KR890005050Y1 (ko)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JPS58216587A (ja) 容器充填装置
JP2005298024A (ja) 液体の充填方法及び装置
JP2003118799A (ja) 材料圧送装置
JP6862699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充填用エアレスフィルパッ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液体充填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体充填方法
JP3102575U (ja) ポンプ用フォロープレート
JP4863849B2 (ja) 高粘性物質の個分け取出装置
JP2002239444A (ja) 流動材料圧送装置
KR20110000525U (ko) 조성물 가압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